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9074A - 프론트 엔드 모듈 - Google Patents

프론트 엔드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9074A
KR20140029074A KR1020120096823A KR20120096823A KR20140029074A KR 20140029074 A KR20140029074 A KR 20140029074A KR 1020120096823 A KR1020120096823 A KR 1020120096823A KR 20120096823 A KR20120096823 A KR 20120096823A KR 20140029074 A KR20140029074 A KR 20140029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y
bumper beam
coupling hole
coupling
end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6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0855B1 (ko
Inventor
박성욱
소원섭
민옥렬
권용성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6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855B1/ko
Publication of KR20140029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62D25/085Front-end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26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 B60R19/30Elastomer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26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 B60R19/32Fluid shock absorbers, e.g. with coaxial coil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60Y2304/078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by interchangeable parts, e.g. new part adapting to old 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론트 엔드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충돌이 발생할 경우,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으며, 쿨링모듈과 범퍼 빔 사이의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어 쿨링모듈의 손상을 방지하고, 보행자의 상해 정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프론트 엔드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프론트 엔드 모듈 {Front And Module}
본 발명은 프론트 엔드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범퍼 빔이 완충부재 및 이중구조를 가지는 스테이를 포함함으로써, 충돌이 발생할 경우,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으며, 쿨링모듈과 범퍼 빔 사이의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어 쿨링모듈의 손상을 방지하고, 보행자의 상해 정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프론트 엔드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 개발은 부품과 공정의 수를 감소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들이 연구되어지고 있다.
특히, 그 대표적인 예로서, 자동차의 전면부를 형성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을 들 수 있으며,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Front End Module:FEM)이란, 자동차의 전방을 구성하는 장치들을 모듈화 함으로써, 한 번의 공정으로 자동차의 골조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1)을 도시한 것으로, 일반적인 프론트 엔드 모듈(1)은 차량의 양측 사이드 프레임(Side Frame)에 결합되어 자동차의 전면부를 구성하고 있는 캐리어(10)(Carrier)와, 상기 캐리어(10)에 장착되는 라디에이터(22)(Radiator), 응축기(21)(Condensor) 및 팬 쉬라우드(23)를 포함하는 쿨링모듈(20) 및 범퍼 빔(30)(Bumper Beam) 등을 포함한다. 즉, 상기 캐리어(10)의 전면에 응축기(21) 및 라디에이터(22)를 포함하는 쿨링모듈(20)을 고정시키고, 차체의 전방에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범퍼 빔(30)이 장착된다.
이 때, 상기 범퍼 빔(30)은 상기 캐리어(10)의 전방에 배치되는 레일(31)과, 상기 레일(31)의 양단부에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스테이(32) 및 상기 스테이(32)와 캐리어(10)를 연결하는 판 형상의 플레이트(33)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31), 스테이(32) 및 플레이튼 용접에 의해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므로, 저속충돌 및 보행자와의 충돌이 발생할 경우에도 상기 범퍼 빔(30)이 쉽게 손상되며, 고속충돌이 발생할 경우 쿨링모듈(20) 까지 심각하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세계차량수리기술연구위원회(RCAR; Research Council for Automobile Repairs)는 차량 각 요소들의 내구성 및 안정도의 기준 산정하고 연구하는 기관으로서, 각각의 차량은 상기 세계차량수리기술연구위원회에서 제시하는 기준의 해당되는 지를 평가받게 되며, 이 평가 결과는 보험회사의 보험료를 산정함에 있어 기준이 된다.
즉, 상기 범퍼 빔(30)이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충격을 흡수하지 못해 저속충돌 및 보행자와의 충돌에도 쉽게 손상될 뿐 아니라, 손상 시 전체를 교환해야하므로 수리비가 증대되고, 고속충돌이 발생할 경우에는 쿨링모듈(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없어 수리비가 더욱 증대되므로, 보험료가 증가하여 RCAR 성능이 저하될 수밖에 없다.
