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4540A - 휴대용 인명 구조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인명 구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4540A
KR20140034540A KR1020120100992A KR20120100992A KR20140034540A KR 20140034540 A KR20140034540 A KR 20140034540A KR 1020120100992 A KR1020120100992 A KR 1020120100992A KR 20120100992 A KR20120100992 A KR 20120100992A KR 20140034540 A KR20140034540 A KR 20140034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frame
support
support frame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0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연환
김성진
Original Assignee
정연환
김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연환, 김성진 filed Critical 정연환
Priority to KR1020120100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4540A/ko
Publication of KR20140034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45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2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jumping devices, e.g. jumping-sheets, jumping-mattre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위급상황발생시, 윗층의 사람들이 아래층으로 뛰어내릴 수 있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인명구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건물의 외측에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는 직선상의 지지프레임(60)과; 상기 지지프레임에서 건물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아암(10); 상기 아암(10) 사이에 설치되는 네트(20); 일단부가 상기 아암(10)의 외측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60)에 연결되는 와이어로프(30); 그리고 상기 와이어로프(30)와 아암(10) 사이에 각각 연결되는 네트(22)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아암의 외측단부는 내측단부보다 상부에 위치한다. 네트(20,22)는 저면 및 양측면에서 감사도록 설치되어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인명 구조 장치{Portable escaping device}
본 발명은 피난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에서 화재 등과 같은 긴급 상황하에서 안전하면서도 간단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인명 구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 내에서 화재 등과 같은 긴급 상황에서 사람이 대피하기 위한 장치로써는 완강기, 공기 안전매트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장비가 보급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비는 현실적으로 고층에서는 여러 가지 사용 제약이 뒤따름과 동시에 상황에 따라서 안전이 확보되지 못하거나, 사용상의 어려움 또는 건물 내에서 설치에 대한 여러 가지 단점도 부분적으로 지적되고 있다.
예를 들면 완강기, 간이 완강기 또는 피난 사다리 등은 건축물의 내부에 고정식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사용할 수 있는 위치가 한정되어 있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공기 안전 매트 등은 건물 외부에서 설치하는 것이어서 건물 내부에서의 문제는 없으나, 설치 시간 및 외부 환경에 기인하는 설치의 어려움이 뒤따르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물 내에서 긴급 상황 발생시 안전하게 구난자를 구조할 수 있는 구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요한 장소에서 간단하게 설치 가능하여 긴급 상황에 대한 대처가 신속한 구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층의 건물 내에서 긴급 상황 발생시, 현장의 바로 하층으로 구난자를 대피시킬 수 있어서 실질적으로 안정상 가장 효과적인 구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을 수 있음과 동시에 경량으로 구현함으로써, 보관 및 운반 등에 편리한 구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윗층에서 사람이 뛰어내려서 착지하는 경우, 사람이 좌우의 외측으로 나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충분한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는 구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인명 구조장치는, 건물의 외측에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는 직선상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서 건물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아암; 상기 아암 사이에 설치되는 네트; 일단부가 상기 아암의 외측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는 와이어로프; 그리고 상기 와이어로프와 아암 사이에 각각 연결되는 네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아암의 외측단부는 내측단부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아암은, 지지프레임에 연결되는 내측아암과,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외측아암, 그리고 내측아암과 외측아암을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프레임을 수납하여 지지할 수 있는 지지구가 전면에 형성되고, 벽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 상기 나사부의 선단에 설치되어 벽체의 이면에 밀착되는 지지부; 그리고 상기 나사부의 후단에 설치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지지프레임을 수납하여 지지할 수 있는 지지구가 전면에 형성되는 전면과, 벽체의 상면에 밀착되고 길이방향의 슬롯과 상기 슬롯과 연통하는 다수개의 고정용홈이 형성된 상면을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어느 하나의 고정용홈에 삽입되는 후벽부재; 상기 후벽부재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 상기 나사부의 선단에 설치되어 벽체의 이면에 밀착되는 지지부; 그리고 상기 나사부의 후단에 설치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건물 