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7853B1 -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 - Google Patents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7853B1
KR100347853B1 KR1020000035305A KR20000035305A KR100347853B1 KR 100347853 B1 KR100347853 B1 KR 100347853B1 KR 1020000035305 A KR1020000035305 A KR 1020000035305A KR 20000035305 A KR20000035305 A KR 20000035305A KR 100347853 B1 KR100347853 B1 KR 100347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drainage
sewage
water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5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3309A (ko
Inventor
이승철
Original Assignee
국성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성산업(주) filed Critical 국성산업(주)
Priority to KR1020000035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7853B1/ko
Publication of KR20000063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3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7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78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01D21/2455Convey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33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이나 배수펌프장, 취수장, 소규모 발전소 및 기타 산업하수처리장 등에 설치하여 물의 흐름에 따라 흘러온 쓰레기와 같은 오물을 수거하는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로의 바닥과 배수로 상측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각각의 상하부 스프라켓을 설치하고, 이들 상하부 스프라켓의 사이에는 에스컬레어터 형태로 다수의 스크린스텝을 체인으로 구동되게 설치함으로서, 배수로에 물과 함께 흘러내려오는 오물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하며, 오물수거장치의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이나 배수펌프장, 취수장 및 기타 산업하수처리장 등의 수로에 설치되어 수로로 흐르는 물과 흘러 내려오는 오물을 수거하는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 상측의 상부 콘크리트구조물(1)과 배수로바닥(2)에는 좌우 한쌍의 상하부스프라켓(3,4)을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상부 콘크리트구조물(1)의 소정위치에는 상부스프라켓(3)과 연결되어 상부스프라켓(3)을 구동시키는 구동장치(5)가 설치되며, 상기 상하부스프라켓(3,4)의 사이에는 상하부가이드(6,7)를 구비한 경사지지대(8)가 수직지지대(9)에 의해 지지되게 경사 설치되고, 상기 상하부스프라켓(3,4)의 사이에는 다수의 스크린홈(10)을 형성한 다수의 스크린스텝(11)이 체인(12)에 의해 연결된 스텝식스크린(13)이 권회 설치되며, 수로의 양측벽에는 수로를 흐르는 물을 스텝식스크린(13)의 중앙부측으로 유도하는 내향경사면(14)을 형성한 측면유도판(15)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크린스텝(11)의 양측 상하에는 전후방핀(16,17)이 각각 외향 설치되며, 이 각각의 전후방핀(16,17)이 체인(12)에 핀 결합 설치되고, 상기 상부스프라켓(3)의 후방측에는 스텝식스크린(13)에 수거되어 후방으로 낙하되는 이물질이 받혀져 이송되는 오물받이 콘베어(20)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스프라켓(3)의 후방측 소정위치에는 상부스프라켓(3)의 회전축으로부터 체인(18)을 통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스크린스텝(11)에 묻은 이물질을 털어내는 브러쉬롤러(19)가 회전자유롭게 설치된 것으로서, 수로에 물과 함께 흘러 내려오는 이물질을 에스컬레이터식으로 수거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The sewage collecting apparatus of a drainage}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이나 배수펌프장, 취수장, 소규모 발전소 및 기타 산업하수처리장 등에 설치하여 물의 흐름에 따라 흘러온 쓰레기와 같은 오물을 수거하는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로의 바닥과 배수로 상측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각각의 상하부 스프라켓을 설치하고, 이들 상하부 스프라켓의 사이에는 에스컬레어터 형태로 다수의 스크린스텝을 체인으로 구동되게 설치함으로서, 배수로에 물과 함께 흘러 내려오는 오물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하며, 오물수거장치의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는, 하수처리장이나 배수펌프장, 취수장 및 기타 산업하수처리장 등의 수로에 스크린을 고정설치하여 수로로 흐르는 물중의 오물이 스크린에 걸리도록 하며, 수로의 상측 콘크리트 구조물에는 상기 스크린에 걸린 오물을 오물수거갈퀴로서 긁어 올리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오물수거갈퀴는 