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4076A - 밀어 끼움 연결구 - Google Patents

밀어 끼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4076A
KR20140034076A KR1020130107393A KR20130107393A KR20140034076A KR 20140034076 A KR20140034076 A KR 20140034076A KR 1020130107393 A KR1020130107393 A KR 1020130107393A KR 20130107393 A KR20130107393 A KR 20130107393A KR 20140034076 A KR20140034076 A KR 20140034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channel
thermally conductive
heat
conductive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7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테판 만
크누트 자이벨
파트리크 제멜
Original Assignee
노르마 저머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693944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4003407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노르마 저머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노르마 저머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034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40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3/0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Cool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3/0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Cool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5Ohmic-resistance heating
    • F16L53/38Ohmic-resistance heating using elongate electric heating elements, e.g. wires or ribb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01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 F24H1/14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 F24H1/14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밀어 끼움 연결구 및 밀어 끼움 연결구내 유체의 가열 방법이 개시된다. 밀어 끼움 연결구는 하우징, 채널에 의해 연결된 연결 부재 및 수용 공간, 채널의 내부에 위치된 가열 영역 및 가열 영역과 수용 공간 사이에 배치된 열전도 요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밀어 끼움 연결구{Push-fit connector}
본 발명은 USC 119 하에서 2012 년 9 월 10 일에 제출된 독일 특허 출원 12 006 361.5 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특허 출원의 개시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우징을 가진 밀어 끼움 연결구(push-fit connector)에 관한 것으로서, 이것은 수용 공간, 연결 부재 및 수용 공간과 연결 부재를 연결하는 채널을 가지며, 채널의 내부에 가열 영역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급 콘테이너로부터 사용 지점까지 우레아(urea)를 운반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유체 배관에 기초하여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우레아는 디젤 엔진에서 질소 산화물의 배출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이용된다.
유체 배관과 공급 콘테이너 사이의 연결 및 유체 배관과 사용 지점 사이의 연결은 종종 서두에서 지칭된 유형의 밀어 끼움 연결구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유형의 밀어 끼움 연결구는 몇개의 배관 섹션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도 있다. 밀어 끼움 연결구는 배관상으로, 예를 들어 호스 또는 튜브상으로 미끄러질 수 있는 연결 부재를 가진다. 대향하는 단부에 수용 공간이 제공됨으로써, 공급 콘테이너의 노즐 또는 사용 지점의 노즐이 삽입될 수 있다. 밀어 끼움 콘테이너를 통한 유체의 유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수용 공간과 연결 부재 사이에 채널이 제공된다.
가열을 위하여, 가열 요소는 연결 부재를 통해 이어지는데, 가열 요소는 종종 필요에 따라서 그 안에 위치된 유체를 가열하도록 배관을 통해 이어진다. 그러나, 가열 요소에 대한 필요 에너지 공급 연결을 생성하기 위하여, 즉, 통상적으로 전기 연결을 생성하기 위하여, 가열 요소를 밀어 끼움 연결구 밖으로 이어지게 하는 것이 종종 필요하다.
우레아는 대략 마이너스 11℃ 의 온도에서 유동성을 상실한다. 따라서 우레아가 자동차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우레아 배관이 해동되어야 하는 시간 주기를 지배하는 규정이 있다. 해동 작업이 오래 지속될수록, 질소 산화물이 환경으로 더 오래 배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밀어 끼움 연결구로 유체 배관의 신속한 가열을 가능하게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두에서 설명된 유형의 밀어 끼움 연결구는 가열 영역과 수용 공간 사이에 배치된 열전도 요소를 포함한다.
서두에서 설명된 유형의 공지된 밀어 끼움 연결구를 이용하는 배관의 해동(defrosting)중의 약점은 밀어 끼움 연결구 안에 배치된 유체 체적이다. 이러한 유체 체적을 직접적으로 가열할 수 있는 가열 요소를 배치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어렵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제 가열은 상이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열은 가열 영역으로부터 제거되고 열전도 요소의 보조를 받아 수용 영역으로 전도된다. 열전도 요소는 단지 가장 낮은 가능성의 손실로써 열을 전달할 필요가 있다. 열전도 요소 자체가 열을 발생할 수 있을 필요는 없다. 열전도 요소의 구조 및 이러한 열전도 요소를 가진 밀어 끼움 연결구의 디자인은 매우 단순한데, 왜냐하면 열전도 요소 자체는 예를 들어 전기 에너지가 공급될 수 있는 연결부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이다.
