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2206A - 반도체 패키지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패키지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2206A
KR20140032206A KR1020120098819A KR20120098819A KR20140032206A KR 20140032206 A KR20140032206 A KR 20140032206A KR 1020120098819 A KR1020120098819 A KR 1020120098819A KR 20120098819 A KR20120098819 A KR 20120098819A KR 20140032206 A KR20140032206 A KR 20140032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conductor package
image
ray
thermal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8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1097B1 (ko
Inventor
권찬식
정석원
최재호
고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8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1097B1/ko
Priority to US13/961,201 priority patent/US9255959B2/en
Publication of KR20140032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2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02Contactless testing
    • G01R31/308Contactless testing using non-ioni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radi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G01R31/2607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96Testing of IC packages; Test features related to IC packages

Abstract

반도체 패키지 검사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반도체 패키지 검사 장치는 반도체 패키지의 X선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X선 영상으로부터 상기 반도체 패키지의 두께를 검출하는 X선 분석기, 및 상기 반도체 패키지에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반도체 패키지의 표면 온도 및 상기 반도체 패키지의 두께를 이용하여 상기 반도체 패키지의 불량 위치를 검출하는 열반응 분석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반도체 패키지 검사 장치{Test apparatus for semiconductor packages}
본 발명은 반도체 패키지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패키지는 반도체 칩을 패키지 기판에 실장하고 와이어 등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한 후 EMC 등의 밀봉 수지로 밀봉한 것을 말한다. 반도체 패키지 검사 장치는 반도체 패키지의 패키지 기판 또는 반도체 칩의 신호선 등이 개방되거나 단락되어 발생되는 불량을 검출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불량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하는 반도체 패키지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불량 위치의 검출 시간을 단축하는 반도체 패키지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도체 패키지 검사 장치의 일 태양은 반도체 패키지의 X선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X선 영상으로부터 상기 반도체 패키지의 두께를 검출하는 X선 분석기, 및 상기 반도체 패키지에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반도체 패키지의 표면 온도 및 상기 반도체 패키지의 두께를 이용하여 상기 반도체 패키지의 불량 위치를 검출하는 열반응 분석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X선 분석기는 상기 X선 영상에서 상기 반도체 패키지 영역의 밀도를 이용하여 상기 반도체 패키지의 두께를 검출하는 이미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패키지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프로세서는 상기 X선 영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층 영역의 밀도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층의 두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반응 분석기는 상기 반도체 패키지에 인가된 전압과 상기 반도체 패키지의 표면 온도 간 위상차를 이용하여 상기 불량 위치의 수직 좌표를 검출하는 불량 검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반응 분석기는 상기 반도체 패키지의 표면의 열화상 영상을 획득하는 적외선 스코프를 포함하고, 상기 불량 검출기는 상기 열화상 영상으로부터 상기 반도체 패키지의 표면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불량 검출기는 상기 반도체 패키지의 열확산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불량 위치의 수직 좌표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반응 분석기는 상기 반도체 패키지의 표면의 열화상 영상을 획득하는 적외선 스코프와, 상기 열화상 영상으로부터 상기 불량 위치의 수평 좌표를 검출하는 불량 검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량 검출기는 상기 열화상 영상 중 화소값이 최대인 화소의 좌표를 상기 불량 위치의 수평 좌표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X선 영상은 상기 반도체 패키지의 3차원 X선 영상일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도체 패키지 검사 장치의 다른 태양은 반도체 패키지의 두께를 검출하는 X선 분석기, 및 상기 반도체 패키지의 불량 위치를 검출하는 열반응 분석기를 포함하되, 상기 X선 분석기는, 상기 반도체 패키지의 X선 영상을 획득하는 X선 스코프와, 상기 X선 영상으로부터 상기 반도체 패키지의 두께를 검출하는 이미지 프로세서와, 상기 불량 위치가 표시된 상기 X선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를 포함하고, 상기 열반응 분석기는, 상기 반도체 패키지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공급 장치와, 상기 반도체 패키지의 표면의 열화상 영상을 획득하는 적외선 스코프와, 상기 반도체 패키지에 인가된 전압과 상기 반도체 패키지의 표면 온도 간 위상차, 및 상기 반도체 패키지의 두께를 이용하여 상기 불량 위치의 수직 좌표를 검출하고, 상기 열화상 영상으로부터 상기 불량 위치의 수평 좌표를 검출하는 불량 검출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반도체 패키지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프로세서는 상기 X선 영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층 영역의 밀도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층의 두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불량 검출기는 상기 열화상 영상으로부터 상기 반도체 패키지의 표면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불량 검출기는 상기 반도체 패키지의 열확산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불량 위치의 수직 좌표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불량 검출기는 상기 열화상 영상 중 화소값이 최대인 화소의 좌표를 상기 불량 위치의 수평 좌표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X선 영상은 상기 반도체 패키지의 3차원 X선 영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검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X선 분석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열반응 분석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X선 분석기가 반도체 패키지의 두께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열반응 분석기가 반도체 패키지의 불량 위치의 수평 좌표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도 1의 열반응 분석기가 반도체 패키지의 불량 위치의 수직 좌표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검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8의 X선 분석기가 획득한 반도체 패키지의 X선 영상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X선 분석기가 획득한 반도체 패키지의 X선 영상에 불량 위치가 표시된 것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하나의 소자(elements)가 다른 소자와 "접속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소자가 다른 소자와 "직접 접속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패키지 기판에 두 개의 반도체 칩이 적층된 멀티 칩 패키지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일 칩 패키지 및 각종 반도체 패키지에 적용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검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검사 장치(1)는 X선 분석기(100)와 열반응 분석기(200)를 포함한다.
