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6578A - 제진기 - Google Patents

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6578A
KR20060086578A KR1020050007411A KR20050007411A KR20060086578A KR 20060086578 A KR20060086578 A KR 20060086578A KR 1020050007411 A KR1020050007411 A KR 1020050007411A KR 20050007411 A KR20050007411 A KR 20050007411A KR 20060086578 A KR20060086578 A KR 20060086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disposed
frame body
screen
vibration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7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태
정일형
김미
Original Assignee
김수태
정일형
김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태, 정일형, 김미 filed Critical 김수태
Priority to KR1020050007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6578A/ko
Publication of KR20060086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65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18Strap held by threading through linked rings

Landscapes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진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콤팩트한 구성에 수명이 길고, 이물질수거 효율이 극대화된 제진기를 공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제진기는, 수로 양측에 대칭형으로 배치되는 프레임본체의 수직부와 동일한 각도로 상기 프레임본체 중간부분에 배치된 제진스크린과, 상기 프레임본체의 수평부 단부에 폭방향으로 배치된 구동부와, 상기 프레임본체의 내벽에 근접하도록, 상기 구동축 양단에 대칭형으로 축결합된 종동기어에 도르레식으로 일측이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프레임본체의 내벽에 대칭형으로 배치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체인과, 상기 이송체인의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진스크린에 걸려진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이송체인의 원주방향에 적어도 2이상 배치된 제진부와, 상기 프레임본체 하단의 수로바닥에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전위스크린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이물질 수거 효율은 극대화된 콤팩트한 구성의 제진기 각 연결부를 탄력적으로 설치하므로서, 잘 파손되지 않아 수명을 연장한 이점이 있다.
제진기, 프레임본체, 제진스크린, 구동부, 이송체인, 제진부, 전위스크린

Description

제진기 { REMOVAL DIRT MACHINE }
도 1은 종래의 제진기를 발췌하여 보인 일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진기를 정면에서 바라본 것이고,
도 3은 도 2 "A"-"A"선에 따른 일측단면도이고,
도 4a는 도 3 "B"선에서 바라본 단면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 "C"선을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 "D"-"D"에 따른 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전위스크린을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제진기의 콘트롤부를 보인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제진기 100;프레임본체
200;제진스크린 300;구동부
400;이송체인 500;제진부
600;전위스크린
본 고안은 제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콤팩트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쓰레기등의 이물질을 이송하는 제진부의 각 연결부를 탄력적으로 결합하여 파손이 방지되므로서 수명이 길어지고, 쓰레기등의 이물질수거 효율이 극대화된 제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진기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가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한민국 제 20-0215622호로 공고된 바가 있는 "유압구동식 제진기"가 그 대표적인 것으로,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도시한 바를 참조하면, 종래의 제진기는, 기체(1)의 지지대(2)상에 가이드 롤러(34)에 의해 승강가이드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텔레스코픽형 붐대(3)(4)와, 상기 붐대(3)(4)를 연결하는 연결간(7)과, 구동모터(9)의 권취롤러(11)에 연결되어 감겼다 풀렸다를 반복하며 붐대(3)(4)를 승강하는 체인(12)과, 상기 체인(12)이 삽입되어 승강작동하는 텔레스코픽형 파이프(미도시)와, 붐대(3)(4) 하단의 고정몸체(16) 양측에 스프링(미도시)이 탄력결합된 링크로서 각 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이크(17)와, 지지대(12) 하측에 붐대(3)(4)의 상승작동시 접동하는 스프링(26)이 결합된 작동바아(25)와, 이젝터 아암(27)이 일체로 형성되어 레이크(17) 상의 쓰레기를 배출 컨베이어(31)로 배출시키는 이젝터(24)와, 제진 스크린(22)측에 설치되어 수위에 따라 구동모터(9)를 제어하여 레이크(17)의 작업범위를 자동 조절하는 워터레벨 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진기는 수직방향으로 승하강하는 붐대에 의해 상부공간을 지나치게 많이 차지하며, 그 구조가 복잡하여 설치비용이 과다하 게 투입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레이크가 제진스크린의 측면에 접촉하며 상측으로 이동하며 쓰레기를 이동하므로, 소음이 발생하고, 일측에서 바라볼 때, 직각으로 결합된 레이크와 연결간의 결합부에 부하가 발생하여 파손되는 일이 다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붐대를 스윙시키는 유압실린더와 연결간을 승하강시키는 구동모터를 작동시키기 위해 대규모의 유압유니트와 배전반이 필요하므로, 큰 전력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수문프레임 상부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콤팩트한 구성의 제진기를 널리 공급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쓰레기등의 이물질을 수거하는 과정에서 부하발생을 최소화하도록 제진부의 각 연결부를 탄력적으로 설치하여 잘 파손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수명이 길어진 제진기를 널리 공급하는데 있다.
