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7564B1 - 트롬멜장치 - Google Patents

트롬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7564B1
KR101367564B1 KR1020110089620A KR20110089620A KR101367564B1 KR 101367564 B1 KR101367564 B1 KR 101367564B1 KR 1020110089620 A KR1020110089620 A KR 1020110089620A KR 20110089620 A KR20110089620 A KR 20110089620A KR 101367564 B1 KR101367564 B1 KR 101367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housing
gear
ring gear
suppor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9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5777A (ko
Inventor
김현배
김연실
Original Assignee
김연실
김현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연실, 김현배 filed Critical 김연실
Priority to KR1020110089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7564B1/ko
Publication of KR20130025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5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07B1/26Revolving drums with additional axial or radial movement of the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명칭] 트롬멜장치
[구성] 팔각형의 원기둥 형태를 띠고 각 면마다 개방부(11)가 형성되며, 좌우의 끝에는 보강 링(12)이 일체로 고정되고, 일측으로는 외치형 링 기어(13)가 일체로 고정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외치형 링 기어(13)의 관부 및 외치형 링 기어(13)의 반대쪽 보강 링(12)의 저면에 접촉된 채 회전하는 하우징(10)을 떠받히기 위한 4개의 롤러(6)와;
상기 롤러(6)를 핀(7)으로 조립시킨 채 프레임(1) 상에 고정되는 4개의 지지대(5)와;
프레임(1) 상에 고정되는 보강대(2)에 고정되고 상기 외치형 링 기어(13)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4)가 축에 고정된 감속모타(3)와;
상기 하우징(10)의 외치형 링 기어(13)와 상기 외치형 링 기어(13)에 근접하여 있는 보강 링(12) 사이의 위치이며 프레임(1) 상에 고정되고, 내치형 링 기어(9)가 형성된 버팀대(8)와;
상기 버팀대(8)에 근접한 위치의 하우징(10) 상의 8면에 각각 고정되는 지브베어링(24)에 의해 지지되는 샤프트(21)와, 상기 샤프트(21)의 한쪽 끝에 고정된 채 상기 버팀대(8)의 내치형 링 기어(9)와 맞물리는 기어(22)와, 상기 기어(22)의 반대쪽 끝에 고정되는 마이티기어(23)로 되며 8세트로 이루어진 전동수단(20)과;
상기 하우징(10)의 개방부(11)를 제외한 잉여 면적에 고정되는 지브베어링(50)에 의해 제 1 보조 축(34)과 제 2 보조 축(36)이 지지되고, 제 1 보조 축(34)의 끝에는 상기 전동수단(20)의 마이티기어(23)와 맞물리는 제 2 마이티기어(35)가 고정되며, 제 2 보조 축(36)의 끝에는 V-벨트풀리(37)가 고정되고, 제 1 보조 축(34)과 제 2 보조 축(36)의 사이에 일체로 고정되는 대구경 축(33)에는 크기가 큰 쓰레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원판(31)이 균등한 간격으로 배열되며, 상기 원판(31)의 사이사이에는 크기가 작은 이물질을 하방으로 신속하게 배출시키기 위한 돌출쇠(32)가 방사상으로 균등한 간격을 유지한 채 고정되어 있는 8개의 구동롤러(30)와;
상기 하우징(10)의 개방부(11)를 제외한 잉여 면적에 고정되는 지브베어링(50)에 의해 제 1 보조 축(44)과 제 2 보조 축(45)이 지지되고, 제 2 보조 축(45)의 끝에는 V-벨트풀리(46)가 고정되고, 제 1 보조 축(44)과 제 2 보조 축(45)의 사이에 일체로 고정되는 대구경 축(43)에는 크기가 큰 쓰레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원판(41)이 균등한 간격으로 배열되며, 상기 원판(41)의 사이사이에는 크기가 작은 이물질을 하방으로 신속하게 배출시키기 위한 돌출쇠(42)가 방사상으로 균등한 간격을 유지한 채 고정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10)의 개방부(11) 길이 전체에 걸쳐 서로 근접한 위치를 유지하면서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피동롤러(40)들과;
상기 구동롤러(30)들과 피동롤러(40)들의 V-벨트풀리(37)(46)에 감겨서 구동롤러(30)들과 피동롤러(40)들이 일방향으로 동일한 속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V-벨트(60)(6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110089620
트롬멜

Description

트롬멜장치{TROMMEL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일예로 나타낸 참고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하우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를 기준한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중요 구성만을 발췌하여 나타낸 참고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전동수단과 구동롤러 그리고 피동롤러의 작동 요령을 일부만 나타낸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의 피동롤러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구동롤러를 나타낸 평면도.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구동롤러와 피동롤러의 종단면도.
