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5057B1 -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 및 시스템과 이들을 활용하여 프로젝트 관리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 및 시스템과 이들을 활용하여 프로젝트 관리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5057B1
KR102635057B1 KR1020210145400A KR20210145400A KR102635057B1 KR 102635057 B1 KR102635057 B1 KR 102635057B1 KR 1020210145400 A KR1020210145400 A KR 1020210145400A KR 20210145400 A KR20210145400 A KR 20210145400A KR 102635057 B1 KR102635057 B1 KR 102635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
information
user
equipment
relate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5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0808A (ko
Inventor
최희정
Original Assignee
크로스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로스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크로스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5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5057B1/ko
Publication of KR20230060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0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건축, 건설, 조선 또는 플랜트를 만드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 있어 사용되는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 프로젝트에 대한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 또는 서로 다른 복수의 사용자를 포함하는 사용자 그룹에 대한 계정을 생성하고, 보관하고 관리하는 계정부 및 계정 별로 상기 프로젝트 관련 정보에 대한 접근권한 설정을 달리할 수 있는 접근권한 설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 및 시스템과 이들을 활용하여 프로젝트 관리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Device and System, and 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Handling Method using them}
본 발명은 건설 즉 건축, 토목, 조선 또는 플랜트를 만드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 있어 사용되는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Device, PMID) 및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PMIS)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자동적으로 사용자 및 사용자 그룹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 및 사용자 그룹 별로 차별화된 접근권한을 설정하고, 클라우드 환경에서 구동되는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PMIS)을 활용하여 서로 다른 사용자 및 사용자 그룹 간 업무의 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건축, 건설, 조선 또는 플랜트를 만드는 프로젝트는 다양한 조직들이나 팀들이 모여 각각의 업무를 분담하고 협업하는 형태로 진행된다.
이때, 각 조직들이나 팀들은 서로 다른 조직이나 팀들 간의 효율적인 협업과 자료 공유 및 의사소통을 위해 상위 개념의 새로운 조직이나 팀을 구성하기도 하고, 단일한 협업 시스템을 구축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건설 프로젝트에 있어서 발주처(소위 건축주라고 함)가 프로젝트 대상에 대한 설계를 설계사에게 의뢰하여 설계가 완료되면, 발주처는 다시 이 프로젝트의 전반적 진행과 관리를 맡을 종합건설사(원청, General Contractor)와 감리사(공사감독관)를 선정하여 별도로 계약을 맺은 뒤 세부적인 설계 변경과 계획 수립 및 감리를 통해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종합건설사는 실질적인 건설 작업을 시공사와 같은 전문건설업체(협력업체, Sub contractor)에게 맡기고, 전문건설업체는 건설 작업에 필요한 근로자들을 모집하기 위해, 별도의 인력사무소와 계약을 맺고 근로자를 모집하기도 한다. 그리고, 감리사는 이러한 시공사의 프로젝트 수행을 감독하고 검수한다.
또한, 종합건설사는 프로젝트 수행에 필요한 크레인과 같은 장비를 구하기 위해, 장비대여 전문업체와 또 다른 계약을 맺고 장비 대여 및 운용에 관한 사항을 장비대여 전문업체에게 위탁하기도 한다.
결국, 종합건설사는 발주처, 감리사, 설계자, 전문건설업체 및 장비대여 전문업체 등과 같은 수많은 다른 조직이나 팀들과 협업하면서 동시에 프로젝트 진행을 관리해야만 한다.
특히, 건설, 토목이나 조선, 플랜트 프로젝트를 수행하다 보면 실제 작업 현장에서 최초 계획과는 다른 변경 사항들이 매우 빈번하게 발생하고,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다양한 참여체들이 이러한 변경 사항에 따라 작업을 수행하는데 들어가는 비용과 시간, 노력이 매우 크므로, 이런 변경 사항에 대한 정보를 해당 프로젝트에 참여한 모든 조직이나 팀들이 공유해야 추후 변경 사항을 발생시킨 주체에 대한 손해배상 책임 등을 명확히 할 수 있다.
또한, 변경 상황에 대한 모든 정보가 모든 조직이나 팀별로 공유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 기존의 협업 툴 만으로는 각 조직이나 팀별로 정보에 대한 접근권한을 설정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각 조직이나 팀별로 해당 프로젝트 수행에 필요한 재료나 장비에 대한 정보들을 수집하여 이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협업 프로그램이나 툴이 필요하였다.
더욱이, 이러한 프로젝트에 참여한 조직이나 팀들은 각자 가진 방법이나 양식이 아닌, 통일화되고 표준화된 양식이나 방법으로 정보 교환, 의사소통 및 행정절차를 처리해야 한다는 니즈(needs)가 매우 컸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프로젝트에 참여한 조직이나 팀들 사이에 변경 사항을 공유하도록 하고, 통일화 되고 표준화된 양식으로 정보 교환, 의사소통 및 행정절차를 처리할 수 있도록 돕는 시스템이나 솔루션이 존재하지 않았다. 설령 존재하고 있었다고 하더라도, 프로젝트에 참여한 조직들이나 팀들 사이에 효율적인 협업을 이끌어 내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프로젝트 수행에 참여하는 서로 다른 사용자 그룹 및 그 안에 포함되어 있는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프로젝트 관련 정보에 대하여 일괄적으로 손쉽게 접근권한을 설정할 수 있는 통합된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 및 시스템과 프로젝트 관리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사용자 그룹과 다수의 사용자들이 어디서든 손쉽게 자신에게 필요한 프로젝트 관련 정보 및 이에 대한 변경사항들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 및 시스템과 프로젝트 관리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젝트 수행에 필요한 수많은 종류의 장비들과 자재들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쉽고 빠르게 다른 사용자 그룹 및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 및 시스템과 프로젝트 관리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젝트 진행 단계 별로 사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문서 양식을 통합하여 법 규정에 부합하고 규격화 된 서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 건설, 조선 또는 플랜트를 만드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 있어 사용되는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PMID)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 또는 서로 다른 복수의 사용자를 포함하는 사용자 그룹에 대한 계정을 생성하고, 보관하고 관리하는 계정부 및 계정 별로 상기 프로젝트 관련 정보에 대한 접근권한 설정을 달리할 수 있는 접근권한 설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근권한 설정부는 상기 사용자 그룹에 대한 정보가 상기 계정부로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그룹과 다른 사용자 그룹에 대한 계정을 분류하고, 서로 다른 사용자 그룹 계정 별로 상기 프로젝트 관련 정보에 대한 접근권한을 달리 설정하며, 상기 계정부에 상기 사용자 그룹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 그룹을 자동적으로 인식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 그룹과 다른 접근권한을 가지는 상기 사용자 그룹용 계정을 설정할 수 있는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접근권한 설정부는, 상기 계정부나 상기 저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그룹에 포함된 서로 다른 사용자들의 직급, 역할, 또는 업무 범위를 포함하는 분류기준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분류기준정보에 따라 상기 서로 다른 사용자 별로 다른 접근권한을 가지는 사용자용 계정을 자동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접근권한 설정부는, 상기 사용자 그룹용 계정 및 상기 사용자용 계정에 대해 설정된 접근권한 레벨이 유효한지 여부를 사전 승인된 최종 관리자에게 확인하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는, 상기 프로젝트에 사용 중이거나 사용될 것으로 계획된 장비 또는 자재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아 저장하고, 상기 장비 또는 자재에 대한 목록을 생성하여 사용자 그룹 또는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목록 생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목록 생성부는, 상기 장비 또는 상기 자재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통해 상기 프로젝트에 사용 중이거나 사용될 것으로 계획된 장비 또는 자재를 자동으로 인식, 분류 및 선정하여 자동목록을 생성하고 상기 자동목록에 상기 사용자 그룹 또는 상기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목록 생성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장비 또는 상기 자재에 대한 세부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온라인 상의 웹 또는 다른 데이터베이스를 검색 및 접근하고, 상기 자동목록에 포함된 상기 장비 또는 상기 자재에 대한 정보와 상기 세부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자동목록에 포함된 상기 장비 또는 상기 자재에 대한 정보를 자동적으로 수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는, 상기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프로젝트를 최종 관리자에 의해 미리 정해진 카테고리로 분류한 뒤 관리할 수 있는 카테고리 분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카테고리 분류부는, 상기 프로젝트를 상기 카테고리로 분류되도록 설정한 뒤, 상기 카테고리 내에 상기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보관 또는 저장할 수 있는 프로젝트용 공간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카테고리 분류부는, 상기 프로젝트용 공간 내에 상기 프로젝트의 진행 단계에 대응하는 단계별 자료공간을 자동적으로 설정하고, 상기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상기 진행 단계 별로 자동 분류하여 상기 단계별 자료공간에 저장하고, 상기 진행 단계 별 상기 사용자 그룹 또는 상기 사용자가 사용할 것으로 예측되는 문서 양식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는,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을 경량화하여 클라우드 BIM으로 변환하고, 상기 클라우드 BIM을 저장하는 모델 저장부, 상기 클라우드 BIM과 관련된 이슈 정보를 저장하는 이슈 저장부, 상기 클라우드 BIM을 보기 위한 뷰어를 저장한 뷰어 저장부 및 상기 이슈 정보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BIM을 업데이트하고, 상기 뷰어 저장부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BIM 및 상기 이슈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축, 건설, 조선 또는 플랜트를 만드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 있어 사용되는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PMIS)은, 데스크탑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통신 가능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클라우드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우드 디바이스는, 복수의 서로 다른 사용자 그룹 별로 할당되며, 상기 프로젝트 관련 정보에 대한 접근권한이 다르게 설정된 사용자 그룹용 계정을 생성할 수 있는 접근권한 설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근권한 설정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상기 접근권한의 적용 레벨을 상기 서로 다른 사용자 그룹 별로 다르게 설정하는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접근권한 설정부는, 상기 사용자 그룹에 포함된 서로 다른 사용자들의 직급, 역할, 또는 업무 범위를 포함하는 분류기준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분류기준정보에 따라 상기 서로 다른 사용자 별로 다른 접근권한이 설정된 다수의 사용자용 계정을 자동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다수의 사용자용 계정을 각각의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프로젝트에 사용 중이거나 사용될 것으로 계획된 장비 또는 자재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고, 상기 장비 또는 자재에 대한 목록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그룹에게 상기 목록을 제공하는 목록 생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목록 