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9624B1 - 클라이밍 구조물 - Google Patents

클라이밍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9624B1
KR102579624B1 KR1020210186412A KR20210186412A KR102579624B1 KR 102579624 B1 KR102579624 B1 KR 102579624B1 KR 1020210186412 A KR1020210186412 A KR 1020210186412A KR 20210186412 A KR20210186412 A KR 20210186412A KR 102579624 B1 KR102579624 B1 KR 102579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mbing
support
wing
main body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6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6684A (ko
Inventor
배근우
Original Assignee
배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근우 filed Critical 배근우
Priority to KR1020210186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9624B1/ko
Publication of KR20230096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6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9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9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4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mountaineering, e.g. climbing-walls, grip elements for climbing-w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9/00Climbing poles, frames, or sta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종래의 클라이밍 구조물은 건물형태의 기반부를 세우고 해당 기반부의 외벽면을 따라 보조핸들을 부착한다. 이러한 클라이밍 구조물은 기반부를 세우기 위해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고 기반부 건설에 따른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밍 구조물은, 복수개의 지지기둥과, 상기 복수개의 지지기둥 상에 지지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방사형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날개부를 가지는 플랫폼과, 상기 지지기둥을 통해 적층된 플랫폼들의 날개부 사이를 연결하여 등반코스를 제공하는 등반그물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클라이밍 구조물의 구축에 따른 공간적 제약을 최소화 하고 다양한 등반코스를 제공할 수 있는 클라이밍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클라이밍 구조물 {Climbing structure}
본 발명은 클라이밍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클라이밍 구조물을 통해 도심 속에서도 자연암반과 같은 등반환경을 구현하여 클라이밍을 즐길 수 있다.
종래의 클라이밍 구조물은 건물형태의 기반부를 세우고 해당 기반부의 외벽면을 따라 보조핸들을 부착한다. 사용자는 배치된 보조핸들을 따라 정해진 구간에서 클라이밍을 즐길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클라이밍 구조물은 기반부를 세우기 위해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고 기반부 건설에 따른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또한, 기반부의 형상과 보조핸들에 의해 등반코스가 제한되어 한정된 등반코스를 가질 수 밖에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클라이밍 구조물의 확장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으나, 별도의 기반부를 새로 건설하는 것 이외에는 사실상 확장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클라이밍 구조물의 구축에 따른 공간적 제약을 최소화 하고 다양한 등반코스를 제공할 수 있는 클라이밍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밍 구조물에 있어서, 복수개의 지지기둥과, 상기 복수개의 지지기둥 상에 지지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방사형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날개부를 가지는 플랫폼과, 상기 본체부를 통과하는 승강통과부와, 상기 승강통과부를 통해 상기 플랫폼들간을 승하강 하는 승강기와, 상기 지지기둥을 통해 적층된 플랫폼들의 날개부 사이를 연결하여 등반코스를 제공하는 등반그물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밍 구조물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날개부의 하부면에 부착된 지지구조물과, 상기 지지구조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발판을 가질 수 있어 연장발판을 통해 사용자가 등반그물에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으며, 등반그물의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지지구조물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된 연장지지부와, 상기 연장지지부를 커버하는 안전그물을 가질 수 있어 사용자가 코스를 이탈하거나 추락하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사용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지지부와 상기 안전그물 사이에 사용자가 통과할 수있는 통과공간을 더 가질 수 있어, 등반중에는 안전그물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등반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각 플랫폼마다 안전그물을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의 외곽선을 따라 상기 플랫폼들 사이에 형성된 개방공간을 커버하며, 상부에 위치한 상기 플랫폼을 지지하는 외벽부를 더 가질 수 있어 수직방향을 따라 적층되는 플랫폼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밍 구조물은 공간적 제약을 최소화 하여 다양한 등반코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밍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밍 구조물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밍 구조물의 플랫폼과 주변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밍 구조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밍 구조물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밍 구조물은 지면으로 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지지기둥(100) 상에 지지되는 플랫폼(200)이 적층되어 다층의 구조물을 형성한다. 플랫폼(200) 일단에는 지지구조물(300)이 고정된다. 지지구조물(300)에는 등반그물(400)이 결속되어 사용자가 승하강 하며 클라이밍을 할 수 있다.