X선 분석기(100)는 반도체 패키지의 X선 영상을 획득하고, 반도체 패키지의 X선 영상으로부터 반도체 패키지의 두께를 검출한다. X선 분석기(100)는 검출된 반도체 패키지의 두께 정보 Sth를 열반응 분석기(200)에 전송한다. X선 분석기(100)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하여는 도 2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열반응 분석기(200)는 반도체 패키지의 두께 정보 Sth를 X선 분석기(100)로부터 수신한다. 열반응 분석기(200)는 반도체 패키지에 전압을 인가하고, 반도체 패키지의 표면 온도 및 반도체 패키지의 두께를 이용하여 반도체 패키지의 불량 위치(F)를 검출한다. 열반응 분석기(200)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하여는 도 3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도 1의 X선 분석기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X선 분석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X선 분석기(100)는 X선 스코프(110), 이미지 프로세서(120), 디스플레이 패널(130)을 포함한다.
X선 스코프(110)는 반도체 패키지의 X선 영상을 획득한다. 반도체 패키지의 X선 영상은 반도체 패키지의 2차원 또는 3차원 X선 영상일 수 있다.
반도체 패키지의 X선 영상은 예를 들어 반도체 패키지의 CT(Computer Tomography)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패키지가 다수의 반도체 칩이 적층된 멀티 칩 패키지일 경우, 반도체 패키지의 CT 영상은 각 층의 단층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층의 단층 영상은 컴퓨터 처리에 의해 반도체 패키지의 3차원 X선 영상으로 재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 프로세서(120)는 반도체 패키지의 X선 영상으로부터 반도체 패키지의 두께를 검출한다. 이미지 프로세서(120)는 반도체 패키지의 X선 영상에서 반도체 패키지 영역의 밀도를 이용하여 반도체 패키지의 두께를 검출할 수 있다. X선 영상은 X선이 촬영 대상을 투과하는 정도를 기초로 하여 촬영되는데, X선이 투과하는 정도는 촬영 대상의 밀도에 의해 결정된다. X선 영상은 촬영 대상의 밀도를 기초로 하여 촬영되는 것이다. 이하에서 밀도값이라는 것은 반도체 패키지의 X선 영상이 디지털화되는 경우, 디지털화된 X선 영상의 화소값에 대응된다. 반도체 패키지의 두께를 검출하는 방법의 구체적인 내용은 도 4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반도체 패키지의 X선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도 1의 열반응 분석기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의 열반응 분석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열반응 분석기(200)는 적외선 스코프(210), 불량 검출기(220), 전압 공급 장치(230), 입출력 장치(240)를 포함한다.
적외선 스코프(210)는 반도체 패키지의 열화상(thermography) 영상을 획득한다. 적외선 스코프(210)는 촬영 대상에서 방출되는 적외선 에너지를 측정하고, 촬영 대상의 온도 분포를 나타내는 열화상 영상을 획득한다. 적외선 스코프(210)는 반도체 패키지의 표면의 온도 분포를 나타내는 열화상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반도체 패키지의 표면은 반도체 패키지의 상면 및 각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패키지의 표면의 열화상 영상은 반도체 패키지의 온도 분포에 따라 복수의 단계로 구별되는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도체 패키지의 표면의 열화상 영상에서 최고 온도를 나타내는 영역은 빨간 색상으로 표시되고, 최저 온도를 나타내는 영역은 파란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빨간 색상으로 표시되는 영역의 화소는 (255, 0, 0)의 RGB값을 가질 수 있고, 파란 색상으로 표시되는 영역의 화소는 (0, 0, 255)의 RGB값을 가질 수 있다.
