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5967A - 모바일에 기반한 현장관리 솔루션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에 기반한 현장관리 솔루션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5967A
KR20140025967A KR1020120092758A KR20120092758A KR20140025967A KR 20140025967 A KR20140025967 A KR 20140025967A KR 1020120092758 A KR1020120092758 A KR 1020120092758A KR 20120092758 A KR20120092758 A KR 20120092758A KR 20140025967 A KR20140025967 A KR 20140025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te
information
mobile
field
wo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2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2109B1 (ko
Inventor
한창희
Original Assignee
한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창희 filed Critical 한창희
Priority to KR1020120092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2109B1/ko
Publication of KR20140025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5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모바일 컴퓨터 등)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현장에서 근무하는 현장 담당자가 현장 관리자와 실시간으로 현장과 관련된 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며, 촬영위치정보를 포함한 현장사진이 첨부되고 현장 근무자의 싸인이 부기(附記)된 보고사항을 실시간으로 작성, 전송,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으며, 현장 근로자의 관리, 현장 자재의 수급현황 및 현장 장비의 가동상황, 현장일정의 공유 등 현장에서 발생되는 각종 운영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는 모바일에 기반한 현장관리 솔루션 제공방법으로서, (A) 상기 현장에서 상기 모바일(3)을 통해 촬영위치정보를 포함한 현장을 촬영한 사진이 관리되는 사진관리 단계와; (B) 상기 현장에서 현장 근로자를 관리하기 위한 현장 근로자 관리 단계와; (C) 상기 현장에서 현장 장비를 관리하기 위한 현장 장비관리 단계 및; (D)상기 현장에서 현장 근로자의 정보가 QR 또는 바코드를 활용하여 확인되는 QR 또는 바코드를 활용한 근로자 정보확인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에 기반한 현장관리 솔루션 제공방법{METHOD FOR OFFERING PROJECT MANAGEMENT SOLUTION BASED MOBILE}
본 발명은 모바일에 기반한 현장관리 솔루션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기기(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모바일 컴퓨터 등)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현장에서 근무하는 현장 담당자가 현장 관리자와 실시간으로 현장과 관련된 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며, 촬영위치정보를 포함한 현장사진이 첨부되고 현장 근무자의 싸인이 부기(附記)된 보고사항을 실시간으로 작성, 전송,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으며, 현장 인력의 관리, 현장 자재의 수급현황 및 현장 장비의 가동상황, 현장일정의 공유 등 현장에서 발생되는 각종 운영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는 모바일에 기반한 현장관리 솔루션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 몇몇 대형 건설사들은 자체 IT 기술력과 투자를 통해 사업관리정보시스템(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PMIS)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최근 대기업의 정보화 추진 방향은 e-비즈니스 구체화, 지식경영시스템(KMS) 개발 및 확대, ERP의 정착 및 시스템 통합, 프로젝트 관리시스템 구축 등 복합적으로 전개되고 있다.
