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9140B1 - 절첩식 사다리 - Google Patents

절첩식 사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9140B1
KR101209140B1 KR1020100119448A KR20100119448A KR101209140B1 KR 101209140 B1 KR101209140 B1 KR 101209140B1 KR 1020100119448 A KR1020100119448 A KR 1020100119448A KR 20100119448 A KR20100119448 A KR 20100119448A KR 101209140 B1 KR101209140 B1 KR 101209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ffold
ladder
intermediate profile
members
profil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9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6086A (ko
Inventor
김선희
Original Assignee
김선희
주식회사 선광 엠 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희, 주식회사 선광 엠 파 filed Critical 김선희
Publication of KR20110066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6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9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9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83Foldable ladders in which the longitudinal members are brought together on folding

Landscapes

  • Ladder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등의 시설물 점검 및 보수를 위해 해당 시설물에 고정 설치되어 사용되거나 그 밖에 다층 건물에서 화재시 대피 또는 비상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접었다 펴는 구조를 갖는 절첩식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하로 긴 형태로 이루어지되 좌?우측면에는 상하 일정 간격마다 힌지 결합을 위한 제1결합부들을 구비한 중간 프로파일 부재와, 이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제1결합부에 일측 말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좌?우측면에 평행하게 접히거나 직각으로 펴져서 고정이 되는 복수 개의 발판 부재와, 중간 프로파일 부재에 상응하는 상하 길이로 이루어져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좌?우측에서 발판 부재의 타측 말단부끼리 상하로 연결하여 발판 부재들이 동시에 접히거나 펴질 수 있도록 하는 좌우 프로파일 부재와, 중간 프로파일 부재와 좌우 프로파일 부재를 연결하도록 중간 프로파일 부재에 설치되어 좌우 프로파일 부재를 당기거나 놓아서 상기 발판 부재가 접히거나 펴지도록 하는 발판 절첩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절첩식 사다리{Foldable ladder}
본 발명은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교량 등의 시설물 점검 및 보수를 위해 해당 시설물에 고정 설치되어 사용되거나 그 밖에 다층 건물에서 화재시 대피 또는 비상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접었다 펴는 구조를 갖는 절첩식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소정 높이의 위치로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는 도구인 사다리는 건축?토목?조경을 비롯하여 일상 생활에서 비상용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사다리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일(一)자형 구조의 것 혹은 'A'자형으로 이루어져 접었다 펼 수 있는 구조의 것이라 할 수 있지만, 공개특허 제1999-017256호(명칭 : 신축형 사다리)에 기재된 것처럼 일자형으로 되어 상하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신축형 혹은 절첩식 구조의 사다리도 널리 알려져 있다. 신축형 혹은 절첩식 구조의 사다리는 상하 길이의 조절을 통해 원하는 위치로 오르내릴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하다.
한편, 교량이나 건물 등의 시설물을 점검 및 보수하기 위해 해당 시설물의 난간 외부에는 작업자가 자유롭게 진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점검용 사다리가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점검용 사다리는 해당 시설물에 누구든 임의로 접근할 수 있고, 별도의 잠금장치가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불순한 의도를 가진 침입자에 의해 자의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위와 같은 시설물 점검 및 보수용으로 사용되는 사다리 외에도,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다층 건물에서 화재 발생시와 같은 비상 상황에서 피난용으로 사다리를 이용하기가 곤란하여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교량이나 건물 등의 시설물 점검 및 보수를 위해 해당 시설물에 설치되어 사용할 수 있고, 다층 건물 등에서 화재 발생과 같은 비상 상황시 피난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절첩식 사다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절첩식 사다리는, 상하로 긴 형태로 이루어져 사다리의 중앙에 배치되는 중간 프로파일 부재와, 이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좌?우측에 상하로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는 발판 부재와,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좌?우측에서 발판 부재끼리 연결하는 좌우 프로파일 부재와, 이 좌우 프로파일 부재를 당기거나 놓아서 발판 부재가 동시에 접히거나 펴지도록 하는 발판 절첩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는 좌?우측면에 상하 일정 간격마다 힌지 결합을 위한 제1결합부들을 구비하고, 상기 발판 부재는 일측 말단부가 상기 제1결합부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좌?우측면에 평행하게 접히거나 직각으로 펴져서 고정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우 프로파일 부재는 중간 프로파일 부재에 상응하는 상하 길이로 이루어져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좌?우측에서 발판 부재의 타측 말단부끼리 상하로 연결하여 발판 부재들이 동시에 접히거나 펴질 수 있도록 한다.