지지기둥(100)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기둥형상의 부재이다. 플랫폼(200)의 지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복수개로 상호 대칭된 방향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면에 가깝게 형성되는 최초의 지지기둥(100)은 다른 지지기둥보다 짧은 길이를 가져 플랫폼(200)이 지면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플랫폼(200) 상에 배치되게 하여 플랫폼(200)이 지면에 먼저 닿아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지지기둥(100)의 길이는 각 플랫폼의 층을 결정하게 되므로, 3~5m 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 더 길게 연장된 하나의 지지기둥을 이용해 플랫폼(200)전체를 관통하여 지지할 수도 있다.
플랫폼(200)은 클라이밍 활동 전 사용자가 대기하게 되는 공간으로, 다수의 사용자가 활용할 수 있도록 충분히 넓은 공간을 가지는것이 바람직하다. 플랫폼(200)은 지지기둥(100)을 이용해 수직방향을 따라 여러개가 적층되어 활용된다. 플랫폼(200) 상에는 부스형태의 간이시설이 위치할 수 있으며, 해당 간이시설을 통해 사용자가 휴식하거나 클라이밍 활동을 하는데에 필요한 장비, 식품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플랫폼(200)은 넓은 공간이 형성된 본체부(210)와 본체부(210)로 부터 연장된 날개부(220), 날개부 하단을 지지하는 날개지지부(230), 본체부(210) 및 날개부(220)에 형성된 난간(240)을 포함한다.
본체부(210)는 플랫폼(200)의 중심에 형성되어 있는 넓은 공간으로 지면과 수평하게 형성된 바닥면을 가진다. 본체부(210)의 형상은 클라이밍 활동과 관람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부(210)의 일단에는 지지기둥(100)이 삽입되는 지지기둥삽입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기둥삽입부(111)는 지지기둥(100)을 수용하기 위해 본체부(210)의 바닥면을 두고 상호 대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기둥삽입부(111)는 지지기둥(100)의 활용에 따라 관통된 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210)의 일단에는 날개부(220)가 형성된다. 날개부(220)는 클라이밍을 수행하기 위해 본체부(210)로 부터 연장된 구조를 가지며, 본체부(210)와 일체형의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별도의 부재로 상호 연결되게 제작할 수도 있다
본체부(210)와 날개부(220)에는 난간(240)이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플랫폼(200)으로 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보호한다. 본체부(210)와 날개부(220) 사이에 낮은 난간이 배치되어 대기공간과 클라이밍 공간을 분리하는 경계를 형성할 수도 있다.
날개부(220)의 하단에는 별도의 날개지지부(230)가 배치된다. 날개지지부(230)의 일단은 본체부(210)로 부터 지지되어 본체부(210)로 부터 길게 연장된 날개부(220)가 분리되지 않도록 보조한다. 날개지지부(230)의 하중이 날개부(220)에 부하를 주지않도록 날개지지부(230) 내부가 비워진 프레임 구조를 가지는 것이 적절하다.
날개부(220)와 날개지지부(230)사이에는 지지구조물(300)이 위치한다. 지지구조물(300)은 클라이밍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공간으로 복수개의 프레임이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지지구조물(300)은 날개부로 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연장발판(310)과 날개부(220)와 연장발판 사이에 형성된 경사연장발판(320), 수직방향에 배치된 지지구조물(300)간을 지지하는 별도의 연결프레임(330)을 포함한다.
연장발판(310)은 날개부(220)로 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프레임구조를 가지며, 높은 강도를 위해 금속구조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클라이밍을 수행하기 위해 연장발판(310)위에 올라가 아래로 하강하게 된다.
경사연장발판(320)은 연장발판(310)으로 이동하기 위해 먼저 발을 내딪는 발판으로 연장발판(310)과 날개부(220)간의 연결을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경사연장발판(320)으로 인해 사용자의 하중이 날개부(220), 연장발판(310)으로 분산되어 연장발판(310)에 과도한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경사연장발판(320)과 연장발판(310)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라이밍 수행 전 사용자는 연장발판(310) 또는 경사연장발판(320)에 하네스 등의 안전고리를 걸어 추락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데에도 활용할 수 있다.