안테나식으로 출몰되는 붐대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스크린에 걸린 오물을 긁어 올릴 때 붐대를 길게 뻗어서 수로의 하측까지 오물수거갈퀴가 내려가게 한 상태에서 오물수거갈퀴를 상측으로 끌어 올려서 스크린에 걸린 오물을 수거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수로의 깊이가 대략 3∼5M정도로 비교적 깊은 편이므로 스크린에 걸린 오물을 수거하는 오물수거장치의 붐대의 길이가 길어야 했는데, 그 붐대의 길이는 수로의 깊이만큼 내려갈 수 있는 길이와, 수로 상측의 콘크리트구조물에서 붐대를 승하강시키는 동작부분의 길이가 합쳐져야 하므로 비임대의 전체 길이는 약 4.5∼7M정도로 길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붐대의 길이가 길어야 하므로 붐대를 안테나식으로 신축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그 붐대를 안테나식으로 신축시키며 오물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는 안테나식으로 구성된 붐대를 승하강 동작시키는 구동장치의 구성이 복잡하여 고장발생요소가 많고 그에 따라 관리비용과 제작비용이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붐대의 길이가 길어서 그 구조를 안테나식으로 구성하였으나, 한 개, 한 개의 붐대의 길이가 적어도 2∼3M 정도로 길어서 붐대를 상승시킬 때 상측으로 올라오는 붐대의 높이가 높게 되어 그 붐대의 상단부가 천정에 부딪칠 염려가 있어 천정이 설치되어 있는 수로에는 설치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수로의 바닥과 배수로 상측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각각의 상하부 스프라켓을 설치하고, 이들 상하부 스프라켓의 사이에는 다수의 스크린홈을 형성한 다수의 스크린스텝을 에스컬레어터 형태로 구동되게 함으로서, 오물수거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그에 따른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며, 배수로 상측의 콘크리트 구조물 상측으로 오물수거장치의 상부가 많이 올라오지 않아서 천장이 낮은 시설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는, 배수로 상측의 상부 콘크리트구조물과 배수로바닥에는 좌우 한쌍의 상하부스프라켓을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상부 콘크리트구조물의 소정위치에는 상부스프라켓과 연결되어 상부스프라켓을 구동시키는 구동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상하부스프라켓의 사이에는 상하부가이드를 구비한 경사지지대가 수직지지대에 의해 지지되게 경사 설치되고, 상기 상하부스프라켓의 사이에는 다수의 스크린홈을 형성한 다수의 스크린스텝이 체인에 의해 연결된 스텝식스크린이 권회 설치되며, 상기 상부스프라켓의 후방측에는 스텝식스크린에 수거되어 후방으로 낙하되는 이물질이 받혀져 이송되는 오물받이 콘베어가 설치된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를 나타내는 설치상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A'부를 확대도시한 부분 발췌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스크린스텝의 사시도.
도 4의 (가)(나)는 도 3에 도시한 스크린스텝이 체인과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와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 상부스프라켓의 지지상태의 변경된 예를 나나태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스크린스텝의 변경된 예를 나타내는 부분 발췌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변경된 예의 스크린스텝과, 스크린스텝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부 콘크리트구조물 2 : 배수로바닥 3 : 상부스프라켓
4 : 하부스프라켓 5 : 구동장치 6 : 상부가이드
7 : 하부가이드 8 : 경사지지대 9 : 수직지지대
10 : 스크린홈 11 : 스크린스텝 12 : 체인
13 : 스텝식스크린 14 : 내향경사면 15 : 측면유도판
16 : 전방핀 17 : 후방핀 18 : 체인
19 : 브러쉬롤러 20 : 오물받이 콘베어 21 : 롤러
22 : 지지브라켓트 23 : 롤러 24 : 가이드레일
25 : 경사구조물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를 도 1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 1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수로 상측의 상부 콘크리트구조물(1)과 배수로바닥(2)에 좌우 한쌍의 상하부스프라켓(3,4)을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상부 콘크리트구조물(1)의 소정위치에는 상부스프라켓(3)과 연결되어 상부스프라켓(3)을 구동시키는 구동장치(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스프라켓(3,4)의 사이에는 체인(12)의 처짐을 감안하여 체인을 받쳐주는 상하부가이드(6,7)를 구비한 경사지지대(8)가 수직지지대(9)에 의해 지지되게 경사 설치된다. 이때, 상기 상하부가이드(6,7)의 체인 안내부에는 체인이 원활하게 안내되도록 롤러(21)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하부스프라켓(3,4)의 사이에는 다수의 스크린홈(10)을 형성한 다수의 스크린스텝(11)이 체인(12)에 의해 연결된 스텝식스크린(13)이 권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스크린스텝(11)의 양측 상하에는 전후방핀(16,17)이 각각 외향 설치되며, 이 각각의 전후방핀(16,17)은 체인(12)에 핀 결합 설치된다.
