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8421A - 도포구 - Google Patents

도포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8421A
KR20140038421A KR1020137030818A KR20137030818A KR20140038421A KR 20140038421 A KR20140038421 A KR 20140038421A KR 1020137030818 A KR1020137030818 A KR 1020137030818A KR 20137030818 A KR20137030818 A KR 20137030818A KR 20140038421 A KR20140038421 A KR 20140038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or
liquid
diameter
coating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0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야 우에하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엔피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엔피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엔피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38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84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1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with manually mechan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piston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5Piston or plunger for supplying the liquid to the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72Eyel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아이라인, 아이쉐도우 등 눈매 주위의 화장료 도포구에 바람직한 도포구에 있어서, 입경의 큰 라메이 등의 광휘성 재료의 토출을 가능하게 하는 화장료 등에 바람직한 도포구를 제공한다. 이 도포구로서는, 예를 들면, 내용액을 도포부(30)에 압출하는 압출장치를 구비한 것으로서, 상기 도포부(30)의 내용액 토출부(32)의 형상을 타원 모양 또는 방형 형상으로 하고, 각각 토출부 측의 단경 치수를 0.5 ~ 2㎜, 장경 치수를 2 ~ 8㎜로 한다. 이 도포구에서는, 도포부 내경을 확장함으로써 큰 입자 지름을 토출 할 수 있고, 또한 타원 모양으로 함으로써 단경 방향에서는 세선을, 장경 방향에서는 태선을 그릴 수 있게 된다. 또 도포구 선단에 세경 돌기(36)를 부착한 것에 의해 묘선을 당겨 늘일 수 있음과 아울러 돌기(36) 내에 저장한 액체 화장료의 유지를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도포구 {APPLICATOR}
본 발명은 필기구용 잉크나 액체 화장료 등의 화장품, 문구, 일상생활품 등에 사용되는 도포구(塗布具)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도포구로서, 붓(brush), 펜심(pen core), 수지성형품으로 구성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들 도포구에 있어서, 액체의 토출(吐出)기구로서는, 본체의 액저장부로부터 기계적(두드리거나 찌름)으로 송출된 액이 액저장부와 연통한 파이프를 통과하고, 파이프와 연통한 도포부로 이송되어, 액이 토출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 붓 타입의 도포구에서는, 테이퍼(taper) 모양(원추)으로 제조된 형상을 가지고, 복수 묶은 섬유로 필기, 도포를 행하지만, 붓끝 동작의 유연함이 특징이다.
그렇지만, 붓 타입의 도포구에서는, 섬유의 응집체(凝集體)이고, 복수로 이루어지는 섬유의 덩어리이기도 하기 때문에, 특히, 입경(粒徑)의 큰 라메이(lame) 등의 입자는 토출 도중에 섬유와의 마찰에 의해 섬유 사이에 막히기 시작하여, 때에 따라 토출 불량을 일으키기도 한다. 또, 붓 타입에서는, 가공 도중에 액유로 확보를 위해서 대략 중심부에 구멍을 뚫지만, 그 공간에 라메이 등이 응집하기 쉬웠다. 또한, 액의 조출(繰出, 내보냄)력에 대해, 관내 저항이 크고, 막힘의 원인이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선단을 브러쉬 모양으로 형성하고, 액통로를 확보한 도포부를 가지는 도포구가 많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1) 눈썹 등의 염모(染毛)시에, 눈썹에 간편하고 또한 균일하게, 게다가, 피부를 더럽히지 않고 액상 화장료를 도포할 수 있는 액상 화장료 도포구를 제공하기 위해서, 액상 화장료가 수용되는 도포구 본체의 선단에 적어도 2 이상의 즐치부(櫛齒部, comb tooth part)를 가지는 도포체를 구비하는 액상 화장료 도포구로서, 상기 즐치부는, 즐치부와 즐치부와의 간격이 되는 즐치 피치(pitch)(P)가 0.2 ~ 1.0㎜이고, 또한, 즐치부의 깊이(L)가 상기 즐치 피치(P)의 2 ~ 8배이며, 도포체의 토출구 형상이 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화장료 도포구(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2) 모발 화장료의 토출량을 균일하게 유지하면서, 불균일(unevenness) 없이 도포할 수 있는 모발 화장료 도포구를 제공하기 위해서, 모발 화장료 도포구는 내부에 모발 화장료를 수용하는 용기본체와, 그 용기본체에 끼워맞춰진 덮개로 구성되고, 덮개에는 선단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벽체와, 이 벽체의 양단부를 접속하는 한 쌍의 측벽체로 이루어지는 노즐체가 마련됨과 아울러, 상기 벽체 중 적어도 하나의 선단부에 복수의 즐치를 배치하고, 상기 용기본체 내에 수용된 모발 화장료는 노즐체 내에 뚫린 연통로를 통하여 노즐체에 형성된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도록 구성한 모발 화장료 도포구(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3) 가늘고 긴 형상의 액체 토출구를 가지는 마스카라(mascara) 등의 액체를 도포하기 위한 액체 도포구에 있어서, 그 액체 토출구의 각 부위로부터 액체를 대략 균일하게 토출시켜, 도포했을 경우에 농담(濃淡)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액체 유도로의 선방(先方, downstream)에 액체유로의 가로 폭을 확대하는 액체 분산로를 통하여 가늘고 긴 액체 토출구를 마련한 액체 도포구에 있어서, 액체 분산로의 형상을 액체 토출구의 중심 위치에서의 도포면에 수직인 법선(法線)을 중심선으로 하여 좌우 대략 대칭형을 이루고, 액체 토출구의 양측에 브러쉬를 돌출하여 마련한 액체 도포구(예를 들면, 특허문헌 3 참조)가 알려져 있다.