또한, 별도의 전원이 없이도 작동할 수 있도록 하여 전력등의 에너지를 절감하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수로의 폭방향에 설치된 제진스크린에 걸려진 오물등의 쓰레기를 제거하는 제진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진기는 수로 양측에 대칭형으로 배치되며, 수로의 바닥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경사가 형성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단에 수평으로 연결된 수평부로 이루어진 프레임본체와;
상기 프레임본체 수직부와 동일한 각도로 중간부분에 배치된 제진스크린과;
상기 프레임본체의 수평부 단부에 폭방향으로 관통, 배치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일단에 축결합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구동부재를 매개로 연결된 구동모터로 이루어진 구동부와;
상기 프레임본체의 내벽에 근접하도록, 상기 구동축 양단에 대칭형으로 축결합된 종동기어에 도르레식으로 일측이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프레임본체의 내벽에 대칭형으로 배치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체인과;
상기 이송체인의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진스크린에 걸려진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이송체인의 원주방향에 적어도 2개소 이상 배치된 제진부와;
상기 프레임본체 하단의 수로바닥에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전위스크린을 포함한다.
또한, 제진스크린의 일측단부는 수압의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단면상 마름모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진부는 상기 다수의 제진스크린의 사이에 삽입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대향하는 타단에 90도 직각방향으로 갈고리가 형성된 갈퀴부로 이루어진 제진핑거와, 상기 제진핑거의 하측에 배치되는 보강부재와, 상기 보강부재의 양단에 배치된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와 이송체인에 힌지결합된 연결핀의 외주 에 배치된 탄성부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전위스크린은 수면상의 이물질이 타고 넘지 못하도록 최상단에 걸림턱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진기는 태양열을 모으는 집열판으로부터의 태양에너지로 상기 구동부의 구동모터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갖춘 콘트롤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콘트롤러는 상기 집열판으로부터 공급되는 태양에너지를 저장하여 비상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충전기와, 축전지를 구비하며;
상기 충전기와 축전지에 태양에너지의 보충이 완료되면 방전되도록 방전기가 더 구비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진기를 정면에서 바라본 것이고, 도 3은 도 2 "A"-"A"선에 따른 일측단면도이고, 도 4a는 도 3 "B"선에서 바라본 단면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 "C"선을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 "D"-"D"에 따른 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전위스크린을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제진기의 콘트롤부를 보인 블럭도이다.(이하,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 명칭을 붙여 설명하되, 그 부호만 달리 붙여 설명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제진기(10)는 프레임본체(100)와 제진스크린(200)과 구동부(300)와 이송체인(400)과 제진부(500),전위스크린(600)으로 대별된다.
프레임본체(100)는 수로 양측에 대칭형으로 배치되며, 수직부(110)와 수평부(130)로 이루어진다.
수직부(110)의 하단에는 수로(W)의 바닥(P)에 도시하지 않은 앵커볼트(Anchor Bolt)로 고정할 수 있도록 베이스(111)가 마련되고, 이 베이스(111)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경사(T)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수직부(110)의 상단에 수평부(130)가 일체로 연결되는데, 이 수평부(130) 단부의 중심점("C"표시부위)에는 장공(131)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구동부(300)의 구동축(310)이 관통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 장공(131)의 각 외측에는 베어링(133)이 배치되어 있다.
