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0069B1 - 염전 소금채집장치 - Google Patents

염전 소금채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0069B1
KR101530069B1 KR1020140155852A KR20140155852A KR101530069B1 KR 101530069 B1 KR101530069 B1 KR 101530069B1 KR 1020140155852 A KR1020140155852 A KR 1020140155852A KR 20140155852 A KR20140155852 A KR 20140155852A KR 101530069 B1 KR101530069 B1 KR 101530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collecting
salt
lifting
til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5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명화
Original Assignee
유명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명화 filed Critical 유명화
Priority to KR1020140155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00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0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0069B1/ko
Priority to PCT/KR2015/012106 priority patent/WO2016076625A1/ko
Priority to CN201580056767.9A priority patent/CN107074513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81Remote contr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5Position control; Position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unlo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전 소금채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염전의 소금을 자동으로 신속하게 채집할 수 있으며, 채집된 소금을 저장장소에 자동으로 쏟아낼 수 있고, 염전의 바닥면이 고르지 않고 요철면이나 경사면이 형성되더라도 용이하게 이동하면서 소금을 채집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염전 소금채집장치는, 제1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염전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와 함께 이동하면서 염전의 소금을 채집하는 채집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제2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채집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채집부의 승강을 안내하는 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의 상부에는 하부를 향해 절곡되어 승강부를 통해 상승된 채집부가 하부로 틸팅되도록 안내하는 제1틸팅부가 포함된다.

Description

염전 소금채집장치{salt collection device}
본 발명은 염전 소금채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일염은 햇볕과 바람에 의해 증발되는 함수를 소금 결정지에 얇게 펴서 햇볕과 바람으로 재증발시켜 소금 결정체가 생길 때 이를 소금 결정지의 일 측으로 수거하는 방식으로 생산되고 있다.
이때, 소금 결정지에서 수거한 소금은 지게 또는 수레에 삽 등으로 퍼올려 채집시킨 후 소금창고로 운송하거나 삽 등으로 소금운반용 대차에 소금을 수거하여 소금 결정지에 인접한 소금 결정지 둑에 설치된 레일을 타고 운반하여 소금적재창고에 소금의 높이만큼 높게 설치된 컨베이어 상의 견인박스에 소금운반용 대차의 소금을 하역하여 소금 적재창고에 소금을 적재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들은 소금 결정지에서 지게나 수레 또는 소금 운반차에 삽 등을 이용하여 인력으로 소금을 채집하기 때문에 많은 노동력 및 작업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생산성 저하로 인해 소금의 비용을 상승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83868호(2010.09.16)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염전의 소금을 자동으로 신속하게 채집할 수 있으며, 채집된 소금을 저장장소에 자동으로 쏟아낼 수 있도록 한 염전 소금채집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염전의 바닥면이 고르지 않고 요철면이나 경사면이 형성되더라도 용이하게 이동하면서 소금을 채집할 수 있도록 한 염전 소금채집장치를 제공하는 데에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염전 소금채집장치는, 제1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염전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와 함께 이동하면서 염전의 소금을 채집하는 채집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제2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채집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채집부의 승강을 안내하는 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의 상부에는 하부를 향해 절곡되어 승강부를 통해 상승된 채집부가 하부로 틸팅되도록 안내하는 제1틸팅부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는,
상면에 상기 제1구동부가 설치되며 저면에 상기 제1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염전을 따라 구름 이동할 수 있는 바퀴들이 서로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 양측면에 상기 레일부가 서로 대칭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설치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송신부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통해 제1구동부 또는 제2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수신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채집부는,
상기 염전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의 일단에서 상부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절곡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제1설치대 및 제2설치대를 포함하며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지지틀, 상기 지지틀에 결합되며 염전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소금을 긁어모으는 채집용스크래퍼, 상기 제1설치대에 설치되고 양측이 상기 레일부의 내부공간 또는 제1틸팅부의 내부공간을 따라 승강되는 제1승강바, 상기 제2설치대에 설치되며 양측이 상기 레일부의 내부공간을 따라 승강되는 제2승강바, 상기 승강부와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제2승강바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부와 함께 승강되면서 상기 제1승강바 및 제2승강바가 레일부를 따라 승강되도록 하는 승강유도부를 포함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채집부는,
상기 염전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의 일단에서 상부를 향해 절곡형성 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상단에서 레일부를 향해 상향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경사부, 상기 경사부의 하부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수직부에 형성되는 설치대를 포함하며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지지틀, 상기 수평부의 상부에 안착되며 염전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소금을 긁어모으는 채집용스크래퍼, 상기 경사부에 설치되고 양측이 상기 레일부의 내부공간 또는 제1틸팅부의 내부공간을 따라 승강되는 제1승강바, 상기 설치대에 설치되고 양측이 상기 레일부의 내부공간을 따라 승강되는 제2승강바, 상기 승강부와 연결되고 상기 승강부와 함께 승강되는 승강유도부, 상기 제2승강바와 상기 승강유도부를 연결하여 상기 제2승강바가 승강유도부와 함께 승강되도록 하는 탄성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틸팅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승강바와의 접촉을 통해 제1승강바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채집용스크래퍼의 틸팅범위를 확대하기 위한 틸팅범위확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틸팅범위확대부는,
상기 채집용스크래퍼에 힌지를 통해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링크부, 일측이 상기 제1승강바의 외주연에 장착되며 타측은 상기 제1링크부와 힌지를 통해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는 제2링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링크부와 제2링크부는 상기 힌지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면서 상기 채집용스크래퍼를 회동시킨다.
또한, 상기 승강유도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승강바가 수용되는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틸팅부의 내부공간에 위치된 제1승강바를 하측으로 잡아 당겨 레일부의 내부공간으로 하강시키는 하강용링크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레일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레일부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며 상기 하강된 제2승강바가 이동될 수 있는 이동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제3틸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틸팅부는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채집부는 제2승강바가 제3틸팅부의 이동공간을 따라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본체부의 전,후 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유도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승강바가 수용되는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3틸팅부의 이동공간에 위치된 제2승강바를 상측으로 잡아 당겨 레일부의 내부공간으로 상승시키는 상승용링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승강바는 제3틸팅부에서 인출된 이후에 상기 탄성연결부에 의해 승강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유도부에는 감지대상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설치틀의 상,하부에는 상기 감지대상부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2구동부를 통해 채집부의 승강을 제어하는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틀의 사이에 결합되는 구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름부는,
상기 지지틀의 사이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서로 간격을 두고 장착되며 상기 염전의 바닥면을 따라 구름이동되는 롤러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채집용스크래퍼에는 다수개의 배수홀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또한, 상기 채집용스크래퍼 중 염전의 바닥면과 마주하는 일단에는 전방을 향해 하향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에는 우레탄 재질의 해라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설치틀의 상,하부에 각각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회전바 및 제2회전바, 상기 제1회전바 및 제2회전바에 무한궤도 형태로 감겨 회전되며 일측에 상기 승강유도부가 결합되는 제1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구동부는 제2연결부를 매개로 하여 상기 제2회전바와 연결되며 상기 제2연결부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연결부가 회전되도록 하므로서 상기 채집부가 승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승강바는 상기 채집부가 승강부에 의해 하강될 경우 제1틸팅부의 외부로 빠져 나와 하강되며,