또, 4) 내부의 충전영역에 충전된 액상 충전물을 선단 측을 향하여 압출(押出) 가능하게 구성된 용기본체의 그 선단부에 대해서 장착되고, 상기 충전영역에 연통해 축선을 따라서 선단 측으로 연장하는 구멍부를 구비하는 코어부재와, 연질 탄성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어부재의 선단 측을 덮도록 축선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선단면에 개구된 토출구를 가지는 도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코어부재의 선단 측과 상기 도포부재와의 사이에는 내부공간이 구획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도포부재에는 상기 토출구와 상기 내부공간을 연통하는 토출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코어부재는 그 선단으로부터 상기 도포부재의 상기 토출구멍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와 연통시키는 연통구멍을 가지며, 상기 코어부재의 상기 돌출부는, 그 외면이, 상기 액상 충전물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토출구멍에 근접 또는 맞닿고, 브러쉬 기능을 가지는 다수의 돌기군(群)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예를 들면, 특허문헌 4 참조), 5) 전단에 도포부재와 그 후방에 마스카라 등의 유동성을 가지는 화장료를 수용한 화장료 용기가 마련되고, 또한 화장료의 후방에 펌핑(pumping)식의 가압기구가 마련되어 이루어지는 화장료 도포구로서, 당해 화장료 도포구는 축심에 화장료를 도통(導通)하는 구멍과 축외면의 소요 위치에 상기 구멍과 연통하는 토출구와 그 토출구의 근방에 도포용 브러쉬 또는 즐치상의 돌편(突片)이 마련되어 이루어지는 도포부재와, 도포부재와 토출구와의 사이에는 다공질(多孔質) 모양으로 미세한 연속통로를 가지고 상시에는 봉지(封止) 상태가 된 연속통로를 가지는 탄성체를 가지는 화장료 도포구(예를 들면, 특허문헌 5 참조)가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상기 특허문헌 1, 3 및 5는 눈썹 등의 염모용의 도포구이며, 상기 특허문헌 2 및 4는 모발용의 화장료 도포구로서, 이들 도포구에 의해서는 아이라인(eyeline) 등의 가는 선을 그릴 수 없고, 또, 큰 입자를 포함한 도포액을 도포하는 경우, 도포관 내에서의 막힘 등의 어느 과제가 있다. 또, 상기 특허문헌 3의 도포구에서는, 사행(蛇行, zigzag)의 액체 유도로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도로에서 큰 입자를 포함한 도포액이 효율 좋게 유통하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상기 특허문헌 5에서는, 코어부재가 있으므로 유로가 저해되어 막힘을 일으켜 버리는 등의 과제가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2004-154173호 공보(특허 청구의 범위, 도 1 등) 특허문헌 2 : 일본국 특개2001-145514호 공보(특허 청구의 범위, 도 11, 도 8 등) 특허문헌 3 : 일본국 실개평6-60471호 공보(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 도 1, 도 2 등) 특허문헌 4 : 일본국 특개2005-87562호 공보(특허 청구의 범위, 도 1, 도 2, 도 16 등) 특허문헌 5 : 일본국 특개2005-118367호 공보(특허 청구의 범위, 도 1 등)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과제 및 현상을 감안하여, 이것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으로, 큰 입자를 포함한 도포액을 도포하는 경우에도, 아이라인 등의 가는 선을 그릴 수 있고, 또, 도포관 내에서의 막힘이 없으며, 사용자가 만족할 수 있는 도포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종래의 과제 등에 대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내(內)용액을 토출 또는 도포하는 기구를 구비한 도포부와, 내용액이 충전되어 있는 저장체와, 내용액을 도포부로 압출하는 기구를 구비한 압출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도포부와 저장체에는 연통된 유로가 마련되며, 상기 저장체 내의 내용액을 압출장치에 의해 압출함으로써 내용액은 도포부와 저장부에 연통된 유로를 지나 도포부로부터 토출되는 도포구로서, 상기 도포부에서의 내용액 토출부의 형상을, 특정 형상, 구조 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상기 목적의 도포구를 얻어지는 것을 찾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던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다음의 (1) ~ (5)에 있다.