본 발명은 트롬멜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트롬멜장치와는 구조적인 큰 차이를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배출구멍이 막히는 문제와 피선별물의 정체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는데, 종래의 트롬멜장치는 본 발명과 같이 회전하는 드럼에 토사나 작은 돌, 모래 등이 배출되는 구멍이 뚫려 있으나 본 발명의 트롬멜장치는 구멍 대신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전하는 롤러장치로 대체된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삭제
종래 트롬멜장치에 있어서, 메시 형태로 된 금속 망을 파이프 형태로 말아서 드럼으로 제작한 경우 쓰레기에 포함되어 있는 진흙이나 토사, 먼지 등의 이물질이 메시의 구멍을 막아버리는 폐단이 있어 수시로 트롬멜장치를 정지시키고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금속 망의 구멍을 뚫어주거나 또는 회전하는 드럼의 하우징을 망치 등으로 계속 타격하여서 금속 망의 구멍을 막고 있는 이물질을 제거시키는 작업을 하고 있으나 이는 원시적인 일시적 처방에 지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장치의 파손율이 높고 안전사고가 발생될 위험이 항상 도사리고 있다.
이에 트롬멜장치의 드럼에 상술한 금속 망의 구멍보다 더 큰 사이즈의 구멍(원형 또는 사각형)을 연속적으로 형성시켜서 된 것을 사용하게 되었는데,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금속 망을 드럼 형태로 말아서 사용하는 타입에 비하여 구멍의 막힘 현상이 약간 개선될 수는 있으나 역시 진흙이나 토사, 먼지 등의 이물질이 드럼의 구멍을 막아버리는 현상은 해결할 방도가 없어 상술한 바와 같이 원시적인 방법을 동원하여 구멍의 막힘 현상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드럼에 형성된 구멍이 막히게 되면 흙이나 자갈, 토사, 작은 이물질 등이 드럼의 외부로 빠져나갈 수가 없고 드럼 안에 채워진 큰 사이즈의 쓰레기와 뒤엉겨 회전하기 때문에 쓰레기가 드럼을 빠져나가는 시간이 지연됨은 물론 쓰레기의 선별작용이 불량하게 되므로 결국 여러 대의 트롬멜장치를 사용하게 되는 비경제적이고 불합리한 폐단이 계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트롬멜장치의 드럼 내부에서 진흙과 토사, 작은 이물질 등이 크기가 큰 쓰레기와 함께 뒤엉긴 채 회전을 하기 때문에 드럼을 벗어나는 속도가 당연히 지연되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한 목적으로 현재 사용하고 있는 트롬멜장치의 드럼은 모두 30° 내외의 각도가 되도록 경사지게 하여 회전을 시키고 있는데, 이와 같이 경사가 지게 되면 드럼 안에 채워진 쓰레기가 드럼을 벗어나는 시간을 줄일 수는 있겠으나 결국 진흙과 토사, 자갈, 이물질 등과 분리되지 못한 큰 사이즈의 쓰레기는 진흙과 토사, 자갈, 이물질 등과 함께 뒤엉겨서 드럼을 벗어나는 불합리한 문제가 발생될 수밖에 없는 것이고, 이러한 폐단으로 인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여러 대의 트롬멜장치를 사용할 수밖에 없는 처지에 놓여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장치에 대한 투자비율이 상승되어 경제성이 불량함은 당연하고 크기가 큰 쓰레기와 상기 이물질의 분리 효율이 50%를 밑돌아서 여러 대의 트롬멜장치를 가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당연히 많은 장소를 차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공장의 면적을 필요 이상으로 크게 확보하여야 하므로 더욱 경제성이 불량해질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숫자도 증가되어야 하는 등의 여러 가지 해결하여야 할 과제를 안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트롬멜장치로부터 비롯되고 있는 다수의 문제 와 폐단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트롬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팔각형의 원기둥 형태를 띠고 각 면마다의 버팀대(11a) 사이사이로 개방부(11)가 형성되며, 좌우의 끝에는 보강 링(12)(12a)이 일체로 고정되고, 보강 링(12) 쪽으로 외치형 링 기어(13)가 일체로 고정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외치형 링 기어(13)의 관부(13a) 및 외치형 링 기어(13)의 반대쪽 보강 링(12a)의 저면에 접촉된 채 회전하는 하우징(10)을 떠받히기 위한 4개의 롤러(6)와;