한편, 이 프레임본체(100)의 내벽(101)에는 상기 장공(131)의 중심에서 다소 이격된 평행 상태로 가이드 레일(120)이 2열로 배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 레일(120)은 일측에 단면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 하 가이드(121)(125)로 이루어지며, 이 상, 하 가이드(121)(125)의 각 중심부위에 단면상 사각형상의 레일(120a)이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레일(120a)은 후술하는 이송체인(400)의 롤러(450))가 원활하게 구름운동하며 이송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이송체인(400)의 유동과 이탈이 방지되도록 가이드 하는 것이다.
따라서, 가이드레일(120)이 수직부(110) 하단에 반원형으로 형성된 반환점 ("C")에 의해 별도의 종동기어가 마련되지 않아도 후술하는 이송체인(400)이 무한궤도 도르레식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프레임본체(100)는 대칭형으로 배치되며, 이 대칭형으로 배치된 프레임본체(100)의 수직부(110) 내측으로 제진스크린(200)이 배치된다.
제진스크린(200)은 고정프레임(210)과 제진부재(230)로 이루어진다.
고정프레임(210)은 직사각형 단면의 양단에 상기한 프레임본체(1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재(211)가 배치되어 있다.
결합부재(21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 홀(211a)이 마련되어 프레임본체(100)와 볼트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였으나, 그 것은 당 업계의 제조기술로서 용접으로 장착해도 된다.
이와 같은 고정프레임(210)이 프레임본체(100)의 수직부(110) 상, 하 방향에 나란히 배치되며, 그 일측면에 다수의 제진부재(230)가 수직상으로 나란히 배치되는데, 이 제진부재(230)는 평철(Flat Bar)형태로 상기한 고정프레임(210)과 후방이 결합되어 수로를 타고 흘러온 이물질을 걸러내는 걸름망 역할을 한다.
이때, 일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210)과 장착된 후방과 대향하는 전방은 그 단면상 끝이 뾰족한 마름모꼴 형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로는 수로를 흐르는 물이 제진부재(230) 전방의 면적에 의해 물의 흐름이 방해되어 유량이 감소하며 이물질을 걸러내는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상술한 프레임본체(100)의 일측에는 구동부(300)가 배치된다.
구동부(300)는 구동축(310)과 종동기어(370), 구동기어(330)와 구동모터(350)로 이루어진다.
구동축(310)은 환형강(Round Bar)으로서, 상기한 프레임본체(100)의 상측에 대칭형으로 배치된 베어링(133)에 양단이 축결합되며, 이 축결합된 각 양단 일측, 다시 말해서 프레임본체(100)의 내벽(101)과 근접하도록 종동기어(370)가 대칭형으로 축결합되어 있다.
이 종동기어(370)는 후술하는 이송체인(400)이 도르레식으로 감겨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구동축(310)의 일단에는 구동기어(330)가 축결합되어 있다.
이 구동기어(330)는 하측에 배치된 구동모터(350)와 체인(Chain)으로 이루어진 구동부재(355)를 매개로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며, 상기한 구동모터(350)는 후술하는 콘트롤부(700)의 집열판(701)에서 모아진 태양에너지가 콘트롤러(710)에서 전기에너지로 변환된 전원으로 작동한다.
이와 같은 구동부(300), 다시 말해서, 프레임본체(100)의 내벽(101)에 근접하도록 배치된 종동기어(370)와 프레임본체(100)의 가이드레일(120)의 반환점(C)에는 이송체인(400)이 무한궤도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4a와 도 4b를 참조하면, 이송체인(400)은 공지의 콘베어(Conveyor)용 RF 체인으로서 양단에 홀(411)이 형성된 체인브라켓(410)이 다수 연결, 배치되고, 그 다수 동심한 상태로 연결된 홀(411)에 연결핀(430)이 관통되며, 이 연결핀(430)의 중간부분에 롤러(450)가 배치되는 형식이다.
이와 같이 연결된 이송체인(400)에 적어도 2개소 이상의 제진부(500)가 배치된다.
제진부(500)는 제진핑거(510)와 보강부재(530), 결합부재(550)와 탄성부재(570)로 이루어진다.
제진핑거(510)는 일측,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금속재의 구성이 다수 연결되어 있는 구성으로서, 일단에 가이드부(511)가 배치되고, 그 가이드부(511)의 대향하는 타단에 갈퀴부(513)가 형성되는 것이다.
