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0924A - 염전용 소금채취 장치 - Google Patents

염전용 소금채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0924A
KR20140030924A KR1020120097701A KR20120097701A KR20140030924A KR 20140030924 A KR20140030924 A KR 20140030924A KR 1020120097701 A KR1020120097701 A KR 1020120097701A KR 20120097701 A KR20120097701 A KR 20120097701A KR 20140030924 A KR20140030924 A KR 20140030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frame
plate
driv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7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경희
Original Assignee
전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경희 filed Critical 전경희
Priority to KR1020120097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0924A/ko
Publication of KR20140030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09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76Fixed or adjustable ploughs or transverse scrapers
    • B65G47/766Adjustable ploughs or transverse scrap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3/00Halid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3/04Chlorides
    • C01D3/06Preparation by working up brines; seawater or spent ly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76Graders, bulldozers, or the like with scraper plates or ploughshare-like elements; Levelling scarifying devices
    • E02F3/769Graders, bulldozers, or the like comprising loa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76Graders, bulldozers, or the like with scraper plates or ploughshare-like elements; Levelling scarifying devices
    • E02F3/80Component parts
    • E02F3/84Drives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hydraulic drive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염전용 소금채취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밀판과 지면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시 장애물과 밀판 간의 충돌을 방지함은 물론 소금 결정체 크기 또는 소금층의 두께 등에 따라 간격조절을 통해 채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소금을 걷어내는 과정에서 소금이 밀판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거나, 빠져나가는 방향을 임의로 설정함으로써, 동일한 경로의 반복 이동 현상을 최소화하여 작업효율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염전용 소금채취 장치{APPARATUS FOR SALT COLLECTION FOR SALT PAN}
본 발명은 염전에서 소금을 채취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구동장치를 이용해 밀대를 밀어 이동시키면서 소금을 채취함에 따라 작업자의 힘을 최소화함은 물론, 밀판을 밀어 소금을 걷어내는 과정에서 소금이 밀대 밖으로 빠져나가 손실되는 현상을 최소화함으로써 채취 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 과정에서 장애물과 밀판 간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일염은 밀물 시 염전에 바닷물을 가두어두고 태양광에 의해 증발되도록 하여 바닷물에 염분이 결정되는 방식으로 생성된다.
이러한 천일염의 채취는 염분이 적정수준으로 결정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직접 밀대를 밀어 전진하면서 걷어내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오로지 작업자의 힘에 의해서만 밀대를 밀어 전진시키기 때문에 작업자의 힘 소모가 너무 큰 문제점이 있고 작업시간도 너무 오래 걸려 생산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전동방식으로 이동되는 이동수단에 밀대를 설치하여 전동력만으로 밀대를 밀어 소금을 걷어내는 장치가 제안되어 있기는 하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전동구조들은 단순히 전후진에 필요한 동력만을 전동으로 이용하는 것일 뿐 이동과정에서 밀대와 지면 간의 간격 조절 기능이 없어 염전이 아닌 타 지면 상에서의 이동 시 밀대와 지면 간 접촉에 의해 이동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장애물과의 충돌 현상도 발생된다.
또한 염전 내에서 소금을 걷어내는 과정은 출발점에서 반대쪽 수거지점까지 밀고간 뒤 다시 출발점 쪽 으로 돌아가 다시 수거지점까지 오는 과정을 반복한다.
따라서 종래처럼 밀대의 위치가 고정된 경우 수거지점에서 되돌아오는 과정에서도 소금이 밀대에 의해 밀려 걷어짐으로, 출발점에서 수거지점으로 출발할 때에는 이미 밀대 앞에 많은 소금이 쌓이게 된 상태가 된다.
즉 출발지점으로 되돌아오는 과정에서 소금이 불필요하게 걷어내 지는 것이다.
이 상태로 수거지점을 향해 이동을 하면 많은 양의 소금무게에 의해 구동모터 등에 부하가 걸려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문제점이 수반된다.