(1) 내용액을 토출 또는 도포하는 기구를 구비한 도포부와, 내용액이 충전되어 있는 저장체와, 내용액을 도포부로 압출하는 기구를 구비한 압출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도포부와 저장체에는 연통된 유로가 마련되며, 상기 저장체 내의 내용액을 압출장치로부터 압출함으로써 내용액은 도포부와 저장부에 연통된 유로를 지나 도포부로부터 토출되는 도포구로서,
상기 도포부의 내용액 토출부의 형상이, 타원 모양 또는 방형(方形) 형상이고, 각각 토출부 측의 단경(短徑, 짧은 지름) 치수가 0.5 ~ 2㎜, 장경(長徑, 긴 지름) 치수가 2 ~ 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
(2) 상기 도포부의 토출부 측에, 복수의 세경(細徑, 가는 지름) 돌기가 마련되고, 이 세경 돌기의 외경은 0. 1 ~ 1㎜, 길이는 0.5 ~ 3㎜, 세경 돌기의 간격은 0. 1 ~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기재의 도포구.
(3) 상기 도포부의 토출부 측에 마련되는 세경 돌기의 선단은, 0.001 ~ 0.5N의 수직방향의 힘에 의해, 1㎜ 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 기재의 도포구.
(4) 상기 도포부가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연질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도포구.
(5) 상기 내용액은 EMD형 점도계에서의 전단(剪斷, shear) 속도 76.8S-1의 점도(25℃)가 250 ~ 1000mPa·s의 범위가 되는 액체 화장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 (4)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도포구.
본 발명에 의하면, 큰 입자를 포함한 화장료 등의 내용액을 도포하는 경우에도, 토출부에 마련한 세경 돌기에 의해 단경 방향으로의 도포에서는 세선(細線, 가는 선)을, 장경 방향의 도포에서는 태선(太線, 굵은 선)을 그릴 수 있을 수 있어, 사용자가 만족할 수 있는 도포구가 제공된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더욱 사용자가 만족할 수 있는 도포구가 얻어진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토출부에 마련한 세경 돌기에, 적당한 휨성을 가지게 함으로써, 피부로의 접촉도 바람직한 도포력에 의해 그릴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아픔을 느끼지 않고 도포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도포부 전체를 지나, 화장 동작에 최적인 강성(rigidity)이 얻어지는 도포구가 된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도포부 선단에 마련한 세경 돌기 내에, 액체 화장료 등의 내용액을 바람직하게 유지할 수 있어, 더욱 만족할 수 있는 도포가 얻어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구의 전체 단면의 설명도로서, (a)는 평면에서 본 단면도, (b)는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도포구에서의 도포부의 설명도로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정면에서 본 단면도, (d)는 평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도포구에서의 도포부의 설명도로서, (a)는 좌측면도, (b)는 우측면도, (c)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구에서의 도포부의 설명도로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정면에서 본 단면도, (d)는 평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도포부의 설명도로서, (a)는 좌측면도, (b)는 우측면도, (c)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구에서의 도포부의 설명도로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정면에서 본 단면도, (d)는 평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도포부의 설명도로서, (a)는 좌측면도, (b)는 우측면도, (c)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구에서의 도포부의 설명도로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정면에서 본 단면도, (d)는 평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도포부의 설명도로서, (a)는 좌측면도, (b)는 우측면도, (c)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구에서의 도포부의 설명도로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정면에서 본 단면도, (d)는 평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도포부의 설명도로서, (a)는 좌측면도, (b)는 우측면도, (c)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관한 도포구에서의 도포부의 토출부의 다른 형상을 설명하는 설명도로서, (a) ~ (f)는 각각 토출부를 평면에서 본 형태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관한 도포구에서의 도포부의 토출부의 다른 형상을 설명하는 설명도로서, (a) ~ (f)는 각각 토출부를 단면 형태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도포구의 액가압기구가 되는 압출장치를 다른 실시형태로 했을 경우의 도포구의 전체 단면의 설명도로서, (a)는 평면에서 본 단면도, (b)는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구는 액가압기구가 되는 압출장치가 회전식 조출 타입이 되는 도포구이며,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용액(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체 화장료」, 이하 동일)을 토출 또는 도포하는 기구를 구비한 도포부(30)와, 내용액이 충전되어 있는 저장부(11)와, 내용액을 도포부(30)로 압출하는 기구를 구비한 압출장치(10)를 구비하고, 상기 도포부(30)와 저장부(11)에는 연통된 유로(20)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저장부(11) 내의 내용액을 압출장치(10)로부터 압출함으로써 내용액은 도포부(30)와 저장부(11)에 연통된 유로(20)를 지나 도포부(30)로부터 토출되는 것이다.
압출장치(10)는 축본체(12) 후단부에 배치된 조출(繰出, 내모냄)부재(13)를 축본체(12)에 대해서 둘레방향으로 상대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용기(저장부)(11) 내의 내용액을 내보내는 것에 의해 도포부(30)에 공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도포구의 압출장치(10)는 축본체(12)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맞춰진 조출부재(13)와, 사용자에 의한 조출부재(13)의 회전력을 나사봉(14)에 전하는 구동통(15)과, 축본체(12)에 고정하여 나사봉(14)이 나합(螺合, 나사맞춤)되는 나사체(16)와, 선단에 피스톤체(17)가 회전 가능하게 맞물린 나사봉(14)과, 축본체(12)의 저장부(11) 내를 슬라이딩하는 피스톤체(17)를 가진다. 상기 구동통(15)을 통하여 조출부재(13)의 회전을 나사봉(14)에 전달하고, 이 나사봉(14)의 회전에 의해서 너트 모양의 나사체(16)의 암나사를 통하여 이 나사봉(14) 및 피스톤체(17)가 전진하여 저장부(11) 내로부터 상기 내용액을 도포부(30)로 내보내는 구조로 되어 있다.