한편, 자동차의 차체 구조는, 정면 및 측면 충돌 시 차량 내부에 탑승하고 있는 운전자와 탑승객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그 강성을 점진적으로 강화해 나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와 같이 차체의 강성이 점차적으로 강화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내부의 운전자 및 탑승객의 안전성은 높아지나, 반면 보행자가 주행 중인 차량과의 충돌 시 보행자가 입는 피해의 정도가 차체의 강성이 증가된 만큼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보행자와의 충돌이 발생할 경우, 상기 범퍼 빔이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는 만큼 보행자에게도 동일한 충격이 가해져 보행자의 상해 정도가 심각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한국공개특허 제2012-0075026호(“차량용 범퍼빔 유닛” 이하, 선행기술1 이라함.)가 개시된 바 있다. 선행기술1은 두께가 서로 다른 소재가 분리 구성되어 상호 용접을 통해 결합됨으로써, 범퍼빔의 전체적인 사이즈 증대 없이 정면 충돌에 대한 그 구조적 강성을 높이고, 정면 충돌 시, 두께가 두꺼운 소재에 응력이 집중되도록 유도하여 충돌성능을 향상시킴에 따라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범퍼빔 유닛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선행기술 1은 서로 다른 소재를 용접하여 형성되므로, 강성을 향상시킬 수는 있으나, 충돌이 발생할 경우 충격을 흡수할 수 없고, 보행자와 충돌할 경우, 보행자의 상해 정도를 심각하게 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충돌이 발생할 경우 충격이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범퍼 빔의 손상을 최소화 하며, 쿨링모듈과의 안전거리를 확보하여 쿨링모듈의 손상을 방지하고, 분리형으로 형성되어 충격으로 인해 손상이 발생하여도 부분적인 교체가 가능하여 수리비가 절감되는 동시에 보행자의 상해 정도를 저감할 수 있는 범퍼 빔을 포함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075026호 (발명의 명칭 : 차량용 범퍼빔 유닛, 공개일 : 2012.07.06)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충돌이 발생할 경우,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며, 쿨링모듈과 범퍼 빔 사이의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어 쿨링모듈의 손상을 방지하고, 보행자의 상해 정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범퍼 빔을 포함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프론트 엔드 모듈(1000)은 상부 및 하부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상부패널(110) 및 하부패널(120), 상기 상부패널(110)과 하부패널(120)을 연결하는 한 쌍의 사이드패널(130)로 이루어져, 쿨링모듈 장착부(140)가 형성된 캐리어(100); 상기 캐리어(100)에 장착되는 쿨링모듈(200); 상기 캐리어(100)의 전방에 장착되는 범퍼 빔(300); 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프론트 엔드 모듈(1000)에 있어서, 상기 범퍼 빔(300)은 상기 캐리어(100) 전방에 배치되는 레일(310)과, 상기 레일(310)의 후면에 연장 형성되는 제1스테이(320);와, 상기 캐리어(100)에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제1스테이(320)가 삽입되는 공간부(341)가 형성되는 제2스테이(340);와, 상기 제2스테이(34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제1충격흡수부(370); 및 상기 제2스테이(34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제2충격흡수부(3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범퍼 빔(300)은 상기 캐리어(100)와 제1스테이(320) 사이에 완충수단(35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수단(350)은 상기 제2스테이(340)의 공간부(341)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범퍼 빔(300)은 상기 제1스테이(32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스테이(320)와 제2스테이(340)를 결합하는 결합부(3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360)는 상기 제2스테이(34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제1결합홀(361)과, 상기 제1결합홀(361)에 대응되며 상기 제2스테이(34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제2결합홀(362) 및 상기 제1결합홀(361) 및 제2결합홀(362)을 관통하여 상기 제1스테이(320)와 제2스테이(340)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36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360)는 상기 제1결합홀(361)이 전후방향으로 길게 슬롯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홀(362)은 원형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충격흡수부(370)는 상기 제1결합홀(361) 전방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홀(361) 및 서로가 연결되는 복수 개의 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충격흡수부(380)는 상기 제2결합홀(362)의 후방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홀(362) 및 서로가 연결되는 복수 개의 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프론트 엔드 모듈은 범퍼 빔이 완충부재 및 이중으로 형성되는 스테이를 포함하여, 충돌이 발생할 경우 충격이 효과적으로 흡수되어 범퍼 빔의 손상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고, 보행자의 상해정도를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론트 엔드 모듈은 고속충돌이 발생할 경우, 상기 범퍼 빔의 완충부재가 압축되어, 상기 범퍼 빔과 쿨링모듈 사이에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쿨링모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론트 엔드 모듈은 차량의 충돌로 인한 범퍼 빔의 파손 시 일부 부품만 교체 또는 수리가 가능하며, 쿨링모듈의 손상이 방지되므로 RCAR 성능이 향상되어 수리비 및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프론트 엔드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프론트 엔드 모듈의 범퍼 빔을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 범퍼 빔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 범퍼 빔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 범퍼 빔의 제1스테이 및 제2스테이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의 일반 사용 조건에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의 저속 충돌 조건에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 범퍼 빔의 충격 흡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프론트 엔드 모듈(1000)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1000)을 나타낸 사시도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1000)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1000)은 캐리어(100), 쿨링모듈(200) 및 범퍼 빔(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캐리어(100)는 프론트 엔드 모듈(1000)을 형성하는 기본 몸체로서, 차량 전방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상기 캐리어(100)는 상부 및 하부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상부패널(110) 및 하부패널(120), 상기 상부패널(110)과 하부패널(120)을 연결하는 한 쌍의 사이드패널(130)로 이루어져, 쿨링모듈 장착부(140)가 형성된다.