또한, 건설공사의 전 과정에 대한 프로젝트 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기존의 단위업무별, 사업단계별 시스템에서 기획 및 영업 단계부터 설계, 자재조달, 시공, 사후관리 단계를 연계하는 건설통합정보 시스템을 운영하거나 또는 PMIS의 개발이 가속화됨과 동시에 현장에서도 본사와 동일한 플랫폼(Web 환경)에서 기간업무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PMIS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본사 및 현장 업무시스템의 통합, 즉, 국내의 통신망 기반이 확충돼 본사 및 현장 간의 네트워크 환경이 개선되면서, 국내외 현장에서도 본사의 기간업무 시스템을 인터넷을 이용 접속이 가능해지고, 이에 따라 Web을 기반으로 한 본사 및 현장 간의 업무시스템 통합이 가속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몇몇 대형 건설사에 국한된 것이고, 이를 제외한 많은 중소형 건설사에서는 이러한 건설공사의 현장관리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현장사무실의 PC 위주로 이루어져 왔기에, 현장에서 발생하는 정보가 실시간으로 처리되지 못하며, 현장 담당자가 정보를 축적(蓄積)하기 위해 현장업무 후 별도의 작업을 해야만 하는 이중업무로 인해 업무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모바일 기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현장에서 근무하는 현장 담당자가 현장과 관련된 정보를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축적하고, 현장관리자와 공유할 수 있는 모바일에 기반한 현장관리 솔루션 제공방법을 제공하고자는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에 기반한 현장관리 솔루션 제공방법은 인터넷 또는 무선이동통신을 통해 현장 담당자의 모바일과 현장 관리자의 컴퓨터를 연결시켜 현장 담당자의 모바일과 현장 관리자의 컴퓨터가 서로 통신되게 함으로써, 상기 모바일과 컴퓨터 간에 현장과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축적하고 공유하는 모바일에 기반한 현장관리 솔루션 제공방법으로서, 상기 모바일에 기반한 현장관리 솔루션 제공방법은 (A) 상기 현장에서 상기 모바일(3)을 통해 촬영위치정보를 포함한 현장을 촬영한 사진이 관리되는 사진관리 단계와; (B) 상기 현장에서 현장 근로자를 관리하기 위한 현장 근로자 관리 단계와; (C) 상기 현장에서 현장 장비를 관리하기 위한 현장 장비 관리 단계 및; (D)상기 현장에서 현장 근로자의 정보가 QR 또는 바코드를 활용하여 확인되는 QR 또는 바코드를 활용한 근로자 정보확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에 기반한 현장관리 솔루션 제공방법은 모바일에 기반한 현장관리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모바일 기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현장에서 근무하는 현장 담당자가 현장 관리자와 현장과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어, 현장 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현장 업무의 진척도를 향상시킴으로써, 공사기간의 단축과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에 기반한 현장관리 솔루션용 네트웍 도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에 기반한 현장관리 솔루션중 사진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도 2에서의 사진매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에 기반한 현장관리 솔루션중 현장 근로자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에 기반한 현장관리 솔루션중 현장 장비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에 기반한 현장관리 솔루션 중 QR 또는 바코드를 활용한 근로자 정보 확인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에 기반한 현장관리 솔루션 제공방법을 보다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클라이언트나 운용자,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면 전체에 걸쳐 같은 참조번호는 같은 구성 요소를 가리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에 기반한 현장관리 솔루션용 네트웍 도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에 기반한 현장관리 솔루션중 사진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의 사진매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에 기반한 현장관리 솔루션중 현장 근로자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에 기반한 현장관리 솔루션중 현장 장비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에 기반한 현장관리 솔루션 중 QR 또는 바코드를 활용한 근로자 정보 확인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모바일에 기반한 현장관리 솔루션 서버(이하 "서버"라 함)(1), 데이터 베이스(2), 현장 담당자의 모바일(3), 현장 관리자의 컴퓨터(4)를 포함한다.
