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9831B1 - 승강스크린이 구비되는 제진기 - Google Patents

승강스크린이 구비되는 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9831B1
KR101689831B1 KR1020150144220A KR20150144220A KR101689831B1 KR 101689831 B1 KR101689831 B1 KR 101689831B1 KR 1020150144220 A KR1020150144220 A KR 1020150144220A KR 20150144220 A KR20150144220 A KR 20150144220A KR 101689831 B1 KR101689831 B1 KR 101689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elevating
main shaft
lif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4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근수
Original Assignee
정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근수 filed Critical 정근수
Priority to KR1020150144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98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스크린이 구비되는 제진기에 관한 것으로,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00); 상기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승강스크린(200); 상기 승강스크린(200) 상부에 설치되는 에이프런(300); 상기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00) 각각의 내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메인체인(400); 양단이 상기 각각의 메인체인(400)에 연결되어 상기 사이드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레이크(500); 상기 메인체인(400) 및 상기 승강스크린(200)과 연결되어 상기 메인체인(400) 및 상기 승강스크린(200)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작동부재(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하나의 작동부재를 이용하여 레이크의 순환과 승강스크린의 승강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어 동력전달구조가 단순해지고, 전력 소비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설치 과정이 비교적 간소해진다. 또한, 종래 대비 자재비의 소요량이 감소되어 경제적으로도 우수하다.

Description

승강스크린이 구비되는 제진기 {APPARATUS FOR REMOVING TRASH WITH ELEVATING TYPE SCREEN}
본 발명은 제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이크를 작동시키는 작동부재를 이용하여 승강스크린이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승강스크린이 구비되는 제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 및 폐수 처리장, 오폐수 중계 펌프장 등 오염된 물이 유입되는 곳에는 제진기가 설치되어 1차적으로 오염물들을 제거한다. 이러한 제진기는 수중의 오염물(이하 '협잡물'이라 한다)을 걸러내기 위해 기본적으로 스크린을 포함하여 이를 통해 협잡물을 걸러낸 뒤 레이크(Rake) 등을 이용하여 걸린 협잡물을 제거한다.
이러한 종래의 제진기가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제진기는 승강스크린(20)이 독립적으로 승강되어 제진기 전체를 들어올릴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제진기는 승강스크린(20)을 작동시키기 위한 구성과 레이크(50)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성이 별도로 이루어지므로, 전력 공급 라인이 적어도 두 개가 필요하고, 이로 인해 제진기의 설치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459660 B1 (2014. 11. 03.)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레이크를 작동시키는 작동부재를 이용하여 승강스크린이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승강스크린과 레이크를 하나의 작동부재로 작동시킬 수 있는 승강스크린이 구비되는 제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스크린이 구비되는 제진기는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 상기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승강스크린; 상기 승강스크린 상부에 설치되는 에이프런; 상기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 각각의 내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메인체인; 양단이 상기 각각의 메인체인에 연결되어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레이크; 및 상기 메인체인 및 상기 승강스크린과 연결되어 상기 메인체인 및 상기 승강스크린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작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스크린이 구비되는 제진기는 하나의 작동부재를 이용하여 레이크의 순환과 승강스크린의 승강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어 동력전달구조가 단순해지고, 전력 소비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설치 과정이 비교적 간소해진다. 또한, 종래 대비 자재비의 소요량이 감소되어 경제적으로도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스크린이 구비되는 제진기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스크린이 구비되는 제진기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작동부재의 사시도
도 4는 작동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5는 작동부재의 측단면도
도 6은 도 3의 작동상태도
도 7은 다른 작동부재의 측단면도
도 8 및 도 9는 프론트스크린의 작동상태도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스크린이 구비되는 제진기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승강스크린이 구비되는 제진기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스크린이 구비되는 제진기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스크린이 구비되는 제진기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작동부재의 사시도, 도 4는 작동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5는 작동부재의 측단면도, 도 6은 도 3의 작동상태도, 도 7은 다른 작동부재의 측단면도, 도 8 및 도 9는 프론트스크린의 작동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스크린이 구비되는 제진기는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00);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00) 사이에 설치되어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승강스크린(200); 승강스크린(200) 상부에 설치되는 에이프런(300);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00) 각각의 내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메인체인(400); 양단이 각각의 메인체인(400)에 연결되어 사이드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레이크(500); 메인체인(400) 및 승강스크린(200)과 연결되어 메인체인(400) 및 승강스크린(200)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작동부재(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래에서는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사이드프레임(100)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스크린이 구비되는 제진기의 뼈대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이다. 사이드프레임(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가 후방으로 굽어지게 형성되고, 한 쌍이 구비되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며, 수로 구조물의 입구에 설치된다.
