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1390B1 - 접철식 사다리 - Google Patents

접철식 사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1390B1
KR101971390B1 KR1020180001032A KR20180001032A KR101971390B1 KR 101971390 B1 KR101971390 B1 KR 101971390B1 KR 1020180001032 A KR1020180001032 A KR 1020180001032A KR 20180001032 A KR20180001032 A KR 20180001032A KR 101971390 B1 KR101971390 B1 KR 101971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housing
column
pin
fixing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혜숙
Original Assignee
오혜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혜숙 filed Critical 오혜숙
Priority to KR1020180001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13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83Foldable ladders in which the longitudinal members are brought together on folding
    • E06C1/3835Foldable ladders in which the longitudinal members are brought together on folding having collapsible steps comprising a hinge in their central par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8Special construction of longitudinal members, or rungs or other tr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50Joints or other connect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측에 개방홀을 형성하는 고정지주와, 상기 고정지주의 양측에 힌지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등 간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발판과, 각각의 발판에 힌지결합되어 고정지주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접철지주와, 상기 고정지주에 설치되어 발판이 접히거나 펴지도록 하는 발판접철수단으로 이루어진 접철식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발판접철수단이, 상기 고정지주의 개방홀에 대응되는 작동홀을 형성하여 고정지주의 내부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작동홀 및 개방홀을 통해 고정지주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우징에 축 결합되어 접철지주를 고정하는 한 쌍의 걸쇠와, 한 쌍의 걸쇠를 서로 연결하여 접철지주의 풀림을 방지하는 조임스프링으로 구성된 탄성걸이부; 상기 탄성걸이부의 조작을 위해 하우징에 상하방향으로 결합되어 가압력에 의해 하강작동하는 작동핀과, 상기 작동핀에 끼워진 상태로 하우징의 상측에 배치되어 작동핀의 가압력 해제시 상기 작동핀을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으로 구성된 접철조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철식 사다리{Folding ladder}
본 발명은 접철식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접철지주를 고정지주 방향으로 미는 동작만으로 발판이 접히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판접철수단에 구비된 작동핀의 직, 간접적인 조작으로 탄성걸이부의 걸쇠 제어를 이룸으로써 긴급상황 시 신속하고 편리한 사용을 할 수 있으며, 오작동 방지와 충격 흡수 및 자기력을 통해 안전성과 편리성이 개선된 접철식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혹은 빌딩 등의 다층 건물에서 화재나 재해 발생시 인명 구조를 위해 사용되는 수단으로는 고가사다리차나 레펠링 등이 있으나, 개인이 구비하고 사용하는 장비가 아니기 때문에 재난에 신속하게 대처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다층 건물에서 화재 발생시와 같은 비상상황 시에는 출입문을 통한 대피가 불가능하여 위, 아래층의 발코니를 통해 다른 층의 발코니로 대피하는 것이 유리한 경우가 있는데, 이때 사다리를 이용하면 안전하게 대피할 수도 있지만, 사다리 자체만으로는 지지구조 등에 있어서 미비한 점이 있어 사다리를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비상상황 시에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사다리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의 일환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9140호와 같은 "절첩식 사다리"가 개발되기도 하였다.
