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9822A - 차량용 클러스터의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클러스터의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9822A
KR20140039822A KR1020120106551A KR20120106551A KR20140039822A KR 20140039822 A KR20140039822 A KR 20140039822A KR 1020120106551 A KR1020120106551 A KR 1020120106551A KR 20120106551 A KR20120106551 A KR 20120106551A KR 20140039822 A KR20140039822 A KR 20140039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ster
standby mode
vehicle
lighting
en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6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선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6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9822A/ko
Publication of KR20140039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98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1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러스터 대기모드의 활성화 여부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부; 상기 모드선택부로부터 상기 클러스터 대기모드의 활성화가 선택되면, 차량의 주행시간 및 이벤트의 발생 여부에 따라, 상기 클러스터 대기모드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클러스터 대기모드 진입 여부에 따라 상기 클러스터의 조명을 온오프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르면 클러스터의 대기모드 진입 여부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클러스터의 대기모드 진입 여부에 따라 클러스터 내 디스플레이의 조명이 온오프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차량용 클러스터의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클러스터의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LIGHT OF CLUSTER IN VEHICL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용 클러스터의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클러스터의 대기모드 진입 여부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클러스터의 대기모드 진입 여부에 따라 클러스터 내 디스플레이의 조명이 온오프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차량용 클러스터의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대쉬 보드(Dash Board)에는 차량의 주행 및 조작 상태와 조명 상태를 운전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 클러스터(cluster)가 구성된다.
이러한 클러스터는 자동차의 상태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장치로써, 클러스터에 구비되는 조명은 야간이나 주변 환경이 어두운 지역에서 운행하는 경우, 운전자가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접점을 미등이나 차폭등 등을 점등시키기 위한 스몰 접점으로 선택하거나 스몰 접점을 거쳐 전조등을 점등시키기 위한 접점을 선택하는 경우 점등된다.
이와 같이 클러스터의 조명이 점등됨에 따라 야간 운행시 차량의 상태 정보 및 운행 정보를 지시하는 각종 계기류, 예를 들어 현재의 차속 정보를 지시하는 스피드 미터(Speed Meter), 엔진 회전수 정보를 지시하는 RPM 게이지, 연료량을 지시하는 유량 게이지, 냉각수온의 온도 정보를 지시하는 수온 게이지, 주행거리를 지시하는 적산계 등에 백 라이트를 제공하여 운행 중에 검출되는 차량의 제반적인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밖에, 엔진의 기동시나 이상 발생시에만 표시되는 것으로서, 냉각수량이나, 브레이크액, 엔진오일, 변속기 오일, 와셔액 등의 유면을 나타내는 유면 지시계 등이 추가로 구비된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038260호 "차량용 클러스터의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2011.04.14)이 있다.
최근의 차량용 클러스터에는 엘씨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있어, USM(user setting mode)과 같은 차량의 각종 정보를 시각적으로 전달해줄 뿐만 아니라 음성으로도 제공해주어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이점이 있는 반면, 야간 운전시에는 항상 점등되어 있는 클러스터의 각종 조명으로 인해 안전 운행에 방해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클러스터 내 디스플레이의 활성화 여부를 선택하고, 디스플레이의 활성화가 선택된 경우 클러스터의 대기모드 진입 여부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클러스터의 대기모드 진입 여부에 따라 클러스터 내 디스플레이의 조명이 온오프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클러스터의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행이 시작되면 클러스터 대기모드로 전환시켜 클러스터 내 디스플레이의 조명을 오프시키고, 주행 도중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클러스터 대기모드를 해제하여 디스플레이의 조명을 온시키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클러스터의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클러스터의 조명 제어 장치는, 클러스터 대기모드의 활성화 여부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부; 상기 모드선택부로부터 상기 클러스터 대기모드의 활성화가 선택되면, 차량의 주행시간 및 이벤트의 발생 여부에 따라, 상기 클러스터 대기모드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클러스터 대기모드 진입 여부에 따라 상기 클러스터의 조명을 온오프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차량의 속도변화를 감지하는 차속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속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차량의 속도변화를 통해 상기 주행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주행시간이 설정시간을 경과하면 상기 클러스터 대기모드로 진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운전자로부터 입력되는 버튼에 해당하는 이벤트를 발생하는 키입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러스터 대기모드를 동작 중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클러스터 대기모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러스터 대기모드 진입 시 상기 클러스터의 조명을 오프시키고, 상기 클러스터 대기모드 해제 시 상기 클러스터의 조명을 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클러스터의 조명 제어 방법은, 제어부가 클러스터 대기모드가 활성화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클러스터 대기모드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 주행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주행시간이 설정시간을 경과하면 상기 클러스터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및 상기 클러스터 대기모드 동작 중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클러스터 대기모드를 해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클러스터 대기모드를 해제한 후, 주행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주행시간이 설정시간을 경과하면 상기 클러스터 대기모드로 재 진입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클러스터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는 상기 클러스터 대기모드 진입 시 상기 클러스터의 조명을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클러스터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는 상기 클러스터 대기모드 진입 시, 상기 클러스터 내 디스플레이부를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운전자로 하여금 클러스터 내 디스플레이의 활성화 여부를 직접 선택할 수 있어 운전자가 디스플레이의 활성화를 선택한 경우, 클러스터의 대기모드 진입 여부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클러스터의 대기모드 진입 여부에 따라 클러스터 내 디스플레이의 조명이 온오프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운전자 만족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행이 시작되면 클러스터 대기모드로 전환시켜 클러스터 내 디스플레이의 조명을 오프시키고, 주행 도중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클러스터 대기모드를 해제하여 디스플레이의 조명을 온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필요시에만 디스플레이의 조명이 점등되어 야간 운전시 시각적으로 방해가 되는 요인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클러스터의 조명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클러스터의 조명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클러스터의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클러스터의 조명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드선택부(10), 차속센서(20), 키입력부(30), 제어부(40) 및 디스플레이부(50)를 포함한다.
