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6947B1 - 인명구조용 피난 사다리 - Google Patents

인명구조용 피난 사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6947B1
KR101226947B1 KR1020100125372A KR20100125372A KR101226947B1 KR 101226947 B1 KR101226947 B1 KR 101226947B1 KR 1020100125372 A KR1020100125372 A KR 1020100125372A KR 20100125372 A KR20100125372 A KR 20100125372A KR 101226947 B1 KR101226947 B1 KR 101226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intermediate profile
scaffold
ladder
profil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5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6099A (ko
Inventor
김선희
Original Assignee
김선희
주식회사 선광 엠 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희, 주식회사 선광 엠 파 filed Critical 김선희
Publication of KR20110066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6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6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6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83Foldable ladders in which the longitudinal members are brought together on folding

Landscapes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발판 부위를 접었다 펼 수 있게 되며, 다층 건물에서 위/아래 층으로 용이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비상시에 사용 가능한 인명구조용 피난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반으로 접을 수 있도록 제1경첩부를 구비한 중간 프로파일 부재와, 이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좌·우측면에 평행하게 접히거나 직각으로 펴져서 고정이 되는 복수 개의 발판 부재와,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좌·우측에서 발판 부재끼리 상하로 연결하여 발판 부재들이 동시에 접히거나 펴질 수 있도록 하고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제1경첩부와 함께 반으로 접을 수 있도록 제2경첩부를 구비한 좌우 프로파일 부재 및,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상단부에 조립되어 외부의 사다리 설치 부위에 고정이 되는 클램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인명구조용 피난 사다리{Ladder for saving human life}
본 발명은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발판 부위를 접었다 펼 수 있게 되며, 다층 건물에서 위/아래 층으로 용이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비상시에 사용 가능한 인명구조용 피난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소정 높이의 위치로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는 도구인 사다리는 건축·토목·조경을 비롯하여 일상생활에서 비상용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사다리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일(一)자형 구조의 것 혹은 'A'자형으로 이루어져 접었다 펼 수 있는 구조의 것이라 할 수 있으며, 공개특허 제1999-017256호에 기재된 것처럼 일자형으로 되어 상하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신축형 혹은 절첩식 구조의 사다리도 널리 알려져 있다.
한편, 아파트 혹은 빌딩 등의 다층 건물에서 화재나 재해 발생시 인명 구조를 위해 사용되는 수단으로는 고가 사다리차나 레펠링 등이 있으나, 개인이 구비하고 사용하는 장비가 아니기 때문에 재난에 신속하게 대처하기가 쉽지 않다.
또, 다층 건물에서 화재 발생시와 같은 비상 상황시에 출입문을 통한 대피가 불가능하고, 위/아래층 발코니를 통해 다른 층의 발코니로 대피하는 것이 유리한 경우가 있는데, 이때 사다리를 이용하면 안전하게 대피할 수도 있지만, 사다리 자체만으로는 지지구조 등에 있어서 미비한 점이 있어 사다리를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비상 상황시에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사다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휴대가 용이하고, 다층 건물에서 비상 상황시에 위·아래층 발코니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비상시에 사용 가능한 인명구조용 피난 사다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명구조용 피난 사다리는, 상하로 긴 형태로 이루어지되 좌·우측면에는 힌지 결합을 위한 결합부들이 상하 간격을 두고 구비되면서 상하 방향의 중간에는 반으로 접을 수 있도록 제1경첩부를 구비한 중간 프로파일 부재와, 이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결합부에 일측 말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좌·우측면에 평행하게 접히거나 직각으로 펴져서 고정이 되는 복수 개의 발판 부재와,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에 상응하는 상하 길이로 이루어져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좌·우측에서 상기 발판 부재의 타측 말단부끼리 상하로 연결하여 발판 부재들이 동시에 접히거나 펴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제1경첩부와 함께 반으로 접을 수 있도록 제2경첩부를 구비한 좌우 프로파일 부재 및,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상단부에 조립되어 외부의 사다리 설치 부위에 고정이 되는 클램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인명구조용 피난 사다리는, 예컨대 다층 건물에서 화재와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위·아래층 발코니로 사다리의 상단부를 결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기 때문에 인명 구조에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명구조용 피난 사다리는, 발판 부재를 접어서 좌우 폭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하거나 차량 탑재가 용이하여 휴대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한 전체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다리에서 발판 부재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상태로부터 사다리가 절반으로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적용된 제1경첩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사다리에서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레일홈에 고정 고리가 착탈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사다리에 이격부재가 설치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사다리에서 중간 프로파일 부재와 발판 부재 및 좌우 프로파일 부재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사다리에서 최하단측에 구비되는 제2발판 부재에 대한 저면부 사시도이다.