또, 상기 발판 절첩 수단은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와 좌우 프로파일 부재를 연결하도록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에 설치됨으로써, 좌우 프로파일 부재를 당기거나 놓아서 발판 부재가 접히거나 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사다리는,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한 정면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한 배면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상태에서 발판 부재가 접히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상태로부터 발판 부재가 완전히 접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제2사다리부가 부가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사다리부에 제2사다리부가 복수 개 결합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제2사다리부의 제2 좌우 프로파일 부재가 제1 사다리부의 좌우 프로파일 부재와 함께 접히거나 펴지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9a는 사다리가 펴진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측면도이며, 도 9c는 사다리가 접혀진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적용된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적용된 좌우 프로파일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적용된 발판 절첩 수단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2a는 링크 부재가 펴진 상태에서의 정면도이고, 도 12b는 링크 부재가 접힌 상태에서의 측부 단면도이며, 도 12c는 링크 부재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9a의 A부 확대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4a는 사다리가 펴진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14b는 도 14a의 측면도이며, 도 14c는 사다리가 접혀진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적용된 발판 절첩 수단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5a는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상측에 구비되는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5b는 도 15a의 평면도이며, 도 15c는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하측에 구비되는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5d는 도 15c의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들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실시예>
도 1과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한 정면부 사시도와 배면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상태에서 발판 부재가 접히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상태로부터 발판 부재가 완전히 접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들에서 사다리의 높이는 도면 작성의 편의상 매우 낮게 도시되어 있으나, 사용처와 목적 등에 따라 높이의 설계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사다리는, 사다리의 중심에서 지지축 역할을 하는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와, 이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좌?우측에 상하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발판 부재(20)와, 이들 발판 부재(20)를 상하로 연결하는 좌우 프로파일 부재(30)와, 이 좌우 프로파일 부재(30)를 당기거나 놓아서 발판 부재(20)가 접히거나 펴지도록 하는 발판 절첩 수단(40)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구성 요소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10)는 고강도 알루미늄과 같은 중량이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높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량을 가볍게 하기 위해 가급적 속이 빈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형태는 본 실시예에서 횡단면이 사각형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다른 형태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좌?우측면은 각각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사다리의 상하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힌지 결합을 위한 제1결합부(11)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 제1결합부(11)는 발판 부재(20)의 일측 말단부(21)를 향해 돌출된 돌출단(11b)과 이 제1돌출단(11b)의 양측으로 개구된 개구부(11a)로 예시되어 있다.
상기 발판 부재(20)는 중심축 부재(10)와 마찬가지로 고강도 알루미늄과 같은 소재로 되어 내부는 중공(中空)이거나 채워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좌?우측에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된다. 즉, 발판 부재(20)는 상기 제1결합부(11)의 배열 간격과 동일하게 일정 간격마다 배열된 상태에서 일측 말단부(21)가 제1결합부(11)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특히, 발판 부재(20)의 일측 말단부(21)는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돌출단(11b)에 중첩된 상태, 즉 발판 부재(20)의 일측 말단부(21)가 돌출단(11b)의 양측면에 겹쳐진 형태로 힌지핀(21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발판 부재(20)의 일측 말단부(21)의 윗부분은 편평하면서 직각으로 깎여진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발판 부재(20)가 중간 프로파일 부재(10)로부터 수평 상태로 펴졌을 때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개구부(11a) 상단부에 걸려서 고정이 되어, 사다리 사용자가 발판 부재(20)에 발을 디뎠을 때 발판 부재(20)가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견디면서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발판 부재(20)의 일측 말단부(21)의 밑부분은 둥글게 라운딩 처리됨으로써, 발판 부재(20)가 회전하여 수평 상태로 펴지거나 접혀질 때 일측 말단부(21)가 아무런 지장없이 개구부(11a)를 상태로 출입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발판 부재(20)가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좌?우측에 접히거나 펴지게 되는데,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일측 말단부(21)의 반대쪽인 발판 부재(20)의 타측 말단부(22)는 좌우 프로파일 부재(30)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발판 부재(20)의 외형은 사다리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데에 용이하도록 대략 직육면체형으로 예시되어 있다.