KR 제10-1209140호 (2012.11.30.) B1 "절첩식 사다리" - 김선희 / 주식회사 선광엠파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절첩식 사다리는 핸들을 이용하여 스크류축이나 베벨기어 회전제어하는 것을 통해 발판을 접철을 이루는 등의 복잡한 구성으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제작단가가 높아 실제 현장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조작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긴급상황에 신속한 대처를 이루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접철을 이루기 위한 핸들을 최상단에만 위치하여 사용상에 불편함이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접철지주를 고정지주 방향으로 미는 동작만으로 발판이 접히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판접철수단에 구비된 접철조작부의 작동핀을 하측으로 가압하는 동작만으로 탄성걸이부의 걸쇠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긴급상황에서도 신속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접철식 사다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2조절손잡이를 이용하여 작동핀을 간접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동핀을 직접적으로 조작하기 어려운 위치에서도 손쉽게 펼쳐서 사용할 수 있는 접철식 사다리를 제공하려는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작동핀의 하강작동시 걸쇠에 구성된 밀핀을 통해 접철지주를 외측 방향으로 손쉽게 밀어냄으로써 사다리가 펼쳐지지 않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발판에 구성된 완충수단을 통해 사다리가 펼쳐질 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리하고 안전한 사용이 가능한 접철식 사다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본 발명은 자기력에 의해 발판을 접은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 시킴으로써 접철지주의 풀림방지를 더욱 견고히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에도 떨림과 진동소음을 예방할 수 있는 접철식 사다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접철식 사다리는 양측에 개방홀을 형성하는 고정지주와, 상기 고정지주의 양측에 힌지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등 간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발판과, 각각의 발판에 힌지결합되어 고정지주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접철지주와, 상기 고정지주)에 설치되어 발판이 접히거나 펴지도록 하는 발판접철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발판접철수단은, 상기 고정지주의 개방홀에 대응되는 작동홀을 형성하여 고정지주의 내부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작동홀 및 개방홀을 통해 고정지주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우징에 축 결합되어 접철지주를 고정하는 한 쌍의 걸쇠와, 한 쌍의 걸쇠를 서로 연결하여 접철지주의 풀림을 방지하는 조임스프링으로 구성된 탄성걸이부; 상기 탄성걸이부의 조작을 위해 하우징에 상하방향으로 결합되어 가압력에 의해 하강작동하는 작동핀과, 상기 작동핀에 끼워진 상태로 하우징의 상측에 배치되어 작동핀의 가압력 해제시 상기 작동핀을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으로 구성된 접철조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사다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접철식 사다리는 접철지주를 고정지주 방향으로 미는 동작만으로 발판이 접히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판접철수단에 구비된 접철조작부의 작동핀을 하측으로 가압하는 동작만으로 탄성걸이부의 걸쇠를 제어할 수 있어 긴급상황에서도 신속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2조절손잡이를 이용하여 작동핀을 간접 제어할 수 있으므로, 작동핀을 직접적으로 조작하기 어려운 위치에서도 손쉽게 펼쳐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작동핀의 하강작동시 걸쇠에 구성된 밀핀을 통해 접철지주를 외측 방향으로 손쉽게 밀어낼 수 있어 사다리가 펼쳐지지 않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발판에 구성된 완충수단을 통해 사다리가 펼쳐질 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고 안전한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자기력에 의해 발판을 접은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접철지주의 풀림방지를 더욱 견고히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에도 떨림과 진동소음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접철식 사다리가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접철식 사다리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접철식 사다리가 발판접철수단에 의해 펼쳐지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접철식 사다리가 접철되는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접철식 사다리가 발판접철수단에 의해 펼쳐지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조절손잡이를 이용하여 작동핀을 제어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개방홀(11)을 형성하는 고정지주(10)와, 상기 고정지주(11)의 양측에 힌지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등 간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발판(20)과, 각각의 발판(20)에 힌지결합되어 고정지주(1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접철지주(30)와, 상기 고정지주(10)에 설치되어 발판(20)이 접히거나 펴지도록 하는 발판접철수단(40)으로 이루어진 접철식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발판접철수단(40)이, 상기 고정지주(10)의 개방홀(11)에 대응되는 작동홀(51)을 형성하여 고정지주(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하우징(50); 상기 작동홀(51) 및 개방홀(11)을 통해 고정지주(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우징(50)에 축(61) 결합되어 접철지주(30)를 고정하는 한 쌍의 걸쇠(65)와, 한 쌍의 걸쇠(65)를 서로 연결하여 접철지주(30)의 풀림을 방지하는 조임스프링(69)으로 구성된 탄성걸이부(60); 상기 탄성걸이부(60)의 조작을 위해 하우징(50)에 상하방향으로 결합되어 가압력에 의해 하강작동하는 작동핀(71)과, 상기 작동핀(71)에 끼워진 상태로 하우징(50)의 상측에 배치되어 작동핀(71)의 가압력 해제시 상기 작동핀(71)을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79)으로 구성된 접철조작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고정지주(10)는 통상의 지지대(미도시)를 결합하여 발코니 등의 난간에 걸어서 사용하는 종래에 공지된 구성으로, 발판(20)과 접철지주(30)의 설치를 위한 중앙 지주에 해당하며, 본 발명에서는 발판접철수단(40)에 구비된 탄성걸이부(60)의 걸쇠의 작동을 위하여 양측에 개방홀(1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판(20)은 종래에 공지된 바와 같이 고정지주(10)의 양측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접철되는 구성으로, 상하방향 즉, 고정지주(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복수 배치됨으로써 사용자가 발을 지지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
아울러 접철지주(30)는 상기 발판(20)의 끝단에 힌지결합되어 발판(20)의 접철에 따라 고정지주(10)의 내,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이며, 이러한 접철지주(30)는 종래에 공지된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발판접철수단(40)은 본 발명에서 특징이 되는 구성으로, 하우징(50)과, 탄성걸이부(60)와, 접철조작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에 대한 상세구성은 이하에서 설명한다.
