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5458A - 전자 접촉기 - Google Patents

전자 접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5458A
KR20140025458A KR20137030019A KR20137030019A KR20140025458A KR 20140025458 A KR20140025458 A KR 20140025458A KR 20137030019 A KR20137030019 A KR 20137030019A KR 20137030019 A KR20137030019 A KR 20137030019A KR 20140025458 A KR20140025458 A KR 20140025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ovable
fixed
top plate
ar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7030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히로 나카
고우에츠 다카야
겐지 스즈키
오사무 가시무라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25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54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4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36Stationary parts of magnetic circuit, e.g. yoke
    • H01H50/42Auxiliary magnetic circuits, e.g. for maintaining armature in, or returning armature to, position of rest, for damping or accelerating mov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46Contact arrangements for contactors having bridg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0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preventing vibration of contacts, holding contacts together after engagement, or biasing contacts to the open position
    • H01H1/54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preventing vibration of contacts, holding contacts together after engagement, or biasing contacts to the open position by magnetic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23Details concerning sealing, e.g. sealing casing with resin
    • H01H2050/025Details concerning sealing, e.g. sealing casing with resin containing inert or dielectric gasses, e.g. SF6, for arc prevention or arc extin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34Stationary parts for restricting or subdividing the arc, e.g. barrier pl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4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using blow-out magnet
    • H01H9/443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using blow-out magnet using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Abstract

가동 접점 및 고정 접점 사이에 생기는 전자 반발력을 억제하면서 접점 장치의 높이를 낮게 하여 전자 접촉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전자 접촉기를 제공한다. 한쌍의 고정 접촉자(111, 112) 및 가동 접촉자(130)를 구비한 접점 장치(100)를 갖는다. 한쌍의 고정 접촉자(111, 112)는, 접점 수납 케이스(102)의 천판(105)에 정해진 간격을 유지하여 지지된 지지 도체부(114)와, 지지 도체부(114)의 접점 수납 케이스(102) 내의 단부에 연결된 접점판부(118) 및 연결판부(117)를 갖는 접점 도체부(116)를 구비한다. 가동 접촉자(130)는, 구동부에 연결된 연결축(131)에 천판(105)측의 단부에 접촉 스프링(134)을 통해 장착되고, 한쌍의 고정 접촉자(111, 112)의 접점부(118a)에 천판(105)측으로부터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전자 접촉기{ELECTROMAGNETIC CONTACTOR}
본 발명은 정해진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된 한쌍의 고정 접촉자와, 이들 고정 접촉자에 접촉 분리 가능하게 배치된 가동 접촉자를 갖는 전자 접촉기에 관한 것이다.
전류로의 개폐를 행하는 전자 접촉기에 적용할 수 있는 접점 구조로서, 예컨대, 자유단에 고정 접점을 마련한 한쌍의 고정 접점 단자를 고정 접점대에서 지지하며, 한쌍의 상기 고정 접점에 가동 접촉 부재의 양단부를 각각 접촉 분리시키는 고정 접점 단자의 지지 구조를 가지고, 접속 단자를 코오킹 고정한 고정 접점 단자가 대략 C자형으로 형성되어, 이 고정 접점 단자의 밑변 코너부에 영구 자석이 편입된 고정 접점 단자의 지지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83277호 공보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예에 있어서는, 고정 접점 단자가 대략 C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 고정 접점 단자는 코너부에 영구 자석을 지지하기 위해 C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높이가 높아지며, 전자 접촉기에 적용한 경우에, 접점 장치를 소형화할 수 없다고 하는 미해결의 과제가 있다.
