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9845A - 토출부에서 나오는 콘크리트의 타설 위치 변환이 용이한 타설 조절기 - Google Patents

토출부에서 나오는 콘크리트의 타설 위치 변환이 용이한 타설 조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9845A
KR20140029845A KR1020120095739A KR20120095739A KR20140029845A KR 20140029845 A KR20140029845 A KR 20140029845A KR 1020120095739 A KR1020120095739 A KR 1020120095739A KR 20120095739 A KR20120095739 A KR 20120095739A KR 20140029845 A KR20140029845 A KR 20140029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rotary
bracket
fixed
d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5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3208B1 (ko
Inventor
최재학
최성철
Original Assignee
최재학
최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학, 최성철 filed Critical 최재학
Priority to KR20120095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3208B1/ko
Publication of KR20140029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3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3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 E04G21/0418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 E04G21/0445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with b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미콘카로부터 공급받은 경화되기 전의 콘크리트에 높은 압력을 가하고, 타설하고자 하는 위치를 무선으로 조정하여 토출부에서 토출되는 콘크리트의 타설 위치을 용이하게 변환시킬 수 있는 타설 조절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붐대와 고정압송관의 연결구조 및 고정압송관과 회전압송관의 연결구조를 개량하고, 회전압송관의 외측에 도킹호스의 자세를 변형시키는 유압 기능으로 조작되는 호스작동부를 설치하여 펌프카에서 배출되는 콘크리트 도킹호스를 작업자가 직접 파지하여 팔의 힘으로 타설량을 조절하지 않고, 회전압송관의 외측에 설치되어 도킹호스의 자세를 변형시키는 호스작동부를 무선으로 조정하여 조절함으로써 타설 작업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토출부에서 나오는 콘크리트의 타설 위치 변환이 용이한 타설 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붐대의 말단에 고정압송관을 고정시키는 락킹장치와; 상기 고정압송관의 말단에 회전압송관을 회전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회전장치와; 상기 회전압송관의 외측에 설치되어 도킹호스의 자세를 변형시키는 호스작동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토출부에서 나오는 콘크리트의 타설 위치 변환이 용이한 타설 조절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토출부에서 나오는 콘크리트의 타설 위치 변환이 용이한 타설 조절기{Discharge from the pouring of the concrete position conversion easy pouring regulator}
본 발명은 레미콘카로부터 공급받은 경화되기 전의 콘크리트에 높은 압력을 가하고, 타설하고자 하는 위치를 무선으로 조정하여 토출부에서 토출되는 콘크리트의 타설 위치을 용이하게 변환시킬 수 있는 타설 조절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붐대와 고정압송관의 연결구조 및 고정압송관과 회전압송관의 연결구조를 개량하고, 회전압송관의 외측에 도킹호스의 자세를 변형시키는 유압 기능으로 조작되는 호스작동부를 설치하여 펌프카에서 배출되는 콘크리트 도킹호스를 작업자가 직접 파지하여 팔의 힘으로 타설량을 조절하지 않고, 회전압송관의 외측에 설치되어 도킹호스의 자세를 변형시키는 호스작동부를 무선으로 조정하여 조절함으로써 타설 작업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토출부에서 나오는 콘크리트의 타설 위치 변환이 용이한 타설 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정된 거리에 떨어진 작업장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펌프카(CPC:concrete pump car)라는 장비가 사용된다.
