KR20140041167A - 커넥터 하우징 - Google Patents

커넥터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1167A
KR20140041167A KR1020120108192A KR20120108192A KR20140041167A KR 20140041167 A KR20140041167 A KR 20140041167A KR 1020120108192 A KR1020120108192 A KR 1020120108192A KR 20120108192 A KR20120108192 A KR 20120108192A KR 20140041167 A KR20140041167 A KR 20140041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lance
seating space
housing body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8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환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8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1167A/ko
Publication of KR20140041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11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하우징(10)은 하우징몸체(11)가 골격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몸체(11)의 전후로 관통하여서는 터미널안착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2)의 내부에는 랜스(14)가 형성된다. 상기 랜스(14)는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2)의 내부에 설치되는 터미널(20)의 일측을 걸어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랜스(14)는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2)의 내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데, 랜스(14)와 터미널안착공간(12)의 사이에는 좁은 틈새가 형성된다. 상기 랜스(14)의 자유단부에는 걸이턱(16)이 랜스(14)의 길이방향에 직교하게 형성된다. 상기 랜스(14)에는 터미널(20)의 결합부 외면과 접촉되는 터미널접촉면(1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터미널(20)이 하우징몸체(11)의 내부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면서도 터미널(20)을 하우징몸체(11)에서 빼내는 것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Description

커넥터 하우징{Connector housing}
본 발명은 커넥터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터미널이 고정되어 설치되고 커넥터의 외관을 구성하는 커넥터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외관과 골격을 절연재질로 만들어진 하우징이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진 터미널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하우징은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만들어지고, 상기 터미널은 금속을 프레스가공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커넥터는 상대 커넥터과 결합되어 터미널 끼리 접촉됨에 의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게 되는데,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시에 터미널들이 서로 결합될 때, 터미널이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랜스가 구비된다.
도 1에는 종래의 커넥터 하우징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절연재질로 만들어지는 하우징(1)의 내부를 전후로 관통해서는 터미널 안착공간(3)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 안착공간(3)의 내부에는 하우징(1)의 선단을 향해 연장되게 랜스(5)가 형성된다. 상기 랜스(5)는 외팔보 형상으로 탄성변형가능하게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랜스(5)는 상기 터미널 안착공간(3)의 내면에서 도면을 기준으로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랜스(5)의 끝부분에는 걸이단(7)이 형성되어 터미널의 일측이 걸어지게 된다. 상기 랜스(5)의 끝부분에는 또한 리워크돌기(9)가 하우징(1)의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상기 리워크돌기(9)는 상기 랜스(5)가 터미널에 걸어져 있는 상태를 해제하도록 힘을 가해 상기 랜스(5)가 탄성변형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랜스(5)는 도면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의 터미널 안착공간(3)에서 하우징(1)의 선단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랜스(5)와 터미널 안착공간(3)의 사이에는 상대적으로 넓은 틈새가 형성된다. 상기 틈새는 상기 랜스(5)의 선단쪽으로 갈수록 더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상 상기 터미널이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서 외부에서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유동될 가능성이 커진다. 상기 터미널이 상기 하우징(1) 내에서 유동되면, 상대 터미널과의 접촉상태가 나빠지고, 심한 경우 스파크 발생에 의한 화재의 위험도 있다.
그리고, 종래의 랜스(5)는 하우징(1)의 후단에서 선단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랜스(5)에 걸려 있는 터미널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리워크돌기(9)를 조작하기 위해 하우징(1)의 선단에서부터 상기 터미널안착공간(3)의 내부로 공구를 삽입하여야 한다. 하지만, 상기 터미널안착공간(3)이 좁은 경우 공구를 터미널안착공간(3)으로 넣어서 상기 리워크돌기(9)를 조작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어렵게 된다. 이는 상기 리워크돌기(9)의 위치가 상기 터미널안착공간(3)의 입구에서 소정 거리 떨어져 있어, 작업자가 리워크돌기(9)의 정확하게 조작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랜스와 터미널안착공간의 내면 사이의 틈새가 상대적으로 좁고, 랜스에 터미널이 걸어진 상태에서 터미널과 랜스가 일정 이상 영역에서 서로 접촉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랜스가 터미널안착공간의 입구에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리워크를 위한 공구로 랜스에 정확하게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를 관통하여 터미널이 설치되는 터미널안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몸체와, 상기 터미널안착공간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을 걸어지지하는 랜스를 포함하고, 상기 랜스는 상기 터미널안착공간의 내면과 나란히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랜스의 자유단부에는 상기 랜스의 연장방향에 직교하게 걸이턱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랜스에는 상기 터미널의 외면과 접촉되는 터미널접촉면이 형성되는데, 상기 터미널접촉면은 상기 터미널안착공간의 대응되는 내면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랜스는 상기 하우징몸체의 선단에 형성된 상기 터미널안착공간의 입구쪽에서 시작해서 상기 하우징몸체의 후단을 향해 연장된다.