상기 레일부의 하측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상기 레일부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며 상기 하강된 제1승강바가 수용되어 이동될 수 있는 이동공간이 형성되는 제2틸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틸팅부는 전방을 향해 하향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채집부는 상기 제1승강바가 상기 제2틸팅부의 이동공간을 따라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본체부의 전,후 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틸팅부의 상부에 위치되는 회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는 상기 하강되는 제1승강바가 제2틸팅부의 이동공간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레일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레일부의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2틸팅부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1승강바가 상기 회동부를 통과하여 제2틸팅부의 이동공간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제1승강바가 회동부 측으로 타고 내려갈 수 있도록 상기 회동부를 향해 하향경사를 이루는 경사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염전 소금채집장치는, 본체부를 원격으로 조정하여 채집용스크래퍼에 소금이 자동으로 채집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틸팅부를 통해 채집부를 하부로 틸팅시킬 수 있음에 따라, 채집된 소금을 저장장소에 자동으로 쏟아낼 수 회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채집부가 제2틸팅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음에 따라 염전의 바닥면이 고르지 않고 요철면이나 경사면이 형성되더라도 원활하게 이동하면서 소금을 채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염전 소금채집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염전 소금채집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염전 소금채집장치에 적용된 채집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염전 소금채집장치에 적용된 채집부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염전 소금채집장치에 적용된 승강유도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염전 소금채집장치에 적용된 승강부와 제2구동부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염전 소금채집장치에 적용된 바퀴와 제1구동부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염전 소금채집장치에 적용된 제1구동부와 바퀴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염전 소금채집장치에 적용된 채집부가 틸팅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염전 소금채집장치에 적용된 채집부가 하강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염전 소금채집장치에 적용된 회동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염전 소금채집장치에 적용된 채집부가 하강되어 안내부를 통해 제2틸팅부에 삽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염전 소금채집장치에 적용된 채집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채집부의 분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염전 소금채집장치에 적용된 채집부와 승강부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염전 소금채집장치에 적용된 채집부의 승강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염전 소금채집장치에 적용된 채집부가 틸팅범위 확대부를 통해 회동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염전 소금채집장치에 적용된 채집부가 제3틸팅부에서 인출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염전 소금채집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염전 소금채집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염전 소금채집장치에 적용된 채집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염전 소금채집장치에 적용된 채집부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염전 소금채집장치에 적용된 승강유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염전 소금채집장치에 적용된 승강부와 제2구동부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염전 소금채집장치에 적용된 바퀴와 제1구동부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염전 소금채집장치에 적용된 제1구동부와 바퀴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염전 소금채집장치에 적용된 채집부가 틸팅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염전 소금채집장치에 적용된 채집부가 하강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염전 소금채집장치에 적용된 회동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염전 소금채집장치에 적용된 채집부가 하강되어 안내부를 통해 제2틸팅부에 삽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염전 소금채집장치(1)는, 본체부(10), 채집부(20), 승강부(30), 레일부(4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0)는 제1구동부(11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염전을 따라 이동되면서 후술되는 채집부(20)가 염전의 소금을 채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다시 베이스판(11)과 설치틀(12)로 나뉘어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판(11)은 평평한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에 제1구동부(110)가 설치되며 저면에는 상기 제1구동부(110)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염전을 따라 구름 이동할 수 있는 바퀴(111)들이 서로 간격을 두고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구동부(110)는 일반적인 DC모터나 AC모터이고 모터축(110a)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 된다.
상기 제1구동부(110)의 모터축(110a)에는 후술되는 회전축(140)과 연결을 위한 스프로켓(1111)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11)의 상면에는 상기 제1구동부(110)의 하부에 위치되며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부분에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는 회전안내홀(미도시)이 형성된 회전안내부(130)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안내홀에는 회전축(140)이 관통설치된다.
상기 회전축(140)에는 상기 제1구동부(110)의 모터축(110a)과의 연결을 위한 스프로켓(142)이 장착된다.
즉, 상기 제1구동부(110)의 모터축(110a)에 장착된 스프로켓(1111)과 회전축(140)에 장착된 스프로켓(142)은 하나의 체인(180)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제1구동부(110)의 모터축(110a)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면 상기 회전축(140)도 모터축(110a)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상기 제1구동부(110)는 상기 베이스판(11)의 상면에 설치되는 보호함(19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염전의 물과 접촉되지 않으며, 상기 회전축(140)의 양측은 상기 회전안내홀을 관통하여 보호함(190)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돌출된 부분에는 스프로켓(141)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1구동부(110)에는 상기 제1구동부(110)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또는 상기 제1구동부(11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모터축(110a)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미도시), 상기 모터축(110a)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정방향 스위치(미도시)와 역방향 스위치(미도시)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바퀴(111)는 상기 베이스판(11)의 저면 중 각 모서리에 해당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판(11)의 각 모서리 부분에는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회전안내판(13)이 형성되고 상기 바퀴(111)는 각각의 회전안내판(13)의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바퀴(111)의 양측에는 상기 회전안내판(13)에 관통설치되는 회전축(111a)이 형성되어, 상기 바퀴(111)는 회전안내판(13)의 사이에서 제자리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회전축(111a)에는 스프로켓(113)이 장착된다. 도 8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된 2개의 바퀴(111)의 회전축(111a)에 장착된 스프로켓(113)은 하나의 체인(150)을 통해 연결되고, 우측에 위치된 2개의 바퀴(111)의 회전축(111a)에 장착된 스프로켓(113)도 하나의 체인(150)을 통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판(11)의 좌측에 위치된 2개의 바퀴(111)의 회전축(111a)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는 회전축(140)의 일측에 장착된 스프로켓(141)과의 연결을 위한 별도의 스프로켓(114)이 장착되고, 베이스판(11)의 우측에 위치된 2개의 바퀴(111)의 회전축(111a)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는 회전축(140)의 타측에 장착된 스프로켓(141)과의 연결을 위한 별도의 스프로켓(114)이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140)의 좌측과 베이스판(11)의 좌측에 위치된 바퀴(111)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바퀴(111)에 장착된 회전축(113)은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고, 상기 회전축(140)의 우측과 베이스판(11)의 우측에 위치된 바퀴(111)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바퀴(111)에 장착된 회전축(111a)도 상,하 방향으로 대칭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140)의 좌측에 장착된 스프로켓(141)과 베이스판(11)의 좌측에 위치된 별도의 스프로켓(114)은 하나의 체인(160)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140)의 우측에 장착된 스프로켓(141)과 베이스판(11)의 우측에 위치된 별도의 스프로켓(114)도 하나의 체인(170)을 통해 연결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1구동부(110)에 전원을 인가하여 모터축(110a)이 정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면 상기 모터축(110a)과 체인(180)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회전축(140)이 정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모든 바퀴(111)들이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본체부(10)가 전진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제1구동부(110)에 전원을 인가하여 모터축(110a)이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면 상기 모터축(110a)과 체인(180)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회전축(140)이 역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모든 바퀴(111)들이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본체부(10)가 후진된다.
이상 설명한 바퀴(111)에는 조향장치(미도시)가 설치되어 본체부(10)의 방향을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구동부(110)와 조향장치, 그리고 후술되는 제2구동부(120)는 송신부(9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조향장치는 베이스판(11)의 전방 좌측과 우측에 위치된 바퀴(111)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10)의 베이스판(11) 상면에는 송신부(9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통해 제1구동부(110)와 조향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수신부(100)가 더 설치되어, 제1구동부(110)와 조향장치를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염전에 들어가지 않고도 소금을 용이하게 채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송신부(90)는 핸들(91)이 구비되는 일반적인 조이스틱 구조일 수 있으며 통상의 리모콘 원리로 수신부(100)에 신호를 전달하여 제1구동부(110)와 조향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핸들(91)은 트위스트 타입으로 형성되어 상기 송신부(90)에 연결된 부분을 중심으로 360°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1구동부(110)와 연결된 바퀴(111)는 캐스트바퀴로 적용하여 상기 본체부(10)가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부(90)에는 상기 제1구동부(110)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또는 상기 제1구동부(11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미도시)가 구비된다.
즉, 상기 송신부(90)의 온 스위치를 눌러 제1구동부(11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 다음 상기 송신부(90)의 핸들(91)이 앞쪽으로 기울어지도록 작동시키면 상기 제1구동부(110)의 모터축(110a)이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본체부(10)가 전진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송신부(90)의 핸들(91)이 뒤쪽으로 기울어지도록 작동시키면 상기 제1구동부(110)의 모터축(110a)이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본체부(10)가 후진된다.