첫째, 하우징(50)은 발판접철수단(40)의 설치를 위한 구성으로, 고정지주(10)의 내부에 끼워져 고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양측에는 고정지부(10)의 개방홀(11)에 대응되는 작동홀(5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50)을 고정지주(10)에 고정결합하는 방법으로는, 상기 하우징(41)을 고정지주(10)에 억지끼움으로 결합하거나, 용접, 리벳팅 및 볼트와 너트 결합 등으로 다양하게 이룰 수 있을 것이며, 이 외에도 공지된 결합방법이라면 다양한 형태로 적용하여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는 접철조작부(70)에 구성되는 작동핀(71)의 결합을 위하여 통상의 덮개가 일체형 또는 결합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며, 상기 덮개에는 작동핀(71)의 안정적인 슬라이드이동을 위한 통상의 부싱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탄성걸이부(60)는 접철지주(30)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하우징(10)에 축(61) 결합된 상태로 상기 작동홀(51) 및 개방홀(11)을 통해 고정지주(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걸쇠(65)와, 한 쌍의 걸쇠(65)를 서로 연결하여 인장력을 같게 하는 조임스프링(69)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발판(20)이 접혀짐에 따라 접철지주(30)가 내측 즉, 고정기둥(1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걸쇠(65)가 접철지주(30)의 상단을 걸게 됨과 동시에, 조임스프링(69)의 인장력에 의해 한 쌍의 걸쇠(65)가 접철지주(30)를 지속적으로 고정하는 힘을 갖게 되어 발판(20)의 펼쳐짐이 방지되게 되며, 이로 인해 안전하고 편리한 휴대 이동이 가능하고, 좁은 장소에서도 용이한 보관이 가능해지게 된다.
또한, 상기 걸쇠(65)에는 발판(20)의 펴짐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이 더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구성은 상기 걸쇠(65)에 하측으로 돌출되는 밀핀(67)을 추가로 구성하는 것을 통해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걸쇠(65)의 작동시 밀핀(67)이 접철지주(30)를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는 작용을 하게 되어 발판(20)의 펼쳐짐에 있어 오작동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상기 밀핀(67)의 결합은 밀핀(67)의 결합부위에 볼트로 제작하여 나사 결합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접철조작부(70)는 상기 탄성걸이부를 제어하여 발판이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거나, 접혀진 발판을 펼치게 하는 구성으로, 상기 탄성걸이부(60)의 조작을 위해 하우징(50)의 덮개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되어 가압력에 의해 하강작동하는 작동핀(71)을 구성한다.