내부에서 위급 상황이 발생할 때, 해당하는 층의 바로 아랫층에서 윗층의 사람이 뛰어내릴 수 있는 구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빌딩의 고층 또는 위치와 무관하게 아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건물의 특정 장소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어디라도 신속하게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도 기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구조장치를 접이식으로 실시하는 경우에는, 보관 및 이송, 그리고 설치의 편리함이 더욱 기대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구조장치는, 알미늄 등과 같은 경량이면서도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경량임과 동시에 이동성이 아주 높은 구조장치를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네트는, 사람이 뛰어내려서 착지하는 저면은 물론이고, 와이어로프와 아암 사이의 양측면에도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충분한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음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조장치의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 예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일부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일부 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일부 예시 사시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조장치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그 사이에는 네트(20)가 설치되어 구난자를 받을 수 있는 한 쌍의 아암(10)을 포함하고 있다. 한 쌍의 아암(10)의 폭은 사람이 그 내부로 뛰어 내렸을 때 이를 안전하게 받아낼 수 있는 정도면 충분하고, 상기 아암(10)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네트(20)는 사람에 의한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 및 완충력을 가진 것이면 충분하고, 예를 들면 천 또는 그물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한 쌍의 아암(10)은 지지프레임(60)과 구조적으로 연결되거나 조립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암(10)은 지지프레임(60)과 용접 등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고, 사람에 의한 하중을 견딜 수 있을 정도로 조립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지지프레임(60)은 건물 내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상기 지지프레임(60)은, 건물 내에 설치되어 있는 난간프레임(2)의 하부(2b)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60)과 아암(10)은 통상의 금속재, 예를 들면 알미늄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데 원통상의 것도 가능하고, 사각의 단면을 가지는 통형상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60)은 난간프레임(2) 하부(2b)의 내측(건물 안쪽)에서 난간프레임 하부(2b)에 고정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지지프레임(60)을 난간프레임 하부(2b)에 고정하는 구조에서는 여러 가지 구조 및 방법이 가능할 것인데, 예를 들면 지지프레임(60)을 난간프레임 하부(2b)에 같이 묶어서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시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통상의 지지프레임(60) 내부에는 일정한 길이의 (와이어)로프(62)가 내장되어 있어서 이를 꺼내고 지지프레임(60)과 난간프레임(2)을 서로 묶어서 고정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로프(62)의 외측 단부에는 고리(64)가 형성되어 있어서, 지지프레임(60)과 난간프레임 하부(2b)을 서로 묶은 후 그들을 감싸도록 걸 수 있어서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로프(62)의 내측단부는 상기 지지프레임(60)의 내측에서 고정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아암(10)은 상기 지지프레임(60)에서 외측, 즉 건물 밖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그 사이에 설치된 네트(20)가 윗층에서 뛰어내리는 사람의 안전하게 받을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구조장치는, 고층 건물에 설치 가능하고 이렇게 설치된 상태에서는 바로 윗층의 피난자가 네트(20)로 뛰어내릴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실질적으로 건물에서 한 층은 수미터 이내의 낮은 높이라고 할 수 있어서, 사람이 윗층에서 상기 네트(20)로 뛰어내릴 경우 안전성은 충분히 확보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아암(10)은 내측 아암(10a)과, 상기 내측아암(10a)에서 상방으로 일정한 각도(둔각)를 가지면서 연장된 외측아암(10b)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사람이 윗층에서 뛰어내리게 되면 상기 외측아암(10b)에 의하여 보다 안전한 상태로 네트(20)에 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착지한 후에는 건물의 내측, 즉 지지프레임(60) 측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아암(10)의 외측단부는 연결프레임(12)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아암(10b)의 상단부에는 와이어로프(3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로프(30)는 난간프레임(2)에 도달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고 있어서, 그 내측단부를 난간프레임 상부(2a)에 묶을 수 있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로프(30)의 내측 단부에는 걸림고리(32)가 부착되어 있어서, 상기 걸림고리(32)를 난간프레임 상부(2a)에 걸어서 로프(30)가 견고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로프(30)와 아암(10) 사이에도 네트(22)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한 쌍의 아암(10) 사이에도 네트(20)가 설치되어 있고, 아암(10)과 와이어로프(30) 사이에도 네트(22)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네트(20,22)는 상면이 개구된 상태로 저면 및 측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윗층에서 뛰어 내리는 사람이 보다 안전하게 착지할 수 있게 될 것임은 분명하다.