또한, 상기 핸들(91)이 좌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작동시키면 상기 조향장치는 베이스판(11)의 전방에 위치된 두개의 바퀴(111)가 좌측으로 꺾이도록 하므로서, 상기 본체부(10)가 좌측으로 방향전환하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핸들(91)이 앞쪽 또는 뒤쪽으로 기울어지도록 작동시키면 상기 본체부(10)는 전진 또는 후진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핸들(91)이 우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작동시키면 상기 조향장치는 베이스판(11)의 전방에 위치된 두개의 바퀴(111)가 우측으로 꺾이도록 하므로서, 상기 본체부(10)가 우측으로 방향전환하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핸들(91)이 앞쪽 또는 뒤쪽으로 기울어지도록 작동시키면 상기 본체부(10)는 전진 또는 후진된다.
또한, 상기 핸들(91)이 송신부(90)의 전방 좌측 대각선 방향 또는 전방 우측 대각선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작동시키면 상기 조향장치는 상기 베이스판(11)의 전방에 위치된 두개의 바퀴(111)가 핸들(91)의 방향으로 꺾이도록 하고 상기 제1구동부(110)의 모터축(110a)이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본체부(10)가 좌측 대각선 방향 또는 우측 대각선 방향으로 전진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핸들(91)이 송신부(90)의 후방 좌측 대각선 방향 또는 후방 우측 대각선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작동시키면 상기 조향장치는 상기 베이스판(11)의 전방에 위치된 두개의 바퀴(111)가 핸들(91)의 방향으로 꺾이도록 하고 상기 제1구동부(110)의 모터축(110a)이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본체부(10)가 좌측 대각선 방향 또는 우측 대각선 방향으로 후진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핸들(91)이 정중앙에 위치되도록 하면 상기 본체부(10)는 정지 상태가 되며, 상기 오프 스위치를 누르면 제1구동부(110)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상기 핸들(91)을 조작하여도 본체부(10)가 작동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설치틀(12)은 상기 베이스판(11)의 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 2개의 수직바(121)와 2개의 수평바(122)가 사각틀 형상으로 결합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직바(121)는 평면에서 바라본 단면 형상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빈 공간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빈 공간에는 후술되는 제1연결부(33)가 수용된다.
계속해서, 상기 설치틀(12)은 하측이 상기 베이스판(11)의 전방에 용접결합되거나 볼팅결합되고, 상측은 지지대(14)를 통해 베이스판(11)의 후방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14)는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 형상이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측 일단이 설치틀(12)에 용접결합되거나 볼팅결합되고, 하측 일단이 베이스판(11)의 상단에 용접결합되거나 볼팅결합된다.
이러한 지지대(14)는 상기 설치틀(12)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강성을 향상시키므로서, 상기 설치틀(12)이 외력에 의해 휘어지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채집부(20)는 도 1,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10)와 함께 이동하면서 염전의 소금을 채집하는 것으로, 다시 지지틀(21)과 채집용스크래퍼(22)와 제1승강바(23)와 제2승강바(24) 및 승강유도부(25)로 나뉘어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틀(21)은 후술되는 제1승강바(23) 및 제2승강바(24)와 함께 채집부(20)의 뼈대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수평부(211)와 수직부(212)와 제1설치대(213) 및 제2설치대(214)로 나뉘어 구성된다.
상기 수평부(211)는 염전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되는 것으로, 후술되는 채집용스크래퍼(22)가 안착 및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수평부(211)는 염전 소금채집장치(1)의 최하부에 위치되어 염전의 바닥면과 맞닿은 상태가 된다.
상기 수직부(212)는 상기 수평부(211)의 상부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절곡되며 후술되는 채집용스크래퍼(22)가 염전의 소금을 채집하는 과정에서 염전 소금채집장치(1)의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한다.
상기 제1설치대(213) 및 제2설치대(214)는 상기 수직부(212)의 일측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수평부(211)가 형성되어 있는 반대면에 형성되며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다.
상기 제1설치대(213) 및 제2설치대(214)에는 후술되는 제1승강바(23) 및 제2승강바(24)가 관통설치될 수 있는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지지틀(21)은 2개 이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채집용스크래퍼(22)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지지틀(21)의 사이에는 구름부(50)가 더 결합된다.
상기 구름부(50)는 다시 회전축(51)과 롤러부(52)로 나뉘어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51)은 원 형상의 단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에는 원 형상의 회전돌기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회전축(51)의 회전돌기는 상기 회전축(5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에 관통설치된다.
이로 인해 상기 회전축(51)은 상기 수평부의 사이에서 제자리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롤러부(52)는 상기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51)에 서로 간격을 두고 장착된다. 이로 인해 상기 롤러부(52)는 상기 회전축(51)과 함께 제자리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롤러부(52)는 염전의 소금을 채집하는 과정에서 염전의 바닥면을 따라 구름이동되어 채집부(20)가 염전의 길이방향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되면서 소금을 채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채집용스크래퍼(22)는 염전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소금을 긁어 모으는 것으로, 상기 지지틀(21)의 수평부(211)의 상면에 볼트 및 너트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부(221)와, 상기 수평부(221)의 양측면과 후방에 수직결합되는 낙하방지부(222)를 포함한다.
즉, 상기 채집용스크래퍼(22)는 전술한 구성에 의해 전방이 개방되어 염전의 소금을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고, 수평부(221)와 낙하방지부(222)의 사이에는 채집된 소금이 저장될 수 있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낙하방지부(222)는 채집된 소금이 다시 염전으로 낙하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채집용스크래퍼(22)의 수평부(221)와 낙하방지부(222)에는 다수개의 배수홀(22a)이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배수홀(22a)의 직경은 저장된 소금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상기 소금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염전의 물은 상기 배수홀(22a)을 통해 배수되고, 상기 소금은 채집용스크래퍼(22)에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채집용스크래퍼(22)의 수평부(221)는 지지틀(21)의 수평부(211)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일부분은 지지틀(21)의 수평부(211)의 상면에 결합되고 나머지 부분은 염전의 바닥면과 맞닿는 상태가 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채집용스크래퍼(22)의 수평부(221) 중 염전의 바닥면과 맞닿는 일단에는 경사부(2211)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2211)는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대략 직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본체부(10)를 전진 작동시키면 염전의 소금이 경사부(2211)를 타고 수평부(221)와 낙하방지부(222)의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경사부(2211)에는 해라(6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해라(60)는 염전의 소금을 채집하면서 상기 경사부(2211)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경사부(2211)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지되,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그 단면 형상이 대략 '∠'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해라(60)는 상기 경사부(2211)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거나 또는 상기 경사부(2211)에서 분리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해라(60)는 경사부(2211)를 감싸는 형태가 되어, 경사부(2211) 대신 염전의 바닥면과 마찰을 일으키면서 소금을 채집하여 경사부(2211)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라(60)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져 염전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할 경우 마찰이 최소화 되어, 상기 채집부(20)가 염전의 바닥면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하면서 소금을 채집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해라(60)는 상기 경사부(2211)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음에 따라, 잦은 소금 채집 작업에 의해 사용중이던 해라가 마모될 경우, 새로운 해라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승강바(23) 및 제2승강바(24)는 채집부(20)의 승강을 안내하는 것으로, 원 형상 또는 직사각형 형상의 단순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승강바(23)는 일측이 상기 지지틀(21)에 형성되어 있는 제1설치대(213)의 관통홀에 관통설치되고, 타측은 다른 지지틀(21)에 형성되어 있는 제1설치대(213)의 관통홀에 관통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승강바(23)의 양측은 제1설치대(213)의 외부로 돌출되어 후술되는 레일부(4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승강된다.
상기 제2승강바(24)는 일측이 상기 지지틀(21)에 형성되어 있는 제2설치대(214)의 관통홀에 관통설치되고, 타측은 다른 지지틀(21)에 형성되어 있는 제2설치대(214)의 관통홀에 관통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승강바(24)의 양측은 제2설치대(214)의 외부로 돌출되어 후술되는 레일부(4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승강된다.
이상 설명한 제1승강바(23)와 제2승강바(24) 중 상기 레일부(4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양측 부분에는 베어링(231,241)이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각각의 베어링(231,241)의 폭은 레일부(40)의 내부공간 폭과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레일부(40)의 내부 벽면을 따라 구름이동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1승강바(23)와 제2승강바(24)가 본체부(10)의 전,후방으로 움직이지 않고 원활하게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승강유도부(2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및 너트를 통해 상기 제1연결부(3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면에는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 형상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포켓부(251)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포켓부(251)의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에는 상기 제2승강바(24)가 회동가능하게 수용된다.