생성부는, 상기 장비 또는 상기 자재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받지 못하면, 상기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통해 상기 프로젝트에 사용 중이거나 사용될 것으로 계획된 장비 또는 자재를 자동으로 인식, 분류 및 선정하여 자동목록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자동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목록 생성부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장비 또는 상기 자재에 대한 세부정보가 개시된 온라인 상의 웹 또는 다른 데이터베이스를 검색 및 접근하고, 상기 자동목록에 포함된 상기 장비 또는 상기 자재에 대한 정보와 상기 세부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자동목록에 포함된 상기 장비 또는 상기 자재에 대한 정보를 자동적으로 수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목록 생성부는, 상기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은, 상기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프로젝트를 최종 관리자에 의해 미리 정해진 카테고리로 분류한 뒤 관리할 수 있는 카테고리 분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카테고리 분류부는, 상기 프로젝트를 상기 카테고리로 분류되도록 설정한 뒤, 상기 카테고리 내에 상기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보관 또는 저장할 수 있는 프로젝트용 공간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카테고리 분류부는, 상기 프로젝트용 공간 내에 상기 프로젝트의 진행 단계에 대응하는 단계별 자료공간을 자동으로 설정하고, 상기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상기 진행 단계 별로 자동 분류하여 상기 단계별 자료공간에 저장하며, 상기 진행 단계 별 상기 사용자 그룹 또는 상기 사용자가 사용할 것으로 예측되는 문서 양식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축, 건설, 조선 또는 플랜트를 만드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 있어 사용되는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PMIS)을 활용하여 프로젝트 관리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프로젝트 관련 정보가 클라우드 디바이스로 수신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디바이스가 복수의 서로 다른 사용자 그룹 별로 할당되며 상기 프로젝트 관련 정보에 대한 접근권한이 다르게 설정된 사용자 그룹용 계정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그룹용 계정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우드 디바이스가 상기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상기 서로 다른 사용자 그룹 별로 상기 접근권한의 적용 레벨을 다르게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프로젝트 관리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로젝트 관련 정보가 클라우드 디바이스로 수신되는 단계 다음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프로젝트에 사용 중이거나 사용될 것으로 계획된 장비 또는 자재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장비 또는 자재에 대한 목록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장비 또는 자재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장비 또는 상기 자재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받지 못하면, 상기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통해 상기 프로젝트에 사용 중이거나 사용될 것으로 계획된 장비 또는 자재를 자동으로 인식, 분류 및 선정하여 자동목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장비 또는 상기 자재에 대한 세부정보가 개시된 온라인 상의 웹 또는 다른 데이터베이스를 검색 및 접근하고, 상기 자동목록에 포함된 상기 장비 또는 상기 자재에 대한 정보와 상기 세부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자동목록에 포함된 상기 장비 또는 상기 자재에 대한 정보를 자동적으로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로젝트 관련 정보가 클라우드 디바이스로 수신되는 단계 다음에, 상기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프로젝트를 최종 관리자에 의해 미리 정해진 카테고리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카테고리 내에 상기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보관 또는 저장할 수 있는 프로젝트용 공간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젝트용 공간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젝트용 공간 내에 상기 프로젝트의 진행 단계에 대응하는 단계별 자료공간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상기 진행 단계 별로 자동 분류하여 상기 단계별 자료공간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진행 단계 별 상기 사용자 그룹 또는 상기 사용자가 사용할 것으로 예측되는 문서 양식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 및 시스템을 이용하면, 건축, 건설, 조선 또는 플랜트를 만드는 것과 같은 큰 규모의 프로젝트 수행 시, 다양한 사용자 그룹과 사용자들이 빠르고 효율적으로 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 및 시스템은 큰 규모의 프로젝트 수행에 필요한 시간, 노동력, 비용의 절감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 및 시스템을 이용하면 프로젝트 관리자, 예를 들어 원청 건설사와 같은 총괄 관리자의 입장에서는 건축 일정 변경이나 설계 사항 변경과 같은 각종 변경 사항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하므로, 건설 현장의 진행 상황에 대해 손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근권한 설정부가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딥러닝하여 사용자 그룹 및 사용자를 인식한 결과를 제1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시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근권한 설정부가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딥러닝하여 사용자 그룹 및 사용자를 인식한 결과를 제2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시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테고리 분류부가 프로젝트를 인식하여 카테고리 별로 프로젝트를 분류한 결과를 제2 사용자 단말에 출력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테고리 분류부가 특정 프로젝트용 공간을 설정하고, 이를 제1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시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테고리 분류부가 프로젝트용 공간 내에 단계별 자료공간을 설정하고 이를 제2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시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테고리 분류부가 단계별 자료공간에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제2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시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에 프로젝트 관련 정보 중 하나인 월간 공정표가 입력된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테고리 분류부가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학습한 뒤 해당 프로젝트 진행 단계에 맞추어 특정 문서 양식을 만들어낸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가 제2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에게 특정문서양식기입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가 제2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에게 정보기입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테고리 분류부가 제2 사용자 단말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들로부터 입력된 정보들을 취합하여 보여주는 화면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테고리 분류부가 제2 사용자 단말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들로부터 입력된 정보들을 취합하여 반영한 특정 문서 양식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이 사용자 그룹용 계정 또는 사용자용 계정에 접근 권한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이 장비 또는 자재 목록을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이 프로젝트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고, 프로젝트 진행 단계에 맞춰 사용자 단말에 문서 양식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PMIS)(1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우선,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프로젝트'란 건축, 건설, 조선 또는 플랜트를 만드는 프로젝트를 의미하며,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PMIS)'이란 이러한 프로젝트의 목표 달성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들이 프로젝트 수행 성과 확인, 의사소통, 정보 및 자료 공유 등을 위해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또한, 프로젝트의 목표 달성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PMIS)'을 사용한다는 점을 들어 '사용자'라고 지칭할 수 있고, 이러한 '사용자'들이 여러명 모인 조직이나 팀을 '사용자 그룹'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 (10)은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복수의 사용자 및 사용자 그룹들 간의 협업 효율화를 높이기 위해, 사용자 및 사용자 그룹들이 사용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10, 120)과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 그리고 이러한 사용자 단말들(110, 120)과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를 데이터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통신망(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망(1)은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와 사용자 단말들(110, 120) 사이에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모든 유선망과 무선망, 또는 이들의 결합망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각각에 대응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용자 단말(110, 120)에 대한 대표적인 예시는 데스크탑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다양한 다른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에 표시된 제1 사용자 단말(110)은 데스크탑 또는 PC라고 가정하고, 제2 사용자 단말(120)은 모바일 디바이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이라고 가정하도록 한다.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는 통신망(1)을 통해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10, 120)로부터 프로젝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런 프로젝트에 대한 정보를 자동으로 인식 및 분석하여 사용자 그룹용 또는 사용자용 계정을 자체적으로 생성하거나, 계정별 프로젝트에 대한 정보에 대한 접근권한을 차등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는 프로젝트에 대한 정보를 딥러닝하여 프로젝트 자체 또는 프로젝트의 특성을 인식하고, 프로젝트에 사용 중이거나 사용될 장비 또는 자재들을 인식하고 장비 또는 자재 목록을 생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는 프로젝트에 대한 정보를 딥러닝하여 프로젝트 특성 또는 프로젝트 진행 단계 별로 사용자 또는 사용자 그룹이 사용할 것이라고 예측되는 문서 양식들을 준비하여, 사용자 단말(110, 120)에 해당 문서 양식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젝트에 대한 정보'는 앞으로 본 명세서에서 '프로젝트 관련 정보'로 표기될 것이고, 양자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프로젝트 관련 정보'란 '프로젝트'와 연관된 모든 자료 및 정보를 의미하는데, 예를 들어, 프로젝트에 대한 사업개요서, 사업소개서, 제안서, 계약서, 프로젝트 켈린더와, 프로젝트의 목적물에 대한 조감도, 공사현장 CCTV 촬영 영상, 시공상세도(shop drawing), 설계도면, 시방서, 시공계획서, 착공도면, 수정도면, 실시도면, 준공도면, 공사일지, 자원관리표, 공사현장사진, 프로젝트와 관련한 작업지시서, 마스터 스케줄표, 공정현황표, 주간-월간공정표, WBS(Work Breakdown Structure) 탬플릿, 그리고 장비 또는 자재에 대한 상세제원표, 자재 입고표, 주문서, 발주서, 품질시험계획서, 품질검사표, 부적합 보고서, 콘크리트 작업일지, 프로젝트와 관련된 공문, 회의록, 청구서, 업무보고서, 감리보고서, 결재목록, 각종 계산서(구조계산서, 전기용량 계산서, 수량계산서, 물량계산서 등), 영수증, 전표와 프로젝트 수행 중 필요한 안전이나 품질 교육과 관련된 자료(도서, CD, 이미지, 음성 또는 동영상 파일과 같은 다양한 매체 포함), 안전교육일지, 안전점검일지, 그리고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각 조직이나 그룹, 인력에 대한 조직도, 비상연락망과 개별 근로자의 이력서, 명함, 근로계약서, 직위, 소속회사명칭과 같은 자료와 정보를 모두 포함한다.