상기 아암(10)이 내측아암(10a)과 외측아암(10b)으로 구성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외측아암(10b)은 내측아암(10a)에서 상방으로 일정 각도(둔각)를 가지도록 상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내측아암(10a)과 외측아암(10b)을 일체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즉 금속성 파이프를 이용하여 상기 내측아암(10a)과 외측아암(10b)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내측아암(10a)과 외측아암(10b)을 일체로 성형하는 경우, 아암(10)의 외측단부(외측아암의 외측단부)는 내측단부(내측아암의 내측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내측아암(10a)와 외측아암(10b)를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되면, 본 발명에 의한 구조장치를 접어서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부피가 더욱 줄어들 수 있게 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측아암(10a)과 외측아암(10b)를 서로 접을 수 있도록 힌지(14)를 이용하여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내측아암(10a)과 외측아암(10b)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외측아암(10b)는 내측아암(10a)에 대하여 정해진 각도 이상 벌어지면 안전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힌지(14)를 이용하여 내측아암(10a)과 외측아암(10b)을 연결하는 경우에도, 일정한 각도만큼 외측아암(10b)이 펼쳐지면, 더 이상 펼쳐지지 않도록 구성해야 한다. 예를 들면 일정한 각도 만큼 외측아암(10b)이 펼쳐지면 내측아암과 외측아암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가 서로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더 이상 외측아암(10b)이 펼쳐지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실시예 이외에도, 일정 각도 이상 펼쳐지지 않고 지지될 수 있는 관절형 연결장치는 모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프레임(12) 지지프레임(60)도 동일하게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연결프레임(12) 및 지지프레임(60)은 사람의 하중을 고려하면, 하중을 받는 쪽으로 접히면 안전상 문제가 있기 때문에, 그 반대로 접힐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하고, 이는 상술한 아암(10)의 경우도 동일하다. 따라서 힌지(14)를 이용하여 일정 각도 펼쳐진 상태에서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경우에도, 도 1을 기준으로 할 때, 외측아암(10b)이 힌지(14)를 기준으로 하방으로 회동하면서 접히도록 구성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12)과 지지프레임(60)도 도 1을 기준으로 볼 때, 양측단부가 하방으로 접히도록 하여야 할 것이고, 접히는 부분도 상기 연결프레임(12) 및 지지프레임(60)의 중간부분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지지프레임(60) 난간프레임(2)에 고정되어 지지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구조장치가 전체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에는 도 3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본 실시예는 상술한 난간프레임(2)이 아니라 벽체(4)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고, 여기서 벽체(4)라 함은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의 바닥에서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형성된 모든 형태의 벽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조장치의 설치가 요구되는 장소가 난간프레임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복도 등에서 사용될 수 있는 실시예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구조장치는 벽체(4)를 감사도록 설치되는 프레임(40)을 이용하여 상술한 지지프레임(6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구조장치는, 벽체의 상단부를 덮을 수 있는 하면이 개구된 프레임(40)과,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설치되는 지지구(4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40)의 후면(42a)에는 나사부(52)가 나사 결합되어 있고 상기 나사부(52)의 단부에는 벽체(4)의 이면에 밀착되기 위한 넓은 면적을 가지는 지지부(54)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손잡이(56)를 회전시켜서 나사부(52) 및 지지부(54)를 전방으로 밀어서 벽체(4)의 이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40)의 전면(42b)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구(44)의 내측으로 상술한 지지프레임(60)을 설치하게 되면, 본 실시예에 의한 구조장치도 충분히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에는 도 4 및 도 5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실시예도 벽체(4)를 이용하여 구조장치를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4)의 상면 및 전면에 밀착되는 상면(72c)과 전면(72a)을 구비하는 프레임(72)에는, 후벽부재(72a)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면(72c)에는 전후방(건물의 내외측 방향)으로 슬롯(Sa)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후벽부재(72a)가 이동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슬롯(Sa)과 연통하고 직각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고정용홈(Sb)에도 상기 후벽부재(72a)가 들어갈 수 있다. 