이러한 승강유동부(25)는 승강부(30)의 작동에 의해 승강되면서 제1승강바(23) 및 제2승강바(24)가 레일부(40)를 따라 승강되도록 하며 이로 인해 채집부(20) 전체가 승강된다.
한편, 승강부(30)는 채집부(20)를 승강시키는 것으로, 다시 제1,2회전바(31,32), 제1연결부(33), 제2구동부(120)로 나뉘어 구성된다.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회전바(31,32)는 설치틀(12)의 상,하부에 각각 수평설치되는 것으로, 원 형상의 단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수직바(121)의 사이에 위치되며 양측이 상기 수직바(121)에 관통설치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1,2회전바(31,32)는 수직바(121)의 사이에서 제자리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회전바(31,32)의 양측에는 후술되는 제1연결부(33)와의 연결을 위한 스프로켓(311,321)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2회전바(32)에는 후술되는 제2구동부(120)와의 연결을 위한 별도의 스프로켓(322)이 더 장착된다.
상기 제1연결부(33)는 일반적인 체인일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바(121)의 빈 공간에 각각 수용된다.
이때, 상기 제1연결부(33)는 체인에 한정되지 않고 와이어 또는 밸트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부(33)가 와이어 또는 밸트 등으로 적용될 경우 스프로켓(311,321)은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연결부(33)는 상측이 상기 제1회전바(31)의 스프로켓(311)에 감기고 하측이 제2회전바(32)의 스프로켓(321)에 감겨 무한궤도 형태로 제자리 회전되면서 상기 승강유도부(25)를 승강시킨다.
이상 설명한 제1,2회전바(31,32) 및 제1연결부(33)는 제2구동부(1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상기 채집부(20)를 설치틀(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구동부(120)는 상기 베이스판(11)의 전방에 브라켓(B)을 통해 설치되고 상기 제1구동부(11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다.
상기 제2구동부(120)는 제1구동부(110)와 동일하게 일반적인 DC모터나 AC모터이고 모터축(121)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구동부(120)에는 상기 모터축(121)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미도시)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모터축(121)에는 스프로켓(1211)이 장착되며, 상기 모터축(121)의 스프로켓(1211)과 제2회전바(32)의 별도의 스프로켓(322)은 제2연결부(34)를 통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2연결부(34)는 일반적인 체인일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34)는 일측이 상기 모터축(121)의 스프로켓(1211)에 감기고 이와 반대되는 타측이 상기 제2회전바(32)의 별도의 스프로켓(322)에 감겨 무한궤도 형태로 제자리 회전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2구동부(120)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모터축(121)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면 상기 모터축(121)과 제2연결부(34)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제2회전바(32)가 회전되고, 상기 제1연결부(33)가 상기 제2회전바(32)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되며 상기 제1회전바(31) 또한 제1연결부(33)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제1연결부(33)가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본 발명의 제1연결부(33)는 상기 제2구동부(120)의 모터축(121)이 정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되면서 상기 채집부(20)를 설치틀(12)의 상부로 상승시키고, 이와 반대로 상기 제2구동부(120)의 모터축(121)이 역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되면서 상기 채집부(20)를 설치틀(12)의 하부로 하강시키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제2구동부(120)는 제1구동부(110) 및 조향장치와 동일하게 상기 송신부(90)와 수신부(100)를 통해 원격으로 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송신부(90)에는 상기 제2구동부(120)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또는 상기 제2구동부(12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상기 모터축(121)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미도시), 상기 제2구동부(120)의 모터축(121)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정방향 스위치(미도시)와 역방향 스위치(미도시)가 더 구비된다.
즉, 송신부(90)의 온 스위치를 눌러 제2구동부(12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 다음 상기 정방향 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제2구동부(120)의 모터축(121)이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채집부(20)가 레일부(40)의 상부로 상승되고, 상기 역방향 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제2구동부(120)의 모터축(121)이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채집부(20)가 레일부(40)의 하부로 하강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레일부(40)는 상기 채집부(20)의 승강을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각각의 수직바(121) 내측면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레일부(40)는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개방된 부분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상기 수직바(121)의 내측면에 설치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1승강바(23)와 제2승강바(24)는 양측이 상기 레일부(4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상태되며 상기 승강유도부(25)와 함께 승강되면서 채집부(20)가 승강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레일부(40)의 상부에는 제1틸팅부(41)가 형성되어 있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틸팅부(41)는 소금을 채집한 채집부(20)를 하부로 틸팅시켜 소금을 저장장소에 자동으로 쏟아내는 것으로, 다시 곡선부(411)와 절곡부(412)로 나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곡선부(411)와 절곡부(412)에는 레일부(40)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며 제1승강바(23)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곡선부(411)는 하단이 상기 레일부(40)의 상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1승강바(23)가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곡선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412)는 상단이 상기 곡선부(411)의 상단과 연결되며, 상기 곡선부(411)의 상단에서 하측을 향해 수직방향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이 된다.
이로 인해 제2구동부(120)의 모터축(121)이 정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어하면 상기 승강유도부(25)가 제1연결부(33)를 따라 설치틀(12)의 상부로 상승됨에 따라 상기 채집부(20)도 상승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제2승강바(24)는 포켓부(251)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양측이 레일부(40)의 내부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제1승강바(23)는 상기 곡선부(411)의 내부공간을 거쳐 절곡부(412)의 내부공간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채집부(20)는 하부로 틸팅되어 채집한 소금을 저장장소에 쏟아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채집부(20)를 하부로 틸팅시켜 소금을 쏟아낸 이후에 상기 제2구동부(120)의 모터축(121)이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어하면 상기 승강유도부(25)가 제1연결부(33)를 따라 설치틀(12)의 하부로 하강됨에 따라 채집부(20)도 하강된다.
이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승강바(23)는 상기 채집부(20)가 하강될 경우 레일부(40)의 내부공간을 따라 하강되지 않고 절곡부(412)의 외부로 빠져 나와 하강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강된 제1승강바(23)는 안내부(80)를 통해 레일부(40)의 하측에 형성된 제2틸팅부(70)로 이동된다.
상기 안내부(80)는 레일부(40)의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2틸팅부(70)의 상부에 위치된다.
상기 안내부(80)는 후술되는 회동부(72)를 향해 하향경사를 이루는 경사면부(81)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경사면부(81)는 하단이 회동부(72)의 일단과 마주하는 형태가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제1승강바(23)의 베어링(231)이 상기 경사면부(81)를 타고 내려와 상기 제1승강바(23)가 상기 회동부(72)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틸팅부(70)는 상기 소금을 쏟아낸 채집부(20)가 다시 설치틀(12)의 하부로 이동되어 염전의 소금을 계속해서 채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틸팅부(41)와 상,하 방향으로 대칭된다.
상기 제2틸팅부(70)에는 상기 레일부(40)의 내부공간과 연결되고 제1승강바(23)가 수용된 상태에서 이동될 수 있는 이동공간(7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틸팅부(70)의 상면에는 상기 절곡부(412)와 수직선상에 위치되는 회동부(72)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틸팅부(70)의 상측 일부분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제2틸팅부(70)의 개방된 부분에는 회동부(72)가 위치된다. 상기 회동부(72)의 양측에는 회동축(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축은 상기 레일부(40)에 서로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회동안내편(미도시)에 회동가능하게 관통설치된다.
즉, 상기 절곡부(412)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로 하강되는 제1승강바(23)는 상기 회동부(72)를 하부로 회동시켜 제2틸팅부(70)이동공간(71)에 수용된다.
이때, 상기 회동부(72)의 회동축에는 스프링(미도시)이 결합되어 제1승강바(23)에 의해 하부로 회동된 회동부(72)는 다시 원래의 위치로 회동복원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1승강바(23)는 제2틸팅부(70)의 이동공간(71)을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서 회동부(72)와 접촉되지 않아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다.