모드선택부(10)는 클러스터 대기모드의 활성화 여부를 선택한다.
즉, 운전자의 선택에 의해 클러스터 대기모드의 활성화 여부가 선택된다.
차속센서(20)는 차량의 속도변화를 감지한다.
이때, 차속센서(20)는 차량의 속도변화량을 감지하여 차량의 주행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차속센서(20) 대신 차량의 주행시간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키입력부(30)는 운전자로부터 입력되는 버튼(미도시)에 해당하는 이벤트를 발생한다.
이때, 키입력부(30)는 USM(User setting mode)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40)는 모드선택부(10)로부터 클러스터 대기모드의 활성화가 선택되면, 차속센서(20)로부터 입력되는 차량의 속도변화를 통해 차량의 주행시간을 측정하여 측정된 주행시간이 설정시간을 경과하면, 클러스터 대기모드 진입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설정시간은 운전자 설정에 의해 변경 가능한 값이다.
또한, 제어부(40)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클러스터 대기모드 진입 여부를 판단한다.
즉, 클러스터 대기모드를 동작 중 키입력부(30)로부터 이벤트가 발생하면, 클러스터 대기모드를 해제한다.
또한, 차량 내부에서 경고 팝업과 같은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클러스터 대기모드를 해제한다.
이러한 경고 이벤트는 차량ECU(60)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0)는 클러스터 대기모드 진입 여부에 따라 클러스터의 조명을 온오프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50)는 클러스터 대기모드 진입 시 클러스터의 조명을 오프시키고, 클러스터 대기모드 해제 시 클러스터의 조명을 온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클러스터의 조명 제어 장치에 따르면 운전자로 하여금 클러스터 내 디스플레이의 활성화 여부를 직접 선택할 수 있어 운전자가 디스플레이의 활성화를 선택한 경우, 클러스터의 대기모드 진입 여부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클러스터의 대기모드 진입 여부에 따라 클러스터 내 디스플레이의 조명을 온오프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운전자 만족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행이 시작되면 클러스터 대기모드로 전환시켜 클러스터 내 디스플레이의 조명을 오프시키고, 주행 도중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클러스터 대기모드를 해제하여 디스플레이의 조명을 온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필요시에만 디스플레이의 조명이 점등되어 야간 운전시 시각적으로 방해가 되는 요인을 해소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클러스터의 조명 제어 방법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로써,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40)가 클러스터 대기모드가 활성화 상태인지 판단한다(S10).
이때, 제어부(40)는 클러스터 대기모드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 클러스터 내 디스플레이부(50)를 온오프 제어한다.
판단결과, 클러스터 대기모드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 주행시간을 측정하여 주행시간이 설정시간을 경과하면 클러스터 대기모드로 진입하고, 클러스터의 조명을 오프시킨다(S20).
즉, 제어부(40)는 모드선택부(10)로부터 클러스터 대기모드의 활성화가 선택되면, 차속센서(20)로부터 입력되는 차량의 속도변화를 통해 차량의 주행시간을 측정하고, 측정된 주행시간이 설정시간을 경과하면, 차량을 클러스터 대기모드로 진입시키고, 클러스터의 조명을 오프시킨다.
이때, 설정시간은 운전자 설정에 의해 변경 가능한 값이다.
그러나, 클러스터 대기모드 동작 중 이벤트가 발생하면, 클러스터 대기모드를 해제하고, 클러스터의 조명을 온시킨다.(S40).
즉, 제어부(40)는 클러스터 대기모드로 동작 중 키입력부(30)로부터 이벤트가 발생하면, 클러스터 대기모드를 해제한다.
또한, 차량 내부에서 경고 팝업과 같은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클러스터 대기모드를 해제한다.
