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4089B1 - 침사 인양장치용 가변용량형 버켓 - Google Patents

침사 인양장치용 가변용량형 버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4089B1
KR101594089B1 KR1020150133809A KR20150133809A KR101594089B1 KR 101594089 B1 KR101594089 B1 KR 101594089B1 KR 1020150133809 A KR1020150133809 A KR 1020150133809A KR 20150133809 A KR20150133809 A KR 20150133809A KR 101594089 B1 KR101594089 B1 KR 101594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hinge
bucket body
rear end
sedi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3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취켓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취켓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취켓
Priority to KR1020150133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0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0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elements on an endless chain
    • E02F3/12Component parts, e.g. bucket troughs
    • E02F3/14Buckets; Chains; Guides for buckets or chains; Drives f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65G17/126Bucket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2Individual load-carriers
    • B65G17/36Individual load-carriers having concave surfaces, e.g. bu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02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 B65G65/06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with endless scraping or elevating pick-up convey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2Stream regulation, e.g. breaking up subaqueous rock, cleaning the beds of waterways, directing the water flow
    • E02B3/023Removing sedi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0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elements on an endless chain
    • E02F3/08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elements on an endless chain including a belt-type conveyor for transporting the excavated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0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elements on an endless chain
    • E02F3/12Component parts, e.g. bucket troughs
    • E02F3/14Buckets; Chains; Guides for buckets or chains; Drives for chains
    • E02F3/141Buckets; Chains; Guides for buckets or chains; Drives for chains bu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0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elements on an endless chain
    • E02F3/12Component parts, e.g. bucket troughs
    • E02F3/14Buckets; Chains; Guides for buckets or chains; Drives for chains
    • E02F3/143Buckets; Chains; Guides for buckets or chains; Drives for chains chains; chain links; scrape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415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 B65G2812/0261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 B65G2812/0267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68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and fixed or non-movably linked to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762Load-carriers
    • B65G2812/02772Plates or bu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26General arrangements for moving bulk material upwards or horizontally
    • B65G2814/0328Picking-up means
    • B65G2814/0331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4/0332Bucket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로 바닥에 있는 모래, 침사물 등을 침사 인양장치로 인양시 침사물의 용량에 따라 자동으로 버켓의 용량이 조절되어 침사물의 용량 초과에 따른 침사 인양장치의 과부하를 방지하고, 침사 인양장치의 과부하로 인해 버켓이 파손되거나 인양체인의 절단 및 파손, 구동감속기의 파손, 하수처리장의 운영 곤란 등의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버켓을 가변용량형의 구조적인 개선을 통해 침사물의 수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침사 인양장치용 가변용량형 버켓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침사 인양장치용 가변용량형 버켓{BUCKET WITH VARIABLE CAPACITY TYPE FOR PULLING UP SEND APPARATUS}
