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4775B1 - 가상현실 플라잉 모션 장치 - Google Patents

가상현실 플라잉 모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4775B1
KR101844775B1 KR1020170098797A KR20170098797A KR101844775B1 KR 101844775 B1 KR101844775 B1 KR 101844775B1 KR 1020170098797 A KR1020170098797 A KR 1020170098797A KR 20170098797 A KR20170098797 A KR 20170098797A KR 101844775 B1 KR101844775 B1 KR 101844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reality
rope
user
pulley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성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엔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엔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엔웍스
Priority to KR1020170098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47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16Amusement arrangements creating illusions of trav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02Amusement arrangements with moving substructures
    • A63G31/10Amusement arrangements with moving substructures with escalators or similar moving sub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현실 플라잉 모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상현실 영상에 따라 사용자를 장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상태 변경이 가능한 가변형 이동레일에서 구름 이동하는 이동롤러와 체결되어 상기 이동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어트랙션 본체; 상기 사용자가 승강할 수 있도록, 상기 어트랙션 본체의 내부 수용공간에 설치되고,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동력적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며 상기 사용자를 견인하는 로프를 감거나 풀어주는 풀리유닛;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가상현실 영상에 따라 상기 풀리가 구동될 수 있도록, 상기 어트랙션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가상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 시키고, 상기 가상현실 영상의 변화에 따라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컨트롤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가상현실 플라잉 모션 장치{Virtual reality flying motion device}
본 발명은 가상현실 플라잉 모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한된 영역에서 가상현실 속의 움직임을 전후 및 좌우로만 구현했던 종래의 가상현실 모션 장치에서 벗어나, 가상현실 영상과 연동되어 장소를 이동하며 가상현실 속 움직임을 전후 및 좌우뿐만 아니라 상승과 하강도 가능하게 하여 가상현실 속에서 움직임 체험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가상현실 플라잉 모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날이 발전하는 영상매체 기술로 인해, 현재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에 관한 기술이 여러 분야에서 각광받고 있다. 가상현실은 실제로 경험하기 어려운 극한 상황 등을 현실처럼 느끼고 싶어하는 사람(사용자)들의 욕구를 충족시켜준다. 사용자들의 이러한 욕구 충족을 위해서는, 차원 높은 영상장비가 요구되며 관련 시장도 급속도로 확장되고 있다.
가상현실의 구현을 위해서는, 가상현실 영상과 그 영상에 부합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모션 장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모션 어트랙션(motion attraction)과 같은 모션 장치는 사용자가 가상현실 속에서 리얼하고 생동감 있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상현실 체험의 재미를 극대화시켜 준다.
이러한 기존의 모션 장치는 사용자가 거치한 영상구현장치와 연동되어 제한된 장소에서, 사용자의 전후방향과 좌우방향 움직임만을 가상현실에 구현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움직임 자유도를 낮추며, 사용자가 공중에서 점프하거나 날아가는 움직임을 가상현실에서 체험할 수 없도록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종래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36205호 「체감형 시뮬레이터 장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가상현실에서 장소를 이동해가며 공중에서 점프하거나 날아가는 움직임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움직임 자유도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구조를 간소화하여 제작과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고, 사용자가 물리적으로 공간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가상현실에 대한 몰입감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상현실 플라잉 모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가상현실 플라잉 모션 장치는, 가상현실 영상에 따라 사용자를 장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상태 변경이 가능한 가변형 이동레일에서 구름 이동하는 이동롤러와 체결되어 상기 이동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어트랙션 본체; 사용자가 승강할 수 있도록, 상기 어트랙션 본체의 내부 수용공간에 설치되고,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동력적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며 상기 사용자를 견인하는 로프를 감거나 풀어주는 풀리유닛; 및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가상현실 영상에 따라 상기 풀리가 구동될 수 있도록, 상기 어트랙션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가상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 시키고, 상기 가상현실 영상의 변화에 따라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컨트롤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풀리유닛은, 상기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상기 로프를 감거나 풀어주는 회전풀리; 상기 로프의 장력을 유지하며 길이 