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8065B1 - 순환골재의 슬러지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순환골재의 슬러지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8065B1
KR101048065B1 KR1020090116126A KR20090116126A KR101048065B1 KR 101048065 B1 KR101048065 B1 KR 101048065B1 KR 1020090116126 A KR1020090116126 A KR 1020090116126A KR 20090116126 A KR20090116126 A KR 20090116126A KR 101048065 B1 KR101048065 B1 KR 101048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mmel
sludge
water tank
aggregat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6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9406A (ko
Inventor
김상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세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세영
Priority to KR1020090116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8065B1/ko
Publication of KR20110059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9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8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8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4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mechanical classifiers
    • B03B5/52Spiral classif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6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water impul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9/00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 B03B9/06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B03B9/061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the refuse being industrial
    • B03B9/065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the refuse being industrial the refuse being building rub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11/00Feed or discharge devices integral with washing or wet-separating equipment
    • B03B2011/006Scraper dischar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을 파쇄하여 재활용하는 순환골재의 표면에 묻은 토사나 석분 등의 슬러지를 물로 제거하는 한편 순환골재끼리 부딪혀 입형이 개선되도록 하는 순환골재의 슬러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타공판이 덮인 원통형의 트롬멜을 경사지게 설치하되 회전되게 하고, 상기 트롬멜의 내벽에는 와류 형태의 이송 스크류를 설치하여 하측에서 투입된 순환골재를 이동시켜 상측으로 배출되게 하며, 상기 트롬멜의 외측은 메쉬망과 보호망을 씌워 밴드로 고정시키고, 상기 트롬멜의 내측에는 물을 내벽으로 분사시키는 분사노즐을 설치하며, 상기 트롬멜의 하측에는 물탱크를 설치하여 트롬멜의 메쉬망을 관통한 슬러지가 물탱크에 모아지게 하고, 상기 물탱크에 모아진 슬러지는 이송 블레이드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순환골재, 세척, 슬러지, 제거

Description

순환골재의 슬러지 제거장치{Apparatus for sludge removing of recycled aggregate}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을 파쇄하여 재활용하는 순환골재의 표면에 묻은 토사나 석분 등의 슬러지를 물로 제거하는 한편 순환골재끼리 부딪혀 입형이 개선되도록 하는 순환골재의 슬러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시화 및 산업화의 진행과정에서 생겨난 각종 콘크리트 구조물, 예컨대 교량이나 아파트 등의 각종 건축물들은 세월이 지남에 따른 노후화와 기능저하로 인해 해체 내지는 대대적인 보수가 불가피한 바, 보수 또는 해체 과정에서 많은 건설폐기물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러한 건설폐기물을 매립하는 경우 토양과 지하수의 오염 등 심각한 환경오염 문제를 유발할 뿐 아니라 매립지 확보에도 큰 어려움이 따르며, 특히, 골재 부족으로 인하여 유한자원인 골재의 지속적인 채취로 인하여 환경파괴를 부추기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건설폐기물을 재활용한 순환골재를 사용하는 추세이며, 이러한 순환골재는 건설폐기물을 파쇄하여 쓰레기나 철근을 제거하고, 골재로 사용가능한 크기로 파쇄시킨 후에는 비중에 의하여 순환골재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해주도록 함으로써 얻어낼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순환골재의 생산 방법은 공지되어 있다.
상기 된 방식으로 모래 또는 자갈로 사용할 수 있는 순환골재를 얻어내는 경우 순환골재에는 재활용 골재의 특성상 토사나 석분 등이 묻어 있는 경우가 많고, 또한 입도가 자연 모래나 자갈과 같지 않고 날카로움을 갖게 된다.
순환골재에 토사나 석분 등의 슬러지가 묻어있는 경우 건설현장에서 골재로 사용할 때 강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고, 또한 순환골재의 입도가 개선되지 않을 경우 건축물의 강도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순환골재로 생산할 때 표면의 슬러지는 물 등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제거해주어야 한다.