바람직스럽게는, 열전도 요소는 수용 영역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열은 열전도 요소에 의해 수용 공간까지 전달될 뿐만 아니라, 수용 공간으로도 전달된다. 따라서 열전도 요소가 열을 수용 공간내 유체로 방산시킬 수 있는 상대적으로 큰 길이를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스럽게는, 밀봉 조립체가 수용 공간 안에 배치되고, 열전도 요소는 밀봉 조립체를 통하여 돌출된다. 밀봉 조립체는 수용 공간 안에 삽입된 노즐과 밀어 끼움 연결구 사이의 단단한 연결을 만들기 위하여 이용된다. 만약 열전도 요소가 밀봉 구성부를 통하여 돌출된다면, 열전도 요소가 노즐 안으로 돌출되는 것이 보장된다. 밀어 끼움 연결구와 노즐 사이의 연결이 생성되면, 열전도 요소도 노즐 안으로 돌출되고 따라서 그곳에 위치된 유체도 가열할 수 있다.
바람직스럽게는, 열전도 요소는 채널 안으로 삽입되는 부착 섹션을 가진다. 부착 섹션은 열전도 요소를 하우징 안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이용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채널 안에 부착된다.
바람직스럽게는, 열전도 요소는 최대로 길이를 따라서 채널의 내측 치수와 같은 외측 치수를 가진다. 채널의 내측 직경은 많은 경우들에서 노즐의 내측 직경에 대응한다. 따라서, 노즐이 수용 공간 안으로 삽입될 때 노즐이 열전도 요소에 걸쳐서 문제없이 이어질 수 있는 것이 이러한 치수 선정에 기초하여 가정될 수 있다.
바람직스럽게는, 열전도 요소는 핀치 방식(pinched manner) 또는 마찰 끼움 방식으로 채널 안에 유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열전도 요소는 하우징 안에 충분하게 부착된다. 추가적인 부착 장치들은 필요하지 않다.
바람직스럽게는, 열전도 요소는 열 방산 섹션(heat-dissipation section)을 가지는데, 이것은 내측 공간을 둘러싸는 실린더형 슬리브로서 형성되거나 구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실린더형 슬리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형 실린더에 기초할 수 있다. 그러나, 임의의 다른 단면들이 가능하다. 실린더형 슬리브에 의하여, 열은 2 개의 방향들로 방사될 수 있는 것이 보장되며, 즉, 반경 방향 외측으로 그리고 내부 공간으로 반경 방향 내측으로 방사될 수 있다. 따라서, 열이 전달될 수 있는 표면은 간단한 방식으로 넓게 유지될 수 있다.
바람직스럽게는, 열전도 요소는 내부 공간으로 지향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를 가진다. 이러한 블레이드는 추가적인 표면을 형성하며, 그 표면을 통하여 열전도 요소로부터 유체로 열이 전달될 수 있다.
바람직스럽게는 실린더형 슬리브가 신장(伸長)된 슬릿(slit)을 가진다. 슬릿에 의하여, 유체는 유체의 유동 방향에 따라서 외부로, 즉, 내부 공간의 밖으로 또는 내부로, 즉, 내부 공간으로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실린더형 슬리브는 반경 방향에서 유체에 대한 봉쇄를 형성하지 않는다. 따라서, 유체는 실린더형 슬리브의 외부 및 내부에 어려움 없이 위치될 수 있으며, 이것은 유체로의 열전달을 향상시킨다.
바람직스럽게는, 블레이드는 노즐의 가장자리에 연결된다. 즉, 블레이드는 슬릿의 가장자리에서 시작되며 내부 공간 안으로 돌출된다. 이것은 특히 열전도 요소의 간단한 실시예이다.
바람직스럽게는, 열전도 요소는 금속으로부터 형성되며, 특히 알루미늄, 구리 또는 황동(brass)으로부터 형성된다. 금속은 상대적으로 우수한 열전도체이다. 금속은 가열되어야 유체와 문제없이 양립 가능한 것으로 선택될 수 있다. 가열 요소는 몇개의 금속으로부터 형성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열전도 요소는 다층의 방식(multilayer manner) 또는 코팅 방식으로 형성되거나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은 도금 구리도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스럽게는, 가열 요소는 가열 영역내에 배치되고, 열전도 요소는 가열 요소와 열전도 접촉 상태에 있다. 이는 열전달을 향상시킨다. 열전도 요소는 그 어떤 경우에도 그것이 가열 요소와 열전도 접촉하고 있는 가열 요소의 온도를 취할 수 있으며, 그 온도가 정상적으로는 가열 요소로부터 특정한 거리에 있는 가열 영역내의 유체 온도보다 높다. 이는 가열 요소로부터 수용 공간으로의 열전달을 더욱 향상시킨다.
