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1848B1 - 휠체어 체결이 가능한 하강 레저 체험장치 - Google Patents

휠체어 체결이 가능한 하강 레저 체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1848B1
KR101871848B1 KR1020170082534A KR20170082534A KR101871848B1 KR 101871848 B1 KR101871848 B1 KR 101871848B1 KR 1020170082534 A KR1020170082534 A KR 1020170082534A KR 20170082534 A KR20170082534 A KR 20170082534A KR 101871848 B1 KR101871848 B1 KR 101871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chair
experience
trolleys
lifting
t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2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표
Original Assignee
와바다다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바다다 (주) filed Critical 와바다다 (주)
Priority to KR1020170082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18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22Suspended slideways

Landscapes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체어 이용 체험자에게 트랙에 매달린 상태로 공중하강 체험을 가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휠체어를 상기 트랙에 매달기 위해 구비되는 현가프레임(100); 상기 현가프레임을 상기 트랙에 연결하며, 상기 트랙에 전후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및 제2트롤리(50,60); 상기 제1 및 제2트롤리를 서로 연결하여 이들 트롤리가 정해진 간격을 넘어서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와이어(70); 및 탄성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트롤리 사이에서 소정의 길이만큼 상기 보조와이어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트롤리의 사이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부재(80);을 포함하는 휠체어 체결이 가능한 하강 레저 체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스 형태의 체험공간을 형성하고, 체험공간 내부에 휠체어를 매달아 공중하강체험을 가상으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이동이 불편한 장애인에게도 야외활동 경험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게 되며, 휠체어를 직접 공중하강 체험시스템에 매달고 하강하는 시설에도 적용할 수 있으므로, 휠체어 이용자가 직접 공중하강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발휘된다.

Description

휠체어 체결이 가능한 하강 레저 체험장치{AIR DESCENT LEISURE EXPERIENCE APPARATUS FOR WHEEL CHAIR}
본 발명은 휠체어 이용자를 위한 휠체어 체결이 가능한 하강 레저 체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중하강 체험은 양편의 나무 또는 지주대 사이로 튼튼한 와이어를 설치하여 탑승자와 연결된 트롤리(Trolley)를 와이어에 걸어 빠른 속도로 반대편으로 이동하는 레포츠이다.
이와 같은 공중하강 체험은 자연환경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시공이 이루어지고, 별도의 동력장치가 필요하지 않아 설치부터 운영까지 친환경적이며, 자연 속에서 맑은 공기를 마시며 하늘을 날고, 자연과 어우러져 호흡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최근 들어 인기가 상승해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공중하강 체험은 최소 50m 이상의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하여, 실내, 설치 공간이 좁은 지역, 체험에 위험요인이 되는 장애물이 많은 실외 부지에서는 설치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중하강 체험은 높은 위치에서 체험이 진행되므로 고소공포증을 호소하거나, 장비안전문제를 염려하는 체험자의 경우 실질적으로 탑승이 어렵고, 아동의 경우 안전문제를 고려하여 체험 시 보호자를 동반하여 탑승하게 되어 아동과 보호자 모두 만족스러운 체감효과를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현재 하강레포츠체험시설 및 페러글라이딩, 낙하산 등은 비장애인과 혼자 걷는 장애인만이 이용 가능하다. 하강레포츠 체험시설은 타워에서 일정한 거리를 체험와이어를 연결하여 트롤리와 안전 장구를 이용하여 반대편 도착지로 이동하는 체험시설로 아라나비, 짚트랙, 짚라인, 짚와이어 등 다양한 체험스포츠가 존재함에도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에게는 접근할 수 없는 것이 문제였다.