하지만 '프로젝트 관련 정보'는 이런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위에 열거된 예시 이외에 다른 자료나 정보들도 프로젝트와 관련된 것이라면, 프로젝트 관련 정보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트 관련 정보'가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10)에서 활용되려면, 각각의 정보나 자료들은 디지털 파일 형태로 변환되어 활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이다.
한편,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는 CPU, GPU 또는 AP와 같은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단일한 하나의 기기 또는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여기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즉,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는 on-premise 형태의 물리적 서버로 구성되는 것 대신, 각각의 기능이 다양한 서버에 분산되고, 가상의 클라우드 상태에서 개별 기능들이 통합 구현되는 클라우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에 표시된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는 이하에서는 클라우드 디바이스로 구현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한편, 도 1에 표시된 것과 같이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가 클라우드 디바이스로 구현된다고 가정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10)은 SaaS(Software-as-a-Service)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의 구성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는 통신부(1000), 저장부(1100), 계정부(1200), 접근권한 설정부(1300), 목록 생성부(1400) 및 카테고리 분류부(15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제어부(1600) 또는 AI 모듈(1010)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가 On-Premise로 구현될 경우에는 통신부(1000), 저장부(1100), 계정부(1200), 접근권한 설정부(1300), 목록 생성부(1400) 및 카테고리 분류부(1500)가 제어부(1600) 및 AI 모듈(1010)과 함께 물리적으로 On-Premise 구성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어부(1600)는 통신부(1000)를 사용자 단말(110, 120)과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의 통신을 제어하고, 저장부(1100), 계정부(1200), 접근권한 설정부(1300), 목록 생성부(1400) 및 카테고리 분류부(1500)의 각 기능을 구동하는데 제어부(1600)의 제어 기능이나 중앙처리능력이 활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0)는 AI 모듈(1010)의 기계학습 처리 연산을 돕거나 AI 모듈(1010)의 구동 여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AI 모듈(1010)은 접근권한 설정부(1300), 목록 생성부(1400) 및 카테고리 분류부(1500)에서 수행되는 기계 학습을 대신하여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가 클라우드 디바이스로 구현될 경우에는, 통신부(1000), 저장부(1100), 계정부(1200), 접근권한 설정부(1300), 목록 생성부(1400) 및 카테고리 분류부(1500)가 각각 개별적으로 하나의 가상 디바이스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각각 자체적으로 제어 모듈이나 AI 모듈이 임베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표시된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도 역시 클라우드 디바이스로 구현됐다고 가정하고 이하에서 설명한다.
우선, 통신부(1000)는 사용자 단말들(110, 120)로부터 전송되는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1100)에 전달하고, 저장부(1100)는 이러한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보관 또는 저장한다. 또한, 통신부(1000)는 저장부(1100), 계정부(1200), 접근권한 설정부(1300), 목록 생성부(1400) 및 카테고리 분류부(1500)로부터 생성된 요청, 정보, 데이터들을 사용자 단말들(110, 1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저장부(1100)는 통신부(1000)로부터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 기록 즉 로그(log)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로그를 활용하여 아카이브 형태로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시계열적 또는 연대별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100)는 클라우드 보관함과 같은 드라이브 형태의 저장 공간으로 구현이 가능하며, 접근권한을 가진 사용자들이 접속할 수 있도록 하고 접근권한이 없는 사용자들은 접속이 불가능하도록 하여 자체 보안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저장부(1100)는 접속 가능한 사용자들 간에 드라이브에 저장된 파일들을 공유하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저장부(1100)는 자체적으로 뷰어(viewer) 기능이나 모듈이 임베딩되어 저장부(1100)에 업로드 된 이미지 파일을 바로 볼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100)는 저장부(1100)에 업로드 된 파일에 주석(annotation)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하여, 저장부(1100)에 접속 가능한 사용자들 사이에 의견을 교환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계정부(1200)는 사용자 단말(110, 120)로부터 사용자(User) 또는 사용자 그룹(User Group, Team, Entity)에 대한 계정 생성 요청이 있을 경우, 이러한 요청을 통신부(1000)를 통해 수신하고, 다시 사용자 단말(110, 120)로부터 사용자 또는 사용자 그룹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사용자용 계정 또는 사용자 그룹용 계정을 생성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 그룹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 단말(110, 120)에 입력되면, 계정부(1200)는 통신부(1000)를 통해 사용자 또는 사용자 그룹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런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용 계정 또는 사용자 그룹용 계정을 생성하여 자체적으로 보관하고 관리한다.
여기서 '사용자 또는 사용자 그룹에 대한 정보'란 '사용자 개인에 대한 개인 정보로써 사용자에 대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는 정보' 또는 '사용자들이 속해있는 조직이나 팀, 또는 근무하는 회사에 대한 정보로써 사용자 그룹에 대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개인에 대한 개인 정보'는 사용자의 성명,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집주소, 직장주소 등과 같은 개인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사용자들이 속해있는 조직이나 팀, 또는 근무하는 회사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가 소속되어 있거나 근무하는 법인명, 조직명, 팀명, 대표자 성함, 법인등록번호, 사업자등록번호, 사업장 소재지, 본점소재지, 사업의 종류 등과 같은 회사나 조직 관련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사용자 그룹'은 반드시 '사용자'가 속해 있는 회사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속해 있는 회사 내부의 특정 조직, 부서, 팀을 의미할 수도 있다.
단, 이러한 것들은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며, '사용자 또는 사용자 그룹에 대한 정보'가 반드시 위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또는 '사용자 그룹'을 특정할 수 있는 정보라면 '사용자 또는 사용자 그룹에 대한 정보'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
접근권한 설정부(1300)는 계정부(1200)를 통해 생성된 사용자용 계정 또는 사용자 그룹용 계정들에 대하여, 저장부(1100) 또는 카테고리 분류부(1500)에 저장된 프로젝트 관련 정보에 대한 접근권한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접근권한 설정부(1300)는 계정부(1200)가 사용자 단말(110, 120)로부터 사용자 또는 사용자 그룹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지 못하여 사용자용 계정 또는 사용자용 그룹 계정을 생성할 수 없는 경우, 저장부(1100)에 저장된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텍스트 또는 이미지 인식하는 딥러닝 기법을 통해 사용자 또는 사용자 그룹을 자동적으로 인식하여, 사용자용 또는 사용자 그룹용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접근권한 설정부(1300)는 앞서 언급한 딥러닝 기법을 통해 프로젝트 관련 정보로부터 다수의 사용자 또는 사용자 그룹들이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수행 중이거나 수행하게 될 업무를 분석하고 예측하거나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접근권한 설정부(1300)는 이 과정에서 서로 다른 사용자 그룹들 간의 업무적 연관성이나 연관 정도도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개별 사용자 그룹들이 프로젝트와의 관계에서 가지는 개별 특성을 인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접근권한 설정부(1300)는 이렇게 딥러닝한 결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각 사용자 그룹 별로 프로젝트 관련 정보에 대한 접근권한을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접근권한 설정부(1300)는 앞서 언급한 딥러닝 기법을 사용하여 프로젝트 관련 정보 중, 사업자등록증이나 용역 계약서의 내용을 학습하여 사용자 그룹 자체 또는 특성으로써 해당 사용자 그룹의 법인명과 같은 조직명이나 해당 사용자 그룹의 주요 사업분야 등을 인식할 수 있다.
도 3에 예시적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접근권한 설정부(1300)는 프로젝트 관련 정보 중 사업자등록증이나 용역 계약서와 같은 프로젝트의 목적과 성질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의 내용을 학습하여 특정 사용자 그룹이 시공사 '원청'이라고 인식할 수도 있고, 다른 사용자 그룹이 협력업체 중 하나인 '콘크리트' 작업팀이라고 인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인식된 사용자 그룹 별로 별도의 항목이나 탭을 만들어 개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근권한 설정부가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딥러닝하여 사용자 그룹 및 사용자를 인식한 결과를 제1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시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접근권한 설정부(1300)는 프로젝트 관련 정보 중 특정 사용자 그룹의 이름과 같이 주체성을 나타내는 정보가 표기된 자료(예를 들어, 용역 계약서 등)를 학습하여, 특정 사용자 그룹의 이름을 인식하고 해당 사용자 그룹에 포함된 개별 사용자들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사용자 그룹의 법인명이 '에이스 주식회사'라고 할 경우, 접근권한 설정부(1300)는 프로젝트 관련 정보 중 '콘크리트 용역 계약서'의 내용을 학습하여, '에이스 주식회사'라는 특정 사용자 그룹을 인식할 수 있고, '김반장', '홍길동'과 같은 사용자들의 명함이나 이력서를 학습하여 이들이 '에이스 주식회사'라는 특정 사용자 그룹에 포함된 개별 사용자임을 인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접근권한 설정부(1300)는 인식한 사용자 그룹이 다른 사용자 그룹과 비교하여 저장부(1100)에 저장된 프로젝트 관련 정보에 어느 깊이까지 접근할 수 있도록 할지에 대한 접근권한의 정도를 설정한다.
즉, 접근권한 설정부(1300)가 특정 사용자 그룹을 시공사 '원청'이라고 인식하였다면, 접근권한 설정부(1300)는 시공사로 인식한 사용자 그룹에는 저장부(1100)에 저장된 프로젝트 관련 정보 중 설계 도면에 대한 수정 또는 변경에 대한 접근권한은 허락하도록 설정하되, 다른 사용자 그룹인 '콘크리트' 작업팀에게는 설계 도면에 대한 수정 또는 변경에 대한 접근권한이 없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접근권한 설정부(1300)는 이렇게 사용자 그룹에 대한 정보 또는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딥러닝으로 인식하여 특정 사용자 그룹과 다른 사용자 그룹에 대한 계정을 분류할 수 있고, 서로 다른 사용자 그룹 계정 별로 프로젝트 관련 정보에 대한 접근권한을 달리 설정하여 보안을 유지함과 동시에, 각 사용자 그룹들이 프로젝트 수행에 있어 공유해야 할 자료와 공유가 불필요한 자료들을 직접 선별해 내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접근권한 설정부(1300)는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딥러닝하여 자체적으로 사용자 그룹용 계정을 생성할 수도 있으므로, 사용자들이 사용자 그룹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 120)에 입력하는 노력과 시간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이번에는 접근권한 설정부(1300)가 사용자용 계정을 생성하는 사례에 대하여 살펴본다.