조출부재(13)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단에 천관(天冠, crown)(13a)이 끼워 넣어지는 것에 의해서 닫혀진 통 모양을 나타내는 조작부가 축본체(12) 후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 넣어지고 또한 노출하고 있는 것이다. 구동통(15)이 조출부재(13) 내에 끼워 넣어져 회전방향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이 구동통(15) 내에 회전방향 고정 또한 축방향으로의 상대이동 가능(나사체는 움직이지 않음)하게 나사체(16)가 장착되어 있다. 13b는 스프링 부재이며, 회전체가 되는 조출부재(13)를 후방으로 가압하는 것이다(도 1의 화살표 10 아래에 있는 캠체로 불리는 것을 전방(前方)가압하는 것임).
이 도포구에서, 축본체(12)의 전단부(12a)에는 이음부재(18), 선축(先軸)(19), 도포부(30)가 끼워맞춤에 의해 장착된다. 축본체(12)의 저장부(11)에는 내용액이 수용되고, 그 저장부(11)로부터 내보내진 내용액은 이음부재(18) 내에 마련되는 대략 직관 모양의 유로(20)를 지나 도포부(30)로 토출되어 도포 가능하게 된다. 또, 사용 후에 캡(40)을 도포부(30) 및 선축(19)을 덮도록 선축(19)에 장착(감착(嵌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도포구에서의 도포부(3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체 형상이 후방으로부터 전방에 걸쳐서 축경(縮徑, 지름이 줄어드는) 모양으로 되는 것이며, 도포부 본체(31)의 전방 측에 내용액 토출부(32)와, 후방 측에 플랜지부(33)를 가지고 있다.
도포부 본체(31)는, 단면으로 본 형태에서 타원 모양으로 되어 있고, 내부에는 유로(20)에 연통하는 액유통로(34)가 마련되어 있다. 이 액유통로(34)는 전방에 걸쳐 축경하는 축경유로(35a)와, 단면에서 보아 동일 면적이 되는 관상(管狀)유로(35b)로 구성되어 있다.
도포부 본체(31)의 선단 개구 측이 되는 내용액 토출부(32)는 양호한 토출성 및 도포성을 발휘하게 한다는 관점에서, 그 토출구 형상이 타원 모양이며, 후방 측의 플랜지부(33)만 외형 형상이 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토출부(32)의 개구부가 되는 토출구를 타원 모양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방형 형상으로 하는 것은, 굵고 가는 모양의 도포 라인과 다른 선을 도포할 수 있는 것으로 하는 것이며,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경 치수(a)를 0.5 ~ 2㎜, 장경 치수(b)를 2 ~ 8㎜로 설정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경 치수(a)를 0.8 ~ 1.0㎜, 또한, 장경 치수(b)를 3 ~ 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경 치수(a)와 장경 치수(b)가 일치하지 않는 것(a = b가 아닌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원 형상, 정방형(正方形) 형상이 아닌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단경 치수(a), 장경 치수(b)를 규정하는 것으로부터, 방형 형상에서는 사각형 형상 이상이 되는 것이다.
또, 상기 토출부(32) 측의 토출구 둘레면에는 복수의 세경 돌기(36, 36 …)가 마련되고, 이 각 세경 돌기(36)의 크기는 도포 대상, 사용성, 내용액 종류 등에 의해 변동하는 것이지만, 입경의 큰 입자(라메이) 등의 토출성, 양호한 도포 라인을 그린다는 관점에서, 외경을 0. 1 ~ 1㎜, 길이를 0.5 ~ 3㎜, 세경 돌기의 간격을 0. 1 ~ 1.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외경을 0.3 ~ 0.5㎜, 길이를 0.5 ~ 1.0㎜, 세경 돌기의 간격을 0.2 ~ 0.4㎜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16개의 세경 돌기(36)가 마련되어 있다.
또, 상기 도포부(30)의 토출부(31) 측에 마련되는 세경 돌기(36)의 선단은 0.001 ~ 0.5N의 수직방향의 힘에 의해, 1㎜ 휘는 것으로 하는 것 바람직하다. 이 도포구의 세경 돌기의 선단을 0.001 ~ 0.5N의 수직방향의 힘에 의해, 1㎜ 휘는 것을 요건으로 하지만, 그 측정방법(후술하는 실시예를 포함함)은 토대(土臺)에 도포구와 포스 게이지(force guage)(이마다 제작소(IMADA-SS Corporation) LV500N)를 장착하고, 도포부 선단의 접촉으로부터 1㎜ 휘게 한 위치에서의 하중을 측정한 것이다.