그리고, 위와 같이 가압력 즉, 외력에 의해 하강작동한 작동핀(71)은 외력 제거시 복귀스프링(79)의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은 구성은 상기 작동핀(71)의 상부와 하우징(50)의 덮개 사이에 복귀스프링(79)이 배치되도록 상기 복귀스프링(79)을 작동핀(71)에 삽입시키는 것을 통해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작동핀(71)의 상부에는 작동핀(71)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통상의 헤드를 볼트결합 등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헤드와 덮개에는 복귀스프링(79)의 안정적인 안착을 위한 통상의 안착구를 추가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작동핀(71)은 탄성걸이부(60)의 걸쇠(65)를 가압하기 위한 구성을 일체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 외에도 걸쇠(65) 가압을 위한 가압구(72)를 별도로 구성하여 통상의 볼트결합을 통해 상기 가압구(72)가 작동핀(71)에 결합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이때, 상기 작동핀(71)의 하단은 한 쌍의 걸쇠(65)를 통과하여 걸쇠(65)의 하측에 배치되게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위 작동핀(71)을 하측 방향으로 직접 가압하여 탄성걸이부(60)의 걸쇠(65)를 움직이게 할 수도 있으나, 현장 여건 등에 의해 위치가 여의치 않을 경우, 상기 작동핀(71)을 간접적으로 조작하여 탄성걸이부(60)를 움직이게 할 수도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1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핀(71)에 제1조절손잡이(73)를 추가로 구비하거나, 상기 작동핀(71)에 제2조절손잡이(75)를 추가로 연결하여 설치하는 것을 통해 용이하게 이룰 수 있으며, 상기 제1, 2조절손잡이(73, 75)의 설치에 대한 구성은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작동핀(71)에 제1조절손잡이(73)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은, 상술한 별도의 가압구(72)를 고정시키는 볼트에 손잡이를 추가 구성시켜 상기 볼트의 손잡이 즉, 제1조절손잡이(73)가 고정지주(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하는 것을 통해 용이하게 이룰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상기 고정지주(10)의 일측과 하우징(5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고정지주(10)와 하우징(50)의 전방에 서로 대응되는 관통홀(13, 53)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더 포함되어 형성되게 해야 한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접철조작부(70)에 구성된 작동핀(71)을 하측방향으로 직접 가압하는 방법 외에도, 고정지주(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1조절손잡이(73)를 하측 방향으로 당기는 동작만으로 작동핀(71)을 하강이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손을 작동핀(71)의 윗쪽으로 뻗을 수 없는 상황에서도 발판(20)의 펼침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작동핀(71)에 제2조절손잡이(75)를 추가로 연결하여 설치하는 것은, 와이어와 같은 연결줄(77)을 작동핀(71)의 하단에 연결하여 설치한 다음, 상기 연결줄(77)의 끝단에는 제2조절손잡이(75)를 연결시키고, 상기 고정지주(10)의 하측에는 제2조절손잡이(75)가 고정지주(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개구홀(15)을 상하방향으로 길게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통해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위 제1조절손잡이(73)와 같은 방법으로 제2조절손잡이(75)를 당기는 동작만으로 접철조작부(70)를 제어하여 탄성걸이부(60)를 움직이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때에는 상기 고정지주(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2조절손잡이(75)가 개구홀(15)을 통해 고정지주(1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2조절손잡이(75)의 크기를 개구홀(15)의 폭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동작을 통해 발판(20)을 펼칠 때에는, 충격에 의한 소음이 크게 발생하거나, 잦은 작동으로 인한 파손이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판(20)에 고정지주(10) 또는 접철지주(30)에 맞닿는 완충부재(8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발판(20)의 펼쳐짐에 따라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완충장치(80)는 종래에 공지된 쇼크 업소버 또는 스프링 등으로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휴대 이동 중에서 발생하는 충격에도 접혀진 발판(20)이 외력에 의해 자동으로 펼쳐지거나, 충격에 의한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 더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 이러한 구성은, 상기 고정지주(10) 또는 하우징(50)에 자석(M)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발판(20)에는 자석(M)에 대응되는 자성체(MS)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50)에 자석(M)이 구성될 때에는 상기 하우징(50)의 개방홀(11)을 더 크게 구성하거나, 상기 개방홀(11) 외의 별도의 홀을 추가로 구성하여 발판(20)의 자성체(MS)가 붙을 수 있게 해야 할 것이며, 상기 자석(M)과 자성체(MS)의 위치는 서로 반대로 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발판(20)이 접혀진 상태에서는 자석(M)의 자기력 및 탄성걸이부(60)의 고정력에 의해 접철지주(30)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휴대 이동시 소음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충격에 의한 펼쳐짐이 방지되어 안전한 이동이 가능하다.