예를 들어, 계정부(1200)가 사용자 단말(110, 120)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지 못하여 사용자 계정을 생성할 수 없는 경우, 접근권한 설정부(1300)는 저장부(1100)에 저장된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앞서 언급한 딥러닝 기법을 통해 학습하여, 사용자가 누구인지를 인식하고 직접 사용자용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접근권한 설정부(1300)는 사용자에 대해서도, 사용자가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수행 중이거나 수행하게 될 업무를 분석하고 예측하거나 인식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사용자 간 업무적 연관성이나 연관 정도도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개별 사용자들이 프로젝트와의 관계에서 가지는 개별 특성을 인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접근권한 설정부(1300)는 프로젝트 관련 정보 중 '검측보고서'를 학습하여, 해당 '검측보고서'에 대한 작성자 및 승인자와 작성, 승인 절차의 순서를 인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검측보고서'는 '시공사 직원'이 작성하고, '현장소장', '감리자', '총괄감리원' 순으로 승인하게 되는데, 이때, 접근권한 설정부(1300)는 '검측보고서'의 내용을 학습하고 '감리자'에 대한 계정을 만들면서 앞으로 입력될 '검측보고서'에 대한 승인 권한을 '시공사 직원'이 아닌, '감리자'에게 승인 권한을 부여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접근권한 설정부(1300)는 이렇게 딥러닝한 결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계정부(1200)나 접근권한 설정부(1300)를 통해 이미 생성된 사용자용 계정과 추가로 생성할 사용자용 계정에 각각 다른 접근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근권한 설정부(1300)는 앞서 언급한 딥러닝 기법을 사용하여 프로젝트 관련 정보 중, 사용자의 근로계약서, 업무계획서, 업무 보고서의 내용을 학습하여, 사용자의 직급, 역할 또는 업무 범위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접근권한 설정부(1300)는 이렇게 인식한 사용자에 대한 개인적 정보들을 분류기준정보로 하여, 이 분류기준정보에 따라 사용자 별로 프로젝트 관련 정보에 대한 접근권한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표시된 것과 같이, 접근권한 설정부(1300)는 특정 사용자 '김기사'의 근로계약서를 딥러닝하고, '김기사'는 '사원' 직급에 해당되며 일선 실무담당자라고 인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근권한 설정부가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딥러닝하여 사용자 그룹 및 사용자를 인식한 결과를 제2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시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접근권한 설정부(1300)는 업무계획서의 내용을 딥러닝하여, 다른 사용자인 '홍길동'이 '부장' 직급에 해당되어 중간 관리자라고 인식할 수 있고, 도 7a에 표시된 것과 같이, 부장이라고 인식한 '홍길동'에 대하여는 '01_계약서'나 '07_감리자료'와 같은 데이터에 접근 권한을 허가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도 7a에 표시된 것과 같은 자물쇠 아이콘을 해당 항목인 '01_계약서'나 '07_감리자료' 옆에 출력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반대로 접근권한 설정부(1300)는 사원이라고 인식한 '김기사'에 대하여는 도 7a에 표시된 것과 같이, '01_계약서'나 '07_감리자료'와 같은 데이터에는 접근 권한이 없도록 설정하고, 이를 자물쇠 아이콘으로 '01_계약서'나 '07_감리자료' 옆에 출력할 수 있다.
도 7a은 카테고리 분류부가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분류하여 프로젝트용 공간 내에 별도로 설정된 단계별 자료공간에 저장하고 이를 제2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시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분류기준정보란, 앞서 간단히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근로계약서, 업무계획서, 업무 보고서 등을 통해 접근권한 설정부(1300)가 파악할 수 있는 사용자의 직급, 역할 또는 업무 범위를 의미하지만, 어디까지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사용자 자체 또는 사용자의 특성을 특정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자료나 정보라면 분류기준정보에 모두 포함될 것이다.
그리고, 접근권한 설정부(1300)는 자체적으로 생성한 사용자용 계정에 대한 접근 링크를 사용자 단말(110, 12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접근권한 설정부(1300)는 사용자 그룹용 계정 및 사용자용 계정에 대해 설정된 접근권한 레벨이 유효한지 여부를 사전 승인된 최종 관리자에게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전 승인된 최종 관리자가 PMIS를 관리하는 최종 관리자라면, 접근권한 설정부(1300)는 이런 관리자에게 특정 사용자 그룹용 계정 및 사용자용 계정에 대한 접근권한 설정이 유효한지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접근권한 설정부(1300)는 이렇게 최종 관리자에게 접근권한 설정 유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최종 관리자용 단말과 같은 물리적 디바이스로 구성될 수 있지만, 단말 내부에서 구동되는 소프트웨어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즉, 접근권한 설정부(1300)는 접근권한 설정 유효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최종 관리자가 사용하는 단말에 알림창이나 팝업 메뉴를 출력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위와 같은 사례는 어디까지나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다른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접근권한 설정 유효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목록 생성부(1400)는 사용자 단말(110, 120)로부터 프로젝트에 현재 사용 중이거나 앞으로 사용될 것으로 계획된 장비 또는 자재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1000)를 통해 전달받아 저장하고, 해당 장비 또는 자재에 대한 목록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10, 120)에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만약, 목록 생성부(1400)가 사용자 단말(110, 120)로부터 프로젝트에 현재 사용 중이거나 앞으로 사용될 것으로 계획된 장비 또는 자재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지 못하면, 목록 생성부(1400)는 저장부(1100)에 저장된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앞서 언급한 딥러닝 기법을 통해 학습하고, 프로젝트에 현재 사용 중이거나 앞으로 사용될 것으로 계획된 장비 또는 자재에 대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인식된 장비 또는 자재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장비 또는 자재에 대한 자동목록을 생성하여 이를 사용자 단말(110, 12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록 생성부(1400)는 프로젝트 관련 정보 중 자재 발주서나 장비 임대차 계약서에 대한 내용을 딥러닝하여, 프로젝트에 현재 사용 중인 자재나 장비에 대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딥러닝한 결과를 바탕으로 장비 또는 자재에 대한 자동목록을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110, 120)에 드롭다운 형태의 리스트로 표시하거나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목록 생성부(1400)는 통신망(1)을 통해 자동목록에 포함된 장비 또는 자재와 동일한 장비 또는 자재에 대한 세부정보를 개시하고 있는 온라인 상의 웹 또는 다른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할 수 있다.
목록 생성부(1400)는 자동목록에 포함된 장비 또는 자재와 동일한 장비 또는 자재에 대한 세부정보를 개시하고 있는 온라인 상의 웹 또는 다른 데이터베이스를 찾으면, 크롤링 기법을 활용하여 해당 온라인 상의 웹 또는 다른 데이터베이스에 개시된 장비 또는 자재에 대한 세부정보를 디바이스(100)로 끌어와서, 자동목록에 포함된 장비 또는 자재에 대한 정보와 끌어온 세부정보를 비교 분석할 수 있고, 끌어온 세부정보를 기준으로 자동목록에 포함된 장비 또는 자재에 대한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록 생성부(1400)는 언급한 딥러닝 기법을 통해, 저장부(1100)에 저장된 프로젝트 관련 정보 중 중장비 임대차 계약서와 자재 발주서의 내용을 학습하고, 프로젝트에서 현재 사용 중인 장비 또는 자재에 대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즉, 목록 생성부(1400)가 딥러닝 기법을 통해 중장비 임대차 계약서의 내용을 학습하여, 현재 프로젝트에 사용 중인 장비가 'Cat'사의 모델 D4 중형 도저(출력 97kw, 작동무게 13272kg)라고 인식하였다면, 목록 생성부(1400)는 장비에 대한 자동목록을 생성하면서, 해당 자동 목록에 'Cat'사의 모델 D4 중형 도저 항목을 드롭다운 리스트 형태로 포함시킨다.
이후, 목록 생성부(1400)는 인터넷을 검색하여 'Cat'사의 모델 D4 중형 도저에 대한 세부 정보를 개시하고 있는 웹페이지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한다. 목록 생성부(1400)가 이러한 웹페이지를 발견하면 해당 웹페이지에 접근하여, 크롤링 기법으로 해당 웹페이지에 개시된 'Cat'사의 모델 D4 중형 도저에 대한 세부 정보를 디바이스(100)로 끌어온다.
그리고, 목록 생성부(1400)는 자동목록의 모델 D4 중형 도저 항목을 끌어온 세부 정보와 비교하고, 차이점이 있을 경우, 끌어온 세부정보를 바탕으로 모델 D4 중형 도저 항목을 수정한다.
즉, 원래 모델 D4 중형 도저에 대한 정보는 i) 출력 97kw, ii) 작동무게 13272kg 임에도 불구하고, 목록 생성부(1400)가 앞서 언급한 중장비 임대차 계약서의 내용을 잘못 인식하거나 중장비 임대차 계약서 자체에 오타가 있는 등의 사유로 D4 중형 도저에 대한 정보를 i) 출력 90kw, ii) 작동무게 12000kg라고 인식했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목록 생성부(1400)는 장비 정보에 오류가 있는 자동목록을 생성하게 된다.