이 토출부(32)에 마련한 세경 돌기(36)에 상기 요건이 되는 적당한 휨성을 가지게 할 수 있으므로, 피부로의 접촉도 바람직한 도포력으로 그릴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아픔을 느끼지 않고 도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도포부(30)는 고무, 플라스틱 또는 엘라스토머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일체 성형할 수 있고, 도포부 전체를 지나, 화장 동작에 최적인 강성을 부여한다는 관점에서, 예를 들면, NBR, 실리콘 고무, EPDM, 플루오로 실리콘 고무, 불소 고무, 우레탄 고무, 천연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부타디엔 고무, 부틸 고무, 실리콘 고무 등의 고무, 또는, 스틸렌계 엘라스토머, 염화 비닐계 엘라스토머,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텔계 엘라스토머, 폴리아미드계 엘라스토머, 우레탄계 엘라스토머, 실리콘계 엘라스토머 등의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연질 플라스틱 재료로 일체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더욱 화장 동작에 최적인 강성을 준다는 관점에서, 스틸렌계 엘라스토머로 일체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의 도포부(30)는 선축(19) 내에 끼워 넣어지고, 후방의 플랜지부(33)가 선축(19)의 후방 계단부(19a)와 이음부재(18)의 선단부(18a)에 끼워져 고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도포구의 저장부(11) 내에 수용하는 내용액으로서는, 도포구의 형태에 의해 각 종의 내용액을 이용할 수 있고, 액체 화장료의 외에, 필기구용의 잉크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그 조성 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색재(色材)의 침강(沈降)이나, 양호한 도포 성능을 발휘하게 한다는 관점에서, EMD형 점도계에서의 전단 속도 76.8S-1의 점도(25℃)가 250 ~ 1000mPa·s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280 ~ 900mPa·s가 되는 액체 화장료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고휘성(高輝性, high brightness) 입자 1 ~ 20 질량%로 피막 형성성 수지 2 ~ 10중량%와, 증점(增粘, thickening) 작용을 가지는 음이온성(anionic) 고분자 화합물 0.3 ~ 2 질량%와, 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액체 화장료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용하는 고휘성 입자는 화장품에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느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운모 티탄, 금속 피복 운모 티탄, 금속 피복 유리분말, 금속 산화물 피복 유리분말, 금속 산화물 피복 합성금 운모, 어린박(漁鱗箔, argentine), 옥시 염화 비스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알루미늄·엑폭시 적층분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폴리올레핀 적층 필름분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폴리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적층 필름분말 등의 적어도 1종을 이용할 수 있다.
이용하는 고휘성 입자의 입자 지름은 50 ~ 500㎛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 300㎛이다. 또한, 본 발명(실시예 등을 포함함)에서의 「입자 지름」은 현미경에 의해 관찰하고, n = 20 이상의 임의의 부분의 측정결과의 평균 입자 지름에 근거한 값이다.
이들 고휘성 입자의 함유량은 액체 화장료 전량에 대해서 1 ~ 20 질량%(이하, 단지 「%」이라고 함)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10%이다.
또한, 상기 고휘성 입자의 외에, 그 외의 색재, 예를 들면, 흑산화철, 황산화철, 산화 크로늄, 군청(群靑), 감청(紺靑), 산화 아연, 산화 알루미늄, 이산화 규소, 산화 티탄, 산화 마그네슘, 수산화 크롬,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티탄 옐로우, 적산화철 등의 무기안료, 유기안료, 혹은 여러 가지의 염료나 카본 블랙의 적어도 1종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이용하는 증점 작용을 가지는 음이온성 고분자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 비닐 에테르/말레인산) 크로스 폴리머, 〔아크리레이트/아크릴산 알킬(탄소수 10 ~ 30)〕크로스 폴리머, (아크릴산/비닐 피롤리돈) 크로스 폴리머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시판품으로서는, 「스타빌레제(STABILEZE)」시리즈(아이에스피·재팬사(ISP(Japan) Ltd.)제), 「카보폴(Carbopol)」시리즈(B.F.굿 리치사(BF Goodrich Co.)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증점 작용을 가지는 음이온성 고분자 화합물의 함유량은 액체 화장료 전량에 대해서, 0.3 ~ 2%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 1%이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피막 형성성 수지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또는 그들(탄소수 1 ~ 4 및 탄소수 8)의 알킬 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을 원료 모노머로 하는 단독 집합체 혹은 공중합체(共重合體)가 이용된다. 바람직하게는, 그 단독 집합체 혹은 공중합체는, 그 반복 구조 중, 측쇄(側鎖)로서 산성잔기(酸性殘基)를 가지는 것으로서, 중화에 의해서 물에 용해할 수 있는 아크릴 수지, 아크릴산 알킬 공중합체가 좋다. 시판품에서는, Luvimer 100P(BASF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피막 형성성 수지의 함유량은, 액체 화장료 전량에 대해서, 2 ~ 10%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6%이다.
또한, 이용하는 액체 화장료에는, 수계 액체 메이크업 화장료에 통상 사용되는 킬레이트제(chelating agent), pH조정제, 보습제, 증점제, 방부제 등을 함유할 수 있고, 잔부는 정제수, 이온 교환수 등의 물로 조제된다.