서버(1)는 인터넷 또는 무선이동통신을 통해 현장 담당자의 모바일(3)과 현장 관리자의 컴퓨터(4)를 연결시켜 현장 담당자의 모바일(3)과 현장 관리자의 컴퓨터(4)가 서로 통신되게 함으로써, 상기 서버(1)는 현장 담당자의 모바일(3)을 통해 데이터 베이스(2)에 실시간으로 현장과 관련된 정보를 축적하여 현장 관리자의 컴퓨터(4)와 현장과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으며, 역으로 현장 관리자의 컴퓨터(4)를 통해 데이터 베이스(2)에 실시간으로 현장과 관련된 정보를 축적하여 현장 담당자의 모바일(3)과 현장과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2)는 모바일(3)에 기반한 현장관리 솔루션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서버(1)의 데이터 요청시에 저장된 데이터를 서버(1)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모바일(3)은 안테나, 무선신호 처리부, 모뎀, 스피커, 마이크 폰, 코덱, 키 입력부(또는 터치 스크린), 램(RAM), 플래시 롬(FLASH ROM), 이이피롬(EEPROM), LCD 표시부, 중앙처리장치 등을 구비한 통상의 이동성을 가진 정보통신기기로 볼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에 기반한 현장관리 솔루션 제공방법을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인터넷 또는 무선이동통신을 통해 현장 담당자의 모바일(3)과 현장 관리자의 컴퓨터(4)를 연결시켜 현장 담당자의 모바일(3)과 현장 관리자의 컴퓨터(4)가 서로 통신되게 함으로써, 상기 모바일(3)과 현장 관리자의 컴퓨터(4) 간에 현장과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축적하고 공유하는 모바일에 기반한 현장관리 솔루션 제공방법으로서, 상기 모바일에 기반한 현장관리 솔루션 제공방법은 (A) 상기 현장에서 상기 모바일을 통해 촬영위치정보를 포함한 현장사진이 관리되는 사진관리 단계와; (B) 상기 현장에서 현장 근로자를 관리하기 위한 현장 근로자 관리 단계와; (C) 상기 현장에서 현장 장비를 관리하기 위한 현장 장비관리 단계 및; (D) 상기 현장에서 현장 근로자의 정보가 QR 또는 바코드를 활용하여 확인되는 QR 또는 바코드를 활용한 근로자 정보 확인 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촬영위치정보를 포함한 현장사진을 평면도 상에 매핑하기 위한 사진매핑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상기 모바일에의해 다수의 현장 사진이 촬영되는 사진촬영 단계(S210)와; 상기 촬영된 사진 중 특정 사진이 선택되는 사진선택 단계(S220)와; 상기 촬영 또는 선택된 사진을 정의하는 사진구분 및 공사의 종류가 등록되었는 지를 확인하는 사진구분 및 공사 종류 등록 여부 확인 단계(S230)와; 상기 촬영 또는 선택된 사진을 정의하는 사진구분 및 공사의 종류가 등록되지 않았다면, 상기 촬영 또는 선택된 사진을 정의하는 사진구분 및 공사의 종류가 등록되는 사진구분 및 공사의 종류 등록단계(S240)와; 상기 촬영 또는 선택된 사진을 정의하는 사진구분 및 공사의 종류가 등록되었다면, 상기 촬영 또는 선택된 사진을 정의하는 사진구분 및 공사의 종류 선택을 포함한 사진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는 사진정보 입력 단계(S250)와; 상기 촬영 또는 선택된 사진과 입력한 사진정보가 인터넷 또는 무선이동통신을 통해 서버(1)와 데이터베이스(2)에 저장되는 서버 및 데이터베이스 저장 단계(S260) 및; 상기 단계(S210) 내지 단계(S260)가 반복됨으로써 축적되는 사진들이 각종 조회 조건에 부합되도록 조회되는 사진조회 단계(S2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계(S210)에선, 모바일 현장관리 솔루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하, "앱" 으로 총칭함)의 사진찍기 기능을 활용하여 현장에서 필요한 사진이 촬영되고 촬영된 사진이 모바일(3)에 저장됨과 동시에, 모바일(3)의 위치정보기능을 활용하여 촬영장소의 위치정보(위도 및 경도 값)가 모바일 현장관리 솔루션 앱에서 확보된다.
상기 단계(S220)에선, 상기 선택된 사진의 EXIF(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 교환이미지 파일 형식)를 활용하여 선택된 사진의 정보가 수집되며, 상기 EXIF 정보에는 촬영날짜, 시간, 카메라설정, 위치정보(위도값, 경도값) 등이 포함된다.
상기 단계(S260)에선, 인터넷 또는 무선이동통신의 연결이 원활한 경우에는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서버(1)와 데이터베이스(2)에 사진 및 사진정보가 저장되지만, 인터넷 또는 무선이동통신의 연결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모바일(3)에 임시로 사진 및 사진정보가 저장되었다가, 인터넷 또는 무선이동통신의 연결이 원활한 위치에서 상기 임시 저장되어 있는 사진 및 사진정보가 서버(1)와 데이터베이스(2)에 일괄적으로 저장되는 임시 사진등록 기능을 포함한다.
상기 단계(S270)에선, 서버(1)와 데이터 베이스(2)에 저장된 사진 및 사진정보가 현장 담당자의 모바일(3) 또는 현장 관리자의 컴퓨터(4)를 통해 다양한 조건과 형태로 조회되며, 필요시 촬영위치가 지도에 표시되어 있는 사진대장이 문서형태(pdf, doc 등)로 생성될 수 있어, 별도의 문서작업이 필요치 않다.