그리고 사이드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 가이드슬릿(110) 및 제2 가이드슬릿(120)이 평행하게 형성된다.
승강스크린(200)은 수로 구조물로 유입되는 협잡물을 걸러내는 구성요소이다. 승강스크린(200)은 수직으로 나란하게 배치 및 연결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로 이루어지는데, 블레이드는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어 물이 통과될 공간을 형성한다. 승강스크린(200)은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00) 사이 중 하부에 설치된다. 승강스크린(200)은 후술할 작동부재(600)의 작동에 의해 사이드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승되거나 하강된다.
또한, 승강스크린(200)에는, 승강스크린(200) 양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제1 가이드슬릿(110)을 통과하고, 선단이 제2 가이드슬릿(120)에 대응되도록 절곡된 가이드바(210, 210'); 및 가이드바(210, 210') 선단에 설치되고, 제2 가이드슬릿(120)에 삽입되어 제2 가이드슬릿(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롤러(220, 22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바(210, 210')는 사이드프레임(100)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바(210, 210')가 양 끝단이 절곡되는 'ㄷ'자 형태로 형성되고, 승강스크린(200)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제1 가이드슬릿(110)을 관통하고, 절곡된 부분의 선단이 제2 가이드슬릿(120)에 대응된다.
가이드롤러(220, 220')는 가이드바(210, 210')의 각 선단에 설치되고, 제2 가이드슬릿(120)에 삽입되어 승강스크린(200)이 승강됨에 따라 가이드슬릿(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른다. 이때 가이드롤러(220, 220')에는 활차와 같이 둘레면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제2 가이드슬릿(12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더욱 안정적으로 구를 수 있다.
이와 같이 승강스크린(200)은 가이드바(210, 210')와 가이드롤러(220, 220')로 인해 안정적으로 승강이 가능하고, 가이드바(210, 210')가 상부가이드바(210)와 하부가이드바(210') 등 한 쌍이 구비되고, 가이드롤러(220, 220')가 상부가이드롤러(220)와 하부가이드롤러(220') 등 한 쌍이 구비되어 더욱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승강스크린(200)의 양측에 가이드롤러(220)가 직접 설치되고, 가이드롤러(220)가 제1 가이드슬릿(110)에 설치되어 승강스크린(200)의 승강동작을 가이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에이프런(30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00) 사이 중 승강스크린(200) 상부에 설치되어 후술할 레이크(500)가 협잡물을 끌어올리는 과정에서 협잡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메인체인(400)은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00)의 각각에 설치되도록 한 쌍이 구비되고, 사이드프레임(100)의 안쪽에 설치되어 후술할 작동부재(600)의 작동에 의해 사이드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환동작된다.
레이크(5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갈퀴가 형성된 긴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단이 각각 한 쌍의 메인체인(400)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메인체인(400)의 구동 시 레이크(500)는 사이드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기본적으로 레이크(500)는 승강스크린(200)의 전면을 기준으로 아래에서 위로 이동되고, 후면을 기준으로 위에서 아래로 이동되어 순환 동작된다. 즉, 레이크(500)는 레이크(500)에 직접 걸린 협잡물이나 승강스크린(200)에 걸린 협잡물을 끌고 올라간 다음, 승강스크린(200)의 후면으로 넘어가면서 협잡물이 자중에 의해 레이크(500)로부터 떨어지도록 한다.