부가적으로, 상기 제2틸팅부(70)는 전방을 향해 하향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이동공간(71)도 하향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채집부(20)는 상기 제1승강바(23)가 상기 제2틸팅부(70)의 이동공간(71)을 따라 상,하로 이동될 경우 본체부(10)의 전,후 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용 및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특유의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염전 소금채집장치가 염전에 위치되도록 하고 채집부(20)의 저면이 염전의 바닥면과 맞닿도록 한 다음 송신부(90)에 구비된 제1구동부(110)에 전원을 인가하는 온 스위치와 제2구동부(120)에 전원을 인가하는 온 스위치를 누른다.
이때,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승강바(23)는 상기 제2틸팅부(70)의 이동공간(71)에 위치되어 있되, 채집부(20)의 무게중심으로 인해 이동공간(71)의 중앙부분 정도에 위치되며, 이로 인해 상기 채집부(20)는 본체부(10)의 전방을 향해 기울어져 있는 상태가 되고 수평부(211)와 채집용스크래퍼(22)의 앞부분은 염전의 바닥면과 맞닿는 상태가 된다.
계속해서, 송신부(90)의 핸들(91)이 앞쪽으로 기울어지도록 작동시켜 제1구동부(110)의 모터축(110a)이 정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므로서, 본체부(10)가 전진되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채집부(20)의 채집용스크래퍼(22)는 염전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소금을 긁어 모은다.
이때, 구름부(50)의 롤러부(52)는 염전의 바닥면을 따라 구름이동되면서 채집부(20)가 염전의 길이방향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되면서 소금을 채집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채집부(20)는 상기 제1승강바(23)가 제2틸팅부(70)의 이동공간(71)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본체부(10)의 전,후 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어, 염전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 중, 염전의 바닥면에 요철면 또는 경사면 등이 형성되어 있더라도 상기 요철면 또는 경사면에 걸리지 않고 자연스럽게 타고 넘어가면서 염전의 소금을 용이하게 채집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좀 더 보충하면, 상기 채집부(20)를 구성하는 지지틀(21)의 수평부가 염전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 중 상기 요철면 또는 경사면을 타고 올라가게 될 경우,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승강바(23)는 제2틸팅부(70)의 이동공간(71)의 상측으로 이동되어 채집부(20) 전체가 본체부(10) 측으로 틸팅됨에 따라 상기 채집부(20)는 상기 요철면 또는 경사면을 용이하게 타고 올라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채집부(20)가 요철면 또는 경사면을 타고 내려올 경우,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승강바(23)는 채집부(20)의 무게 중심에 의해 다시 제2틸팅부(70)의 이동공간(71)의 중앙부분으로 이동되며, 이로 인해 상기 채집부(20)는 다시 본체부(10)의 전방을 향해 기울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채집용스크래퍼(22)에 일정량의 소금이 채집되면 상기 송신부(90)를 통해 본체부(10)를 염전의 끝부분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염전의 외부에는 소금운반용 대차(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계속해서, 상기 송신부(90) 구비된 제2구동부(120)의 정방향 스위치를 눌러 상기 제2구동부(120)의 모터축(121)이 정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상기 채집부(20)가 레일부(40)의 상부로 상승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채집부(20)가 상승되는 과정에서 제1승강바(23)가 곡선부(411)의 내부공간을 거쳐 절곡부(412)의 내부공간에 위치되면 송신부(90)에 구비된 제2구동부(12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오프 스위치를 눌러 상기 채집부(20)가 상승을 멈추게 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채집부(20)가 본체부(10)의 전방으로 틸팅되어 채집용스크래퍼(22)에 채집된 소금이 소금운반용 대차에 자동으로 모이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송신부(90)에 구비된 제2구동부(120)에 전원을 인가하는 온 스위치를 다시 누른다.
그리고, 상기 제2구동부(120)의 역방향 스위치를 눌러 제2구동부(120)의 모터축(121)이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상기 채집부(20)가 레일부(40)의 하부로 하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승강바(23)는 상기 절곡부(412)의 외부로 빠져 나와 하강되다가 안내부(80)의 경사면부(81)를 타고 내려와 회동부(72)를 통과하여 제2틸팅부(70)의 이동공간(71)에 다시 수용되어 상기 본체부(10)가 다시 염전의 소금을 채집할 수 있게 된다.
이후에, 상기와 같이 송신부(90)에 구비된 핸들(91) 및 각종 스위치들을 조작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염전 소금채집장치(1)가 염전의 전체구간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소금을 자동으로 채집한 다음 소금운반용 대차에 모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바퀴(111) 중 베이스판(11)의 앞 쪽에 위치된 두개의 바퀴는 제자리 회전이 가능한 캐스터바퀴로 적용되고, 상기 제1구동부(110)는 양축모터로 적용하여 상기 두개의 캐스터바퀴를 개별 또는 동시에 작동시키므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염전소금 채집장치가 전륜 방식으로 구동되면서 방향 전환을 용이하게 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양축모터의 모터축 중 좌측에 위치된 모터축은 베이스판(11)의 좌쪽에 위치된 캐스터바퀴와 체인(미도시)을 통해 연결되고 우측에 위치된 모터축은 베이스판(11)의 우측에 위치된 캐스터바퀴와 체인(미도시)을 통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양축모터의 모터축 중 좌측에 위치된 모터축만 회전되도록 제어하여 좌측에 위치된 캐스터바퀴가 회전되도록 하면 염전 소금채집장치(1)가 좌측으로 방향전환 하거나 또는 턴을 하도록 할 수 있고, 우측에 위치된 모터축만 회전되도록 제어하여 우측에 위치된 캐스터바퀴가 회전되도록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염전 소금채집장치(1)가 우측으로 방향전환 하거나 또는 턴을 하도록 할 수 있으며, 양 모터축이 동시에 회전되도록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염전 소금채집장치(1)가 전진 또는 후진되도록 할 수 있어 염전에 고루게 분포되어 있는 소금을 보다 효율적으로 채집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염전 소금채집장치(1)는 상기 양축모터 대신 2개의 모터(미도시)가 좌측에 위치된 캐스터바퀴와 우측에 위치된 캐스터바퀴에 각각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모터(미도시) 중 어느 하나만 작동되거나 또는 동시에 작동되도록 하므로서 방향 전환, 턴, 전진 및 후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양축모터 또는 두개의 모터는 전술한 송신부(90)를 통해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 내지 도 18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염전 소금채집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염전 소금채집장치에 적용된 채집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채집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염전 소금채집장치에 적용된 채집부와 승강부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염전 소금채집장치에 적용된 채집부의 승강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염전 소금채집장치에 적용된 채집부가 틸팅범위 확대부를 통해 회동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염전 소금채집장치에 적용된 채집부가 제3틸팅부에서 인출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8에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집부(20')는 다시 지지틀(21')과 채집용스크래퍼(22')와 제1승강바(23')와 제2승강바(24')와 승강유도부(25')와 탄성연결부(26')로 나뉘어 구성된다.
상기 지지틀(21')은 후술되는 제1승강바(23') 및 제2승강바(24')와 함께 채집부(20')의 뼈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수평부(211')와 수직부(212')와 경사부(231')와 설치대(214')로 나뉘어 구성된다.
상기 수평부(211')는 염전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되는 것으로, 후술되는 채집용스크래퍼(22')가 안착될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수평부(211')는 염전 소금채집장치(1)의 최하부에 위치되어 염전의 바닥면과 맞닿은 상태가 된다.
상기 수직부(212')는 상기 수평부(211')의 일단에서 상부를 향해 절곡형성되며 후술되는 채집용스크래퍼(22')가 염전의 소금을 채집하는 과정에서 염전 소금채집장치(1)의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한다.
상기 경사부(231')는 상기 수직부(212')의 상단에서 레일부를 향해 상향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끝단에는 후술되는 제1승강바(23')가 관통설치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설치대(214')는 상기 수직부(212')에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231')의 하부로 일정간격 이격된다.