상기 롤러(6)를 핀(7)으로 조립시킨 채 프레임(1) 상에 고정되는 4개의 지지대(5)와;
프레임(1) 상에 고정되는 보강대(2)에 고정되고 상기 외치형 링 기어(13)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4)가 축에 고정된 감속모타(3)와;
상기 하우징(10)의 외치형 링 기어(13)와 상기 외치형 링 기어(13)에 근접하여 있는 보강 링(12) 사이의 위치이며 프레임(1) 상에 고정되고, 내치형 링 기어(9)가 형성된 버팀대(8)와;
상기 버팀대(8)에 근접한 위치의 하우징(10) 상의 8면에 각각 고정되는 2개 1조의 지브베어링(24)에 의해 지지되는 샤프트(21)와, 상기 샤프트(21)의 한쪽 끝에 고정된 채 상기 버팀대(8)의 내치형 링 기어(9)와 맞물리는 기어(22)와, 상기 기어(22)의 반대쪽 끝에 고정되는 마이티기어(23)로 되며 하우징(10)의 8면에 각각 설치되는 쓰레기이송용 구동롤러 회전장치(20)들과;
상기 하우징(10)의 버팀대(11a)에 고정되는 2개 1조의 지브베어링(50)에 의해 제 1 지지축(34)과 제 2 지지축(36)이 조립되고, 제 1 지지축(34)의 끝에는 상기 쓰레기이송용 구동롤러 회전장치(20)의 마이티기어(23)와 맞물리는 제 2 마이티기어(35)가 고정되며, 제 2 지지축(36)의 끝에는 V-벨트풀리(37)가 고정되고, 제 1 지지축(34)과 제 2 지지축(36)의 사이에 일체로 고정되는 대구경 축(33)에는 크기가 큰 쓰레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원판(31)이 균등한 간격으로 배열되며, 상기 원판(31)의 사이사이에는 크기가 작은 이물질을 하방으로 신속하게 배출시키기 위한 돌출쇠(32)가 방사상으로 균등한 간격을 유지한 채 하우징(10)의 8개소의 개방부(11)에 각각 설치되는 쓰레기이송용 구동롤러(30)들과;
상기 하우징(10)의 개방부(11)를 형성하는 버팀대(11a)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마주보도록 고정되는 지브베어링(50a)에 의해 제 1 지지축(44)과 제 2 지지축(45)이 조립되고, 제 2 지지축(45)의 끝에는 V-벨트풀리(46)가 고정되고, 제 1 지지축(44)과 제 2 지지축(45)의 사이에 일체로 고정되는 대구경 축(43)에는 크기가 큰 쓰레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원판(41)이 균등한 간격으로 배열되며, 상기 원판(41)의 사이사이에는 크기가 작은 이물질을 하방으로 신속하게 배출시키기 위한 돌출쇠(42)가 방사상으로 균등한 간격을 유지한 채 고정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10)의 8개소의 개방부(11)에 각각 설치되는 쓰레기이송용 피동롤러(40)들과;
상기 쓰레기이송용 구동롤러(30)들과 쓰레기이송용 피동롤러(40)들의 V-벨트풀리(37)(46)에 감겨서 쓰레기이송용 구동롤러(30)들과 쓰레기이송용 피동롤러(40)들이 일방향으로 동일한 속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V-벨트(60)(6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서, 쓰레기이송용 구동롤러(30)와 쓰레기이송용 피동롤러(40)의 각 원판(31)(41)은 가장자리가 톱니 형태 또는 기어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대체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근거로 설명하는 바, 상기의 구성에서 각 구성품은 용접고정 또는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것이고 이는 공지의 수준이므로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하며, 