상기 걸이턱에는 상기 랜스의 자유단부 쪽에 안내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자유단부 반대쪽에 해당되는 부분에 상기 터미널의 일측에 걸어지는 걸이면이 형성된다.
상기 랜스는 상기 하우징몸체의 선단에 해당되는 상기 터미널안착공간의 입구에서 하우징몸체에 연결되어 상기 자유단부가 하우징몸체의 후방을 향해 연장된다.
상기 하우징몸체의 선단에는 상기 터미널안착공간과 연결되게 입구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개구의 일측 내면은 상기 랜스의 기저부이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하우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몸체의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터미널안착공간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랜스가 형성되고 상기 랜스가 터미널안착공간과의 사이에 상대적으로 좁은 틈새를 가지므로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랜스가 유동되는 것이 최소화되어 터미널의 설치상태가 견고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랜스가 하우징의 선단쪽에서부터 후단을 향해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터미널을 리워크하기 위한 공구를 랜스를 따라 진입시켜 랜스를 탄성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터미널을 리워크하는 작업이 매우 쉽게 수행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 하우징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하우징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우징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우징이 채용된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하우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커넥터의 외관을 커넥터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골격을 하우징몸체(11)가 형성하는데, 상기 하우징몸체(11)는 본 실시예에서는 전후로 길게 연장된 육면체 형상이다. 상기 하우징몸체(11)는 절연성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만든다.
상기 하우징몸체(11)의 내부를 전후로 관통하여서는 터미널안착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2)은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만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상기 하우징몸체(11)에 다수개의 터미널안착공간(12)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2)은 상기 하우징몸체(11)의 선단과 후단으로 각각 개방되어 있는데, 하우징몸체(11)의 선단쪽으로 개방된 부분이 입구(12')이다. 상기 입구(12')를 통해 상대 커넥터의 상대 터미널이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2)의 내부에는 랜스(14)가 구비된다. 상기 랜스(14)는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20)을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2) 내에 고정하도록 한다. 상기 랜스(14)는 상기 입구(12')쪽이 하우징몸체(11)에 연결되고 하우징몸체(11)의 후단을 향해 자유단부가 연장되는 외팔보 형상이다. 상기 랜스(14)는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2)의 내면과 평행하게 되도록 연장된다. 즉, 상기 랜스(14)와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2)의 대응되는 내면과의 사이의 틈새를 일정하게 만들어진다. 그리고, 상기 랜스(14)는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2)의 내면과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어 있기는 하나, 그 폭이 매우 작다. 상기 틈새는 상기 랜스(14)가 터미널(20)과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해제될 수 있는 정도의 탄성변형이 가능할 정도가 되면 된다.
상기 랜스(14)에서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2)의 내면과 마주보는 반대쪽 면에는 터미널접촉면(15)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접촉면(15)은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20)의 일측과 접촉되어 터미널(20)이 임의로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터미널접촉면(15)도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2)의 대응되는 내면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접촉면(15)은 상기 랜스(14)의 대부분의 길이에 해당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접촉면(15)은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20)의 결합부(22)의 길이와 같은 길이를 가지도록 되는 것이 좋다.
상기 랜스(14)의 자유단부에는 걸이턱(16)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16)은 상기 랜스(14)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16)에서 상기 랜스(14)의 자유단부 쪽에는 안내경사면(18)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안내경사면(18)은 터미널(20)이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2)에 삽입될 때, 터미널(20)의 일측에 안내되어 상기 랜스(14)가 탄성변형되도록 한다.
상기 안내경사면(18)의 반대쪽에 해당되는 걸이턱(16)의 일측에는 걸이면(19)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면(19)은 상기 입구(12'), 즉 하우징몸체(11)의 선단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걸이면(19)은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20)의 일측이 걸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랜스(14)가 2개가 나란히 형성된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20)의 한쌍의 컬링부(23)의 끝부분에 각각 랜스(14)가 걸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하지만, 하나의 터미널(20)에 하나의 랜스(14)만이 걸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랜스(14)는 상기 입구(12')에서부터 형성되어 연장되는데, 상기 하우징몸체(11)의 전면에는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2)의 내부와 연통되게 입구개구(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입구개구(14')의 내면 양측에 각각 랜스(14)가 형성되어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입구개구(14')는 랜스(14)의 존재를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즉, 상기 랜스(14)의 기저부 측면이 입구개구(14')의 일측 내면을 형성한다. 물론, 상기 입구개구(14')가 없더라도 상기 랜스(14)의 위치를 다른 방법으로 표시할 수는 있다.