상기 좌우 프로파일 부재(30)는 중간 프로파일 부재(10) 및 발판 부재(20)와 동일한 소재로 구성되어 내부는 중공(中空)이거나 채워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발판 부재(20)가 접힐 때 도 4와 같이 발판 부재(20)를 은폐하면서 중간 프로파일 부재(10) 옆으로 접히게 되는 원호형 단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좌우 프로파일 부재(30)는 발판 부재(20)의 타측 말단부(22)들에 결합되어 발판 부재(20)의 타측 말단부(22)들을 연결하는데, 좌우 프로파일 부재(30)와 발판 부재(20)의 결합 구조는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와 발판 부재(20)의 결합 구조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고, 간단하게 힌지 결합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발판 절첩 수단(40)은 스크류축(41)과 암나사 부재(42)와 핸들(43) 및 링크 부재(44)로 구성되어 있다. 스크류축(41)은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배면부에 상하로 길게 설치되는데, 그 길이는 상기 발판 부재(20)가 접혔다 펴지는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이루어져 있다. 스크류축(41)은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스크류축(41)을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배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부재(45,46)에 의해 지지가 된다. 즉, 스크류축(41)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나사산이 없는 구조로 되어 이 상단부와 하단부가 베어링 부재(45,4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이 되는 것이다. 상기 암나사 부재(42)는 스크류축(41)의 나사산 상에 체결이 되며, 상기 핸들(43)은 스크류축(41)의 일측 말단부에 설치되어 사다리 사용자가 이 핸들(43)을 회전 조작하면 스크류축(41)이 회전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핸들(43)은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상단부 쪽으로 돌출되도록 스크류축(41)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링크 부재(44)는 암나사 부재(42)와 좌우 프로파일 부재(30)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핸들(43)을 회전 조작하였을 때 회전 방향에 따라 암나사 부재(42)가 스크류축(41)을 따라 상향 또는 하향 이동하면 링크 부재(44)에 의해 좌우 프로파일 부재(30)가 당겨지거나 밀려서 발판 부재(20)가 접히거나 펴지게 된다. 이러한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암나사 부재(42)에 결합되는 링크 부재(44)의 일측 말단부는 암나사 부재(42)의 외주면에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을 매개로 결합이 될 수 있고, 좌우 프로파일 부재(30) 측에 결합되는 링크 부재(44)의 타측 말단부는 좌우 프로파일 부재(30)에 볼 조인트 혹은 플렉시블 조인트(도시되지 않음)로 결합이 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정면부에는, 사다리 사용자가 사다리를 오르내리다가 부주의에 의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안전 벨트의 연결쇠(R)가 결합되어 이 연결쇠(R)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되는 레일홈(12)이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즉,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멈춤키(R1)를 가진 고리 형태의 연결쇠(R)가 안전 벨트에 구비되는데, 멈춤쇠(R1)가 레일홈(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다리 사용자가 사다리 상에서 몸이 비정상적으로 틀어지는 경우, 멈춤쇠(R1) 각도가 틀어지면서 레일홈(12)에 끼게 됨으로써 연결쇠(R)의 슬라이딩이 정지되어 사다리 사용자의 추락을 방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정면 상단부에는 완강기 등의 구명용 밧줄(도시되지 않음)을 연결할 수 있는 밧줄 연결 고리(13)가 더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사다리를 누군가가 임의로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암나사 부재(42)와 중간 프로파일 부재(10) 상측의 고정부재(45)에는 암나사 부재(42)와 고정부재(45)를 체인 등으로 서로 결속한 상태에서 자물쇠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잠금 고리(42a,45a)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좌우 프로파일 부재(30)가 중간 프로파일 부재(10) 측으로 접혔을 때 상기 잠금 고리(42a,45a)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핸들(43)은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상단부로부터 돌출됨과 아울러, 암나사 부재(42)의 잠금 고리(42a)가 좌우 프로파일 부재(30)에 은폐되지 않을 정도로 좌우 프로파일 부재(30)가 중간 프로파일 부재(10) 측으로 적당히 접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실시예>
다음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제2사다리부가 부가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사다리(이하 '제1사다리부'로 칭함)의 높이가 짧게 제작된 경우, 그 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해 제1사다리부의 하단에 제2사다리부가 조립식으로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사다리부의 구성은 제2 중간 프로파일 부재(50)와 제2 발판 부재(60) 및 제2 좌우 프로파일 부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들의 재질과 형태는 각각 제1사다리부의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와 발판 부재(20) 및 좌우 프로파일 부재(30)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중간 프로파일 부재(50)는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의 하단부에 일직선으로 결합이 되고, 상기 제2 좌우 프로파일 부재(70)는 좌우 프로파일 부재(30)의 하단부에 일직선으로 결합이 된다. 즉, 제2 중간 프로파일 부재(50)와 제2 좌우 프로파일 부재(70)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단(53,71)가 구비되고,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와 좌우 프로파일 부재(30) 각각의 하단부에는 상기 결합단(53,71)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10) 및 좌우 프로파일 부재(30)의 하단부와 상기 결합단(53,71)에는 각각 키 호울(14,30a,53a,71a)이 형성되어, 이 키 호울(14,30a,53a,71a)에 체결되는 고정 키(81,82)에 의해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와 제2 중간 프로파일 부재(50)끼리 및 좌우 프로파일 부재(30)와 제2 좌우 프로파일 부재(70)끼리 결합된다.
제2 중간 프로파일 부재(50)에 대한 제2 발판 부재(60)들의 결합 구조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였던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에 대한 발판 부재(20)들의 결합 구조와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제2 좌우 프로파일 부재(70)에 의한 제2 발판 부재(60)의 결합 구조 역시 좌우 프로파일 부재(30)에 의한 발판 부재(20)의 결합 구조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제2 중간 프로파일 부재(50)와 제2 발판 부재(60)의 경우에는, 제2 중간 프로파일 부재(50)의 좌?우측에 상하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제2결합부(51)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제2결합부(51)는 제2개구부(51a)와 제2돌출부(51b)로 이루어져서, 제2 발판 부재(60)의 일측 말단부(61)가 상기 제2돌출부(51b)에 힌지 결합되어 제2개구부(51a)로 출입하면서 제2 발판 부재(60)가 제2 중간 프로파일 부재(50)의 좌?우측에 접히거나 펴지게 된다.