짧게 형성된 가이드부(511)의 단부는 반원형으로 형성되며, 상술한 제진부재(230)의 사이에 배치되며, 이 가이드부(511) 타단의 갈퀴부(513)는 제진부재(230)에 걸러진 이물질을 상측으로 긁어 올릴 수 있도록 다소 길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갈퀴부(513)의 단부에는 이물질의 이송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상측 90도 각도로 절곡된 갈고리(513a)가 마련된다.
이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다수의 제진핑거(510) 하측 폭방향으로 보강부재(530)가 배치되어 있다.
보강부재(530)는 그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금속재로서 상기한 제진핑거(510)를 하측에서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며, 이 보강부재(530)의 양단에는 상측에서 바라볼 때,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부재(550)의 일측이 면접, 배치된다.
결합부재(550)는 양단부 상측에는 관통공(551)이 형성되어 상기한 이송체인(400)의 연결핀(430)의 일단이 관통,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 결합부재(550)와 상술한 이송체인(400)을 연결하는 연결핀(430)의 외주에는 탄성부재(570)가 배치된다.
탄성부재(570) 양단이 각각 대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스프링(Spring)으로서, 일단은 결합부재(550)의 일측에 지지되고, 타단은 이송체인(400)의 일측에 지지되어 상기한 갈퀴부(513)의 단부가 상측으로 탄성되도록 하였다.
또한, 관통공(551)을 기점으로 하측으로 소정각도 회동할 수 있도록 하여 제진핑거(510) 상측에 걸러진 이물질이 지나치게 많을 때, 일측으로 회동하며, 이 제진핑거(510)의 갈퀴부(513)가 구부러지거나 부서지며 파손되지 않도록 일부의 이물질을 덜어 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술한 제진기(10), 다시 말해서, 제진스크린(200)의 하측전방에는 전위스크린(600)이 배치된다.
전위스크린(600)은 수로바닥에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수로(W)를 통과하는 물의 수위가 낮을 경우, 바닥 또는 맞은 수위에 떠다니는 이물질을 걸러 내도록하는 것이다.
도 3과 도 5 참조하면, 전위스크린(600)은 수로(W) 바닥에 앵커볼트(미도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볼트홀(611)이 형성된 고정브라켓(613)이 양단하측에 배치된 프레임(610)과, 이 프레임(610)의 상측에 상술한 제진스크린(200)과 동일한 간격으로 스크린(630)이 다수 배치된다.
스크린(630)은 소정 두께의 금속판으로서, 수직방향 상측에 일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631)가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이 스크린(630)은 기본적으로 수면 위로 부상한 이물질이 상술한 제진스크린(200)의 하측으로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되, 상술한 제진핑거(510) 타단의 갈퀴부(513)에 걸려진 이물질이 상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제진스크린(200)과 스크린(630) 사이공간("S"표시부위)로 떨어지며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걸림돌기(631)가 형성되는 것이다.
도 6에 도시한 것은, 상술한 구동모터(350)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하는 컨트롤부(700)의 구성을 보인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컨트롤부(700)는 태양열을 모을 수 있도록 적어도 2개이상의 셀(Cell)로 이루어진 집열판(701)이 배치되고, 이 집열판(701)으로부터 공급되는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상기 구동부(300;미도시)의 구동모터(350)를 직접 동작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는 콘트롤러(710)를 갖추고 있다.
이, 콘트롤러(710)는 마이컴 또는 피엘씨(PLC)방식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충전기(711)와 축전지(713), 방전기(715)를 더 포함한다.
이 충전기(711)와 축전지(713)는 비상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한 콘트롤러(710)에서 공급되는 전기에너지가 일부는 구동모터(350)를 동작시키는데 사용되고, 일부는 충전기(711)를 통해 축전지(713)에 저장하여 흐린날이나 야간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때, 방전기(715)는 상기한 충전기(711)를 통해 축전지(713)의 전원이 완전히 축전된 상태에서, 집열판(701)으로부터 공급되는 태양에너지를 방전시키므로서, 축전지(713)를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다. 즉, 축전이 완료된 축전지 에 지속적으로 전기에너지가 공급되면, 축전지(713)의 수명이 짧아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계속해서, 도 2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수문장치(1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수로를 흘러 내려온 이물질은 프레임본체(100) 수직부(110)의 내측에 수직으로 배치된 제진스크린(200)에 걸러지게 된다.