실시예들에서, 열전도 요소는 핀치(pinch) 방식으로 또는 마찰 끼움 방식으로 가열 요소에 연결된다. 열전도 요소가 가열 요소에 핀치 방식으로 연결될 때, 그것은 특정의 텐션(tension)을 가지고 가열 요소에 대하여 지탱된다. 이것은 가열 요소와 열전도 요소 사이의 열 전달을 향상시킨다.
바람직스럽게는, 램프 요소(ramp element)가 채널 안에 배치되고 채널을 따라서 가열 요소는 채널 밖으로 이어지며, 열전도 요소는 램프 요소를 수용하는 요부를 가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열전도 요소는 램프 요소 둘레에 이어질 수 있어서, 램프 요소에도 불구하고 채널 안으로 상대적으로 멀리 삽입될 수 있고 바람직스럽게는 핀치 방식 또는 마찰 끼움 방식으로 가열 요소에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스럽게는, 하우징은 움직일 수 있는 잠금 기하 형상부를 가지며, 열도전 요소는 잠금 기하 형상부가 배치되는 영역으로 돌출된다. 잠금 기하 형상부는 상기 언급된 노즐을 수용 공간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고, 가능하게는 잠금 기하 형상부의 움직임 이후에, 그것을 해제시킴으로써 밀어 끼움 연결구가 노즐에서 이탈되게 당겨질 수 있다. 잠금 기하 형상부는 노즐에 작용하기 때문에, 잠금 기하 형상부가 배치되는 영역으로 열도전 요소가 돌출된다면 열도전 요소는 노즐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는 것이 보장된다. 만약 밀봉 조립체가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고 열도전 요소가 밀봉 조립체의 영역으로 연장되지 않는다면, 노즐 내부의 가열도 보장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잠금 기하 형상부로써, 수용 공간을 가열하기 위하여 하우징에서 외측에, 예를 들어 가열 와이어와 같은 가열 장치를 배치하는 것이 예를 들어 가능하지 않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밀어 끼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밀어 끼움 연결구는 하우징, 채널에 의해 연결된 연결 부재 및 수용 공간, 채널의 내부에 위치된 가열 영역 및, 가열 영역과 수용 공간 사이에 배치된 열전도 요소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열전도 요소는 수용 공간 안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배치될 수 있다. 더욱이, 밀봉 조립체는 수용 공간 안에 배치될 수 있다. 열전도 요소는 밀봉 조립체를 통하여 돌출하도록 구성 및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열전도 요소는 채널 안으로 삽입될 수 있는 부착 섹션을 구비할 수 있다. 열전도 요소는 길이를 따라서 최대로 채널의 내측 치수와 같은 외측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열전도 요소는 마찰 끼움 방식으로 채널 안에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열전도 요소는 내부 공간을 둘러싸는 실린더형 슬리브로서 형성된 열 방산 섹션을 구비할 수 있다. 열전도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를 가질 수 있고, 블레이드는 내부 공간으로 지향된다. 더욱이, 실린더형 슬리브는 신장된 슬릿을 구비할 수 있다. 열전도 요소는 내부 공간으로 지향된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를 가질 수 있고, 블레이드는 슬릿의 가장자리에 부착된다.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열전도 요소는 금속으로터 형성될 수 있다. 금속은 알루미늄, 구리 또는 황동(brass)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열 요소는 가열 영역내에 배치될 수 있고, 열전도 요소는 가열 요소와 열전도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열전도 요소는 마찰 끼움 방식으로 가열 요소에 연결될 수 있다. 더욱이, 램프 요소는 채널 안에 배치될 수 있다. 가열 요소는 램프 요소를 따라서 채널의 밖으로 안내될 수 있고, 열전도 요소는 램프 요소를 수용하는 요부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하우징은 움직일 수 있는 기하 형상부를 구비할 수 있고, 열전도 요소는 잠금 기하 형상부가 배치되는 영역 안으로 돌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 설명된 밀어 끼움 연결구내의 유체를 가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채널 내부의 가열 영역을 가열하는 단계 및 가열 영역으로부터 수용 공간을 향하여 채널을 통해 열을 전도시키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열은 실린더형 외측 윤곽을 가진 열전도 요소를 통하여 수용 공간을 향해 전도될 수 있다. 더욱이, 열전도 요소를 따라서 전도된 열은 반경 방향 내측으로 그리고 반경 방향 외측으로 움직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가열 영역은 램프 요소를 따라서 가열 영역 안으로 연장된 가열 요소에 의해 가열될 수 있고, 열전도 요소는 램프 요소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 및 장점들이 첨부된 도면 및 여기에 개시된 내용을 이해함으로써 확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써 복수개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에서 더 설명될 것이며, 여기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몇개의 도면들을 통하여 유사한 부분들을 나타낸다.