상기 제2 좌우 프로파일 부재(70)는 제2 발판 부재(60)들을 상하로 연결하면서 좌우 프로파일 부재(30)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사다리부의 발판 절첩 수단(40)이 작동하게 되면 제2 발판 부재(60)들을 발판 부재(20)와 연동하여 동시에 접히거나 펴지도록 한다. 제2 좌우 프로파일 부재(70) 역시 제2 발판 부재(60)가 접힐 때 제2 발판 부재(60)를 은폐하면서 접히도록 원호형 단면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중간 프로파일 부재(50)의 정면부에는 중간 프로파일 부재(10)와 마찬가지로 레일홈(12)의 연장선을 이루는 제2레일홈(52)이 형성되어 있어서, 안전 벨트의 연결쇠(R)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전술한 제1사다리부에 제2사다리부가 상하로 복수 개 결합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서 제2사다리부의 제2 좌우 프로파일 부재가 제1사다리부의 좌우 프로파일 부재와 함께 접히거나 펴지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사다리는 고층 건물에 설치되는 경우, 화재 발생과 같은 비상시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건물의 최고층에 위치하는 제1사다리부의 암나사 부재(42)와 베어링 부재(45)가 체인 등으로 결속되어 자물쇠로 잠금장치가 됨으로 인해 아래층의 대피 인원이 이 잠금장치를 해제할 수 없는 경우에, 제1사다리부의 잠금장치를 해제하지 않고도 제2사다리부를 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2 좌우 프로파일 부재(70)의 결합단(71)이 삽입되는 좌우 프로파일 부재(30)의 삽입홈(31)이 측방으로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복수 개의 제2사다리부 상호간에도 하측의 제2 좌우 프로파일 부재(70)와 결합되는 상측의 제2 좌우 프로파일 부재(70) 하단부에 측방향으로 삽입홈(7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사다리부와 최상측의 제2사다리부를 연결하기 위해 키 호울(30a,71a)에 체결되어 있던 고정 키(82)를 제거하면 제2사다리부의 제2 좌우 프로파일 부재(70)가 좌우 프로파일 부재(30)로부터 자유롭게 펴지게 되며, 복수 개의 제2사다리부의 제2 좌우 프로파일 부재(70)들이 잇달아 펴지게 됨으로써 사다리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 복수 개의 제2사다리부가 갑자기 고속으로 펴지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최하단측의 제2사다리부에는 쇽 업소버(9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최하단측 제2사다리부의 제2 중간 프로파일 부재(50')에 통상적인 구조의 쇽 업소버(90)가 구비되고, 이 쇽 업소버(90)는 최하단측 제2사다리부의 제2 좌우 프로파일 부재(70)에 제2 링크 부재(44')로 연결된다. 이 제2 링크 부재(44')는 전술한 링크 부재(44)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제2사다리부의 제2 중간 프로파일 부재(50)의 배면부에는 벽면 등에 고정되기 위한 브래킷(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되어 나사못 등으로 고정이 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2사다리부가 제1사다리부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며, 그 구성의 요지는 전술한 제2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절첩식 사다리는, 예컨대 교량이나 건물 등의 시설물 점검 및 보수를 위해 해당 교량이나 건물 등의 시설물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중간 프로파일 부재(10)를 브래킷 등을 이용하여 시설물의 출입구 측에 용접이나 체결 수단에 의해 고정시키되, 발판 절첩 수단(40)의 핸들(43)이 사다리 사용자가 쉽게 접근하여 조작할 수 있는 위치를 향하도록 배치한다. 도 5와 같이 제2사다리부가 제1사다리부의 하단부에 위치하도록 결합한 상태로 설치할 수도 있고, 도 8과 같이 그 반대 위치로 결합하여 설치할 수도 있으며, 제1사다리부가 충분히 긴 높이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제1사다리부만 단독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다리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발판 절첩 수단(40)의 핸들(43)을 회전 조작하여 발판 부재(20)가 중간 프로파일 부재(10) 측으로 접히도록 한다(제2사다리부가 구비된 경우에는 제2 발판 부재(60)도 제2 중간 프로파일 부재(50) 측으로 접히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좌우 프로파일 부재(30)가 발판 부재(20)를 은폐하게 되므로(제2사다리부가 구비된 경우에는 제2 좌우 프로파일 부재(70)도 제2 발판 부재(60)를 은폐하게 됨), 불순한 의도를 가진 침입자 등이 임의로 사다리를 이용하게 되는 것을 일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침입자 등에 의한 사다리의 자의적인 사용을 더욱 확실히 방지하기 위해서는, 발판 절첩 수단(40)의 암나사 부재(42)와 베어링 부재(45)에 각각 구비된 잠금 고리(42a,45a)를 체인 등으로 결속하고 자물쇠를 체결하면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절첩식 사다리가 설치된 교량이나 건물 등의 시설물을 점검 및 보수하거나 시설물에서 화재 등 비상시 대피하고자 할 때 본 발명의 사다리를 이용할 경우에는, 상기 자물쇠를 해제하고 발판 절첩 수단(40)의 핸들(43)을 회전 조작하여 발판 부재(20,50)를 중심축 부재(10,50)로부터 펴서 사용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절첩식 사다리는 발판 절첩 수단(40)의 핸들(43) 조작을 통해 발판 부재(20,50)를 쉽게 접고 펼 수 있으므로 사다리의 관리 및 보관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절첩식 사다리는 제1사다리부의 하측에 여러 개의 제2사다리부를 상하로 연결한 구조로 건물의 외벽에 설치됨으로써, 건물의 화재 발생과 같은 비상 상황시에 건물 내의 사람들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제3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9a는 사다리가 펴진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측면도이며, 도 9c는 사다리가 접혀진 상태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10과 도 11은 각각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적용된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단면도와 좌우 프로파일 부재의 단면도이다. 또,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적용된 발판 절첩 수단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2a는 링크 부재가 펴진 상태에서의 정면도이고, 도 12b는 링크 부재가 접힌 상태에서의 측부 단면도이며, 도 12c는 도 12a의 링크 부재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또한, 도 13은 도 9a의 A부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중간 프로파일 부재(110)와 발판 부재(120), 좌우 프로파일 부재(130), 그리고 발판 절첩 수단(140)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각 요소들의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으며, 아래의 설명에서 언급되지 아니한 부분은 전술한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에 적용되는 구성에 준한다.