도 9a∼도 9c는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발판 부재가 접혀진 상태로부터 펴지는 상태를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구비되는 클램프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클램프가 조립된 사다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한 전체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구비되는 클램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클램프에 대한 작동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구비되는 지지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구비되는 지지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한 전체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서 발판 부재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상태로부터 사다리가 절반으로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적용된 제1경첩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실시예에서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레일홈에 고정 고리가 착탈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실시예에 이격부재가 설치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7은 본 실시예에서 중간 프로파일 부재와 발판 부재 및 좌우 프로파일 부재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실시예에서 최하단측에 구비되는 제2발판 부재에 대한 저면부 사시도이며, 도 9a∼도 9c는 각각 본 실시예에서 발판 부재가 접혀진 상태로부터 펴지는 상태를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10은 본 실시예에 구비되는 클램프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클램프가 조립된 사다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사다리의 중심 위치에서 지지축이 되는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와, 이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좌·우측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접었다 펼 수 있게 되는 복수 개의 발판 부재(20)와, 상하방향을 따라 설치된 발판 부재(20)끼리 연결하여 이들 발판부재(20)가 동시에 접히거나 펴지도록 하는 좌우 프로파일 부재(30)와, 사다리 설치 부위인 외부의 사다리 설치 부위에 본 발명의 사다리를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프(4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구성 요소별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10)는 고강도 알루미늄과 같은 중량이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높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량을 가볍게 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속이 빈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예에서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형태는 횡단면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펴진 상태에서의 총 길이는 휴대의 용이성과 사용 높이를 고려하여 대략 3m 정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좌·우측면에는, 도 7에 보이는 바와 같이, 길이방향 즉, 상하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제1개구부(10a)와 제1돌출부(10b)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데, 제1개구부(10a)의 바로 옆에 제1돌출부(10b)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상하방향 중간에는 도 3처럼 중간 프로파일 부재(10)를 반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1경첩부(11)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 제1경첩부(11)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반으로 접히는 부분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1연결 플랜지(11a)와,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반으로 접히는 부분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연결 플랜지(11a)에 중첩되는 제2연결 플랜지(11b)와, 이들 제1연결 플랜지(11a) 및 제2연결 플랜지(11b)의 중심 부위를 관통하여 회전 중심축이 되는 회전축 부재(11c)와, 중간 프로파일 부재(10)가 반으로 접힌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스토퍼(11d)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 부재(11c)를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제1연결 플랜지(11a)와 제2연결 플랜지(11b)가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중간 프로파일 부재(10)를 반으로 접을 수 있게 된다. 특히, 제1연결 플랜지(11a)와 제2연결 플랜지(11b)가 각각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한쪽으로 치우쳐 편심(偏心)되도록 위치함으로써, 중간 프로파일 부재(10)가 완전히 펴졌을 때 제1연결 플랜지(11a)와 제2연결 플랜지(11b)로 연결된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양단이 서로 맞닿게 되어 펴진 상태로 고정이 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11d)는 제1연결 플랜지(11a)와 제2연결 플랜지(11b) 중 어느 하나에 회전축 부재(11c)를 중심으로 중간 프로파일 부재(10)가 펴졌을 때와 반으로 접혔을 때의 각도 간격으로 구비되는 로킹 홈(11e)과, 제1연결 플랜지(11a)와 제2연결 플랜지(11b)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로킹 홈(11e)에 로킹되거나 언로킹되도록 압축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11f)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로커(11g)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경첩부(11)를 중심으로 하여 중간 프로파일 부재(10)를 반으로 접은 상태에서 상기 로커(11g)가 상기 로킹 홈(11e) 부위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탄성부재(11f)에 의해 로커(11g)가 로킹 홈(11e)으로 돌출되면서 로킹이 되어 중간 프로파일 부재(10)가 임의로 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로커(11g)를 로킹 홈(11e)으로부터 언로킹시킬 때는 로커(11g)를 손으로 잡아당기면 되며, 이 상태에서 중간 프로파일 부재(10)를 펴면 된다.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정면부에는 레일홈(10c)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 레일홈(10c)에는 안전 벨트 혹은 밧줄과 연결된 고정 고리(12)가 착탈식으로 결합된다. 즉, 도 5에 보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안전 벨트 혹은 구명용 밧줄(도시되지 않음)에 구비된 고정 고리(12)를 회전시키면서 레일홈(10c)에 결착시킨 상태에서 사다리를 오르내리면 고정 고리(12)가 사용자의 움직임과 함께 레일홈(10c)에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됨으로써, 사다리 사용시 만일의 경우에 발생할 수도 있는 사용자의 추락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정면 상단부에는 구명용 밧줄을 연결할 수 있는 밧줄 연결 고리(13)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이 밧줄 연결 고리(13)에 완강기의 밧줄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도 6에 보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중간 프로파일 부재(10) 하단부에는 결합구멍(10d)이 형성되고, 이 결합구멍(10d)에 결합되어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배면에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10e)로 고정됨으로써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하부를 외부의 사다리 설치 부위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시키는 이격부재(14)가 설치된다. 이 이격부재(14)는 사다리의 하부가 사다리 설치 부위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함에 따라 사다리 사용자가 발판 부재(20)를 디딜 때 발끝 부분이 사다리 설치 부위 쪽으로 약간 돌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사다리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발판 부재(20)는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와 마찬가지로 고강도 알루미늄과 같은 소재로 되어 내부는 중공(中空)이거나 채워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발판 부재(20)는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제1개구부(10a) 또는 제1돌출부(10b)의 배열 간격과 동일하게 일정 간격마다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발판 부재(20)의 외형은 사다리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데에 용이하도록 대략 직육면체형으로 예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발판 부재(20)는 중간 프로파일 부재(10)로부터 펴진 상태에서 중간 프로파일 부재(10)를 향하는 일측 말단부(21)가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제1돌출부(10b)와 겹쳐진 상태에서 힌지핀(21a)이 끼워짐으로써 발판 부재(20)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일측 말단부(21)의 반대쪽에 구비된 타측 말단부(22)에는 좌우 프로파일 부재(30)가 결합된다.