불량 검출기(220)는 반도체 패키지의 불량 위치(F)의 수직 좌표 및 수평 좌표를 검출한다. 반도체 패키지의 불량은 패키지 기판 또는 반도체 칩의 신호선 등이 개방되거나 단락된 상태를 나타낸다. 불량 검출기(220)는 반도체 패키지의 표면의 열화상 영상으로부터 반도체 패키지의 불량 위치(F)의 수평 좌표를 검출하고, 후술하는 전압과 반도체 패키지의 표면의 온도 간 위상차를 이용하여 반도체 패키지의 불량 위치(F)의 수직 좌표를 검출한다. 반도체 패키지의 불량 위치(F)의 수평 좌표와 수직 좌표를 검출하는 방법의 구체적인 내용은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전압 공급 장치(230)는 반도체 패키지에 전압을 인가한다. 전압 공급 장치(230)는 패키지 기판의 마이크로 범프(micro bump) 등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반도체 패키지에 인가되는 전압은 예를 들어 구형파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도체 패키지에 인가되는 전압은 위상을 식별할 수 있는 어떠한 파형의 전압도 가능하다.
입출력 장치(240)는 사용자로부터 반도체 패키지의 열확산 계수를 입력받는다. 열확산 계수는 단위 시간에 대한 면적의 차원으로 표시되는 열특성으로서, 소정의 거리에서 열이 전달되어 온도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시간을 나타내는 물리량이다. 반도체 패키지가 다수의 반도체 칩이 적층된 멀티 칩 패키지일 경우, 입출력 장치(240)는 각 층의 열확산 계수를 입력 받는다. X선 분석기(100)는 별도의 메모리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사전에 입력된 각 층의 열확산 계수를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X선 분석기가 반도체 패키지의 두께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반도체 패키지(3)는 제1 반도체 칩(31), 제2 반도체 칩(32)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반도체 패키지(3)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도체 칩(31), 제2 반도체 칩(32)의 하부에는 각각 제1 적층 필름(21), 제2 적층 필름(22)이 형성된다. 제1 적층 필름(21), 제2 적층 필름(22)은 필름 형태의 본딩재로서, 제1 반도체 칩(31), 제2 반도체 칩(32)의 적층을 위해 사용된다. 제1 적층 필름(21), 제2 적층 필름(22)은 예를 들어 DAF(Die Attach Film)일 수 있다. 제1 적층 필름(21)의 하부에는 패키지 기판(10)이 형성된다. 패키지 기판(10)은 베이스 기판(11), 실리콘 인터포저(12), 마이크로 범프(13)(micro bump; 13), 관통 실리콘 비아(Through Silicon Via; 14), 도전 패드(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반도체 칩(31, 32), 적층 필름(21, 22) 등을 덮는 밀봉층(40)이 형성된다. 밀봉층(40)은 반도체 칩을 밀봉하여 외부 환경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밀봉층(40)은 예를 들어 EMC(Epoxy Molding Compund)일 수 있다.
이미지 프로세서(120)는 반도체 패키지(3)의 X선 영상(Ia)으로부터 반도체 패키지(3)의 두께를 검출한다. 이 때, 이미지 프로세서(120)는 반도체 패키지(3)의 X선 영상(Ia)에서 반도체 패키지(3) 영역의 밀도를 이용할 수 있다. 이미지 프로세서(120)는 반도체 패키지(3)의 각 층 영역의 밀도를 이용하여 반도체 패키지(3)의 각 층의 두께(t1~t6)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반도체 패키지(3)의 X선 영상(Ia)에서 각 층 영역의 밀도값은 표 1에서와 같이 구별될 수 있다.
층 구분 밀도값
패키지 기판(PCB) 0~3
적층 필름(DAF) 50~70
반도체 칩(Chip) 20~30
밀봉층(EMC) 15
이미지 프로세서(120)는 반도체 패키지(3)의 X선 영상(Ia)에서 밀도값이 0~3인 영역은 패키지 기판(10) 영역으로 판단하고, 밀도값이 50~70인 영역은 적층 필름(21, 22) 영역으로 판단하고, 밀도값이 20~30인 영역은 반도체 칩(31, 32) 영역으로 판단하고, 밀도값이 15인 영역은 밀봉층(40) 영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층 영역의 밀도는 X선 분석기(100)의 메모리 장치(미도시)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반도체 패키지(3)의 X선 영상(Ia)에서 각 층 영역의 밀도값은 각 층을 구성하는 물질의 밀도에 따라 구별되므로, 이미지 프로세서(120)는 반도체 패키지(3)의 X선 영상(Ia)에서 밀도값의 변화가 임계값을 넘는 경계를 각 층 영역의 경계로 판단하고, 상기 경계를 기초로 반도체 패키지(3)의 각 층 영역을 구별할 수 있다.