이 때, 목록 생성부(1400)는 'Cat'사의 모델 D4 중형 도저에 대한 올바른 세부 정보를 개시하고 있는 웹페이지로부터 해당 세부 정보를 크롤링해와서 자동목록에 포함된 D4 중형 도저에 대한 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목록 생성부(1400)는 자동목록에 포함된 모델 D4 중형 도저에 대한 잘못된 정보인 i) 출력 90kw, ii) 작동무게 12000kg를, 올바른 정보인 i) 출력 97kw, ii) 작동무게 13272kg로 수정할 수 있다.
또한, 목록 생성부(1400)는 생성된 장비 또는 자재 목록에 포함된 장비 또는 자재에 대하여, 해당 장비 또는 자재가 몇시간 동안 또는 얼마만큼의 수량이 사용되었는지 여부를 추적하고 목록에서 대응되는 장비 또는 자재 옆에 이를 기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목록 생성부(1400)는 사용자가 프로젝트에 사용되는 모든 장비와 자재에 대한 정보를 직접 사용자 단말에 입력하지 않더라도, 목록 생성부(1400)가 자체적으로 장비와 자재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여 장비 또는 자재 목록을 생성해주므로,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시간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목록 생성부(1400) 스스로 장비나 자재에 대한 오류도 점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높은 신뢰성을 갖는 장비나 자재 목록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장비와 자재 정보에 대한 정보를 목록 생성부(1400)가 직접 인식하고 목록을 생성한 뒤, 목록에 포함된 장비와 자재가 장비와 자재가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 있어 얼마만큼, 얼마동안 사용되었는지 여부를 기록하고 추적할 수 있다.
특히, 장비와 자재가 얼마만큼, 그리고 얼마동안 사용되었는지는 프로젝트 전체에 드는 비용 예를 들어, 공사비 계산과 같은 문제에 있어 매우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므로, 사용자는 목록 생성부(1400)가 생성하는 장비 또는 자재 목록을 통해 정확한 공사비 산정에 필요한 산정 근거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카테고리 분류부(1500)는 앞서 언급한 딥러닝 기법을 통해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학습하고, 해당 프로젝트가 무엇인지 또는 해당 프로젝트의 특성이 무엇인지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카테고리 분류부(1500)는 이렇게 인식된 프로젝트를 미리 정해진 카테고리로 분류한 뒤 카테고리 별로 여러 개의 프로젝트들을 분리하여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표시된 바와 같이, 카테고리 분류부(1500)는 딥러닝 기법을 통해 프로젝트 관련 정보 중 도급 계약서의 내용을 학습하여, 해당 프로젝트가 '서귀포시 정방동 호텔 신축 공사'라고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건물 신축'이라는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
만약, 해당 프로젝트를 '부산 호텔 증축 공사'라고 인식하면, 카테고리 분류부(1500)는 해당 프로젝트를 '건물 신축'이라는 카테고리가 아닌 '건물 증축'이라는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도 있다.
또한, 카테고리 분류부(1500)는 예를 들어, 정부에서 공개적으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 API를 통해 특정 프로젝트에 대한 인허가 정보를 가져와서 특정 프로젝트에 대한 카테고리를 분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테고리 분류부가 프로젝트를 인식하여 카테고리 별로 프로젝트를 분류한 결과를 제2 사용자 단말에 출력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 같이, 카테고리 분류부(1500)는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학습하여 해당 프로젝트가 무엇인지 또는 해당 프로젝트의 특성이 무엇인지를 인식하고, 프로젝트의 특성에 따라 프로젝트를 카테고리 별 분류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런 카테고리는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10)의 최종 관리자 또는 해당 프로젝트의 최종 관리자에 의해 미리 만들어지거나 설정될 수 있으나, 카테고리 분류부(1500)가 신규로 카테고리를 생성할 수도 있다.
즉, 카테고리 분류부(1500)는 새롭게 생성할 프로젝트를 기존 카테고리로 분류하기 어렵다고 판단하면,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카테고리 분류부(1500)가 새로운 카테고리를 생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고리 분류부(1500)가 신규 프로젝트를 '역삼동 오피스텔 신축공사'라고 인식하면, '역삼동 오피스텔 신축공사'라는 프로젝트 항목을 새로 만들고 기존 프로젝트 리스트에 이 프로젝트 항목을 추가하여, 사용자 단말(110, 120)에서 이러한 프로젝트 리스트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카테고리 분류부(1500)는 특정 프로젝트에 대한 자료나 정보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특정 프로젝트와 대응하는 프로젝트용 공간(1510)을 카테고리 분류부(1500) 내에 자동으로 설정하고, 그 프로젝트용 공간(1510)에 특정 프로젝트에 대한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저장부(1100)로부터 옮겨서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카테고리 분류부(1500)는 특정 프로젝트에 대한 프로젝트 관련 정보와 다른 프로젝트에 대한 프로젝트 관련 정보가 섞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카테고리 분류부(1500)는 특정 프로젝트 진행 단계나 프로젝트 내 세부 업무 분야에 따라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추가로 분류하여 정리할 수 있는 단계별 자료공간(1520)을 프로젝트용 공간(1510) 내에 별도로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고리 분류부(1500)가 새로운 프로젝트를 '서울시 중구 한일타워 리노베이션' 프로젝트라고 인식하여, 리노베이션 카테고리로 분류한 뒤, 해당 카테고리와 매칭되는 프로젝트용 공간(1510)을 별도로 설정하였다고 가정하자.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테고리 분류부가 특정 프로젝트용 공간을 설정하고, 이를 제1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시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카테고리 분류부(1500)는 도 6에 표시된 것처럼, 그 공간(1510)에 우선적으로 '서울시 중구 한일타워 리노베이션' 프로젝트에 대한 프로젝트 관련 정보인 '건축도면', '계약서 초안', '작업일보'파일들을 저장부(1100)로부터 옮겨와서 저장해 둘 수 있다.
따라서, 제1 사용자 단말(110)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서울시 중구 한일타워 리노베이션' 프로젝트에 대한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110)에 업로드함과 동시에 해당 프로젝트 관련 정보가 별도의 프로젝트용 공간(1510)에 분류되어 보관되므로 자료를 정리해야 하는 시간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카테고리 분류부(1500)는 '서울시 중구 한일타워 리노베이션' 프로젝트의 진행 단계 또는 프로젝트 내 세부 업무 분야에 맞춰 프로젝트용 공간(1510) 내에 여러 개의 단계별 자료공간(1520)들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카테고리 분류부(1500)는 앞서 언급한 딥러닝 기법을 활용하여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학습하고, '서울시 중구 한일타워 리노베이션' 프로젝트의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프로젝트의 진행 단계 별 또는 프로젝트 내 세부 업무 분야 별로 분류할 수 있다.
이후, 카테고리 분류부(1500)는 여러 개로 분류된 프로젝트 관련 정보들을 개별 단계별 자료공간(1520)에 나누어 보관 또는 저장하며, 저장된 자료는 사용자 단말(110, 120)을 통해서 확인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7a를 참조하면, 카테고리 분류부(1500)는 프로젝트 관련 정보들을 학습하여, '서울시 중구 한일타워 리노베이션' 프로젝트에 대한 프로젝트용 공간(1510) 내에 또 다른 단계별 자료공간(1520)인 '01_회의록', '02_건축', '03_구조', '04_기계', '05_전기'와 같은 단계별 자료공간 항목들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테고리 분류부가 프로젝트용 공간 내에 단계별 자료공간을 설정하고 이를 제2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시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카테고리 분류부(1500)는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학습한 결과에 따라 프로젝트 관련 정보들 중 '건축 도면에 관련된 자료'를 프로젝트 내 세부 업무 분야인 '건축'으로 분류할 수 있고, 도 7b에 표시된 것과 같이, '건축 도면에 관련된 자료'인 '도면목록표', '지하1층 평면도', '지하2층 평면도'와 같은 도면 자료들을 '02_건축'이라는 단계별 자료공간(1520)에 저장한 뒤, 이를 제2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카테고리 분류부(1500)는 앞서 언급한 딥러닝 기법을 통해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학습하고, 사용자 그룹, 사용자 및 프로젝트의 특성을 인식하였으므로, 프로젝트 진행 단계 별로 사용자 그룹 또는 사용자가 사용할 문서 양식을 예측하고, 그러한 문서 양식을 사용자 단말(110, 12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문서 양식이라는 것은 ‘작업일보’, ‘출역일보’, ‘안전업무일지’, ‘안전점검 순회일지’, '품질시험표', '품질검사대장', '시험성과표', '검측 요청서', '회의록', '감리보고서', '감리업무일지', '부적합보고서', '주간공정보고서', '작업지시서', '공사기성부분검사원', '관급자재수불수', '시험-검사실적보고서', '자재검수요청서', '자재선정승인요청서', '견적서', '계약이행확인서', '공사대금 지급확인서', '공사비 내역총괄표', '공사완료보고서', '공사원가계산서', '공사작업계획표', '공사지명원', '공사착공계', '기성금청구서', '설계변경요청서', '시공계획서', '장비이력카드', '펀치리스트', '하도급관리계획서', '하도급 대금 관리계획서', '환경보전비 사용내역서'와 같은 서류들의 양식을 말한다. 하지만 위에 열거된 서류 양식만을 말하는 것은 아니며, 이 외에도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필요하거나 작성해야 하는 다양한 종류의 문서 양식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작업일보'는 오늘 작업내용이나 내일 작업내용들을 정리하고, 프로젝트에 참여한 '출역인원(참여자)'이 기재된 문서로 이를 토대로 프로젝트에 대한 작업정산, 작업관리가 이루어진다. 또한, '출역일보'는 프로젝트에 참여한 인력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문서이며, 개별 인력의 주민번호, 노임구분(하루 일당), 근무시간(오전근무, 전일, 야간근무)에 대한 정보가 기입되어 있다.