상기 발판 부재(20)의 일측 말단부(21)는 그 상단부가 직각형으로 형성되어, 발판 부재(20)가 중간 프로파일 부재(10)로부터 수평 상태로 펴졌을 때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제1개구부(10a) 상단부에 걸려서 고정이 됨으로써, 사다리 사용자가 발판 부재(20)에 발을 디뎠을 때 발판 부재(20)가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견디면서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 일측 말단부(21)의 하단부는 라운딩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발판 부재(20)가 수평 상태로 펴지거나 접혀질 때 일측 말단부(21)가 지장 없이 상기 제1개구부(10a)로부터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게 된다. 발판 부재(20)의 타측 말단부(22) 역시 일측 말단부(21)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9a∼도 9c는 발판 부재(20)가 중간 프로파일 부재(10)를 상대로 접힌 상태에서 펴지는 상태를 순서대로 보여주고 있는데,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사다리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도 9a에서처럼,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좌측 면과 우측 면에 각각 발판 부재(20)가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와 나란하게 접혀진 상태로 있게 된다. 그리고, 사다리를 사용하기 위해 도 9b에서와 같이 좌우 프로파일 부재(30)를 당겨서 발판 부재(20)의 타측 말단부(22)를 아래쪽으로 내리면,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제1돌출부(10b)에 힌지 핀(21a)으로 결합되어 있는 발판 부재(20)의 일측 말단부(21)를 회전축으로 하여 발판 부재(20)가 회전하면서 상기 일측 말단부(21)가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제1개구부(10a)로 삽입된다. 이어서, 도 9c에서와 같이 발판 부재(20)가 수평 상태로 완전히 펴지면, 발판 부재(20)의 일측 말단부(21)가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제1개구부(10a)로 삽입된 상태에서 일측 말단부(21)의 상단이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제1개구부(10a) 상단부에 걸려서 고정이 된다.
다음으로, 상기 좌우 프로파일 부재(30)는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상하방향을 따라 설치된 발판 부재(20)끼리 연결하여 이들 발판부재(20)가 동시에 접히거나 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도 7에 보이는 것처럼, 좌우 프로파일 부재(30)는 발판 부재(20)를 향하는 부위에 제2개구부(31)와 제2돌출부(32)를 각각 구비하고 있는데, 발판 부재(20)의 타측 말단부(22)가 제2돌출부(32)에 힌지(33)로 결합되어, 좌우 프로파일 부재(30)를 상하로 움직이면 발판 부재(20)의 타측 말단부(22)가 제2개구부(31)로 출입하는 구조로 좌우 프로파일 부재(30)가 발판 부재(20)를 연결하게 된다. 따라서, 좌우 프로파일 부재(30)를 위아래로 밀거나 잡아당기면, 발판 부재(20)의 타측 말단부(22)가 좌우 프로파일 부재(30)에 의해 당겨지거나 밀림과 동시에 발판 부재(20)의 일측 말단부(21)가 힌지 핀(21a)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상하방향을 따라 설치된 발판 부재(20)끼리 동시에 접히거나 펴지게 된다.
또한, 좌우 프로파일 부재(30)에는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제1경첩부(11)에 대응하는 제2경첩부(34)가 구비되어 있어서 제1경첩부(11)에 의해 중간 프로파일 부재(10)가 접힐 때 좌우 프로파일 부재(30) 역시 제2경첩부(34)에 의해 접히게 된다. 이 제2경첩부(34)는 간단히 통상적인 힌지 결합 수단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제1경첩부(11)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발판 부재(20)가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에 접힌 상태에서 고정됨으로써, 사다리의 운반 중 임의로 발판 부재(20)가 펴지는 데 따른 사용자의 부상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즉, 발판 부재(20) 중 어느 하나와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대향 부위에 고정수단이 구비되는데, 이 고정수단은 도 1에 보이는 것처럼 발판 부재(20)에 돌출 형성되면서 삽입구멍(23a)을 가진 잠금핀 수용부(23)와, 발판 부재(20)가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에 접힐 때 상기 삽입구멍(23a)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에 구비되는 손잡이(15b)가 달린 잠금핀(15)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잠금핀 수용부(23)는 발판 부재(20)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멍(23a)은 관통되거나 파여진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잠금핀(15)에는 잠금핀(15)에 탄발력을 제공하여 이 탄발력에 의해 잠금핀(15)이 상하로 작동하도록 하는 스프링(15a)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발판 부재(20)가 중간 프로파일 부재(10) 측으로 접힐 때 잠금핀(15)이 탄성적으로 삽입구멍(23a)에 삽입되어 고정이 된다. 고정 상태를 해제할 때는 사용자가 잠금핀(15)의 손잡이(15b)를 손가락으로 잡아당겨 삽입구멍(23a)으로부터 이탈시킨 뒤, 발판 부재(20)를 중간 프로파일 부재(10)로부터 펴면 된다.