또한 기존에는 단순히 밀대가 평판 형태이므로, 소금을 밀고 가는 과정에서소금이 밀대 양단부 쪽으로 밀려 외부로 빠져 나가버리는 경우가 많아 동일한 경로를 여러 번 반복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리고 기존에는 구동바퀴가 대부분 2개의 바퀴만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회전과정에서 염전바닥에서 미끄럼 현상이 발생되어 이동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도 갖는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612075호(2006.08.07.)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을 비롯해, 추가적인 개선사항을 갖도록 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기본적으로 밀판의 승강구조를 통해 지면과의 상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이 편리함은 물론 소금 층의 두께 등에 따라 간격조절을 통해 채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염전용 채염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염전 내에서의 이동과정에서 불필요한 채염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채염효율의 저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염전용 채염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소금을 걷어내는 과정에서 소금이 밀판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거나, 빠져나가는 방향을 임의로 설정함으로써, 빠져나간 소금을 재차 회수하기 위해 동일한 경로를 반복 이동해야 하던 것을 방지하여 작업효율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는 염전용 채염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더불어 기존에 비해 간소한 구조로 채염장치의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바퀴와 염전바닥 간의 미끄럼 현상 등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한 염전용 채염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있는 구동바퀴,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있는 핸들부, 상기 본체의 전측에 위치되어 있는 밀판, 상기 밀판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밀판을 상하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유도부 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유도부는 일측이 상기 본체의 측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전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전단부가 상기 밀판 연결되어 있는 지지프레임, 일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어 있고 상하 승강이 가능한 상하 방향전환 프레임, 상기 상하 방향전환 프레임의 타 단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며, 회전과정에서 상기 상하 방향전환 프레임을 상하 승강시키는 구동회전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유도부는 상기 상하 방향전환 프레임과 상기 구동회전봉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연결프레임은 일단부가 상기 상하 방향전환 프레임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부는 상기 구동회전봉의 둘레면에 연결되어있어 상기 구동회전봉의 회전 시 함께 회동하면서 상기 상하 방향전환 프레임을 상하 승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하 방향전환 프레임은 상기 지지프레임과 수직방향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하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상하 방향전환 프레임과 수직방향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전단부가 상기 상하 방향전환 프레임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후단부가 상기 구동회전봉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유도부는 상기 구동회전봉에 연결되어 구동회전봉의 회전을 유도하는 작동유도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작동유도부는 일단부가 상기 구동회전봉에 연결된 상태에서 구동회전봉과 함께 회전이 가능한 회전유도프레임 및 상기 회전유도프레임의 타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유도프레임을 회동시키는 회전유도봉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일단부가 상기 밀판의 측부에 연결되어 상기 밀판으로부터 전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는 소금이탈방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금이탈방지판은 상기 밀판의 일측부에 형성되되 상기 밀판의 반대쪽 측부는 이미 지나온 경로를 향햐는 방향일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실시예를 갖는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밀판이 승강유도부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므로, 소금을 채취할 때와 단순 이동할 때에 맞는 밀판의 상하 위치를 조절을 통해 이동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염전바닥의 소금층의 두께 등에 따라 밀판의 높낮이를 조절함에 따라 소금채취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밀판의 상하 승강을 유도하는 승강유도부의 구조가 단순히 봉 및 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간소한 구조만으로도 밀판의 승강유도구조가 구현됨으로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고장발생이 최소화됨은 물론 유지보수도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또한 밀판의 측부에 소금이탈방지판이 형성됨에 따라, 밀대로 소금을 밀고 가는 과정에서 소금이 밀대 외부로 빠져나가 소금 채취 효율이 저하되던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갖는다.
뿐만 아니라 소금이탈방지판을 밀대 양측에 형성시키지 않고 이미 지나온 경로쪽 단부에만 형성시킴으로써, 밀대로부터 이탈된 소금이 이후 지나갈 경로 상에 쌓이게 됨으로, 결국 이탈된 소금도 추후에 모두 회수가 가능하게 되는 장점을 가진다.
더불어 이렇게 밀대를 밀고 가는 과정에서 소금이 원하는 방향으로 이탈됨에 따라 소금의 하중에 의해 구동부의 구동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장점도 갖는다.
도1은 전체 후면사시도
도2는 전체 전면사시도
도3은 전체 측면 개략도
도4는 밀판이 승강유도부에 의해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5는 밀판의 전면부에 경사면이 형성된 상태의 평면 개략도
도6 및 도7은 하강위치 조절부가 설치되 경우의 실시예 도면
이하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 염전용 소금채취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본체(100)와 구동부(200), 핸들부(300), 밀판(500) 및 승강유도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체(100)는 본 발명의 몸통역할, 즉 타 구성요소들의 설치를 위한 지지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좌우 일정길이를 갖는 박스 형태이고 내부에는 구동 바퀴 등의 설치를 위한 수용공간(110)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체(100)의 상부면 중간지점에는 후술하는 구동모터(210)의 설치를 위한 모터케이스(120)가 형성되고, 모터케이스(120)의 양측부에는 배터리 등의 설치를 위한 보조케이스(130)가 형성된다.