연결프레임(330)은 각 날개부(220)에 배치된 지지구조물(300)들이 상호 연결되어 수직방향의 하중에 대해 지지될 수 있도록 길게 연장된 프레임이다. 연결프레임(330)에 의해 지지구조물(300)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연결프레임(330)은 지지구조물(300)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며, 하단의 날개부(220)에 의해 지지된다. 이에 따라, 각 날개부(220)는 연결프레임(330)을 수용하기 위한 별도의 수용공간을 가질 수 있다. 연결프레임(330)또한, 연장발판(310) 및 경사연장발판(320)과 함께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구조물(300)의 둘레방향을 따라 등반그물(400)이 배치된다. 각 연장발판(310)의 테두리에 연결되어 있다. 등반그물(400)은 설치와 해제를 용이하게 하기위해 연장발판(310)에 케이블 타이 등을 이용해 결속 할 수도 있다. 등반그물(400)은 최소한 성인의 손 크기 이상이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격자형 그물망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클라이밍은 등반그물(400)내부에서 수행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는 등반그물(400)에 형성된 그물통과부(410)를 통해 등반그물(400)의 외부면으로 나가며 클라이밍을 수행하게 된다. 그물통과부(410)는 등반그물(400)의 원하는 위치에서 클라이밍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지구조물(300)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구조물(300)의 외곽에는 별도의 연장지지부(500)가 배치될 수 있다. 연장지지부(500)는 날개부(220)의 형상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프레임구조로 일단이 날개부(220)및 지지구조물(300)에 의해 지지되며 타단은 날개부(220) 및 날개지지부(230)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구조물(300)은 상호 연결된 연장프레임(510)과 외곽연장프레임(520)을 포함한다.
연장프레임(510)은 날개부(220) 및 지지구조물(300)에 직접적으로 연결된 구조물이다. 연장프레임(510)의 일단은 지지구조물(300)로 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있어 지지구조물(300)과 연장지지부(500) 사이를 통과할 수 있는 통과공간(530)을 형성한다. 통과공간(530)을 통해 후술할 안전그물(600)이 연장지지부(500) 상에 배치되더라도 사용자는 계속해서 클라이밍을 수행할 수 있다.
외곽연장프레임(520)은 연장프레임(510)과 날개부(220) 및 지지구조물(300)에 의해 지지되어 후술할 안전그물(600)이 연장지지부(500) 상에 배치되도록 한다.
안전그물(600)은 연장지지부(500)의 연장프레임(510)와 외곽연장프레임(520)에 의해 형성된 개방면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된다. 안전그물(600)은 클라이밍 수행 중 사용자가 등반그물(400)로 부터 추락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등반그물(400)의 외곽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안전그물(600)은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탄성을 가진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가 안전그물에 부딪힌 후 외부로 이탈되지 고정시에 여분의 면적을 가져 연장지지부(500)상에 느슨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전그물(600)은 등반그물(400)과 대비하여 조밀한 구조의 격자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랫폼(200)의 본체부(210)의 일단에는 승강통과부(250)가 형성될 수 있다. 승강통과부(250)에 의해 사용자가 다른 플랫폼(200)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러한 플랫폼(200)간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위해 본체부(210)에 형성된 복수의 승강통과부(250)를 통과하는 승강부(700)를 구비할 수 있다. 승강부(700)는 최상단 플랫폼(200)에 형성된 승강지지부(710)와 승강지지부(710)에 고정된 윈치(720)와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는 승강기(730)를 포함한다.
플랫폼(200)은 외벽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외벽부(미도시)는 난간부로 부터 연장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플랫폼(200)이 지지기둥에 의해 지지되는 하중이 과도할 경우에 대비하여 추가적인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여름이나 겨울에 클라이밍 구조물을 이용할 경우 본체부(210)의 내부에 있는 대기자와 시설을 보호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밍 구조물은, 플랫폼(200)의 날개부(220)에 지지구조물(300), 등반그물(400), 연장지지부(500), 안전그물(600) 등이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들은 플랫폼(200) 상의 날개부(220) 전방위에 모두 배치되어 다양한 방향으로 클라이밍 코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등반그물(400)의 지지형태를 바꿔 서로 다른 방향의 날개부(220)에 고정시켜 종래와 다른 수평방향의 클라이밍 코스와 대각방향의 클라이밍 코스, 보다 복잡한 형상의 클라이밍 코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밍 장치는 지지기둥(100)과 플랫폼(200)을 수직방향으로 적층하여 플랫폼(200)의 연장이 용이하고 다양한 클라이밍 코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날개부(220)의 하부면에 부착된 지지구조물(300)을 이용하여 클라이밍을 수행하기 위한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안전을 위한 하네스를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구조물(300)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된 연장지지부(500)와 안전그물(600)을 가져 클라이밍 중 발생하는 안전사고에 대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지지부(500)와 상기 안전그물(600) 사이에 사용자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과공간(530)을 가질 수 있어 각 플랫폼(200)에 안전그물(600)을 설치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각 플랫폼(200) 사이를 쉽게 등반할 수 있다.