작동부재(600)는 메인체인(400) 및 승강스크린(200)과 연결되어 메인체인(400) 및 승강스크린(200)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작동부재(600)는 양방향 회전되는 구동모터; 일단이 구동모터와 연결되고, 둘레방향을 따라 스플라인(615)이 형성되는 메인샤프트(610); 메인샤프트(610)상에 설치되어 회전에 연동되고, 메인체인(400)이 결합되는 스프로킷(620); 메인샤프트(610)상에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면에 다수 개의 제1 쐐기(632)가 형성되는 드럼(630); 메인샤프트(610) 타단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디스크(640); 드럼(630)과 지지디스크(640) 사이에 위치되고, 메인샤프트(610)의 스플라인(615)에 결합되며, 다수 개의 제1 쐐기(632)에 대응되는 다수 개의 제2 쐐기(652)가 형성되는 체크디스크(650); 지지디스크(640) 및 체크디스크(650)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660); 및 일단이 드럼(630)에 고정되고, 타단이 승강스크린(200)에 고정되는 제1 와이어(670)로 이루어진다.
구동모터는 작동부재(600)의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으로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양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모터이다.
메인샤프트(610)는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성요소로서, 구체적으로 일단이 구동모터와 연결되고, 키(613)가 형성되는 제1 샤프트(612); 및 제1 샤프트(612) 타단에 결합되고, 둘레를 따라 스플라인(615)이 형성되는 제2 샤프트(614)로 이루어진다. 메인샤프트(610)는 끝단이 사이드프레임(100)의 안쪽면 상단에 고정된다.
제1 샤프트(61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연으로부터 돌출되는 키(613)가 형성된다.
제2 샤프트(614)는 제1 샤프트(612)의 일단에 위치되고, 제1 샤프트(612)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된다. 제2 샤프트(614)는 둘레를 따라 스플라인(615)이 형성된다.
스프로킷(620)은 메인샤프트(610)상에 설치되고, 메인체인(400)과 맞물림으로써 메인샤프트(610)의 회전력을 메인체인(400)에 전달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스프로킷(620)은 중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키홈(622)이 형성되어 제1 샤프트(612)의 키(613)가 삽입됨으로써 메인샤프트(610)과 결합되며, 메인체인(400)이 스프로킷(620)을 감싸면서 스프로킷(620)의 이빨과 맞물린다.
드럼(630)은 메인샤프트(610)에 설치되되, 메인샤프트(610)의 움직임에 직접적으로 연동되지 않도록 메인샤프트(610)와 사이에 베어링(B)이 구비됨으로써 설치되고, 후술할 체크디스크(650)에 의해 메인샤프트(610)에 선택적으로 연동된다. 드럼(630)은 전면에 다수 개의 제1 쐐기(632)가 형성되고, 측면 둘레를 따라 와이어설치홈(634)이 형성된다.
제1 쐐기(632)는 측단면이 직각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진다.
지지디스크(640)는 후술할 스프링(660)을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디스크 형태로 이루어져 메인샤프트(610)의 제2 샤프트(614) 끝단에 고정된다.
체크디스크(650)는 메인샤프트(610)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드럼(630)에 전달하는 구성요소로서, 중공이 형성되는 디스크 형태로 이루어지고, 드럼(630)과 지지디스크(640) 사이에 설치된다.
제2 쐐기(652)는 체크디스크(650) 중 드럼(630)의 제1 쐐기(632)에 대응되는 면에 형성된다. 제2 쐐기(652)는 제1 쐐기(632)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제1 쐐기(632)와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제1 쐐기(632)와 제2 쐐기(652)는 측단면이 직각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한쪽 회전 방향에 대해서는 맞물리나, 다른쪽 회전 방향에 대해서는 회전이 연동되지 않고 밀어낸다.