이미지 프로세서(120)는 상술한 방법에 따라 반도체 패키지(3)의 X선 영상(Ia)에서 각 층 영역을 구별하고, 동일한 층 영역을 구성하는 화소의 좌표를 이용하여 반도체 패키지(3)의 각 층의 두께(t1~t6)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반도체 패키지의 X선 영상에서 반도체 패키지 영역의 밀도를 이용하여 반도체 패키지의 두께를 검출하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나, 반도체 패키지의 X선 영상에서 반도체 패키지의 두께를 검출하는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지된 다양한 방법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1의 열반응 분석기가 반도체 패키지의 불량 위치의 수평 좌표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반도체 패키지(3)의 상면의 열화상 영상(Ib)에는 도 4에서 상술한 제2 반도체 칩(32), 제1 반도체 칩(31), 패키지 기판(10)이 표시될 수 있다. 반도체 패키지(3)의 열화상 영상(Ib)에서 반도체 패키지(3)의 영역과 그 외곽 영역은 화소값으로 구별될 수 있다. 반도체 패키지(3)의 열화상 영상(Ib)에서 임계값보다 큰 값을 갖는 화소의 영역은 반도체 패키지(3)의 영역으로 구별되고, 임계값보다 작은 값을 갖는 화소의 영역은 외곽 영역으로 구별될 수 있다. 반도체 패키지(3)의 열화상 영상(Ib)에서 반도체 패키지(3)의 영역은 예를 들어 좌측 하부 화소 A(ax, ay)와 우측 상부 화소 B(bx, by)로 정의될 수 있다.
전압 공급 장치(230)가 반도체 패키지(3)에 전압을 인가하고, 인가된 전압에 의해 반도체 패키지(3)의 불량 위치(F)에서 열(H)이 발생될 수 있다. 반도체 패키지(3)의 불량 위치(F)에서 발생된 열(H)은 반도체 패키지(3)의 상면 방향으로 전달되고, 반도체 패키지(3)의 상면에는 반도체 패키지(3)의 불량 위치(F)에서 전달된 열(H)에 의한 온도 변화가 나타난다.
불량 검출기(220)는 반도체 패키지(3)의 상면의 열화상 영상(Ib)으로부터 반도체 패키지(3)의 불량 위치(F)의 수평 좌표 (fx, fy)를 검출한다. 반도체 패키지(3)의 상면의 열화상 영상(Ib)에는 반도체 패키지(3)의 불량 위치(F)에서 전달된 열(H)에 의한 변화가 나타난다. 불량 검출기(220)는 반도체 패키지(3)의 상면의 열화상 영상(Ib) 중 온도가 최대인 화소의 좌표를 반도체 패키지(3)의 불량 위치(F)의 수평 좌표 (fx, fy)로 검출할 수 있다. 반도체 패키지(3)의 열화상 영상(Ib)에서 반도체 패키지(3)의 온도 분포가 색상으로 표시되는 경우, 온도가 최대인 화소는 예를 들어 (255, 0, 0)의 RGB값을 가질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은 도 1의 열반응 분석기가 반도체 패키지의 불량 위치의 수직 좌표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압 공급 장치(230)의 전압원(231)을 마이크로 범프(13)에 접속하여 반도체 패키지(3)에 전압을 인가하고, 반도체 패키지(3)의 표면을 적외선 스코프(210)의 적외선 센서(211)를 이용하여 촬영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반도체 패키지(3)에 인가된 전압에 의해 반도체 패키지(3)의 불량 위치(F)에서 열(H)이 발생될 수 있다. 반도체 패키지(3)의 불량 위치(F)에서 발생된 열(H)은 반도체 패키지(3)의 상면 방향으로 전달되고, 반도체 패키지(3)의 표면 온도는 반도체 패키지(3)의 불량 위치(F)에서 전달된 열(H)에 의해 변화한다.