본 발명은 침사 인양장치용 가변용량형 버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로 등 침사지 바닥에 있는 모래, 침사물 등을 침사 인양장치로 인양시 침사물의 용량에 따라 자동으로 버켓의 용량이 조절되어 침사물의 용량 초과에 따른 침사 인양장치의 과부하를 방지하고, 침사 인양장치의 과부하로 인해 버켓이 파손되거나 인양체인의 절단 및 파손, 구동감속기의 파손, 하수처리장의 운영 곤란 등의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버켓을 가변용량형의 구조적인 개선을 통해 침사물의 수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침사 인양장치용 가변용량형 버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사 인양장치는 침사지에 침전된 하, 폐수 중의 모래 및 침사물을 수집하기 위한 장치로 모래 및 침사물을 상부로 인양하고, 이송장치와 연동하여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침사에 의한 유입 하수로의 막힘 현상이나 매몰 등이 예방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침사 인양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구동감속기와 구동스프로킷이 동력체인에 의해 연결되고, 그 하부 일측면에 침사 이송 컨베이어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스프로킷에 다수개의 버켓을 장착한 인양체인이 구비되며, 상기 인양체인을 무한궤도와 같은 원리로 이송을 안내하는 이송레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침사 인양장치는 구동감속기와 구동스프로킷에 의한 동력으로 인양체인을 구동시키면 인양체인은 무한궤도와 같는 원리로
+ 레일을 따라 회전되며, 인양체인에 구비된 다수의 버켓에 의해 유입 하수로의 바닥면에 침적된 침사물(흙, 모래 등)을 인양하여 수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침사 인양장치는 인양체인이 레일을 따라 순환할 때 침적된 침사물(흙, 모래 등)을 퍼올리도록 인양체인에 구비된 버켓의 구조는 내부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일정한 용량의 침사물이 내부에 수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버켓은 침사물의 수용 용량이 하단부와 상단부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침사물의 용량이 한정됨으로써 하수처리장 유입수에 홍수 또는 관로 등의 이상으로 다량의 모래 내지 자갈 등 침사물이 유입된 경우 상기 버켓이 침사물에 묻혀 인양장치의 운전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 무리하게 운전을 강행할 경우 과부하로 인해 버켓이 파손되거나 인양체인이 절단 및 파손되고, 구동감속기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침사 인양장치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 하수처리장의 운영에 상단한 차질이 발생하여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86267호(1999.12.15.)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40841호(2008. 06. 30.)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로 등 침사지 바닥에 있는 모래, 침사물 등을 침사 인양장치로 인양시 내부로 유입되는 침사물의 용량에 따라 자동으로 버켓의 용량이 조절되어 침사물의 용량 초과에 따른 침사 인양장치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침사 인양장치용 가변용량형 버켓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침사물의 용량에 따라 버켓의 용량이 가변되어 침사물의 용량 초과에 따른 침사 인양장치의 과부하를 방지함으로써 버켓이 파손되거나 인양체인의 절단 및 파손, 구동감속기의 파손, 하수처리장의 운영 곤란 등의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침사 인양장치용 가변용량형 버켓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변용량형으로 버켓의 구조적인 개선을 통해 침사물의 수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침사 인양장치용 가변용량형 버켓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상에서 구동 감속기(110)로 구동되는 구동 스프로켓(120)과 수중에 설치된 수중 스프로켓(130)에 무한궤도로 회전되도록 설치된 인양체인(140)에 다수 개가 장착된 침사 인양장치용 가변용량형 버켓에 있어서,
상기 버켓(200)은 선단부가 하향으로 경사지고, 후단부는 수직 상향으로 돌출되도록 굴곡된 하부 버켓 몸체(211)가 구비되고, 하부 버켓 몸체(211)의 양측단에 상부로 돌출된 하부 버켓 측면판(212)이 구비되며, 하부 버켓 몸체(211)에 상하로 관통된 다수의 하부 버켓 배수공(213)이 구비된 하부 버켓(210)과;
상기 하부 버켓(210)의 상부에 선단부가 상향으로 경사지고, 후단부는 수직 하향으로 돌출되도록 굴곡된 상부 버켓 몸체(221)가 구비되고, 상부 버켓 몸체(221)의 양측단에 하부로 돌출된 상부 버켓 측면판(222)이 구비되며, 상부 버켓 몸체(221)에 상하로 관통된 다수의 상부 버켓 배수공(223)이 구비되어 하부 버켓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상부 버켓(220)과;
상기 상부 버켓(220)의 상부 버켓 몸체(221) 후방에 구비되어 상부 버켓(220)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다수의 힌지구(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힌지구(230)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부 버켓(220)의 상부 버켓 몸체(221) 후단부에 고정되고, 중앙에 힌지공(231a)이 구비된 한 쌍의 지지판(231)과;
상기 지지판(231)의 힌지공(231a)에 결합되는 힌지핀(232)과;