변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로프를 통해 상기 회전풀리와 동력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로프를 횡방향으로 감거나 풀어주는 조절풀리; 상기 사용자의 승강을 위해 상기 로프가 종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로프를 통해 상기 조절풀리와 연결되고 종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로프의 이동방향을 종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풀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컨트롤부와 모터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가변형 이동레일을 따라 마련되며 전기가 흐르는 전원라인과, 상기 이동롤러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에 마련되며 상기 전원라인과 접촉되어 상기 컨트롤부와 모터를 상기 전원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전기접촉부재로 구성된 전원공급유닛;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이동롤러의 구름 이동 시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어트랙션 본체에 전달되지 않도록, 탄성을 가지며 상기 지지프레임과 어트랙션 본체의 사이에 배치되어, 그 지지프레임과 어트랙션 본체를 서로 연결시키는 완충연결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트롤유닛은, 상기 이동레일의 기 설정된 이벤트 구간에 상기 어트랙션 본체가 위치할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전후, 좌우 및 승강 움직임에 의한 상기 로프의 장력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감지부재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풀리유닛을 구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가상현실 플라잉 모션 장치는, 어트랙션 본체가 가변형 이동레일에 구름 이동하는 이동롤러와 체결되어 그 가변형 이동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풀리유닛이 어트랙션 본체의 내부 수용공간에 설치되고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며 사용자를 견인하는 로프를 감거나 풀어주고, 컨트롤유닛이 어트랙션 본체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착용한 VR HMD에 가상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키고 그 가상현실 영상의 변화에 따라 모터를 구동시켜 풀리유닛에 의해 그 로프를 감거나 풀어줌으로써, 사용자가 가상현실에서 장소를 이동해가며 공중에서 점프하거나 날아가는 움직임을 체험할 수 있고, 사용자의 움직임 자유도를 증대시키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과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사용자가 물리적으로 공간을 이동하면서 가상현실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플라잉 모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각 장치들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풀리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Ⅲ에 대한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풀리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
도 5는 도 2의 Ⅴ를 확대한 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와이어회전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가변형 이동레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구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플라잉 모션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플라잉 모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각 장치들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풀리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Ⅲ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풀리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Ⅴ를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와이어회전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상현실 플라잉 모션 장치는 어트랙션 본체(100), 풀리유닛(200) 및 컨트롤유닛(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트랙션 본체(100)는, 설치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가변형 이동레일(10)에 마련되어 그 가변형 이동레일(10)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어트랙션 본체(100)는 가변형 이동레일(10)에 접촉되어 구름 이동하는 이동롤러(30)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가변형 이동레일(10)과 체결된 상태에서 이동한다.
상기 어트랙션 본체(10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다양한 형태의 박스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어트랙션 본체(100)는 상기 수용공간에 풀리유닛(200)을 구비하고, 외부에 컨트롤유닛(300)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이 폐쇄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풀리유닛(200)은, 가변형 이동레일(10)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어트랙션 본체(100)의 내부 수용공간에 설치되고,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04)와 동력적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며 로프(W)를 감거나 풀어준다. 여기서, 상기 로프(W)는 체결벨트(하네스)(20)를 착용한 사용자를 견인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풀리유닛(200)에 의해 감기게 될 경우 사용자를 상승시키고 풀어질 경우 그 사용자를 하강시킨다.
상기 풀리유닛(200)은, 복수로 이루어져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상기 로프(W)의 장력을 유지하며, 그 로프(W)의 길이 변위를 증가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상승 또는 하강할 때 느끼는 스릴감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풀리유닛(200)과 동력적으로 연결된 모터(204)에는, 웜 기어(worm gear) 타입의 감속기가 일체형으로 부착되어 있어서, 정지 모션에서 사용자의 몸무게에 의해 상기 로프(W)가 풀려 스스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고, 필요 이상의 토크(torque) 상승과 빠른 회전을 방지한다.