감속모타(3)에 전기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 및 콘트롤 박스 등도 당연히 있어야 하는 공지의 수단에 지나지 않는 것이므로 역시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았음을 밝힌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하우징(10)을 떠받히기 위한 롤러(6)의 모양은 변화될 수 있고, 그 숫자도 증가될 수 있음은 당연한 이치이며, 하우징(10)의 형태를 오각형 이상 다각형으로 변화시키는 것 그리고 외치형 링 기어(13)와 감속모타(3)의 피니언 기어(4)를 체인기어로 바꾸고 체인을 걸거나 또는 외치형 링 기어(13)와 감속모타(3)의 피니언 기어(4)를 V-벨트풀리로 바꾸고 V-벨트를 거는 것, 마이티기어를 보통의 베벨기어 또는 헬리컬 베벨기어 등으로 바꾸는 것은, 본 발명으로부터 상업적인 변화를 가한 정도에 지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단순 변화 정도는 본 발명으로부터 얼마든지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는 것임이 자명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10)의 형태를 8각형으로 정하고 이에 따라 이하 작용 및 실시예를 제시하는 것임을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하부징(10)은 상기한 바와 같이 팔각형의 원기둥 형태를 띠고 각 면마다 개방부(11)가 형성되며, 개방부(11)를 형성하기 위하여 버팀대(11a)가 존재하여야 함은 당연한 이치이다. 그리고 하우징(10)의 좌우의 끝에는 보강 링(12)(12a)이 일체로 고정되고 보강 링(12) 쪽으로는 외치형 링 기어(13)가 일체로 고정되도록 하고 있으며, 각 버팀대(11a)에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쓰레기이송용 구동롤러(30)들과 쓰레기이송용 피동롤러(40)들을 설치하기 위한 지브베어링(50)(50a)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쓰레기이송용 구동롤러 회전장치(20)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도 2와 도 4를 기준하여 하우징(10)의 개방부(11)의 우측 부분은 충분한 면적이 남도록 하여야 함은 당연한 이치일 것이다.
다음, 상기 롤러(6)와 지지대(5)는 본 발명의 도면으로부터 지극히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며, 본 발명의 감속모타(3)는 도면과 같이 프레임(1) 상에 고정되는 보강대(2)에 고정되고 상기 외치형 링 기어(13)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4)가 축에 고정되어 있는데, 여기서 보강대(2)는 다른 형태의 구조로 대체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다음, 상기 하우징(10)의 외치형 링 기어(13)의 외측으로는 도 2 및 도 4와 같이 내치형 링 기어(9)가 형성된 버팀대(8)가 프레임(1) 상에 고정이 된다.
이어서 살피면, 본 발명의 쓰레기이송용 구동롤러 회전장치(2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기 버팀대(8)에 근접한 위치의 하우징(10) 상의 8면에 각각 고정되는 지브베어링(24)에 의해 지지되는 샤프트(21)와, 상기 샤프트(21)의 한쪽 끝에 고정된 채 상기 버팀대(8)의 내치형 링 기어(9)와 맞물리는 기어(22)와, 상기 기어(22)의 반대쪽 끝에 고정되는 마이티기어(23)로 되며 도면과 같이 하우징(10)의 1면마다 1세트씩 구비되는데, 도 5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하우징(10)의 1개의 개방부(11)를 기준하여 상술한 쓰레기이송용 구동롤러 회전장치(20) 그리고, 쓰레기이송용 구동롤러 회전장치(20)에 의해 회전하는 쓰레기이송용 구동롤러(30), 쓰레기이송용 구동롤러(30)에 의해 피동되는 9개의 쓰레기이송용 피동롤러(40)들만을 도시한 것임을 밝히며, 쓰레기이송용 피동롤러(40)들의 숫자는 하우징(10)의 크기에 따라 증가하거나 감소될 수 있음도 당연한 이치이다.
다음, 본 발명의 쓰레기이송용 구동롤러(30)에 대해 살핀다.