더욱 바람직한 점도 범위로서, 전단 속도 3.83s-1에서 2500 ~ 10000mPa·s, 19.20s-1에서 1000 ~ 3000mPa·s, 38.30s-1에서 500 ~ 1500mPa·s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도 범위의 조정은, 이용하는 고휘성 입자, 피막 형성성 수지, 증점 작용을 가지는 음이온성 고분자 화합물, 물의 각 함유량을 바람직하게 조합하거나 또, 증점제 등을 함유하여 바람직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형태의 도포구는, 압출장치(10)에 의해 저장부(11) 내로부터 압출된 내용액은 이음부재(18) 내부의 유로(20)를 통과하고, 도포부(30)의 액유통로(34)로 진입하며, 도포부(30)의 토출부(32)의 개구부로부터 토출되게 된다. 그 후, 내용액은 모세관력의 작용에 의해, 세경 돌기(36) 사이의 틈새에 유지 되게 되고, 세경 돌기(36)의 선단을 피도포면에 도포함으로써 도포가 가능하게 된다. 이 형태에서는, 도포부의 내경을 확장함으로써 큰 입자 지름을 토출시킬 수 있으며, 개구부를 타원 형상으로 함으로써 단경 방향에서는 세선을, 장경 방향에서는 태선을 그리고, 또, 도포부 선단에 세경 돌기를 마련한 것에 의해, 묘선을 당겨 늘림과 아울러 돌기 내에 저장한 액체의 유지를 가능하게 되어, 이 세경 돌기에 의해 단경 방향에서의 도포에서는 세선을, 장경 방향의 도포에서는 태선을 그릴 수 있어, 사용자가 만족할 수 있는 도포 라인을 그릴 수 있게 된다.
또, 세경 돌기(36)의 외경, 길이, 간격, 개수를 적절히 조정하는 것에 의해, 유지하는 내용액량, 도포 거리, 도포량 및 그 도포폭 등을 바람직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수용부가 되는 저장부(11)로부터 토출구 선단까지 대략 직관 모양 또한 직선 모양으로 함으로써, 내용액에 발생하는 저항은 내경의 관내 저항만이 되고, 붓 타입과 같은 섬유에 의한 저항이 없기 때문에, 막힘에 대해서 유효하며, 예를 들면, 입자 지름 700㎛의 라메이 등의 고휘성 입자라도 양호한 토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포구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본 발명의 도포구는, 도포부(30)의 형상, 구조 등에 특징을 가지는 것이므로,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적절히 다른 형태를 채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토출부(32)에 마련한 세경 돌기(36)를 똑바른 방향으로 세워 마련했지만, 도 4 ~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경 돌기(36)의 세우는 방향을 여러 가지의 기울기 등으로 하여, 도포 성능, 도포 라인을 여러 가지의 베리에이션이 되는 것으로 해도 되는 것이다. 또한, 도 4 이하에 있어서, 도 1 ~ 도 3 중과 동일한 구성인 것은 동일 부호를 나타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4 및 도 5는 제2 실시형태의 도포부이며, 제1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도포부(30)의 세경 돌기가 축중심 측으로 경사져 있는 세경 돌기(36a)가 되는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제3 실시형태의 실시형태의 도포부이며, 제1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도포부의 세경 돌기가 일정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세경 돌기(36b)가 되는 것이다.
도 8 및 9는 제4 실시형태의 도포부이며, 제1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도포부의 세경 돌기를 보다 축중심 측으로 경사시킨 세경 돌기(36c)가 되는 것이다.
도 10 및 도 11은 제5 실시형태의 도포부이며, 제1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도포부의 세경 돌기의 지름을 가늘게 한 세경 돌기(36d)가 되는 것이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토출부(32)의 개구부의 형상을 타원 형상으로 했지만, 도 12의 (a) ~ (f) 및 도 13의 (a) ~ (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름모형 형상, 장방형의 각부(角部)를 모따기한 형상, 변형 육각형 모양, 트랙(track) 형상, 장방형 형상, 편평형(扁平形) 타원 형상으로 할 수 있으며, 각각의 개구부 둘레면상에 상기 각 실시형태가 되는 세경 돌기(36, 36a ~ 36d)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포구로서 리퀴드 아이라이너(liquid eyeliner) 및 리퀴드 아이쉐도우(liquid eye shadow)의 도포구를 예로 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눈썹에 라인을 그리는 눈썹 도포구, 피부, 입술에 라인을 그리는 것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 외에, 도포액을 필기구용 잉크로 하고, 가는 라인을 그릴 수 있는 필기구로 해도 되는 것이다.
더욱이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도포구의 액가압기구가 되는 압출장치로서, 도 1에 나타내는, 회전식 조출 타입이 되는 도포구를 이용했지만,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내는, 노크식 조출 타입이 되는 도포구를 이용해도 되는 것이다.