보스(654)는 체크디스크(650) 중공의 내주연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체크디스크(650)는 메인샤프트(610)의 스플라인(615)에 결합됨으로써 메인샤프트(610)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고, 스플라인(615)이 형성된 길이만큼 메인샤프트(6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스프링(660)은 압축스프링으로서, 지지디스크(640) 및 체크디스크(650) 사이에 설치된다. 이때, 스프링(660)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체크디스크(650)를 드럼(630)이 위치된 방향으로 가압한다.
제1 와이어(670)는 일단이 드럼(630)에 고정되고, 타단이 승강스크린(200)에 고정되어 드럼(630)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승강스크린(200)이 승강되도록 하는 힘의 매개체이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제1 와이어(670)는 승강스크린(200)의 상부가이드롤러(220)에 고정된다. 기본적으로 제1 와이어(670)는 드럼(630)의 평면상에 감기나, 만약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630)에 와이어설치홈(638)이 형성될 경우 와이어설치홈(638)상에 안정적으로 감길 수 있다.
결국 드럼(630)이 회전되어 제1 와이어(670)가 드럼(630)에 감길 경우 승강스크린(200)이 상승 동작되고, 드럼(630)으로부터 풀릴 경우 승강스크린(200)이 하강 동작된다.
아래에서는 작동부재(600)에 의한 승강스크린(200) 및 메인체인(400)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레이크(500)가 정상작동할 경우, 구동모터가 도 6을 기준으로 - 방향으로 회전(이하 ‘정방향 회전’이라 한다)되면, 메인샤프트(610)가 회전되고 이에 연동되어 스프로킷(620)이 회전된다. 그리고 메인샤프트(610)와 연동되는 체크디스크(650) 역시 회전되는데, 이때 드럼(630)의 제1 쐐기(632)와 체크디스크(650)의 제2 쐐기(652)는 서로 미끄러지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디스크(650)가 드럼(630)으로부터 멀어지고, 스프링(660)에 의해 다시 가까워지는 과정을 반복한다. 결국 메인샤프트(610)의 회전은 드럼(630)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반대로 구동모터가 도 3을 기준으로 + 방향으로 회전되면, 메인샤프트(610)의 회전은 역방향으로 전환되고 이에 연동되어 스프로킷(620) 역시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레이크(500)는 승강스크린(200)의 전면 기준으로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이동되는 역주행을 하게 된다. 그리고 메인샤프트(610)와 연동되는 체크디스크(650) 역시 반대로 회전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쐐기(632)와 제2 쐐기(652)가 맞물린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드럼(630)이 회전에 연동된다. 결국 제1 와이어(670)가 드럼(630)에 감기고, 승강스크린(200)이 상승한다.
한편, 메인샤프트(610)의 지지디스크(640)가 형성된 끝단에는 메인파이프(680)가 결합될 수 있는데, 이는 다른 사이드프레임(100)에 설치된 메인샤프트(610)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 다른 사이드프레임(100)에는 구동모터를 제외한 작동부재(6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샤프트(610'), 스프로킷(620'), 드럼(630'), 지지디스크(640'), 체크디스크(650'), 스프링(660') 및 제1 와이어(670')가 동일하게 설치되어 위에서 설명한 작동부재(600)와 동일하게 작동한다. 이때, 드럼(630')의 제1 쐐기(632') 및 체크디스크(650')의 제2 쐐기(652')의 경사 방향은 드럼(630)의 제1 쐐기(632) 및 체크디스크(650)의 제2 쐐기(652)의 경사 방향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원래의 체크디스크(650)가 드럼(630)으로부터 멀어지는 상황에서 다른 체크디스크(650') 역시 드럼(630')에 대해 멀어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승강스크린(200)을 두 개의 제1 와이어(670, 670')가 승강시키고, 리프팅체인(400)을 두 개의 스프로킷(620, 620')이 구동시킴으로써 승강스크린(200)과 레이크(500)를 안정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다른 작동부재(600)에 구동모터를 별도로 설치하여 메인샤프트(610, 610')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이때에는 동일한 각속도로 회전시켜야 원활한 구동이 가능하다.