불량 검출기(220)는 반도체 패키지(3)에 인가된 전압과 반도체 패키지(3)의 표면 온도 간 위상차를 이용하여 반도체 패키지(3)의 불량 위치(F)의 수직 좌표 (fz)를 검출한다. 반도체 패키지(3)의 상면의 열화상 영상에는 반도체 패키지(3)의 불량 위치(F)에서 전달된 열(H)에 의한 변화가 나타난다. 불량 검출기(220)는 반도체 패키지(3)의 상면의 열화상 영상으로부터 반도체 패키지(3)의 표면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압 공급 장치(230)에 의해 반도체 패키지(3)에 인가되는 전압(Vs)은 구형파일 수 있다. 반도체 패키지(3)에 인가된 전압(Vs)은 t1에서 상승 에지를 나타내고, 반도체 패키지(3)의 표면 온도(tsurface)는 t2에서 상승 에지를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반도체 패키지(3)에 인가된 전압(Vs)과 반도체 패키지(3)의 표면 온도(tsurface) 간 위상차는 Δt(t2-t1)에 대응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반도체 패키지에 인가된 전압의 상승 에지와 반도체 패키지의 표면 온도의 상승 에지를 기초로 위상차를 구하였으나, 반도체 패키지에 인가된 전압과 반도체 패키지의 표면 온도 간 위상차를 구하는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지된 다양한 방법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불량 검출기(220)는 Δt와 반도체 패키지(3)의 열확산 계수를 이용하여 반도체 패키지(3)의 불량 위치(F)와 반도체 패키지(3)의 상면 간 거리(ts)를 검출할 수 있다. 이 때, 불량 검출기(220)는 패키지 기판(10), 적층 필름(21, 22), 반도체 칩(31, 32), 밀봉층(40) 등의 각 열확산 계수를 이용할 수 있다.
불량 검출기(220)는 반도체 패키지(3)의 두께를 이용하여 반도체 패키지(3)의 불량 위치(F)의 정확한 수직 좌표 (fz)를 검출할 수 있다. 수직 좌표계의 기준선을 반도체 패키지(3)의 마이크로 범프(13)의 바닥면이라고 하면 반도체 패키지(3)의 불량 위치(F)의 수직 좌표 (fz)는, 반도체 패키지(3)의 바닥으로부터 상면까지의 전체 두께로부터, 반도체 패키지(3)의 불량 위치(F)와 반도체 패키지(3)의 상면 간 거리(ts)를 뺀 거리(tz)로 검출될 수 있다. 불량 검출기(220)는 반도체 패키지(3)의 각 층의 두께를 이용하여, 불량이 발생한 층과 그 층에서의 불량 위치(F)의 상대적인 수직 좌표를 검출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검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과 차이점을 중점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검사 장치(2)는 X선 분석기(100)와 열반응 분석기(200)를 포함한다.
X선 분석기(100)는 반도체 패키지의 X선 영상을 획득하고, 반도체 패키지의 X선 영상으로부터 반도체 패키지의 두께를 검출한다. X선 분석기(100)는 검출된 반도체 패키지의 두께 정보 Sth를 열반응 분석기(200)에 전송한다. X선 분석기(100)는 반도체 패키지의 불량 위치(F)의 좌표 정보 Sf를 열반응 분석기(200)로부터 수신한다.
X선 분석기(100)는 X선 스코프(110), 이미지 프로세서(120), 디스플레이 패널(130)을 포함한다. X선 스코프(110), 이미지 프로세서(120)는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반도체 패키지의 X선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반도체 패키지의 불량 위치(F)가 표시된 X선 영상을 디스플레이 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예를 들어 반도체 패키지의 3차원 X선 영상에 불량 위치(F)를 표시할 수 있다.
열반응 분석기(200)는 반도체 패키지의 두께 정보 Sth를 X선 분석기(100)로부터 수신한다. 열반응 분석기(200)는 반도체 패키지에 전압을 인가하고, 반도체 패키지의 표면 온도 및 반도체 패키지의 두께를 이용하여 반도체 패키지의 불량 위치(F)를 검출한다. 열반응 분석기(200)는 검출된 반도체 패키지의 불량 위치(F)의 좌표 정보 Sf를 X선 분석기(100)에 전송한다.
열반응 분석기(200)는 적외선 스코프(210), 불량 검출기(220), 전압 공급 장치(230), 입출력 장치(240)를 포함한다. 적외선 스코프(210), 불량 검출기(220), 전압 공급 장치(230), 입출력 장치(240)는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도 9는 도 8의 X선 분석기가 획득한 반도체 패키지의 X선 영상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반도체 패키지(3)의 X선 영상(Ic)에는 도 4에서 상술한 제2 반도체 칩(32), 제1 반도체 칩(31), 패키지 기판(10)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X선 영상의 특성에 따라 반도체 패키지(3)의 적층 필름(21, 22), 밀봉층(40), 패키지 기판의 구성(11~15) 등도 표시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반도체 패키지(3)의 X선 영상(Ic)에서 반도체 패키지(3)의 영역과 그 외곽 영역은 밀도값으로 구별될 수 있다. 반도체 패키지(3)의 X선 영상(Ic)에서 임계값보다 큰 값을 갖는 화소의 영역은 반도체 패키지(3)의 영역으로 구별되고, 임계값보다 작은 값을 갖는 화소의 영역은 외곽 영역으로 구별될 수 있다. 반도체 패키지(3)의 X선 영상(Ic)에서 반도체 패키지(3)의 영역은 예를 들어 좌측 하부 화소 C(cx, cy)와 우측 상부 화소 D(dx, dy)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반도체 패키지의 상면의 X선 영상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반도체 패키지의 각 층의 단층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X선 영상이 획득될 수 있다.