이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개방부(11)를 형성하는 바팀대(11a)에 고정되는 지브베어링(50)에 의해 제 1 지지축(34)과 제 2 지지축(36)이 조립되고, 제 1 지지축(34)의 끝에는 상기 쓰레기이송용 구동롤러 회전장치(20)의 마이티기어(23)와 맞물리는 제 2 마이티기어(35)가 고정되며, 제 2 지지축(36)의 끝에는 V-벨트풀리(37)가 고정되고, 제 1 지지축(34)과 제 2 지지축(36)의 사이에 일체로 고정되는 대구경 축(33)에는 크기가 큰 쓰레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원판(31)이 균등한 간격으로 배열되며, 상기 원판(31)의 사이사이에는 크기가 작은 이물질을 하방으로 신속하게 배출시키기 위한 돌출쇠(32)가 방사상으로 균등한 간격을 유지한 채 고정되어 있는데, 도면과 같이 하우징(10)의 각 개방부(11)마다 1개씩이 구비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쓰레기이송용 피동롤러(40)에 대해 살피면,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개방부(11)를 형성하는 버팀대(11a)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마주보도록 고정되는 지브베어링(50a)에 의해 제 1 지지축(44)과 제 2 지지축(45)이 지지되고, 제 2 지지축(45)의 끝에는 V-벨트풀리(46)가 고정되고, 제 1 지지축(44)과 제 2 지지축(45)의 사이에 일체로 고정되는 대구경 축(43)에는 크기가 큰 쓰레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원판(41)이 균등한 간격으로 배열되며, 상기 원판(41)의 사이사이에는 크기가 작은 이물질을 하방으로 신속하게 배출시키기 위한 돌출쇠(42)가 방사상으로 균등한 간격을 유지한 채 고정되어 있고, 도면과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8개소의 개방부(11)에 각각 설치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피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참고 사시도인데, 제 1 컨베어벨트(100)를 통해 상기의 쓰레기가 하우징(10)의 안으로 공급되도록 하나 그 이전에 마 그네트장치(200)를 이용하여 금속성의 이물질은 선별하여서 제 3 컨베어벨트(400)를 통해 보관장소로 이동시킬 수도 있음을 밝힌다.
이어서 금속성 이물질이 제거된 쓰레기는 하우징(10) 안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 2 컨베어벨트(300) 위로 추락하여 하우징(10) 안으로 공급이 되기 시작하는데, 이때 감속모타(3)의 구동력은 피니언기어(4)를 거쳐 외치형 링 기어(13)에 전달되기 때문에 결국 하우징(10)은 회전을 하게 되며, 이때 하우징(10)은 좌회전이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우징(10)이 좌회전을 하게 되면 쓰레기이송용 구동롤러 회전장치(20)의 기어(22)는 버팀대(8)의 내치형 링 기어(9)에 맞물려 있으므로 우회전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 1 마이티기어(23)도 우회전을 하게 되며, 제 1 마이티기어(23)와 맞물려 있는 제 2 마이티기어(35)는 쓰레기이송용 구동롤러(30)들을 회전시키게 됨에 따라 하우징(10) 안으로 투입되는 쓰레기 및 이물질은 쓰레기이송용 피동롤러(40)들과 쓰레기이송용 구동롤러(30)들에 의하여 도 1을 기준하여 좌측 끝의 보강 링(12)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되는 바, 쓰레기이송용 구동롤러(30)의 V-벨트풀리(37)와 쓰레기이송용 피동롤러(40)들의 V-벨트풀리(46)들은 도면과 같이 V-벨트(60)(61)로 모두 연결이 되어 있어 위와 같은 회전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제 2 컨베어벨트(300)를 통해 하우징(10) 안으로 추락한 쓰레기와 이물질 등은 회전하고 있는 하우징(10) 안에서 구름운동과 추락운동을 하게 됨과 아울러 본 발명의 쓰레기이송용 구동롤러(30)들과 쓰레기이송용 피동롤러(40)들의 회전력에 의하여 도 1을 기준하여 좌측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되는데, 이때 쓰레기이송용 구동롤러(30)와 쓰레기이송용 