이 때, 지속적으로 회전하는 구동모터(350)의 회전력에 의해 구동부(300)의 구동축(310)이 회전하게 되고, 이 구동축(310)의 회전에 의해 종동기어(370)와 결합되어 있는 이송체인(400)이 무한궤도식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 이송체인(40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배치된 제진부(500)의 제진핑거(510) 갈퀴부(513)에 걸린 이물질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이물질의 양이 지나치게 많을 경우, 이 제진핑거(510)는 이송체인(400)과 결합된 보강부재(530) 양단의 결합부재(550) 상측의 탄성부재(570)를 기준으로 갈퀴부(513)가 형성된 일측으로 회동하며, 이물질을 일부 덜어 내게 되어 부하가 생기지 않는다.
상기한 제진부(500)는 이송체인(400)의 원주방향으로 다수가 배치되어 반복적으로 이물질을 수거하여 제진기(10) 상측에 마련된 이송콘베어(미도시)로 이송하므로서 이물질의 처리효과는 극대화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이송체인(400)과 제진핑거(510)를 연결하는 연결핀(430) 외주에 탄성부재(570)를 배치하므로서, 부하가 생기면, 일측으로 회동하며 부하를 감소시켜 제진핑거(510)의 파손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므로, 제진기(10)의 수명을 연장하였다.
나아가, 수로의 내부에서 이물질의 수거가 이루어지므로, 제진기(10)가 설치된 수로의 상부 공간을 활용할 수 있으며, 태양열에 의한 태양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콘트롤러(710)에 의해 구동모터(350)를 작동할 수 있으므로, 전력을 절감하였다.
본 고안은 상술한 일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용이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형실시는 본 고안 청구항의 기재 범위내에 있게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제진기에 의하면, 수문프레임 상부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콤팩트한 구성의 제진기를 널리 공급한 효과가 있다.
또한, 쓰레기등의 이물질을 수거하는 과정에서 부하발생을 최소화하도록 쓰레기등의 이물질을 이송하는 제진부의 각 연결부를 탄력적으로 설치하여 잘 파손이 되지 않는 긴 수명의 제진기를 널리 공급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전원이 없이도 작동할 수 있도록 하여 전력등의 에너지를 절감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수로의 폭방향에 설치된 제진스크린에 걸려진 오물등의 쓰레기를 제거하는 제진기에 있어서,
    상기 제진기는 수로 양측에 대칭형으로 배치되며, 수로의 바닥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경사가 형성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단에 수평으로 연결된 수평부로 이루어진 프레임본체와;
    상기 프레임본체 수직부와 동일한 각도로 중간부분에 배치된 제진스크린과;
    상기 프레임본체의 수평부 단부에 폭방향으로 관통, 배치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일단에 축결합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구동부재를 매개로 연결된 구동모터로 이루어진 구동부와;
    상기 프레임본체의 내벽에 근접하도록, 상기 구동축 양단에 대칭형으로 축결합된 종동기어에 도르레식으로 일측이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프레임본체의 내벽에 대칭형으로 배치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체인과;
    상기 이송체인의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진스크린에 걸려진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이송체인의 원주방향에 적어도 2개소 이상 배치된 제진부와;
    상기 프레임본체 하단의 수로바닥에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전위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진스크린의 일측단부는 수압의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단면상 마름모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진부는 상기 다수의 제진스크린의 사이에 삽입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대향하는 타단에 90도 직각방향으로 갈고리가 형성된 갈퀴부로 이루어진 제진핑거와, 상기 제진핑거의 하측에 배치되는 보강부재와, 상기 보강부재의 양단에 배치된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와 이송체인에 힌지결합된 연결핀의 외주에 배치된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위스크린은 수면상의 이물질이 타고 넘지 못하도록 최상단에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진기는 태양열을 모으는 집열판으로부터의 태양에너지로 상기 구동부의 구동모터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갖춘 콘트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집열판으로부터 공급되는 태양에너지를 저장하여 비상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충전기와, 축전지를 구비하며;