참고로 본체(100)의 좌우 길이는 후술하는 밀판(500)의 길이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시키되, 형상 및 모터케이스 등의 형성 여부는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구현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본체(100)의 후단부에는 후술하는 구동바퀴(230)의 후륜 설치를 위한 설치패널(140)이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본체(100)에는 구동부(200)가 설치된다.
구동부(200)는 본체(100)를 비롯해 후술하는 밀판(500)의 이동에 필요한 구동원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구동모터(210)와 동력전달부(220) 및 구동바퀴(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중 구동모터(210)는 구동부 중에서 실제 구동력이 최초로 발생 되는 부분으로 일반적인 전동모터가 적용되되, 모터축(212)이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각 모터축(212)의 회전 여부가 별도로 제어될 수 있는 구조를 사용한다.
이렇게 양 모터축의 회전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이유는, 이와 연결된 각 구동바퀴의 회전 여부를 제어함으로써 이를 이용해 본체(100)의 방향전환을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이와 관련된 작동 과정은 후술하는 작용설명 과정에서 언급한다.
이러한 구동모터(210)는 본체(100) 상부에 형성된 모터케이스(120) 내에 수용되고 양측의 보조케이스(130)에 수용된 배터리(미도시)와 연결되어 전력공급을 받음과 동시에 동력을 후술하는 동력전달부(220)로 전달한다.
동력전달부(220)는 구동모터(210)의 구동력을 후술하는 구동바퀴(23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제1회전체(222)와 구동축(223), 제2회전체(224), 제1전달부재(225), 바퀴축(226) 및 제2전달부재(2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중 제1회전체(222)는 구동모터(210)의 회전력이 최초로 전달되는 부분으로, 일반적인 스프로킷 형태이고 구동모터(210)의 양 모터축(212)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각 모터축과 함께 회전된다.
그리고 구동축(223)은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구동바퀴(230) 중 양 전륜(232)으로 직접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체 하단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양단부가 본체(100)의 양측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때 구동축(223) 상에는 스프로킷 형태의 제2회전체(224)가 설치되어 제1구동축(223)과 함께 회전되고, 제2회전체(224) 제1회전체(222)는 체인 형태의 제1전달부재(225)를 통해 상호 연결된다.
따라서 구동모터(210)에 의해 제1회전체(222)가 회전되면 제1전달부재(225)에 의해 제2회전체(224) 및 구동축(223)이 동시에 회전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 상태에서 구동축(223)과 본체(100)에는 구동바퀴(230)가 설치된다.
구동바퀴(230)는 명칭 그대로 구동모터의 구동력이 최종적으로 출력되어 본 발명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전륜(232)과 후륜(234)으로 나뉘어 구성된다.
전륜(232)은 두개로 나뉘어 각 중심부가 구동축(223)의 중간지점을 기준으로 양측부에 연결됨에 따라, 구동축(223)의 회전 시 함께 회전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후륜(234)은 역시 두 개로 나뉘어 본체(100)의 설치패널(140)에 각각 설치된다.
이 상태에서 각 후륜(234)의 바퀴축(226) 상에는 제2회전체(224)가 형성되어 구동축과 체인 형태의 제2전달부재(227)를 통해 연결됨에 따라 구동축(223)의 구동력이 전륜(232)과 후륜(234)에 동시에 전달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구동모터의 작동 시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구동력이 각 전륜과 후륜에 동시전달됨에 따라 본 발명은 4륜구동 방식을 갖게 된다.
이렇게 4륜구동구조를 갖게 됨에 따라 2륜구동방식과 달리 전륜과 후륜 중 어느 한쪽이 염전바닥과 미끄럼 현상이 발생되더라도 다른 바퀴의 회전력에 의해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참고로 제1, 2회전체(222)(224)와 제1, 2전달부재(225)(227)는 반드시 스프로킷 및 체인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벨트 및 풀리 구조 등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며, 동력전달부의 구조를 달리 하여 4륜구동이 아니라 전륜구동 또는 후륜두동 방식 중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바퀴 구조가 아니라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무한궤도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렇게 구동부(200)가 설치된 본체(100)에는 핸들부(300)가 설치된다.