상기 설치대(214')의 끝단에는 후술되는 제2승강바(24')가 관통설치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틀(21')은 2개 이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채집용스크래퍼(22')가 상기 수평부(211')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지지틀(21')의 사이에는 상기 회전축(51)과 롤러부(52)를 포함하는 구름부(50)가 더 결합되어 채집부(20')가 염전의 길이방향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되면서 소금을 채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채집용스크래퍼(22')는 염전의 바닥면을 바닥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소금을 긁어 모으는 것으로, 상기 채집용스크래퍼(22')의 저면은 상기 수평부(211')에 힌지(미도시) 결합되어 후술되는 틸팅범위확대부(210)에 의해 염전 소금채집장치(1)의 전,후방으로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채집용스크래퍼(22')의 상측에는 후술되는 제1링크부(211)와의 결합을 위한 프레임(221')이 더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221')은 사각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221')은 양측에 레일부(40)를 향해 수평절곡되는 힌지편(222')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편(222')에는 제1링크부(211)와 힌지편(222')을 결합하기 위한 힌지핀(270)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승강바(23') 및 제2승강바(24')는 채집부(20')의 승강을 안내하는 것으로, 원 형상 또는 직사각형 형상의 단순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승강바(23')는 일측이 상기 지지틀(21')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부(231')의 관통홀에 관통설치되고, 타측은 다른 지지틀(21')에 형성되어 있는 제1설치대(214')의 관통홀에 관통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승강바(23')의 양측은 상기 경사부(231')의 외부로 돌출되어 레일부(4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레일부(40) 또는 제1틸팅부(41)의 내부공간을 따라 승강된다.
이때, 상기 제1틸팅부(41)의 내부공간에는 이동제한부(200)가 설치된다.
상기 이동제한부(200)는 평평한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승강바(23')에 설치된 베어링(231')과의 접촉을 통해 제1승강바(23')의 이동을 제한하면서 절곡부(412)의 하부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이동제한부(200)는 상향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채집부(20')는 상기 이동제한부(200)의 경사각 만큼 틸팅될 수 있다.
상기 제2승강바(24')는 일측이 상기 지지틀(21')에 형성되어 있는 설치대(214')의 관통홀에 관통설치되고, 타측은 다른 지지틀(21')에 형성되어 있는 설치대(214')의 관통홀에 관통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승강바(24')의 양측은 설치대(214')의 외부로 돌출되어 레일부(4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승강된다.
이상 설명한 제1승강바(23')와 제2승강바(24') 중 상기 레일부(4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양측 부분에는 베어링(231',241')이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베어링(231',241')은 레일부(4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레일부(40)의 내부 벽면을 따라 구름이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승강바(23')와 제2승강바(24')가 본체부(10)의 전,후방으로 움직이지 않고 원활하게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승강유도부(25')는 원 형상 또는 직사각형 형상의 단순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유도부(25')의 양단에는 대략 'ㄷ'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설치편(251')이 포함된다.
상기 설치편(251')은 개방된 부분이 상기 레일부(40)를 향하도록 제1연결부(33)에 볼트 및 너트를 통해 결합된다. 이로 인해 상기 설치편(251')은 상기 수직바(121)의 빈 공간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유도부(25')는 그 양측이 상기 설치편(251')에 관통설치되어 상기 승강부(30)의 작동에 의해 승강된다.
상기 승강유도부(25')의 양단에는 레일부(40)의 외면을 따라 구름이동되는 베어링(252')이 설치되어, 상기 승강유도부(25')는 상기 레일부(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원활하게 승강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승강유도부(25')의 양측에는 하강용링크부(220)가 더 장착된다.
상기 하강용링크부(220)는 상향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장공(221)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어, 상기 장공(221)에 제1승강바(23')의 일부분이 수용된다.
상기 하강용링크부(220)는 상기 승강유도부(25')와 함께 승강되며 상기 제1틸팅부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제1승강바(23')를 하측으로 잡아 당겨 레일부의 내부공간으로 하강시킨다.
상기 탄성연결부(26')는 상측에 상기 승강유도부(25')에 장착되는 제1고리부(261')가 형성되고 하측에 상기 제2승강바(24')에 장착되는 제2고리부(262')가 형성된다.
즉, 상기 승강유도부(25')와 제2승강바(24')는 상기 탄성연결부(26')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승강유도부(25')는 승강부(30)의 작동에 의해 승강되면서 제1승강바(23')와 제2승강바(24')가 레일부(40)의 내부공간을 따라 승강되도록 하며 이로 인해 채집부(20') 전체가 승강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염전 소금채집장치는 상기 채집용스크래퍼(22')의 틸팅범위를 확대하기 위한 틸팅범위확대부(2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틸팅범위확대부(210)는 다시 제1링크부(211)와 제2링크부(212)로 나뉘어 구성된다.
상기 제1링크부(211)는 직사각형 막대 또는 원형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이 상기 프레임(221')의 힌지편(222')에 힌지핀(270)을 통해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제2링크부(212)는 직사각형 막대 또는 원형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이 상기 제1승강바(23')의 외주연에 장착되며 타측은 상기 제1링크부(211)의 타측에 힌지핀(280)을 통해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채집부(20')를 통해 소금을 채취한 다음 상기 채집부(20')를 승강시켜 상기 제1승강바(23')의 베어링(231')이 이동제한부(200)와 접촉되면 상기 채집부(20') 전체가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진 상태가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채집용스크래퍼(22')에 채집된 소금의 무게에 의해 상기 제1링크부(211)와 제2링크부(212)는 상기 힌지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서로 멀어지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채집용스크래퍼(22')는 상기 제1링크부(211)와 제2링크부(212)가 멀어지는 거리 만큼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하향 경사진 상태로 회동되어 채집된 소금을 저장장소에 용이하게 쏟아낼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2구동부(120) 통해 제1연결부(33)를 회전시켜 상기 제1승강바(23')가 레일부의 내부공간으로 하강되도록 하면 상기 채집부(20') 전체가 원상태가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채집용스크래퍼(22')의 무게에 의해 제1링크부(211)가 제2링크부(212)와 가까워지게 되어 상기 채집용스크래퍼(22') 또한 원위치로 회동 복귀된다.
또한, 상기 제1승강바(23')는 승강되는 과정에서는 장공(221)의 중앙부분의 아래쪽에 위치된 상태로 승강되고 상기 제1틸팅부(41)에 수용될 경우 상기 채집부(20') 전체가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진 상태가 됨에 따라 장공(221)의 상단에 위치된 상태가 된다.
즉, 상기 하강용링크부(220)는 상기 이동제한부(200)와 함께 상기 제1승강바(23')가 절곡부(412)의 하부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2구동부(120)와 제1연결부(33)를 통해 채집부(20')가 하강되도록 하면 상기 하강용링크부(220)가 승강유도부(25')를 따라 하강되면서 상기 제1틸팅부(41)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제1승강바(23')를 하측으로 잡아 당겨 레일부(40)의 내부공간으로 하강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 레일부(40)의 하단에는 상기 소금을 쏟아낸 채집부(20')가 다시 설치틀(12)의 하부로 이동되어 염전의 소금을 계속해서 채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2틸팅부(230)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틸팅부(230)에는 레일부의 내부공간과 연결되고 제2승강바(24')가 수용된 상태에서 이동될 수 있는 이동공간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채집부(20')가 제2구동부(120)와 제1연결부(33)를 통해 하강될 경우 상기 제2승강바(24')(23)는 제2틸팅부(230)의 이동공간에 수용된다.
이때, 상기 제2틸팅부(230)는 상기 제1연결부(33)를 향해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이동공간도 하향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채집부(20')는 상기 제2승강바(24')가 상기 제2틸팅부(230)의 이동공간을 따라 상,하로 이동될 경우 본체부(10)의 전,후 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어, 채집부(20')가 염전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 중, 염전의 바닥면에 요철면 또는 경사면 등이 형성되어 있더라도 상기 요철면 또는 경사면에 걸리지 않고 자연스럽게 타고 넘어가면서 염전의 소금을 용이하게 채집할 수 있게 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승강유도부(25')의 양측에는 상승용링크부(240)가 더 장착된다.