이러한 콘크리트 펌프카는 레미콘카로 부터 전달 받은 믹싱된 콘크리트 혼합물을 펌핑하여 고층 또는 작업자가 접근하기 곤란한 작업장소로 압송하기 위한 건설 장비로서 지상에서 콘크리트를 압송하는 압력은 펌프실린더 내부로 콘크리트가 유입된 후 펌프실린더에서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이 펌프실린더 내부의 콘크리트를 밀어낼 때 발생되고, 펌프실린더에서 피스톤에 의해 밀려난 콘크리트는 콘크리트 압송관을 매개체로 하여 토출관으로 압송되어 타설장소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콘크리트 펌프카는 절첩가능한 다수개의 붐대와, 붐대에 설치된 압송관과, 압송관에 연결된 토출관과, 토출관의 끝단에 설치된 도킹호스와, 레미콘카로 부터 콘크리트를 공급받는 호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서는 붐대를 펼쳐 설치하고, 레미콘카로부터 펌프카 호퍼로 공급받은 콘크리트를 압송관을 통해 타설코자 하는 위치로 압송시키면 1명 이상의 작업자가 콘크리트의 타설량을 조절하면서 타설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펌프카는 압출관과 토출관 및 도킹호스의 위치변환이 가능한 별도의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 타설작업이 끝날때까지 1명 이상의 작업자가 도킹호스를 직접 힘으로 파지하여 타설 위치를 수시로 이동시키고, 타설량을 조절함으로써 그 작업이 편리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고압으로 토출되는 콘크리트가 주변으로 튕기고 작업자의 신체부위에 파생하여 작업자의 안면과 안구등에 큰 상해를 입히게 되는 등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특히 압출관의 마지막 연결구인 도킹호스를 조절하는 작업자는 타설작업을 마칠때까지 펌프카의 끝부분 붐대 밑에서 작업을 해야 하므로 만약 펌프카가 전도 시 작업자가 사망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등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펌프카를 구성하고 있는 붐대와 고정압송관의 연결구조 및 고정압송관과 회전압송관의 연결구조를 개량하고, 회전압송관의 외측에 도킹호스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여 작업자가 없이도 도킹호스의 위치를 변경하여 타설 작업을 진행함으로써 그 작업이 용이하고, 타설부의 정밀한 시공이 가능하며, 타설 작업 시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토출부에서 나오는 콘크리트의 타설 위치 변환이 용이한 타설 조절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붐대의 말단에 고정압송관을 고정시키는 락킹장치와; 상기 고정압송관의 말단에 회전압송관을 회전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회전장치와; 상기 회전압송관의 외측에 설치되어 도킹호스의 자세를 변형시키는 호스작동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토출부에서 나오는 콘크리트의 타설 위치 변환이 용이한 타설 조절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붐대와 고정압송관의 연결구조 및 고정압송관과 회전압송관의 연결구조를 개량하고, 회전압송관과 도킹호스의 외측에 도킹호스의 자세를 변형시키는 호스작동부를 구비하여 도킹호스에서 낙하되는 콘크리트의 타설위치를 작업자가 직접 팔의 힘으로 조절하지 않고, 무선으로 조정하여 도킹호스의 위치 변경이 가능해짐에 따라 타설 작업이 편리하고, 타설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그 구조 상 작업자의 손이 미치지 않는 타설부의 작업이 가능해지고, 특히 펌프카의 붐대 끝지점 밑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위험을 해소하여 안전한 타설작업을 할 수 있는 등 여러 가지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토출부의 예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토출부의 일부 절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토출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락킹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토출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토출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이 실시된 펌프카의 예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토출부에서 나오는 콘크리트의 타설 위치 변환이 용이한 타설 조절기(100)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부(50)의 위치 변환을 용이하도록 하여 콘크리트 타설 작업자의 편리성은 물론이고, 타설 작업 시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붐대(1)의 말단에 고정압송관(2)을 고정시키는 락킹장치(3)와; 상기 고정압송관(2)의 말단에 회전압송관(4)을 회전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회전장치(5)와; 상기 회전압송관(4)의 외측에 설치되어 도킹호스(6)의 자세를 변형시키는 호스작동부(7);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고정압송관(2)은 펌프카(P)로 부터 이어진 붐끝압송관(8)과 90도엘보관(9)으로써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락킹장치(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붐대(1)에 고정된 고정밴드(10)와, 상기 고정밴드(10)와 힌지축(11)으로써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유동밴드(12)와, 상기 고정밴드(10)와 유동밴드(12)가 체결되는 