그리고, 수로의 양측벽에는 수로를 흐르는 물을 스텝식스크린(13)의 중앙부측으로 유도하는 내향경사면(14)을 형성한 측면유도판(15)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부스프라켓(3)의 후방측에는 스텝식스크린(13)에 수거되어 후방으로 낙하되는 이물질이 받혀져 이송되는 오물받이 콘베어(20)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스프라켓(3)의 후방측 소정위치에는 상부스프라켓(3)의 회전축으로부터 체인(18)을 통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스크린스텝(11)에 묻은 이물질을 털어내는 브러쉬롤러(19)가 회전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스프라켓(4)의 전방측 배수로바닥(2)에는 배수로의 하측을 흐르는 하천수가 경사지게 상부로 흐르게 하는 경사구조물(25)이 설치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 상부스프라켓(3)의 다른 설치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에서는 상부스프라켓(3)을 상부 콘크리트구조물(1)의 상부에 설치하였으나, 도 6의 다른 예는 상부 콘크리트구조물(1)의 선단부에 수평상태로 지지브라켓트(22)를 설치한 뒤에 이 지지브라켓트(22)에 상부스프라켓(3)을 설치하며, 지지브라켓트(22)의 하부에 오물받이 콘베어(20)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오물받이 콘베어(20)는 지지브라켓트(22)의 하부에서 상부 콘크리트구조물(1)의 상부로 상향 설치되어 지지브라켓트(22)의 하부에서 수거된 오물을 상부 콘크리트구조물(1)의 상부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1에 도시한 일실시예에서는 스크린스텝(11)의 양측 전후방 하측에 전후방핀(16,17)을 외향 돌출설치한 뒤에 이들 전후방핀(16,17)을 체인(12)에 핀 결합하였으나,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방핀(16)은 체인(12)에 핀결합하고 후방핀(17)에는 롤러(23)를 설치하였으며, 상하부가이드(6,7)의 내부에는 상기 롤러(23)가 안내될 가이드레일(24)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24)은 상부스프라켓(3)과 하부스프라켓(4)의 회전구간에는 설치되지 않고 경사구간에만 설치됨을 밝혀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 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 콘크리트구조물(1)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장치(5)를 구동시키게 되면 구동장치(5)의 회전력이 상부스프라켓(3)에 전달되면서 상하부스프라켓(3,4)의 사이에 체인(12)으로 권회된 스텝식스크린(13)이 에스컬레이터식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상향이동하는 스텝식스크린(13)의 각각의 스크린스텝(11)에는 다수의 스크린홈(10)이 형성되어 있어서 수로를 흐르는 하천수가 스크린스텝(11)을 통과하여 흘러가고, 하천수와 함께 흘러 내려오던 오물은 스크린스텝(11)에 걸리게 된다.
각각의 스크린스텝(11)에 걸린 오물은 스크린스텝(11)이 상향 이동함에 따라 각각의 스크린스텝(11)에 실린 상태로 상향 이동하다가 도 2에서와 같이 상부스프라켓(3)을 따라 회전하면서 각각의 스크린스텝(11)이 뒤집혀서 스크린스텝(11)에 실린 오물이 오물받이 콘베어(20)로 낙하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오물받이 콘베어(20)로 오물을 낙하시킨 각각의 스크린스텝(11)은 체인(12)의 이동에 의해 계속적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상부스프라켓(3)의 후방측 소정위치에는 상부스프라켓(3)의 회전축으로부터 체인(18)을 통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브러쉬롤러(19)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브러쉬롤러(19)가 회전하면서 스크린스텝(11)에 묻은 이물질을 털어내게 되고, 이렇게 털어진 이물질은 오물받이 콘베어(20)로 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오물받이 콘베어(20)로 낙하되어 수거된 오물은 오물받이 콘베어(20)에 실려서 오물수거장소로 이동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수로를 흐르는 하천수에 포함된 오물을 스텝식스크린(13)으로 수거하는 과정에서 상기 하천수는 도 1과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하부스프라켓(4)의 전방 배수로바닥(2)에 경사구조물(25)이 설치되어 있고, 수로의 양측벽에는 수로를 흐르는 물을 스텝식스크린(13)의 중앙부측으로 유도하는 내향경사면(14)을 형성한 측면유도판(15)이 설치되어 있어서, 이들 경사구조물(25)과 내향경사면(14)에 의해 수로를 흐르는 하천수가 본 발명의 오물수거장치를 통과할 때 스텝식스크린(13)의 중앙부측으로 유도되게 한다.