상기 쿨링모듈(200)은 차량 내부를 냉각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된 고온의 냉매를 냉각시키는 응축기(210)와, 상기 응축기(210)의 후방에 위치하여 엔진을 냉각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된 고온의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라디에이터(220) 및 상기 라디에이터(220)의 후방에 위치하여 공기를 강제 송풍시켜 상기 응축기(210)와 라디에이터(220)의 냉각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팬 쉬라우드(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쿨링모듈(200)은 상기 라디에이터(220)를 기준으로 하여 전방으로 응축기(210)가 위치하고 후방으로 팬 쉬라우드(230)가 위치하여 결합되고, 상기 쿨링모듈(200)은 상기 캐리어(100)의 쿨링모듈 장착부(140)에 결합된다.
상기 범퍼 빔(300)은 상기 캐리어(100)의 전방에 장착되어 충격을 완충시킨다. 즉, 상기 범퍼 빔(300)은 자동차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하는 역할로, 충격이 클 경우에는 그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충하도록 변형되고, 충격이 적을 경우에는 변형되지 않거나 변형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1000) 범퍼 빔(300)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1000) 범퍼 빔(300)을 나타낸 분해사시도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1000)의 범퍼 빔(300)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범퍼 빔(300)은 레일(310), 제1스테이(320), 플레이트(330), 제2스테이(340), 제1충격흡수부(370) 및 제2충격흡수부(3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레일(310)은 상기 캐리어(100) 전방에 배치되며, 충돌 발생 시 상기 레일(310)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스테이(320)는 상기 레일(310)의 후면에 연장 형성되되, 상기 레일(310)의 양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330)는 상기 범퍼 빔(300)과 캐리어(100)를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한 쌍으로 형성되며,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캐리어(100)의 한 쌍의 사이드 패널과 결합된다. 상기 제2스테이(340)는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330)의 전면에 각각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제1스테이(320)와 대응되어 상기 제1스테이(320)가 삽입되는 공간부(341)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범퍼 빔(300)은 상기 제1스테이(320)와 플레이트(330) 사이에 완충수단(35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수단(350)은 상기 제2스테이(340)의 공간부(341)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범퍼 빔(300)은 상기 완충수단(350)이 스프링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완충수단(350)이 구비되어 충돌 발생 시 충격을 흡수하고, 상기 레일(310)이 후방으로 급격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제1스테이(320) 및 제2스테이(340)의 파손됨 없이 안정적으로 상기 레일(310)이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1000)은 상기 범퍼 빔(300)의 완충수단(350)이 스프링 형태이나, 상기 완충수단(350)은 탄성고무, 우레탄 등의 탄성체 또는 유압장치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목적에 벗어남 없이 다양하게 변형실시 가능하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범퍼 빔(300)은 상기 제1스테이(320)와 제2스테이(340)가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스테이(32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범퍼 빔(300)은 상기 제1스테이(32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스테이(320)와 제2스테이(340)를 결합하는 결합부(3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360)는 제1결합홀(361), 제2결합홀(362) 및 결합수단(36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결합홀(361)은 상기 제2스테이(340)의 양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홀(362)은 상기 제1결합홀(361)에 대응되며 상기 제2스테이(340)의 양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결합수단(363)은 상기 제1결합홀(361) 및 제2결합홀(362)을 관통하여 상기 제1스테이(320)와 제2스테이(340)를 결합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1000) 범퍼 빔(300)의 제1스테이(320) 및 제2스테이(340)를 나타낸 측면도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1000) 범퍼 빔(300)의 결합부(360)에 대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홀(361)은 