일측에 설치되는 체결부재(13)와 상기 체결부재(13)와 유동암(14a)으로써 연결되어 고정밴드(10)와 유동밴드(12)의 체결상태를 견고히 하는 유압실린더(15a)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장치(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압송관(2)과 회전압송관(4)의 사이에 설치되고, 기어방식으로 형성되어 회전모터(16)의 구동에 의해 양방향으로 회동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회전장치(5)의 구동방식은 기어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압송관(2)과 회전압송관(4)의 연결상태를 견고히 하면서 회전압송관(4)의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방식이라면 어떠한 방식으로도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 밖에 상기 락킹장치(3)의 유압실린더(15a)를 포함한 후술 될 모든 유압실린더(15b, 15c, 15d)는 펌프카(P) 자체의 유압에 의해 작동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토출부에서 나오는 콘크리트의 타설 위치 변환이 용이한 타설 조절기(100)는 호스작동부(7)의 구조 및 구성에 따라서 제 1실시 예와 제 2실시 예와 제 3실시 예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는데, 우선 제 1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제 1실시예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호스작동부(7)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압송관(4)의 외측에 형성된 브라켓(17a)과, 상기 브라켓(17a)에 연결된 유압실린더(15b)와, 상기 유압실린더(15b)에 의해 유동되는 유동암(14b)과, 상기 유동암(14b)과 연결되고 고정축(18)에 의해 회전압송관(4)에 고정되어 연동되는 도킹호스지지대(19a)와, 상기 도킹호스지지대(19a)의 끝단에 형성된 U반도(20a)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작용 및 작동상태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크게 세가지 부분으로 나누어서 설명할 수 있는데, 우선 첫번째로 붐대(1)와 고정압송관(2)의 연결부위에 락킹장치(3)가 설치됨에 따라 고정압송관(2)의 이동 시 좌우로 크게 유동되지 않고, 최소한의 간격으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장치(3)의 고정밴드(10)와 유동밴드(12)가 체결되는 일측에 설치되는 체결부재(13)와 유동암(14a)으로써 연결된 유압실린더(15a)의 유압에 의해 체결부재(13)가 유압실린더(15a) 측으로 당겨지게 되고, 이에 따라 고정밴드(10)와 유동밴드(12)의 체결부위 사이 간극이 좁혀지면서 견고하게 고정되어 고정압송관(2)이 붐대(1)로 부터 일정 간격이상 유동되지 않고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두번째로 고정압송관(2)과 회전압송관(4)의 연결부위에 회전장치(5)가 설치됨에 따라 회전압송관(4)이 고정압송관(2)을 기준으로 외부의 수단이 아닌 유압 및 전기 회전장치(5)의 회전력에 의해 양 방향으로 회전 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회전장치(5)는 회전모터(16)의 회전축과 연결된 기어와 회전압송관관(4)에 형성된 기어가 서로 맞물려서 상호 유동되는 기어방식으로 형성됨에 따라 회전모터(16)의 구동에 의해 각각의 기어가 서로 연동되어 작동됨으로써 회전압송관(4)이 고정압송관(2)의 하단에서 일정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것이다.
또한 세번째로 회전압송관(4)과 도킹호스(6)를 연결하는 호스작동부(7)가 서로 연계되어 작동됨에 따라 도킹호스(6)가 회전압송관(4)의 끝단에서 일정한 반경을 가지면서 좌우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압송관(4)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브라켓(17a)과 연결된 유압실린더(15b)의 유압에 의해 유동암(14b)이 수직방향으로 유동되게 되면, 상기 유동암(14b)과 연결된 도킹호스지지대(19a)가 고정축(18)을 기준으로 동시에 상하 유동되고, 고정압송관(2)와 회전압송관(4)을 연결하는 회전장치(5)의 회전모터(16)가 회전할 때 상기 도킹호스지지대(19a)의 끝단에 형성된 U반도(20) 또한 좌우로 유동되며, 자연스럽게 도킹호스(6)가 회전압송관(4)의 하단에서 일정한 반경을 가지며 좌우로 유동되는 것이다.
2. 제 2실시예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호스작동부(7)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압송관(4)의 외측에 형성된 브라켓(17b)과, 상기 브라켓(17b)에 연결된 유압실린더(15c)와, 상기 유압실린더(15c)에 의해 유동되는 유동암(14c)과, 상기 유동암(14c)과 연결되고 힌지(21)로써 회전압송관(4)에 고정되어 유동되는 연결구(22)와, 상기 연결구(22)의 일측에 연결된 와이어(23)와, 상기 와이어(23)와 연결되는 도킹호스브라켓(24)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구성된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작용 및 작동상태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세가지 부분으로 나누어서 설명할 수 있는데, 첫번째와 두번째 작용 및 작동상태는 제 1실시 예와 동일함으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나머지 세번째 작용 및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회전압송관(4)과 도킹호스(6)를 연결하는 호스작동부(7)가 서로 연계되어 작동됨에 따라 도킹호스(6)가 회전압송관(4)의 끝단에서 일정한 반경을 가지면서 좌우로 유동된다.