이때, 클러스터 대기모드를 해제한 후, 주행시간을 측정하여 주행시간이 설정시간을 경과하면 클러스터 대기모드로 재 진입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클러스터의 조명 제어 방법에 따르면 운전자로 하여금 클러스터 내 디스플레이의 활성화 여부를 직접 선택할 수 있어 운전자가 디스플레이의 활성화를 선택한 경우, 클러스터의 대기모드 진입 여부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클러스터의 대기모드 진입 여부에 따라 클러스터 내 디스플레이의 조명을 온오프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운전자 만족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행이 시작되면 클러스터 대기모드로 전환시켜 클러스터 내 디스플레이의 조명을 오프시키고, 주행 도중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클러스터 대기모드를 해제하여 디스플레이의 조명을 온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필요시에만 디스플레이의 조명이 점등되어 야간 운전시 시각적으로 방해가 되는 요인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모드선택부 20 : 차속센서
30 : 키입력부 40 : 제어부
50 : 디스플레이부 60 : 차량ECU

Claims (8)

  1. 클러스터 대기모드의 활성화 여부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부;
    상기 모드선택부로부터 상기 클러스터 대기모드의 활성화가 선택되면, 차량의 주행시간 및 이벤트의 발생 여부에 따라, 상기 클러스터 대기모드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클러스터 대기모드 진입 여부에 따라 상기 클러스터의 조명을 온오프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클러스터의 조명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속도변화를 감지하는 차속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속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차량의 속도변화를 통해 상기 주행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주행시간이 설정시간을 경과하면 상기 클러스터 대기모드로 진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클러스터의 조명 제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운전자로부터 입력되는 버튼에 해당하는 이벤트를 발생하는 키입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러스터 대기모드를 동작 중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클러스터 대기모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클러스터의 조명 제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러스터 대기모드 진입 시 상기 클러스터의 조명을 오프시키고, 상기 클러스터 대기모드 해제 시 상기 클러스터의 조명을 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클러스터의 조명 제어 장치.
  5. 제어부가 클러스터 대기모드가 활성화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클러스터 대기모드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 주행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주행시간이 설정시간을 경과하면 상기 클러스터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및
    상기 클러스터 대기모드 동작 중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클러스터 대기모드를 해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클러스터의 조명 제어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 대기모드를 해제한 후, 주행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주행시간이 설정시간을 경과하면 상기 클러스터 대기모드로 재 진입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클러스터의 조명 제어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는
    상기 클러스터 대기모드 진입 시 상기 클러스터의 조명을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클러스터의 조명 제어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는
    상기 클러스터 대기모드 진입 시, 상기 클러스터 내 디스플레이부를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클러스터의 조명 제어 방법.
KR1020120106551A 2012-09-25 2012-09-25 차량용 클러스터의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400398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551A KR20140039822A (ko) 2012-09-25 2012-09-25 차량용 클러스터의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551A KR20140039822A (ko) 2012-09-25 2012-09-25 차량용 클러스터의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822A true KR20140039822A (ko) 2014-04-02

Family

ID=50650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551A KR20140039822A (ko) 2012-09-25 2012-09-25 차량용 클러스터의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98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6602A (ko) * 2014-12-23 2016-07-0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계기판 조명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6602A (ko) * 2014-12-23 2016-07-0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계기판 조명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55162B (zh) 一种电子换档装置
JP2014058300A (ja) 車両乗務員室の表示システムとその制御方法
KR20160047603A (ko) 턴 시그널 제어 장치
JP2018151911A5 (ko)
US8904855B2 (en) Device and method for oil pressure sensor fault sensing for vehicle
KR101398828B1 (ko) 차륜 속도 센서의 감시 장치 및 방법
JP2014238127A (ja) 車両用変速機のシフト制御装置
KR20140039822A (ko) 차량용 클러스터의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10138760A (ko) 차량의 속도표시용 무드램프 장치와 속도표시 방법
JP4513976B2 (ja) 車両の点検整備時期警報装置
JP2016130104A (ja) 車両用計器
JP2009008416A (ja) 車両の燃料残量表示装置
JP6281415B2 (ja) シフトレンジ制御装置
JP5985365B2 (ja) 表示装置
JP2015085752A (ja) 車両用計器
JP4450836B2 (ja) 車両用表示装置の自己診断装置
KR101626410B1 (ko) 차량의 클러스터 조명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305351B1 (ko) 차량용 클러스터의 조명 제어 방법
JP2979029B2 (ja) エンジンオイルレベル検出装置
JP3945321B2 (ja) 車両用メータクラスタ
US6573829B2 (en) Oil proper amount informing apparatus for engine
JP2004212139A (ja) 車両のフューエルメータ制御装置
JPH05332120A (ja) エンジンオイルレベル表示制御装置
JP2011116213A (ja) 車両用表示装置
JP2004322801A (ja) 車両用表示装置の自己診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