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464Y1 -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 - Google Patents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464Y1
KR200220464Y1 KR2020000030665U KR20000030665U KR200220464Y1 KR 200220464 Y1 KR200220464 Y1 KR 200220464Y1 KR 2020000030665 U KR2020000030665 U KR 2020000030665U KR 20000030665 U KR20000030665 U KR 20000030665U KR 200220464 Y1 KR200220464 Y1 KR 2002204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hydraulic cylinder
rake
moving frame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06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봉순
김정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대저토건
이만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대저토건, 이만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대저토건
Priority to KR20200000306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4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4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464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하수처리장이나 배수펌프장, 취수장, 소규모 발전소 및 기타 산업하수처리장 등에 설치하여 물의 흐름에 따라 흘러온 쓰레기와 같은 오물을 인양하여 물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하는 배수로의 오물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이드레일에서 수평이동하는 이동프레임의 이동이 유압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에 의해 이동되게 하고, 다단붐대의 승하강 신축이 다단 유압실린더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하단붐대에 설치된 오물수거갈퀴의 각도 변환이 유압실린더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종래의 체인과 와이어로프에 의해 이동프레임을 이동시키고 다단붐대를 승하강 신축시키던 종래의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에서 발생하던 체인 및 와이어의 이완과 파단으로 발생하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하수처리장이나 배수펌프장, 취수장 및 기타 산업하수처리장 등의 수로에는 수로로 흐르는 물중의 오물이 걸리는 스크린(23)이 설치되고, 수로의 상측에는 가이드레일(24)이 횡단 설치되며, 이 가이드레일(24)에는 하단부에 스크린(23)에 걸리는 오물을 수거하는 오물수거갈퀴(25)를 구비한 붐대(1)가 신축되도록 설치된 이동프레임(26)이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24)은 '工'자형태로 형성된 형강을 수평으로 설치하고, 이동프레임(26)의 하부에는 양측에 구동기어(3)가 설치된 구동축(4)을 수평 설치한 뒤에 일측의 구동기어(3)에는 유압모터(2)의 모터축과 연결하며, 양측 구동기어(3)의 하부에는 가이드레일(24)의 측면홈에 삽입되는 주행바퀴(5)와, 구동기어(3)와 맞물리는 종동기어(6)를 동일축상에 설치한 주행부(7)가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프레임(26)의 전방에는 유압실린더(8)에 의해 전후방으로 출몰되는 슬라이더(9)가 수평 설치되고, 이 슬라이더(9)의 노출된 전방에는 상단붐대(10)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이 상단붐대(10)의 내측 하방에는 중단붐대(11)가 승하강 출몰되게 설치되고, 상기 중단붐대(11)의 내측 하방에는 하단붐대(12)가 승하강 출몰되게 설치되며, 상기 하단붐대(12)의 말단부에는 오물수거갈퀴(13)의 후단부측을 힌지식으로 설치한 뒤에 이 오물수거갈퀴(13)의 최 후단부에는 오물수거갈퀴(13)의 각도를 변환시키게 하는 유압실린더(14)가 설치되고, 상기 상단붐대(10)의 내측과 중단붐대(11)의 내측에는 상단붐대(10)에 삽입된 중단붐대(11)를 승하강 출몰시키는 다단 유압실린더(15)가 설치되며, 중단붐대(11)의 내측과 하단붐대(12)의 내측에는 중단붐대(11)에 삽입된 하단붐대(12)를 승하강 출몰시키는 다단 유압실린더(16)가 설치되고, 상기 상단붐대(10)의 상부 내측에는 내측에 토션스프링(17)이 설치된 권취릴(18)이 축설되어 중단붐대(11)와 