기존의 슬러지 제거방식은 물에 잠긴 통 안에 순환골재를 투입한 후 이를 물속에서 건져내는 방식으로 슬러지를 제거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제거하는 경우 슬러지가 순환골재의 표면에서 효과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기재하기 어렵고, 또한 순환골재의 입도를 개선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순환골재에 고압의 물을 분사시켜 슬러지는 제거하도록 하는 한편 순환골재가 트롬멜을 타고 이동하면서 세척과 함께 순환골재끼리 부딪혀 표면 입도를 개선하도록 하는 것으로, 트롬멜에서 물 분사에 의해 분리된 슬러지는 트롬멜을 관통하여 하단에 놓인 물탱크로 떨어져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순환골재를 트롬멜에 넣고 이동시키며 물 분사에 따른 세척이 이루어지면서 트롬멜 내부에서 이송 스크류를 타고 이동할 때 순환골재끼리 부딪혀 입형이 개선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타공판이 덮인 원통형의 트롬멜을 경사지게 설치하되 회전되게 하고, 상기 트롬멜의 내벽에는 와류 형태의 이송 스크류를 설치하여 하측에서 투입된 순환골재를 이동시켜 상측으로 배출되게 하며, 상기 트롬멜의 외측은 슬러지 선별용 메쉬망과 메쉬 보호망을 씌워 밴드로 고정시키고, 상기 트롬멜의 내측에는 물을 내벽으로 분사시키는 분사노즐을 설치하며, 상기 트롬멜의 하측에는 물탱크를 설치하여 트롬멜의 메쉬망을 관통한 슬러지가 물탱크에 모아지게 하고, 상기 물탱크에 모아진 슬러지는 이송 블레이드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순환골재에 묻은 슬러지의 제거와 함께 입형이 개선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순환골재에 물을 분사시켜 세척이 이루어지게 하는 한편 순환골재 가 세척되면서 경사지게 설치된 트롬멜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며 입형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순환골재의 표면에 묻은 토사나 석분 등을 물로 세척하여 고품질의 순환골재를 생산할 수 있음은 물론 순환골재끼리 부딪히면서 입형이 개선되어 순환골재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경사지게 설치되어 회전되는 원통형의 트롬멜을 구비하되 상기 트롬멜의 외측은 타공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타공판의 외측으로 일정 폭의 슬러지 선별용 메쉬망을 씌우는 한편 그 상측으로 메쉬 보호망을 씌운 후 밴드로 고정하며, 상기 트롬멜은 모터의 동력을 체인으로 전달하여 회전되게 하는 한편 받침롤러에 받쳐진 채로 회전되는 것으로, 트롬멜의 기본 형태는 공지의 사실이나, 본 발명에서는 트롬멜의 타공판 외측으로 메쉬망과 보호망을 씌워 밴드로 고정시키는 특징이 있다.
상기 트롬멜의 내벽에는 이송 스크류를 와류 형태로 설치하여 트롬멜의 회전시 순환골재가 이송 스크류를 타고 이동하게 하며, 상기 트롬멜의 내부에는 분사노즐을 설치하여 순환골재로 물분사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순환골재가 물로 세척되게 한다.
트롬멜의 내부를 이동하면서 세척된 순환골재는 한 곳에 모아져 사용되고, 물에 씻긴 슬러지는 물탱크에 모아진 후 물탱크의 바닥에 밀착되어 이동하는 이송 블레이드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게 하며, 물탱크에서 배출된 슬러지는 별도의 수거 통에 모아서 폐기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트롬멜을 회전시키면서 하측으로 세척되지 않은 순환골재를 투입하여 순환골재가 회전되는 트롬멜의 이송 스크류를 타고 경사지게 상측으로 이동하게 하고, 이 과정에서 분사노즐의 물 분사로 인하여 순환골재가 세척되도록 하며, 세척이 완료된 순환골재는 트롬멜의 외부로 배출되어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고, 이때 순환골재의 크기에 따라 트롬멜 회전속도와 물 분사량이 조절 된다.