상기 한 쌍의 지지판(231) 사이에 힌지핀(232)에 결합되어 일측단은 하부 버켓 몸체(211)의 후단부에 고정되며, 타측단은 상부 버켓 몸체(221) 상부에 지지되는 힌지 스프링(2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버켓(210)의 양측 하부 버켓 측면판(212)에 힌지구(230)를 중심으로 원호 형상으로 구비된 가이드공(240)과;
상기 상부 버켓(220)의 상부 버켓 측면판(222)에 가이드공(240)에 결합되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가이드 핀(250)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버켓(210)과 상부 버켓(220)의 하부 버켓 몸체(211) 하부와 상부 버켓 몸체(221) 상부에 직각으로 굴곡되어 하단면과 상단면 각각 수평이 되도록 구비된 다수의 지지 프레임(260)과;
상기 지지 프레임(260)의 하단면과 상단면에 각각 구비된 다수의 레일 슬라이딩 판(2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침사 인양장치용 가변용량형 버켓은 수로 등 침사지 바닥에 있는 모래, 침사물 등을 침사 인양장치로 인양시 내부로 유입되는 침사물의 용량에 따라 자동으로 버켓의 용량이 조절되어 침사물의 용량 초과에 따른 침사 인양장치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침사물의 용량에 따라 버켓의 용량이 가변되어 침사물의 용량 초과에 따른 침사 인양장치의 과부하를 방지함으로써 버켓이 파손되거나 인양체인의 절단 및 파손, 구동감속기의 파손, 하수처리장의 운영 곤란 등의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변용량형으로 버켓의 구조적인 개선을 통해 침사물의 수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사 인양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침사 인양장치용 가변용량형 버켓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침사 인양장치용 가변용량형 버켓의 배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침사 인양장치용 가변용량형 버켓의 힌지구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침사 인양장치용 가변용량형 버켓의 내부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침사 인양장치용 가변용량형 버켓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침사 인양장치용 가변용량형 버켓의 상부 버켓이 상부로 회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침사 인양장치용 가변용량형 버켓의 다른 실시예의 힌지구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침사 인양장치용 가변용량형 버켓의 다른 실시예의 힌지구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50은 수중 경사레일이고, 160은 수중 바닥레일이며, 170은 수직 경사레일이고, 180은 세정수 분사관이며, 190은 침사물 이송 컨베이어, 191은 침사물이다.
본 발명의 침사 인양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사지(100) 상부의 지상에서 구동 감속기(110)로 구동되는 구동 스프로켓(120)이 설치되고, 침사지(100) 수중에는 수중 스프로켓(130)과 상기 구동 스프로켓(120)과 수중 스프로켓(130) 사이 침사지(100) 수중에는 수중 경사레일(150)이 설치되고, 침사지(100 바닥에는 수중 바닥레일(160)이 설치되며, 수중 바닥레일(160)과 구동 스프로켓(120) 사이에는 수직 경사레일(17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스트로켓(120)과 수중 스프로켓(130)에 수중 경사레일(150)과 수직 경사레일(170)을 따라 인양체인(140)이 무한 궤도로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인양체인(140)에는 다수의 가변용량형 버켓(20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구동 스프로켓(120)의 상부에는 버켓(200)에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수 분사관(180)이 설치되고, 상기 구동 스프로켓(120)의 하부에는 버켓(200)에 의해 운반된 침사물(191)을 외부로 이송하는 침사물 이송 컨베이어(190)가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가변 용량형 버켓(200)의 하부 버켓(210)의 상부에는 상부 버켓(220)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상부 버켓(220)은 상부 버켓 몸체(221) 양측단에 하부로 돌출된 상부 버켓 측면판(222)이 하부 버켓(210)의 하부 버켓 몸체(211)의 양측단에는 상부로 돌출된 양측 하부 버켓 측면판(212)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하부 버켓(210)에 상부 버켓(220)을 결합하고, 상부 버켓(220)의 상부 버켓 측면판(222)에 외측으로 돌출된 가이드 핀(250)을 하부 버켓 측면판(222)에 구비된 가이드공(240)에 삽입되도록 결합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 핀(250)은 상부 버켓 측면판(222)에 가이드 핀 삽입공(도면에 미도시)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핀 삽입공으로 가이드 핀(250)을 삽입하여 하부 버켓 측면판(222)에 구비된 가이드공(240)에 삽입되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와 같이 가이드 핀(250)을 가이드공(240)에 삽입 후 가이드 핀(250)이 상부 버켓 측면판(222)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용접 등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 버켓(220)의 상부 버켓 몸체(221) 후방에 구비되어 상부 버켓(220)이 상하로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된 다수의 힌지구(230)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부 버켓(220)의 상부 버켓 몸체(221) 후단부에 고정되고, 중앙에 힌지공(231a)이 구비된 한 쌍의 지지판(231) 사이에 힌지 스프링(233)을 삽입하고, 지지판(231)의 힌지공(231a)에 힌지핀(231)을 삽입하여 힌지 스프링(233)을 결합한다.