이와 같이 슬롯(Sa)과 고정용홈(Sb)을 따라 이동 가능한 후벽부재(72a)는 상단부에 헤드(72h)가 형성되어 상기 슬롯에서 하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벽부재(72a)에는 나사부(52)가 나사결합되어 있고, 나사부(52)의 전면에는 지지부(54)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손잡이(56)를 회전시키게 되면, 나사부(52) 및 지지부(54)가 직선 이동하여, 지지부(54)가 벽체(4)의 이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이렇게 지지되는 상태에서, 프레임(70)의 전면에 설치된 지지구(44)에 상술한 지지프레임(60)을 삽입하여 지지시키게 되면, 본 실시예에 의한 구조장치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후벽부재(72a)는, 슬롯(Sa)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함은 상술한 바와 같고, 그 중에서 어느 하나의 고정용홈(Sb)를 선택하여 그 속에 들어간 상태에서 벽체(4)에 고정된다. 복수 개의 고정용홈(Sb) 중에서 선택되는 고정용홈(Sb)은 실제로 벽체(4)의 두께를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하고, 이렇게 복수 개의 고정용홈(Sb)을 형성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벽체(4)에 프레임(70)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벽체(4)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와이어로프(30)의 내측단부는 벽체(4) 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고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70)의 상부에서 상향 설치되는 지지바(75)에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와이어로프(30)의 내측단부에 부착된 걸림고리(32)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바(75)에 걸리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지지바(75)는 실질적으로 와이어로프(30)의 내측단부와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아암(10)의 외측단부를 지지하는 것임을 알 수 있고, 이와 같이 와이어로프(30)의 내측단부가 연결되어 견고한 지지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형상 및 구조에 대해서는 다른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3에서 예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바(75)는 힌지를 이용하여 프레임(40)에 접철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다음에는 도 5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는 상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살펴보고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아암(10)은,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외측으로 양측이 더욱 벌어진 ㄷ자 형상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한 아암(10)은 내측아암(10a)과 외측아암(10b) 사이에 중간아암(10c)이 개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한 쌍의 아암(10)이 좌우대칭으로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윗층에서 뛰어내리는 사람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내측아암(10a), 중간아암(10c), 그리고 외측아암(10b)도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아암(10) 사이 및 와이어로프(30)와 아암(10) 사이에도 네트(20,22)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건물에서 위급 상황 발생시 바로 윗층에서 뛰어 내리는 사람을 안전하게 지지하여 아랫층에서 구조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 ..... 난간프레임
2a ..... 난간프레임 상부
2b ..... 난간프레임 하부
4 ..... 벽체
10 ..... 아암
10a ..... 내측아암
10b ..... 외측아암
12 ..... 연결프레임
20 ..... 네트
22 ..... 네트
30 ..... 와이어로프
40 .... 프레임
42a ..... 후면
42b ..... 전면
44 ..... 지지구
52 ..... 나사부
54 ..... 지지부
56 ..... 손잡이
70 ..... 프레임
72a ..... 후벽부재

Claims (9)

  1. 건물의 외측에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는 직선상의 지지프레임(60)과;
    상기 지지프레임에서 건물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아암(10);
    상기 아암(10) 사이에 설치되는 네트(20);
    일단부가 상기 아암(10)의 외측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난간프레임 상부에 연결되는 와이어로프(30); 그리고