이렇게 하천수가 스텝식스크린(13)의 중앙부측으로 유도됨에 따라 양측 체인(12)과 하부스프라켓(4)으로 오물이 투입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상부스프라켓(3)의 다른 설치예는 상부 콘크리트구조물(1)의 선단부에 수평상태로 지지브라켓트(22)를 설치한 뒤에 이 지지브라켓트(22)에 상부스프라켓(3)을 설치하며, 지지브라켓트(22)의 하부에 오물받이 콘베어(20)를 설치한 것으로, 상기 오물받이 콘베어(20)가 지지브라켓트(22)의 하부에서 설치되어 있으므로 오물받이 콘베어(20)에 얹혀진 오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는 이 오물받이 콘베어(20)가 상부 콘크리트구조물(1)의 상부로 상향 설치되어야 하며, 이 도 6에 도시된 상부스프라켓(3)의 다른 설치예도 도 1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게 동작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경우는 상부스프라켓(3)의 회전에 따라 체인(12)이 회동하면서 체인(12)에 장착된 각각의 스크린스텝(11)이 에스컬레이터식으로 상향 이동하는 것은 도 1에 도시된 일실시예와 동일하나, 다른 점은 스크린스텝(11)의 전방핀(16)만 체인(12)에 핀 결합되고 후방핀(17)에는 롤러(21)가 설치되었으며,이 롤러(21)가 상하부가이드(6,7)의 내부에 설치된 가이드레일(24)에 안내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레일(24)은 상부스프라켓(3)과 하부스프라켓(4)의 회전구간에는 설치되지 않고 개구되어서 경사구간에서만 롤러(21)가 지지되어 각각의 스크린스텝(11)이 수평하게 세워져서 경사 이동하고, 상하부스프라켓(3,4)이 설치된 회전구간에서는 롤러(21)를 받쳐주는 가이드레일(24)이 없어서 스크린스텝(11)의 후단부가 낮아진 상태로 회전한다.
이렇게 회전구간에서 스크린스텝(11)의 후단부가 낮아진 상태로 회전하므로 회전구간을 회전하는 각각의 스크린스텝(11)는 도 7에서와 같이 회전궤적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상부측 스크린스텝(11)에서 낙하하는 오물이 하부측의 스크린스텝(11)에 얹혀지는 것을 방지하고, 브러쉬롤러(19)로 스크린스텝(11)에 묻은 오물을 털어낼 경우에도 용이하게 오물이 제거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는, 배수로의 바닥과 배수로 상측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각각의 상하부 스프라켓을 설치하고, 이들 상하부 스프라켓의 사이에는 다수의 스크린홈을 형성한 다수의 스크린스텝을 에스컬레어터 형태로 구동되게 함으로서, 수로의 하부측에서 부터 상부까지 수심전체에 걸려 오물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오물수거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고장발생율이 현저히 낮으며 그에 따른 제작 및 관리비용을 적게 소요되는 효과가 있으며, 종래와는 달리 길이가 긴 붐대가 없으므로 배수로 상측의 콘크리트 구조물 상측으로 오물수거장치의 상부가 많이 올라오지 않아서 천장이 낮은시설에서도 설치가 가능한 장점등을 지닌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5)

  1. 하수처리장이나 배수펌프장, 취수장 및 기타 산업하수처리장 등의 수로에 설치되어 수로로 흐르는 물과 흘러 내려오는 오물을 수거하는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 상측의 상부 콘크리트구조물(1)과 배수로바닥(2)에는 좌우 한쌍의 상하부스프라켓(3,4)을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상부 콘크리트구조물(1)의 소정위치에는 상부스프라켓(3)과 연결되어 상부스프라켓(3)을 구동시키는 구동장치(5)가 설치되며,
    상기 상하부스프라켓(3,4)의 사이에는 상하부가이드(6,7)를 구비한 경사지지대(8)가 수직지지대(9)에 의해 지지되게 경사 설치되고,
    상기 상하부스프라켓(3,4)의 사이에는 다수의 스크린홈(10)을 형성한 다수의 스크린스텝(11)이 체인(12)에 의해 연결된 스텝식스크린(13)이 권회 설치되며,