도 14는 노크식 조출 타입의 도포구의 설명도이다. 또한, 도 14 중, 상기 도 1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개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에 관한 노크식 조출 타입의 도포구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본체(12) 후단부에 배치된 노크 부재(50)를 축방향 전방으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저장부(11) 내의 내용액을 내보낼 수 있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노크 조작에 의한 노크 부재(50)의 가압력을 캠 기구에 의해 회전력으로 변환하는 노크 기구부(60)와, 축본체(12)에 고정한 나사체(61)와, 나사체(61)에 나합시킨 나사봉(62)을 가지고, 그 노크 기구부(60)가 변환한 회전력으로 나사봉(62)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나사체(61)를 통하여 이 나사봉(62)을 전진시켜 상기 도포액을 내보내는 것이다. 또, 노크 부재(50)의 가압력을 회전력으로 변환하는 노크 기구부(60)는 제1 및 제2 캠면을 가지는 회전체(63)와, 제1 고정 캠면을 가지는 나사체(61), 제2 고정 캠면을 가지는 캠체(65)를 주된 구성요소로 하는 것이다.
이 노크식 조출 타입의 도포구는 노크 부재(50)를 축선방향으로 가압하여 노크를 개시하면, 노크 부재(50)와 회전체(63)는 스프링 부재(64)를 압축시키면서 일체적으로 전방으로 이동을 개시하고, 또한 노크를 계속하면, 회전체(63)가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 때, 회전체(63)는 노크 부재(5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노크 부재(50) 자체는 회전하지 않는다. 이 노크시의 회전체(63)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체(63)와 회전방향으로 규제되고 축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한 나사봉(62)이 회전체(63)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나사봉(62)은 나사체(61)와 나합하고 있는 것에 의해 피스톤체(66)와 함께 전진해 저장체(11)의 내용액을 내보내게 된다. 이 상태로부터 노크를 해제한다. 나사체(61) 내부에 배치된 스프링 부재(64)가 회전체(63)를 밀어올림으로써 노크를 해제해 가지만, 이 때, 회전체(63)는 소정 회전방향으로 회전 및 후방으로 이동을 개시한다. 또한 노크 해제를 계속하면, 스프링 부재(64)가 밀어올리는 힘에 의해 회전체(63)도 회전하면서 후퇴한다. 이 회전시도 상기와 같이 나사봉(62)을 회전시켜 피스톤체(66)와 함께 전진하여, 도포액을 내보내게 된다. 상기의 노크 동작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축선방향의 노크 동작 및 해제 동작이 회전력으로 변환되어, 나사봉(62)을 회전시키며, 피스톤체(66)를 압출함으로써 내용액을 정량적으로 내보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하기 도 1 ~ 도 3에 준거(準據)하여, 하기 크기 등이 되는 도포부를 이용하여, 도 1에 준거하는 도포구를 제작했다.
(도포부의 구성)
단경 치수(a) : 0.8㎜, 장경 치수(b) : 3.2㎜, 토출부 부근의 두께 : 0.3mm.
또 토출구에 마련한 세경 돌기(개수 8)는 외경이 φ0.3㎜, 길이는 1㎜, 서로의 간격은 0.4㎜, 세경 돌기를 제외한 도포부의 길이 13.5mm. 세경 돌기는 1㎜ 휘게 한 위치에서의 하중은 0.01N이었다. 이 도포부는 스틸렌계 엘라스토머(리켄 테크노스사(RIKEN TECHNOS CORP.)제, 상품명 「아크티마(ACTYMER)」)를 이용하여 일체 성형했다.
내용액으로서, 별지 표 1의 조성예 1 ~ 7의 각 액체 화장료 1.4ml를 도포구에 충전했다.
Figure pct00001
얻어진 각 도포구를 이용하여, 조출 조작에 의해, 내용액이 되는 액체 화장료를 압출한 바, 액체 화장료(각 조성예 1 ~ 7)는 홈으로부터 토출하고, 모세관력에 의해 세경 돌기 사이에 유지되며, 이 선단을 피도포면이 되는 눈 부분에 도포한 바, 큰 입자를 포함한 화장료 등의 내용액을 도포하는 경우에도, 토출부에 마련한 세경 돌기에 의해 단경 방향으로의 도포에서는 세선을, 장경 방향의 도포에서는 태선을 그릴 수 있어, 사용자가 만족할 수 있는 도포구가 되는 것을 알았다.