그러므로, 휠체어 사용자에게 공중하강체험을 경험하게 할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3613호
본 발명은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에게도 공중하강 체험을 제공할 수 있는록 한 휠체어 체결이 가능한 하강 레저 체험장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휠체어 이용 체험자에게 트랙에 매달린 상태로 공중하강 체험을 가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휠체어를 상기 트랙에 매달기 위해 구비되는 현가프레임(100); 상기 현가프레임을 상기 트랙에 연결하며, 상기 트랙에 전후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및 제2트롤리(50,60); 상기 제1 및 제2트롤리를 서로 연결하여 이들 트롤리가 정해진 간격을 넘어서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와이어(70); 및 탄성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트롤리 사이에서 소정의 길이만큼 상기 보조와이어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트롤리의 사이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부재(80);을 포함하는 휠체어 체결이 가능한 하강 레저 체험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현가프레임은 전방에 제1연결점(C1)과 후방에 두 개의 제2연결점(C2)을 구비한 삼각형 형상이며, 상기 제1 및 제2연결점과 제1 및 제2트롤리를 각각 연결하는 제1 및 제2와이어(110, 1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와이어(120)는 제2트롤리(60)에 구비되는 고리를 관통하여 양단이 제2연결점(C2)에 각각 연결되어 연결되어 휠체어를 공중에 매달게 되며, 상기 제2트롤리(60)와 두 개의 제2연결점(C2)은 ㅅ 형상을 이룬다.
상기 휠체어에 연결되어 하방으로 장력을 가하는 와이어부재(160a, 160b); 상기 와이어를 당겨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장치(170a,170b); 및 체험자에게 이동경로에 관한 영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휠체어를 공중하강 체험 시작 위치로 상승시키기 위한 리프팅장치(200) 또는 경사 리프팅부재(30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스 형태의 체험공간을 형성하고, 체험공간 내부에 휠체어를 매달아 공중하강체험을 가상으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이동이 불편한 장애인에게도 야외활동 경험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휠체어를 직접 공중하강 체험시스템에 매달고 하강하는 시설에도 적용할 수 있으므로, 휠체어 이용자가 직접 공중하강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발휘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이용자를 위한 가상 공중하강 체험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하강 체험장치에서 휠체어를 매달리는 모습을 보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하강 체험장치의 트랙 간격유지부재의 모습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하강 체험장치에서 휠체어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리프팅장치의 하나의 예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하강 체험장치에서 훨체어를 체험 개시 위치로 상승시키는 오름장치의 모습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하강 체험장치를 이용하여 가상 체험을 실시하는 모습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이용자를 위한 가상 공중하강 체험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하강 체험장치에서 휠체어를 매달리는 모습을 보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하강 체험장치의 트랙 간격유지부재의 모습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하강 체험장치에서 휠체어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리프팅장치의 하나의 예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하강 체험장치에서 훨체어를 체험 개시 위치로 상승시키는 오름장치의 모습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하강 체험장치를 이용하여 가상 체험을 실시하는 모습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휠체어 장애인(이하, '체험자'라 함)용 공중하강 체험 장치(10)는 체험자가 휠체어를 탑승한 채로 휠체어를 공중에 매달아 부양시키고 공중 하강 체험을 가상으로 간접적으로 하게 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구조를 보면, 체험자의 머리 윗쪽에 설치되는 수평 바(11)와, 수평 바(11)의 일단부에 설치되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1 풀리(12)와, 상기 수평 바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제2 풀리(13)와, 제1 풀리(12) 및 제2 풀리(13)에 감겨서 순환하는 순환 트랙(14)을 포함한다.
수평 바(11)는 전체적으로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철제 프레임의 상부에 체험자의 머리 윗쪽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다.
제1 풀리(12)는 상기 수평 바(11)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형성된 홈을 관통하여 제1 풀리(12)의 하부 일부분이 수평 바(11)의 저면 밖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제1 풀리(12)의 중심축은 모터(미도시)와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한다. 모터는 후술하는 컨트롤러(50)의 모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 데이터에 의해 회전 속도가 제어된다. 또한, 제2 풀리(13) 또한 수평 바(11)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에 형성된 홈을 관통하여 제2 풀리(13)의 하부 일부분이 수평 바(11)의 저면 밖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제2 풀리(13)는 모터와 연결되지 않는다.