상기 제1스테이(320)의 양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홀(362)은 상기 제2스테이(340)의 양측면에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제1결합홀(361)은 전후방향으로 길게 슬롯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홀(362)은 원형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범퍼 빔(300)은 충돌 발생 시 상기 범퍼 빔(300)이 추가적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스테이(32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제1충격흡수부(370) 및 상기 제2스테이(34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제2충격흡수부(38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충격흡수부(370)는 상기 제1결합홀(361) 전방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홀(361) 및 서로가 연결되는 복수 개의 홀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2충격흡수부(380)는 상기 제2결합홀(362)의 후방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홀(362) 및 서로가 연결되는 복수 개의 홀 형태로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제1충격흡수부(370) 및 제2충격흡수부(380)는 상기 제1결합홀(361) 및 제2결합홀(362)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되, 충격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결합수단(363)이 상기 제1충격흡수부(370) 또는 제2충격흡수부(380)로 이동되지 않도록 걸림 고정되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1000)은 상기 범퍼 빔(300)이 완충수단(350), 제1충격흡수부(370) 및 제2충격흡수부(380)를 포함하고 있어, 보행자 충돌, 저속충돌 및 고속충돌에 의한 충격이 모두 완충가능하며, 충격이 단계적으로 완충되므로 더욱 효과적으로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1000)의 일반 사용 조건에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1000)의 저속 충돌 조건에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1000)의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1000)의 일반 사용 조건에서 상기 범퍼 빔(300)은 상기 레일(310)과 상기 쿨링모듈(200) 사이의 거리가 충분히 이격되며, 충격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상기 완충수단(350)이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제2스테이(340)의 공간부(341)에 구비된다. 이 때, 상기 결합부(360)의 결합수단(363)은 상기 제1결합홀(361) 및 제2결합홀(362)을 관통하여 상기 제1스테이(320) 및 제2스테이(340)를 결합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1000)의 저속 충돌 조건에서 상기 범퍼 빔(300)은 상기 레일(310)과 상기 쿨링모듈(200) 사이의 거리가 상기 일반 사용 조건에서 보다 가까우며, 상기 완충수단(350)이 상기 제2스테이(340)의 공간부(341) 내부에 구비된 상태로 상기 제1스테이(320)에 의해 압축된다. 이 때, 상기 결합부(360)의 결합수단(363)은 상기 제1결합홀(361) 및 제2결합홀(362)을 관통하여 상기 제1스테이(320) 및 제2스테이(340)를 결합하므로, 상기 제1스테이(320)가 상기 완충수단(350)을 압축할 수 있도록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결합홀(361)이 슬롯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스테이(320)가 상기 결합수단(363)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저속 충돌 발생 조건에서 상기 완충수단(350)이 압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스테이(32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스테이(340)에 결합되어야 하므로, 상기 제1결합홀(361)은 슬롯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합부(360)는 상기 제1결합홀(361)이 슬롯 형태로 형성되었으나, 상기 제1결합홀(361)은 상기 제1스테이(32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본 발명의 목적에 벗어남 없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1000) 범퍼 빔(300)의 충격 흡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로, 도 9(a)는 일반 사용 조건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9(b)는 고속 충돌 조건에서 상기 범퍼 빔(300)의 제1충격흡수부(370)가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는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9(c)는 고속 충돌 조건에서 상기 범퍼 빔(300)의 제2충격흡수부(380)가 2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는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로, 도 9를 참조로 하여 상기 범퍼 빔(300)의 결합부(360)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범퍼 빔(300)은 일반 사용 조건에서 상기 결합수단(363)이 상기 제1결합홀(361) 및 제2결합홀(362)을 관통하여 상기 제1스테이(320) 및 제2스테이(340)를 결합한다. 