먼저, 중간 프로파일 부재(110)는 도 10에 보이는 것과 같이 좌?우측면이 평탄면으로 이루어지면서 플랜지 형태의 제1결합부(111)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플랜지 형태의 제1결합부(111)에 발판 부재(120)의 일측 말단부(121)가 힌지핀으로 결합이 된다.
발판 부재(120)의 일측 말단부(121)는 도 13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중간 프로파일 부재(110)의 좌?우측면과 접하는 면이 평탄면으로 이루어지면서 접히는 쪽에 테이퍼(121a)가 형성됨으로써 중간 프로파일 부재(110)의 좌?우측면을 상대로 수평하게 접히거나 직각으로 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좌우 프로파일 부재(130)는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발판 부재(120)의 타측 말단부(122)가 힌지 결합되도록 개구된 형태를 구비하고 있으며, 발판 부재(120)의 타측 말단부(122)끼리 상하로 연결하여 발판 부재(120)들이 동시에 접히거나 펴지도록 한다.
상기 발판 절첩 수단(140)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중간 프로파일 부재(110)의 상단부에 결합이 되는데, 그 상세한 구성은 도 12a~도 12c에 나타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발판 절첩 수단(140)은 케이싱(141)과, 회전축(142), 베벨 기어쌍(143), 핸들(144), 너트(145), 링크 부재(146), 스토퍼(147), 그리고 와이어(148)를 포함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케이싱(141)은 중간 프로파일 부재(110)의 상단부에 결합이 되는데, 내부에 상기 회전축(142)과 베벨 기어쌍(143), 너트(145), 스토퍼(147) 등이 수용된다.
상기 회전축(142)은 케이싱(141) 내에 상하로 길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하단이 베어링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외주면에 수나사부(142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축(142)의 상측 외주부에 상기 베벨 기어쌍(143)이 설치되며, 이 베벨 기어쌍(143)의 기어 하나는 회전축(142)에 결합이 되어 회전축(142)과 함께 회전할 수 있게 되고, 나머지 기어 하나는 케이싱(141)에 수평하게 설치된 핸들(144)에 연결축(144a)으로 연결이 됨으로써 핸들(144)의 회전 조작에 의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핸들(144)을 회전시키면 베벨 기어쌍(143)을 거쳐 회전축(142)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너트(145)는 회전축(142)에 체결이 되어 회전축(142)을 따라 승강할 수 있게 되는데, 특히 핸들(144)을 조작하여 회전축(142)을 회전시켰을 때는 발판 부재(120)가 접히도록 회전축(142)을 따라 상향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너트(145)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스토퍼(147)를 향해 돌출된 걸림쇠(145a)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링크 부재(146)는 상기 너트(145)를 좌우 프로파일 부재(130)와 연결함으로써, 너트(145)가 회전축(142)에서 상향 이동하거나 하향 이동함에 따라서 좌우 프로파일 부재(130)를 당기거나 놓게 된다. 이에 따라 좌우 프로파일 부재(130)에 연결되어 있는 발판 부재(120)가 접히거나 펴지게 된다.
상기 스토퍼(147)는 케이싱(141) 내에 축핀(147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특히 발판 부재(120)가 완전히 접히는 상태가 될 때에 해당하는 너트(145)의 최고 상승 높이 부근에 설치된다. 또한, 스토퍼(147)에는 너트(145)와 마주보는 위치에 걸림쇠(145a)의 저면부를 부분적으로 떠받쳐서 걸쳐지도록 하는 돌출턱(147b)이 축핀(147a) 보다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토퍼(147)에서 너트(145)와 마주보는 쪽과 반대되는 위치에 압축 스프링(147c)이 결합되는데, 압축 스프링(147c)의 한쪽 끝은 케이싱(141)의 내벽에 고정되고 다른 쪽 끝은 축핀(147a) 보다 아래쪽에서 스토퍼(147)에 고정이 된다. 따라서, 평소에는 압축 스프링(147c)의 탄발력에 의해 스토퍼(147)의 돌출턱(147b)에 걸림쇠(145a)가 걸리는 방향으로 스토퍼(147)가 힘을 받게 된다.