도 1 은 튜브가 연결된 연결구를 통한 개략적인 길이 방향 단면을 도시하며, 여기에서 열전도 요소는 명확성을 위해 생략되어 있다.
도 2 는 열전도 요소를 가진 도 1 에 따른 단면(II-II)을 도시한다.
도 3 은 열전도 요소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여기에 개시된 상세 내용들은 일 예로서 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예시적인 설명의 목적만을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적인 양상 및 원리에 대한 설명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고 가장 유용한 것으로 믿어지는 것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시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본적인 이해를 위하여 필요한 것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구조적인 상세 내용을 나타내려는 시도는 이루어지지 않으며, 도면을 참조한 설명은 본 발명의 몇가지 형태들이 실제로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를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할 것이다.
도 1 에는 밀어 끼움 연결구(2) 및 튜브(3)를 가진 가열 가능 유체 배관(1)의 길이 방향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튜브(3)는 유연성이 있고, 압출된 플라스틱 또는 호스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의 설명에서, 호스는 "튜브"라는 용어에 속하기도 한다.
튜브(3)는 밀어 끼움 연결구(2)의 연결 부재(4)에 부착되고, 그곳에서 O-링(5)에 의해 밀봉된다. 연결 부재(4)는 그것의 외측에 크리스마스 트리 형상을 가진다. 필요하다면, 튜브(3)는 텐션 요소의 도움으로, 예를 들어, 호스 클램프 또는 그와 유사한 것(미도시)의 도움으로 연결 부재(4)에 고정될 수도 있다.
연결 부재(4)는 하우징(6)의 구성 요소이다. 하우징(6)은 수용 공간(7)을 가지며, 그 안에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노즐이 삽입될 수 있는데, 상기 노즐은 공급 콘테이너, 사용 지점 또는 다른 유체 배관의 노즐이다. 노즐을 잠그기 위하여, 하우징(6)은 수용 공간(7)의 영역에 잠금 기하 형상부(8)를 가지며, 이것은 밀어 끼움 연결구(2)의 길이 방향 축(9)에 평행하게, 즉,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더욱이, 하우징(6)은 수용 공간(7) 및 연결 부재(4)를 서로 연결시키는 채널(10)을 가진다.
도 1 에서 인식할 수 있는 바로서, 점선으로 도시된 가열 요소(11)는 튜브(3)의 자유 횡단면에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열 요소(11)는 유연성 가열 막대기(heating wand)로서 형성되거나 구현되는데, 이것은 압출된 플라스틱 재료내에 매립된 적어도 하나의 가열 도전체를 가진다. 바람직스럽게는, 밀어 끼움 연결구(2)로부터 멀리 있는 단부에서 서로 연결되는 2 개의 가열 도전체들이 제공됨으로써, 가열 요소(11)의 일 단부에서만 전기 연결이 필요하다. 비록 가열 요소(11)는 유연성이 있고 굽혀질 수 있을지라도, 그것은 특정의 고유한 강성(stiffness)이 있어서, (가열 요소(11)가 내부에 위치된) 튜브(3)가 연결 부재(4)상으로 미끄러질 때, 가열 요소(11)는 연결 부재(4) 안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가열 요소(11)는 전기 연결을 생성하기 위하여 밀어 끼움 연결구(2)의 밖으로 이끌어져야 하는데, 이는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는다. 이러한 연결을 통하여, 소망의 열 출력이 가열 요소(11) 안으로 도입될 수 있다. 따라서, 밀어 끼움 연결구(2)는 길이 방향 축(13)이 밀어 끼움 연결구(2)의 길이 방향 축(9)에 대하여 각도(α)로 지향된 가열 요소 유출 채널(12)을 가진다. 각도(α)는 0°보다 크고, 바람직스럽게는 20°내지 80°의 범위내에 있다.
가열 요소 유출 채널(12)은 연결구(14) 안에 배치되는데, 이것은 밀어 끼움 연결구(2)의 길이 방향 축(9)에 대하여 각도(α)로 지향된다. O-링(15)은 연결구(14) 안에 제공된다. O 링(15)은 밀봉 방식으로 가열 요소(11)에 대하여 지탱되고, 가열 요소 유출 채널(12)로부터 유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O 링(15)은 플러그(16)의 보조를 받아서 가열 요소 유출 채널(12) 안에 고정된다.