다음으로, 상기 클램프(40)는 필요에 따라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상단부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사용된다. 즉, 클램프(40)는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사다리를, 예컨대 아파트와 같은 다층 건물에서 화재 발생시와 같은 비상 상황시에 아래층 발코니로부터 위층 발코니로 대피하고자 할 경우에, 사다리의 상단부를 위층 발코니의 펜스와 같은 외부의 사다리 설치 부위(F)에 고정시키는 데에 사용된다.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의 클램프(40)는, 고정부재(41), 고정키(41b), 제1주축(42a), 고정물림부(42b), 고정지지부(42c), 고정나선부재(42d), 가이드봉(42e), 가동지지부(43a), 가동나선부재(43b), 가이드관(43c), 제2주축(43d), 가동물림부(43e), 그리고 회전조작부(44)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41)를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상단부에 결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고정부재(41)는 외부의 사다리 설치 부위(F)를 향해 구부려진 형태로 이루어져 그 하단부가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상단부에 고정 및 분리 가능하게 결합이 된다. 즉, 고정부재(41)의 하단부 측에 키 호울(41a)이 형성되어 있고, 도 1에 보이는 것처럼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상단부 측에도 키 호울(16)이 형성되어 있어서, 고정부재(41)의 하단부가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상단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키 호울(41a,16)에 고정키(41b)를 삽입하면 고정부재(41)가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에 고정이 된다.
상기 제1주축(42a)은 상하로 긴 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간부위가 상기 고정부재(41)와 용접 등에 의해 결합이 된다. 상기 고정물림부(42b)는 상기 가동 물림부(43e)와 함께 외부의 사다리 설치 부위(F)를 견고하게 물 수 있도록 제1주축(42a)의 하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부위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지지부(42c)는 제1주축(42a)의 상단부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고정지지부(42c)에 상기 고정나선부재(42d)와 가이드봉(42e)의 일단부가 고정이 된다. 상기 고정나선부재(42d)는 고정지지부(42c)의 중앙부위에 위치하며, 그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할 수 있게 되는 나사산부로 형성되면서 그 외주면에 나사산부를 보호하기 위한 관이 구비되어 있다. 또, 상기 가이드봉(42e)은 고정나선부재(42d)의 좌·우측에서 고정나선부재(42d)와 나란하게 한 쌍이 구비되어 있는 봉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가동지지부(43a)는 고정지지부(42c)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고정지지부(42c)와 동일한 높이와 형태를 가지며, 이 가동지지부(43a)에 상기 가동나선부재(43b)와 가이드관(43c)의 일단부가 구비된다. 상기 가동나선부재(43b)는 가동지지부(43a)의 중앙부위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나선부재(42d)의 나사산과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관(43c)은 가동나선부재(43b)의 좌·우측에서 가동나선부재(43b)와 나란하게 연장된 한 쌍의 관으로서, 상기 가이드봉(42e)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제2주축(43d)은 상기 제1주축(42a)과 나란하도록 가동지지부(43a)의 중앙 하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있다. 또, 상기 가동물림부(43e)는 상기 고정물림부(42b)와 쌍을 이루도록 고정물림부(42b)에 대응하여 제2주축(43d)의 하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고정물림부(42b)와 함께 외부의 사다리 설치 부위(F)를 물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조작부(44)는 고정지지부(42c)에 구비되어 고정나선부재(42d)와 연결됨으로써 고정나선부재(42d)를 회전시키게 된다. 즉, 회전조작부(44)는 사다리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돌릴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이 회전조작부(44)가 제자리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고정나선부재(42d)를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고정나선부재(42d)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이 가동나선부재(43b)가 고정나선부재(42d)와 더 깊이 결합되거나 빠져나오는 직선운동을 하게 되며, 가이드봉(42e)들 역시 가이드관(43c)과 더 깊이 결합되거나 빠져나오는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가동나선부재(43b)와 가이드관(43c)들이 결합된 가동지지부(43a)와 제2주축(43d)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가동물림부(43e)가 고정물림부(42b)를 상대로 근접하거나 이격됨으로써, 클램프(40)가 사다리 설치 부위(F)에 고정되거나 해제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최하단부 측에서 상기 발판 부재(20)와 연동하도록 좌우 프로파일 부재(30)의 최하단부 측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타단부는 발판 부재(20)와 중간 프로파일 부재(10) 간의 결합 구조와 동일하게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와 결합되는 좌우 한 쌍의 제2발판 부재(51,52)가 구비된다. 특히,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이들 한 쌍의 제2발판 부재(51,52)의 저면부에는 슬라이드 홈(51a,52a)이 형성되고, 이 슬라이드 홈(51a,52a)에는 한 쌍의 제2발판 부재(51,52)가 펴진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슬라이드 홈(51a,52a)에 슬라이드 삽입되는 슬라이더(53)가 구비된다. 이 슬라이더(53)에는 조임나사(53a)가 더 구비됨으로써 슬라이더(53)를 슬라이드 홈(51a,52a) 내에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제2발판 부재(51,52)가 펴진 상태에서 고정되면, 이 제2발판 부재(51,52)와 함께 상기 발판 부재(20)들이 좌우 프로파일 부재(30)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발판 부재(20)들 역시 펴진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고 고정이 된다.
다음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사용예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사다리를 아파트와 같은 다층 건물에서 화재 발생시와 같은 비상 상황시에 위층 발코니로부터 아래층 발코니로 대피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한다.