핸들부(300)는 작업자가 운행 중 본 발명의 작동여부 및 방향 등을 제어하는 부분으로, 전체적으로 프레임 형태이고 전단부가 본체의 후면에 연결된 상태에서 후측을 향해 연장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핸들부(300)에는 구동모터(210)의 작동여부와 각 모터축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작동제어부(310)가 설치된다.
참고로 본 실시예 에서는 핸들부가 단순히 본체(100)에 고정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핸들부 자체를 회동시켜 본체의 진행방향을 제어하는 등의 형태로도 변형이 가능하다.
이렇게 핸들부(300)까지 설치된 상태에서 본체(100)에는 승강유도부(400)가 설치된다.
승강유도부(400)는 후술하는 밀판(500)의 승하강 유도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작동레버(410)와 작동유도부(430), 구동회전봉(420), 작동유도부(430), 연결프레임(440), 상하 방향전환 프레임(450), 지지프레임(460) 및 탄성부재(4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중 작동레버(410)는 승강유도부(400) 중 작업자가 후술하는 밀판(500)의 승강신호를 최초 입력하는 부분으로, 전체적으로 전후 이동이 가능한 레버 형태로 이루어지고 핸들부(300) 중 작업자의 손잡이 부근에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핸들부를 잡고 운행하는 과정에서 작동레버(410)를 전후 이동시킴에 따라 밀판의 승강여부를 선택하게 된다.
구동회전봉(420)은 승강유도부(400) 중 밀판(500)의 승강에 필요한 동력이 최초 발생되는 부분으로, 전체적으로 본체와 거의 동일한 길이를 갖는 봉 형태이고 양단부가 본체 상면 양측에 각각 형성된 베어링 하우징(422)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된다.
그리고 작동유도부(430)는 구동회전봉(420)의 회전여부를 제어하여, 결국 후술하는 밀판(500)의 승강 여부를 작업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으로, 다시 회전유도프레임(432) 및 회전유도봉(434)으로 나뉘어 구성된다.
그 중 회전유도봉(434)은 작업자가 밀판의 승강 신호를 최초 입력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기다란 봉 형태이고 후단부가 핸들부(300)의 작동레버(410)에 연결되어 작동레버(410)와 함께 전후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회전유도프레임(432)은 회전유도봉(434)과 구동회전봉(420)을 연결하여 회전유도봉(434)의 전후 직선이동을 구동회전봉(42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막대 형태이고 하단부가 구동회전봉(420)의 중간지점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단부는 회전유도봉(434)의 전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구조로 설치된다.
따라서 회전유도봉(434)의 전후 이동에 의해 회전유도프레임(432)이 구동회전봉(420)과의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이로 인해 구동회전봉(420)이 함께 동일한 각도로 회전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렇게 작동유도부(430)가 연결된 구동회전봉(420)에는 연결프레임(440)이 연결된다.
연결프레임(440)은 구동회전봉(420)의 회전력을 후술하는 상하 방향전환 프레임(450) 및 지지프레임(46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회전유도프레임(432)처럼 단순 각형 막대 형태이고 후단부가 구동회전봉(420)의 단부 둘레면에 연결된다.
따라서 연결프레임(440)은 구동회전봉(420)의 회동 과정에서 함께 동일한 각도로 회전되고 이러한 회전력은 후술하는 상하 방향전환 프레임(450)으로 전달된다.
상하 방향전환 프레임(450)은 연결프레임(440)의 회동력을 상하 승강 이동력으로 변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역시 일정길이를 갖는 막대 형태이고 연결프레임(440)과 수직 방향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상단부가 연결프레임(440)의 전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연결프레임(440)이 구동회전봉(420)에 의해 양방향 회동 되는 과정에서 상하 방향전환 프레임(450)은 상하 직선 방향으로 승강 된다.
이러한 상하 방향전환 프레임(450)에는 지지프레임(460)이 연결된다.