방향전환바(69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프레임(100) 사이에 설치되되, 사이드프레임(100)이 굽어지는 위치에 설치된다. 그리고 방향전환바(690)상으로 제1 와이어(670)가 걸쳐짐으로써 제1 와이어(670)의 힘의 작용 방향이 승강스크린(200)의 승강 방향으로 전환된다.
프론트스크린(700)은 승강스크린(200)의 하부에 설치되는 부가적인 구성요소로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대해 틸팅되도록 설치된다. 프론트스크린(700)은 승강스크린(200)과 지면 사이의 틈을 통해 유입되는 협잡물을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프론트스크린(700)의 틸팅 동작을 승강스크린(200)의 승강동작에 연동되도록 하기 위한 연동부재가 더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동부재는 프론트스크린(700) 전방에 설치되는 고정대(710); 일단이 고정대(710)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프론트스크린(700)에 힌지결합되며, 내부에 인장 스프링이 설치되는 텔레스코픽바(720); 일단이 프론트스크린(700)에 고정되고, 타단이 승강스크린(200)에 고정되는 제2 와이어(730); 및 프론트스크린(700) 후방에 설치되어 제2 와이어(730)가 통과되는 활차(7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대(7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바가 지면에 대해 직립된 상태로 나란하게 고정된다.
텔레스코픽바(720)는 길이가 길어졌다 짧아질 수 있는 텔레스코픽 방식의 바로서, 내부에 인장스프링이 설치되어 외부 힘을 받아 길어졌을 경우 탄성적으로 짧아진다. 이러한 텔레스코픽바(720)의 일단은 고정대(710)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프론트스크린(700)에 힌지결합됨으로써 프론트스크린(700)이 후방으로 틸팅될 경우 원위치로 복귀된다.
제2 와이어(730)는 승강스크린(200)과 프론트스크린(700)을 직접 연결하는 구성요소로서, 일단이 프론트스크린(700)에 연결되고{필요에 따라 텔레스코픽바(720)에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타단이 하부가이드바(210'){필요에 따라 하부가이드롤러(220')에 연결되어도 무방하다}에 연결된다.
활차(740)는 도르래 형태로 이루어져 프론트스크린(700)의 후방에 설치된다. 제2 와이어(730)의 일단과 타단 사이가 활차(740)에 걸쳐있어 제2 와이어(730)에 전달되는 힘의 방향이 전환된다. 기본적으로 활차(740)는 프론트스크린(700)의 후방 중 사이드프레임(100)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나, 본 발명에서는 사이드프레임(100)에 대응되는 위치보다 후방에 설치한 뒤, 제2 와이어(730)가 사이드프레임(100)에 설치된 핀(P)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제2 와이어(730)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승강스크린(200)이 상승될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와이어(730)가 프론트스크린(700)을 당김으로써 프론트스크린(700)은 후방으로 틸팅된다. 그리고 승강스크린(200)이 하강되어 원위치로 복귀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텔레스코픽바(720)의 힘에 의해 프론트스크린(700)이 원위치로 틸팅된다.