예를 들어, 카테고리 분류부(1500)는 프로젝트를 ‘일반건축’ 카테고리, ‘공동주택’ 카테고리, ‘토목’ 카테고리, '조선' 카테고리, '플랜트' 카테고리도 나누어 신규 프로젝트 항목을 개설할 때부터 해당 카테고리에 따라 사용자 그룹 또는 사용자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문서 양식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카테고리 분류부(1500)가 사용자 그룹 또는 사용자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문서 양식을 예측할 때, 카테고리 분류부(1500)는 앞서 언급한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딥러닝하는 것뿐만 아니라, '국가법령정보센터' 웹페이지에 개시된 '건축법', '건설기술관리법'을 딥러닝으로 학습하고 참조하여 카테고리 별로 분류된 프로젝트 별 필요한 법정 문서 양식을 예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 진행 단계 중 검측 단계에서 '서귀포시 정방동 호텔 신축공사' 프로젝트에 대한 프로젝트 관련 정보 중 하나인 '월간 공정표'가 제1 사용자 단말(110)에 진행 단계 관련 정보로 입력될 수 있다.
즉, 도 8a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1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서귀포시 정방동 호텔 신축공사'프로젝트에 대한 '월간 공정표'가 입력되어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가 이를 수신하면, 카테고리 분류부(1500)는 '월간 공정표'를 학습한다.
그리고,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 도 8a에 표시된 작업 중 '1층 거푸집 작업'이 10월 01일부터 시작되어 10월 5일에서 10월 15일 사이의 어느 날(예를 들어, 10월 10일)에 종료되어야 할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카테고리 분류부(1500)는 10월 10일에 도 8b에 표시된'검측 요청서' 및 '검측 결과 통보서' 같은 문서 양식을 만들어서 제1 또는 제2 사용자 단말(110, 12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에 프로젝트 관련 정보 중 하나인 월간 공정표가 입력된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테고리 분류부가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학습한 뒤 해당 프로젝트 진행 단계에 맞추어 특정 문서 양식을 만들어낸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후, '원청건설사 직원'이나 '감리자'와 같은 사용자들은 도 8c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제2 사용자 단말(120)에서 제공되는 '특정문서양식기입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1층 거푸집 작업'에 대하여 작업 상태 체크리스트를 '예/아니오'의 답변을 간단히 입력하는 방식으로 작성하고 이를 카테고리 분류부(1500) 가 제공한'검측 요청서' 및 '검측 결과 통보서'에 기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가 제2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에게 특정문서양식기입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감리자'는 위에서 언급한'1층 거푸집 작업'작업에 대해 실제 현장에서 해당 작업의 완성여부에 대한 감리 작업을 수행하면서, 도 8c에 표시된 바와 같이, '1층 거푸집 작업'작업에 대한 세부 사항 중 '1) 벽, 기둥의 먹줄은 일치하는가?' 여부나 '2) 거푸집에 박리제는 도포하였는가?' 여부 등에 대한 답변을 '예/아니오'슬라이드를 터치하여 '예/아니오'의 답변으로 입력할 수 있고, 이러한 답변 입력 결과를 카테고리 분류부(1500)가 제공한'검측 요청서' 및 '검측 결과 통보서'에 자동으로 기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 카테고리 분류부(1500)는 프로젝트 진행 단계 중 다수의 제2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입력된 정보들을 취합하여 특정 문서 양식에 이를 반영하여 작성한 뒤, 이러한 문서 양식을 제1 또는 제2 사용자 단말(110, 12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에 표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는 제2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에게 '작업일보'와 같은 '정보기입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가 제2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에게 정보기입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수의 사용자들이 도 9a에 표시된 것과 같이 '작업일보'와 같은 정보기입 인터페이스 화면에 예를 들어, 2021년 11월 20일에 대한 '출역인원', '금일작업'과 같은 항목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였다면, 제2 사용자 단말(120)은 이러한 정보는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로 보내고, 카테고리 분류부(1500)는 다수의 사용자들로부터 입력된 '출역인원', '금일작업'에 대한 정보를 모두 취합하여, 도 9b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인원 및 작업' 탭(tab) 또는 세부 카테고리 항목으로 분류하고, 2021년 11월 20일에 참여한 모든 '출역인원'과 '금일작업' 내용들을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1 또는 제2 사용자 단말을 통해 보여줄 수 있다.
그리고, 카테고리 분류부(1500)는 도 9b에 예시적으로 표시된 정보들을 모두 취합하여 정리한 뒤 이를 특정 문서 양식으로 생성하여 도 9c와 같이 제1 또는 제2 사용자 단말(110, 120)에 제공할 수도 있다.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테고리 분류부가 제2 사용자 단말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들로부터 입력된 정보들을 취합하여 보여주는 화면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테고리 분류부가 제2 사용자 단말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들로부터 입력된 정보들을 취합하여 반영한 특정 문서 양식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카테고리 분류부(1500)는 사용자 단말(110, 120)에 제공한 문서 양식이 사용자 단말(110, 120)을 통해 수정되거나 작성 완료되면, 전자결재 기능을 제공하여 전자결재 내용을 사용자 그룹 및 사용자들 간에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을 통해 프로젝트 진행 단계 별로 문서 작성 완료, 승인에 대한 이슈를 쉽게 공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테고리 분류부(1500)는 사용자가 프로젝트 진행 단계 별로 필요한 문서 양식을 준비할 시간과 노력을 절감시키며, 프로젝트 관리자 입장에서는 통일화된 문서 양식으로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수집, 분류 및 관리할 수 있어 마찬가지로 프로젝트 수행에 소요되는 비용, 시간 및 노력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PMIS)을 활용하여 프로젝트 관리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이 사용자 그룹용 계정 또는 사용자용 계정에 접근 권한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우선, 도 10을 참조하면,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PMIS)은 시작됨과 동시에,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는 통신망(1)을 통해 사용자 단말(110, 120)로부터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단말(110, 120)로부터 통신망(1)을 통해 사용자 그룹용 계정 또는 사용자용 계정 생성을 위한 사용자 그룹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가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로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000).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사용자 그룹 정보가 사용자 단말(110, 120)로부터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1100), 사용자 그룹 정보가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딥러닝 기법을 이용하여 프로젝트 관련 정보로부터 사용자 그룹 정보를 추출한다(S1102).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는 프로젝트 관련 정보로부터 추출된 사용자 그룹 정보를 학습하여 사용자 그룹 정보를 분석하고 사용자 그룹을 인식한다(S1103).
그리고,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는 인식한 사용자 그룹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 그룹용 계정을 생성하고, 그 계정에 접근권한을 설정한다(S1101).
만약, S1100 단계에서 사용자 그룹 정보가 사용자 단말(110, 120)로부터 직접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로 전달되었다면,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단말(110, 120)로부터 전달된 사용자 그룹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그룹용 계정을 생성하고, 그 계정에 접근권한을 설정한다(S1101).
이 때,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는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딥러닝한 결과로 사용자 그룹 별 특성 및 다른 사용자 그룹과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사용자 그룹 별 접근권한의 적용 레벨을 다르게 설정한다.
한편,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는 S1000 단계에서 사용자 정보가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로 수신되었는지 여부와는 별개로, 프로젝트 관련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그룹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사용자 그룹 정보 내에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110).
이는, S1000 단계에서 사용자 정보가 사용자 단말(110, 120)로부터 직접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로 전달되지 않아, 사용자 정보를 직접 확인할 수 없을 때 취하는 보조적인 수단으로 만약, S100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10, 120)로부터 사용자 정보가 직접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로 전달되었다면, 해당 사용자 정보를 통해 사용자 계정을 바로 생성할 수 있으므로, 그러한 경우에 한해서, 본 S1110단계 및 그 이하의 단계는 생략할 수 있다.
하지만, S1000 단계에서 사용자 정보가 사용자 단말(110, 120)로부터 직접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로 전달되지 않았다면, S1110 단계에서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정보를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통해 확인하여야 한다.
이후,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가 적어도 1개 이상의 사용자 정보가 프로젝트 관련 정보 중 사용자 그룹 정보 내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1120),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딥러닝 기법을 이용하여 프로젝트 관련 정보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추출한다(S1122).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는 프로젝트 관련 정보로부터 추출된 사용자 정보를 학습하여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고 사용자를 인식한다(S1123).
그리고,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는 인식한 사용자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용 계정을 생성하고, 그 계정에 접근권한을 설정한다(S1121).
이 때,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는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딥러닝한 결과로 사용자 별 특성 및 다른 사용자와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사용자 그룹 별 접근권한의 적용 레벨을 다르게 설정한다.
한편,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에서 자체적으로 생성된 사용자 계정은 사용자 단말(110, 120) 전송될 수 있으며(S1130), 이후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에 새로운 사용자 그룹 정보나 사용자 정보가 추가로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S1140), 추가로 입력되는 새로운 사용자 그룹 정보나 사용자 정보가 없으면 계정 생성 및 접근권한 설정을 종료한다.
하지만, S1140 단계에서 추가로 입력되는 새로운 사용자 그룹 정보나 사용자 정보가 확인되면, S1000 단계로 돌아가 이후 단계를 다시 수행하면서 계정 생성 및 접근권한 설정 단계를 반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이 장비 또는 자재 목록을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PMIS)은 시작됨과 동시에,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는 통신망(1)을 통해 사용자 단말(110, 120)로부터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단말(110, 120)로부터 통신망(1)을 통해 프로젝트에 사용 중이거나 사용될 계획이 있는 장비 또는 자재에 대한 정보가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로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2000).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장비 또는 자재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 단말(110, 120)로부터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2100), 장비 또는 자재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딥러닝 기법을 이용하여 프로젝트 관련 정보로부터 장비 또는 자재에 대한 정보를 추출한다(S2102).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는 프로젝트 관련 정보로부터 추출된 장비 또는 자재에 대한 정보를 학습하여 장비 또는 자재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고 프로젝트에 사용 중이거나 사용될 계획이 있는 장비 또는 자재를 인식한다(S2103).