이때 상기와 같이 한 쌍의 지지판(231) 사이에 삽입되는 힌지 스프링(233)의 일측단은 하향으로 돌출되어 하부 버켓 몸체(211)의 후단부에 밀착되어 고정되며, 타측단은 상부 버켓 몸체(221)의 후단부 상부에 지지되도록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버켓 몸체(211)의 후단부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힌지 스프링(233)의 일측단은 상부 버켓 몸체(221)와 분리되지 않도록 용접 등과 같은 방법으로 견고히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가변용량형 버켓(200)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스프로켓(120)과 수중 스프로켓(130)에 수중 경사레일(150)과 수직 경사레일(170)을 따라 무한 궤도로 회전되도록 설치된 인양체인(140)에 다수 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버켓(200)의 하부 버켓(210)은 도면에 도시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인양체인(140)에 양측 하부 버켓 측면판(212)이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인양체인(140)에 다수의 버켓(200)이 결합된 상태에서 구동감속기(110)가 작동되면 구동감속기(110)와 동력체인(도면에 부호 미도시)으로 연결된 구동 스프로켓(120)이 회전되고, 구동 스프로켓(120)의 회전에 따라 구동 스프로켓(120)과 수중 스프로켓(130)에 무한 궤도로 설치된 인양체인(140)이 수중 경사레일(150)과 수직 경사레일(170)을 따라 이송되고, 인양체인(140)에 결합된 다수의 버켓(200)도 인양체인(140)과 함께 이송된다.
즉 인양체인(140)과 이송되는 버켓(200)은 지상에서 수중 경사레일(150)을 따라 침사지(100)의 수중으로 이송되고, 수중으로 이송되는 버켓(200)은 수중 스프로켓(130)에 의해 침사지(100)의 바닥으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버켓(200)은 수중 경사레일(150)을 따라 이송할 때는 상부 버켓(220)이 하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이송되고, 수중 스프로켓(13)에 의해 침사지(1000 바닥으로 이송되면서 하부 버켓(210)이 하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침사지(100)의 바닥으로 이송된 버켓(2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사지(100)의 바닥에 설치된 수중 바닥레일(160)의 상부에 하부 버켓(210)이 슬라이딩 되면서 이송된다.
즉 하부 버켓(210)의 하부 버켓 몸체(211) 하부에 직각으로 굴곡되어 하단면이 수평으로 연장된 지지 프레임(260)의 하단면에 구비된 레일 슬라이딩 판(270)이 수중 바닥레일(160)의 상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레일 슬라이딩 판(270)이 수중 바닥레일(160)의 상부면에 슬라이딩되면서 이송됨으로써 침사지(100) 수중 바닥에서 용이하게 이송될 수 있고, 하부 버켓(210)의 하부 버켓 몸체(211)가 수중 바닥레일(160)과의 마찰에 의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버켓(200)이 이송되면서 침사지(100) 바닥에 침전된 침사물(191)이 하부 버켓 몸체(211)와 상부 버켓 몸체(221)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침사물(191)을 버켓(200)은 수직 경사레일(170)을 따라 침사지(100)의 지상으로 이송시킨다.
이때,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사물(191)이 용량이 버켓(200)의 용량보다 적을 경우에는 하부 버켓 몸체(211)와 상부 버켓 몸체(221) 내부로 유입된 상태에서 지상으로 이송되고, 침사물(191)의 용량이 버켓(200)의 용량보다 많을 경우에는 침사물(191)이 내부로 유입되면서 상부 버켓(220)의 상부 버켓 몸체(221)가 힌지구(230)의 힌지핀(232)을 중심으로 상부로 회동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상부 버켓 몸체(221)가 힌지핀(232)을 중심으로 상부로 회동되면서 하부 버켓 몸체(211)와 상부 버켓 몸체(221) 내부에는 평상시보다 많은 침사물(191)이 유입된다.