상기 트롬멜에서 배출되는 슬러지는 물탱크에 모아진 후 이송 블레이드에 의해 물탱크 외부로 배출되어 폐기물로 처리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트롬멜(10)에서 순환골재(1)의 세척이 이루어지면서 순환골재 끼리의 마찰에 의해 입형이 개선되게 하는 것으로, 타공판(11)이 원통 형태를 갖고 이루어진 트롬멜(10)은 경사지게 설치하되 받침롤러(12)에 의해 받쳐지게 하며, 상기 트롬멜(10)은 외측으로 체인기어(13)를 이용하여 모터(14)의 회전동력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트롬멜(10)의 타공판(11)에는 외측으로 일정 폭을 갖는 슬러지 선별용 메쉬망(15)과 그 외측으로 메쉬 보호망(15a)을 씌우되 밴드(16)로 메쉬 보호망(15a)과 메쉬망(15)을 고정시키도록 하며, 상기 슬러지 선별용 메쉬망(15)은 토사나 석분 등의 슬러지만 통과하고, 순환골재(1)는 통과하지 않도록 한다.
메쉬망(15)을 이용하여 순환골재(1)와 슬러지를 분리하는 이유는 메쉬망(15)이 파손이나 마모 되었을 때 밴드(16)를 풀고 쉽게 메쉬망(15)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고, 또한 슬러지의 크기 별로 메쉬망(15)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슬러지 선별용 메쉬망(15)의 외측에는 메쉬망(15)이 순환골재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메쉬 보호망(15a)을 씌워주게 되는 것으로, 상기 메쉬 보호망(15a)은 밴드(16)로 고정시킴으로써, 필요에 따라 쉽게 메쉬망(15)을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트롬멜(10)의 내부에는 이송 스크류(17)를 내벽에 붙여서 설치하되 상기 이송 스크류(17)는 와류 형태를 갖도록 하여 순환골재(1)를 일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트롬멜(10)은 경사지게 설치하되 낮은 쪽으로 투입슈트(20)를 이용하여 순환골재(1)를 투입하도록 하고, 트롬멜(10)의 순환골재 투입구 쪽에는 스커트(18)를 설치하여 순환골재(1)가 전량 트롬멜(10)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며, 트롬멜(10)로 투입된 순환골재(1)는 이송 스크류(17)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트롬멜(10)을 이동하면서 분사노즐(30)에서 분사되는 물에 의해 세척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순환골재(1)의 이동시 마찰이 이루어져 깨끗하고 입형이 개선된 순환골재(1)가 트롬멜(10)에서 컨베이어 벨트(21)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트롬멜(10)의 회전속도 및 물의 분사량은 순환골재의 크기에 따라 적정하게 조절하여 사용한다.
순환골재(1)가 트롬멜(10)을 타고 이동할 때 분사노즐(30)에서 분사되는 물에 의해 순환골재(1)의 표면에 묻은 슬러지가 제거되게 되고, 순환골재(1)에서 씻 겨져 나온 슬러지는 트롬멜(10)의 슬러지 선별용 메쉬망(15)과 메쉬 보호망(15a)을 통하여 물탱크(50)로 배출되게 되고, 물탱크(50)로 배출된 슬러지는 비중에 의하여 가라앉게 된다.
물탱크(50)에는 바닥에 쌓인 슬러지를 긁어 외부로 배출하는 이송 블레이드(51)가 무한회전하게 설치된 체인(52)에 연결되어 설치되므로, 이송 블레이드(51)는 슬러지를 긁어 물탱크(50)의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고, 물탱크(50)의 외부에서 도시되지 아니한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체인(52)을 회전시키며, 상기 체인(52)에 연결된 이송 블레이드(51)는 물탱크(50)의 바닥에 쌓인 슬러지를 긁어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물탱크(50)에서 배출된 슬러지는 수거통(55)에 모아지게 하고, 수거통(55)의 슬러지는 주기적으로 수거하여 폐기물로 처리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순환골재(1)가 트롬멜(10)로 투입되어 트롬멜(10) 내부에 설치된 이송스크류(17)를 타고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분사노즐(30)로부터 분사되는 물에 의하여 순환골재(1)의 표면에 묻은 슬러지를 제거하게 되며, 슬러지가 제거된 순환골재(1)는 트롬멜(10)에서 배출되어 골재로 사용되게 된다.