환언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압송관(4)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브라켓(17b)과 연결된 유압실린더(15c)의 유압에 의해 유동암(14c)이 유압실린더(15c) 측으로 당겨지게 되면, 동시에 상기 유동암(14c)과 연결된 연결구(22) 또한 힌지(21)를 기준으로 유압실린더(15c) 측으로 유동되고, 그러면 상기 연결구(22)와 도킹호스(6)를 연결하는 와이어(23) 역시 연결구(22)와 같은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자연스럽게 도킹호스(6)가 회전압송관(4)의 하단에서 일정한 반경을 가지며 좌우로 유동되는 것이다.
3. 제 3실시예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호스작동부(7)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압송관(4)의 외측에 형성된 제1브라켓(25)과, 상기 제1브라켓(25)의 하측에 설치된 제2브라켓(26)과, 상기 제2브라켓(26)에 연결된 유압실린더(15d)와, 상기 유압실린더(15d)에 의해 유동되는 유동암(14d)과, 상기 제1브라켓(25)의 끝단에 연결되고 유동암(14d)에 의해 유동되는 도킹호스지지대(19b)와, 상기 도킹호스지지대(19b)의 끝단에 형성된 U반도(20b)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구성된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작용 및 작동상태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세가지 부분으로 나누어서 설명할 수 있는데, 첫번째와 두번째 작용 및 작용상태는 제 1실시 예와 동일함으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나머지 세번째 작용 및 작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고정압송관(2)과 회전압송관(4) 및 도킹호스(6)를 연결하는 각각의 구성이 서로 연계되어 작동됨에 따라 고정압송관(2)과 회전압송관(4)을 연결하는 회전장치(5)의 회전모터(16)가 회전압송관(4)을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압송관(4)의 하단에 설치된 도킹호스(6)가 일정한 반경을 가지면서 앞뒤 좌우로 유동된다.
다시 말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브라켓(17)의 끝단에 일측 끝단이 연결되고, 외주면의 일측이 제2브라켓(17)과 연결된 도킹호스지지대(19b)가 유압실린더(15d)의 유압에 의해 유동되는 유동암(14d)에 의해 회전압송관(4)의 외측으로 밀려나가게 되고, 이때 상기 회전압송관(4)의 타측 끝단에 형성된 U반도(20b) 역시 도킹호스지지대(19b)와 같은 방향으로 밀려나가게 된다.
그러면 상기 U반도(20b)에 걸림되어 있던 도킹호스(6)가 도킹호스지지대(19b) 측으로 당겨지면서 자연스럽게 도킹호스(6)가 회전압송관(4)의 하단에서 일정한 반경을 가지며 좌우로 유동되는 것이다.
이때 고정압송관(2)에 고정되어 부착된 회전모터(16)가 회전압송관(4)에 부착된 회전기어를 회전시킴으로써 도킹호스(6)가 앞뒤 좌우로 유동되어 콘크리트의 타설부위와 타설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각각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붐대(1)와 고정압송관(2)의 연결구조 및 고정압송관(2)과 회전압송관(4)의 연결구조를 개량하고, 회전압송관(4)과 연결된 도킹호스(6)의 외측에 도킹호스(6)의 자세를 변형 할 수 있도록 하는 호스작동부(7)를 구비하여 1명 이상의 작업자가 없이도 도킹호스(6)의 위치 변경이 가능해짐에 따라 타설 작업이 편리하고, 타설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그 구조 상 작업자의 손이 미치지 않는 타설부의 작업이 가능해짐으로써 콘크리트 타설부의 정밀한 시공이 가능해 지는 효과가 있다.