먼저, 클램프(40)를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상단부에 결합한다. 즉, 클램프(40)의 고정부재(41)를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상단부에 끼운 상태에서 키 호울(41a,16)에 고정 키(41b)를 체결함으로써, 고정부재(41)가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상단부에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도 3에서처럼 절반으로 접혀진 상태인 사다리를 제1경첩부(13)와 제2경첩부(34)를 이용하여 직선 형태로 편다.
이어서, 도 2와 같이 접혀져 있는 발판 부재(20)를 도 9a∼도 9c에 순서대로 도시된 것처럼 펴서 도 1과 같이 한다. 즉, 좌우 프로파일 부재(30)를 손으로 잡아당기면 좌우 프로파일 부재(30)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발판 부재(20)들의 타측 말단부(22)가 한꺼번에 당겨짐과 동시에,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제1돌출부(10b)에 결합되어 있는 발판 부재(20)의 일측 말단부(21)가 힌지핀(21b)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일측 말단부(21)가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제1개구부(10a)로 삽입됨으로써,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상하방향을 따라 설치된 발판 부재(20)끼리 동시에 펴지게 된다.
발판 부재(20)가 수평 상태로 완전히 펴지면 발판 부재(20)의 일측 말단부(21)가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제1개구부(10a)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일측 말단부(21)의 상단이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제1개구부(10a) 상단부에 걸려서 고정이 된다.
상기 발판 부재(20)가 중간 프로파일 부재(10)로부터 펴질 때 제2발판 부재(51,52) 역시 연동하여 펴지므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2발판 부재(51,52)에 의해 발판 부재(20)가 중간 프로파일 부재(10)로부터 완전히 펴진 상태에서 견고하게 고정이 된다.
이어서, 클램프(40)의 고정물림부(42b)와 가동물림부(43e) 사이를 위층 발코니의 펜스와 같은 외부의 사다리 설치 부위(F)에 걸친 상태에서 회전조작부(44)를 회전시킴으로써, 가동나선부재(43b)와 가이드관(43c)이 고정나선부재(42d)와 가이드봉(42e)을 따라 직선운동하도록 하여 가동물림부(43e)가 고정물림부(42b) 쪽으로 조여지도록 한다. 그러면 클램프(40)가 외부의 사다리 설치 부위(F)에 견고하게 고정이 됨으로써, 사다리 사용자가 발판 부재(20)를 딛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보인 사다리는, 발판 부재를 접어서 좌우 폭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가 용이하다. 또한, 다층 건물에서 화재와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위층 발코니로부터 아래층 발코니로 또는 그 반대로 사다리의 상단부를 결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기 때문에 인명 구조에 매우 유용하다.
<제2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한 전체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외형적인 디자인에서 차이가 있으나, 기본적인 기술적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고, 클램프의 구성 및 지지부재의 구성에 있어서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구성하는 사다리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중간 프로파일 부재(110)와 발판 부재(120) 및 좌우 프로파일 부재(130)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좌우 프로파일 부재(130)를 위아래로 밀거나 잡아당기면, 이 좌우 프로파일 부재(13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발판 부재(120)들이 중간 프로파일 부재(110)의 좌·우측부를 상대로 수평하게 접히거나 직각으로 펴질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클램프(140)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클램프(40) 보다 조작과 작동이 간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먼저, 클램프 본체(141)가 구비되는데, 이 클램프 본체(141)는 중간 프로파일 부재(11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중공(中空)의 수직관(141a)과, 이 수직관(141a)의 상단으로부터 외부의 사다리 설치 부위(F)를 향해 수평하게 연장되는 중공의 수평관(141b)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클램프 본체(141)는 외부의 사다리 설치 부위(F)를 상대로 'ㄱ'자 형태로 걸쳐질 수 있게 된다.
클램프 본체(141)의 수직관(141a)과 수평관(141b)의 교차 부위에는 로울러(142)가 설치되어 있으며, 수평관(141b)에는 슬라이드관(143)이 삽입되어 있는데, 슬라이드관(143)은 수평관(141b)에서 수평하게 슬라이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슬라이드관(143)에는 그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길게 슬릿(143a)이 형성되어 있고, 수평관(141b)에는 이 슬릿(143a)에 삽입되는 가이더(141c)가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관(143)이 수평관(141b)에서 수평하게 슬라이딩할 때 가이더(141c)가 슬릿(143a)에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드관(143)을 가이드하게 된다.
슬라이드관(143)이 수평관(141b)으로부터 슬라이딩하여 나온 후에 다시 수평관(141b) 쪽으로 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와이어(144)와 압축 스프링(145)이 구비되어 있다. 와이어(144)는 일단부가 슬라이드관(143)에 고정이 된 상태에서 수평관(141b)과 수직관(141a) 사이에 위치하는 로울러(142)를 경유하여 수직관(141a)으로 연장이 된다. 따라서, 사다리 사용자가 슬라이드관(143)을 잡아당겨서 수평관(141b)으로부터 슬라이딩하여 나오게 하면 와이어(144)가 슬라이드관(143)과 함께 당겨지게 된다. 또한, 수직관(141a)으로 연장된 와이어(144)의 타단부에는 와이어 고정블록(146)이 결합되어 있어서, 슬라이드관(143)을 수평관(141b) 밖으로 슬라이딩시키는 힘을 제거하였을 경우 와이어 고정블록(146)의 자중에 의해 와이어(144)가 수직관(141a) 아래쪽으로 당겨지게 된다.