채널(10) 안에 램프 요소(ramp element, 17)가 배치되며, 이것은 하우징(6)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구현된다. 램프 요소(17)는 안내 표면(18)을 가지며, 안내 표면은 만곡된 방식으로, 즉, 꼬임이 없는 방식(kink free manner)으로 형성되거나 구현된다. 안내 표면(18)은 채널(10)의 "하측"으로부터, 즉, 가열 요소 유출 채널(12)에 대향되어 놓인 측으로부터 가열 요소 유출 채널(12)로 연장되고, 가열 요소 유출 채널(12)의 벽에 계속된다. 가열 요소(11)의 팁(tip)은 단차, 꼬임, 홈 또는 그와 유사한 것에 의해 방해되지 않으면서 안내 표면(18)을 따라서 미끄러질 수 있다.
채널(10) 안에 위치된 유체는 가열 요소(11)가 채널(10) 안에 배치된 곳에서 가열된다. 이러한 영역은 "가열 영역"으로서 지칭되기도 한다. 가열 영역은 램프 요소(17)의 양측에서 다른 것들 사이에 연장된다.
밀어 끼움 연결구(2)는 열전도 요소(19)를 가지며, 이것은 도 3 에서 확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명확성을 위하여, 열전도 요소(19)는 도 1 에 도시되어 있지 않고 가열 요소(11)는 도 2 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열전도 요소(19)는 금속으로부터 형성되고, 특히 알루미늄, 구리 또는 황동과 같은 적절한 열전도 금속으로부터 형성된다.
열전도 요소(19)는 채널(10) 안으로 삽입된 부착 섹션(20)을 가진다. 부착 섹션(20)은 핀치(pinch) 방식으로 또는 마찰 끼움 방식으로 채널(10) 안에 유지된다.
더욱이, 열전도 요소(19)는 수용 공간(7) 안으로 돌출된 열 방산 섹션(21)을 가진다.
단순화된 방식으로 표현하면, 열전도 요소(19)는 채널(10)의 내측 직경과 대략적으로 같은 크기인 외측 직경을 가진 실린더형 슬리브로서 형성되거나 구현된다. 열전도 요소(19)는 간단한 방식으로 표현하여 원형 실린더의 형상을 가진다. 그러나, 원형 단면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대신에, 다른 단면들이 제공될 수 있다.
부착 섹션(20)은 램프 요소(17)를 수용하는 U 형상 요부(22)를 가진다. 열 전도 요소(19)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부(22)의 단부(23)가 램프 요소(17)에 대하여 지탱되기에 충분하게 채널(10) 안으로 멀리 삽입된다.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방식으로, 부착 섹션(20)은 도 3 에서 더 이상 인식할 수 없는 요부를 요부(22)의 직경 방향으로 반대되게 가지는데, 상기 요부는 가열 요소(11)의 외측 원주들에 맞춰져서, 부착 섹션(20)이 그 요부에 의해 가열 요소(11)로 클램핑될 수 있다. 열전도 요소(19)는 다음에 열전도 방식으로 가열 요소(11)로 연결됨으로써, 가열 요소(11)로부터의 열은 열전도 요소(19)로 전달될 수 있다. 열전도 요소(19)는 다음에 그러한 열을 수용 공간(7)으로 운반한다.
열 방산 섹션(21)은 내부 공간(25)을 둘러싸는 벽(24)을 가진다. 벽(24)은 원주 방향으로 슬릿(slit, 26)을 가지며, 슬릿은 밀어 끼움 연결구(2)의 길이 방향 축(9)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슬릿(26)을 통하여, 유체는 내부 공간(25)으로부터 수용 공간(7)으로 움직일 수 있거나, 또는 수용 공간(7)으로부터 내부 공간(25)으로 움직일 수 있다. 더욱이, 벽(24)은 내부 공간(25) 안으로 지향된 2 개의 블레이드(27,28)들을 가지는데, 블레이드는 열 방산 섹션(21)의 표면적 증가에 기여한다.
열 방산 섹션(21)의 이러한 형상 때문에, 유체는 열전도 요소(29)의 내부, 즉, 내부 공간(25) 및, 열전도 요소(19)의 외부, 즉, 열전도 요소(19)와 하우징(6) 사이에 모두 위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유체가 얼어붙어 가열이 필요하다면, 열전도 요소(19)는 가열 영역으로부터 수용 공간(7)으로 열을 안내할 수 있고 열을 반경 방향 내측 및 반경 방향 외측으로 방산시킴으로써 유체가 상대적으로 신속하게 해동될 수 있다.
부착 섹션(20)은 정면 개구(29)를 가지며 여기에서 부착 섹션(20)은 열 방산 섹션(21)으로 전환된다. 개구(29)를 통하여, 채널(10)로부터의 유체는 직접적으로 수용 공간(7)으로 움직일 수 있다. 수용 공간(7)은 하우징(6)의 직경 감소(30)로까지 연장된다. 도 2 에서 알 수 있는 바로서, 부착 섹션(20)은 여전히 수용 공간(7)으로 약간 연장될 수 있다.
