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613Y1 -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3613Y1 KR200473613Y1 KR2020120004770U KR20120004770U KR200473613Y1 KR 200473613 Y1 KR200473613 Y1 KR 200473613Y1 KR 2020120004770 U KR2020120004770 U KR 2020120004770U KR 20120004770 U KR20120004770 U KR 20120004770U KR 200473613 Y1 KR200473613 Y1 KR 20047361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ble
- movable
- starting
- destination
- dec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20—Slideways with movably suspended cars, or with cars moving on rope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7/00—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객이 원하는 다양한 장소에 공중 하강 체험 시설을 효율적으로 설치하여 운영하고 신속하게 철거할 수 있는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은, 소정 높이의 출발지 구조물; 차량이나 선박에 의해 운반되어 상기 출발지 구조물과 일정 거리를 두고 상기 출발지 구조물의 해발고도보다 낮은 해발고도에 설치되는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 상기 출발지 구조물과 상기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 사이를 연장하도록 그 양단부가 상기 출발지 구조물과 상기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에 연결되는 케이블; 상기 출발지 구조물 측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에 매달려 하강할 이동체의 출발 준비를 위한 출발 데크; 상기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 측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에 매달려 하강한 이동체의 착지를 위한 도착 데크; 및 상기 케이블의 장력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을 지지하거나 상기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에 하중을 부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객이 원하는 다양한 장소에 공중 하강 체험 시설을 효율적으로 설치하여 운영하고 신속하게 철거할 수 있는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중 하강 체험 시설은 높은 곳에 위치하는 출발지에서 낮은 곳에 위치하는 도착지로 출발지와 도착지를 연결하는 케이블에 하네스를 입은 체험객이 매달려 공중 하강을 체험하는 시설을 지칭한다. 이러한 공중 하강 체험 시설은 경사가 있는 산이나 계곡에 설치되어 공중을 날아가며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체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공중 하강 체험 시설의 일례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2996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공보에 개시된 와이어를 이용한 레저용 비행 시설물은 출발지에 고정 설치된 제1 폴과 도착지에 고정 설치된 제2 폴 사이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이용하여 체험자가 공중 비행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공보 등의 종래의 공중 하강 체험 시설은 출발지와 도착지 사이에 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철재빔, 철재기둥 등으로 출발지에 설치된 구조물과 도착지에 설치된 구조물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공중 하강 체험 시설은 특정 지역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므로, 계절이나 날씨, 요일, 시간대 등에 따라 이용 고객의 수에 큰 편차가 발생하기 쉽고, 따라서 설비 운영이 효율적이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공중 하강 체험 시설은 특정 장소에 고정 설치되므로 그 설비를 다른 곳에서 이용하기 어렵고, 따라서 운영자가 비효율적인 설비 운영 환경에 쉽게 노출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고객이 원하는 다양한 장소로 이동하여 공중 하강 체험 시설을 효율적으로 구축하여 운영할 수 있고 또한 간편하게 철거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은, 소정 높이의 출발지 구조물; 차량이나 선박에 의해 운반되어 상기 출발지 구조물과 일정 거리를 두고 상기 출발지 구조물의 해발고도보다 낮은 해발고도에 설치되는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 상기 출발지 구조물과 상기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 사이를 연장하도록 그 양단부가 상기 출발지 구조물과 상기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에 연결되는 케이블; 상기 출발지 구조물 측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에 매달려 하강할 이동체의 출발 준비를 위한 출발 데크; 상기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 측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에 매달려 하강한 이동체의 착지를 위한 도착 데크; 및 상기 케이블의 장력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을 지지하거나 상기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에 하중을 부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는 상기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에 대하여 작용하는 상기 케이블의 장력에 대응하는 일정량의 무게를 가진 물체를 수납하거나 적층한 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는 상기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의 외부에서 별도의 지지케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을 지지하는 지지구조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은 철골 구조물 또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은 상기 철골 구조물을 탑재하고 이동가능한 차량이나 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은, 케이블 상에서 접동하는 장치와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과의 사이에서 상기 풀리의 이동 또는 하강을 멈추게 하는 브레이크장치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은 적어도 일측면에 설치된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도어를 구비한 상자 형태의 철골 구조물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도어는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도착 데크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은 상기 도어의 개폐를 위한 전동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은 상기 케이블에 매달려 하강한 이동체의 착지 충격을 완화하거나 이동체를 보호하도록 상기 개구부에 설치되는 완충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완충부는 상기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에 설치되는 매트 또는 쿠션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은, 케이블의 장력이나 길이를 조절하도록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에 설치되는 케이블연결장치를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케이블연결장치는,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 상의 적어도 두 방향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제1 고리들; 복수의 제1 고리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케이블의 말단부를 연결하는 제1 케이블 고정부; 및 복수의 제1 고리들 중 또 다른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상기 케이블의 연장 방향이 바뀌도록 상기 케이블의 말단부로부터 소정 간격 떨어진 부분을 잡아당기는 제2 케이블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출발지 구조물은 상기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과 일정 거리를 두고 위치하는 지형지물을 포함하고, 상기 지형지물은 건물, 나무, 언덕, 바위, 교량, 번지점프대, 인공암벽등반 구조물, 놀이시설, 차량, 선박, 인공구조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인공구조물은 원형이나 다각형의 단면을 갖는 폴 형태의 