상기 압축 스프링(145)은 수직관(141a) 내에서 수직관(141a)의 상단부와 와이어 고정블록(146) 사이에 설치된다. 따라서, 사다리 사용자가 슬라이드관(143)을 잡아당김에 따라 슬라이드관(143)이 수평관(141b)으로부터 슬라이딩되어 나오면서 와이어(144)가 당겨지면 와이어(144)의 타단부에 결합된 와이어 고정블록(146)에 의해 압축 스프링(145)이 압축이 된다. 그리고, 사다리 사용자가 슬라이드관(143)을 슬라이딩 상태로부터 놓으면, 압축되었던 압축 스프링(145)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신장되면서 와이어 고정블록(146)을 수직관(141a)에서 하향 이동시켜 와이어(144)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슬라이드관(143)이 수평관(141b) 쪽으로 슬라이딩되어 들어가도록 한다.
슬라이드관(143)의 선단부에는 수직 하방으로 연장된 고정다리(147)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고정다리(147)는 슬라이드관(143)이 수평관(141b) 쪽으로 슬라이딩되어 들어갈 때 사다리 설치 부위(F)에 밀착됨으로써 본 발명의 사다리를 사다리 설치 부위(F)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고정다리(147)에는 사다리 설치 부위(F)에 미끄러지지 않고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고무 재질의 고무발(148)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구비되는 클램프(140)는, 외부의 사다리 설치 부위(F)에 걸쳐진 상태에서 사다리 사용자가 슬라이드관(143)을 수평관(141b)으로부터 잡아당겼다가 놓으면 압축 스프링(145)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드관(143)이 수평관(141b) 쪽으로 복귀하면서 슬라이드관(143)의 선단부에 구비된 고정다리(147)가 사다리 설치 부위(F)에 결착되는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슬라이드관(143)을 잡아당겼다가 놓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본 발명의 사다리를 사다리 설치 부위(F)에 쉽게 고정할 수가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좌우 프로파일 부재(130)에는 사다리를 사다리 설치 부위(F)로부터 이격시킨 상태로 지지하기 위해 도 15와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은 지지부재(150)가 구비되어 있다. 즉, 지지부재(150)는, 좌우 프로파일 부재(130)에 고정되는 브래킷(151)과 이 브래킷(151)에 의해 좌우 프로파일 부재(130)에 접었다 펼 수 있도록 설치되는 지지다리(152)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다리(152)는 브래킷(151)에 구비된 결합홈(151a)에 그 말단부가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사다리 설치 부위(F)를 상대로 폈다가 접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지지부재(150)는 지지다리(152)가 펴진 상태에서 중간 프로파일 부재(110)와 발판 부재(120) 및 좌우 프로파일 부재(130)가 사다리 설치 부위(F)로부터 약간의 간격을 갖도록 한다. 따라서, 사다리 사용자가 발판 부재(120)를 디딜 때 발끝 부분이 사다리 설치 부위(F) 쪽으로 약간 돌출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사다리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되지 아니한 구성 부분은 전술한 제1실시예의 구성이 적용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110 : 중간 프로파일 부재 10a : 제1개구부
10b : 제1돌출부 10c : 레일홈
10d : 결합구멍 10e : 체결부재
11 : 제1경첩부 11a : 제1연결 플랜지
11b : 제2연결 플랜지 11c : 회전축 부재
11d : 스토퍼 11e : 로킹 홈
11f : 탄성부재 11g : 로커
12 : 고정 고리 13 : 밧줄 연결 고리
14 : 이격 부재 15 : 잠금핀
15a : 스프링 15b : 손잡이
16 : 키 호울 20,120 : 발판 부재
21 : 발판 부재의 일측 말단부 21a : 힌지핀
22 : 발판 부재의 타측 말단부 23 : 잠금핀 수용부
23a : 삽입구멍 30,130 : 좌우 프로파일 부재
31 : 제2개구부 32 : 제2돌출부
33 : 힌지 34 : 제2경첩부
40,140 : 클램프 41 : 고정부재
41a : 키 호울 41b : 고정 키
42a : 제1주축 42b : 고정물림부
42c : 고정지지부 42d : 고정나선부재
42e : 가이드관 43a : 가동지지부
43b : 가동나선부재 43c : 가이드봉
43d : 제2주축 43e : 가동물림부
44 : 회전조작부 51,52 : 제2발판 부재
51a,52a : 슬라이드 홈 53 : 슬라이더
53a : 조임나사 141 : 클램프 본체
141a : 수직관 141b : 수평관
141c : 가이더 142 : 로울러
143 : 슬라이드관 143a : 슬릿
144 : 와이어 145 : 압축 스프링
146 : 와이어 고정블록 147 : 고정다리
148 : 고무발 150 : 지지부재
151 : 브래킷 152 : 지지다리
F : 외부의 사다리 고정부

Claims (14)

  1. 상하로 긴 형태로 이루어지되 좌·우측면에는 힌지 결합을 위한 결합부들이 상하 간격을 두고 구비되고, 상하 방향의 중간에는 반으로 접을 수 있도록 제1경첩부를 구비한 중간 프로파일 부재;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결합부에 일측 말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좌·우측면에 평행하게 접히거나 직각으로 펴져서 고정이 되는 복수 개의 발판 부재;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에 상응하는 상하 길이로 이루어짐은 물론 상기 각 발판부재의 타측 말단부가 각각 힌지 결합되어 상기 발판부재들이 동시에 접히거나 펴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제1경첩부와 함께 반으로 접을 수 있도록 제2경첩부를 구비한 좌우 프로파일 부재; 및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상단부에 조립되어 외부의 사다리 설치 부위에 고정이 되는 클램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인명구조용 피난 사다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제1경첩부는,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반으로 접히는 부분의 상측에 위치하되 중간 프로파일 부재가 펴졌을 때 그 펴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편심되어 위치하는 제1연결 플랜지;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반으로 접히는 부분의 하측에 위치하되 상기 제1연결 플랜지에 중첩되는 제2연결 플랜지;
    상기 제1연결 플랜지 및 제2연결 플랜지의 중심 부위를 관통하여 회전 중심축이 되는 회전축 부재;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가 반으로 접힌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피난 사다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연결 플랜지와 상기 제2연결 플랜지 중 어느 하나에 상기 회전축 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가 펴졌을 때와 반으로 접혔을 때의 각도 간격으로 구비되는 로킹 홈과,