한편, 발판(20)의 펼침은 접철조작부(70)에 구성된 작동핀(71)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동작만으로 이룰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작동핀(71)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상기 작동핀(71)에 구성된 가압구(72)가 탄성걸이부(60)의 걸쇠(65)를 축(61)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어, 상기 걸쇠(65)에 걸려 있는 접철지주(30)의 고정이 해제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걸쇠(65)의 하측에 구성된 밀핀(67)이 접철지주(30)를 외측 방향으로 미는 작용을 하여 발판(20)의 펼침이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발판(20)의 펼침 과정에서는 상기 발판(20)에 구성된 완충부재(80)에 의한 완충작용이 이루어져, 발판(20)의 펼침에 따른 충격의 완화가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소음이 저감됨과 더불어 파손이 생기지 않아 안전한 사용이 가능해진다.
한편, 위에서 작동핀(71)에 가해졌던 힘이 사라지게 되면, 상기 작동핀(71)은 복귀스프링(79)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이동되어 원상태로 복귀되는 작용이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핀(71)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벌어졌던 걸쇠(65) 역시, 조임스프링(69)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상태로 복귀되는 작용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접철지주(30)를 고정지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만으로 발판(20)을 손쉽게 접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발판(20)을 펼칠 시에는 현장 여건에 따라 본 발명의 접철식 사다리(100) 위치가 애매해져 접철조작부(70)의 작동핀(71)을 직접적으로 조작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지주(1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1, 2조절손잡이(73, 75)를 이용하여 작동핀(71)을 간접적으로 손쉽게 조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조절손잡이(73)가 상측에 위치하고, 제2조절손잡이(75)가 하측에 위치한 것에 의해 사용자의 층별 위치에 관계없이 어떠한 현장에서도 발판을 손쉽고 편리하게 펼쳐 긴급상황에 따른 대처를 신속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접철식 사다리(100)는 접철지주(30)를 고정지주(10) 방향으로 미는 동작만으로 발판(20)이 접히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판접철수단(40)에 구비된 작동핀(71)의 직, 간접적인 조작으로 탄성걸이부(60)의 걸쇠(65) 제어를 이룸으로써 긴급상황 시 신속하고 편리한 사용을 할 수 있으며, 오작동 방지와 충격 흡수 및 자기력을 통해 안전성과 편리성이 개선된 장점을 가진다.
더불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M : 자석 MS : 자성체
10 : 고정지주 11 : 개방홀 13 : 관통홀 15 : 개구홀
20 : 발판
30 : 접철지주
40 : 발판접철수단
50 : 하우징 51 : 작동홀 53 : 관통홀
60 : 탄성걸이부 61 : 축 65 : 걸쇠 67 : 밀핀 69 : 조임스프링
70 : 접철조작부 71 : 작동핀 72 : 가압구 73, 75 : 제1, 2조절손잡이 77 : 연결줄 79 : 복귀스프링
80 : 완충부재
100 : 접철식 사다리

Claims (6)

  1. 양측에 개방홀(11)을 형성하는 고정지주(10)와, 상기 고정지주(10)의 양측에 힌지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등 간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발판(20)과, 각각의 발판(20)에 힌지결합되어 고정지주(1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접철지주(30)와, 상기 고정지주(10)에 설치되어 발판(20)이 접히거나 펴지도록 하는 발판접철수단(4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발판접철수단(40)은,
    상기 고정지주(10)의 개방홀(11)에 대응되는 작동홀(51)을 형성하여 고정지주(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하우징(50);
    상기 작동홀(51) 및 개방홀(11)을 통해 고정지주(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우징(50)에 축(61) 결합되어 접철지주(30)를 고정하는 한 쌍의 걸쇠(65)와, 한 쌍의 걸쇠(65)를 서로 연결하여 접철지주(30)의 풀림을 방지하는 조임스프링(69)으로 구성된 탄성걸이부(60);
    상기 탄성걸이부(60)의 조작을 위해 하우징(50)에 상하방향으로 결합되어 가압력에 의해 하강작동하는 작동핀(71)과, 상기 작동핀(71)에 끼워진 상태로 하우징(50)의 상측에 배치되어 작동핀(71)의 가압력 해제시 상기 작동핀(71)을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79)으로 구성된 접철조작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사다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걸이부(60)에 구성된 걸쇠(65)의 하측에는 접철지주(30)를 외측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한 밀핀(67)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사다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주(10)의 일측과 하우징(50)의 일측에는 서로 대응되는 관통홀(13, 53)이 더 포함되어 형성되고,