철골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출발 데크는 상기 지형지물 주위 또는 상기 인공구조물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출발지 구조물은 상기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과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이동형 출발지 구조물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이동형 출발지 구조물은, 지면 상에 설치되는 1층 구조물; 및 1층 구조물 상에 적층되는 2층 구조물을 구비하며, 출발 데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2층 구조물 상에 설치되며, 지지부는 상기 케이블의 장력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형 출발지 구조물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지지부는, 상기 이동형 출발지 구조물에 대하여 일정량의 무게를 부여하는 무게조절장치; 상기 이동형 출발지 구조물의 외부에서 지지케이블을 이용하여 이동형 출발지 구조물을 지지하는 지지구조물; 상기 이동형 출발지 구조물에 설치되는 일정 크기의 적어도 하나의 강판; 또는 이들의 조합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출발 데크는, 상기 상층 구조물 상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지지대; 및 상기 상층 구조물 상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난간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동형 출발지 구조물은 상기 하층 구조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층 구조물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지면과 상기 출발 데크를 연결하는 계단구조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은, 1층 구조물 또는 하층 구조물과 지면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지면 상에서 상기 하층 구조물의 바닥면이 수평을 형성하도록 기능하는 기반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고객이 원하는 다양한 장소로 이동하여 공중 하강 체험 시설을 효율적으로 구축하여 운영할 수 있고 또한 간편하게 철거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이나 선박 등의 운송 수단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설치 및 운영가능한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시스템에 채용가능한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의 시스템에 채용가능한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에 채용가능한 케이블연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의 출발지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9의 시스템에 채용가능한 이동형 출발지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2의 시스템에 채용가능한 이동형 출발지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시스템에 채용가능한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의 시스템에 채용가능한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에 채용가능한 케이블연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의 출발지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9의 시스템에 채용가능한 이동형 출발지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2의 시스템에 채용가능한 이동형 출발지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100)은, 소정 높이의 출발지 구조물(10a); 차량이나 선박에 의해 운반되어 출발지 구조물(10a)과 일정 거리를 두고 출발지 구조물의 해발고도보다 낮은 해발고도에 설치되는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 출발지 구조물(10a)과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 사이에 연장되도록 그 양단부가 출발지 구조물과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에 연결되는 케이블(30); 출발지 구조물(10a) 측에 설치되며 케이블(30)에 매달려 하강할 이동체(2)의 출발 준비를 위한 출발 데크(40);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 측에 설치되며 케이블(30)에 매달려 하강한 이동체(2)의 착지를 위한 도착 데크(50); 및 케이블(30)의 장력에 대응하여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을 지지하거나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에 하중을 부가하는 지지부(60)를 구비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다양한 지형지물을 이용하여 출발지 구조물(10a)을 설치하고 이 출발지 구조물(10a)에서 일정 거리를 두고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을 설치하고, 그리고 이들 사이에 케이블(30)을 연결함으로써,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을 설치할 수 있다.
출발지 구조물(10a)로 이용가능한 다양한 지형지물은 일정 높이를 가진 건물, 나무, 언덕, 바위, 교량, 번지점프대, 인공암벽등반 구조물, 놀이시설, 차량, 선박, 인공구조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인공구조물은 원통, 사각 또는 삼각 형태의 철골 구조물이나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포함한다. 그리고, 원통 형태의 철골 구조물은 원기둥이나 막대 형태의 철제 폴(pole)을 포함한다.
또한, 출발지 구조물(10a)은 케이블(30)의 일단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지형지물 등에 설치되는 케이블 지지대(12)나 케이블 고정수단 또는 이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은 원격지에서 제조되거나 보관되어 있다가 고객 요청 등의 필요에 의해 차량(3)에 실려온 후 출발지 구조물(10a)에서 일정 거리를 두고 출발지 구조물(10a)의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에 설치된다.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은 직사각형 형태를 구비하고, 일 실시예에서 그 면적 즉 지면(E)과 마주하는 면의 면적은 예를 들어 약 3M×3M이며, 그 높이는 약 8M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은 차량 등의 운송수단에 싣거나 내리기가 편리한 이점이 있다. 이러한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은 케이블(30)의 일단부를 고정하고 케이블(30)의 장력에 대하여 어느 정도 견딜 수 있는 무게를 가진 재료(예컨대, 철골 구조물, 철제 구조물 등)로 구성될 수 있지만, 그 경우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의 무게에 의해 운송이나 설치 작업이 어려우므로, 운송과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의 무게는 가급적 가벼운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블(30)은 일정 강도 이상의 인장 강도를 가진 강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선(steel wire)은 복수의 단위 강철선이 꼬인 구조를 구비하거나 단위 강철선이 꼬인 구조를 가진 복수의 단위 강선들이 코어를 중심으로 나선 형태로 꼬인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강선은 인장 강도가 우수하므로, 강선을 이용하면, 케이블(30)이 외부의 힘에 의해 절단되는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강선을 이용하면, 체험객 등의 이동체(2)를 매달아 공중 하강하는 장치(예컨대, 트롤리, 도르래 등)가 케이블(30) 상에서 원활하게 접동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의 설치 환경에 따라 전술한 케이블(30)은 강선 이외에 고강도 탄소 섬유 등의 적절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출발 데크(40)는 케이블(30)에 매달려 공중 하강할 체험객이 출발 준비를 하는 곳에 설치되는 수단 또는 그러한 수단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부를 지칭한다. 출발 데크(40)는 출발지 구조물(10a)의 종류나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발지 구조물(10a)이 상가 또는 아파트 형태의 건물인 경우, 출발 데크(40)는 건물의 옥상이나 3층 베란다에 설치되는 발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발지 구조물(10a)이 나무나 바위인 경우, 출발 데크(40)는 나무나 바위 옆에서 설치되는 사다리차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다리차는 발판에 체험객을 태워 나무나 바위 위로 이동시키고, 하네스 등의 안전 장구를 착용한 체험객은 사다리차의 발판 상에서 안전 요원의 지시에 따라 트롤리나 로프 등을 이용하여 케이블(30)에 매달린 후 공중 하강을 할 수 있다.