    상기 제1연결 플랜지와 상기 제2연결 플랜지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로킹 홈에 로킹되거나 언로킹되도록 탄성부재로 지지되는 로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피난 사다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정면부에는, 사다리 사용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 벨트의 고정 고리가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고정 고리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되는 레일홈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피난 사다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정면 상단부에는 구명용 밧줄을 연결할 수 있는 밧줄 연결 고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피난 사다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하단부에는 결합구멍이 구비되고, 이 결합구멍에 결합되어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하부를 사다리 설치 부위로부터 이격시키는 이격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피난 사다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결합부는 상기 발판 부재의 일측 말단부를 향해 개구된 제1개구부와 이 제1개구부의 측방에서 발판 부재의 일측 말단부를 향해 돌출된 제1돌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판 부재의 일측 말단부는 상기 제1개구부를 삽입되면서 제1돌출부에 힌지 결합되되, 상기 일측 말단부의 상단부가 직각형으로 형성되어 발판 부재가 수평하게 펴졌을 때 상기 제1개구부의 상단부에 걸리게 되고, 상기 일측 말단부의 하단부는 라운드형으로 형성되어 발판 부재가 상기 제1개구부에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피난 사다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프로파일 부재는 상기 발판 부재를 향하는 부위에 제2개구부와 제2돌출부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2돌출부가 상기 발판 부재의 타측 말단부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좌우 프로파일 부재를 상/하로 움직이면 발판 부재의 타측 말단부가 상기 제2개구부로 출입하는 구조로 상기 좌우 프로파일 부재가 상기 발판 부재를 연결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피난 사다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부재가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에 접힌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발판 부재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대응 부위에 각각 고정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발판 부재에 돌출 형성되면서 삽입구멍을 가진 잠금핀 수용부와, 상기 발판 부재가 중간 프로파일 부재에 접힐 때 상기 잠금핀 수용부에 의해 탄성적으로 밀렸다가 복원되면서 상기 삽입구멍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에 구비되는 잠금핀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피난 사다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최하단부 측에서 상기 발판 부재와 연동하도록 상기 좌우 프로파일 부재의 최하단부 측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타단부는 상기 발판 부재와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 간의 결합 구조와 동일하게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와 결합되는 좌우 한 쌍의 제2 발판 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한 쌍의 제2 발판 부재의 저면부에는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고, 이 슬라이드 홈에는 상기 한 쌍의 제2 발판 부재가 펴진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상기 슬라이드 홈에 슬라이드 삽입되는 슬라이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피난 사다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외부의 사다리 설치 부위를 향해 구부려진 형태로 이루어져 하단부가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부재;
    상하로 긴 축으로 이루어져 중간부위가 상기 고정부재의 상단부와 결합되는 제1주축;
    상기 제1주축의 하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고정물림부;
    상기 제1주축의 상단부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고정지지부;
    상기 고정지지부의 중앙부위에 일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하게 되는 관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나선부재;
    상기 고정나선부재의 좌우 측에서 고정나선부재와 나란하게 상기 고정지지부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봉;
    상기 고정지지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가동지지부;
    상기 고정나선부재와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가동지지부의 중앙부위에 구비되는 가동나선부재;
    상기 가동나선부재의 좌우 측에서 가동나선부재와 나란하게 상기 가동지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봉이 삽입되는 가이드관;
    상기 제1주축과 나란하게 상기 가동지지부에 구비되는 제2주축;
    상기 고정물림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2주축의 하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고정물림부와 함께 상기 사다리 설치 부위를 물 수 있게 되는 가동물림부;
    상기 고정나선부재와 연결되도록 상기 고정지지부에 구비되어 회전 조작됨에 따라 상기 고정나선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가동나선부재와 가이드관이 각각 고정나선부재와 가이드봉을 상대로 직선운동하여 상기 가동물림부가 상기 고정물림부를 상대로 근접하거나 이격되면서 상기 사다리 설치 부위에 고정되거나 해제되도록 하는 회전조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피난 사다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중공의 수직관과 이 수직관으로부터 외부의 사다리 설치 부위를 향해 연장되는 중공의 수평관을 구비한 클램프 본체;
    상기 수직관과 수평관의 교차부에 설치되는 로울러;
    상기 수평관에 상기 사다리 설치 부위를 상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드관;
    일단부가 상기 슬라이드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로울러를 경유하여 상기 수직관으로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드관의 슬라이딩에 따라 당겨지게 되며, 타단부에는 와이어 고정블록이 결합된 와이어;
    상기 수직관 내에서 수직관의 상단부와 상기 와이어 고정블록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관이 상기 수평관으로부터 슬라이딩되어 나올 때는 상기 와이어가 당겨짐에 따라 상기 와이어 고정블록에 의해 압축되었다가, 상기 슬라이드관이 놓여지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와이어를 복귀시키면서 상기 슬라이드관이 수평관 쪽으로 슬라이딩되어 들어가도록 하는 압축 스프링;
    상기 슬라이드관의 선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관이 수평관 쪽으로 슬라이딩되어 들어갈 때 상기 사다리 설치 부위에 고정이 되는 고정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피난 사다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관에는 슬라이딩 방향을 향해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관에는 상기 슬라이드관의 슬라이딩시 상기 슬릿에서 슬라이드관을 가이드하게 되는 가이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피난 사다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프로파일 부재에 고정되는 브래킷과 이 브래킷에 의해 좌우 프로파일 부재에 접었다 펼 수 있도록 설치되는 지지다리로 구성되어, 상기 좌우 프로파일 부재를 사다리 설치 부위로부터 이격시킨 상태로 지지할 수 있게 되는 지지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피난 사다리.