상기 상승용링크부(240)는 하강용링크부(22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승용링크부(240)에는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장공(241)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어, 상기 장공(241)에 제2승강바(24')의 일부분이 수용된다.
상기 상승용링크부(240)는 상기 승강유도부(25')와 함께 승강되며 상기 제2틸팅부(230)의 이동공간에 수용된 제2승강바(24')를 상측으로 잡아 당겨 레일부의 내부공간으로 상승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승강바(24')는 제2틸팅부(230)에서 인출되어 레일부(40)의 내부공간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탄성연결부(26')에 의해 승강된다.
이때, 상기 탄성연결부(26')는 공지의 코일스프링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연결부(26')는 상기 제2승강바(24')가 상기 제2틸팅부(230)의 이동공간으로 수용되는 과정에서 탄성변형 됨에 따라 상기 제2승강바(24')가 이동공간에 원활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연결부(26')는 상기 제2승강바(24')가 제2틸팅부(230)의 이동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팽창된 상태가 되고 상기 상승용링크부(240)를 통해 제2틸팅부(230)에서 인출되었을 경우에는 원래의 형태로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제2승강바(24')를 승강시킨다.
한편, 상기 승강유도부(25')의 설치편(251')에는 감지대상부(25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설치틀(12)의 수직바(121) 상,하부에는 상기 감지대상부(250)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2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센서(26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감지대상부(250)는 공지의 자석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설치편(251')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수직바(121)와 맞닿는 상태로 승강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260)는 상기 수직바(121) 외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수직바(121)를 사이에 두고 수직바(121)의 내부 빈 공간과 마주하는 형태가 된다.
이때, 상기 수직바(121)의 상부에 설치되는 센서(260)는 채집부(20')가 완전히 상승됨에 따라 제1승강바(23')의 베어링(231')이 상기 이동제한부(200)와 접촉되었을 때 상기 감지대상부(250)와 수평선상에 위치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수직바(121)의 하부에 설치되는 센서(260)는 상기 채집부(20')가 완전히 하강됨에 따라 상기 제2승강바(24')의 베어링(241')이 제2틸팅부(230)의 이동공간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감지대상부(250)와 수평선상에 위치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즉, 상기 수직바(121)의 상부에 설치된 센서(260)는 상기 채집부(20')가 완전히 상승됨에 따라 감지대상부(250)와 수평선상에 위치될 경우 감지대상부(250)의 위치를 감지한 다음 감지신호를 상기 수신부(100)에 전송하여 제2구동부(120)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하므로서 상기 채집부(20')가 더 이상 상승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바(121)의 하부에 설치된 센서(260)는 상기 채집부(20')가 완전히 하강됨에 따라 감지대상부(250)와 수평선상에 위치될 경우 감지대상부(250)의 위치를 감지한 다음 감지신호를 상기 수신부(100)에 전송하여 제2구동부(120)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하므로서 상기 채집부(20')가 더 이상 하강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감지대상부(250)와 센서(260)는 위에서 설명한 위치와 반대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본체부 11 : 베이스판
111 : 바퀴 111a,51,140 : 회전축
113,311,321,141 : 스프로켓 12 : 설치틀
121 : 수직바 122 : 수평바
13 : 회전안내판 14 : 지지대
20,20' : 채집부 21,21' : 지지틀
211,221,211' : 수평부 214' : 설치대
2211,231' : 경사부 212,212' : 수직부
213 : 제1설치대 214 : 제2설치대
22,22' : 채집용스크래퍼 22a : 배수홀
222 : 낙하방지부 23,23' : 제1승강바
231,241,231',241',252' : 베어링 24,24' : 제2승강바
25,25' : 승강유도부 251' : 설치편
26' : 탄성연결부 261' : 제1고리부
262' : 제2고리부 30 : 승강부
31 : 제1회전바 32 : 제2회전바
33 : 제1연결부 34 : 제2연결부
40 : 레일부 41 : 제1틸팅부
411 : 곡선부 412 : 절곡부
50 : 구름부 52 : 롤러부
60 : 해라 70 : 제2틸팅부
71,231 : 이동공간 72 : 회동부
80 : 안내부 81 : 경사면부
90 : 송신부 91 : 핸들
100 : 수신부 110 : 제1구동부
120 : 제2구동부 130 : 회전안내부
150,160,170 : 체인 200 : 이동제한부
210 : 틸팅범위확대부 211 : 제1링크부
212 : 제2링크부 220 : 하강용링크부
221,241 : 장공 230 : 제3틸팅부
240 : 상승용링크부 250 : 감지대상부
260 : 센서 270,280 : 힌지핀

Claims (18)

  1. 제1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염전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며, 상면에 상기 제1구동부가 설치되며 저면에 상기 제1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염전을 따라 구름 이동할 수 있는 바퀴들이 서로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베이스판, 및 상기 베이스판의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 양측면에 레일부가 서로 대칭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설치틀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와 함께 이동하면서 염전의 소금을 채집하는 채집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제2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채집부를 승강시키되, 상기 본체부의 설치틀의 상,하부에 각각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회전바 및 제2회전바와, 상기 제1회전바 및 제2회전바에 무한궤도 형태로 감겨 회전되며 일측에 승강유도부가 결합되는 제1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구동부는 제2연결부를 매개로 하여 상기 제2회전바와 연결되며 상기 제2연결부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연결부가 회전되도록 하므로서 상기 채집부가 승강되도록 하는 승강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채집부의 승강을 안내하는 레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부의 상부에는 하부를 향해 절곡되어 승강부를 통해 상승된 채집부가 하부로 틸팅되도록 안내하는 제1틸팅부가 구비되는 염전 소금채집장치.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송신부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통해 제1구동부 또는 제2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수신부
    를 더 포함하는 염전 소금채집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채집부는,
    상기 염전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의 일단에서 상부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절곡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제1설치대 및 제2설치대를 포함하며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지지틀,
    상기 지지틀에 결합되며 염전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소금을 긁어모으는 채집용스크래퍼,
    상기 제1설치대에 설치되고 양측이 상기 레일부의 내부공간 또는 제1틸팅부의 내부공간을 따라 승강되는 제1승강바,
    상기 제2설치대에 설치되며 양측이 상기 레일부의 내부공간을 따라 승강되는 제2승강바,
    상기 승강부와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제2승강바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부와 함께 승강되면서 상기 제1승강바 및 제2승강바가 레일부를 따라 승강되도록 하는 승강유도부
    를 포함하는 염전 소금채집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채집부는,
    상기 염전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의 일단에서 상부를 향해 절곡형성 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상단에서 레일부를 향해 상향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경사부, 상기 경사부의 하부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수직부에 형성되는 설치대를 포함하며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지지틀,
    상기 수평부의 상부에 안착되며 염전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소금을 긁어모으는 채집용스크래퍼,
    상기 경사부에 설치되고 양측이 상기 레일부의 내부공간 또는 제1틸팅부의 내부공간을 따라 승강되는 제1승강바,
    상기 설치대에 설치되고 양측이 상기 레일부의 내부공간을 따라 승강되는 제2승강바,
    상기 승강부와 연결되고 상기 승강부와 함께 승강되는 승강유도부,
    상기 제2승강바와 상기 승강유도부를 연결하여 상기 제2승강바가 승강유도부와 함께 승강되도록 하는 탄성연결부
    를 포함하는 염전 소금채집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제1틸팅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승강바와의 접촉을 통해 제1승강바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부
    를 더 포함하는 염전 소금채집장치.
  7. 제5항에서,
    상기 채집용스크래퍼의 틸팅범위를 확대하기 위한 틸팅범위확대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틸팅범위확대부는,
    상기 채집용스크래퍼에 힌지를 통해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링크부,
    일측이 상기 제1승강바의 외주연에 장착되며 타측은 상기 제1링크부와 힌지를 통해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는 제2링크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링크부와 제2링크부는 상기 힌지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면서 상기 채집용스크래퍼를 회동시키는 염전 소금채집장치.