도착 데크(50)는 케이블(30)에 매달려 공중 하강한 체험객이 착지하는 곳에 설치되며, 체험객이 안전하게 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착 데크(50)는 출발지 구조물(10a)과 마주하는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의 전면 측에 설치되며,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에 인접하게 설치된 브레이크장치(70)에 의해 정지되는 체험객에게 충분한 착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효과적인 구성을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 도착 데크(50)는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에 유동가능하게 결합하거나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로부터 분리가능한 형태로 설치된다(도 3 참조).
지지부(60)는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에 작용하는 상기 케이블의 장력에 대응하여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의 무게를 조절하기 위한 무게조절장치(60a)나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을 지면에 고정된 지지구조물에 연결하는 지지케이블(60b)을 구비한다.
무게조절장치(60a)는 케이블(30)의 장력에 견딜 수 있도록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을 지지한다. 케이블(30)의 장력은 케이블(30)의 길이에 따라 변하게 되는데 이러한 케이블 장력에 대하여 용이하게 대응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의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은 케이블(30)의 길이에 따라 미리 설정된 매뉴얼 형태로 간편하게 무게조절장치(60a)의 무게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무게조절장치(60a)는 물 등의 액체나 모래, 흙 등의 고체를 넣을 수 있는 수납부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수납부는 액체나 고체를 저장할 수 있는 용기로서, 케이블(30)의 길이에 따라 내부에 채워야할 액체 또는 고체의 양을 표시하는 눈금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경우 케이블의 설치 길이에 따라 무게조절장치(60a)에 채워야할 물체의 양을 쉽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무게조절 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수납부에 주입밸브 및/또는 배수밸브를 설치하면, 수납부에 내용물을 채우는 작업과 제거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밸브가 없는 경우에도 고체나 액체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시에는 무게를 조절하고 사용후에는 내용물을 빼버림으로써 이동시의 무게를 줄여서 이동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무게조절장치(60a)는, 복수의 단위 무게조절장치(도 3의 참조부호 60a 참조)를 구비할 수 있는데, 그 경우, 복수의 단위 무게조절장치를 서로 분리하여 분산 배치함으로써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의 무게 중심이나 균형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단위 무게조절장치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케이블(30)에 매달려 공중 하강한 체험객의 장비를 해체할 때 체험객이 올라서는 장비 해체 발판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전술한 수납부 형태의 무게조절장치(60a)를 이용하면,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의 설치시 수납부에 내용물을 채워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이 케이블(30)의 장력에 대하여 안정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의 이동시 수납부에 채워진 내용물을 빼내어 제거함으로써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의 무게를 줄여 운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전술한 무게조절장치(60a)는 수납부 형태를 구비하지 않고, 케이블(30)의 장력에 견딜 수 있도록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에 무게를 부여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물체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한 물체로서 일정량의 무게를 구비한 콘크리트 형태의 구조물이나 강철판(도 7 참조부호 60c 참조) 등을 설치하여 케이블(30)의 장력에 대응하여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의 무게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시스템에 채용가능한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우선, 도 2를 참조하면, 지면 상에 놓인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을 케이블(30)의 장력에 견디도록 고정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의 지지부(60)는 전술한 무게조절장치(60a) 이외에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을 지지케이블(60b)을 통해 별도의 지지구조물(5)에 고정하는 구조를 구비한다. 지지구조물(5)은 고정 지주대로서 일정 크기 이상의 암석, 지면에 견고히 박혀있는 나무, 말뚝 형태의 지주대, 콘크리트 구조물 등을 포함한다. 물론, 차량 등의 무거운 물체를 지지구조물 대용으로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케이블(60b)은 케이블(30)에서 일체로 연장되거나 고리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케이블(30)의 말단부가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의 뒤쪽이나 옆쪽에 위치하는 지지구조물(5)에 고정되도록 기능한다. 이러한 지지케이블(60b)에 이용하면,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은 케이블(30)의 장력에 잘 견디는 안전한 구조물 형태를 구비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은 박스 형태의 철골 구조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은 이동이 용이하면서 외부의 힘이나 장력에 견딜 수 있도록 강관이나 강판 등을 이용하여 박스 형태로 제조된다. 박스 형태의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은 크레인 작업이나 지게차 작업시 와이어를 연결을 용이하게 하도록 체결공이나 체결용 요철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박스 형태의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은 케이블(30)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것으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타 다른 용도(매표소, 커피숍, 작업실, 휴게실, 침실, 창고 등)로 사용 가능하다. 즉,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적어도 유지관리나 관리운영 측면에서 효율적인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철골 구조물의 무게를 이용하여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을 지지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30)의 장력에 견딜 수 있도록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에 설치되는 지지부(60) 또는 지지부(60a)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박스 형태의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은 적어도 하나의 측벽을 이용하여 도착 데크(50)를 설치할 수 있다. 도착 데크(50)는 박스 형태의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에 힌지 결합된 측벽을 윈치 등을 이용하여 개폐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을 원하는 위치에 안착시킨 후 측벽을 개방하는 방식으로 도착 데크를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도착 데크(50)로 기능하는 측벽은 두 개로 분할되고, 분할된 두 개의 측벽들(50a, 50b)은 그 접촉부(52)가 힌지 등의 결합구조에 의해 절곡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착 데크(50)는 두 측벽들의 크기를 늘렸다 줄였다 할 수 있도록, 예컨대 그 크기가 약 3×3㎡에서 3×4㎡, 3×5㎡ 등으로 변할 수 있도록, 도착 데크(50) 상에 설치되는 별도의 보조 패널(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그 경우, 도착 데크(50)는 홈이나 경사지가 있는 곳에서도 안전 도착 데크 시설로써 이용가능하다.