상기 풀리유닛(200)은, 모터(204)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횡방향(수평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로프(W)를 감거나 풀고 그 로프(W)의 장력을 유지하며 길이 변위를 증가시키는 풀리들과, 종방향(수직방향)으로 회전하며 사용자와 연결된 로프가 승강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풀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트롤유닛(300)은, 어트랙션 본체(100)의 외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착용한 VR HMD(Virtual reality Head Mounted Display)에 가상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키고, 그 가상현실 영상의 변화에 따라 상기 모터(204)를 제어함으로써, 가상현실 영상에 맞춰서 상기 사용자를 전후방향으로 장소 이동시키고, 그 사용자를 이동 중이나 정지 중에 승강시킨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컨트롤유닛(300)의 제어에 의해 그 가상현실 속에서 공중을 날아가는 체험, 건물과 건물 사이를 점프해서 이동하는 체험,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떨어지는 체험, 다시 높은 곳으로 올라가기 위해 점프하는 체험 등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컨트롤유닛(300)은 어트랙션 본체(100)의 외부에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어깨에 걸치거나 가방처럼 소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 사용자의 움직임 자유도를 극대화하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컨트롤유닛(300)은, PC(Personal Computer)와 컨트롤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VR HMD와 전선으로 연결되거나 적외선통신방식, 블루투스통신방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컨트롤유닛(300)은 PC와 컨트롤보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PC에서 전달되는 가상현실 영상에 따라 컨트롤보드가 풀리유닛(200)의 구동 및 이동롤러(30)의 구동 등을 제어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플라잉 모션 장치는, 상기 어트랙션 본체(100)가 가변형 이동레일(10)에 구름 이동하는 이동롤러(30)와 체결되어 그 가변형 이동레일(10)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풀리유닛(200)이 어트랙션 본체(100)의 내부 수용공간에 설치되고 모터(204)와 연결되어 회전하며 사용자를 견인하는 로프(W)를 감거나 풀어주고, 컨트롤유닛(300)이 어트랙션 본체(100)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착용한 VR HMD에 가상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키고 그 가상현실 영상의 변화에 따라 모터(204)를 구동시켜 풀리유닛(200)에 의해 그 로프(W)를 감거나 풀어줌으로써, 사용자가 가상현실에서 장소를 이동해가며 공중에서 점프하거나 날아가는 움직임을 체험할 수 있고, 사용자의 움직임 자유도를 증대시키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과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사용자가 물리적으로 공간을 이동하면서 가상현실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상기 풀리유닛(200)은 회전풀리(201), 조절풀리(202) 및 가이드풀리(2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풀리유닛(200)은 로프(W)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204)에 의한 회전력을 전달받아 그 로프를 감거나 풀어주고 장력을 유지하며 길이 변위를 증대시킨다.(도 3 및 도 4참조)
상기 회전풀리(201)는 모터(204)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로프(W)를 감거나 풀어준다. 상기 회전풀리(201)는 그 모터(204)와 기어방식 등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로프(W)를 통해 상기 조절풀리(202)와 가이드풀리(203)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이때 상기 회전풀리(201)는 횡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조절풀리(202)는, 로프(W)를 통해 상기 회전풀리(201)와 동력적으로 연결되어 그 로프(W)를 횡방향으로 감거나 풀어줌으로써, 그 로프(W)의 장력을 유지하며 길이 변위를 증대시킨다. 상기 조절풀리(202)는 복수로 구비되고 서로 간격을 형성하며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로프(W)가 감겨진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회전풀리(201)의 회전 시 함께 회전함으로써, 그 조절풀리(202)의 움직임이 ‘1’일 때 사용자의 상하 이동 변위가 ‘2’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풀리(203)는 로프(W)를 통해 상기 조절풀리(202)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풀리(201)의 회전에 의해 상기 로프(W)가 감기거나 풀릴 때, 그 로프(W)의 수평 움직임에 대한 이동방향을 횡방향에서 종방향으로 가이드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승강을 위해 로프가 종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는 전원공급유닛(400), 완충연결부재(500) 및 와이어회전부재(6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공급유닛(400)은 전원라인(401)과 전기접촉부재(402)로 구성되고, 트로리바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원라인(401)은 가변형 이동레일(10)을 따라 그 가변형 이동레일(10)에 구비되며 외부의 전력공급원(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를 흐르게 한다. 