또한, 상기 사진매핑 단계는 상기 단계(S210) 내지 단계(S260)가 반복되어 사진 및 사진정보가 서버(1) 및 데이터베이스(2)에 축적되는 사진 및 사진정보 저장 단계(S310)와; PC에서 캐드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캐드프로그램 실행 단계(S320)와; 사진을 표시할 평면도가 선택되는 평면도 선택 단계(S330)와; 상기 캐드프로그램에서 매핑관련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매핑프로그램이 구동되는 매핑프로그램 구동 단계(S340)와; 평면도에 표시할 사진이 있는 지가 확인되는 평면도에 표시할 사진 유무 확인 단계(S350)와; 상기 평면도에 표시할 사진이 없다면, 모바일(3) 또는 PC(4)에서 평면도에 표시할 사진이 선택되는 평면도에 표시할 사진 선택 단계(S360) 및; 상기 평면도에 표시할 사진이 있다면, 표시할 사진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사진정보를 활용하여 평면도 상의 해당 위치에서 사진이 확인되는 평면도 상에서 사진확인 단계(S3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계(S330)에선, 선택된 사진을 표시하고자 하는 평면도를 캐드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불러올 수 있다.
상기 단계(S370)에선, 서버(1)와 데이터 베이스(2)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과 사진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사진정보를 활용하여 평면도 상의 해당 위치에 사진을 표시하고 이를 확인한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모바일(3)에 의해 현장에서 현장 근로자의 출근이 확인되는 현장 근로자 출근 확인 단계(S410)와; 상기 현장 근로자의 정보가 데이터 베이스(2)에 등록되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현장 근로자 등록 여부 확인 단계(S420)와; 상기 현장 근로자의 인력정보가 등록되지 않았다면, 상기 현장 근로자의 인력정보가 등록되는 현장 근로자 정보 등록 단계(S430)와; 상기 현장 근로자의 인력정보가 등록되었다면, 상기 현장 근로자가 출근으로 처리되는 출근처리 단계(S440)와; 상기 출근처리된 현장 근로자에서 퇴근자가 퇴근처리되는 퇴근처리 단계(S450) 및; 투입된 인력현황 및 정보가 파악되는 인력현황 파악 단계(S4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계(S450)에선, 모바일(3)의 필기 메모 기능 또는 PC(4)에선 서명패드를 활용하여 현장 근로자의 싸인을 확보하여, 서버(1) 및 데이터 베이스(2)에 저장시킴으로써, 출근 인력의 근로 근거를 확보한다.
상기 단계(S460)에선, 투입된 인력정보를 데이터 베이스(2)에서 추출하여 PC(4) 또는 현장에서 모바일(3)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인력투입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데, 이때, 인력투입현황에는 투입인력수, 투입시간, 투입금액 등이 포함된다.
이때, PC(4)에선 모바일(3)보다 다양한 조건과 형태로 인력투입현황을 조회 및 추출할 수 있어, 일별/기간별/개인별/인력구분별로 조회 및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모바일(3)에 의해 현장에서 현장 장비의 가동이 확인되는 현장 장비 가동 확인 단계(S510)와; 상기 현장 장비의 정보가 데이터 베이스(2)에 등록되었는 지의 여부가 확인되는 현장 장비 등록 여부 확인 단계(S520)와; 상기 현장 장비의 장비정보가 등록되지 않았다면, 상기 현장 장비의 장비정보가 등록되는 현장 장비정보 등록 단계(S530)와; 상기 현장 장비의 장비정보가 등록되었다면, 상기 현장 장비가 가동으로 처리되는 가동처리 단계(S540)와; 상기 가동처리된 현장 장비에서 가동이 해제되는 장비의 가동이 해제처리되기 위한 해제처리 단계(S550) 및; 투입된 장비현황 및 정보가 파악되는 장비현황 파악 단계(S5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계(S550)에선, 모바일(3)의 필기 메모 기능 또는 PC(4)에선 서명패드를 활용하여 장비 운전자의 싸인을 확보하여, 서버(1) 및 데이터 베이스(2)에 저장시킴으로써, 장비 운전자의 근로 근거를 확보한다.