또한,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은 케이블(30)의 일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나 구성부를 구비한다(도 7 참조). 그리고,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은 케이블(30)에 매달려 미끄려져 내려오는 체험객의 하강을 정지시키기 위한 브레이크 장치를 구비한다. 브레이크 장치는 케이블(30) 상에서 체험객을 매달고 접동하는 풀리(미도시)와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과의 사이에서 풀리의 이동 또는 하강을 멈추도록 기능한다.
전술한 브레이크 장치는 일 실시예에서 탄성부재(70)와 탄성부재(70)와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 사이에 설치되어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 상에서 탄성부재(70)의 일단을 지지하는 스페이서(71)를 구비할 수 있다. 탄성부재(70)는 예컨대 케이블(30)에 결합하여 케이블(30) 상에서 접동하는 트롤리와의 충돌시 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스프링이나 스펀지 등으로 구현가능하다. 이 경우, 케이블(30)은 브레이크 장치의 일정 거리 앞 측에서 체험객의 하강 속도를 어느 정도 저감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70)가 설치된 높이(해발고도)와 거의 동일하거나 그 높이보다 지면 측으로 약간 처진 형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은 케이블(30)의 당겨짐 또는 처짐 정도에 따라 케이블(30)이 박스 형태의 철골 구조물과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박스 형태의 철골 구조물의 일측에 케이블 인입용 개구부(21)를 구비할 수 있다. 케이블 인입용 개구부(21)는 창문 형태로 열리거나 닫히는 구조 또는 뚜껑 형태로 분리되거나 덮는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은 도착 데크(50)에 착지한 체험객이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과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부(80)를 구비할 수 있다. 완충부(8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가능한데, 본 실시예에서는 박스 형태의 철골 구조물 안쪽에 설치된 쿠션 패드(80)를 완충부(80)로서 예시하고 있다. 쿠션 패드(80)에는 솜이나 공기 등이 채워질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의 시스템에 채용가능한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은 박스 형태의 철골 구조물로 구성되고, 차량(3)이나 배에 탑재되어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100a)이 설치되는 장소로 이동된다. 또한,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은 차량(3)이나 배에 탑재된 상태에서 지상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차량(3)에 탑재된 하나 이상의 유압장치(62)를 이용하여 지면 상에서 차량(3)과 차량에 탑재된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을 들어올려 차량에 탑재된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이 차량(3)과 함께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유압장치(62)는 유압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켜서 선형 운동을 하는 수단이나 구성부를 지칭하는 것으로, 유압식 잭(jack), 유압 실린더 등을 포함한다.
전술한 경우,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의 자체 무게에 차량(3)의 무게를 추가할 수 있으므로,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에 작용하는 케이블(30)의 장력에 대응하여 효과적으로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정 거리(예컨대 약 200m) 이상까지 케이블(30)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어 다양한 지형지물과 인공구조물을 이용하여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100a)을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은 상자 형태의 철골 구조물로서 적어도 일측면에 설치되는 개구부(52), 및 개구부(52)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도어(53)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도어(53)는 전술한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의 측벽에 대응한다. 그리고, 박스 형태의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에서 개방된 상태의 도어(53)는 도착 데크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은 도어(52)의 개폐를 위한 전동장치(90)를 구비할 수 있다. 전동장치(90)는 도착 데크(50)로 사용되는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의 도어(52)를 간편하게 올렸다 내릴 수 있는 수단 또는 그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부를 지칭한다. 전동장치(90)는 와이어(91)를 감거나 풀어서 도어(52)을 올리거나 내릴 수 있는 윈치(winch), 도르래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은, 도착 데크로 기능하는 도어(52)를 지지하는 기반 구조물(63)을 구비한다. 기반 구조물(63)은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 예컨대 기둥 형태의 지지대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기반 구조물(63)은 도어(53)의 일면에 설치된 고정부(63a, 도 4 참조)에 삽입되거나 끼워져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고, 지면에 맞닿는 부분에 몸통 부분보다 면적이 큰 받침대를 덧대어 위로부터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기반 구조물(63)을 이용하면, 도착지의 지면 구조가 평평하지 않은 경우에도 도어(52)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도착 데크를 설치할 수 있다.
전술한 기반 구조물(63)은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이 놓이는 지면의 상태나 형태에 따라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의 수평 유지, 높이 조절 등을 위하여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의 하부 측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3)에 탑재된 상태로 고정되고 그 한쪽 측벽 또는 도어(52)를 개방하여 도착 데크를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로서, 도착 데크 상에 바닥 완충부(80a)를 구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바닥 완충부(80a)는 도착 데크 상에 착지하는 체험객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체험객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며 체험객의 무릎 등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기능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된다. 예컨대, 바닥 완충부(80a)로는 인조 잔디, 매트릭스, 쿠션 패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에 채용가능한 케이블연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은 출발지 구조물,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a), 케이블(30), 출발 데크, 도착 데크(50), 지지부(60c) 및 케이블연결장치(90)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출발지 구조물, 케이블, 출발 데크 및 도착 데크(5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것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a)은 또 다른 형태의 지지부(60c) 및 새로이 케이블연결장치(9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부(60c)는 박스 형태의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a)의 내측 바닥에 설치된 강판을 구비한다. 이러한 강판을 포함하는 지지부(60c)는 무게조절장치나 지지케이블을 대체하여 사용되거나 케이블(30)의 장력의 크기에 따라 무게조절장치 및/또는 지지케이블과 함께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a)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지지부(60c)로서 강판은 일례이며 본 실시예의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a)은 물 등의 액체나 모레, 흙 등의 고체 등과 같이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a)의 자체 무게를 증가시킬 수 있는 수단을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a)의 바닥 측에 설치되는 소정 공간에 채워서 강판의 기능을 대체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케이블연결장치(90)는 케이블(30)의 장력이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하면서 케이블(30)의 일단부를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a)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블연결장치(90)는 복수의 제1 고리들(91), 제1 케이블고정부(92) 및 제2 케이블고정부(93)를 구비하도록 구현된다.