또한 상부 버켓 몸체(221)가 힌지핀(232)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상부 버켓 측면판(222)에 외측으로 돌출된 가이드 핀(250)은 하부 버켓 측면판(212)에 힌지구(230)를 중심으로 원호 형상으로 구비된 가이드공(240)을 가이드 되면서 상부로 이송되고, 상기 가이드 핀(25)이 가이드 공(240)의 상단부에 걸리게 되면 상부 버켓 몸체(221)는 더 이상 상부로 이송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침사물(191)의 용량이 버켓(200)의 용량보다 많을 경우에 침사물(191)이 내부로 유입되면서 상부 버켓(220)의 상부 버켓 몸체(221)가 힌지구(230)의 힌지핀(232)을 중심으로 상부로 회동되고, 상부 버켓(220)이 상부로 회동되어 평상시보다 많은 용량의 침사물(191)이 유입된 상태에서 버켓(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경사레일(170)을 따라 지상으로 이송되며, 구동 스프로켓(120)을 지나면서 힌지구(230)가 상부에 위치되도록 방향이 바뀌면서 내부의 침사물(191)은 구동 스프로켓(120) 하부에 구비된 침사물 이송 컨베이어(190)의 상부로 배출되어 외부로 이송된다.
이때 버켓(200)은 내부의 침사물(191)이 침사물 이송 컨베이어(190)에 배출된 후 힌지구(230)의 힌지 스프링(233) 탄성력 의해 상부 버켓(220)이 원상태로 회동된다.
그리고 침사물(191)과 함께 버켓(200)의 내부에 수용된 물은 버켓(200)이 지상으로 이송되면서 하부 버켓 몸체(211)와 상부 버켓 몸체(221)에 물만 배출되는 크기로 다수 구비된 하부 버켓 배수공(213)과 상부 버켓 배수공(223)을 통해 버켓(200) 외부로 배출되고, 버켓(200) 내부에는 침사물(191)만이 남겨진 상태에서 이송되어 침사물 이송 컨베이어(190)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버켓(200)은 내부의 침사물(191)이 침사물 이송 컨베이어(190)에 배출되면서 구동 스프로켓(120)의 상부에 설치된 세정수 분사관(180)에서 분사되는 세정수에 의해 세척된 후 다시 침사지(100) 수중으로 이송된다.
상기와 같이 내부로 유입되는 침사물의 용량이 버켓(200)의 평상시 용량보다 많을 경우 자동으로 버켓(200)의 상부 버켓(220)이 상부로 회동되어 용량이 조절됨으로써 침사물(191)의 용량 초과에 따른 버켓(200)과 치사 인양장치의 과부하를 방지하고, 과부하에 따라 버켓(200)이 파손되거나 인양체인(140)의 절단 및 파손, 구동감속기(110)의 파손, 하수처리장의 운영 곤란 등의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8과 도 9는 용량 가변형 버켓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구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가변 용량형 버켓(200)은 하부 버켓(210) 상부에 상부 버켓(220)을 결합하되, 하부 버켓(210)의 하부 버켓 몸체(211) 후단부에 설치된 하부 힌지판(234)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하부 버켓 몸체(211) 후방으로 돌출된 다수의 하부 힌지링(234)에 상부 버켓(220)의 상부 버켓 몸체(221) 후단부에 설치된 상부 힌지판(236)에서 상기 다수의 하부 힌지링(235)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부 버켓 몸체(221) 후방으로 돌출된 다수의 상부 힌지링(237)을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결합한다.
그리고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된 하부 힌지링(235)과 상부 힌지링(237) 내부에 고정 힌지핀(238)를 삽입하여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힌지구(230)는 침사지(100) 바닥의 침사물(191)을 인양시 버켓(200)의 용량보다 침사물의 용량이 많을 경우 하부 버켓 몸체(221)와 상부 버켓 몸체(221) 내부로 침사물이 유입되면서 상부 버켓 몸체(221)가 힌지구(230)의 고정힌지핀(238)을 중심으로 상부로 회동되도록 실시할 수 있다.