또, 화장 동작에 최적인 강성이 얻어져, 토출부에 마련한 세경 돌기에 적당한 휨성을 가지므로, 피부에의 접촉도 바람직한 도포력으로 그릴 수 있기 때문에, 아픔을 느끼지 않고 도포할 수 있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리퀴드 아이라이너, 리퀴드 아이쉐도우 등의 도포구에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10 압출장치(액가압기구) 12 축본체
13 조출부재 17 피스톤체
18 이음부재 19 선축
20 유로 30 도포부
31 토출부 36 세경 돌기

Claims (5)

  1. 내(內)용액을 토출(吐出) 또는 도포(塗布)하는 기구를 구비한 도포부와, 내용액이 충전되어 있는 저장체와, 내용액을 도포부로 압출(押出)하는 기구를 구비한 압출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도포부와 저장체에는 연통된 유로가 마련되며, 상기 저장체 내의 내용액을 압출장치로부터 압출함으로써 내용액은 도포부와 저장부에 연통된 유로를 지나 도포부로부터 토출되는 도포구로서,
    상기 도포부의 내용액 토출부의 형상이 타원 모양 또는 방형(方形) 형상이며, 각각 토출부 측의 단경(短徑) 치수가 0.5 ~ 2㎜, 장경(長徑) 치수가 2 ~ 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의 토출부 측에 복수의 세경(細徑) 돌기가 마련되고, 이 세경 돌기의 외경은 0. 1 ~ 1㎜, 길이는 0.5 ~ 3㎜, 세경 돌기의 간격은 0. 1 ~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의 토출부 측에 마련되는 세경 돌기의 선단(先端)은 0.001 ~ 0.5N의 수직방향의 힘에 의해, 1㎜ 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가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연질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액은 EMD형 점도계에서의 전단(剪斷, shear) 속도 76.8S-1의 점도(25℃)가 250 ~ 1000mPa·s의 범위가 되는 액체 화장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
KR1020137030818A 2011-04-28 2012-04-23 도포구 KR201400384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02054 2011-04-28
JP2011102054A JP5819094B2 (ja) 2011-04-28 2011-04-28 塗布具
PCT/JP2012/060857 WO2012147691A1 (ja) 2011-04-28 2012-04-23 塗布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8421A true KR20140038421A (ko) 2014-03-28

Family

ID=47072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0818A KR20140038421A (ko) 2011-04-28 2012-04-23 도포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14810B2 (ko)
EP (1) EP2702895B1 (ko)
JP (1) JP5819094B2 (ko)
KR (1) KR20140038421A (ko)
WO (1) WO20121476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81104B2 (ja) * 2012-02-27 2016-03-09 三菱鉛筆株式会社 シャープペンシル
FR3002738B1 (fr) * 2013-03-01 2020-11-20 Societe De Transf Des Elastomeres A Usages Medicaux Et Industriels Dispositif de protection d'aiguille.
JP6354022B2 (ja) * 2013-12-16 2018-07-11 株式会社トキワ 化粧料容器
ES2526708B2 (es) * 2014-10-10 2015-05-13 Airbus Operations, S.L. Dispositivo aplicador de fluido
US9538830B2 (en) 2015-03-31 2017-01-10 Dana Rae, LLC Eyeliner with application guide cap
WO2017124063A1 (en) * 2016-01-15 2017-07-20 The Roberts Container Corporation Apparatus for applying cosmetics
JP6738643B2 (ja) * 2016-04-14 2020-08-12 三菱鉛筆株式会社 塗布具
JP7487343B2 (ja) 2020-05-25 2024-05-20 コルマー コリア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内容物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0471U (ja) 1983-09-28 1985-04-26 豊和工業株式会社 精紡機のリングレ−ル
JP2590918Y2 (ja) 1993-01-25 1999-02-24 三菱鉛筆株式会社 液体塗布具
JP2001145514A (ja) * 1999-11-19 2001-05-29 Hoyu Co Ltd 毛髪化粧料塗布具
JP2002254018A (ja) 2001-03-05 2002-09-10 Shigeo Eto 塗料又はインキ用の容器及び交換用ノズルヘッド
JP2004154173A (ja) 2002-11-01 2004-06-03 Mitsubishi Pencil Co Ltd 液状化粧料塗布具
JP4177738B2 (ja) * 2003-09-18 2008-11-05 株式会社トキワ 塗布具
JP4514186B2 (ja) 2003-10-17 2010-07-28 三菱鉛筆株式会社 化粧料塗布具
JP2007000272A (ja) * 2005-06-22 2007-01-11 Mitsubishi Pencil Co Ltd 再分散可能なボールペン
EP1946671A4 (en) * 2005-11-09 2011-03-02 Mitsubishi Pencil Co LIQUID APPLICATOR
US8297869B2 (en) * 2006-04-03 2012-10-30 L'oreal Packaging and applicat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02895A4 (en) 2014-10-08
JP5819094B2 (ja) 2015-11-18
US20140050514A1 (en) 2014-02-20
EP2702895A1 (en) 2014-03-05
JP2012231920A (ja) 2012-11-29
WO2012147691A1 (ja) 2012-11-01
US9314810B2 (en) 2016-04-19
EP2702895B1 (en) 2019-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38421A (ko) 도포구
US9364849B2 (en) Applicator
JP4499811B2 (ja) 塗布材押出容器
US20110315719A1 (en) Filling material extruding container
JP6053346B2 (ja) 液体塗布具
JP7470225B2 (ja) 化粧料塗布具
US20200130403A1 (en) Applicator
JP7448987B2 (ja) 水系液状化粧料
US20180369081A1 (en) Liquid cosmetic composition
JP5858640B2 (ja) 塗布具
JP2010188058A (ja) 塗布用化粧料繰出容器
EP2702981B1 (en) Liquid cosmetic material
JP2011125421A (ja) 粘性化粧料用塗布具
JP7237564B2 (ja) 化粧料塗布具
CN109463890B (zh) 棒状化妆品推出容器
CN210407502U (zh) 旋转挤压式液体分配装置
JP5823159B2 (ja) 塗布具
KR20200125487A (ko) 수성 화장료
CN200969964Y (zh) 具有多功能笔帽的液体化妆笔
CN216255933U (zh) 一种旋转式化妆笔
JP2023068712A (ja) 化粧料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