복수의 제1 고리들(91)은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 상의 적어도 두 방향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이 경우, 두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예컨대,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고리들은 케이블(30)의 연장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되고, 나머지 한 방향(예컨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고리들은 케이블(30)의 위치와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복수의 제1 고리들(91)은 케이블(30)의 위치에 따라 그 장력이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 상의 적절한 위치에 분산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고리들(91)의 용이한 설치를 위하여 복수의 제1 고리들(91)이 고정된 모듈 형태의 고리 모듈(91a, 91b, 91c)을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a)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제1 케이블 고정부(92)는 복수의 제1 고리들(91) 중 어느 하나에 케이블(30)의 말단부를 연결하여 케이블(30)을 고정한다. 제1 케이블 고정부(92)는 케이블(30)의 결속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설치된다. 예를 들어, 제1 케이블 고정부(92)는 턴버클(turnbuckles), 웨이지소켓(wedge sockets), 클립(clip)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그 경우, 제1 케이블 고정부(92)는 체인 블록 또는 블록 체인(block chain), 레버블록(lever block), 클램프(clamp), 캠어롱(cam-a-long) 등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해체될 수 있다. 클램프와 캠어롱을 이용하면, 와이어에 손상을 주지 않고, 와이어를 고정할 수 있다. 와이어가 손상되면 다음 설치시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
제2 케이블 고정부(93)는 복수의 제1 고리들(91) 중 또 다른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케이블(30)과 제1 케이블 고정부(92)와의 사이에서 케이블(30)의 연장 방향이 바뀌도록 케이블(30)의 말단부로부터 소정 간격 떨어진 부분을 잡아당긴다. 예를 들어, 제2 케이블 고정부(93)는 제1 고리에 고정된 웨이지소켓의 일단부에 결합하는 턴버클에 회전가능하게 맞물린 도르래(93a)나 그와 유사한 수단을 통해 케이블(30)의 연장 방향을 90°이상 변경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a) 측에 위치하는 케이블(30)의 말단부는 적어도 2개의 케이블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므로, 케이블(30)에 의해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a)에 걸리는 장력을 효과적으로 분산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a)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의 출발지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100b)은, 이동형 출발지 구조물(110),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미도시), 케이블(30), 출발 데크(113), 도착 데크(미도시) 및 지지부(60b)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 케이블(30), 도착 데크 및 지지부(60b)는 전술한 실시예의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에 대응 구성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각 구성요소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동형 출발지 구조물(110)은 원기둥 형태의 강관(111)을 이용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강관(111)에는 체험객이 잡고 올라갈 수 있는 수단 예컨대 사다리(112) 또는 그와 유사한 구성부가 설치될 수 있다. 사다리(112)는 원형 계단, 그물, 외줄 등과 같이 사다리 기능을 할 수 있는 수단으로 대체 가능하다. 또한, 이동형 출발지 구조물(110)의 상단부에는 출발 데크(113)가 설치된다. 출발 데크(113)는 강관(111)의 일정 높이에서 체험객이 올라설 수 있는 발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체험객의 안전을 위해 소정의 난간(114)을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이동형 출발지 구조물(110)은 전술한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 20a)과 유사하게 자유로이 이동 설치될 수 있으며, 해체시 박스 형태의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에 적재되어 운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이동형 출발지 구조물(110)은 안정적인 설치를 위해 하부에 설치되는 받침대(115) 및 받침대(115)를 지면에 고정하는 앵커(116)를 구비한다. 받침대(115)는 일정 무게의 강판을 이용하여 설치될 수 있고, 앵커(116)는 받침대(115)를 관통하여 지면에 일정 길이만큼 박힌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앵커(116)는 일 실시예이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강판 위에는 무거운 물질 예컨대 콘크리트 덩어리, 액체나 고체를 넣은 부하 장치 또는 무게 조절 장치를 올려질 수 있다.