상기 전원라인(401)은 전기접촉부재(402)가 접촉될 때 모터(204), 컨트롤유닛(300) 및 롤러동력부(70)에 전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기접촉부재(402)는, 상기 이동롤러(30)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40)에 마련되며 전원라인(401)과 접촉되어 전기가 모터(204), 컨트롤유닛(300) 및 롤러동력부(70)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전기접촉부재(402)는, 이동롤러(30)의 구름 이동에 의해 어트랙션 본체(100)가 이동될 때, 전원라인(401)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안정되게 전기를 공급할 수 있고 구조를 전원장치의 구조를 간소화하는 장점을 가진다.(도 5 참조)
여기서, 상기 가변형 이동레일(10)은 단면이 ‘I’형상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한쌍의 기둥(1)을 연결하는 보(2)에 마련된다. 아울러 상기 가변형 이동레일(10)은 어트랙션 본체(100)의 이동 방향을 따라 휘어진 형태, 오르막 형태, 내리막 형태 등이 조합된 이동로를 형성하고 특정 구간에서 사용자가 다양한 움직임을 할 수 있도록 이벤트 구간(E)을 마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와이어회전부재(600)는 사용자를 견인하는 로프(W)의 끝부 측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좌우방향으로 움직일 때 그 로프(W)가 꼬이는 현상을 방지한다. 상기 와이어회전부재(600)는, 트러스트 베어링을 구비하고 그 트러스트 베어링을 사이에 두고 로프(W)가 서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그 로프(W)가 꼬이지 않고 360°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도 6 참조)
상기 완충연결부재(500)는, 탄성을 가지며 이동롤러(30)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40)과 어트랙션 본체(100) 사이에 배치되며, 그 지지프레임(40)과 어트랙션 본체(100)를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이동롤러(30)의 구름 이동 시에 발생되는 진동이 어트랙션 본체(100)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완충연결부재(500)는, 내부에 유압이나 공기압을 이용한 완충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음으로써, 이동롤러(30)나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한 진동을 추가로 방진(防振)하는 장점을 도출할 수 있다.
아울러, 완충연결부재(500)는 체결벨트(20)를 착용하여 로프(W)에 연결된 사용자가 전후방향, 좌우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경우, 그 움직임에 의한 진동이나 떨림 등이 가변형 이동레일(1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어트랙션 본체(100)가 가변형 이동레일(10)에서 안정되게 체결된 상태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이동이나 움직임 시 편안함과 안정감을 가질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벨트(20)는 하네스(harness)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벨트체결와이어(60)에 의해 수평바(50)와 연결되며 그 수평바(50)가 상기 로프(W)에 연결됨으로써, 사용자를 그 로프(W)와 연결 및 견인시킨다. (도 6 참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플라잉 모션 장치에 대한 구동 상태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가변형 이동레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구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채용된 상기 가변형 이동레일(10)은, 놀이동산, 전시관, 빌딩의 실내와 같은 공간에 설치 또는 해체가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가변형 이동레일(10)은 사용자의 탑승구간, 커브구간, 직진구간, 이벤트 구간 등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유닛(300)은, 이동롤러(30)의 동력을 발생시키는 롤러동력부(70)를 제어하여, 가상현실 영상에 따라 어트랙션 본체(100)가 이동하도록 한다. 이때, 컨트롤유닛(300)은 외부의 주조정장치(미도시)와 다양한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주조정장치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유닛(300)은, 상기 어트랙션 본체(100)가 이벤트 구간(E)에 진입할 경우, 사용자가 가상현실 속에서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벤트 구간(E)에서 걸어가거나 점프할 경우, 가상현실에서 걸어가는 동작 후에 점프하며 공중에 떠있는 상태로 날아가는 체험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풀리유닛(200)은, 사용자가 점프할 경우 로프(W)를 감아 그 사용자를 승강시키고, 동작을 멈춰 그 로프(W)가 감긴 상태를 유지한다. 아울러, 롤러동력부(70)는 사용자가 승강할 때 이동롤러(30)를 구동시켜 어트랙션 본체(100)를 전진시킨다. 여기서 상기 롤러동력부(70)와 모터(204)는 컨트롤유닛(300)의 제어신호에 의해 가상현실 영상과 연동되어 구동된다.