100 ; 침사지
110 : 구동감속기 120 : 구동 스프로켓
130 : 수중 스프로켓 140 : 인양체인
200 : 버켓
210 : 하부 버켓 211 : 하부 버켓 몸체
212 : 하부 버켓 측면판 213 : 하부 버켓 배수공
220 : 상부 버켓 221 : 상부 버켓 몸체
222 : 상부 버켓 측면판 223 : 상부 버켓 배수공
230 : 힌지구 231 : 지지판
231a : 힌지공 232 : 힌지핀
233 : 힌지 스프링 234 : 하부 힌지판
235 : 상부 힌지판 236 : 고정힌지
240 : 가이드공 250 : 가이드 핀
260 : 지지프레임 270 : 슬라이딩판

Claims (5)

  1. 지상에서 구동 감속기(110)로 구동되는 구동 스프로켓(120)과 수중에 설치된 수중 스프로켓(130)에 무한궤도로 회전되도록 설치된 인양체인(140)에 다수 개가 장착된 침사 인양장치용 가변용량형 버켓에 있어서,
    상기 버켓(200)은 선단부가 하향으로 경사지고, 후단부는 수직 상향으로 돌출되도록 굴곡된 하부 버켓 몸체(211)가 구비되고, 하부 버켓 몸체(211)의 양측단에 상부로 돌출된 하부 버켓 측면판(212)이 구비되며, 하부 버켓 몸체(211)에 상하로 관통된 다수의 하부 버켓 배수공(213)이 구비된 하부 버켓(210)과;
    상기 하부 버켓(210)의 상부에 선단부가 상향으로 경사지고, 후단부는 수직 하향으로 돌출되도록 굴곡된 상부 버켓 몸체(221)가 구비되고, 상부 버켓 몸체(221)의 양측단에 하부로 돌출된 상부 버켓 측면판(222)이 구비되며, 상부 버켓 몸체(221)에 상하로 관통된 다수의 상부 버켓 배수공(223)이 구비되어 하부 버켓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상부 버켓(220)과;
    상기 상부 버켓(220)의 상부 버켓 몸체(221) 후방에 구비되어 상부 버켓(220)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다수의 힌지구(230)를 포함하되,
    상기 힌지구(230)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부 버켓(220)의 상부 버켓 몸체(221) 후단부에 고정되고, 중앙에 힌지공(231a)이 구비된 한 쌍의 지지판(231)과; 상기 지지판(231)의 힌지공(231a)에 결합되는 힌지핀(232)과; 상기 한 쌍의 지지판(231) 사이에 힌지핀(232)에 결합되어 일측단은 하부 버켓 몸체(211)의 후단부에 고정되며, 타측단은 상부 버켓 몸체(221) 상부에 지지되는 힌지 스프링(2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사 인양장치용 가변용량형 버켓.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버켓(210)의 양측 하부 버켓 측면판(212)에 힌지구(230)를 중심으로 원호 형상으로 구비된 가이드공(240)과;
    상기 상부 버켓(220)의 상부 버켓 측면판(222)에 가이드공(240)에 결합되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가이드 핀(2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사 인양장치용 가변용량형 버켓.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버켓(210)과 상부 버켓(220)의 하부 버켓 몸체(211) 하부와 상부 버켓 몸체(221) 상부에 직각으로 굴곡되어 하단면과 상단면 각각 수평이 되도록 구비된 다수의 지지 프레임(260)과;
    상기 지지 프레임(260)의 하단면과 상단면에 각각 구비된 다수의 레일 슬라이딩 판(2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사 인양장치용 가변용량형 버켓.