피동롤러(40)들이 서로 수평상으로 형성되는 틈새보다 큰 크기의 쓰레기는 쓰레기이송용 구동롤러(30)들의 원판(31) 및 쓰레기이송용 피동롤러(40)들의 원판(41)의 회전력에 의하여 이들 원판(31)(41)들의 위에 얹혀서 도 1을 기준하여 좌측으로 순조롭게 이동을 하고, 쓰레기이송용 구동롤러(30)와 쓰레기이송용 피동롤러(40)들이 서로 형성하는 수평상의 틈새보다 작은 크기의 이물질들은 쓰레기이송용 구동롤러(30)와 쓰레기이송용 피동롤러(40)들의 대구경 축(33)(43)에 방사상으로 고정되어 있는 돌출쇠(32)(42)들의 회전력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그리고 신속하게 하우징(10)의 하방으로 배출이 되며, 이들은 제 4 컨베어벨트(500) 및 제 6 컨베어벨트(700)를 통해 다음의 처리 공정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한편, 크기가 큰 쓰레기는 하우징(10)을 빠져 나와서 제 5 컨베어벨트(600)에 얹히게 되고 이 역시 다음의 처리 공정으로 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실시 과정에서 상술한 원판(31)(41)은 고속으로 회전을 하면서 흙과 토사, 자갈 등의 이물질과 뒤엉긴 쓰레기를 파헤치면서 이물질 등을 크기가 큰 쓰레기와 잘 분리가 되도록 하고, 이때 크기가 큰 쓰레기로부터 분리된 작은 크기의 이물질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쇠(32)(42)들의 타격력에 의하여 잠시도 머물지 못하고 하우징(10)의 외부 하방으로 강제 추출이 되며, 이물질이 분리가 된 크기가 큰 쓰레기는 원판(31)(41)의 고속 회전력에 의하여 제 5 컨베어벨트(600) 쪽으로 원활하고 신속하게 이송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쓰레기이송용 구동롤러(30)와 쓰레기이송용 피동롤러(40)는 수백 RPM의 고속으로 회전을 하기 때문에 원판(31)(41)과 돌출쇠(32)(42)에 진흙이나 이물질 등이 고착되지 않고 원심력에 의하여 하우징의 외부로 신속하게 추출이 되고, 이물질이 추출된 큰 사이즈의 쓰레기(예: 비닐, 플라스틱, 시트류, 목재, 비교적 큰 크기의 돌 등)는 원판(31)(41)의 회전력에 의하여 역시 신속하게 이동하여 하우징(10)을 벗어나게 되는 바, 상기에 있어서 쓰레기이송용 구동롤러(30)와 쓰레기이송용 피동롤러(40)의 원판(31)(41)은 그 가장자리가 톱니 형태 또는 기어 형태가 되도록 변화시킬 수가 있는데, 이 경우 상술한 작용이 다소 상승이 된다는 사실을 알 수가 있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하우징(10) 안에 투입되는 쓰레기를 강제적으로 이물질과 분리시킴과 아울러 신속하게 제 5 컨베어벨트(600) 쪽으로 이동을 시키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하우징(10)을 경사지게 형성시킬 이유가 없어지게 되나, 경우에 따라서는 5° 내지 10° 정도 하우징(10)을 경사지게 형성시켜도 무방함을 알 수가 있었으며, 선별해야 할 쓰레기의 종류에 따라 하우징(10)이 5° 내지 10° 정도 경사가 지도록 하는 것이 유리할 때도 있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쓰레기이송용 구동롤러(30)와 쓰레기이송용 피동롤러(40)들이 상술한 바와 같이 고속으로 회전을 하여 강한 원심력을 작용하기 때문에 쓰레기이송용 구동롤러(30)와 쓰레기이송용 피동롤러(40)들의 사이사이에 진흙 등의 이물질이 고착되어 그 틈새를 막아버리는 예가 전혀 발생되지 않음과 아울러 크기가 큰 쓰레기(폐기물)로부터 상기의 이물질이 분리되는 분리율은 90% 이상에 이를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장치 1대는 기존의 트롬멜장치 3대 정도의 작업 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는 매우 중요한 실험결과를 얻게 되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하우징 안으로 투입되는 쓰레기를 회전 및 추락을 시킴과 동시에 고속으로 회전하는 구동롤러와 피동롤러들을 이용하여 강제적으로 쓰레기와 이물질들을 분리시키고 이물질이 분리된 쓰레기를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것으로 종래의 트롬멜장치를 대비하여 볼 때, 동일한 량의 쓰레기를 처리하는데 수백 % 이상의 처리속도를 낼 수가 있고, 이와 함께 쓰레기와 이물질의 분리율도 