이러한 받침대(115)와 앵커(116) 및 지지케이블(60b)과 지지구조물(5)의 조합을 이용하면, 지면 상에 이동형 출발지 구조물(110)을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 20a)에 더하여 이동형 출발지 구조물(110)을 이용하면, 다양한 장소에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출발지 구조물은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0, 20a)과 일정 거리를 두고 위치하는 다양한 지형지물 및 인공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지형지물은 건물, 나무, 언덕, 바위, 교량, 번지점프대, 암벽등반 구조물, 놀이시설, 차량, 선박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인공구조물은 원통, 사각 또는 삼각 형태의 철골 구조물을 포함한다. 그리고, 출발 데크는 지형지물 주위 또는 인공구조물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발 데크는 원통 형태의 철골 구조물 상부에 설치되어 작업자나 체험자가 철골 구조물의 측면에 고정된 사다리를 통해 지면에서 출발 데크로 올라가서 케이블(30)에 매달려 공중 하강을 체험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100c)은 차량이나 배 등의 운송수단에 의해 운반되어 제1 지점에 제1 높이로 설치되는 이동형 출발지 구조물(210); 운송수단에 의해 운반되어 제1 지점과 일정 거리를 둔 제2 지점에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로 설치되는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20); 이동형 출발지 구조물(210)과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20) 사이를 연장하도록 설치되는 케이블(230); 이동형 출발지 구조물(210) 상에 위치하는 출발 데크(240);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20) 상에 위치하는 도착 데크(250); 이동형 출발지 구조물(210)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도 10의 참조부호 261 참조); 및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20)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262)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20), 케이블(230), 도착 데크(250), 제2 지지부(262) 및 브레이크 장치(270)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대응 구성요소들(20, 30, 50, 60/60a, 7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이동형 출발지 구조물(210)은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게 제작된 제1 철골 구조물(211) 및 제2 철골 구조물(212)을 구비한다. 제1 철골 구조물(211)은 1층 구조물에 대응하고, 제2 철골 구조물(212)은 2층 구조물에 대응될 수 있다. 이동형 출발지 구조물(210)은 차량(3)에 의해 운반된 제1 철골 구조물(211)을 지면에 배치한 후, 제1 철골 구조물(211) 위에 제2 철골 구조물(212)을 적층함으로써 그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철골 구조물(212) 위에 제3 철골 구조물(미도시)이 적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출발 데크(240)는 제2 철골 구조물(212)의 상부에 설치된다. 한편, 본 고안은 2층 구조물로 한정되지 않고 3층이나 4층 구조물을 구비할 수 있으며, 그 경우 출발 데크는 최상층에 설치된다.
도 10 및 도 11은 도 9의 시스템에 채용가능한 이동형 출발지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이동형 출발지 구조물(240)은 1층 구조물(211) 및 2층 구조물(21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지면과 출발 데크(240)를 연결하는 계단구조물(213)을 구비한다.
출발 데크(240)는, 2층 구조물(212)의 상부 구조(241) 상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케이블(230)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지지대(242), 및 2층 구조물(212) 상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난간 또는 난간대(243)를 구비한다.
또한, 이동형 출발지 구조물(240)은 제1 지지부(261)에 의해 별도의 지지구조물에 고정된다. 제1 지지부(261)는 이동형 출발지 구조물(240)과 지지구조물을 연결하는 지지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형 출발지 구조물(210)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261)는, 지지케이블 형태 이외에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이동형 출발지 구조물(210)에 대하여 일정량의 무게를 증가시킬 수 있는 수단이나 구성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이동형 출발지 구조물(210)에는 그 설치 높이나 케이블(230)의 길이 등에 따라 무게조절장치나 강판, 철근 콘크리트 등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형 출발지 구조물을 1층과 2층으로 분리된 형태를 가지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을 그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일체형으로 만들어진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H빔 등을 사용하여 소정 높이(예컨대, 약 6M)의 구조물을 제작하고 트레일러로 이동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이동형 출발지 구조물(240)의 골격을 형성하는 1층 구조물(211)과 2층 구조물(212)은 고정장치(214)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고정장치(214)는 1층 구조물(211)과 2층 구조물(212)을 연결하고, 2층 구조물(212)이 1층 구조물(211) 상에서 밀리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된다. 예컨대, 고정장치(214)는 일자 형태 이외에 기억자, T-자 등의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이동형 출발지 구조물(240)에는 추가적인 지지부의 일례로서 강판(263)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강판(263)은 1층 구조물(211)이나 2층 구조물(212)에 결합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1층 구조물(211)과 2층 구조물(212)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그 경우, 강판(263)은 1층 구조물(211)과 2층 구조물(212)의 요철부가 각각 삽입되는 홈 또는 홀을 구비함으로써 지지부의 기능과 함께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한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2의 시스템에 채용가능한 이동형 출발지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100d)은 차량이나 배 등의 운송수단에 의해 운반되어 제1 지점에 제1 높이로 설치되는 이동형 출발지 구조물(310); 운송수단에 의해 운반되어 제1 지점과 일정 거리를 둔 제2 지점에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로 설치되는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20); 이동형 출발지 구조물(310)과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 사이를 연장하도록 설치되는 케이블(230); 이동형 출발지 구조물(310) 상에 위치하는 출발 데크(340);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20) 측에 위치하는 도착 데크; 이동형 출발지 구조물(310)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261); 및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220)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262)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이동형 출발지 구조물(310)은 차량(3)에 의해 운반된 사각 박스 형태의 1층 구조물(311)을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고, 사각 박스 형태의 1층 구조물(311) 위에 삼각 박스 형태의 2층 구조물(312)을 적층함으로써 기본 골격을 형성한다. 1층 구조물(311)은 H빔, 강판 등으로 운반 및 설치 용이성을 고려하여 가급적 무거운 구조 및 형태를 구비하도록 제조된다. 2층 구조물(312)은 1층 구조물(311) 상에 적층된 후 출발 데크(34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제작된다.