  5. 지상에서 구동 감속기(110)로 구동되는 구동 스프로켓(120)과 수중에 설치된 수중 스프로켓(130)에 무한궤도로 회전되도록 설치된 인양체인(140)에 다수 개가 장착된 침사 인양장치용 가변용량형 버켓에 있어서,
    상기 버켓(200)은 선단부가 하향으로 경사지고, 후단부는 수직 상향으로 돌출되도록 굴곡된 하부 버켓 몸체(211)가 구비되고, 하부 버켓 몸체(211)의 양측단에 상부로 돌출된 하부 버켓 측면판(212)이 구비되며, 하부 버켓 몸체(211)에 상하로 관통된 다수의 하부 버켓 배수공(213)이 구비된 하부 버켓(210)과;
    상기 하부 버켓(210)의 상부에 선단부가 상향으로 경사지고, 후단부는 수직 하향으로 돌출되도록 굴곡된 상부 버켓 몸체(221)가 구비되고, 상부 버켓 몸체(221)의 양측단에 하부로 돌출된 상부 버켓 측면판(222)이 구비되며, 상부 버켓 몸체(221)에 상하로 관통된 다수의 상부 버켓 배수공(223)이 구비되어 하부 버켓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상부 버켓(220)과;
    상기 상부 버켓(220)의 상부 버켓 몸체(221) 후방에 구비되어 상부 버켓(220)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다수의 힌지구(230)를 포함하되,
    상기 힌지구(230)는 하부 버켓(210)의 하부 버켓 몸체(211) 후단부에 구비된 하부 힌지판(234)과; 상기 하부 힌지판(234)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하부 버켓 몸체(211)의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다수의 하부 힌지링(235)과; 상부 버켓(220)의 상부 버켓 몸체(221) 후단부에 구비된 상부 힌지판(236)과; 상기 상부 힌지판(236)에 다수의 하부 힌지링(235) 사이 위치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부 버켓 몸체(221)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다수의 상부 힌지링(237)과; 상기 하부 힌지링(235)과 상부 힌지링(237)에 삽입되는 고정힌지핀(23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사 인양장치용 가변용량형 버켓.
KR1020150133809A 2015-09-22 2015-09-22 침사 인양장치용 가변용량형 버켓 KR101594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809A KR101594089B1 (ko) 2015-09-22 2015-09-22 침사 인양장치용 가변용량형 버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809A KR101594089B1 (ko) 2015-09-22 2015-09-22 침사 인양장치용 가변용량형 버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4089B1 true KR101594089B1 (ko) 2016-02-15

Family

ID=55357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3809A KR101594089B1 (ko) 2015-09-22 2015-09-22 침사 인양장치용 가변용량형 버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40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5890B1 (ko) * 2019-07-18 2020-01-13 태광식 버킷을 이용한 침사인양기
CN115478573A (zh) * 2022-09-28 2022-12-16 徐州万茂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可扩容式挖机挖斗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5890B1 (ko) * 2019-07-18 2020-01-13 태광식 버킷을 이용한 침사인양기
CN115478573A (zh) * 2022-09-28 2022-12-16 徐州万茂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可扩容式挖机挖斗
CN115478573B (zh) * 2022-09-28 2024-04-09 徐州万茂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可扩容式挖机挖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7872B1 (ko) 모래 제거를 위한 버킷이 구비된 로터리 제진기
US10112131B2 (en) Waste screening apparatus
AU2019422012B2 (en) Bucket-wheel emergency dredging device
KR100919275B1 (ko) 무언체 수문
KR101594089B1 (ko) 침사 인양장치용 가변용량형 버켓
CN108930328A (zh) 一种清理雨水管道淤泥的机器人
KR102212858B1 (ko) 대형협잡물 제거가 가능한 전위스크린 미설치형 제진기
KR101133073B1 (ko) 제진기
CN109056879A (zh) 一种河道淤泥清理装置及施工方法
KR101332278B1 (ko) 동조기어장치를 가지는 상승개폐식 로터리 제진기
KR101760094B1 (ko) 수평형 제진기
KR101367564B1 (ko) 트롬멜장치
CN106013412B (zh) 一种市政工程道路下水道智能清理设备
KR102150568B1 (ko) 협잡물 배출기능이 개선된 로터리 제진기
US4877537A (en) Pumping system for gates
KR102182705B1 (ko) 제진기
KR200440841Y1 (ko) 침사 인양장치
JP5555339B1 (ja) ダム下流の構造
CN106149784A (zh) 一种河道淤泥清理设备
KR101012031B1 (ko) 과부하 방지 기능을 갖는 매몰 방지용 침사 인양장치
CN101817566B (zh) 污水处理中的摇臂网兜式格栅清渣机
CN101296752A (zh) 从流体去除磁性粒子
CN219909132U (zh) 一种水渠清泥装置
KR101490083B1 (ko) 침사물에 포함된 모래 및 협잡물의 분리 배출 시스템
KR101570401B1 (ko) 협잡물 제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