그리고,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는 인식한 장비 또는 자재 데이터를 바탕으로 장비 또는 자재에 대한 자동목록을 생성한다(S2101).
만약, S2100 단계에서 장비 또는 자재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 단말(110, 120)로부터 직접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로 전달되었다면,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단말(110, 120)로부터 전달된 장비 또는 자재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장비 또는 자재 목록을 생성한다(S2101).
한편,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는 생성한 목록 또는 자동목록에 포함된 장비 또는 자재와 동일한 장비 또는 자재에 대한 제조사 정보, 세부 정보 등을 개시하고 있는 온라인 상의 웹 또는 다른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목록 또는 자동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장비 또는 자재에 대한 정보와 온라인 상의 웹 또는 다른 데이터베이스에 개시된 장비 또는 자재에 대한 제조사 정보, 세부 정보들을 비교 분석한다(S2110).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는 생성한 목록 또는 자동목록에 포함된 장비 또는 자재에 대한 정보가 온라인 상의 웹 또는 다른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목록 또는 자동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장비 또는 자재에 대한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며(S2120), 양자의 정보가 다를 경우, 온라인 상의 웹 또는 다른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목록 또는 자동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장비 또는 자재에 대한 정보(제조사 정보, 세부정보)를 크롤링하여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로 장비 또는 자재에 대한 제조자 정보나 세부 정보를 끌어온다(S2122).
그리고,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는 크롤링한 장비 또는 자재에 대한 제조자 정보나 세부 정보를 기초로 생성한 목록 또는 자동목록에 포함된 장비 또는 자재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고(S2123), 사용자 단말(110, 120)로 업데이트 된 장비 또는 자재 목록을 전송한다.
만약, S2120 단계에서 장비 또는 자재에 대한 정보가 제조사 정보, 세부정보와 일치한다면,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입력한 장비 또는 자재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목록을 바로 생성함과 동시에 사용자 단말(110, 120)로 이 목록을 전송한다(S2121).
이후,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는 새로운 장비나 자제에 대한 정보가 추가로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S2130), 새로운 장비나 자제에 대한 정보가 추가로 입력된 것을 확인하면(S2140), S2100 단계로 돌아가 다시 장비 또는 자재 목록을 생성하는 과정을 반복하며, 새로운 장비나 자제에 대한 정보가 추가로 입력되지 않은 것을 확인하면(S2140), 장비 또는 자재 목록을 생성하는 과정을 종료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이 프로젝트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고, 프로젝트 진행 단계에 맞춰 사용자 단말에 문서 양식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을 참조하면,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PMIS)은 시작 후, 입력대기 과정을 거친다.
입력대기 중인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는 통신망(1)을 통해 사용자 단말(110, 120)로부터 프로젝트 관련 정보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또는 일정한 시간 간격 별로 확인한다(S3000).
그리고,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가 사용자 단말(110, 120)을 통해 프로젝트 관련 정보가 입력되었음을 확인하면,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 120)로부터 수신하고 이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딥러닝하여 카테고리에 따라 프로젝트를 분류한다(S3100).
만약,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가 기존에 설정된 카테고리로 프로젝트를 분류할 수 있다면,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는 카테고리로 분류가 완료된 해당 프로젝트에 대한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따로 저장할 수 있는 프로젝트용 공간(1510)을 생성하고 설정할 수 있다(S3201).
하지만,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가 기존에 설정된 카테고리로 프로젝트를 분류할 수 없다면,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가 스스로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딥러닝 한 결과에 따라 신규 카테고리를 생성하고(S3202) 이 신규 카테고리로 해당 프로젝트를 분류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는 최종 관리자에게 신규 카테고리 생성이 유효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3203).
예를 들어, S3203 단계에서 최종 관리자가 PMIS를 관리하는 최종 관리자라면,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는 이런 최종 관리자에게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학습한 결과로 신규 생성한 카테고리가 적절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는 최종 관리자에게 신규 생성한 카테고리가 적절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최종 관리자용 단말과 같은 물리적 디바이스로 구성될 수 있지만, 단말 내부에서 구동되는 소프트웨어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즉,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는 신규 생성한 카테고리가 적절한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최종 관리자가 사용하는 단말에 알림창이나 팝업 메뉴를 출력할 수 있다는 것이다.
최종 관리자로부터 신규 생성한 카테고리가 유효하다는 입력을 받으면,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는 카테고리로 분류가 완료된 해당 프로젝트에 대한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따로 저장할 수 있는 프로젝트용 공간(1510)을 생성하고 설정할 수 있다(S3201).
또한,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는 앞서 언급한 딥러닝 결과를 토대로 해당 프로젝트의 진행 단계들을 인식할 수 있고, 이러한 진행 단계에 대응하는 단계별 자료공간(1520)을 프로젝트용 공간(1510) 내에 생성하고 설정할 수 있다(S3210).
이후,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는 딥러닝 결과를 토대로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해당 프로젝트의 진행 단계 별로 분류하여 단계별 자료공간(1520)에 저장할 수 있다(S3220).
한편,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100)는 앞선 딥러닝 결과를 토대로 해당 프로젝트의 진행 단계 별로 사용자 그룹 또는 사용자가 사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문서 양식을 예측할 수 있으며(S3230), 예측된 문서 양식을 사용자 단말(110, 120)에 제공할 수 있다(S3240).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10)은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조직이나 팀과 같은 사용자 그룹 별로 프로젝트 관련 정보에 대한 접근권한 설정을 자동으로 할 수 있으며, 사용자 그룹간 특성과 연관성을 고려하여 접근권한의 차이를 둘 수 있다.
특히, 사용자 그룹이 팀이라고 가정할 경우,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10)이 프로젝트 관련 정보 중 팀 구성에 대한 조직도, 근로계약서 등을 학습하여, 팀 내 속해 있는 중간 관리자, 현장 매니저, 상급 파트너 별로 각각 프로젝트 관련 정보에 필요한 접근권한 설정을 다르게 할 수 있고, 이러한 접근권한 설정의 유효 여부를 최종 승인권자의 허락을 요청하는 구조로 시스템이 구동되어 어떤 사용자나 손 쉽게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10)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10)은 접근권한 정도에 따라 저장부(1100)에 저장된 로그에 대한 접근여부를 차별화할 수 있어서, 최종 관리자와 같은 사용자가 최초 원본 파일에 대한 수정여부 확인과 관련된 보안문제부터, 비용결재와 같은 민감한 정보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사용자나 사용자 그룹 모두가 효율적인 업무 협업을 할 수 있도록 업무 환경을 만든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상술한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 통신망
10: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
100: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
110: 제1 사용자 단말
120: 제2 사용자 단말
1000: 통신부
1010: AI 모듈
1100: 저장부
1200: 계정부
1300: 접근권한 설정부
1400: 목록 생성부
1500: 카테고리 분류부
1510: 프로젝트용 공간
1520: 단계별 자료공간
1600: 제어부

Claims (16)

  1. 건축, 건설, 조선 또는 플랜트를 만드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 있어 사용되는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PMID)에 있어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프로젝트에 대한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 또는 서로 다른 복수의 사용자를 포함하는 사용자 그룹에 대한 계정을 생성하고, 보관하고 관리하는 계정부;
    상기 프로젝트에 사용 중이거나 사용될 것으로 계획된 장비 또는 자재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아 저장하고, 상기 장비 또는 자재에 대한 목록을 생성하여 사용자 그룹 또는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목록 생성부;
    계정 별로 상기 프로젝트 관련 정보에 대한 접근권한 설정을 달리할 수 있는 접근권한 설정부; 및
    상기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프로젝트를 최종 관리자에 의해 미리 정해진 카테고리로 분류한 뒤 관리할 수 있는 카테고리 분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근권한 설정부는,
    상기 사용자 그룹에 대한 정보가 상기 계정부로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그룹과 다른 사용자 그룹에 대한 계정을 분류하고, 상기 사용자 그룹과 상기 다른 사용자 그룹 간의 업무적 연관성이나 연관 정도를 자동적으로 분석하여 서로 다른 사용자 그룹 계정 별로 상기 프로젝트 관련 정보에 대한 접근권한을 자동적으로 달리 설정하며,
    상기 계정부에 상기 사용자 그룹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 그룹과 상기 다른 사용자 그룹 간의 업무적 연관성이나 연관 정도를 자동적으로 분석하고 상기 사용자 그룹을 자동적으로 인식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 그룹과 다른 접근권한을 가지는 사용자 그룹용 계정을 자동적으로 설정하고, 상기 계정부나 상기 저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그룹에 포함된 서로 다른 사용자들의 직급, 역할, 또는 업무 범위를 포함하는 분류기준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분류기준정보에 따라 상기 서로 다른 사용자 별로 다른 접근권한을 가지는 사용자용 계정을 자동 생성하며, 상기 사용자 그룹용 계정 및 상기 사용자용 계정에 대해 설정된 접근권한 레벨이 유효한지 여부를 사전 승인된 최종 관리자에게 확인하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카테고리 분류부는,
    상기 프로젝트를 상기 카테고리로 분류되도록 설정한 뒤, 상기 카테고리 내에 상기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보관 또는 저장할 수 있는 프로젝트용 공간을 설정하고, 상기 프로젝트용 공간 내에 상기 프로젝트의 진행 단계에 대응하는 단계별 자료공간을 자동적으로 설정하며, 상기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상기 진행 단계 별로 자동 분류하여 상기 단계별 자료공간에 저장하고, 상기 프로젝트 관련 정보로부터 개별 사용자 그룹들, 사용자 및 프로젝트의 특성을 인식하여 상기 진행 단계 별 상기 사용자 그룹 또는 상기 사용자가 사용할 것으로 예측되는 문서 양식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며,
    상기 목록 생성부는,
    상기 장비 또는 상기 자재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통해 상기 프로젝트에 사용 중이거나 사용될 것으로 계획된 장비 또는 자재를 자동으로 인식, 분류 및 선정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프로젝트에 사용 중이거나 사용될 것으로 계획된 장비 또는 자재에 대한 세부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온라인 상의 웹 또는 다른 데이터베이스를 검색 및 접근하여, 이를 통해 자동목록을 생성하고, 상기 자동목록을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며, 상기 자동목록에 포함된 상기 장비 또는 상기 자재에 대한 정보와 상기 세부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세부정보와 상기 자동목록에 포함된 상기 장비 또는 상기 자재에 대한 정보가 다를 경우, 상기 세부정보를 기초로 상기 장비 또는 상기 자재에 대한 정보를 자동적으로 수정하는,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건축, 건설, 조선 또는 플랜트를 만드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 있어 사용되는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PMIS)에 있어서,