1층 구조물(311)과 2층 구조물(312)에는 사다리(313a,313b) 또는 사다리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수단이나 구성부가 각각 설치된다. 사다리(313a, 313b)는 별도의 부재로 제작되어 각 구조물(311, 312)에 결합되거나 각 구조물의 일부분을 변형시켜 설치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출발 데크(340)도 2층 구조물(312)의 일부분을 이용하여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층 구조물(312)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삼각 박스 형태의 3층 구조물의 일측면이 부분적으로 열려서 출발 데크의 발판(312a)을 형성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발판(312a)은 발판의 개방시, 2층 구조물(312)에 결합된 관절부(312c)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대(312b)의 일단이 발판(312a)의 밑면에서 슬라이딩하여 지지대(312b)의 몸체가 2층 구조물(312)의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하는 형태로 구현되고, 발판의 폐쇄시, 지지대(312b)의 일단이 발판(312a)의 밑면 상에서 2층 구조물(312)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슬라이딩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출발 데크(340)는, 2층 구조물(312)의 변형에 의해 설치되는 발판(312a) 상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케이블(230)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지지대(342), 및 2층 구조물(312) 상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난간 또는 난간대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은 이동형 출발지 구조물 또는 1층 구조물과 지면 사이에 설치되며 지면 상에서 구조물의 바닥면이 수평을 형성하도록 동작하는 기반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반 구조물은 도 5 또는 도 6의 출발 데크과 지면 사이에 설치되어 출발 데크를 지지하는 잭(jack) 장치 등을 포함하며, 이러한 기반 구조물은 단위 구조물이 서로 다른 높이로 설치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고, 그것에 의해 출발 데크의 상부측 표면이 중력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기능한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고정형 시스템이 아닌 이동형 시스템으로 설치와 해체가 간단하여 언제든지 분리하여 다른 곳으로 이동하여 재설치가 가능한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로 교통법에 위배되지 않도록 화물차나 트럭의 적재함에 용이하게 탑재할 수 있으므로 차량이 갈 수 있는 곳이라면 어느 곳이라도 찾아가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한 곳에 고정되지 않으므로 해당 지역에서의 성수기가 끝나면 다른 지역의 성수기에 맞추어 이동하여 영업을 할 수 있는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전국의 축제장, 행사장, 해수욕장, 스키장, 대도시 유원지, 한강 고수부지, 학교축제, 지자체 체육대회, 박람회, 군부대 등과 같이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에도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다. 아울러, 조립식의 매뉴얼화된 설치, 운영 및 해체 시스템을 통해 신속하고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한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 지지대(12, 242, 342)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대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와이어의 거리 또는 하강 거리에 따라 간편하게 출발지의 높이를 소정 범위 내에서 간편하게 조정하기 위하여 다단으로 신축 또는 축소되고 볼트 등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은 케이블 등의 장비를 보관하는 보관대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및 도면 등의 전체적인 기재를 참조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며,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100a, 100b, 100c, 100d: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
10a, 110, 210, 310: 출발지 구조물
20: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
30, 130, 230: 케이블
60a, 60b, 60c, 262: 지지부
10a, 110, 210, 310: 출발지 구조물
20: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
30, 130, 230: 케이블
60a, 60b, 60c, 262: 지지부
Claims (19)
- 소정 높이의 출발지 구조물;
차량이나 선박에 의해 운반되어 상기 출발지 구조물과 일정 거리를 두고 상기 출발지 구조물의 해발고도보다 낮은 해발고도에 설치되는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
상기 출발지 구조물과 상기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 사이를 연장하도록 그 양단부가 상기 출발지 구조물과 상기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에 연결되는 케이블;
상기 출발지 구조물 측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에 매달려 하강할 이동체의 출발 준비를 위한 출발 데크;
상기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 측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에 매달려 하강한 이동체의 착지를 위한 도착 데크; 및
상기 케이블의 장력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을 지지하거나 상기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에 하중을 부가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은, 적어도 일측면에 설치된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도어를 구비한 상자 형태의 철골 구조물을 포함하되, 상기 도어는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도착 데크로서 기능하고,
상기 출발지 구조물은, 상기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과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이동형 출발지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형 출발지 구조물은, 지면 상에 설치되는 하층 구조물; 상기 하층 구조물 상에 적층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층 구조물; 및 상기 하층 구조물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층 구조물을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출발 데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층 구조물 상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지지대; 및 상기 상층 구조물 상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난간대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형 출발지 구조물은, 상기 하층 구조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층 구조물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지면과 상기 출발 데크를 연결하는 계단구조물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는, 액체 또는 고체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와, 액체 또는 고체를 주입 또는 배출할 수 있는 밸브를 포함하되 상기 밸브에 의해 수납부에 대한 액체 또는 고체의 주입량을 조절함으로써 케이블의 장력에 대응하여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게조절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의 외부에서 별도의 지지케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을 지지하는 지지구조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은 상기 철골 구조물을 탑재하고 이동가능한 차량이나 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상에서 접동하는 풀리와 상기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과의 사이에서 상기 풀리의 이동 또는 하강을 멈추게 하는 브레이크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은 상기 도어의 개폐를 위한 전동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은 상기 케이블에 매달려 하강한 이동체의 착지 충격을 완화하거나 이동체를 보호하도록 상기 개구부에 설치되는 완충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에 설치되는 매트 또는 쿠션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장력이나 길이를 조절하도록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에 설치되는 케이블연결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연결장치는,