KR1020100125372A 2009-12-10 2010-12-09 인명구조용 피난 사다리 KR1012269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352 2009-12-10
KR20090122352 2009-1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6099A KR20110066099A (ko) 2011-06-16
KR101226947B1 true KR101226947B1 (ko) 2013-01-28

Family

ID=44399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5372A KR101226947B1 (ko) 2009-12-10 2010-12-09 인명구조용 피난 사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69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85933A (zh) * 2018-06-21 2018-11-13 江苏百舟安全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在船舶上使用的导向性救生梯
KR101971390B1 (ko) * 2018-01-04 2019-08-13 오혜숙 접철식 사다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620B1 (ko) * 2013-09-13 2015-02-05 최은숙 조형물 설치작업용 보조 장치
CN110080674B (zh) * 2019-06-14 2024-05-07 苏州中创铝业有限公司 一种折叠梯
CN112502606B (zh) * 2020-11-26 2022-10-11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多功能可变形的电力绝缘梯
CN113090072B (zh) * 2021-04-10 2022-05-20 新力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适用于深基坑放坡式开挖施工的安全梯道及装配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6954A (en) 1974-03-14 1977-04-12 Inventec International Limited Foldable ladder
KR19980066376U (ko) * 1997-05-07 1998-12-05 성열호 운반과 보관이 용이한 절첩식 사다리
EP1388638A1 (en) 2002-08-09 2004-02-11 Cosco Management Inc. Multi-fold collapsible ladder
US6913114B1 (en) 2004-06-19 2005-07-05 Berle G. Blehm Roof anchor ladder attachment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6954A (en) 1974-03-14 1977-04-12 Inventec International Limited Foldable ladder
KR19980066376U (ko) * 1997-05-07 1998-12-05 성열호 운반과 보관이 용이한 절첩식 사다리
EP1388638A1 (en) 2002-08-09 2004-02-11 Cosco Management Inc. Multi-fold collapsible ladder
US6913114B1 (en) 2004-06-19 2005-07-05 Berle G. Blehm Roof anchor ladder attachment assembly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201998066376 U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390B1 (ko) * 2018-01-04 2019-08-13 오혜숙 접철식 사다리
CN108785933A (zh) * 2018-06-21 2018-11-13 江苏百舟安全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在船舶上使用的导向性救生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6099A (ko) 201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6947B1 (ko) 인명구조용 피난 사다리
US7422048B2 (en) Transportable safety barrier
US20080116007A1 (en) Stowable, unobtrusive access and escape devices
US7051385B2 (en) Portable hanging cot
JPH05508456A (ja) 折り畳み式梯子
KR101209140B1 (ko) 절첩식 사다리
US4401183A (en) High rise life escape ladders
KR102075935B1 (ko) 건물용 비상탈출기구
US4867275A (en) Escape ladder
KR200469371Y1 (ko) 인명구조용 로프 사다리
US4702347A (en) Folding, burglar proof fire escape ladder with separate release stations and safety belts with locking brackets
KR100983680B1 (ko) 고층건물용 비상탈출구
WO2007080625A1 (ja) 一本梯子
KR101692844B1 (ko) 접이식 비상용 대피 난간
KR100928671B1 (ko) 비상탈출장치를 구비한 추락사고방지장치
JP6169400B2 (ja) 避難装置
RU80493U1 (ru) Лестница спасательная универсальная пожарная
KR200358087Y1 (ko) 난간용 사다리
KR20100007575U (ko) 비상탈출장치
EP0146540A1 (en) High rise life escape ladders
KR200265513Y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사다리
CN219764330U (zh) 一种具有逃生功能的护栏
KR20140034540A (ko) 휴대용 인명 구조 장치
KR200464791Y1 (ko) 고정식 안전 사다리
KR20220040628A (ko) 건물용 비상탈출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