트롬멜(10)은 슬러지 선별용 메쉬망(15)에 뚫린 구멍보다 적은 순환골재(1)는 물탱크(50)로 배출되게 하고, 트롬멜(10)의 내부에서 순환골재(1)가 서로 부딪히며 이동하게 되므로, 순환골재(1)의 입형이 개선되게 된다.
즉, 순환골재(1)는 트롬멜(10)을 통과하면서 입형이 개선됨은 물론 물에 의한 세척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품질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트롬멜(10) 외부에 씌워진 메쉬망(15)은 메쉬 보호망(15a)으로 보호되는 한편 밴드(16)로 고정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밴드(16)를 풀고 메쉬망(15)을 교체할 수 있으며, 트롬멜(10)에서는 메쉬망(15)에 뚫린 구멍의 직경보다 작은 순환골재(1)는 외부로 배출시켜 골재로 사용되지 않도록 한다.
트롬멜(10)에서 배출된 슬러지는 물이 채워진 물탱크(50)로 모아지고, 물탱크(50)의 바닥에 비중차이로 쌓인 슬러지는 이송 블레이드(51)를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고, 이송 블레이드(51)에 의해 배출되는 슬러지는 수거통(55)에 모어지게 함으로써 차후에 수거통(55)을 수거하여 폐기물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물탱크(50)는 트롬멜(10)의 하부에 설치되어 트롬멜(10)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지가 모두 물탱크(50)로 모아지게 하고, 물탱크(50)에 모아진 슬러지는 이송 블레이드(51)로 배출시켜 수거통(55)에 모아지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순환골재(1)의 표면에 묻은 토사나 석분 등의 슬러지를 물로 제거하는 한편 순환골재(1)끼리 부딪히면서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순환골재의 품질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우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좌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트롬멜 내부 일부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트롬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트롬멜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트롬멜 요부 확대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물탱크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트롬멜 투입구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타공판과 메쉬망 및 보호망 요부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순환골재 10 : 트롬멜
11 : 타공판 15 : 메쉬망
15a : 보호망 16 : 밴드
17 : 이송스크류 20 : 투입슈트
30 : 분사노즐 50 : 물탱크
51 : 이송블레이드 55 : 수거통

Claims (2)

  1. 원통형의 트롬멜(10)을 경사진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트롬멜(10)의 내벽에는 순환골재(1)를 이송시키는 이송 스크류(17)를 와류 형태로 설치하며, 상기 트롬멜(10)의 외측은 일정폭의 슬러지 선별용 메쉬망(15)을 씌우는 한편 그 외측으로 메쉬 보호망(15a)을 씌운 후 밴드(16)로 고정시키고, 상기 트롬멜(10)의 내부에서는 순환골재(1)를 향하여 물을 분사시키는 분사노즐(30)을 설치하며, 상기 트롬멜(10)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물과 순환골재에(1) 묻은 슬러지를 모아주는 물탱크(50)를 트롬멜(10)의 하측으로 설치하고, 상기 물탱크(50)에는 바닥에 쌓인 슬러지를 긁어 일측으로 배출하는 이송 블레이드(51)를 설치하되 상기 이송 블레이드(51)는 무한 회전하는 체인(52)에 설치하며, 상기 물탱크(50)에서 배출된 슬러지는 수거통(55)에 모아지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골재의 슬러지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트롬멜(10)의 메쉬망(15)을 통과하여 배출된 슬러지가 쌓이는 물탱크(50)에는 슬러지를 긁어내는 이송 블레이드(51)가 다단으로 설치된 체인(52)을 회전시켜 이송 블레이드(51)가 물탱크(50)의 바닥에 쌓인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골재의 슬러지 제거장치.