하단붐대(12)가 수축되어 유압실린더(14)와 다단 유압실린더(16)로 연결된 유압호스를 처지면서 늘어지는 것을 감아주도록 된 것으로서, 이동프레임(26)에 설치된 유압모터(2)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주행바퀴(5)에 의해 이동프레임(26)이 수평이동하게 되고, 스크린(23)에 걸린 오물을 수거시 슬라이더(9)가 전진하여 상단붐대(10)와 중단붐대(11) 그리고 하단붐대(12)로 이루어진 붐대(1)를 스크린(23)과 이격되게 한 상태에서 각각의 붐대를 하강시키고, 그뒤에 오물수거갈퀴(13)를 스크린(23)측으로 구부린 상태에서 각각의 붐대를 상승시켜서 스크린(23)에 걸린 오물을 인양 수거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The sewage collecting apparatus of a drainage}
본 고안은 하수처리장이나 배수펌프장, 취수장, 소규모 발전소 및 기타 산업하수처리장 등에 설치하여 물의 흐름에 따라 흘러온 쓰레기와 같은 오물을 인양하여 물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하는 배수로의 오물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이드레일에서 수평이동하는 이동프레임의 이동이 유압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에 의해 이동되게 하고, 다단붐대의 승하강 신축이 다단 유압실린더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하단붐대에 설치된 레이크의 각도 변환이 유압실린더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종래의 체인과 와이어로프에 의해 이동프레임을 이동시키고 다단붐대를 승하강 신축시키던 종래의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에서 발생하던 체인 및 와이어의 이완과 파단으로 발생하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에는 국내 특허 공고번호 제92-8890호(1992.10.10 공고)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같이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는 하수처리장이나 배수펌프장, 취수장 및 기타 산업하수처리장 등의 수로(27)에는 수로로 흐르는 물중의 오물이 걸리는 스크린(23)이 설치되고, 수로(27)의 상측에는 가이드레일(24)이 횡단 설치되며, 이 가이드레일(24)에는 하단부에 스크린(23)에 걸리는 오물을 수거하는 오물수거갈퀴(25)를 설치한 붐대(1)가 신축되도록 설치된 이동프레임(26)이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동프레임(26)의 이동은 가이드레일(24)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가 스프라켓과 동일축상에 설치되어 있고, 이 스프라켓은 체인과 치합되어서 체인의 회전이동에 따라 가이드레일(24)상에서 이동프레임(26)이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붐대(1)는 이동프레임(26)에 틸팅실린더(28)로서 비임승강대(29)가 경사각이 조절되게 설치되고, 이 비임승강대(29)의 내부에는 안내롤러에 의해 승하강되는 1단비임(30)과, 이 1단비임(30)의 내측에서 승하강되는 2단비임(31)을 장설하여 상기 1단비임(30)과 2단비임(31)은 체인롤러(34)로 안내되는 리프팅체인(35)으로 연동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비임승강대(29)의 배면에는 리프팅실린더(33)와 이 리프팅실린더(33)의 상부측에 도르래(32)를 설치하여 리프팅실린더(33)의 로드 선단부에 연결시킨 체인롤러(34)를 도르래(32)에 걸어서 각각의 도르래(32)를 거쳐 1단비임(30)의 하단에 연결시켜 리프팅실린더(33)의 작동에 따라 체인롤러(34)가 1단비임(30)을 승강시킬 때 이 1단비임(30)의 승강에 따라 리프팅체인(35)이 2단비임(31)을 승강하게 된다.
또한, 상기 2단비임(31)의 하단에 오물수거갈퀴(25)가 설치하며 비임승강대(29)의 전면부에 오물을 떨어 트리는 낙하판(36)이 힌지식으로 설치되어 스크린(23)에 걸린 오물을 퍼올릴 때 낙하판(36)에 오물수거갈퀴(25)가 접촉하면 힌지 설치된 낙하판(36)이 오물수거갈퀴(25)의 상면에서 접촉한 상태에서 소정의 각도로 회동하면서 상기 오물을 오물수거함(37)으로 낙하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오물수거장치(100)는, 이동프레임(26)의 이동이 체인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1,2단비임대의 승하강 신축이 와이어로프에 의해서 이루어 지는데, 이들 체인과 와이어 로프는 온도변화와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이완되어 이동프레임(26)의 정상적인 이동과 1,2단비임대의 정상적인 승하강 신축을 기대할 수 없고 미끄럼이 발생하였으며, 체인과 와이어로프가 파단되는 경우에는 작동이 불가능해지는 문제를 지니고 있었다.