지지프레임(460)은 본체(100)와 후술하는 밀판(500)을 직접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뿐만 아니라 구동회전봉(420)의 회동력이 최종적으로 출력되어 밀판(500)을 실제 승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캠 형태의 판재 형태이고 후단부가 본체의 전측 양 측면부에 회힌지 연결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각 지지프레임(460)의 전단부는 앞쪽을 향해 본체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위치되며 각 지지프레임(460)의 내측면에는 후술하는 탄성부재(470) 설치를 위한 돌기부(464)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각 구성요소들과 함께 승강유도부(400)를 구성하는 마지막 요소인 탄성부재(470)는 지지프레임의 승강과정에서 안정적이고 신속한 자동 하강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코일 스프링 형태이고 하단부가 본체(100)의 전면부에 연결되고 상단부는 지지프레임(460)의 돌기부(464)에 연결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상 설명한 구조에 의해 승강유도부(400)는 작업자가 작동레버(410)를 당기면 회전유도봉(434)이 당겨지면서 회전유도프레임(432)과 구동회전봉(420) 및 연결프레임(440)이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된다.
이로 인해 상하 방향전환 프레임(450)이 위쪽으로 상승 되면서 지지프레임(460)도 함께 힌지부(462)를 중심으로 위쪽을 향해 회동 된다.
그리고 이렇게 지지프레임(460)이 위쪽을 향해 회동되는 과정에서 탄성부재(470)가 인장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작동레버(410)를 당기던 힘을 해제하면 위와 반대 과정을 거치게 되면서 지지프레임이 아래로 하강 되는데, 이 과정에서 지지프레임(460)에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작용된 상태이기 때문에, 지지프레임(460)이 자동으로 하강 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승강유도부(400) 중 작동레버(410)를 별도로 형성시키지 않고 작업자가 회전유도봉(434)을 직접 당기도록 해도 무관한데, 따라서 작동레버(410)는 승강유도부(400) 중 반드시 있어야만 하는 구성요소는 아니다.
또한 회전유도봉(434)이 구동회전봉(420)에 직접 연결되어 구동회전봉(420)을 회전시킬 수도 있으므로, 구동회전봉(420)과 회전유도봉(434)을 연결하는 회전유도프레임(432) 또한 생략 가능한 구성요소이다.
더불어 연결프레임(440) 없이 상하 방향전환 프레임(450)의 상단부를 구동회전봉(420)에 직접 연결시킬 수 있으므로, 연결프레임(440)도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다.
더 나아가 승강유도부(400) 전체를 위 설명과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단순히 실린더 형태로 제작하여 실린더 로드가 지지프레임(460)에 연결되어 실린더로드의 상하 승강에 의해 지지프레임이 상하 회동 되도록 하거나, 실린더로드가 밀판(500)에 직접 연결되어 밀판을 직접 승강시키는 구조 등으로도 변형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승강유도부(400)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밀판(500)을 상하 승강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형 구현이 가능한 것이다.
이렇게 설치된 승강유도부(400)에는 밀판(500)이 연결된다.
밀판(500)은 실제 염전바닥의 소금을 걷어 수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좌우 길이를 갖는 기다란 판재 형태이고 본체의 전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지지프레임(460)을 통해 본체(100)와 연결된다.
이때 밀판(500)의 후면 양측부에는 연결리브(510)가 돌출 형성되고 각 연결리브(510)는 각 지지프레임(460)의 돌기부(464)가 관통됨에 따라 밀판(500)이 지지프레임(460)과 일체로 결합 된다.
따라서 밀판(500) 또한 지지프레임(460)의 상하 회동에 의해 함께 상하 승강되는 구조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밀판(500)에는 소금이탈방지판(520)이 형성되는데,
소금이탈방지판(520)은 밀판(500)이 염전 바닥의 소금을 밀면서 전진하는 과정에서 소금 중 일부가 밀판(500)의 양측단부를 통해 이탈되는 현상의 최소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단순 판재 형태이고 후단부가 소금이탈방지판(520)의 일측단부 테두리에 일체로 연결된다.
이렇게 소금이탈방지판(520)이 밀판(500)의 일측 단부에만 형성됨에 따라 소금을 밀고 가능 과정에서 소금은 소금이탈방지판이 형성되지 않은 쪽 단부를 통해서만 이탈된다.