100: 사이드프레임 110: 제1 가이드슬릿
120: 제2 가이드슬릿 200: 승강스크린
210: 상부가이드바 210': 하부가이드바
220: 상부가이드롤러 220': 하부가이드롤러
300: 에이프런 400: 메인체인
500: 레이크 600: 작동부재
610: 메인샤프트 612: 제1 샤프트
613: 키 614: 제2 샤프트
615: 스플라인 620: 스프로킷
622: 키홈 630: 드럼
632: 제1 쐐기 634: 와이어설치홈
640: 지지디스크 650: 체크디스크
652: 제2 쐐기 654: 보스
660: 스프링 670: 제1 와이어
680: 메인파이프 700: 프론트스크린
710: 고정대 720: 텔레스코픽바
730: 제2 와이어 740: 활차
B: 베어링 P: 핀

Claims (8)

  1. 한 쌍이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부가 후방으로 굽어지게 형성되는 사이드프레임(100);
    상기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승강스크린(200);
    상기 승강스크린(200) 상부에 설치되는 에이프런(300);
    상기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00) 각각의 내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메인체인(400);
    양단이 상기 각각의 메인체인(400)에 연결되어 상기 사이드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레이크(500) 및
    상기 메인체인(400) 및 상기 승강스크린(200)과 연결되어 상기 메인체인(400) 및 상기 승강스크린(200)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작동부재(600)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재(600)는,
    양방향 회전되는 구동모터;
    일단이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고, 둘레방향을 따라 스플라인(615)이 형성되는 메인샤프트(610);
    상기 메인샤프트(610)상에 설치되어 회전에 연동되고, 상기 메인체인(400)이 결합되는 스프로킷(620);
    상기 메인샤프트(610)상에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면에 다수 개의 제1 쐐기(632)가 형성되는 드럼(630);
    상기 메인샤프트(610) 타단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디스크(640);
    상기 드럼(630)과 상기 지지디스크(640)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메인샤프트(610)의 스플라인(615)에 결합되며, 상기 다수 개의 제1 쐐기(632)에 맞물리는 다수 개의 제2 쐐기(652)가 형성되는 체크디스크(650);
    상기 지지디스크(640) 및 상기 체크디스크(650)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660) 및
    일단이 상기 드럼(63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승강스크린(200)에 고정되는 제1 와이어(67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쐐기(632)와 상기 제2 쐐기(652)는 측단면이 직각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체크디스크(650)가 한쪽 방향으로 회전할 시에 상기 드럼(630)이 연동되고, 상기 체크디스크(650)가 다른쪽 방향으로 회전할 시에 상기 드럼(630)으로부터 밀려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스크린이 구비되는 제진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샤프트(610)는,
    일단이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고, 키(613)가 형성되는 제1 샤프트(612) 및
    상기 제1 샤프트(612)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둘레를 따라 스플라인(615)이 형성되는 제2 샤프트(61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스크린이 구비되는 제진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프로킷(620)은 내주연에 키홈(622)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샤프트(612)의 키(613)는 상기 키홈(622)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스크린이 구비되는 제진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체크디스크(650)는 내주연에 보스(654)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샤프트(614)의 스플라인(615)은 상기 보스(654)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스크린이 구비되는 제진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600)는, 상기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00)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사이드프레임(100)의 상기 굽어지는 위치에 설치되는 방향전환바(69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와이어(670)는 상기 방향전환바(690)에 걸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스크린이 구비되는 제진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프레임(100)은, 상기 사이드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1 가이드슬릿(110) 및 제2 가이드슬릿(1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승강스크린(200)은, 상기 승강스크린(200) 양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가이드슬릿(110)을 통과하고, 선단이 상기 제2 가이드슬릿(120)에 대응되도록 절곡된 가이드바(210, 210'); 및 상기 가이드바(210, 210')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가이드슬릿(120)에 삽입되어 상기 제2 가이드슬릿(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롤러(220, 2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스크린이 구비되는 제진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스크린(200) 아래에는 지면에 대해 틸팅되는 프론트스크린(700) 및
    상기 프론트스크린(700)이 상기 승강스크린(200)의 승강동작에 연동되어 틸팅되도록 하는 연동부재가 더 설치되고,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프론트스크린(700) 전방에 설치되는 고정대(710);
    일단이 상기 고정대(710)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프론트스크린(700)에 힌지결합되며, 내부에 인장 스프링이 설치되는 텔레스코픽바(720);
    일단이 상기 프론트스크린(70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승강스크린(200)에 고정되는 제2 와이어(730) 및
    상기 프론트스크린(700)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와이어(730)가 통과되는 활차(7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스크린이 구비되는 제진기.