수용 공간(7) 안에, 2 개의 O-링(31,32)을 가진 밀봉 조립체가 제공되는데, 이것은 수용 공간(7) 안으로 삽입된 노즐에 대하여 밀봉 방식으로 지탱된다. 이러한 노즐은 마찬가지로 명확성을 위하여 도시되지 않았다. 열전도 요소(19)는 O 링(31,32)을 가진 밀봉 조립체를 통해 이어짐으로써 열전도 요소(19)가 노즐 안으로 돌출되는 것을 보장한다.
열전도 요소(19)는 수용 공간(7) 안으로 잠금 기하 형상부(8)까지 연장된다. 잠금 기하 형상부(8)는 노즐의 단부로부터 거리를 두고 있는 노즐의 영역에 작용하기 때문에, 열전도 요소(19)가 노즐 안으로 돌출되는 것이 보장된다.
상기의 예들은 오직 설명의 목적을 위해서 제공된 것이었으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이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여기에서 사용되었던 표현들은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 및 예시를 위한 것이라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면서, 현재 기재된 바와 같이 그리고 보정되는 바와 같이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안에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특정의 수단, 재료 및 실시예들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되었을지라도, 본 발명은 여기에 개시된 상세 내용들에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에 속하는 모든 기능적으로 등가인 구조, 방법 및 용도들에 연장된다.
1. 유체 배관 2. 밀어 끼움 연결구
3. 튜브 4. 연결 부재
6. 하우징 7. 수용 공간

Claims (20)

  1. 하우징;
    채널에 의해 연결된 수용 공간 및 연결 부재;
    채널의 내부에 위치된 가열 영역; 및,
    가열 영역과 수용 공간 사이에 배치된 열전도 요소;를 구비하는, 밀어 끼움 연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열전도 요소는 수용 공간 안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배치되는, 밀어 끼움 연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수용 공간 안에 배치된 밀봉 조립체를 더 구비하고, 열전도 요소는 밀봉 조립체를 통하여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배치되는, 밀어 끼움 연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열전도 요소는 채널 안으로 삽입될 수 있는 부착 섹션을 포함하는, 밀어 끼움 연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열전도 요소는 그것의 길이를 따라서 최대로 채널의 내측 치수와 같은 외측 치수를 가지는, 밀어 끼움 연결구.
  6. 제 4 항에 있어서,
    열전도 요소는 마찰 끼움 방식(friction fit manner)으로 채널 안에 유지되는, 밀어 끼움 연결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열전도 요소는 내부 공간을 둘러싸는 실린더형 슬리브로서 형성된 열 방산 섹션(heat dissipation section)을 포함하는, 밀어 끼움 연결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열전도 요소는 내부 공간으로 지향된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blade)를 가지는, 밀어 끼움 연결구.
  9. 제 7 항에 있어서,
    실린더형 슬리브는 신장(伸長)된 슬릿(slit)을 포함하는, 밀어 끼움 연결구.
  10. 제 9 항에 있어서,
    열전도 요소는 내부 공간으로 지향된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를 가지며, 블레이드는 슬릿의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밀어 끼움 연결구.
  11. 제 1 항에 있어서,
    열전도 요소는 금속으로부터 형성되는, 밀어 끼움 연결구.
  12. 제 11 항에 있어서,
    금속은 알루미늄, 구리 또는 황동중 하나를 포함하는, 밀어 끼움 연결구.
  13. 제 1 항에 있어서,
    가열 영역에 배치된 가열 요소를 더 포함하고, 열전도 요소는 가열 요소와 열전도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밀어 끼움 연결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열전도 요소는 마찰 끼움 방식으로 가열 요소에 연결되는, 밀어 끼움 연결구.
  15. 제 13 항에 있어서,
    채널 안에 배치된 램프 요소(ramp element)를 더 포함하고,
    가열 요소는 램프 요소를 따라서 채널의 밖으로 안내되고,
    열전도 요소는 램프 요소를 수용하는 요부를 가지는, 밀어 끼움 연결구.
  16. 제 1 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움직일 수 있는 잠금 기하 형상부(locking geometry)를 포함하고, 열전도 요소는 잠금 기하 형상부가 배치되는 영역으로 돌출되는, 밀어 끼움 연결구.