순환 트랙(14)은 와이어 또는 로프로 형성되며, 제1 풀리(12)와 제2 풀리(13)에 감겨 모터에 의해 제1 풀리(12)가 회전하면 제1 풀리(12)의 회전 방향으로 함께 순환 회전한다.
또한, 공중하강 체험 장치(10)는, 순환 트랙(14)에 배치되는 트롤리(50, 60)에 체험자가 탑승한 휠체어(W)가 매달려 공중에 부양되도록 한다. 상기 트롤리(50, 60)의 상측에는 별도의 보조트롤리(16)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트롤리(50, 60)는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전방에 위치하는 제1트롤리(50)와 후방에 위치하는 제2트롤리(60)로 이루어지고, 순환 트랙(14)의 하부 라인에 얹혀져서 내측으로 순환 트랙(14)의 하부 라인이 통과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예컨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트롤리(50, 60)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측에 순환 트랙(14)을 상측 및 하측에서 지지하는 복수 개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휠체어(W)를 상기 트롤리(50, 60)에 매다는 것을 설명한다.
휠체어(W)를 상기 순환 트랙(14)에 매달기 위한 현가프레임(100)을 구비한다. 상기 현가프레임은 원형이나 삼각형 내지 사각형도 가능하나 여기서는 편의상 삼각형 형상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현가프레임(100)의 삼각형 형상의 세 꼭지점에는 체험자의 위치에서 보아 전방의 꼭지점에는 제1연결점(C1)이라하고 후방의 두 꼭지점을 제2연결점(C2)이라고 하고, 상기 제1연결점(C1)에는 제1와이어(110)가 연결되고, 후방의 두 꼭지점인 제2연결점(C2)에는 제2와이어(120)가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와이어는 상기 제1트롤리(50)에 연결되고, 상기 제2와이어(120)는 제2트롤리(60)에 구비되는 고리를 관통하여 양단이 제2연결점(C2)에 각각 연결되어 연결되어 휠체어를 공중에 매달게 된다. 상기 제2와이어(120)는 제2트롤리(60)와 두 개의 제2연결점(C2)에 각각 매달려서 ㅅ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1연결점(C1)과 상기 휠체어의 전방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휠체어로프(150a)와 상기 제2연결점(C2)과 상기 휠체어의 후방 프레임을 연결하는 두개의 제2휠체어로프(150b)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휠체어로프(150a)와 제2휠체어로프(150b)의 하단은 각각 휠체어의 프레임에 적절한 곳에 부착되며 부착을 위한 별도의 고리 또는 잠금장치를 더 구비할 수도 있고, 부착 지점은 휠체어 프레임의 적절한 곳에 부착된다. 도 2에서 부착지점은 하나의 예시를 보여준 것일 뿐이며 그림상 부착지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휠체어로프(150a)는 전체적으로 보아 삼각형 형상이고, 휠체어 전방의 프레임 두 지점과 상기 제1연결점(C1)에서 삼각형의 세 꼭지점이 연결되는 형상이다. 그리고, 휠체어에는 휠체어 탑승자의 신체를 감싸서 휠체어에 고정하여 보호하는 안전밴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순환 트랙(14)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트롤리(50)와 제2트롤리(60) 사이에는 이들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보조와이어(70)와 간격유지부재(80)가 구비된다. 상기 보조와이어(70)는 상기 제1트롤리(50)와 제2트롤리(60)를 서로 연결하여 제1트롤리(50)와 제2트롤리(60) 사이의 간격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간격유지부재(80)는 상기 제1트롤리(50)와 제2트롤리(60) 사이 간격이 너무 가까지면 간격유지부재에 부딪혀서 이들 트롤리가 더 이상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하강 체험장치에서 휠체어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리프팅장치의 하나의 예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하강 체험장치에서 훨체어를 체험 개시 위치로 상승시키는 오름장치의 모습이다. 본 발명에서 공중하강 체험을 위해서는 휠체어에 체험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일정 높이의 체험 시작 위치로 휠체어가 이동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리프팅장치(200)를 이용하여 일정 높이로 상승한 상태에서 체험을 시작할 수도 있고, 상기 리프팅장치에는 유압을 이용하기 위한 유압장치 또는 전기모터를 구비한다.