특히 콘크리트가 낙하되면서 주변으로 튕겨 타설량 조절 작업자의 신체부위에 파생하여 작업자의 안면과 안구에 큰 상해를 입는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펌프카의 전도 시 붐대 밑에 있는 작업자가 사망으로 직결되는 위험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 안전이 최우선인 작업현장에 여러 가지의 안전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변형 및 변환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명백할 것이다.
1 : 붐대 2 : 고정 압송관
3 : 락킹장치 4 : 회전 압송관
5 : 회전장치 6 : 도킹호스
7 : 호스작동부 8 : 붐끝 압송관
9 : 90도 엘보관 10 : 고정밴드
11 : 힌지축 12 : 유동밴드
13 : 체결부재 14a, 14b, 14c, 14d : 유동암
15a, 15b, 15c, 15d : 유압실린더 16 : 회전모터
17a, 17b : 브라켓 18 : 고정축
19a, 19b : 도킹호스지지대 20a, 20b : U반도
21 : 힌지 22 : 연결구
23 : 와이어 24 : 도킹호스브라켓
25 : 제1브라켓 26 : 제2브라켓
50 : 토출부 P : 펌프카
100 : 타설 조절기

Claims (6)

  1. 붐대(1)의 말단에 설치되어 고정압송관(2)을 고정시키는 락킹장치(3)와; 상기 고정압송관(2)의 말단에 설치되어 회전압송관(4)을 회전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회전장치(5)와; 상기 회전압송관(4)의 외측에 설치되어 도킹호스(6)의 자세를 변형시키는 호스작동부(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토출부에서 나오는 콘크리트의 타설 위치 변환이 용이한 타설 조절기.
  2. 제 1항에 있어서, 호스작동부(7)는 회전압송관(4)의 외측에 형성된 브라켓(17a)과, 상기 브라켓(17a)에 연결된 유압실린더(15b)와, 상기 유압실린더(15b)에 의해 유동되는 유동암(14b)과, 상기 유동암(14b)과 연결되고 고정축(18)에 의해 회전압송관(4)에 고정되어 연동되는 도킹호스지지대(19a)와, 상기 도킹호스지지대(19a)의 끝단에 형성된 U반도(20a)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토출부에서 나오는 콘크리트의 타설 위치 변환이 용이한 타설 조절기.
  3. 제 1항에 있어서, 호스작동부(7)는 회전압송관(4)의 외측에 형성된 브라켓(17b)과, 상기 브라켓(17b)에 연결된 유압실린더(15c)와, 상기 유압실린더(15c)에 의해 유동되는 유동암(14c)과, 상기 유동암(14c)과 연결되고 힌지(21)로써 회전압송관(4)에 고정되어 유동되는 연결구(22)와, 상기 연결구(22)의 일측에 연결된 와이어(23)와, 상기 와이어(23)와 연결되는 도킹호스브라켓(24)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토출부에서 나오는 콘크리트의 타설 위치 변환이 용이한 타설 조절기.
  4. 제 1항에 있어서, 호스작동부(7)는 회전압송관(4)의 외측에 형성된 제1브라켓(25)과, 상기 제1브라켓(25)의 하측에 설치된 제2브라켓(26)과, 상기 제2브라켓(26)에 연결된 유압실린더(15d)와, 상기 유압실린더(15d)에 의해 유동되는 유동암(14d)과, 상기 제1브라켓(25)의 끝단에 연결되고 유동암(14d)에 의해 유동되는 도킹호스지지대(19b)와, 상기 도킹호스지지대(19b)의 끝단에 형성된 U반도(20b)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토출부에서 나오는 콘크리트의 타설 위치 변환이 용이한 타설 조절기.
  5. 제 1항에 있어서, 회전장치(5)는 기어방식으로 형성되어 회전모터(16)에 의해 구동됨을 특징으로 한 토출부에서 나오는 콘크리트의 타설 위치 변환이 용이한 타설 조절기.
  6. 제 1항에 있어서, 락킹장치(3)는 붐대(1)에 고정된 고정밴드(10)와, 상기 고정밴드(10)와 힌지축(11)으로써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유동밴드(12)와, 상기 고정밴드(10)와 유동밴드(12)가 체결되는 일측에 설치되는 체결부재(13)와, 상기 체결부재(13)와 유동암(14a)으로써 연결되어 고정밴드(10)와 유동밴드(12)의 체결상태를 견고히 하는 유압실린더(15a)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토출부에서 나오는 콘크리트의 타설 위치 변환이 용이한 타설 조절기.