상기 와이어(148)는 너트(145)의 걸림쇠(145a) 측면에 일단부가 고정이 되고, 타단부는 자유 상태가 되어 아래로 길게 연장되면서 외부의 사다리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게 된다. 스토퍼(147)의 바로 아래쪽에는 와이어(148)가 걸쳐지는 지주(149)가 케이싱(141)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발판 부재(120)가 중간 프로파일 부재(110) 측에 접혀져 있을 때는, 도 12b에 보이는 것처럼 너트(145)의 걸림쇠(145a)가 스토퍼(147)에 걸려있는 상태가 되는데, 사다리 사용자가 와이어(148)를 힘껏 잡아당기면 걸림쇠(145a)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스토퍼(147)의 돌출턱(147b)이 밀려서 스토퍼(147)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자유롭게 된 너트(145)는 도 12b에 가상선으로 표시된 것처럼 자중에 의해 회전축(142)의 하방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발판 부재(120)가 중간 프로파일 부재(110)로부터 펴지게 되어 사다리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핸들(144)을 회전시키면, 이 핸들(144)에 베벨 기어쌍(143)으로 연결된 회전축(142)이 함께 회전하는데, 이때 회전축(142)에 체결되어 있는 너트(145)가 회전축(142)을 따라 상향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너트(145)에 링크 부재(146)로 연결되어 있는 좌우 프로파일 부재(130)가 중간 프로파일 부재(110) 쪽으로 접히게 됨으로써 좌우 프로파일 부재(13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발판 부재(120)도 접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사다리는 이동이 쉽도록 반으로 접을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프로파일 부재(110)와 좌우 프로파일 부재(130)에는 각각 중간 부분에 상하 반으로 접을 수 있도록 통상적인 경첩부(110a,130a)가 구비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의 사다리는 건물의 벽면 등에 고정 설치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중간 프로파일 부재(110)의 배면부에 고정 브래킷(130b)을 구비하고 있다. 이 고정 브래킷(110b)은 사다리 설치 장소에 볼트로 고정이 된다.
<제4실시예>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4a는 사다리가 펴진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14b는 도 14a의 측면도이며, 도 14c는 사다리가 접혀진 상태의 정면도이다. 또,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적용된 발판 절첩 수단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5a는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상측에 구비되는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5b는 도 15a의 평면도이며, 도 15c는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하측에 구비되는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5d는 도 15c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도 14a~도 14c에 도시된 것처럼,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중간 프로파일 부재(210)와 발판 부재(220), 좌우 프로파일 부재(230), 그리고 발판 절첩 수단(240)을 구비하고 있는데, 특히 발판 절첩 수단(240)의 구성에 있어서 특징이 있으며, 나머지 구성은 상술한 제3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에, 이하에서는 제4실시예의 특징적인 구성인 발판 절첩 수단(240)에 중점을 두고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발판 절첩 수단(240)은 제1하우징(241)과 제2하우징(242), 제1로울러(243)와 제2로울러(244), 와이어(245), 와이어 이동 블록(246), 이동편(247), 링크 부재(248), 그리고 로커(249)를 포함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하우징(241)은 중간 프로파일 부재(210)의 상단부에 상하로 길게 설치되며, 제1하우징(241)의 내부 상측에 제1로울러(243)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2하우징(242)은 중간 프로파일 부재(210)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여기에 제2로울러(244)가 설치된다.
상기 와이어(245)는 제1로울러(243)와 제2로울러(244)에 권취됨으로써, 중간 프로파일 부재(210)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이어지게 된다. 이 와이어(245)는 제1로울러(243)와 제2로울러(244)를 타고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와이어 이동 블록(246)은 중량체로 이루어져 중간 프로파일 부재(210)의 하측에서 와이어(245)에 고정이 됨으로써 와이어(245)와 함께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도 15c을 참조하면, 와이어 이동 블록(246)이 자중에 의해 중간 프로파일 부재(210)의 최하단부로 하강하면(가상선으로 도시된 부분) 발판 부재(220)가 펴진 상태가 되고, 사다리 사용자가 와이어(245)를 당겨서 도면에 실선으로 도시된 부분에 와이어 이동 블록(246)이 위치하게 되면 발판 부재(220)가 접힌 상태가 된다. 이 와이어 이동 블록(246)에는 상기 로커(249)에 의해 로킹되기 위한 잠금 돌기(246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편(247)은 와이어(245)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1하우징(241) 측에 설치되며, 와이어(245)를 당기는 조작에 따라 제1하우징(241)에서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이러한 이동편(247)에 상기 링크 부재(248)의 일단부가 연결되면서, 링크 부재(248)의 타단부는 좌우 프로파일 부재(230)에 연결이 된다. 따라서, 발판 부재(220)가 펴진 상태에서 사다리 사용자가 와이어(245)를 당기면 이동편(247)이 상향 이동하는데, 이때 이동편(247)에 링크 부재(248)로 연결된 좌우 프로파일 부재(230)가 당겨짐으로써 발판 부재(220) 역시 접히게 된다.