또한, 1,2단비임대가 하강할 때는 1,2단비임대의 자중에 의해 하강하게 되는데, 동절기에 수 표면이 두껍게 어는 경우에는 말단 비임대와 그 말단에 설치된 오물수거갈퀴가 두꺼운 얼음을 깨고 수중으로 진입할 수 없었으며, 자중에 의해 말단의 비임대가 얼음에 부딪칠 때 오물수거갈퀴가 파손되거나 변형이 발생되어 오물의 수거작업이 불가능해지게 되는 문제를 지니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이드레일에서 수평이동하는 이동프레임의 이동이 유압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에 의해 이동되게 하고, 다단붐대의 승하강 신축이 다단 유압실린더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하단붐대에 설치된 오물수거갈퀴의 각도 변환이 유압실린더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체인과 와이어로프에 의해 구동되던 종래의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에서 발생하던 체인과 와이어로프의 이완과 파단으로 발생하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다단붐대의 승하강을 행정거리가 긴 다단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발전소의 배수로와 같이 수로의 깊이가 20∼30m로 깊은 수로에서도 오물의 수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는, 배수로에 설치된 오물수거장치의 가이드레일은 '工'자형태의 형강을 수평으로 설치하고, 이동프레임의 하부에는 유압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주행바퀴가 '工'자형태의 가이드레일에서 주행하게 하는 주행부가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프레임의 전방에는 유압실린더에 의해 전후방으로 출몰되는 슬라이더를 수평 설치되고, 슬라이더전방에는 상단붐대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이 상단붐대의 내측 하방에는 중단붐대가 승하강 출몰되게 설치되고, 상기 중단붐대의 내측 하방에는 하단붐대가 승하강 출몰되게 설치되며, 상기 하단붐대의 말단부에는 오물수거갈퀴가 유압실린더에 의해 각도 변환되게 설치되고, 상단붐대의 내측과 중단붐대의 내측에는 다단 유압실린더가 설치되며, 중단붐대의 내측과 하단붐대의 내측에는 다단 유압실린더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오물수거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오물수거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오물수거장치의 구조와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부를 발췌한 정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작용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붐대 2 : 유압모터 3 : 구동기어
4 : 구동축 5 : 주행바퀴 6 : 종동기어
7 : 주행부 8 : 유압실린더 9 : 슬라이더
10 : 상단붐대 11 : 중단붐대 12 : 하단붐대
13 : 오물수거갈퀴 14 : 유압실린더 15 : 다단 유압실린더
16 : 다단 유압실린더 17 : 토션스프링 18 : 권취릴
19 : 지지대 20 : 컨베이어 23 : 스크린
24 : 가이드레일 25 : 오물수거갈퀴 26 : 이동프레임
27 : 수로 28 : 틸팅실린더 29 : 비임승강대
30 : 1단비임 31 : 2단비임 32 : 도르래
33 : 리프팅실린더 36 : 낙하판 37 : 오물수거함
38 : 컨베이어 100 : 오물수거장치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는, 하수처리장이나 배수펌프장, 취수장 및 기타 산업하수처리장 등의 수로(27)에는 수로로 흐르는 물중의 오물이 걸리는 스크린(23)이 설치되고, 수로의 상측에는 다수의 지지대(19)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이 지지대(19)의 상부에는 '工'자형태로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레일(24)이 수평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레일(24)의 상부에서 수평이동하게 되는 이동프레임(26)의 하부에는 양측에 구동기어(3)가 설치된 구동축(4)을 수평 설치한 뒤에 일측의 구동기어(3)에는 유압모터(2)의 모터축과 연결하며, 양측 구동기어(3)의 하부에는 가이드레일(24)의 측면홈에 삽입되는 주행바퀴(5)와 구동기어(3)와 맞물리는 종동기어(6)를 동일축상에 설치한 