한편, 도 8의 (b)와 같이 사용자는 이벤트 구간(E)에서, 가상현실 영상 속을 걸어가다가 점프하는 체험을 반복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유닛(300)은 풀리유닛(200)이 로프(W)를 반복해서 감거나 풀어주도록 하고, 이동롤러(30)가 반복해서 속도를 증가 또는 감소하며 구름이동 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유닛(300)은, 사용자의 승강 움직임에 따라 상기 로프(W)가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감지부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재는 로프(W)에 가해지는 장력이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로프(W)와 접촉되게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부재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체결벨트(20)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을 직접 감지하는 센서로도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컨트롤유닛(300)은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204)를 구동시켜 풀리유닛(200)에 의한 로프(W)의 감김상태나 풀림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그 사용자의 움직임을 가상현실 영상에 반영할 수도 있다.
한편, 도 9와 같이 사용자는 리모컨과 같은 컨트롤러(700)를 파지하고 다양한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로프(W)에 구비된 와이어회전부재(600)에 의해 이벤트 구간(E)에서 걸어가면서 자유롭게 방향을 전환할 수 있고, 승강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도 9의 (b) 참조)
또한, 사용자는 가상현실에서 걸어가는 움직임 이후에 점프 동작한 상태에서 공중을 날아가는 움직임을 체험할 수 있다(도 9의 (a) 참조). 이를 위해 상기 컨트롤유닛(300)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롤러(30)의 구동을 위한 롤러동력부(70), 풀리유닛(200)의 회전을 위한 모터(204)를 제어한다.
사용자가 파지한 컨트롤러(700)는 상기 컨트롤유닛(300)가 무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고, 사용자의 팔 움직임에 따른 신호를 그 컨트롤유닛(300)으로 전달하여 롤러동력부(70) 및 모터(204)가 제어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00: 어트랙션 본체 200: 풀리유닛
201: 회전풀리 202: 조절풀리
203: 가이드풀리 204: 모터
300: 컨트롤유닛 301: 감지부재
400: 전원공급유닛 401: 전원라인
402: 전기접촉부재 500: 완충연결부재
600: 와이어회전부재 700: 컨트롤러

Claims (5)

  1. 가상현실 영상에 따라 사용자를 장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상태 변경이 가능한 가변형 이동레일에서 구름 이동하는 이동롤러와 체결되어 상기 이동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어트랙션 본체; 상기 사용자가 승강할 수 있도록, 상기 어트랙션 본체의 내부 수용공간에 설치되고,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동력적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며 상기 사용자를 견인하는 로프를 감거나 풀어주는 풀리유닛; 및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가상현실 영상에 따라 상기 풀리가 구동될 수 있도록, 상기 어트랙션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가상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 시키고, 상기 가상현실 영상의 변화에 따라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컨트롤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유닛은, 상기 이동레일의 기 설정된 이벤트 구간에 상기 어트랙션 본체가 위치할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전후, 좌우 및 승강 움직임에 의한 상기 로프의 장력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감지부재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풀리유닛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플라잉 모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유닛은,
    상기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상기 로프를 감거나 풀어주는 회전풀리;
    상기 로프의 장력을 유지하며 길이 변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로프를 통해 상기 회전풀리와 동력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로프를 횡방향으로 감거나 풀어주는 조절풀리;
    상기 사용자의 승강을 위해 상기 로프가 종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로프를 통해 상기 조절풀리와 연결되고 종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로프의 이동방향을 종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풀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플라잉 모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유닛과 모터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가변형 이동레일을 따라 마련되며 전기가 흐르는 전원라인과, 상기 이동롤러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에 마련되며 상기 전원라인과 접촉되어 상기 컨트롤유닛과 모터를 상기 전원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전기접촉부재로 구성된 전원공급유닛;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플라잉 모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롤러의 구름 이동 시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어트랙션 본체에 전달되지 않도록, 탄성을 가지며 상기 지지프레임과 어트랙션 본체의 사이에 배치되어, 그 지지프레임과 어트랙션 본체를 서로 연결시키는 완충연결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플라잉 모션 장치.