    상기 충전기와 축전지에 태양에너지의 보충이 완료되면 방전되도록 방전기가 더 구비된 것을 하는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
KR1020050007411A 2005-01-27 2005-01-27 제진기 KR200600865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7411A KR20060086578A (ko) 2005-01-27 2005-01-27 제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7411A KR20060086578A (ko) 2005-01-27 2005-01-27 제진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2486U Division KR200384310Y1 (ko) 2005-01-27 2005-01-27 제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6578A true KR20060086578A (ko) 2006-08-01

Family

ID=37175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7411A KR20060086578A (ko) 2005-01-27 2005-01-27 제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6578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384B1 (ko) * 2007-05-29 2010-03-25 주식회사신화기공 제진기 스크린
CN102912767A (zh) * 2012-11-14 2013-02-06 江苏兆盛环保集团有限公司 垂直式孔板格栅清污机
KR101254450B1 (ko) * 2011-12-19 2013-04-12 정근수 대형 협잡물 제거용 스크린 제진기
CN109811735A (zh) * 2019-01-25 2019-05-28 黄河养护集团有限公司 河道水库漂浮植物收集处理设备
CN110565576A (zh) * 2019-08-27 2019-12-13 卢文星 一种水利工程施工用河床导流结构
KR102459781B1 (ko) * 2022-09-01 2022-10-26 윤병화 배수장 제진기의 수중 협잡물 제거용 호퍼형 레이크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384B1 (ko) * 2007-05-29 2010-03-25 주식회사신화기공 제진기 스크린
KR101254450B1 (ko) * 2011-12-19 2013-04-12 정근수 대형 협잡물 제거용 스크린 제진기
CN102912767A (zh) * 2012-11-14 2013-02-06 江苏兆盛环保集团有限公司 垂直式孔板格栅清污机
CN109811735A (zh) * 2019-01-25 2019-05-28 黄河养护集团有限公司 河道水库漂浮植物收集处理设备
CN109811735B (zh) * 2019-01-25 2020-08-25 黄河养护集团有限公司 河道水库漂浮植物收集处理设备
CN110565576A (zh) * 2019-08-27 2019-12-13 卢文星 一种水利工程施工用河床导流结构
KR102459781B1 (ko) * 2022-09-01 2022-10-26 윤병화 배수장 제진기의 수중 협잡물 제거용 호퍼형 레이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86578A (ko) 제진기
KR200384310Y1 (ko) 제진기
KR100540219B1 (ko) 링크식 제진기의 협잡물 제진 방법 및 그 링크식 제진기
KR102285379B1 (ko) 협잡물겸 침사 수거용 제진기
KR101427980B1 (ko) 협잡물 감지기능을 갖는 제진기
KR101406712B1 (ko) 이중 스크린 제진기
CN210473206U (zh) 一种水利工程高效排污装置
CN115404932B (zh) 一种清污设备
KR20020092765A (ko) 로터리식 제진기
KR102221382B1 (ko) 각종 협잡물 제거용 로타리 제진기
KR101257759B1 (ko) 수직 개폐형 로터리 제진기
KR102150568B1 (ko) 협잡물 배출기능이 개선된 로터리 제진기
KR102516599B1 (ko) 인양이 용이한 이동식 제진기
KR20140124939A (ko) 협잡물 감지기능을 갖는 제진기
CN207159964U (zh) 一种自清理拦污栅
CN210251388U (zh) 一种隧道炉烧结水除尘过滤系统
CN209923887U (zh) 一种清污辅助拦污栅
JP3193868U (ja) 水路の除塵装置
KR100378783B1 (ko)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
CN212506160U (zh) 一种抽水蓄能电站拦污装置
CN208603741U (zh) 一种自卸式翻转除渣机
CN219298150U (zh) 一种水电站拦污清理装置
KR100317813B1 (ko) 제진장치
CN220414165U (zh) 一种水利水电进水口布置结构
KR100689300B1 (ko) 로타리식 제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