  17. 제 1 항에 따른 밀어 끼움 연결구에 있는 유체의 가열 방법으로서,
    채널 내측의 가열 영역을 가열하는 단계; 및,
    가열 영역으로부터 수용 공간을 향하여 채널을 통해 열을 전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체 가열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열은 실린더형 외부 윤곽을 가지는 열전도 요소를 통해 수용 공간을 향하여 전도되는, 유체 가열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열 전도 요소를 따라서 전도된 열은 반경 방향 내측으로 그리고 반경 방향 외측으로 움직이는, 유체 가열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가열 영역은 램프 요소를 따라서 가열 영역 안으로 연장된 가열 요소에 의해 가열되고, 열전도 요소는 램프 요소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유체 가열 방법.
KR1020130107393A 2012-09-10 2013-09-06 밀어 끼움 연결구 KR201400340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006361.5 2012-09-10
EP12006361.5A EP2706280B1 (de) 2012-09-10 2012-09-10 Steckverbin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4076A true KR20140034076A (ko) 2014-03-19

Family

ID=46939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7393A KR20140034076A (ko) 2012-09-10 2013-09-06 밀어 끼움 연결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464852B2 (ko)
EP (1) EP2706280B1 (ko)
JP (1) JP2014052075A (ko)
KR (1) KR20140034076A (ko)
CN (1) CN103672281B (ko)
BR (1) BR102013022833A2 (ko)
ES (1) ES2537450T3 (ko)
RS (1) RS54053B1 (ko)
RU (1) RU2536745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23163A1 (en) * 2015-07-20 2017-01-26 Norma U.S. Holding Llc Heated Connector Assembly
EP3211190B1 (de) * 2016-02-23 2019-04-17 TI Automotive (Fuldabrück) GmbH Verbinderanordnung mit zumindest einem verbinder und zumindest einer medienleitung
US10883640B2 (en) 2016-06-24 2021-01-05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Fluid couplings, systems, and methods
US11149883B2 (en) 2016-06-24 2021-10-19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Fluid couplings, systems, and methods
US10396500B2 (en) 2016-08-31 2019-08-27 Norma U.S. Holding Llc Electrically conductive conduit assembly
DE102016122319A1 (de) * 2016-11-21 2018-05-24 Norma Germany Gmbh Steckverbinder
EP3382255B1 (de) 2017-03-29 2019-07-03 TI Automotive (Fuldabrück) GmbH Rohrleitung umfassend einen verbinder sowie verfahren zum betrieb dieser rohrleitung
DE102017123606A1 (de) 2017-10-11 2019-04-11 Norma Germany Gmbh Verbinder
CN107606295B (zh) * 2017-10-26 2019-04-19 江苏顺达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具有解冻功能的智能型自来水减压阀
DE102018113632A1 (de) 2018-06-07 2019-12-12 Norma Germany Gmbh Führungskanal und Leitungsanordnung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43049A (en) * 1942-10-19 1944-02-29 Sr Charles Fassinger Heat exchanger
JPS55155975A (en) 1979-05-23 1980-12-04 Hamai Seisakusho:Kk Rolling ball pressure difference type anti-earthquake automatic interception valve
JPS5776240U (ko) * 1980-10-30 1982-05-11
US4423311A (en) * 1981-01-19 1983-12-27 Varney Sr Paul Electric heating apparatus for de-icing pipes
DE3414284A1 (de) * 1984-04-14 1985-10-31 Heraeus-Wittmann Gmbh, 6450 Hanau Elektrisches heizelement fuer rohrleitungen, insbesondere fuer lange rohrleitungen
US4883943A (en) * 1987-12-16 1989-11-28 Davco Manufacturing Corporation Electric heater for fuel tank discharge opening coupling to prevent fuel waxing
SU1571352A1 (ru) * 1988-03-16 1990-06-15 Грозненский Нефтяной Институт Им.Акад.М.Д.Миллионщикова Обогреваемый трубопровод
BR9004240A (pt) * 1990-08-28 1992-03-24 Petroleo Brasileiro Sa Processo de aquecimento eletrico de tubulacoes
US5558069A (en) * 1995-11-09 1996-09-24 Livernois Research & Development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fluid temperature control
US5859953A (en) * 1997-06-30 1999-01-12 Nickless; Eugene R. Electric heating apparatus for deicing pipes utilizing flexible heated hose inserted into pipe
DE19934346B4 (de) * 1999-07-22 2005-10-13 Rehau Ag + Co. Vorrichtung zur Befestigung und Abdichtung eines Heizelements in einer Scheibenwaschleitung
DE10055423A1 (de) * 2000-11-09 2002-05-23 Bosch Gmbh Robert Anordnung zum Erwärmen von Flüssigkeit in einem Leitungssystem
JP2004239412A (ja) * 2003-02-07 2004-08-26 Tokai Rubber Ind Ltd 樹脂チューブの接続構造及び樹脂チューブの接続方法
HUE040444T2 (hu) * 2004-04-21 2019-03-28 Air Prod & Chem Gázmelegítõ egység, gázellátó berendezés, valamint gázszolgáltató eljárás
SE0401557D0 (sv) * 2004-06-15 2004-06-15 Volvo Lastvagnar Ab Elektrisk uppvärmningsbart kopplingsstycke samt inkapslad vätskeslang med elektriskt uppvärmningsbart kopplingsstycke
RU2300043C1 (ru) * 2006-02-13 2007-05-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Промтех-НН" Нагреватель трубопровода
RU55082U1 (ru) * 2006-02-26 2006-07-27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Сибпромкомплект" Трубопровод
RU59192U1 (ru) * 2006-03-10 2006-12-1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по исследованию и проектированию энергетическ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им. И.И. Ползунова" (ОАО "НПО ЦКТИ") Трубопровод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воды
FR2905161B1 (fr) * 2006-08-25 2012-04-20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 Raccord avec element chauffant integre.