KR20120095739A 2012-08-30 2012-08-30 토출부에서 나오는 콘크리트의 타설 위치 변환이 용이한 타설 조절기 KR101493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95739A KR101493208B1 (ko) 2012-08-30 2012-08-30 토출부에서 나오는 콘크리트의 타설 위치 변환이 용이한 타설 조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95739A KR101493208B1 (ko) 2012-08-30 2012-08-30 토출부에서 나오는 콘크리트의 타설 위치 변환이 용이한 타설 조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845A true KR20140029845A (ko) 2014-03-11
KR101493208B1 KR101493208B1 (ko) 2015-02-13

Family

ID=50642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95739A KR101493208B1 (ko) 2012-08-30 2012-08-30 토출부에서 나오는 콘크리트의 타설 위치 변환이 용이한 타설 조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32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9966B1 (ko) * 2017-07-10 2018-04-19 주식회사 해상기술 수면펌프
WO2019145334A1 (de) * 2018-01-23 2019-08-01 Schwing Gmbh GROßMANIPULATOR MIT ENDSCHLAUCHHALTER
CN114852693A (zh) * 2022-06-17 2022-08-05 浙江固特气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工业散料气力输送技术的物料输送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7942A (ja) * 1994-01-19 1995-08-08 Susumu Tokuoka ブーム先端ホース旋回装置
JP3281886B2 (ja) * 1995-12-27 2002-05-13 国土交通省関東地方整備局長 コンクリートディストリビュータ
KR200329391Y1 (ko) * 2003-06-23 2003-10-17 이병렬 콘크리트타설기의 타설관 회전지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9966B1 (ko) * 2017-07-10 2018-04-19 주식회사 해상기술 수면펌프
WO2019145334A1 (de) * 2018-01-23 2019-08-01 Schwing Gmbh GROßMANIPULATOR MIT ENDSCHLAUCHHALTER
US11365551B2 (en) 2018-01-23 2022-06-21 Schwing Gmbh Large manipulator with end-hose holder
CN114852693A (zh) * 2022-06-17 2022-08-05 浙江固特气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工业散料气力输送技术的物料输送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3208B1 (ko) 2015-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3594B2 (en) Aggregate-spreading device
KR101493208B1 (ko) 토출부에서 나오는 콘크리트의 타설 위치 변환이 용이한 타설 조절기
CN105569340B (zh) 移动铰接臂的方法和装置
GB2132676A (en) Apparatus for horizontally casting concrete
CN106088611A (zh) 一种建筑用混凝土地泵终端辅助浇筑装置
CN210370735U (zh) 锚杆锚索搅拌器
CA2838247C (en) Chimney demolition vehicle
WO2016126706A1 (en) Mover apparatus installed aftermarket or oem for pivoting a cement chute and method
CN109610837A (zh) 一种混泥土浇筑装置
CN103669444A (zh) 用于工业机械的流体输送系统
JP5688934B2 (ja) 油圧ユニット
CN211548813U (zh) 一种基于高层建筑混凝土施工的输送浇筑装置
KR101809584B1 (ko) 콘크리트 자동 타설기
EP2730531B1 (en) Apparatus and corresponding method to control the vibrations of an articulated arm
CN107896943B (zh) 一种园林用草坪洒水装置及其制备方法
KR20140001514U (ko) 자동 미장장치
EP3663465A1 (en) Asphalt finisher
JP2019039261A (ja) コンクリートディストリビュータ
JP2016516142A (ja) 定置ブームおよび回転ヘッドを備えた作業機
JP2016130160A (ja) アシストスーツ
KR101446965B1 (ko) 콘크리트 타설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한 자주식 콘크리트 타설기
CN211597763U (zh) 一种双转臂布料机
CN113513169A (zh) 一种混凝土浇筑装置
CN208415949U (zh) 一种混凝土泵车
KR20170001781A (ko) 유압 절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