도 5와 같이 공중하강 체험을 위해 휠체어에 체험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일정 높이의 체험 시작 위치로 휠체어를 상승 이동시키는 경사 리프링부재(300)를 구비할 수도 있다. 경사 리프팅부재의 경사면(350)을 타고 휠체어를 밀고 올라간 후 휠체어 고정수단(360)을 이용하여 휠체어가 굴러가지 않도록 일정 지점에 고정한다. 이때 고정수단(360)은 뒤 바퀴를 고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공중하강 체험이 시작되는 시점에 상기 고정수단(360)을 제거하여 공중하강을 시작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하강 체험장치를 이용하여 가상 체험을 실시하는 모습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의 공중하강 체험장치에서는 체험자는 VR을 착용한 상태에서 휠체어를 탑승하고 VR의 디스플레이부에서 보여주는 영상을 보면서 체험을 하게 되고, 영상 속 이미지에 따라 전후좌우로 이동하는 효과를 부여하도록 모션제공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모션제공수단은 휠체어의 프레임 내지 바퀴에 연결되어 체험자가 커브구간 또는 승하강 구간을 통과할 경우 휠체어를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당겨 체험자에게 관성효과를 부가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휠체어의 전, 후, 좌, 우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와이어부재(160a, 160b)와, 체험장치의 전, 후, 좌, 우에 각각 설치되어 각 와이어부재(160a, 160b)와 연결되고, 제어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복수의 와이어부재를 당겨 휠체어를 전, 후, 좌, 우로 이동시키는 길이조절장치(170a, 170b)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체험자가 VR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커브구간을 지나게 될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션제공수단이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몸이 쏠리는 효과를 모사하기 위하여 휠체어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당겨 관성효과를 부가할 수 있다. 아울러, 체험자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승하강 구간을 지나게 될 경우, 휠체어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당겨 관성효과를 부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위 설명에서는 공중하강 체험장치를 가상의 체험수단을 이용하여 휠체어 탑승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동일하거나 유사한 공중 하강 시스템을 이용하여 휠체어 탑승 장애인에게 실제 공중하강 체험장치를 이용하여 공중하강 체험을 제공하는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휠체어 이용 체험자에게 트랙에 매달린 상태로 공중하강 체험을 가상으로 제공하는 장치로서,
    휠체어를 상기 트랙에 매달기 위해 구비되는 현가프레임(100);
    상기 현가프레임을 상기 트랙에 연결하며, 상기 트랙에 전후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및 제2트롤리(50,60);
    상기 제1 및 제2트롤리를 서로 연결하여 이들 트롤리가 정해진 간격을 넘어서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와이어(70); 및
    탄성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트롤리 사이에서 소정의 길이만큼 상기 보조와이어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트롤리의 사이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부재(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체결이 가능한 하강 레저 체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가프레임은 전방에 제1연결점(C1)과 후방에 두 개의 제2연결점(C2)을 구비한 삼각형 형상이며,
    상기 제1 및 제2연결점과 제1 및 제2트롤리를 각각 연결하는 제1 및 제2와이어(110, 1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와이어(120)는 제2트롤리(60)에 구비되는 고리를 관통하여 양단이 제2연결점(C2)에 각각 연결되어 연결되어 휠체어를 공중에 매달게 되며, 상기 제2트롤리(60)와 두 개의 제2연결점(C2)은 ㅅ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체결이 가능한 하강 레저 체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에 연결되어 하방으로 장력을 가하는 와이어부재(160a, 160b);
    상기 와이어를 당겨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장치(170a,170b); 및
    체험자에게 이동경로에 관한 영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체결이 가능한 하강 레저 체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를 공중하강 체험 시작 위치로 상승시키기 위한 유압수단을 구비한 리프팅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체결이 가능한 하강 레저 체험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를 공중하강 체험 시작 위치로 경사면을 따라 상승 이동시키기 위한 경사 리프팅부재; 및
    상기 경사 리프팅부재로 이동후 상기 휠체어 바퀴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체결이 가능한 하강 레저 체험장치.