    데스크탑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통신 가능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클라우드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우드 디바이스는,
    복수의 서로 다른 사용자 그룹 별로 할당되며, 상기 프로젝트 관련 정보에 대한 접근권한이 다르게 설정된 사용자 그룹용 계정을 생성할 수 있는 접근권한 설정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프로젝트에 사용 중이거나 사용될 것으로 계획된 장비 또는 자재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고, 상기 장비 또는 자재에 대한 목록을 생성하여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사용자 그룹에게 상기 목록을 제공하는 목록 생성부; 및
    상기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프로젝트를 최종 관리자에 의해 미리 정해진 카테고리로 분류한 뒤 관리할 수 있는 카테고리 분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근권한 설정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복수의 서로 다른 사용자 그룹 간의 업무적 연관성이나 연관 정도를 자동적으로 분석하여 상기 접근권한의 적용 레벨을 상기 서로 다른 사용자 그룹 별로 자동적으로 다르게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 그룹에 포함된 서로 다른 사용자들의 직급, 역할, 또는 업무 범위를 포함하는 분류기준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분류기준정보에 따라 상기 서로 다른 사용자 별로 다른 접근권한이 설정된 다수의 사용자용 계정을 자동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다수의 사용자용 계정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카테고리 분류부는,
    상기 프로젝트를 상기 카테고리로 분류되도록 설정한 뒤, 상기 카테고리 내에 상기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보관 또는 저장할 수 있는 프로젝트용 공간을 자동으로 설정하고, 상기 프로젝트용 공간 내에 상기 프로젝트의 진행 단계에 대응하는 단계별 자료공간을 자동으로 설정하고, 상기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상기 진행 단계 별로 자동 분류하여 상기 단계별 자료공간에 저장하며, 상기 프로젝트 관련 정보로부터 개별 사용자 그룹들, 사용자 및 프로젝트의 특성을 인식하여 상기 진행 단계 별 상기 사용자 그룹 또는 상기 사용자가 사용할 것으로 예측되는 문서 양식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며,
    상기 목록 생성부는,
    상기 장비 또는 상기 자재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받지 못하면, 상기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통해 상기 프로젝트에 사용 중이거나 사용될 것으로 계획된 장비 또는 자재를 자동으로 인식, 분류 및 선정하고,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프로젝트에 사용 중이거나 사용될 것으로 계획된 장비 또는 자재에 대한 세부정보가 개시된 온라인 상의 웹 또는 다른 데이터베이스를 검색 및 접근하여 자동목록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자동목록을 제공하며, 상기 자동목록에 포함된 상기 장비 또는 상기 자재에 대한 정보와 상기 세부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세부정보와 상기 자동목록에 포함된 상기 장비 또는 상기 자재에 대한 정보가 다를 경우, 상기 세부정보를 기초로 상기 장비 또는 상기 자재에 대한 정보를 자동적으로 수정하는,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건축, 건설, 조선 또는 플랜트를 만드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 있어 사용되는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PMIS)을 활용하여 프로젝트 관리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프로젝트 관련 정보가 클라우드 디바이스로 수신되는 단계;
    상기 프로젝트를 미리 정해진 카테고리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카테고리 내에 상기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보관 또는 저장할 수 있는 프로젝트용 공간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프로젝트용 공간 내에 상기 프로젝트의 진행 단계에 대응하는 단계별 자료공간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상기 프로젝트의 진행 단계 별로 분류하여 상기 단계별 자료공간에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그룹용 계정 또는 사용자용 계정 생성을 위한 사용자 그룹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가 클라우드 디바이스로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프로젝트 관련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 그룹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사용자 그룹 별 또는 사용자 별로 할당되며 상기 프로젝트 관련 정보에 대한 접근권한이 다르게 설정된 계정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프로젝트에 사용 중이거나 사용될 것으로 계획된 장비 또는 자재에 대한 정보가 클라우드 디바이스로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프로젝트 관련 정보로부터 상기 프로젝트에 사용 중이거나 사용될 것으로 계획된 장비 또는 자재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프로젝트에 사용 중이거나 사용될 것으로 계획된 장비 또는 자재에 대한 자동목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자동목록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젝트 관련 정보로부터 개별 사용자 그룹들, 사용자 및 프로젝트의 특성을 인식하여 상기 프로젝트의 진행 단계 별 상기 사용자 그룹 또는 상기 사용자가 사용할 것으로 예측되는 문서 양식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계정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딥러닝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서로 다른 사용자 그룹 또는 상기 사용자 간의 업무적 연관성이나 연관 정도를 자동적으로 분석하여 상기 서로 다른 사용자 그룹 별 또는 상기 사용자 별 접근권한의 적용 레벨을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자동목록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우드 디바이스로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상기 장비 또는 상기 자재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받지 못하면, 상기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딥러닝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통해 상기 프로젝트에 사용 중이거나 사용될 것으로 계획된 장비 또는 자재를 자동으로 인식, 분류 및 선정하고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프로젝트에 사용 중이거나 사용될 것으로 계획된 장비 또는 자재에 대한 세부정보가 개시된 온라인 상의 웹 또는 다른 데이터베이스를 검색 및 접근하는 단계, 상기 자동목록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자동목록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장비 또는 자재에 대한 세부정보가 개시된 온라인 상의 웹 또는 다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세부정보를 크롤링하여, 상기 자동 목록과 비교 분석하고, 상기 세부정보와 상기 자동목록이 다를 경우, 상기 세부정보를 기초로 상기 자동목록을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관리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15. 삭제
  16. 삭제
KR1020210145400A 2021-10-28 2021-10-28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 및 시스템과 이들을 활용하여 프로젝트 관리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KR102635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400A KR102635057B1 (ko) 2021-10-28 2021-10-28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 및 시스템과 이들을 활용하여 프로젝트 관리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400A KR102635057B1 (ko) 2021-10-28 2021-10-28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 및 시스템과 이들을 활용하여 프로젝트 관리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0808A KR20230060808A (ko) 2023-05-08
KR102635057B1 true KR102635057B1 (ko) 2024-02-07

Family

ID=86381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5400A KR102635057B1 (ko) 2021-10-28 2021-10-28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 및 시스템과 이들을 활용하여 프로젝트 관리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505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6072A (ja) * 2001-06-28 2003-01-17 Konica Corp 部品検索システム及び部品検索方法並びに部品検索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0818A (ko) * 2003-03-13 2004-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품의 부품 및 자재 목록 생성장치
KR20080083723A (ko) * 2006-12-21 2008-09-1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온라인 생산 협업 시스템 및 방법
KR100945886B1 (ko) * 2007-08-14 2010-03-10 우종현 그룹 계정 제공 서버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6072A (ja) * 2001-06-28 2003-01-17 Konica Corp 部品検索システム及び部品検索方法並びに部品検索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0808A (ko) 202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6771B2 (en) Data processing systems for generating and populating a data inventory
US10078805B2 (en) Operations management system and related methods
US20180374052A1 (en) Method of improvid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US20080147462A1 (en) Method of managing human resource cases
Guo et al. Electronic document management systems for the transportation construction industry
CN110889666A (zh) 基于可扩展开发平台的协同办公系统
CN115375146A (zh) 一种数字建造一体化平台
KR100815603B1 (ko) 통합건설정보 통보시스템에서의 건설공사현황 알림방법
US20090063177A1 (en) Web-based services enabling structured secure communication related to the design and management of projects
Bowden Application of mobile IT in construction
US11222309B2 (en) Data processing systems for generating and populating a data inventory
US20240127379A1 (en) Generating actionable information from documents
KR102635057B1 (ko) 프로젝트 관리 정보 디바이스 및 시스템과 이들을 활용하여 프로젝트 관리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CN110880096A (zh) 一种建筑工程多方协同办公系统
CN116167730A (zh) 一种bim协同可视化管理方法
TWM585382U (zh) 智能排班系統
US20210303603A1 (en) Data processing systems for generating and populating a data inventory
JP2004310563A (ja) プロジェクト管理統合支援システム
US20150095250A1 (en) Supporting information transfer during organizational changes
CN112463871A (zh) 一种基于城市管理的两违整治信息处理系统及处理方法
CN112395476A (zh) 一种工程资料管理的方法
CN112085341A (zh) 一种适用于电力生产作业全过程风险管控的主站系统
US11544667B2 (en) Data processing systems for generating and populating a data inventory
Lenhard et al. An unusual approach to basic challenges of data mining
Santana Quintero et al. Developing an ethical framework for the digital documentation of heritage si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100235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31031

Effective date: 20231227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