주행부(7)가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프레임(26)의 전방에는 유압실린더(8)에 의해 전후방으로 출몰되는 슬라이더(9)가 수평 설치되며, 이 슬라이더(9)의 노출된 전방에는 상단붐대(10)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이 상단붐대(10)의 내측 하방에는 상단붐대(10)에서 승하강 출몰되는 중단붐대(11)가 설치되며, 상기 중단붐대(11)의 내측 하방에는 중단붐대(11)에서 승하강 출몰되는 하단붐대(1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단붐대(10)와 중단붐대(11), 그리고 하단붐대(12)로 이루어지는 붐대(1)가 3단으로 구성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것은 배수로의 깊이에 따라 붐대의 단수를 가감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그리고, 상기 하단붐대(12)의 말단부에는 오물수거갈퀴(13)의 후단부측이 힌지식으로 설치되고, 이 오물수거갈퀴(13)의 최 후단부에는 오물수거갈퀴(13)의 각도를 변환시키게 하는 유압실린더(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단붐대(10)의 내측과 중단붐대(11)의 내측에는 다단 유압실린더(15)의 실린더 배럴의 상단부가 상단붐대(10)의 내측면에 설치되고 다단 유압실린더(15)의 피스톤 로드의 말단부는 중단붐대(11)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중단붐대(11)의 내측과 하단붐대(12)의 내측에는 다단 유압실린더(16)의 실린더 배럴의 상단부가 중단붐대(11)의 내측면에 설치되고 다단 유압실린더(16)의 피스톤 로드의 말단부는 하단붐대(12)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단붐대(10)의 상부 내측에는 내측에 토션스프링(17)이 설치된 권취릴(18)이 축설되어 중단붐대(11)와 하단붐대(12)가 수축되어 붐대의 전체길이가 줄어들 때 유압실린더(14)와 다단 유압실린더(16)로 연결된 유압호스를 처지면서 늘어지는 것을 감아주도록 되어 있다.
도면상 미설명부호 '20'은 오물수거갈퀴(13)로 인양한 오물이 얹혀져서 수평이동되어 배출하는 컨베이어이고, '21'은 각각의 실린더와 유압모터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모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의 작용 관계를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이 설치되어 있는 수로(27)로 물이 흐르면서 물과 함께 떠(흘러) 내려가는 쓰레기와 같은 각종 이물질이 스크린(23)에 걸리게 되면, 상기 이물질이 스크린(23)을 막아서 물이 흐를 수 없게 되는데, 이때는 본 고안의 오물수거장치(100)를 이용하여 스크린(23)에 걸린 이물질을 수거하게 되는데 그 이물질의 수거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스크린(23)에 걸린 이물질을 수거하기 위해서는 이동프레임(26)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유압실린더(8)에 유압으로 공급하여 로드가 앞으로 나가게 되면, 이 로드의 선단부가 설치된 슬라이더(9)가 전방으로 밀려나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방으로 밀려나가는 슬라이더(9)의 전방에는 상단붐대(10)가 수직하게 설치되어서 상단붐대(10)가 슬라이더(9)와 동일하게 전방으로 나가서 상단붐대(10)와 스크린(23)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있는 상태가 되고, 이상태에서 다단 유압실린더(15)(16)를 각각 동작시켜 다단의 피스톤로드가 길게 빠져나가도록 하면 상단붐대(10)에서 중단붐대(11)가 빠져 나오게 되고 중단붐대(11)에서는 하단붐대(12)가 빠져 나오면서 붐대 전체의 길이가 길어지며 하측으로 하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중단붐대(11)와 하단붐대(12)가 모두 하강하고 난 뒤에는 하단붐대(12)의 말단에 설치된 오물수거갈퀴(13)가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도록 유압실린더(14)에 유압을 공급하여 오물수거갈퀴(13)가 스크린(23)에 접촉하게 된다.(도 3의 'B' 참조)
그 뒤 각각의 다단 유압실린더(15)(16)의 다단의 피스톤로드가 단축되도록 하면 상단붐대(10)의 내측으로 중단붐대(11)가 상승하면서 삽입되고, 중단붐대(11)의 내측으로 하단붐대(12)가 상승하면서 삽입되어 붐대의 전체길이가 짧아지면서 오물수거갈퀴(13)의 선단부가 스크린(23)의 전면을 긁으면서 상승하여 스크린(23)에 걸린 오물을 끌고 상측으로 올라게 된다.