도 10은 도 8의 X선 분석기가 획득한 반도체 패키지의 X선 영상에 불량 위치가 표시된 것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X선 분석기(100)의 디스플레이 패널(130)이 디스플레이하는 반도체 패키지(3)의 X선 영상(Id)에 불량 위치(F)가 표시된다. 여기서, 반도체 패키지(3)의 X선 영상(Id)은 3차원 X선 영상일 수 있다. X선 영상(Id)에 반도체 패키지(3)의 불량 위치(F)가 표시된다는 것은, X선 영상(Id)에 반도체 패키지(3)의 불량 위치(F)를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마킹되는 것을 포함한다. 이 때, 반도체 패키지(3)의 불량 위치(F)의 주변에는 불량 위치(F)의 3차원 좌표 (fx, fy, fz)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반도체 패키지(3)의 불량 위치(F)의 3차원 좌표 (fx, fy, fz)는 불량 위치(F)의 수직 좌표와 수평 좌표를 포함한다.
이미지 프로세서(120)는 반도체 패키지(3)의 X선 영상(Id)에, 열반응 분석기(200)로부터 수신한 반도체 패키지(3)의 불량 위치(F)를 표시하기 위해서, 반도체 패키지(3)의 X선 영상의 좌표계와 반도체 패키지(3)의 열화상 영상의 좌표계를 정합한다. 예를 들어 이미지 프로세서(120)는 반도체 패키지(3)의 X선 영상에서 반도체 패키지(3)의 영역을 정의하는 C(cx, cy) 및 D(dx, dy)와, 반도체 패키지(3)의 열화상 영상에서 반도체 패키지(3)의 영역을 정의하는 A(ax, ay) 및 B(bx, by)를, 각각 (0, 0) 및 (1, 1)로 표준화함으로써 복수의 좌표계를 정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좌표계를 정합하는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술한 방법이외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반도체 패키지의 스펙상 두께를 이용하지 않고, X선 영상으로부터 검출된 반도체 패키지의 실제 두께를 이용하여 반도체 패키지의 불량 위치의 수직 좌표를 검출하므로, 공정 편차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패키지의 불량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X선 분석기(100)와 열반응 분석기(200)를 동시에 이용하여 반도체 패키지를 검사하고, X선 영상에서 반도체 패키지의 불량 위치를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므로, 분석 시간을 단축하여 반도체 패키지의 불량 위치를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X선 분석기 200: 열반응 분석기
110: X선 스코프 120: 이미지 프로세서
130: 디스플레이 패널 210: 적외선 스코프
220: 불량 검출기 230: 전압 공급 장치
240: 입출력 장치

Claims (10)

  1. 반도체 패키지의 X선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X선 영상으로부터 상기 반도체 패키지의 두께를 검출하는 X선 분석기; 및
    상기 반도체 패키지에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반도체 패키지의 표면 온도 및 상기 반도체 패키지의 두께를 이용하여 상기 반도체 패키지의 불량 위치를 검출하는 열반응 분석기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검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선 분석기는 상기 X선 영상에서 상기 반도체 패키지 영역의 밀도를 이용하여 상기 반도체 패키지의 두께를 검출하는 이미지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검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패키지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프로세서는 상기 X선 영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층 영역의 밀도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층의 두께를 검출하는 반도체 패키지 검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반응 분석기는 상기 반도체 패키지에 인가된 전압과 상기 반도체 패키지의 표면 온도 간 위상차를 이용하여 상기 불량 위치의 수직 좌표를 검출하는 불량 검출기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검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반응 분석기는 상기 반도체 패키지의 표면의 열화상 영상을 획득하는 적외선 스코프를 포함하고, 상기 불량 검출기는 상기 열화상 영상으로부터 상기 반도체 패키지의 표면 온도를 검출하는 반도체 패키지 검사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불량 검출기는 상기 반도체 패키지의 열확산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불량 위치의 수직 좌표를 검출하는 반도체 패키지 검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반응 분석기는 상기 반도체 패키지의 표면의 열화상 영상을 획득하는 적외선 스코프와, 상기 열화상 영상으로부터 상기 불량 위치의 수평 좌표를 검출하는 불량 검출기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검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불량 검출기는 상기 열화상 영상 중 화소값이 최대인 화소의 좌표를 상기 불량 위치의 수평 좌표로 검출하는 반도체 패키지 검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선 영상은 상기 반도체 패키지의 3차원 X선 영상인 반도체 패키지 검사 장치.