KR1020150144220A 2015-10-15 2015-10-15 승강스크린이 구비되는 제진기 KR101689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220A KR101689831B1 (ko) 2015-10-15 2015-10-15 승강스크린이 구비되는 제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220A KR101689831B1 (ko) 2015-10-15 2015-10-15 승강스크린이 구비되는 제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9831B1 true KR101689831B1 (ko) 2016-12-26

Family

ID=57733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4220A KR101689831B1 (ko) 2015-10-15 2015-10-15 승강스크린이 구비되는 제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98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47708A (zh) * 2018-11-30 2019-04-19 青岛农业大学 一种花生除杂用风筛组合装置
CN116689289A (zh) * 2023-08-03 2023-09-05 潍坊国特矿山设备有限公司 一种磁选机用除尘式直线振动筛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893B1 (ko) * 2010-09-27 2011-01-06 김상국 개폐식 제진기
KR101177922B1 (ko) * 2011-08-09 2012-08-29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제진기
KR101253973B1 (ko) * 2012-11-06 2013-04-12 덕상이엔지 주식회사 부유물 제거용 스크린 인양 및 전도식 로터리 제진기
KR101459660B1 (ko) 2014-07-22 2014-11-20 정근수 승강식 스크린이 구비된 제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893B1 (ko) * 2010-09-27 2011-01-06 김상국 개폐식 제진기
KR101177922B1 (ko) * 2011-08-09 2012-08-29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제진기
KR101253973B1 (ko) * 2012-11-06 2013-04-12 덕상이엔지 주식회사 부유물 제거용 스크린 인양 및 전도식 로터리 제진기
KR101459660B1 (ko) 2014-07-22 2014-11-20 정근수 승강식 스크린이 구비된 제진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47708A (zh) * 2018-11-30 2019-04-19 青岛农业大学 一种花生除杂用风筛组合装置
CN116689289A (zh) * 2023-08-03 2023-09-05 潍坊国特矿山设备有限公司 一种磁选机用除尘式直线振动筛
CN116689289B (zh) * 2023-08-03 2023-11-03 潍坊国特矿山设备有限公司 一种磁选机用除尘式直线振动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9831B1 (ko) 승강스크린이 구비되는 제진기
KR101099430B1 (ko) 로타리 제진기
KR101797114B1 (ko) 링크체인 타입 제진기
KR101733803B1 (ko) 하나의 모터로 제진기 운전과 스크린개폐를 할 수 있는 제진기
KR101969529B1 (ko) 레이크 플레이트 회전반경 축소구조를 갖는 제진기
KR101406712B1 (ko) 이중 스크린 제진기
CN112411492A (zh) 一种水利工程河道拦截设备
CN211575153U (zh) 一种水浴刮板捞渣机
KR101459660B1 (ko) 승강식 스크린이 구비된 제진기
KR102243084B1 (ko) 제진기
KR20140030924A (ko) 염전용 소금채취 장치
KR101995902B1 (ko) 자동 승강식 제진기
KR102099967B1 (ko) 터널형 방음벽 지붕용 제설 기능을 포함하는 클리닝장치
KR102516599B1 (ko) 인양이 용이한 이동식 제진기
KR102182705B1 (ko) 제진기
CN211340312U (zh) 一种公路施工路面整平装置
KR100530111B1 (ko) 로타리식 자동 제진기
KR20170039494A (ko) 개선된 전위스크린이 구비된 제진기
JP4406385B2 (ja) 除塵機
KR200335743Y1 (ko) 로타리식 자동 제진기
JP3974016B2 (ja) 除塵機
KR200349139Y1 (ko) 무대 와곤 이동장치
CN214191884U (zh) 一种立式浮动独立卷取装置
KR100347853B1 (ko)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
KR101570401B1 (ko) 협잡물 제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