상기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 상의 적어도 두 방향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제1 고리들;
상기 복수의 제1 고리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케이블의 말단부를 연결하는 제1 케이블 고정부; 및
상기 복수의 제1 고리들 중 또 다른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상기 케이블의 연장 방향이 바뀌도록 상기 케이블의 말단부로부터 소정 간격 떨어진 부분을 잡아당기는 제2 케이블 고정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발지 구조물은 상기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과 일정 거리를 두고 위치하는 지형지물을 포함하고, 상기 지형지물은 건물, 나무, 언덕, 바위, 교량, 번지점프대, 인공암벽등반 구조물, 놀이시설, 차량, 선박, 인공구조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구조물은 원형이나 다각형의 단면을 갖는 폴 형태의 철골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출발 데크는 상기 지형지물 주위 또는 상기 인공구조물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케이블의 장력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형 출발지 구조물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이동형 도착지 구조물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이동형 출발지 구조물에 대하여 일정량의 무게를 부여하는 무게조절장치; 상기 이동형 출발지 구조물의 외부에서 지지케이블을 이용하여 이동형 출발지 구조물을 지지하는 지지구조물; 상기 이동형 출발지 구조물에 설치되는 일정 크기의 적어도 하나의 강판; 또는 이들의 조합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 구조물과 지면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지면 상에서 상기 하층 구조물의 바닥면이 수평을 형성하도록 기능하는 기반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3/001899 WO2013137595A1 (ko) | 2012-03-14 | 2013-03-08 |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 |
CN201380012871.9A CN104159645B (zh) | 2012-03-14 | 2013-03-08 | 可移动式悬吊溜索系统 |
PH12014502009A PH12014502009A1 (en) | 2012-03-14 | 2014-09-09 | Movable aerial ropeslide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2040 | 2012-03-14 | ||
KR20120002040 | 2012-03-1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6916U KR20130006916U (ko) | 2013-12-02 |
KR200473613Y1 true KR200473613Y1 (ko) | 2014-07-15 |
Family
ID=51999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20004770U KR200473613Y1 (ko) | 2012-03-14 | 2012-06-05 |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3613Y1 (ko) |
PH (1) | PH12014502009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71848B1 (ko) | 2017-06-29 | 2018-06-27 | 와바다다 (주) | 휠체어 체결이 가능한 하강 레저 체험장치 |
KR20210151383A (ko) | 2020-06-05 | 2021-12-14 | 홍진표 | 다목적 공중 이동 및 하강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48962B1 (ko) * | 2014-02-25 | 2015-09-01 | 와바다다 (주) | 레포츠 체험시설용 계단 겸용 안전완충장치 |
KR101454216B1 (ko) * | 2014-04-29 | 2014-10-23 | 어드벤처닷케이알(주) | 케이블 장력조절 및 백업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67788U (ko) * | 1980-10-13 | 1982-04-23 | ||
US4348960A (en) | 1979-10-10 | 1982-09-14 | Westamarin A/S | Aerial cableway between a sea vessel and a fixed installation |
KR101032886B1 (ko) | 2009-12-21 | 2011-05-06 | 짚라인코리아 (주) | 와이어를 이용한 레저용 비행 시설물 |
-
2012
- 2012-06-05 KR KR2020120004770U patent/KR200473613Y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
- 2014-09-09 PH PH12014502009A patent/PH12014502009A1/en unknow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348960A (en) | 1979-10-10 | 1982-09-14 | Westamarin A/S | Aerial cableway between a sea vessel and a fixed installation |
JPS5767788U (ko) * | 1980-10-13 | 1982-04-23 | ||
KR101032886B1 (ko) | 2009-12-21 | 2011-05-06 | 짚라인코리아 (주) | 와이어를 이용한 레저용 비행 시설물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비특허문헌 * |
비특허문헌*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71848B1 (ko) | 2017-06-29 | 2018-06-27 | 와바다다 (주) | 휠체어 체결이 가능한 하강 레저 체험장치 |
KR20210151383A (ko) | 2020-06-05 | 2021-12-14 | 홍진표 | 다목적 공중 이동 및 하강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6916U (ko) | 2013-12-02 |
PH12014502009A1 (en) | 2014-11-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45159B1 (ko) | 복층 케이블 보도 현수교 | |
US20090266267A1 (en) | System for tower- and cable-based transportation structure | |
KR101556968B1 (ko) | 난간 주케이블을 이용한 난간 일체형 보도 현수교 및 그 시공 방법 | |
KR200473613Y1 (ko) |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 | |
EP0318421B1 (en) | Cable-stay roof for stadium or arena and method of construction of same | |
US10053115B2 (en) | Integrated bollard, anchor, and tower (IBAT) apparatus and method | |
US20120006621A1 (en) | Movable modular scaffold system for building works and method to form it | |
CN108699850A (zh) | 建筑结构和方法 | |
CN109184190A (zh) | 爬升与承载一体化的梁式液压爬升平台及其安装方法 | |
AU2009222526A1 (en) | Lifting apparatus for a building under construction | |
US4098036A (en) | Elevated train station | |
JP5201633B2 (ja) | 工事用足場における二段手摺先行構造 | |
US9133642B2 (en) | Platform assembly mobile within a cylindrical structure | |
CN104159645B (zh) | 可移动式悬吊溜索系统 | |
CN205543952U (zh) | 一种液压装配式跨越专用设备 | |
CN204163369U (zh) | 一种可折叠附着式升降外墙脚手架 | |
WO2001023688A1 (en) | Outer-wall protection system | |
KR102579624B1 (ko) | 클라이밍 구조물 | |
RU2806378C2 (ru) | Быстровозводимая опора для линий электропередач и способ ее возведения | |
CN118209436A (zh) | 一种可移动抽拉式组合边坡坡面模型装置 | |
JP2023007837A (ja) | 重力式揚重装置 | |
RU2287476C2 (ru) | Лифт для инвалида в коляске, самоустанавливающийся в горизонтальной плоскости | |
AU2013100588A4 (en) | Veranda roof and decking system | |
CN117529592A (zh) | 机场结构及其建造 | |
KR200312660Y1 (ko) | 터널형 방음벽 시공용 소형 이동식 작업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