터미널(20)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터미널(20)은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2)의 내부에 설치되는데,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터미널(20)에는 상대 터미널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22)가 선단에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결합부(22)의 일측에 상기 랜스(14)의 걸이턱(16)에 걸어진다.
한편, 본 실시예의 터미널(20)에서는 결합부(22)에 한쌍의 컬링부(23)가 대칭으로 형성된다. 상기 컬링부(23)는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고, 상대 터미널이 결합부(22)의 내측에 삽입되었을 때, 상대 터미널의 일면을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터미널(20)의 결합부(22) 반대쪽에는 바렐부(24)가 구비된다. 상기 바렐부(24)는 와이어(26)와 물리적,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바렐부(24)에는 상기 와이어(26)의 심선과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와이어바렐과 와이어(26)의 절연층과 결합되어 물리적 결합을 수행하는 인슐레이션바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하우징이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터미널(20)은 상기 하우징몸체(11)의 터미널안착공간(12)내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터미널(20)은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2)의 내부로 하우징몸체(11)의 후단 쪽에서 삽입된다.
상기 터미널(20)의 선단은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2)으로 삽입되면서 선단이 상기 랜스(14)의 안내경사면(18)을 만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랜스(14)의 안내경사면(18)은 터미널(20)의 선단을 따라 안내되면서 랜스(14)가 탄성변형되도록 한다. 이 상태로 상기 터미널(20)이 계속하여 삽입되면 상기 랜스(14)의 걸이턱(16) 끝부분은 상기 터미널(20)의 외면을 따라 안내된다. 그러다가 상기 터미널(20)의 결합부(22) 끝이나 상기 결합부(22)에서 상기 걸이턱(16)이 걸어지는 부분을 만나면 복원되면서 터미널(20)에 걸어진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상태에서는 상기 터미널(20)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어 있고, 상기 걸이턱(16)의 걸이면(19)이 상기 터미널(20)의 결합부(22) 끝단에 걸어진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입구(12')를 통해 상대 터미널이 들어와서 상기 결합부(22)의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터미널(20)이 밀리지 않게 된다.
도 4의 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랜스(14)의 터미널접촉면(15)은 상기 터미널(20)의 결합부(22) 외면에 접촉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랜스(14)는 탄성변형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2)의 내면과의 사이의 틈새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외부에서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랜스(14)가 임의로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특히, 상기 터미널접촉면(15)이 상기 터미널(20)의 결합부(22) 외면과 접촉되어 있어 상기 터미널(20)이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물론, 상기 결합부(22)의 외면이 상기 터미널접촉면(15)과 완전히 접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사이에 약간의 틈이 존재할 수는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터미널접촉면(15)은 상기 터미널(2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는 역할을 하게 되어 터미널(20)과 상대 터미널의 결합이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2)에 삽입되어 상기 랜스(14)에 걸어져 지지되는 터미널(20)을 하우징몸체(11)의 외부로 빼내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공구를 상기 입구(12')를 통해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2)의 내부로 집어 넣어 상기 랜스(14)를 탄성변형시키게 된다. 즉, 상기 랜스(14)의 터미널접촉면(15)과 터미널(20)의 결합부(22) 사이로 공구를 넣어 상기 랜스(14)와 터미널안착공간(12) 사이의 틈새로 상기 랜스(14)가 탄성변형되어 이동되게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랜스(14) 선단의 걸이턱(16)이 상기 터미널(20)에서 분리되면서 상기 터미널(20)을 하우징몸체(11)에서 빼낼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작업자는 상기 입구(12')쪽에서부터 상기 입구개구(14')를 통해 랜스(14)를 확인한 상태로 상기 랜스(14)를 따라 공구를 삽입할 수 있으므로, 보다 쉽고 정확하게 랜스(14)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터미널안착공간(12)에 두 개의 랜스(14)가 형성되어 있으나, 하나의 랜스(14)만이 있어도 상관없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랜스(14)가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2)의 내면과 완전히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약간의 경사는 있어도 상관없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랜스(14)가 상기 입구(12')측에서 시작해서 하우징몸체(11)의 후단을 향해 연장되어 있으나, 하우징몸체(11)의 후단쪽에서 랜스(14)가 시작되어 연장될 수도 있다.