상기 단계(S560)에선, 투입된 장비정보를 데이터 베이스(2)에서 추출하여 PC(4) 또는 현장에선 모바일(3)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장비투입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데, 상기 장비투입현황에는 투입장비수, 투입시간, 투입금액 등이 포함된다. 이때, PC(4)에선 모바일(3)보다 다양한 조건과 형태로 장비투입현황을 조회 및 추출할 수 있어, 일별/월별/기간별/장비별/장비구분별로 조회 및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D) 단계는 현장 근로자의 정보가 데이터베이스(2)에 등록되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현장 근로자 등록 여부 확인 단계(S610)와; 상기 현장 근로자의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았다면, 상기 현장 근로자의 정보가 등록되는 근로자 정보 등록 단계(S620)와; 상기 근로자의 정보가 등록되었다면, 상기 근로자의 고유번호가 QR 또는 바코드로 생성되는 QR 또는 바코드 생성 단계(S630)와; 생성된 QR 또는 바코드가 근로자의 안전모 등 개인소지품에 부착되는 QR 또는 바코드 부착 단계(S640)와; 필요 시 모바일(3)을 활용하여 QR 또는 바코드가 스캔되어 데이터베이스(2)에서 상기 근로자의 정보가 추출되어지는 QR 또는 바코드 스캔 단계(S650)및; 추출된 정보가 모바일에서 확인되는 정보확인 단계(S6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에 기반한 현장관리 솔루션 제공방법은 모바일에 기반한 현장관리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모바일 기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현장에서 근무하는 현장 담당자가 현장 관리자와 현장과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축적 및 공유할 수 있어, 현장 관리와 관련한 정보를 처리하는 현장 담당자의 업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현장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어, 현장 업무의 진척도를 향상시킴으로써, 공사기간의 단축과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 예에 근거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려는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위 실시 예에 대한 다양한 변화나 변경 또는 조절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에 속하는 변화 예나 변경 예 또는 조절 예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서버 2: 데이터 베이스
3: 현장 담당자의 모바일 4: 현장 관리자의 컴퓨터

Claims (13)

  1. 인터넷 또는 무선이동통신을 통해 현장 담당자의 모바일(3)과 현장 관리자의 컴퓨터(4)를 연결시켜 현장 담당자의 모바일(3)과 현장 관리자의 컴퓨터(4)가 서로 통신되게 함으로써, 상기 모바일(3)과 컴퓨터(4) 간에 현장과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축적하고 공유하는 모바일에 기반한 현장관리 솔루션 제공방법으로서,
    상기 모바일에 기반한 현장관리 솔루션 제공방법은,
    (A) 상기 현장에서 상기 모바일(3)을 통해 촬영위치정보를 포함한 현장을 촬영한 사진이 관리되는 사진관리 단계와;
    (B) 상기 현장에서 현장 근로자를 관리하기 위한 현장 근로자 관리 단계와;
    (C) 상기 현장에서 현장 장비를 관리하기 위한 현장 장비관리 단계 및;
    (D)상기 현장에서 현장 근로자의 정보가 QR 또는 바코드를 활용하여 확인되는 QR 또는 바코드를 활용한 근로자 정보확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에 기반한 현장관리 솔루션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촬영위치정보를 포함한 현장을 촬영한 사진을 평면도 상에 매핑하기 위한 사진매핑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에 기반한 현장관리 솔루션 제공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모바일(3)에 의해 다수의 현장 사진이 촬영되는 사진촬영 단계(S210)와;
    상기 촬영된 사진 중 특정 사진이 선택되는 사진선택 단계(S220)와;
    상기 촬영 또는 선택된 사진을 정의하는 사진구분 및 공사의 종류가 등록되었는 지를 확인하는 사진구분 및 공사 종류 등록 여부 확인 단계(S230)와;
    상기 촬영 또는 선택된 사진을 정의하는 사진구분 및 공사의 종류가 등록되지 않았다면, 상기 촬영 또는 선택된 사진을 정의하는 사진구분 및 공사의 종류가 등록되는 사진구분 및 공사 종류 등록단계(S240)와;
    상기 촬영 또는 선택된 사진을 정의하는 사진구분 및 공사의 종류가 등록되었다면, 상기 촬영 또는 선택된 사진을 정의하는 사진구분 및 공사의 종류 선택을 포함한 사진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는 사진정보 입력 단계(S250)와;
    상기 촬영 또는 선택된 사진과 입력한 사진정보가 인터넷 또는 무선이동통신을 통해 서버(1)와 데이터베이스(2)에 저장되는 서버 및 데이터베이스 저장단계(S260) 및;
    상기 단계(S210) 내지 단계(S260)가 반복됨으로써 축적되는 사진들이 각종 조회 조건에 부합되도록 조회되는 사진조회 단계(S2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에 기반한 현장관리 솔루션 제공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매핑 단계는,