100 : 지지기둥 200 : 플랫폼
210 : 본체부 211 : 지지기둥수용부
220 : 날개부 230 : 날개지지부
240 : 난간 250 : 승강통과부
300 : 지지구조물 310 : 연장발판
320 : 경사연장발판 330 : 연결프레임
400 : 등반그물 410 : 그물통과부
500 : 연장지지부 510 : 연장프레임
520 : 외곽연장프레임 600 : 안전그물
700 : 승강부 710 : 승강지지부
720 : 윈치 730 : 승강기

Claims (5)

  1. 클라이밍 구조물에 있어서,
    복수개의 지지기둥과,
    상기 복수개의 지지기둥 상에 지지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방사형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날개부를 가지는 플랫폼과,
    상기 지지기둥을 통해 적층된 플랫폼들의 날개부 사이를 연결하여 등반코스를 제공하는 등반그물을 포함하며,
    상기 각 날개부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각 날개부를 지지하는 날개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와 상기 날개지지부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날개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연장발판과, 상기 날개부와 상기 연장발판 사이에 형성된 경사연장발판을 가지는 지지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클라이밍 구조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조물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된 연장지지부와,
    상기 연장지지부를 커버하는 안전그물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밍 구조물.
  4. 제 3항에 있어서,
    그리고, 상기 연장지지부와 상기 안전그물 사이에 사용자가 통과할 수있는 통과공간을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밍 구조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외곽선을 따라 상기 플랫폼들 사이에 형성된 개방공간을 커버하며, 상부에 위치한 상기 플랫폼을 지지하는 외벽부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밍 구조물.
KR1020210186412A 2021-12-23 2021-12-23 클라이밍 구조물 KR102579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6412A KR102579624B1 (ko) 2021-12-23 2021-12-23 클라이밍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6412A KR102579624B1 (ko) 2021-12-23 2021-12-23 클라이밍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6684A KR20230096684A (ko) 2023-06-30
KR102579624B1 true KR102579624B1 (ko) 2023-09-15

Family

ID=86960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6412A KR102579624B1 (ko) 2021-12-23 2021-12-23 클라이밍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962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72209A1 (de) * 2001-03-13 2002-09-19 Georg Lauterbach Klettergerät und - anlage
US20170326400A1 (en) * 2016-05-11 2017-11-16 Victoria Jane Brennan Multi-Layered Fabric Based Climbing Structure
JP2019208581A (ja) * 2018-05-31 2019-12-12 株式会社Carpediem ボルダリング壁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72209A1 (de) * 2001-03-13 2002-09-19 Georg Lauterbach Klettergerät und - anlage
US20170326400A1 (en) * 2016-05-11 2017-11-16 Victoria Jane Brennan Multi-Layered Fabric Based Climbing Structure
JP2019208581A (ja) * 2018-05-31 2019-12-12 株式会社Carpediem ボルダリング壁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6684A (ko) 2023-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54131A (en) Scaffold
AU2010346421B2 (en) Scaffold and methods for installing or removing such a scaffold
JP6542892B2 (ja) 登り手が使用中に改善された登り姿勢を採用することを可能にするための垂直に配向された梯子装置
WO2006078174A1 (en) Device for a gangway
JP2005264721A (ja) 津波・洪水等の非常事態からの避難装置
US20060260217A1 (en) Constructional unit
KR101478964B1 (ko) 갱폼용 사다리
KR102579624B1 (ko) 클라이밍 구조물
KR200424293Y1 (ko) 자석 접이 승탑 사다리
KR200473613Y1 (ko)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
KR100559118B1 (ko) 고소 작업대
KR20160143606A (ko) 응급탈출용 비상사다리
JPS6236913Y2 (ko)
JP5291514B2 (ja) 昇降式移動足場
JP2013249620A (ja) 救助・避難櫓
JP2509458B2 (ja) 縦坑の階段構造
KR101100870B1 (ko) 공동주택용 난간의 보강 시설물
KR200412678Y1 (ko) 지그재그 승탑 사다리
JP2015025319A (ja) 津波避難用櫓
JP2013002270A (ja) 住宅などの建造物の防護装置
CN211158225U (zh) 一种房屋建筑逃生结构
JPH0324800Y2 (ko)
AU2015101705A4 (en) Climber Component of a Children's Play Apparatus
JP3178246U (ja) 津波避難用構造物
KR100583776B1 (ko) 건축용 비계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