  10. 반도체 패키지의 두께를 검출하는 X선 분석기; 및
    상기 반도체 패키지의 불량 위치를 검출하는 열반응 분석기를 포함하되,
    상기 X선 분석기는, 상기 반도체 패키지의 X선 영상을 획득하는 X선 스코프와, 상기 X선 영상으로부터 상기 반도체 패키지의 두께를 검출하는 이미지 프로세서와, 상기 불량 위치가 표시된 상기 X선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를 포함하고,
    상기 열반응 분석기는, 상기 반도체 패키지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공급 장치와, 상기 반도체 패키지의 표면의 열화상 영상을 획득하는 적외선 스코프와, 상기 반도체 패키지에 인가된 전압과 상기 반도체 패키지의 표면 온도 간 위상차, 및 상기 반도체 패키지의 두께를 이용하여 상기 불량 위치의 수직 좌표를 검출하고, 상기 열화상 영상으로부터 상기 불량 위치의 수평 좌표를 검출하는 불량 검출기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검사 장치.
KR1020120098819A 2012-09-06 2012-09-06 반도체 패키지 검사 장치 KR101961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819A KR101961097B1 (ko) 2012-09-06 2012-09-06 반도체 패키지 검사 장치
US13/961,201 US9255959B2 (en) 2012-09-06 2013-08-07 Test apparatus for semiconductor pack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819A KR101961097B1 (ko) 2012-09-06 2012-09-06 반도체 패키지 검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206A true KR20140032206A (ko) 2014-03-14
KR101961097B1 KR101961097B1 (ko) 2019-03-25

Family

ID=50186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8819A KR101961097B1 (ko) 2012-09-06 2012-09-06 반도체 패키지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55959B2 (ko)
KR (1) KR1019610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02082B2 (en) 2014-09-17 2020-03-24 Fluke Corporation Triggered operation and/or recording of test and measurement or imaging tools
US10271020B2 (en) 2014-10-24 2019-04-23 Fluke Corporation Imaging system employing fixed, modular mobile, and portable infrared cameras with ability to receive, communicate, and display data and images with proximity detection
US20160131607A1 (en) * 2014-11-06 2016-05-12 Fluke Corporation Method of combined use of infrared camera, non-contact infrared sensor, or contact temperature sensor with insulation resistance tester for automatic temperature normalization
US10530977B2 (en) 2015-09-16 2020-01-07 Fluke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lacing an imaging tool in a test and measurement tool
WO2017070629A1 (en) 2015-10-23 2017-04-27 Fluke Corporation Imaging tool for vibration and/or misalignment analysis
US10352967B2 (en) 2016-11-11 2019-07-16 Fluke Corporation Non-contact electrical parameter measurement systems
US10378459B2 (en) * 2017-03-23 2019-08-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engine control
US10120021B1 (en) * 2017-06-16 2018-11-06 Fluke Corporation Thermal non-contact voltage and non-contact current devices
JP6907951B2 (ja) * 2018-01-11 2021-07-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ヒートシンクの検査方法、検査装置及び生産方法、生産システム
CN111665403B (zh) * 2020-04-29 2022-12-23 中国电子产品可靠性与环境试验研究所((工业和信息化部电子第五研究所)(中国赛宝实验室)) 层叠型电子元件的失效点定位方法、装置和系统
KR20220041370A (ko) * 2020-09-25 2022-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의 임계 온도 설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53546B1 (en) * 1999-11-10 2003-04-22 Kabushiki Kaisha Toshiba Failure analyzing apparatus and failure analyzing method for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JP2008145245A (ja) * 2006-12-08 2008-06-26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 Llc X線検出器およびx線ct装置
KR20100055974A (ko) * 2008-11-18 2010-05-27 (주)바텍이우홀딩스 거리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엑스레이 장치
KR101066858B1 (ko) * 2009-04-14 2011-09-2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엑스선을 이용한 플립칩의 솔더범프 형상 검사방법
WO2011156527A1 (en) * 2010-06-08 2011-12-15 Dcg Systems, Inc. Three-dimensional hot spot localization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7547B2 (ja) * 1995-02-14 2005-02-09 富士通株式会社 配線パターンを観察する方法および加工装置
US5848122A (en) * 1997-03-25 1998-12-08 Advanced Technology Materials, Inc. Apparatus for rapid in-situ X-ray stress measurement during thermal cycling of semiconductor wafers