  8. 제5항에서,
    상기 승강유도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승강바가 수용되는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틸팅부의 내부공간에 위치된 제1승강바를 하측으로 잡아 당겨 레일부의 내부공간으로 하강시키는 하강용링크부
    를 포함하는 염전 소금채집장치.
  9. 제5항에서,
    상기 레일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레일부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며 상기 하강된 제2승강바가 이동될 수 있는 이동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제3틸팅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3틸팅부는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채집부는 제2승강바가 제3틸팅부의 이동공간을 따라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본체부의 전,후 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는 염전 소금채집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승강유도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승강바가 수용되는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3틸팅부의 이동공간에 위치된 제2승강바를 상측으로 잡아 당겨 레일부의 내부공간으로 상승시키는 상승용링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승강바는 제3틸팅부에서 인출된 이후에 상기 탄성연결부에 의해 승강되는 염전 소금채집장치.
  11. 제5항에서,
    상기 승강유도부에는 감지대상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설치틀의 상,하부에는 상기 감지대상부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2구동부를 통해 채집부의 승강을 제어하는 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염전 소금채집장치.
  12. 제4항 또는 제5항에서,
    상기 지지틀의 사이에 결합되는 구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름부는,
    상기 지지틀의 사이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서로 간격을 두고 장착되며 상기 염전의 바닥면을 따라 구름이동되는 롤러부
    를 포함하는 염전 소금채집장치.
  13. 제4항 또는 제5항에서,
    상기 채집용스크래퍼에는 다수개의 배수홀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염전 소금채집장치.
  14. 제13항에서,
    상기 채집용스크래퍼 중 염전의 바닥면과 마주하는 일단에는 전방을 향해 하향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에는 우레탄 재질의 해라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염전 소금채집장치.
  15. 삭제
  16. 제4항에서,
    상기 제1승강바는 상기 채집부가 승강부에 의해 하강될 경우 제1틸팅부의 외부로 빠져 나와 하강되며,
    상기 레일부의 하측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상기 레일부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며 상기 하강된 제1승강바가 수용되어 이동될 수 있는 이동공간이 형성되는 제2틸팅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틸팅부는 전방을 향해 하향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채집부는 상기 제1승강바가 상기 제2틸팅부의 이동공간을 따라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본체부의 전,후 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는 염전 소금채집장치.
  17. 제16항에서,
    상기 제2틸팅부의 상부에 위치되는 회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는 상기 하강되는 제1승강바가 제2틸팅부의 이동공간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레일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염전 소금채집장치.
  18. 제17항에서,
    상기 레일부의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2틸팅부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1승강바가 상기 회동부를 통과하여 제2틸팅부의 이동공간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제1승강바가 회동부 측으로 타고 내려갈 수 있도록 상기 회동부를 향해 하향경사를 이루는 경사면부를 포함하는 염전 소금채집장치.
KR1020140155852A 2014-11-11 2014-11-11 염전 소금채집장치 KR101530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852A KR101530069B1 (ko) 2014-11-11 2014-11-11 염전 소금채집장치
PCT/KR2015/012106 WO2016076625A1 (ko) 2014-11-11 2015-11-11 염전 소금채집장치
CN201580056767.9A CN107074513A (zh) 2014-11-11 2015-11-11 盐田集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852A KR101530069B1 (ko) 2014-11-11 2014-11-11 염전 소금채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0069B1 true KR101530069B1 (ko) 2015-06-18

Family

ID=53519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5852A KR101530069B1 (ko) 2014-11-11 2014-11-11 염전 소금채집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530069B1 (ko)
CN (1) CN107074513A (ko)
WO (1) WO2016076625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48722A1 (ko) 2013-03-21 2014-09-25 Park Yong Hee 고효율 해수 증발 장치 및 증발로프 모듈
KR20190005556A (ko) 2017-07-07 2019-01-1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염전 작업용 케이블 로봇
CN113003495A (zh) * 2019-12-21 2021-06-22 浙江知嘛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可自卸的叉车铲斗
KR20230076187A (ko) * 2021-11-24 2023-05-31 유한회사 디오션이엔지 염전용 소금 자동포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17629B (zh) * 2017-06-30 2019-01-18 益盐堂(应城)健康盐制盐有限公司 一种晾晒盐收集装置
CN111017962B (zh) * 2019-12-17 2022-08-09 陈剑锋 一种推铲式盐田收集海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8499A (ja) * 1996-01-09 1997-07-22 Hideaki Watanabe 歩行式フォーク・バケット運搬車
KR19980063069A (ko) * 1996-12-31 1998-10-07 오해일 음식물 쓰레기 수거운반 차량
KR100612075B1 (ko) * 2006-05-01 2006-08-14 곽회출 염전용 소금채집장치
KR20140030924A (ko) * 2012-09-04 2014-03-12 전경희 염전용 소금채취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73221Y (zh) * 1993-08-16 1994-08-03 林之文 多功能收盐机
CN2321763Y (zh) * 1997-12-10 1999-06-02 王全峰 收盐机
CN2670297Y (zh) * 2003-11-18 2005-01-12 山东海化集团瑞源实业有限公司 双桥驱动的收盐机
KR101444741B1 (ko) * 2013-09-03 2014-09-26 김철호 염전용 소금 수집장치
CN203833572U (zh) * 2014-04-16 2014-09-17 长沙中天机械铸造有限公司 带有滑轮的自动卸料叉车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8499A (ja) * 1996-01-09 1997-07-22 Hideaki Watanabe 歩行式フォーク・バケット運搬車
KR19980063069A (ko) * 1996-12-31 1998-10-07 오해일 음식물 쓰레기 수거운반 차량
KR100612075B1 (ko) * 2006-05-01 2006-08-14 곽회출 염전용 소금채집장치
KR20140030924A (ko) * 2012-09-04 2014-03-12 전경희 염전용 소금채취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48722A1 (ko) 2013-03-21 2014-09-25 Park Yong Hee 고효율 해수 증발 장치 및 증발로프 모듈
US10376808B2 (en) 2013-03-21 2019-08-13 Joong Il Choi Sea water evaporator, and evaporation rope module for salt production
KR20190005556A (ko) 2017-07-07 2019-01-1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염전 작업용 케이블 로봇
CN113003495A (zh) * 2019-12-21 2021-06-22 浙江知嘛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可自卸的叉车铲斗
KR20230076187A (ko) * 2021-11-24 2023-05-31 유한회사 디오션이엔지 염전용 소금 자동포집장치
KR102588835B1 (ko) 2021-11-24 2023-10-16 유한회사 디오션이엔지 염전용 소금 자동포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074513A (zh) 2017-08-18
WO2016076625A1 (ko) 2016-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0069B1 (ko) 염전 소금채집장치
US10919696B2 (en) Dump system
US7226011B2 (en) Stacker reclaimer method and apparatus
US10011442B2 (en) Bin sweep support
CN210126891U (zh) 一种建筑施工悬挑式移动落料平台
CN110923601B (zh) 加锌装置及自动加锌锭系统
CN105583713A (zh) 脚手架钢管外壁打磨装置
KR101108026B1 (ko) 갠트리 크레인 장치
KR101599999B1 (ko) 로터리 제진기
JP3179600U (ja) 雪搬送装置
CN216350203U (zh) 一种高架桥梁体渗水可视化检测装置
KR20140122365A (ko) 소금 수거 및 적재 장치
CN211199371U (zh) 加锌装置及自动加锌锭系统
CN211275433U (zh) 一种建筑工地用砂粒过筛装置
KR20180016071A (ko) 채염 및 적재 기능을 갖는 염전용 전동카
CN219670059U (zh) 一种稳定性好的物料提升机构
CN106697751B (zh) 一种金属镁冶炼用还原渣输送装置
US2978121A (en) Silage handling machine
KR101265732B1 (ko) 제설제 살포장치
CN212762864U (zh) 翻管机构及管料传输设备
CN209112967U (zh) 一种双轨式干污泥外运装置
JP3034404U (ja) 除塵装置
CN220886788U (zh) 一种煤矿巷道起重装置
CN213677556U (zh) 用于储物箱回收的装置
CN211169460U (zh) 立井多绳箕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