이 때, 상기 완충수단(350)은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제2스테이(340)의 공간부(341) 내부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범퍼 빔(300)은 저속 충돌 및 보행자 충돌로 인해 저속 충돌 조건이 될 경우, 상기 결합수단(363)이 상기 제1결합홀(361) 및 제2결합홀(362)을 관통하여 상기 제1스테이(320) 및 제2스테이(340)를 결합하되, 상기 제1스테이(320)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완충수단(350)을 압축해야 하므로, 상기 제1스테이(320)에 형성된 슬롯 형태의 상기 제1결합홀(361)과 상기 결합수단(363)이 슬라이딩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제1스테이(320)가 이동하여 상기 완충수단(350)을 압축하여, 상기 범퍼 빔(300)이 충격을 1차적으로 완충시킨다.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범퍼 빔(300)은 상기 저속 충돌 조건에서와 같이 상기 압축수단이 압축되어 1차적으로 충격이 완충되며, 상기 제1충격흡수부(370)에 의해 2차적으로 충격이 완충된다. 즉, 상기 결합수단(363)이 상기 제1결합홀(361) 전방 단부까지 이동하여 상기 압축수단을 압축한 후, 상기 결합수단(363)이 걸림 고정이 해제되어 상기 제1충격흡수부(370)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스테이(320)가 상기 압축수단을 더욱 압축하여 2차적으로 충격이 완충된다.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범퍼 빔(300)은 도 9(b)에 도시한 고속 충돌 조건 상태에서 더욱 충격이 가해질 경우, 상기 제1충격흡수부(370)로 이동되었던 상기 결합수단(363)이 상기 제2충격흡수부(380)로 이동한다. 즉, 상기 제2결합홀(362)과 상기 제2충격흡수부(380)의 걸림 고정이 해제되어 상기 결합수단(363)이 상기 제2충격흡수부(380)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스테이(320)가 상기 압축수단을 더욱 압축하여 3차적으로 충격이 완충된다.
또한, 상기 범퍼 빔(300)은 상기 결합수단(363)이 상기 제1충격흡수부(370) 및 제2충격흡수부(380)로 이동하여 세 단계로 충격을 모두 완충하는 것 이상으로 상기 범퍼 빔(300)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상기 제1스테이(320) 및 제2테이가 압축되어 4차적으로 충격이 완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1스테이(320) 및 제2스테이(340)는 강한 충격이 가해질 경우 압축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1000)은 상기 범퍼 빔(300)이 상기 완충수단(350)을 통해 1차적으로 충격을 완충하며, 상기 제1충격흡수부(370)를 통해 2차적으로 충격을 완충하고, 상기 제2충격흡수부(380)를 통해 3차적으로 충격을 완충하고, 상기 제1스테이(320) 및 제2스테이(340) 자체가 압축될 수 있도록 형성하여 4차적으로 충격을 완충함으로써, 상기 범퍼 빔(300)의 손상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충격이 상기 쿨링모듈(200)까지 전달되지 않아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1000)의 내구성이 강화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론트 엔드 모듈(1000)은 차량의 충돌로 인한 범퍼 빔(300)의 파손 시 일부 부품만 교체 또는 수리가 가능하며, 쿨링모듈(200)의 손상이 방지되므로 RCAR 성능이 향상되어 수리비 및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보행자의 상해정도를 저감할 수 있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프론트 엔드 모듈
100 : 캐리어 110 : 상부패널
120 : 하부패널 130 : 사이드패널
140 : 쿨링모듈 장착부 200 : 쿨링모듈
210 : 응축기 220 : 라디에이터
230 : 팬 쉬라우드 300 : 범퍼 빔
310 : 레일 320 : 제1스테이
330 : 플레이트 340 : 제2스테이
341 : 공간부 350 : 완충수단
360 : 결합부 361 : 제1결합홀
362 : 제2결합홀 363 : 결합수단
370 : 제1충격흡수부 380 : 제2충격흡수부

Claims (5)

  1. 상부 및 하부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상부패널(110) 및 하부패널(120), 상기 상부패널(110)과 하부패널(120)을 연결하는 한 쌍의 사이드패널(130)로 이루어져, 쿨링모듈 장착부(140)가 형성된 캐리어(100); 상기 캐리어(100)에 장착되는 쿨링모듈(200); 상기 캐리어(100)의 전방에 장착되는 범퍼 빔(300); 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프론트 엔드 모듈(1000)에 있어서,
    상기 범퍼 빔(300)은
    상기 캐리어(100) 전방에 배치되는 레일(310)과, 상기 레일(310)의 후면에 연장 형성되는 제1스테이(320);
    상기 캐리어(100)에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제1스테이(320)가 삽입되는 공간부(341)가 형성되는 제2스테이(340);
    상기 제2스테이(34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제1충격흡수부(370); 및
    상기 제2스테이(34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제2충격흡수부(3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 빔(300)은