    상기 접철조작부(70)에 구성된 작동핀(71)에는 관통홀(13, 53)을 통해 고정지주(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조절손잡이(73)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어,
    상기 제1조절손잡이(73)의 상하방향 이동조작으로 접철조작부(70)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사다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조작부(70)에 구성된 작동핀(71)의 하부에는 제2조절손잡이(75)가 구성된 연결줄(77)이 더 포함되어 결합구성되고,
    상기 고정지주(10)의 일측 하부에는 연결줄(77)의 끝단에 구성된 제2조절손잡이(75)가 고정지주(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개구홀(15)이 더 포함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2조절손잡이(75)의 조작을 통해 고정지주(10)의 하측에서 접철조작부(70)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사다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20)에는 발판(20)의 펼쳐짐에 따른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부재(80)가 더 포함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사다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주(10) 또는 하우징(50)에는 자석(M)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발판(20)에는 자석(M)에 대응되는 자성체(MS)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사다리.
KR1020180001032A 2018-01-04 2018-01-04 접철식 사다리 KR101971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032A KR101971390B1 (ko) 2018-01-04 2018-01-04 접철식 사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032A KR101971390B1 (ko) 2018-01-04 2018-01-04 접철식 사다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1390B1 true KR101971390B1 (ko) 2019-08-13

Family

ID=67624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032A KR101971390B1 (ko) 2018-01-04 2018-01-04 접철식 사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139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6564U (ja) * 2009-10-22 2010-01-07 株式会社宮本 避難梯子
KR20110066086A (ko) * 2009-12-10 2011-06-16 주식회사 선광 엠 파 절첩식 사다리
KR101226947B1 (ko) * 2009-12-10 2013-01-28 김선희 인명구조용 피난 사다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6564U (ja) * 2009-10-22 2010-01-07 株式会社宮本 避難梯子
KR20110066086A (ko) * 2009-12-10 2011-06-16 주식회사 선광 엠 파 절첩식 사다리
KR101209140B1 (ko) 2009-12-10 2012-12-10 김선희 절첩식 사다리
KR101226947B1 (ko) * 2009-12-10 2013-01-28 김선희 인명구조용 피난 사다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69939B2 (en) Extension ladder
CN110799250B (zh) 建筑物中的火灾或其他灾害疏散设施
KR101684335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US8480147B2 (en) Hand operated reaching device for accessing elevated doors
KR100937832B1 (ko) 긴급 피난설비
KR101209140B1 (ko) 절첩식 사다리
KR101971390B1 (ko) 접철식 사다리
KR20110066099A (ko) 인명구조용 피난 사다리
KR102193098B1 (ko) 피난용 사다리장치
KR101171249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0928671B1 (ko) 비상탈출장치를 구비한 추락사고방지장치
KR200357968Y1 (ko) 피난용 난간
KR101702044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KR200429498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작업대
KR20130047815A (ko) 가변형 몸체를 가진 매립형 피난사다리
KR200404760Y1 (ko) 베란다 난간겸용 비상사다리
KR200401932Y1 (ko) 베란다 난간겸용 비상사다리
JPS58748Y2 (ja) 枠組足場開閉手摺
KR200265513Y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사다리
KR100481693B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사다리
KR101102788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672410B1 (ko) 핸드레일 안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계단식 이동 작업대
KR101546295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난간
KR200464791Y1 (ko) 고정식 안전 사다리
KR20190042933A (ko) 휴대용 접이식 사다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