상기 로커(249)는 도 15c와 도 15d에 도시된 것처럼 중간 프로파일 부재(210)의 하측 부위에 설치되는데, 사다리 사용자가 와이어(246)를 잡아당겨서 와이어 이동 블록(246)을 도 15c의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상승시킨 상태에서 로커(249)를 와이어 이동 블록(246)의 잠금 돌기(246a)에 걸면 와이어(246)가 더 이상 움직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와이어(246)가 사다리 사용자에 의해 당겨진 상태는 발판 부재(220)가 좌우 프로파일 부재(230)와 함께 중간 프로파일 부재(210) 측으로 접혀진 상태가 되므로, 이렇게 와이어 이동 블록(246)의 잠금 돌기(246a)에 로커(249)를 걸면 발판 부재(220)가 접혀진 상태로 유지가 된다. 반대로, 발판 부재(220)를 중간 프로파일 부재(210)로부터 펴고자 할 경우, 로커(249)를 와이어 이동 블록(246)의 잠금 돌기(246a)로부터 해제하면, 중량체인 와이어 이동 블록(246)이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발판 부재(220)가 펴지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110,210 : 중간 프로파일 부재 11,111 : 제1결합부
12 : 레일홈 13 : 밧줄 연결 고리
14,30a,53a,71a : 키 호울 20,120,220 : 발판 부재
30,130,230 : 좌우 프로파일 부재 31,72 : 삽입홈
40,140,240 : 발판 절첩 수단 41 : 스크류축
42 : 암나사 부재 42a,45a : 잠금 고리
43 : 핸들 44 : 링크 부재
45,46 : 베어링 부재 50,50' : 제2 중간 프로파일 부재
53,71 : 결합단 60 : 제2 발판 부재
70 : 제2 좌우 프로파일 부재 81,82 : 고정 키
90 : 쇽 업소버 110a,130a : 경첩부
110b : 고정 브래킷 141 : 케이싱
142 : 회전축 143 : 베벨 기어쌍
144 : 핸들 145 : 너트
145a : 걸림쇠 146 : 링크 부재
147 : 스토퍼 148 : 와이어
241 : 제1하우징 242 : 제2하우징
243 : 제1로울러 244 : 제2로울러
245 : 와이어 246 : 와이어 이동 블록
247 : 이동편 248 : 링크 부재
249 : 로커

Claims (15)

  1. 상하로 긴 형태로 이루어지되 좌?우측면에는 상하 일정 간격마다 힌지 결합을 위한 제1결합부들을 구비한 중간 프로파일 부재;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제1결합부에 일측 말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좌?우측면에 평행하게 접히거나 직각으로 펴져서 고정이 되는 복수 개의 발판 부재;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에 상응하는 상하 길이로 이루어짐은 물론 상기 각 발판 부재의 타측 말단부가 각각 힌지 결합되어 상기 발판 부재들이 동시에 접히거나 펴질 수 있도록 하는 좌우 프로파일 부재; 및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와 상기 좌우 프로파일 부재를 연결하도록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에 설치되어, 좌우 프로파일 부재를 당기거나 놓아서 상기 발판 부재가 접히거나 펴지도록 하는 발판 절첩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절첩식 사다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절첩 수단은,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배면부에 상하로 길게 베어링 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류축;
    상기 스크류축에 체결되는 암나사 부재;
    상기 스크류축을 회전시키기 위해 스크류축의 말단부에 설치되는 핸들; 및
    상기 암나사 부재를 상기 좌우 프로파일 부재와 연결하여 상기 핸들의 회전 조작시 암나사 부재가 스크류축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좌우 프로파일 부재를 당기거나 놓아서 상기 발판 부재가 접히거나 펴지도록 하는 링크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사다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부재와 상기 암나사 부재에는 자물쇠로 서로를 결속할 수 있는 잠금 고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사다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프로파일 부재는, 상기 발판 부재가 접힐 때 발판 부재를 은폐하면서 접히게 되는 원호형 단면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사다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제1결합부는 상기 발판 부재의 일측 말단부를 향해 돌출된 돌출단과 이 돌출단의 양측으로 개구된 개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판 부재의 일측 말단부는 상기 돌출단과 중첩되어 힌지 결합됨으로써 발판 부재가 접히거나 펴질 때 발판 부재의 일측 말단부가 상기 개구부로 출입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사다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정면부에는 사다리 사용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 벨트의 연결쇠가 결합되어 이 연결쇠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되되, 사다리 사용자의 추락시 연결쇠의 각도가 틀어져 연결쇠가 슬라이드 이동할 수 없게 되는 레일홈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사다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정면 상단부에는 구명용 밧줄을 연결할 수 있는 밧줄 연결 고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사다리.
  8. 제1항과 제4항, 제5항,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와 좌우 프로파일 부재 및 발판 부재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사다리의 길이를 연장시키게 되는 제2 중간 프로파일 부재와 제2 좌우 프로파일 부재 및 제2 발판 부재로 구성된 제2사다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사다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와 상기 제2 중간 프로파일 부재끼리, 그리고 상기 좌우 프로파일 부재와 상기 제2 좌우 프로파일 부재끼리는, 키 호울이 각각 형성된 결합단과 삽입홈 구조를 구비하여 상기 키 호울에 체결되는 고정 키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사다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사다리부의 제2 중간 프로파일 부재에는 상기 제2 좌우 프로파일 부재가 서서히 펴지도록 하기 위한 쇽 업소버가 설치되고, 이 쇽 업소버는 상기 제2 좌우 프로파일 부재에 제2 링크 부재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사다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절첩 수단은,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에 결합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상하로 길게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회전축;
    상기 케이싱 내에서 상기 회전축의 상측 외주부에 구비되는 베벨 기어쌍;
    상기 케이싱 외부에서 상기 베벨 기어쌍과 연결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핸들;
    상기 회전축에 체결되어 승강할 수 있게 되되, 상기 핸들에 의한 회전축의 회전 조작시 상기 발판 부재가 접히도록 회전축을 따라 상향 이동하게 되며, 외주면 일측에는 걸림쇠가 구비된 너트;
    상기 너트와 상기 좌우 프로파일 부재를 연결하여 상기 너트의 이동에 따라 좌우 프로파일 부재를 당기거나 놓아서 상기 발판 부재가 접히거나 펴지도록 하는 링크 부재;
    상기 케이싱 내에서 상기 너트의 걸림쇠가 걸리거나 해제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압축 스프링에 의해 평시에는 상기 걸림쇠가 걸리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 스토퍼;