KR1020170082534A 2017-06-29 2017-06-29 휠체어 체결이 가능한 하강 레저 체험장치 KR101871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534A KR101871848B1 (ko) 2017-06-29 2017-06-29 휠체어 체결이 가능한 하강 레저 체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534A KR101871848B1 (ko) 2017-06-29 2017-06-29 휠체어 체결이 가능한 하강 레저 체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1848B1 true KR101871848B1 (ko) 2018-06-27

Family

ID=62789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2534A KR101871848B1 (ko) 2017-06-29 2017-06-29 휠체어 체결이 가능한 하강 레저 체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184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833A (ja) * 1997-06-18 1999-01-19 Sooken:Kk 車椅子昇降装置
KR101212445B1 (ko) * 2012-05-08 2012-12-13 (주)아레스 고공강하 모의훈련 및 가상현실 체험을 위한 시뮬레이터 장치
KR20140060610A (ko) * 2012-11-12 2014-05-21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장애인용 운전시뮬레이터
KR200473613Y1 (ko) 2012-03-14 2014-07-15 와바다다 주식회사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
KR101617370B1 (ko) * 2015-11-09 2016-05-03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좌식 하네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833A (ja) * 1997-06-18 1999-01-19 Sooken:Kk 車椅子昇降装置
KR200473613Y1 (ko) 2012-03-14 2014-07-15 와바다다 주식회사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
KR101212445B1 (ko) * 2012-05-08 2012-12-13 (주)아레스 고공강하 모의훈련 및 가상현실 체험을 위한 시뮬레이터 장치
KR20140060610A (ko) * 2012-11-12 2014-05-21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장애인용 운전시뮬레이터
KR101617370B1 (ko) * 2015-11-09 2016-05-03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좌식 하네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27814C1 (ru) Аттракцион парка развлечений с имитацией движения
KR102170331B1 (ko) 낙하훈련 시뮬레이션 장치
CN204033706U (zh) 一种减重平衡康复训练装置
CN110782732A (zh) 一种用于伞降模拟训练的伞降模拟器
KR101783714B1 (ko) 항공 레포츠 가상 체험을 위한 장치
ES2933948T3 (es) Sistemas y métodos para la gestión de trayectorias de realidad virtual y realidad aumentada
KR101779167B1 (ko) 가상 공중하강 체험 시스템
KR101871848B1 (ko) 휠체어 체결이 가능한 하강 레저 체험장치
CN107600437A (zh) 一种vr跳伞训练模拟器
CN104190009B (zh) 轨道式高楼速降逃生装置
JP2018093968A (ja) バランス訓練装置
KR101844775B1 (ko) 가상현실 플라잉 모션 장치
KR101769027B1 (ko) 가상 공중하강 체험 시스템
KR101934233B1 (ko) 가상현실 기반의 공중부양 시뮬레이션 시스템
CN109152960B (zh) 基于虚拟现实的滑索体验系统
KR20190047311A (ko) 당김부가 마련된 시뮬레이션 장치
JPH08103510A (ja) 救助装置
CN208485477U (zh) 一种可托物品的并列式自动人行道
KR20180077519A (ko) 비행 시뮬레이터
JPH08182787A (ja) スカイダイビング及びパラシュート降下訓練シミュレータ
CN208593382U (zh) 一种单轨吊机车及其驾驶室
US1859615A (en) Inverted dancing apparatus
CN207930275U (zh) 一种电梯裙板的抽芯加工设备
KR102629038B1 (ko) 그네형 체험장치
CN213823418U (zh) Vr仿真飞翔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