따라서 이때 소금이탈방지판(520)이 형성되지 않는 단부가 앞으로 지나갈 경로쪽을 향하도록 함에 따라, 소금이 밀판으로부터 이탈되더라도 이 후 경로를 지나면서 다시 밀판에 의해 걷어지므로, 지나왔던 경로를 다시 지나야 하는 번거로움이 해결된다.
뿐만 아니라 이렇게 소금이탈방지판(520)을 한쪽으로만 형성시켜 적정량의 소금이 이탈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소금을 밀고 갈 때 밀판 상에 쌓인 소금의 무게로 인해 구동모터에 부하가 걸리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실시예의 작용 및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특유의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구동모터(210)가 작동되면 구동모터의 양 모터축이 동시에 회전되면서 각 제1회전체(222)도 함께 회전되고 이로 인해 구동축(223)이 회전하면서 구동바퀴(230)의 전륜(232)이 회전된다.
그리고 이렇게 구동축(223)이 회전함에 따라 이와 동시에 후륜(234)의 바퀴축이 회전되면서 후륜(234)이 전륜과 동시에 회전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 전체가 앞으로 전진하게 되는데, 만약 좌우 방향전환이 필요할 경우, 양 모터축 중 일측 모터축의 회전을 정지시키거나 회전속도를 줄이면 전륜과 후륜 중 해당 모터축과 연결된 쪽 바퀴의 회전도 느려짐으로, 결국 느려진 바퀴쪽으로 방향이 전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소금채취 장치를 염전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밀판(500)의 하단부가 지면과 너무 가깝게 위치되면 이동 과정에서 돌 등의 장애물이 밀판에 충돌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밀판(500)을 최대한 높이 들어올린 상태로 이동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작업자가 [도 4]처럼 작동레버(410)를 당기면 회전유도봉(434)이 당겨지면서 구동회전봉(420)이 회전유도프레임(432)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렇게 구동회전봉(420)이 회전됨에 따라 이에 연결된 연결프레임(440)도 함께 회전되고, 상단부가 연결프레임(440)과 회동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는 상하 방향전환 프레임(450)이 상승된다.
즉 구동회전봉(420)의 회전운동이 연결프레임을 통해 전달되는 과정에서 상하 방향전환 프레임(450)에서는 상하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하 방향전환 프레임(450)이 상승됨에 따라 이에 연결된 지지프레임(460)이 힌지부(462)를 중심으로 위를 향해 회동됨에 따라, 최종적으로 밀판(500)이 상승된다.
이렇게 지지프레임(460)과 밀판(500)이 상승되면서 이와 연결된 탄성부재(470)이 인장됨과 동시에 탄성부재에는 탄성력이 작용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 염전까지 이동한 후 작동레버(410)를 당기던 힘을 해제시키면 탄성부재(470)의 탄성력이 지지프레임(460)에서부터 작동레버까지 반대 방향으로 작용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지지프레임(460)과 밀판(500)이 자중 및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하강되어 밀판(500)의 하단부가 지면에 근접된 상태가 된다.
이렇게 밀판의 하단부가 지면에 근접된 상태가 된 상태로 전진함에 따라 염전 바닥의 소금층을 원활히 걷어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소금 결정의 크기 등에 따라 밀판의 상하 높이를 조절함에 따라 소금의 채취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승강유도부를 이용해 밀판을 상하 승강시킬 수 있음에 따라, 소금 채취가 아닌 단순 이동 과정에서 지면 상의 장애물이 밀판에 충돌되는 현상이 방지됨은 물론 염전 상에서는 소금의 채취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 상태로 염전을 지나면서 밀판(500)이 염전바닥의 소금층을 걷어내게 되는데, 이 상태로 전진하는 과정에서 밀판 상의 소금 중 일부는 소금이탈방지판(520)이 형성되지 않은 쪽 단부를 통해 외부로 이탈된다.
이때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소금이탈 방지판이 형성되지 않은 쪽 단부는 이후 지나갈 경로 쪽이기 때문에, 이후 해당 경로를 지나과정에서 재차 밀판에 의해 걷어내어지게 된다.