지극히 상승됨과 아울러 쓰레기이송용 구동롤러와 쓰레기이송용 피동롤러에 이물질이 고착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쓰레기이송용 구동롤러와 쓰레기이송용 피동롤러들 사이의 틈새가 막히지 않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팔각형의 원기둥 형태를 띠고 각 면마다의 버팀대(11a) 사이사이로 개방부(11)가 형성되며, 좌우의 끝에는 보강 링(12)(12a)이 일체로 고정되고, 보강 링(12) 쪽으로 외치형 링 기어(13)가 일체로 고정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외치형 링 기어(13)의 관부(13a) 및 외치형 링 기어(13)의 반대쪽 보강 링(12a)의 저면에 접촉된 채 회전하는 하우징(10)을 떠받히기 위한 4개의 롤러(6)와;
    상기 롤러(6)를 핀(7)으로 조립시킨 채 프레임(1) 상에 고정되는 4개의 지지대(5)와;
    프레임(1) 상에 고정되는 보강대(2)에 고정되고 상기 외치형 링 기어(13)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4)가 축에 고정된 감속모타(3)와;
    상기 하우징(10)의 외치형 링 기어(13)와 상기 외치형 링 기어(13)에 근접하여 있는 보강 링(12) 사이의 위치이며 프레임(1) 상에 고정되고, 내치형 링 기어(9)가 형성된 버팀대(8)와;
    상기 버팀대(8)에 근접한 위치의 하우징(10) 상의 8면에 각각 고정되는 2개 1조의 지브베어링(24)에 의해 지지되는 샤프트(21)와, 상기 샤프트(21)의 한쪽 끝에 고정된 채 상기 버팀대(8)의 내치형 링 기어(9)와 맞물리는 기어(22)와, 상기 기어(22)의 반대쪽 끝에 고정되는 마이티기어(23)로 되며 하우징(10)의 8면에 각각 설치되는 쓰레기이송용 구동롤러 회전장치(20)들과;
    상기 하우징(10)의 버팀대(11a)에 고정되는 2개 1조의 지브베어링(50)에 의해 제 1 지지축(34)과 제 2 지지축(36)이 조립되고, 제 1 지지축(34)의 끝에는 상기 쓰레기이송용 구동롤러 회전장치(20)의 마이티기어(23)와 맞물리는 제 2 마이티기어(35)가 고정되며, 제 2 지지축(36)의 끝에는 V-벨트풀리(37)가 고정되고, 제 1 지지축(34)과 제 2 지지축(36)의 사이에 일체로 고정되는 대구경 축(33)에는 크기가 큰 쓰레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원판(31)이 균등한 간격으로 배열되며, 상기 원판(31)의 사이사이에는 크기가 작은 이물질을 하방으로 신속하게 배출시키기 위한 돌출쇠(32)가 방사상으로 균등한 간격을 유지한 채 하우징(10)의 8개소의 개방부(11)에 각각 설치되는 쓰레기이송용 구동롤러(30)들과;
    상기 하우징(10)의 개방부(11)를 형성하는 버팀대(11a)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마주보도록 고정되는 지브베어링(50a)에 의해 제 1 지지축(44)과 제 2 지지축(45)이 조립되고, 제 2 지지축(45)의 끝에는 V-벨트풀리(46)가 고정되고, 제 1 지지축(44)과 제 2 지지축(45)의 사이에 일체로 고정되는 대구경 축(43)에는 크기가 큰 쓰레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원판(41)이 균등한 간격으로 배열되며, 상기 원판(41)의 사이사이에는 크기가 작은 이물질을 하방으로 신속하게 배출시키기 위한 돌출쇠(42)가 방사상으로 균등한 간격을 유지한 채 고정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10)의 8개소의 개방부(11)에 각각 설치되는 쓰레기이송용 피동롤러(40)들과;
    상기 쓰레기이송용 구동롤러(30)들과 쓰레기이송용 피동롤러(40)들의 V-벨트풀리(37)(46)에 감겨서 쓰레기이송용 구동롤러(30)들과 쓰레기이송용 피동롤러(40)들이 일방향으로 동일한 속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V-벨트(60)(6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롬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쓰레기이송용 구동롤러(30)와 쓰레기이송용 피동롤러(40)의 각 원판(31)(41)은 가장자리가 톱니 형태 또는 기어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대체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트롬멜장치.