이렇게 오물수거갈퀴(13)로서 오물을 끌고 올라가다 상승이 완료되면 도 5와 같이 오물수거갈퀴(13)가 스크린(23)의 상부보다 더 높이 올라가 정지하게 되며, 그뒤에 이동프레임(26)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유압실린더(8)의 피스톤로드가 단축되게 하면 슬라이더(9)가 이동프레임(26)의 내부측으로 들어가게되고, 이 슬라이더(9)의 선단부에 설치된 상단붐대(10)를 비롯한 붐대 전체도 이동프레임(26)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붐대 전체가 이동프레임(26)측으로 이동을 완료하면, 오물을 담고 있는 오물수거갈퀴(13)가 컨베이어(20)의 상부측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가 되며, 이때 하단붐대(12)의 말단에 설치된 오물수거갈퀴(13)가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펼쳐지도록 유압실린더(14)를 동작시키면 수평상태로 있던 오물수거갈퀴(13)가 수직상태로 펼쳐지면서 오물수거갈퀴(13)에 얹혀졌던 오물이 컨베이어(20)로 떨어지게 된다.
상기 컨베이어(20)로 오물이 떨어지게 되면 컨베이어(20)가 수평 이동하면서 컨베이어(20)에 얹혀진 오물을 외측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붐대가 승하강하면서 붐대의 전체길이가 길어질 때와 짧아질 경우에 오물수거갈퀴(13)를 구동시키는 유압실린더(14)와, 하단붐대(12)를 하강시키는 다단 유압실린더(16)로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호스의 길이가 변하여 늘어지면서 쳐질 수가 있는데, 상기 유압호스는 상단붐대(10)의 상부에 설치된 권취릴(18)에 감겨진 상태이므로 붐대의 전체길이가 길어질 때는 붐대가 하강하는 힘에 의해 권취릴(18)에서 풀려나오게 되고, 반대로 붐대의 전체길이가 짧아지는 경우에는 권취릴(18)의 내부에 설치된 토션스프링(17)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권취릴(18)이 열회전하여 느슨해지는 유압호스가 권취릴(18)에 감겨져 유압호스가 쳐지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일측 수로에서의 오물수거작업이 완료되거나 또는 타측의 수로에 걸린 오물을 수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오물수거장치를 가이드레일(24)의 상부에서 이동시킬 경우에는 유압모터(2)를 동작시켜서 유압모터(2)의 동력이 양측 구동기어(3)로 전달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동기어(3)로 전달된 구동력은 양측 주행부(7)의 종동기어(6)를 구동시켜서 종동기어(6)와 동일축상에 설치된 주행바퀴(5)가 회전하게 되고, 이 주행바퀴(5)는 가이드레일(24)의 측면홈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본 고안의 오물수거장치는 가이드레일(24) 상에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이 자유롭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는, 가이드레일에서 수평이동하는 이동프레임의 이동이 유압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에 의해 이동되게 하고, 다단붐대의 승하강 신축이 다단 유압실린더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하단붐대에 설치된 오물수거갈퀴의 각도 변환이 유압실린더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체인과 와이어로프에 의해 구동되던 종래의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에서 발생하던 체인과 와이어로프의 이완과 파단으로 발생하던 문제를 완벽하게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다단붐대의 승하강을 행정거리가 긴 다단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발전소의 배수로와 같이 수로의 깊이가 20∼30m로 깊은 수로에서도 오물의 수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하수처리장이나 배수펌프장, 취수장 및 기타 산업하수처리장 등의 수로에는 수로로 흐르는 물중의 오물이 걸리는 스크린(23)이 설치되고, 수로의 상측에는 가이드레일(24)이 횡단 설치되며, 이 가이드레일(24)에는 하단부에 스크린(23)에 걸리는 오물을 수거하는 오물수거갈퀴(25)를 구비한 붐대(1)가 신축되도록 설치된 이동프레임(26)이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24)은 '工'자형태로 형성된 형강을 수평으로 설치하고, 이동프레임(26)의 하부에는 양측에 구동기어(3)가 설치된 구동축(4)을 수평 설치한 뒤에 일측의 구동기어(3)에는 유압모터(2)의 모터축과 연결하며, 양측 구동기어(3)의 하부에는 가이드레일(24)의 측면홈에 삽입되는 주행바퀴(5)와, 구동기어(3)와 맞물리는 종동기어(6)를 동일축상에 설치한 주행부(7)가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프레임(26)의 전방에는 유압실린더(8)에 의해 전후방으로 출몰되는 슬라이더(9)가 수평 설치되고, 이 슬라이더(9)의 노출된 전방에는 상단붐대(10)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이 상단붐대(10)의 내측 하방에는 중단붐대(11)가 승하강 출몰되게 설치되고, 상기 중단붐대(11)의 내측 하방에는 하단붐대(12)가 승하강 출몰되게 설치되며,