    상기 와이어로프(30)와 아암(10) 사이에 각각 연결되는 네트(2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아암의 외측단부는 내측단부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명 구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지지프레임에 연결되는 내측아암(10a)과,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외측아암(10b)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측아암(10a)과 외측아암(10b)을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인명 구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지지프레임에 연결되는 내측아암(10a)과, 상기 내측아암과 연결되는 중간아암(10c), 그리고 상기 중간아암(10c)에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외측아암(10b), 그리고 내측아암(10a)과 중간아암(10c) 및 중간아암(10c)과 외측아암(10b)을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인명 구조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을 수납하여 지지할 수 있는 지지구(44)가 전면에 형성되고, 벽체(4)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프레임(40)과; 상기 프레임의 후면(42a)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52); 상기 나사부의 선단에 설치되어 벽체의 이면에 밀착되는 지지부(54); 그리고 상기 나사부의 후단에 설치되는 손잡이(5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인명 구조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프레임을 수납하여 지지할 수 있는 지지구(44)가 전면에 형성되는 전면(72b)과, 벽체(4)의 상면에 밀착되고 길이방향의 슬롯(Sa)과 상기 슬롯과 연통하는 다수개의 고정용홈(Sb)이 형성된 상면(72c)을 구비하는 프레임(70)과; 상기 어느 하나의 고정용홈에 삽입되는 후벽부재(42a); 상기 후벽부재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52); 상기 나사부의 선단에 설치되어 벽체의 이면에 밀착되는 지지부(54); 그리고 상기 나사부의 후단에 설치되는 손잡이(5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인명 구조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 및 연결프레임은, 힌지에 의하여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휴대용 인명 구조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70)의 후단부에서 상방으로 설치되는 지지바(7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인명 구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75)는 프레임(70)의 후단부에서 힌지에 일정 각도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휴대용 인명 구조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70)의 후단부에서 상방으로 설치되는 지지바(7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인명 구조장치.
KR1020120100992A 2012-09-12 2012-09-12 휴대용 인명 구조 장치 KR201400345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992A KR20140034540A (ko) 2012-09-12 2012-09-12 휴대용 인명 구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992A KR20140034540A (ko) 2012-09-12 2012-09-12 휴대용 인명 구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4540A true KR20140034540A (ko) 2014-03-20

Family

ID=50644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0992A KR20140034540A (ko) 2012-09-12 2012-09-12 휴대용 인명 구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454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9587B1 (ko) * 2019-01-28 2020-05-1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접이식 피난 기구
KR102368464B1 (ko) * 2020-10-06 2022-02-28 대한민국 라이프 넷 장치 및 라이프 포켓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9587B1 (ko) * 2019-01-28 2020-05-1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접이식 피난 기구
KR102368464B1 (ko) * 2020-10-06 2022-02-28 대한민국 라이프 넷 장치 및 라이프 포켓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4198252A1 (en) Elevated working platform
JP6305523B2 (ja) 足場構造と共に使用するためのプラットフォームユニット
JP5488884B2 (ja) 避難用梯子装置
US20210196995A1 (en) Suspension cable wall anchoring device
KR101226947B1 (ko) 인명구조용 피난 사다리
KR102241781B1 (ko) 높이 조절형 이동식 작업대
KR20140034540A (ko) 휴대용 인명 구조 장치
KR200469371Y1 (ko) 인명구조용 로프 사다리
KR102075935B1 (ko) 건물용 비상탈출기구
US3007540A (en) Personnel work structure convertible to extension ladder and scaffolding means
JP6378550B2 (ja) 足場装置
KR101548010B1 (ko) 공동주택의 비상대피 기능을 갖춘 베란다 휀스장치
KR200461476Y1 (ko) 추락방지용 네트장치
KR101260232B1 (ko) 비상용 사다리 구조물
WO2007136780A2 (en) Roof safety system
KR102109587B1 (ko) 접이식 피난 기구
KR102529694B1 (ko) 건물용 비상탈출기구
JP5722292B2 (ja) 高層建物用避難梯子
KR101105685B1 (ko) 화재 피난용 하강기구
KR100936899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420407B1 (ko) 비상탈출장치용 안전사다리
KR102579624B1 (ko) 클라이밍 구조물
US3429399A (en) Flexible ladder rendered rigid by use
KR102112588B1 (ko) 오토 셀프 스윙 아웃 대피구조물
JP3112052U (ja) 緊急避難用ネ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