KR1020110089620A 2011-09-02 2011-09-02 트롬멜장치 KR101367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620A KR101367564B1 (ko) 2011-09-02 2011-09-02 트롬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620A KR101367564B1 (ko) 2011-09-02 2011-09-02 트롬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5777A KR20130025777A (ko) 2013-03-12
KR101367564B1 true KR101367564B1 (ko) 2014-02-25

Family

ID=48177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9620A KR101367564B1 (ko) 2011-09-02 2011-09-02 트롬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75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00537A (zh) * 2016-06-30 2016-10-12 山东鲁锐机械研发有限公司 一种滚筒式破碎筛分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42107B (zh) * 2020-08-19 2022-03-11 安徽伟基基础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用筛沙装置
CN115739622A (zh) * 2022-11-29 2023-03-07 济南大学 一种用于煤篦子余煤的清理装置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0622A (ja) * 1999-01-25 2000-08-02 Katsuobushi No Kanei Kk 針状物篩分装置
KR200279217Y1 (ko) * 2002-01-19 2002-06-24 여환목 쓰레기 및 토사선별을 위한 회전디스크 선별장치
JP4280209B2 (ja) * 2004-07-07 2009-06-17 ノブタ農機株式会社 農産物の選別装置
KR20100122399A (ko) * 2009-05-12 2010-11-22 유한회사인동지알시 건식 폐유리 분리 스크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0622A (ja) * 1999-01-25 2000-08-02 Katsuobushi No Kanei Kk 針状物篩分装置
KR200279217Y1 (ko) * 2002-01-19 2002-06-24 여환목 쓰레기 및 토사선별을 위한 회전디스크 선별장치
JP4280209B2 (ja) * 2004-07-07 2009-06-17 ノブタ農機株式会社 農産物の選別装置
KR20100122399A (ko) * 2009-05-12 2010-11-22 유한회사인동지알시 건식 폐유리 분리 스크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00537A (zh) * 2016-06-30 2016-10-12 山东鲁锐机械研发有限公司 一种滚筒式破碎筛分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5777A (ko) 2013-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68587U (ja) 袋詰めゴミ処理装置
US8753506B2 (en) Apparatus for filtering sewage and wastewater
KR101367564B1 (ko) 트롬멜장치
KR100374162B1 (ko) 매립쓰레기 선별장치
CN207493862U (zh) 剔除装置及破碎机
KR101421280B1 (ko) 진개물 파쇄장치를 갖는 제진기
CN107876197A (zh) 剔除装置及破碎机
CN103464451B (zh) 垃圾分选系统和方法
WO2014136995A1 (ko) 트롬멜장치
CN205599485U (zh) 一种筛沙机
KR101082310B1 (ko) 부피가 큰 통나무와 같은 협잡물을 용이하게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특수 제진기의 구성방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특수 제진기
KR101048065B1 (ko) 순환골재의 슬러지 제거장치
KR101594089B1 (ko) 침사 인양장치용 가변용량형 버켓
JP2007204965A (ja) ろ格機
JPH0221973A (ja) グラブ・ポンプ浚渫船の浚渫土砂中障害物除去装置
CN113102218A (zh) 一种防沾染的筛沙装置
CN216631614U (zh) 一种用于建筑施工垃圾土壤污染的处理装置
KR100379316B1 (ko) 건설 폐기물 처리장치용 이송컨베이어
JP3761125B2 (ja) 選別装置用ベルトコンベヤ
KR200349379Y1 (ko) 하수내 협잡물 제거를 위한 스크린 장치
CA3239064A1 (en) Screening apparatus
WO2023138831A1 (en) Screening apparatus
KR101490083B1 (ko) 침사물에 포함된 모래 및 협잡물의 분리 배출 시스템
EA023548B1 (ru) Машина для очистки щебёночного балласта рельсового пути
CN219274031U (zh) 一种建筑垃圾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