    상기 하단붐대(12)의 말단부에는 오물수거갈퀴(13)의 후단부측을 힌지식으로 설치한 뒤에 이 오물수거갈퀴(13)의 최 후단부에는 오물수거갈퀴(13)의 각도를 변환시키게 하는 유압실린더(14)가 설치되고,
    상기 상단붐대(10)의 내측과 중단붐대(11)의 내측에는 상단붐대(10)에 삽입된 중단붐대(11)를 승하강 출몰시키는 다단 유압실린더(15)가 설치되며, 중단붐대(11)의 내측과 하단붐대(12)의 내측에는 중단붐대(11)에 삽입된 하단붐대(12)를 승하강 출몰시키는 다단 유압실린더(1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붐대(10)의 상부 내측에는 내측에 토션스프링(17)이 설치된 권취릴(18)이 축설되어 중단붐대(11)와 하단붐대(12)가 단축되어 유압실린더(14)와 다단 유압실린더(16)로 연결된 유압호스를 처지면서 늘어지는 것을 감아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
KR2020000030665U 2000-11-02 2000-11-02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 KR2002204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665U KR200220464Y1 (ko) 2000-11-02 2000-11-02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665U KR200220464Y1 (ko) 2000-11-02 2000-11-02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4895A Division KR100378783B1 (ko) 2000-11-02 2000-11-02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0464Y1 true KR200220464Y1 (ko) 2001-04-16

Family

ID=73090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0665U KR200220464Y1 (ko) 2000-11-02 2000-11-02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46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35396A (zh) * 2018-11-26 2019-01-18 国家电网有限公司 一种蓄能电站用拦污栅的自动清理收集装置
CN109235395A (zh) * 2018-11-23 2019-01-18 国家电网有限公司 一种蓄能电站拦污栅移动除污装置
CN114560539A (zh) * 2022-03-08 2022-05-31 陈金河 一种高效污水处理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35395A (zh) * 2018-11-23 2019-01-18 国家电网有限公司 一种蓄能电站拦污栅移动除污装置
CN109235396A (zh) * 2018-11-26 2019-01-18 国家电网有限公司 一种蓄能电站用拦污栅的自动清理收集装置
CN114560539A (zh) * 2022-03-08 2022-05-31 陈金河 一种高效污水处理装置
CN114560539B (zh) * 2022-03-08 2024-01-12 福建亿兆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高效污水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1407B1 (ko) 스크린협잡물 제거장치
KR100378783B1 (ko)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
KR200220464Y1 (ko)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
KR100458956B1 (ko) 수직상승형 로터리 제진기
KR200394557Y1 (ko) 오물제거장치를 구비하는 수문
KR101133073B1 (ko) 제진기
KR100896740B1 (ko) 유압식 더블암 제진기
KR20060086578A (ko) 제진기
KR102291857B1 (ko) 제진성이 향상된 이동형 레벨 제진기
KR102516599B1 (ko) 인양이 용이한 이동식 제진기
KR200384310Y1 (ko) 제진기
KR200171151Y1 (ko)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
JP3849087B2 (ja) 除塵機
KR100317813B1 (ko) 제진장치
CN220414165U (zh) 一种水利水电进水口布置结构
CN117247072B (zh) 一种自清式细格栅除污机及其格栅组件
KR100347853B1 (ko)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
KR100359267B1 (ko) 오물수거장치의 붐대 승하강장치
CN215593933U (zh) 一种拦截漂浮物的拦污栅
KR101232891B1 (ko) 개폐식 스크린을 구비하는 제진기
KR0119438Y1 (ko) 원형 붐 다단식 유압실린더 자동 제진기
KR100270178B1 (ko) 오물수거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제진기
KR100924176B1 (ko) 유압식 씨저형 제진기
KR200371593Y1 (ko) 스크린 청소장치
JPH044722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3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