이렇게 밀판으로 소금을 걷어내는 과정에서 소금이탈방지판(520)에 의해 소금이 밀판 외부로 이탈되기는 하지만 이탈 방향이 제어됨에 따라, 이탈된 소금을 다시 수거하기 위해 이미 지나온 경로를 다시 지나야 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됨은 물론, 이동 과정에서 적정양의 소금이 이탈됨에 따라 소금 무게에 의해 장치의 이동이 방해되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밀판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밀판의 전면부를 소금이탈방지판(520)이 형성되지 않은쪽 단부를 향해 기울어지도록 함으로써, 소금이 밀판의 경사면(530)을 따라 자연스럽게 해당 단부쪽으로 이동하여 이탈이 유도되도록 하는 것이다.
참고로 이 경우 경사면의 각도는 밀판의 크기나 소금 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적용이 가능하다.
[도 6] [도 7]은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타 구조는 위 실시예들과 동일한 반면, 지지프레임(460)의 승강과정에서 하강 위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면과 밀판(500) 하단부 간의 적절한 간격 또는 접촉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과 같이 본체(100)측부에 별도의 설치편(610)을 돌출 형성시키고 설치편(610)에 간격조절볼트(620)를 상하 관통시킨 형태의 하강위치조절부(600)이 추가된다.
이때 간격조절볼트(620)는 회전 시 설치편과의 나사체결구조에 의해 상하 직선 이동이 가능하고, 이 상태에서 간격조절볼트의 상단부는 지지프레임(460)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하 직선이동과정에서 지지프레임()의 하단과 접촉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밀판(500)의 상승을 위해 지지프레임(460)이 위쪽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간격조절볼트를 회전시켜 위쪽으로 상승시키면 지지프레임()이 하강될 때 하단부가 간격조절볼트(620)의 상단부에 걸쳐짐에 따라 더 이상 하강되지 못하게 된다.
이로 인해 밀판(500)의 하강 상태에서도 밀판 하단부와 염전 바닥 간의 적정 간격이 유지될 수 있게 되어 밀판 하단과 염전 바닥 간의 과도한 접촉에 의해 염전바닥이 훼손되는 등의 현상이 방지된다.
이때 하강상태에서 밀판의 위치는 간격조절볼트의 상하 위치에 따라 다양하고 정밀하게 조절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간격조절볼트(620)의 상단부, 즉 지지프레임과 접촉되는 부분에 고무 등의 완충부재를 형성시켜 지지프레임과의 충돌로 인해 간격조절볼트가 파손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여러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및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이 승강유도부재를 통해 밀판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에 따라 이동과정에서 밀판과 장애물 간의 충돌을 방지함과 동시에 소금채취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구성 및 목적과 관련이 있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100 : 본체 110 : 수용공간
120 : 모터케이스 130 : 보조케이스
140 : 설치패널
200 : 구동부 210 : 구동모터
212 : 모터축 220 : 동력전달부
222 : 제1회전체 223 : 구동축
224 : 제2회전체 225 : 제1전달부재
226 : 바퀴축 227 : 제2전달부재
230 : 구동바퀴 232 : 전륜
234 : 후륜 300 :핸들부
310 : 작동제어부 400 : 승강유도부
410 : 작동레버 420 : 구동회전봉
422 : 베어링 하우징 430 : 작동유도부
432 : 회전유도프레임 434 : 회전유도봉
440 : 연결프레임 450 : 상하 방향전환 프레임
460 : 지지프레임 462 : 힌지
464 : 돌기부 470 : 탄성부재
500 : 밀판 510 : 연결리브
520 : 소금이탈방지판

Claims (9)

  1.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있는 구동바퀴,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있는 핸들부,
    상기 본체의 전측에 위치되어 있는 밀판,
    상기 밀판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밀판을 상하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유도부
    를 포함하는 염전용 소금채취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승강유도부는,
    일측이 상기 본체의 측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전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전단부가 상기 밀판 연결되어 있는 지지프레임,
    일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어 있고 상하 승강이 가능한 상하 방향전환 프레임,
    상기 상하 방향전환 프레임의 타 단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며, 회전과정에서 상기 상하 방향전환 프레임을 상하 승강시키는 구동회전봉
    을 포함하는 염전용 소금채취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승강유도부는,
    상기 상하 방향전환 프레임과 상기 구동회전봉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프레임은 일단부가 상기 상하 방향전환 프레임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부는 상기 구동회전봉의 둘레면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구동회전봉의 회전 시 함께 회동하면서 상기 상하 방향전환 프레임을 상하 승강시키는
    염전용 소금채취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상하 방향전환 프레임은 상기 지지프레임과 수직방향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하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상하 방향전환 프레임과 수직방향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전단부가 상기 상하 방향전환 프레임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후단부가 상기 구동회전봉에 연결되어 있는
    염전용 소금채취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도부는,
    상기 구동회전봉에 연결되어 구동회전봉의 회전을 유도하는 작동유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유도부는.