JP2003107022A (ja) * 2001-09-28 2003-04-09 Hitachi Ltd 欠陥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KR100480490B1 (ko) 2002-05-15 2005-04-06 유재언 다중 접합 웨이퍼의 공간 검사장치
KR100558066B1 (ko) 2004-05-14 2006-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층형 반도체 디바이스의 메탈 범프 리페어 장치 및 방법
JP2006145501A (ja) 2004-11-24 2006-06-08 Hamamatsu Photonics Kk 赤外線検出装置
KR20080015363A (ko) 2006-08-14 2008-02-19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웨이퍼 및 반도체 소자의 검사 방법 및 장치
KR100992702B1 (ko) 2008-06-04 2010-11-0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엑스선 영상센서용 유연한 검출소자 및 그 제작방법
KR101003693B1 (ko) 2008-10-20 2010-12-2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연한 엑스선 영상센서
KR20100067326A (ko) 2008-12-11 2010-06-21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나노 공간분해능을 갖는 컴퓨터 단층 촬영 장치
KR101092206B1 (ko) 2009-11-27 2011-12-12 한국전기연구원 고효율 스캔용 센서를 이용한 광 검출 장치 및 방법
US20140062521A1 (en) * 2011-04-25 2014-03-06 Sharp Kabushiki Kaisha Wiring defect inspecting method, wiring defect inspec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substrate
KR101133503B1 (ko) 2011-04-29 2012-04-0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광학 및 x선 융합 ct 장치와 그 데이터의 재구성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53546B1 (en) * 1999-11-10 2003-04-22 Kabushiki Kaisha Toshiba Failure analyzing apparatus and failure analyzing method for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JP2008145245A (ja) * 2006-12-08 2008-06-26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 Llc X線検出器およびx線ct装置
KR20100055974A (ko) * 2008-11-18 2010-05-27 (주)바텍이우홀딩스 거리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엑스레이 장치
KR101066858B1 (ko) * 2009-04-14 2011-09-2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엑스선을 이용한 플립칩의 솔더범프 형상 검사방법
WO2011156527A1 (en) * 2010-06-08 2011-12-15 Dcg Systems, Inc. Three-dimensional hot spot localiz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1097B1 (ko) 2019-03-25
US9255959B2 (en) 2016-02-09
US20140062496A1 (en) 2014-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1097B1 (ko) 반도체 패키지 검사 장치
US10529068B2 (en) Defect inspec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1716104B1 (ko) 3-차원 핫 스팟 위치추정
EP3708947A1 (en) Three-dimensional measurement device
KR20180117532A (ko) 결함 검출 방법, 결함 검출을 위한 시스템 및 훈련 방법
US20160117824A1 (en) Posture estimation method and robot
US9261555B2 (en) Methods of measuring and controlling inner temperature of a chamber included in a test handler
US9673166B2 (en) Three-dimensional mounting method and three-dimensional mounting device
US9040986B2 (en) Three dimensional integrated circuit having a resistance measurement structure and method of use
JP2010169590A (ja) 熱変形測定方法及び装置
US20130089936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TWM606479U (zh) 晶圓盒檢測裝置
CN113834571A (zh) 一种目标测温方法、装置及测温系统
EP2063259A1 (en) Method for inspecting mounting status of electronic component
KR20210055539A (ko) 반도체 패키지 검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반도체 패키지 제조 시스템
US20200074901A1 (en) Apparatus for inspecting a display panel for defects
US8106665B2 (en) 3-D mapping focused beam failure analysis
CN209461417U (zh) 一种检测键合晶片之间的空隙的装置
KR101376945B1 (ko) 다이 본더의 다이 본딩 검사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다이 본더
KR20210115117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불량을 검사하는 검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검사 방법
Pan et al. Improved image processing algorithms for microprobe final test
Chen et al. Advanced fault isolation techniques for 3D packaging
KR101507145B1 (ko) 위치인식홀을 이용한 실리콘관통전극 플립칩 얼라인먼트 검사 장치 및 방법
US20240036010A1 (en) Ultrasonic inspection device, ultrasonic inspection method, and program
Braganca Jr et al. Advanced Die-Beam Alignment Method for Laser-Assisted Bon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