    상기 단계(S210) 내지 단계(S260)가 반복되어 사진 및 사진정보가 서버(1) 및 데이터베이스(2)에 축적되는 사진 및 사진정보 저장 단계(S310)와;
    PC에서 캐드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캐드프로그램 실행 단계(S320)와;
    사진을 표시할 평면도가 선택되는 평면도 선택 단계(S330)와;
    상기 캐드프로그램에서 매핑관련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매핑프로그램이 구동되는 매핑프로그램 구동 단계(S340)와;
    상기 평면도에 표시할 사진이 있는 지가 확인되는 평면도에 표시할 사진 유무 확인 단계(S350)와;
    상기 평면도에 표시할 사진이 없다면, 모바일(3) 또는 PC(4)에서 평면도에 표시할 사진이 선택되는 평면도에 표시할 사진선택 단계(S360) 및;
    상기 평면도에 표시할 사진이 있다면, 표시할 사진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사진정보를 활용하여 평면도 상의 해당 위치에서 사진이 확인되는 평면도 상에서 사진확인 단계(S3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에 기반한 현장관리 솔루션 제공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모바일(3)에 의해 현장에서 현장 근로자의 출근이 확인되는 현장 근로자 출근 확인 단계(S410)와;
    상기 현장 근로자의 정보가 데이터 베이스(2)에 등록되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현장 근로자 등록 여부 확인 단계(S420)와;
    상기 현장 근로자의 인력정보가 등록되지 않았다면, 상기 현장 근로자의 인력정보가 등록되는 현장 근로자정보 등록 단계(S430)와;
    상기 현장 근로자의 인력정보가 등록되었다면, 상기 현장 근로자가 출근으로 처리되는 출근처리 단계(S440)와;
    상기 출근처리된 현장 근로자에서 퇴근자가 퇴근처리되는 퇴근처리 단계(S450) 및;
    투입된 인력현황 및 정보가 파악되는 인력현황 파악 단계(S4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에 기반한 현장관리 솔루션 제공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모바일(3)에 의해 현장에서 현장 장비의 가동이 확인되는 현장 장비 가동 확인 단계(S510)와;
    상기 현장 장비의 정보가 데이터 베이스(2)에 등록되었는 지의 여부가 확인되는 현장 장비 등록 여부 확인 단계(S520)와;
    상기 현장 장비의 장비정보가 등록되지 않았다면, 상기 현장 장비의 장비정보가 등록되는 현장 장비정보 등록 단계(S530)와;
    상기 현장 장비의 장비정보가 등록되었다면, 상기 현장 장비가 가동으로 처리되는 가동처리 단계(S540)와;
    상기 가동처리된 현장 장비에서 가동이 해제되는 장비의 가동이 해제처리되는 해제처리 단계(S550) 및;
    투입된 장비현황 및 정보가 파악되는 장비현황 파악 단계(S5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에 기반한 현장관리 솔루션 제공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현장 근로자의 정보가 데이터베이스(2)에 등록되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현장 근로자 등록 여부 확인 단계(S610)와;
    상기 현장 근로자의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았다면, 상기 현장 근로자의 정보가 등록되는 근로자 정보 등록 단계(S620)와;
    상기 근로자의 정보가 등록되었다면, 상기 근로자의 고유번호가 QR 또는 바코드로 생성되는 QR 또는 바코드 생성 단계(S630)와;
    생성된 QR 또는 바코드가 근로자의 안전모 등 개인소지품에 부착되는 QR 또는 바코드 부착 단계(S640)와;
    필요 시 모바일(3)을 활용하여 QR 또는 바코드가 스캔되어 데이터베이스(2)에서 상기 근로자의 정보가 추출되어지는 QR 또는 바코드 스캔 단계(S650)및;
    추출된 정보가 모바일에서 확인되는 정보확인 단계(S6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에 기반한 현장관리 솔루션 제공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210)에서, 모바일 현장관리 솔루션 앱의 사진찍기 기능을 활용하여 현장에서 필요한 사진이 촬영되고 촬영된 사진이 모바일(3)에 저장됨과 동시에, 모바일(3)의 위치정보기능을 활용하여 촬영장소의 위치정보(위도값 및 경도값)가 모바일 현장관리 솔루션 앱에서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에 기반한 현장관리 솔루션 제공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450)에선, 모바일(3)의 필기 메모 기능 또는 PC(4)에선 서명패드를 활용하여 현장 근로자의 싸인을 확보하여, 서버(1) 및 데이터 베이스(2)에 저장시킴으로써, 출근 인력의 근로 근거가 확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에 기반한 현장관리 솔루션 제공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550)에선, 모바일(3)의 필기 메모 기능 또는 PC(4)에선 서명패드를 활용하여 장비 운전자의 싸인을 확보하여, 서버(1) 및 데이터 베이스(2)에 저장시킴으로써, 장비 운전자의 근로 근거가 확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에 기반한 현장관리 솔루션 제공방법.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사진에 대한 사진정보는 EXIF(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 교환이미지 파일 형식)를 활용하여 수집되며, 상기 EXIF 정보에는 촬영날짜, 시간, 카메라설정, 위치정보(위도값, 경도값)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에 기반한 현장관리 솔루션 제공방법.