10: 커넥터 하우징 11: 하우징몸체
12: 터미널안착공간 12': 입구
14: 랜스 15: 터미널접촉면
16: 걸이턱 18: 안내경사면
19: 걸이면 20: 터미널
22: 결합부 24: 바렐부
26: 와이어

Claims (6)

  1. 내부를 관통하여 터미널이 설치되는 터미널안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몸체와,
    상기 터미널안착공간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을 걸어지지하는 랜스를 포함하고,
    상기 랜스는 상기 터미널안착공간의 내면과 나란히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랜스의 자유단부에는 상기 랜스의 연장방향에 직교하게 걸이턱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커넥터 하우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랜스에는 상기 터미널의 외면과 접촉되는 터미널접촉면이 형성되는데, 상기 터미널접촉면은 상기 터미널안착공간의 대응되는 내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커넥터 하우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랜스는 상기 하우징몸체의 선단에 형성된 상기 터미널안착공간의 입구쪽에서 시작해서 상기 하우징몸체의 후단을 향해 연장되는 커넥터 하우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턱에는 상기 랜스의 자유단부 쪽에 안내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자유단부 반대쪽에 해당되는 부분에 상기 터미널의 일측에 걸어지는 걸이면이 형성되는 커넥터 하우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랜스는 상기 하우징몸체의 선단에 해당되는 상기 터미널안착공간의 입구에서 하우징몸체에 연결되어 상기 자유단부가 하우징몸체의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커넥터 하우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몸체의 선단에는 상기 터미널안착공간과 연결되게 입구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개구의 일측 내면은 상기 랜스의 기저부인 커넥터 하우징.
KR1020120108192A 2012-09-27 2012-09-27 커넥터 하우징 KR201400411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192A KR20140041167A (ko) 2012-09-27 2012-09-27 커넥터 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192A KR20140041167A (ko) 2012-09-27 2012-09-27 커넥터 하우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1167A true KR20140041167A (ko) 2014-04-04

Family

ID=50651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8192A KR20140041167A (ko) 2012-09-27 2012-09-27 커넥터 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11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80404A (zh) * 2017-12-22 2019-07-05 泰连公司 具有下压肋的插座连接器壳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19176U (ko) * 1988-02-08 1989-08-11
JPH06251821A (ja) * 1993-02-24 1994-09-09 Yazaki Corp コネクタの端子係止解除構造
JP2001176595A (ja) * 1999-12-15 2001-06-29 Yazaki Corp コネクタ
JP2001176594A (ja) * 1999-12-15 2001-06-29 Yazaki Corp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19176U (ko) * 1988-02-08 1989-08-11
JPH06251821A (ja) * 1993-02-24 1994-09-09 Yazaki Corp コネクタの端子係止解除構造
JP2001176595A (ja) * 1999-12-15 2001-06-29 Yazaki Corp コネクタ
JP2001176594A (ja) * 1999-12-15 2001-06-29 Yazaki Corp コネク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80404A (zh) * 2017-12-22 2019-07-05 泰连公司 具有下压肋的插座连接器壳体
CN109980404B (zh) * 2017-12-22 2022-06-07 泰连公司 具有下压肋的插座连接器壳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2556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locking claw
JP2008305598A (ja) 基板接続コネクタ
KR101648720B1 (ko) 커넥터 미결합 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조립체
KR200447848Y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120006307A (ko) 커넥터조립체
US20160123361A1 (en) Connector
KR101899841B1 (ko) 커넥터 조립체
KR20140041167A (ko) 커넥터 하우징
TWI535122B (zh) 電連接器
JP6814618B2 (ja) コンセントの速結端子
KR100988794B1 (ko) 커넥터
KR20140011817A (ko) 커넥터
KR20130022229A (ko) 커넥터조립체
KR100652199B1 (ko)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WO2017163798A1 (ja) コネクタ
KR101473485B1 (ko)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사용한 커넥터 조립체
JP5776468B2 (ja) コネクタ
JP2014137919A (ja) 端子半挿入検知構造
JP2013069537A (ja) コネクタ
JP5821831B2 (ja) コネクタ
KR20100070834A (ko) 커넥터어셈블리
KR200466960Y1 (ko) 커넥터
KR20100070892A (ko)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한 커넥터 어셈블리
JP6100117B2 (ja) コネクタ
KR200451019Y1 (ko)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