DE102006060314A1 (de) * 2006-12-20 2008-06-26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m Befördern fluider Medien bei tiefen Temperaturen
FR2914786A1 (fr) * 2007-04-06 2008-10-10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rocede d'evaluation des debits des gaz circulant dans une boucle de recirculation en hydrogene d'une cellule de pile a combustible et dispositif associe
DE202008005790U1 (de) * 2007-04-26 2008-09-04 Voss Automotive Gmbh Leitungsverbinder für Medienleitungen und Vorrichtung zu dessen Herstellung
JP2009002424A (ja) * 2007-06-21 2009-01-08 Nitta Moore Co 加熱・保温管の配管構造
DE202007010502U1 (de) * 2007-07-26 2008-11-27 Voss Automotive Gmbh Konfektionierte Medienleitung
JP4823980B2 (ja) * 2007-07-30 2011-11-24 ニッタ株式会社 加熱・保温チューブを有する装置
DE102007036533B4 (de) * 2007-08-02 2009-04-16 A. Raymond Et Cie Fluidleitungskupplung
FR2924786A1 (fr) * 2007-12-11 2009-06-12 Coutier Moulage Gen Ind Canalisation chauffante pour le transport de fluide
JP5059631B2 (ja) * 2008-01-15 2012-10-24 ニッタ株式会社 管継手の加熱・保温カバー
DE102008018658A1 (de) * 2008-04-11 2009-10-15 A. Kayser Automotive Systems Gmbh Beheizbares Leitungselement für ein Fluid
JP2009270659A (ja) * 2008-05-09 2009-11-19 Alpha Tekku:Kk 加熱手段を備えた配管
FR2950666B1 (fr) * 2009-09-29 2011-11-11 Hutchinson Dispositif de chauffage d'une ligne de transfert de fluide
CN202360986U (zh) * 2011-11-25 2012-08-01 青岛直方大石油科技有限公司 电加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64852B2 (en) 2016-10-11
US20140069621A1 (en) 2014-03-13
CN103672281B (zh) 2017-01-04
JP2014052075A (ja) 2014-03-20
CN103672281A (zh) 2014-03-26
BR102013022833A2 (pt) 2014-10-21
EP2706280A1 (de) 2014-03-12
ES2537450T3 (es) 2015-06-08
RS54053B1 (en) 2015-10-30
EP2706280B1 (de) 2015-03-18
RU2536745C1 (ru) 2014-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34076A (ko) 밀어 끼움 연결구
US8556300B2 (en) Preassembled media line
ES2375749T5 (es) Conector de tuberías para tuberías de medios
US8526801B2 (en) Line connector for media lines
JP2012241903A (ja) 流体線
JP5306479B2 (ja) モジュール式ヒータシステム
US9671053B2 (en) Fluid line
US20110248494A1 (en) Line connector for media lines
KR101669161B1 (ko) 가열성 유체 도관, 및 가열성 유체 도관용 커넥터
US9791086B2 (en) At least partially heatable line-connector for a heatable media line, and an assembled media line comprising such a line-connector
US11536409B2 (en) Heated connector assembly
US9651185B2 (en) Line connector for media lines
CN107408803A (zh) 用于将电线束传递进涡轮发动机中的组件
CN108692122B (zh) 包括连接器的管道以及用于操作所述管道的方法
US20200063907A1 (en) Plug Connector
CN113708111A (zh) 用于连接器元件的冷却装置和用于高压应用的连接器元件
US11168598B2 (en) Heated tubing with plug,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is tubing
US20170211740A1 (en) Heatable Tube
KR20120130048A (ko) 유체 라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