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또는 무선이동통신의 연결이 원활한 경우에는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서버(1)와 데이터베이스(2)에 사진 및 사진정보가 저장되지만, 상기 인터넷 또는 무선이동통신의 연결이 원하지 못할 경우 모바일(3)에 임시로 사진 및 사진정보가 저장되었다가, 상기 인터넷 또는 무선이동통신의 연결이 원활한 위치에서 상기 임시로 저장되어있는 사진 및 사진정보가 서버(1)와 데이터베이스(2)에 일괄적으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에 기반한 현장관리 솔루션 제공방법.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1)와 데이터 베이스(2)에 저장된 사진 및 사진정보가 현장 담당자의 모바일(3) 또는 현장관리자의 컴퓨터(4)를 통해 다양한 조건과 형태로 조회되며, 필요 시 촬영위치가 지도에 표시되어 있는 사진대장이 문서형태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에 기반한 현장관리 솔루션 제공방법.
KR1020120092758A 2012-08-24 2012-08-24 모바일에 기반한 현장관리 솔루션 제공방법 KR101462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758A KR101462109B1 (ko) 2012-08-24 2012-08-24 모바일에 기반한 현장관리 솔루션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758A KR101462109B1 (ko) 2012-08-24 2012-08-24 모바일에 기반한 현장관리 솔루션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5967A true KR20140025967A (ko) 2014-03-05
KR101462109B1 KR101462109B1 (ko) 2014-11-17

Family

ID=50640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2758A KR101462109B1 (ko) 2012-08-24 2012-08-24 모바일에 기반한 현장관리 솔루션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2109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4338A1 (en) 2014-10-24 2016-04-28 Rsg Stockholm Ab System and method for follow-up of a building or construction project
KR20160118899A (ko) * 2015-04-03 2016-10-12 주식회사 씨엠엑스건축사사무소 건물에 대한 현장 조사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17018562A1 (ko) * 2015-07-30 2017-02-02 대성산업 주식회사 모바일을 이용한 현장 관리 방법
WO2017119656A1 (ko) * 2016-01-04 2017-07-13 서울시립대학교산학협력단 모바일 현장조사 시스템 및 방법
CN108197909A (zh) * 2018-03-24 2018-06-22 浙江鼎力工程项目管理有限公司 一种项目进度监理控制系统
CN108876190A (zh) * 2018-07-09 2018-11-23 杭州溯影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工程见证管理方法、系统、装置及介质
KR102146545B1 (ko) * 2019-11-13 2020-08-20 (주)이노가드 이동통신단말 기반 전문건설업체에서의 현장 정보 관리 시스템
KR20200112418A (ko) * 2019-03-22 2020-10-05 안치상 Tbm 전산화 및 안전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10112579A (ko) * 2020-03-05 2021-09-15 주식회사 넥스트코어테크놀로지 디지털 안전 작업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13778A (ko) * 2020-03-09 2021-09-17 유병욱 비콘을 이용하여 인력을 관리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KR20220074480A (ko) * 2020-11-27 2022-06-03 대한민국(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장) 기후변화감시장비 이력관리 솔루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1309A1 (ko) * 2017-05-12 2019-11-21 주식회사 알제이코리아엔터테인먼트 티켓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462584B1 (ko) 2020-09-22 2022-11-03 주식회사 팩앤롤 산업용 핸즈프리 리더기
KR102653511B1 (ko) 2020-09-22 2024-04-03 주식회사 팩앤롤 지능형 생산공정 관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0318A (ja) * 2007-09-18 2009-04-02 Japan Post Service Co Ltd 作業管理支援システム、作業管理支援方法及び作業管理支援プログラム