KR1020090116126A 2009-11-27 2009-11-27 순환골재의 슬러지 제거장치 KR101048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126A KR101048065B1 (ko) 2009-11-27 2009-11-27 순환골재의 슬러지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126A KR101048065B1 (ko) 2009-11-27 2009-11-27 순환골재의 슬러지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406A KR20110059406A (ko) 2011-06-02
KR101048065B1 true KR101048065B1 (ko) 2011-07-11

Family

ID=44394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6126A KR101048065B1 (ko) 2009-11-27 2009-11-27 순환골재의 슬러지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80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556B1 (ko) * 2012-11-27 2014-03-07 디에이치테크 주식회사 고비중 제철슬러지 공급장치
CN103029148A (zh) * 2012-12-20 2013-04-10 福建南海食品有限公司 柚皮切丁筛选分级机
CN107185800A (zh) * 2017-07-24 2017-09-22 长沙矿冶研究院有限责任公司 外入式圆筒隔渣筛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430B1 (ko) * 2004-02-27 2004-07-23 주식회사 남부환경개발 이중 스크린망 트럼멜 및 이를 갖는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KR20060045128A (ko) * 2004-10-14 2006-05-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콘크리트 제조에 적합한 골재의 선별 및 세척장치와 이에의한 골재 채취 방법
KR100722569B1 (ko) * 2006-11-15 2007-05-28 (주)금광 이 엔 지 트로멜과 버켓을 이용한 골재 선별 방법 및 그 장치
KR20080005046A (ko) * 2006-07-07 2008-01-10 서봉리사이클링(주) 재생골재의 세척 및 이물질 선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430B1 (ko) * 2004-02-27 2004-07-23 주식회사 남부환경개발 이중 스크린망 트럼멜 및 이를 갖는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KR20060045128A (ko) * 2004-10-14 2006-05-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콘크리트 제조에 적합한 골재의 선별 및 세척장치와 이에의한 골재 채취 방법
KR20080005046A (ko) * 2006-07-07 2008-01-10 서봉리사이클링(주) 재생골재의 세척 및 이물질 선별장치
KR100722569B1 (ko) * 2006-11-15 2007-05-28 (주)금광 이 엔 지 트로멜과 버켓을 이용한 골재 선별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406A (ko) 2011-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0509B1 (ko) 침강저류조를 포함하여 제공되는 진동스크린 분리방법 및그 장치
KR100588836B1 (ko) 건설 폐기물의 선별 및 분리장치
CN108855587B (zh) 一种建筑垃圾筛选分离方法
KR100816492B1 (ko) 재생골재의 세척 및 이물질 선별장치
KR100981949B1 (ko) 폐토사의 재생장치
KR101223668B1 (ko)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KR20070000615A (ko) 건설폐기물의 선별 처리방법 및 그 장치
CN108015094A (zh) 建筑垃圾分类装置
KR101048065B1 (ko) 순환골재의 슬러지 제거장치
KR100694234B1 (ko) 폐기물 선별기의 스크린망 막힘 방지장치
KR100764643B1 (ko)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순환골재의 생산방법 및 그 장치
KR100510328B1 (ko) 이물질 분리제거장치가 구비된 건설폐기물 파분쇄장치
KR100849521B1 (ko) 준설토 선별 분리기
KR100850489B1 (ko) 골재 생산을 위한 콘크리트 건설 폐기물의 재생처리장치
KR100764136B1 (ko) 소각로 폐열을 이용한 고온고압 스팀분사방식의 순환골재미립분 제거장치
KR100453932B1 (ko) 건설폐기물의 수조식 골재선별 처리장치
KR100730384B1 (ko) 콘크리트 제조에 적합한 자연골재의 선별 및 세척장치
KR200409534Y1 (ko) 고효율 순환식 골재 세척 및 이물질 제거장치
KR100940761B1 (ko) 골재 세척용 드럼형 세척장치
CN115213090B (zh) 隧道弃渣循环利用物料输送装置
KR100881454B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KR100722569B1 (ko) 트로멜과 버켓을 이용한 골재 선별 방법 및 그 장치
KR20030078574A (ko) 재활용 모래 선별기
KR100525357B1 (ko)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골재 세척장치
KR200303298Y1 (ko) 건축 폐기물을 이용한 재생모래 생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