    상기 너트의 걸림쇠 측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는 자유 상태로 길게 하향 연장되어 외부의 사다리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게 되며, 너트의 걸림쇠가 상기 스토퍼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사다리 사용자에 의해 당겨지는 경우 상기 걸림쇠가 스토퍼로부터 해제되는 방향으로 스토퍼를 회전시켜 상기 너트를 자중에 의해 회전축의 하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발판 부재가 펴지도록 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사다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와 상기 좌우 프로파일 부재에는 각각 상하 반으로 접을 수 있도록 경첩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사다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제1결합부는 플랜지로 구성되고, 상기 발판 부재의 일측 말단부는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좌?우측 면과 접하는 면이 평탄면으로 이루어지면서 접히는 쪽에 테이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사다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배면부에는 사다리 설치 장소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 브래킷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사다리.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절첩 수단은,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상단부에 상하로 길게 설치되는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는 제1로울러;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제2하우징;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로울러;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이어지도록 상기 제1로울러와 제2로울러에 권취되어 이동 가능하게 되는 와이어;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하측에서 상기 와이어에 고정되어 와이어와 함께 이동하게 되는 와이어 이동 블록;
    상기 와이어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1하우징에 설치되어 와이어를 당기는 조작에 따라 제1하우징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편;
    상기 이동편과 상기 좌우 프로파일 부재를 연결하여 이동편의 이동에 따라 좌우 프로파일 부재를 당기거나 놓아서 상기 발판 부재가 접히거나 펴지도록 하는 링크 부재;
    상기 중간 프로파일 부재의 하측에 설치되어 수조작에 의해 상기 와이어 이동 블록에 로킹되거나 해제됨으로써 와이어의 이동을 제어하는 로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사다리.
KR1020100119448A 2009-12-10 2010-11-29 절첩식 사다리 KR1012091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22349 2009-12-10
KR1020090122349 2009-1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6086A KR20110066086A (ko) 2011-06-16
KR101209140B1 true KR101209140B1 (ko) 2012-12-10

Family

ID=44399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9448A KR101209140B1 (ko) 2009-12-10 2010-11-29 절첩식 사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91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859Y1 (ko) 2013-08-22 2015-04-10 주식회사 선광 엠 파 절첩식 사다리의 절첩장치
CN105971489A (zh) * 2016-05-26 2016-09-28 沈炜 电力作业梯
KR101971390B1 (ko) 2018-01-04 2019-08-13 오혜숙 접철식 사다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017U (ko) 2017-10-20 2019-04-30 주복원 애완동물용 식기
KR20190101627A (ko) 2018-02-23 2019-09-02 (주) 코엘코 폭이 줄어드는 절첩형 사다리
CN112412327A (zh) * 2020-11-17 2021-02-26 云南六洲建筑劳务有限公司 一种可调节组合式建筑施工用折叠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6954A (en) 1974-03-14 1977-04-12 Inventec International Limited Foldable ladder
KR200260737Y1 (ko) 1999-05-20 2002-01-24 이형찬 간이용 접는 사다리
EP1388638A1 (en) 2002-08-09 2004-02-11 Cosco Management Inc. Multi-fold collapsible ladder
US20040154867A1 (en) 2003-02-11 2004-08-12 Edward Zheng Ladder with side support enhance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6954A (en) 1974-03-14 1977-04-12 Inventec International Limited Foldable ladder
KR200260737Y1 (ko) 1999-05-20 2002-01-24 이형찬 간이용 접는 사다리
EP1388638A1 (en) 2002-08-09 2004-02-11 Cosco Management Inc. Multi-fold collapsible ladder
US20040154867A1 (en) 2003-02-11 2004-08-12 Edward Zheng Ladder with side support enhanceme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859Y1 (ko) 2013-08-22 2015-04-10 주식회사 선광 엠 파 절첩식 사다리의 절첩장치
CN105971489A (zh) * 2016-05-26 2016-09-28 沈炜 电力作业梯
KR101971390B1 (ko) 2018-01-04 2019-08-13 오혜숙 접철식 사다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6086A (ko) 201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9140B1 (ko) 절첩식 사다리
CN110799250B (zh) 建筑物中的火灾或其他灾害疏散设施
US7422048B2 (en) Transportable safety barrier
KR101099764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226947B1 (ko) 인명구조용 피난 사다리
KR101043592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0613880B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 대피장치
MXPA06001434A (es) Bisagra que se puede fijar para escalera plegable.
KR100983680B1 (ko) 고층건물용 비상탈출구
KR101692844B1 (ko) 접이식 비상용 대피 난간
CN110770404A (zh) 凸阳台护栏兼用火灾或其他灾害疏散设施
KR101099765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0928671B1 (ko) 비상탈출장치를 구비한 추락사고방지장치
KR101171249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200476859Y1 (ko) 절첩식 사다리의 절첩장치
KR200467632Y1 (ko) 안전난간 탈부착 결합구
KR100481693B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사다리
KR200265513Y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사다리
KR200358087Y1 (ko) 난간용 사다리
KR100596209B1 (ko) 비상대피가 용이한 건축용 난간 구조
KR200378175Y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 대피장치
KR101102788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EP1601852B1 (en) A transportable safety barrier
KR102612618B1 (ko) 접이식 비상대피장치
KR102437071B1 (ko) 비상용 대피 난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