KR100993469B1 (ko) * 2008-09-26 2010-11-10 대림산업 주식회사 개인 휴대용 단말기 및 지리정보시스템를 연계한 실시간 현장공사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045876B1 (ko) * 2009-06-29 2011-07-01 주식회사 아이디폰 휴대단말을 이용한 현장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07284A (ko) * 2009-07-16 2011-01-24 김원일 휴대용 정보단말기를 이용한 매장 관리 시스템 및 매장 관리 방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82160A1 (en) 2014-10-24 2019-12-18 RSG Stockholm AB System and method for follow-up of a building or construction project
WO2016064338A1 (en) 2014-10-24 2016-04-28 Rsg Stockholm Ab System and method for follow-up of a building or construction project
KR20160118899A (ko) * 2015-04-03 2016-10-12 주식회사 씨엠엑스건축사사무소 건물에 대한 현장 조사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17018562A1 (ko) * 2015-07-30 2017-02-02 대성산업 주식회사 모바일을 이용한 현장 관리 방법
WO2017119656A1 (ko) * 2016-01-04 2017-07-13 서울시립대학교산학협력단 모바일 현장조사 시스템 및 방법
CN108197909A (zh) * 2018-03-24 2018-06-22 浙江鼎力工程项目管理有限公司 一种项目进度监理控制系统
CN108876190A (zh) * 2018-07-09 2018-11-23 杭州溯影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工程见证管理方法、系统、装置及介质
KR20200112418A (ko) * 2019-03-22 2020-10-05 안치상 Tbm 전산화 및 안전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146545B1 (ko) * 2019-11-13 2020-08-20 (주)이노가드 이동통신단말 기반 전문건설업체에서의 현장 정보 관리 시스템
KR20210112579A (ko) * 2020-03-05 2021-09-15 주식회사 넥스트코어테크놀로지 디지털 안전 작업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13778A (ko) * 2020-03-09 2021-09-17 유병욱 비콘을 이용하여 인력을 관리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KR20220035070A (ko) * 2020-03-09 2022-03-21 유병욱 비콘을 이용한 공사 현장에서의 인력 관리방법
KR20220074480A (ko) * 2020-11-27 2022-06-03 대한민국(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장) 기후변화감시장비 이력관리 솔루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2109B1 (ko) 2014-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2109B1 (ko) 모바일에 기반한 현장관리 솔루션 제공방법
JP5848276B2 (ja) 情報推薦提供装置、プログラム及び通信システム
JP5973095B1 (ja) 現場作業員管理システム
US967198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mobile printing based on scheduled events
JP6062086B1 (ja) 業務支援システム
KR101936487B1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CN109785229B (zh) 基于区块链实现的智能合影方法、装置、设备和介质
JP5182854B2 (ja) イベント管理システム
JP2006079290A (ja) 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情報管理方法
CN106062689A (zh) 知晓上下文的命令
JP2017207835A (ja) 点検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点検情報管理方法
JP4848865B2 (ja) 画像処理装置
JP6032632B2 (ja) 業務報告書作成プログラム
JP2020106923A (ja) 外勤者業務管理システム
KR20160034754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옥외간판 전수조사 및 그 옥외광고물 관리방법
KR101231156B1 (ko) Qr 코드를 이용하는 사진 폴더 관리 시스템 및 사진 폴더 관리 방법
JPWO2018155719A1 (ja) 情報処理装置
JP2018005931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外部システム
WO2012032506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de show information management
JP6928985B1 (ja) 施工支援クラウド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6541941B2 (ja) 進捗管理システム
JP2012221292A (ja) 情報管理装置、情報管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情報管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KR102635057B1 (ko)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 및 시스템과 이들을 활용하여 프로젝트 관리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EP3772717A1 (en) Order issuing and receiving matching system, order issuing and receiving match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
KR20170079304A (ko) 3d 도면 콘텐츠 유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