    상기 상부스프라켓(3)의 후방측에는 스텝식스크린(13)에 수거되어 후방으로 낙하되는 이물질이 받혀져 이송되는 오물받이 콘베어(2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수로의 양측벽에는 수로를 흐르는 물을 스텝식스크린(13)의 중앙부측으로 유도하는 내향경사면(14)을 형성한 측면유도판(15)이 설치되고, 하부스프라켓(4) 전방측의 배수로바닥(2)에는 물의 흐름을 상부로 유도하는 경사구조물(25)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스프라켓(3)의 후방측 소정위치에는 상부스프라켓(3)의 회전축으로 부터 체인(18)을 통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스크린스텝(11)에 묻은 이물질을 털어내는 브러쉬롤러(19)가 회전자유롭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스텝(11)의 양측 상하에는 전후방핀(16,17)이 각각 외향 설치되며, 이 각각의 전후방핀(16,17)이 체인(12)에 핀 결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스크린스텝(11)의 양측 전후방 하측에 전후방핀(16,17)을 외향 돌출설치한 뒤에 전방핀(16)은 체인(12)에 핀결합하고 후방핀(17)에는 롤러(23)를 설치하였으며, 상기 상하부가이드(6,7)의 내부의 경사구간에 상기 롤러(23)가 안내될 가이드레일(24)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
KR1020000035305A 2000-06-26 2000-06-26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 KR100347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5305A KR100347853B1 (ko) 2000-06-26 2000-06-26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5305A KR100347853B1 (ko) 2000-06-26 2000-06-26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3309A KR20000063309A (ko) 2000-11-06
KR100347853B1 true KR100347853B1 (ko) 2002-08-07

Family

ID=19673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5305A KR100347853B1 (ko) 2000-06-26 2000-06-26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78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5767A (ko) * 2018-10-23 2020-05-06 주식회사 국제기산 제진기
KR20230077795A (ko) 2021-11-25 2023-06-02 주식회사 국제기산 스텝식 제진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5767A (ko) * 2018-10-23 2020-05-06 주식회사 국제기산 제진기
KR102182705B1 (ko) * 2018-10-23 2020-11-24 주식회사 국제기산 제진기
KR20230077795A (ko) 2021-11-25 2023-06-02 주식회사 국제기산 스텝식 제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3309A (ko) 2000-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7872B1 (ko) 모래 제거를 위한 버킷이 구비된 로터리 제진기
WO2021221251A1 (ko) 스크린협잡물 제거장치
KR102285379B1 (ko) 협잡물겸 침사 수거용 제진기
CN2789315Y (zh) 翻转耙齿型往复式清污机
KR100347853B1 (ko)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
KR101133073B1 (ko) 제진기
KR101074826B1 (ko) 배수로용 로타리제진기
KR101594101B1 (ko) 인/아웃 자동 제진기
KR200175037Y1 (ko) 제진기
KR102516599B1 (ko) 인양이 용이한 이동식 제진기
KR20020092765A (ko) 로터리식 제진기
KR20200020041A (ko) 레이크와 연동하는 프론트 스크린과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를 구비한 로터리 제진기
KR200384310Y1 (ko) 제진기
KR102150568B1 (ko) 협잡물 배출기능이 개선된 로터리 제진기
KR100378783B1 (ko)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
CN214634350U (zh) 一种污水过滤提升井
KR101594089B1 (ko) 침사 인양장치용 가변용량형 버켓
KR101570401B1 (ko) 협잡물 제거 장치
KR102221382B1 (ko) 각종 협잡물 제거용 로타리 제진기
KR200220464Y1 (ko)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
KR20130011254A (ko) 수직 개폐형 로터리 제진기
KR100689300B1 (ko) 로타리식 제진기
CN206784348U (zh) 一种河道清污机
KR200418396Y1 (ko) 벽스크린식 로터리 제진기
KR100317813B1 (ko) 제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