    일단부가 상기 구동회전봉에 연결된 상태에서 구동회전봉과 함께 회전이 가능한 회전유도프레임 및 상기 회전유도프레임의 타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유도프레임을 회동시키는 회전유도봉
    을 포함하는 염전용 소금채취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일단부가 상기 밀판의 측부에 연결되어 상기 밀판으로부터 전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는 소금이탈방지판
    을 더 포함하는 염전용 소금채취 장치.
  7. 제7항에서,
    상기 소금이탈방지판은 상기 밀판의 일측부에 형성되되,
    상기 밀판의 반대쪽 측부는 이후 지나갈 경로를 향하는 방향인
    염전용 소금채취 장치.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본체에 상하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승강유도부와 연결되어 상기 밀판의 하강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하강위치조절부
    를 더 포함하는 염전용 소금채취 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하강위치조절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설치편 및 상기 설치편에 나사체결구조로 관통되어 상하 위치조절이 가능하며 상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단부와 접촉이 가능한 간격조절볼트
    를 포함하는 염전용 소금채취 장치.
KR1020120097701A 2012-09-04 2012-09-04 염전용 소금채취 장치 KR201400309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701A KR20140030924A (ko) 2012-09-04 2012-09-04 염전용 소금채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701A KR20140030924A (ko) 2012-09-04 2012-09-04 염전용 소금채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924A true KR20140030924A (ko) 2014-03-12

Family

ID=50643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7701A KR20140030924A (ko) 2012-09-04 2012-09-04 염전용 소금채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092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069B1 (ko) * 2014-11-11 2015-06-18 유명화 염전 소금채집장치
KR101541090B1 (ko) * 2014-08-29 2015-07-31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빛 염전용 전동 밀대
KR20170031511A (ko) 2015-09-11 2017-03-21 윤석은 염전의 소금수거 및 적재장치
KR20180096326A (ko) 2017-02-21 2018-08-29 박지환 염전 밀대 견인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1090B1 (ko) * 2014-08-29 2015-07-31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빛 염전용 전동 밀대
KR101530069B1 (ko) * 2014-11-11 2015-06-18 유명화 염전 소금채집장치
WO2016076625A1 (ko) * 2014-11-11 2016-05-19 유명화 염전 소금채집장치
KR20170031511A (ko) 2015-09-11 2017-03-21 윤석은 염전의 소금수거 및 적재장치
KR20180096326A (ko) 2017-02-21 2018-08-29 박지환 염전 밀대 견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30924A (ko) 염전용 소금채취 장치
KR101426234B1 (ko) 염전용 전동 밀대
CN113579335B (zh) 一种可自动收料的剪板机
KR101541093B1 (ko) 염전용 전동 밀대
KR20150119747A (ko) 염전용 친환경 채염장치
KR20130040288A (ko) 전기동력 트랙터의 배터리 취부구조
CN217996684U (zh) 一种安全举升架
CN211917316U (zh) 一种半切石机的保护装置
KR100979995B1 (ko) 승강구조형 캐리어
CN213168200U (zh) 一种配电柜搬运装置
CN211340299U (zh) 一种公路养护用沥青铺平装置
KR101689831B1 (ko) 승강스크린이 구비되는 제진기
CN111390066B (zh) 一种电网使用的电缆切割装置
CN113374017A (zh) 一种冬季地面破土挖掘装置
CN212324664U (zh) 一种多功能微耕机
CN220574120U (zh) 槽道清理机
JP3599720B2 (ja) 牽引車両の側面リフティング装置
JP2004036147A (ja) 除塵機
CN108672349B (zh) 一种新能源汽车配件自动处理设备及其使用方法
JP5234935B2 (ja) 除雪機
CN219910653U (zh) 一种锚杆钻机横向作业钻头
CN217146193U (zh) 一种机器人行走机构
CN117072076B (zh) 一种建筑工地用打桩设备
CN209175855U (zh) 一种方便转移纸张的切边机
CN210574907U (zh) 一种led导向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