    상기 캐리어(100)와 제1스테이(320) 사이에 완충수단(35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수단(350)은 상기 제2스테이(340)의 공간부(341)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 빔(300)은
    상기 제1스테이(32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스테이(320)와 제2스테이(340)를 결합하는 결합부(3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360)는 상기 제2스테이(34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제1결합홀(361)과, 상기 제1결합홀(361)에 대응되며 상기 제2스테이(34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제2결합홀(362) 및 상기 제1결합홀(361) 및 제2결합홀(362)을 관통하여 상기 제1스테이(320)와 제2스테이(340)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36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360)는
    상기 제1결합홀(361)이 전후방향으로 길게 슬롯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홀(362)은 원형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충격흡수부(370)는
    상기 제1결합홀(361) 전방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홀(361) 및 서로가 연결되는 복수 개의 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충격흡수부(380)는 상기 제2결합홀(362)의 후방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홀(362) 및 서로가 연결되는 복수 개의 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KR1020120096823A 2012-08-31 2012-08-31 프론트 엔드 모듈 KR101890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823A KR101890855B1 (ko) 2012-08-31 2012-08-31 프론트 엔드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823A KR101890855B1 (ko) 2012-08-31 2012-08-31 프론트 엔드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074A true KR20140029074A (ko) 2014-03-10
KR101890855B1 KR101890855B1 (ko) 2018-08-23

Family

ID=50642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6823A KR101890855B1 (ko) 2012-08-31 2012-08-31 프론트 엔드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08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67561A (zh) * 2018-11-29 2019-02-22 中南大学 一种切削式轨道车辆吸能防爬器
KR20200042115A (ko) * 2018-10-15 2020-04-23 (주)엘지하우시스 충돌가이드 구조부를 갖는 차량용 범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2115A (ko) * 2018-10-15 2020-04-23 (주)엘지하우시스 충돌가이드 구조부를 갖는 차량용 범퍼
CN109367561A (zh) * 2018-11-29 2019-02-22 中南大学 一种切削式轨道车辆吸能防爬器
CN109367561B (zh) * 2018-11-29 2023-11-21 中南大学 一种切削式轨道车辆吸能防爬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0855B1 (ko) 2018-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5705B2 (en) Shock-absorber assembly and corresponding motor vehicle
CN104724180A (zh) 机动车辆后部
KR101691110B1 (ko) 분산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프런트 범퍼 시스템
WO2013002010A1 (ja) フロントアンダーランプロテクタ
EP2842815B1 (en) Wheel-embracing mechanism and safety vehicle having the wheel-embracing mechanism
CN105398411A (zh) 一种汽车保险杠
KR101063397B1 (ko) 차량용 에너지 업서버
CN115303219A (zh) 一种汽车防撞组件
KR101055071B1 (ko) 저속 충돌시 수리비 절감을 위한 범퍼 레일
KR20140029074A (ko) 프론트 엔드 모듈
KR20100060135A (ko) 저속충돌 대응을 위한 범퍼의 백빔 보강구조
KR20060012791A (ko) 하이브리드 타입 프론트 범퍼 빔의 구조
CN110228437B (zh) 一种车辆碰撞消能装置
CN113771788A (zh) 一种汽车后支撑架
JP2012224275A (ja) フロントアンダーランプロテクタ
KR20140013635A (ko) 자동차용 범퍼의 에너지 흡수 구조물
KR20120029947A (ko) 차량용 완충장치
CN107662566B (zh) 防撞梁总成及车辆
CN105083182A (zh) 汽车碰撞缓冲吸能、复位装置
JP2005001431A (ja) 自動車のバンパ構造
CN211364479U (zh) 一种用于偏置碰撞的车身端加强结构
CN220721002U (zh) 一种汽车碰撞吸能保护装置
JP2013052769A (ja) エネルギー吸収型フロントアンダランプロテクタ、これを備えた車両、及び正面衝突エネルギー吸収方法
KR200284054Y1 (ko) 자동차범퍼의 충격완화장치
JP2015009583A (ja) 車両の前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