  5. 삭제
KR1020170098797A 2017-08-04 2017-08-04 가상현실 플라잉 모션 장치 KR101844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797A KR101844775B1 (ko) 2017-08-04 2017-08-04 가상현실 플라잉 모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797A KR101844775B1 (ko) 2017-08-04 2017-08-04 가상현실 플라잉 모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4775B1 true KR101844775B1 (ko) 2018-04-05

Family

ID=61977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797A KR101844775B1 (ko) 2017-08-04 2017-08-04 가상현실 플라잉 모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477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5831A1 (ko) * 2018-05-21 2019-11-28 Kang Won Chul 가상현실 기반의 공중부양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2091337B1 (ko) * 2018-11-14 2020-03-19 김진태 행글라이더 운동 장치
CN113813598A (zh) * 2021-09-01 2021-12-21 深圳市一恒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vr交互用人体定位辅助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79392A (ja) * 2008-04-22 2009-12-03 Midori Anzen Co Ltd 落下防止用安全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79392A (ja) * 2008-04-22 2009-12-03 Midori Anzen Co Ltd 落下防止用安全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5831A1 (ko) * 2018-05-21 2019-11-28 Kang Won Chul 가상현실 기반의 공중부양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2091337B1 (ko) * 2018-11-14 2020-03-19 김진태 행글라이더 운동 장치
CN113813598A (zh) * 2021-09-01 2021-12-21 深圳市一恒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vr交互用人体定位辅助装置
CN113813598B (zh) * 2021-09-01 2024-04-30 深圳市一恒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vr交互用人体定位辅助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0331B1 (ko) 낙하훈련 시뮬레이션 장치
KR101844775B1 (ko) 가상현실 플라잉 모션 장치
EP2394720B1 (en) Amusement park ride with cable-suspended vehicles
JP6524177B2 (ja) 視覚的に透明な可撓性支持部材を有する飛行プラットフォーム
EP3291901B1 (en) Simulator ride
KR101375810B1 (ko) 운동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부하 제어 장치
KR101869220B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가상현실 기반의 유영 시스템
KR101779167B1 (ko) 가상 공중하강 체험 시스템
KR101808106B1 (ko) 다차원 시뮬레이터
KR20190033194A (ko) 낙하산 시뮬레이터 회전 구동 시스템
KR20030047869A (ko) 멀티 베이 번지 코드 곡예 현수/트램폴린 구조
KR20150005873A (ko) 3d 패러글라이딩 체험 장치
KR101731513B1 (ko) 낙하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KR200455457Y1 (ko) 유희용 말을 이용한 운동장치
KR101276711B1 (ko) 글라이더 모션 시뮬레이터
JPH08299600A (ja) 懸吊移動機
KR102239347B1 (ko) 체공체험 시뮬레이션 장치
KR102328405B1 (ko) 날으는 체감이 증대된 4d vr시뮬레이터
KR101769027B1 (ko) 가상 공중하강 체험 시스템
KR101953167B1 (ko) 가상 낙하 체험 장치
KR101934233B1 (ko) 가상현실 기반의 공중부양 시뮬레이션 시스템
JP4453109B1 (ja) 巻取式ウインチを用いたワイヤロープ等の紐状体の移動システム及び移動装置
CN109152960B (zh) 基于虚拟现实的滑索体验系统
CN213823418U (zh) Vr仿真飞翔系统
EP2380638A1 (en) Mechanical ski jumping simulato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