또한, 가동 접점을 고정 접점에 접촉시켜 전류가 흐르는 투입 상태로 하였을 때에, 흐르는 전류가 대전류인 경우에, 가동 접점 및 고정 접점의 접촉부에서 개극 방향의 전자 반발력이 발생하여,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의 안정된 접촉을 확보할 수 없게 되어, 단락 내량(耐量) 성능이 낮아진다고 하는 미해결의 과제가 있다. 이 전자 반발력에 대항하기 위해 가동 접점을 고정 접점측에 압박하는 접촉 스프링의 압박력을 크게 할 필요가 생긴다고 하는 미해결의 과제도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예의 미해결의 과제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가동 접점 및 고정 접점 사이에 생기는 전자 반발력을 억제하면서 접점 장치의 높이를 낮게 하여 전자 접촉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전자 접촉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형태에 따른 전자 접촉기는, 정해진 거리를 유지하여 배치된 한쌍의 고정 접촉자와, 상기 한쌍의 고정 접촉자에 대하여 접촉 분리 가능하게 배치된 가동 접촉자를 구비한 접점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한쌍의 고정 접촉자는, 접점 수납 케이스의 천판(天板)에 정해진 간격을 유지하여 지지된 지지 도체부와, 상기 지지 도체부의 상기 접점 수납 케이스 내의 단부에 연결된 적어도 접점부를 상기 천판측에 형성하고 상기 천판과 평행한 접점판부 및 상기 접점판부의 외측 단부에 상기 접점부에 근접하며 상기 천판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연결판부를 갖는 접점 도체부를 구비한다. 상기 가동 접촉자는, 구동부에 연결된 연결축에 천판측의 단부에 접촉 스프링을 통해 장착되고, 상기 한쌍의 고정 접촉자의 접점부에 천판측으로부터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한쌍의 고정 접촉자가 적어도 접점부를 갖는 접점판부를 천판과 평행하게 배치하고, 이 접점판부의 외측 단부에 접점부에 근접시켜 천판측에 연장하는 연결판부를 형성하여 L자 형상 또는 C자 형상의 접점 도체부를 갖기 때문에, 전자 접촉기의 투입 시에 한쌍의 고정 접촉자의 접점부에 가동 접촉자의 양단을 접촉시켜 통전 상태로 하였을 때에, 연결판부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생기는 자계를 가동 접촉자의 천판측에 작용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가동 접촉자를 고정 접촉자의 접점부측에 압박하는 로렌츠력을 발생시켜 가동 접촉자와 고정 접촉자의 접점부의 접촉을 유지하여, 높은 단락 내량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가동 접촉자를 고정 접촉자의 접점부측에 압박하는 접촉 스프링의 압박력을 작게 할 수 있어, 접점 장치의 높이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접촉기는, 상기 접점 도체부가, 상기 연결판부의 상기 천판측 단부와 상기 지지 도체부 사이에 상기 접점판부와 평행한 제2 연결판부를 가지며 C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고정 접촉자가 C자형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연결판부라도 흐르는 전류에 의해 가동 접촉자의 천판측에 자계를 형성할 수 있어, 가동 접촉자의 천판측의 자속 밀도를 증가시켜 전자 반발력에 대항하는 것보다 큰 로렌츠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접촉기는, 상기 가동 접촉자가, 상기 접촉 스프링과의 접촉부에 상기 천판과는 반대측으로 돌출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가동 접촉자의 오목부에 접촉 스프링을 접촉시키기 때문에, 오목 부분 접촉 스프링의 천판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어, 접점 장치 전체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 접촉자의 접점 도체부를 L자형이나 C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투입 상태에서의 전자 반발력에 대항하는 로렌츠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접촉 스프링의 압박력을 작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져, 접점 장치의 구성을 소형화할 수 있다. 더구나, 접점 도체부는 전자 반발력에 대항하는 로렌츠력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판부를 근접시킬 필요가 있어, 그 정도만큼 접점 도체부의 구성을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한쌍의 고정 접촉자의 접점 도체부와 접촉 스프링을 병렬로 배치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가동 접촉자를 천판과는 반대측에 배치하여 접촉 스프링과 접점 도체부를 직렬로 배치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접점 장치의 높이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접점 수납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접점 장치의 절연 커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사시도이고, (b)는 장착 전의 평면도이며, (c)는 장착 후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절연 커버의 장착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1의 A-A선 상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에 의한 아크 소호의 설명에 제공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을 절연 케이스의 외측에 배치한 경우의 아크 소호의 설명에 제공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접점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단면도이고, (b)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접점 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단면도이고, (b)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접점 수납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도면 부호 10은 전자 접촉기이며, 이 전자 접촉기(10)는 접점 기구를 배치한 접점 장치(100)와, 이 접점 장치(100)를 구동시키는 전자석 유닛(2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접점 장치(100)는, 도 1 및 도 2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접점 기구(101)를 수납하는 접점 수납 케이스(102)를 갖는다. 이 접점 수납 케이스(102)는, 도 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제의 하단부에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103)를 갖는 금속 각통(角筒)체(104)와, 이 금속 각통체(104)의 상단을 폐색하는 평판형의 세라믹 절연 기판으로 구성되는 천판이 되는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105)을 구비한다.
금속 각통체(104)는, 그 플랜지부(103)가 후술하는 전자석 유닛(200)의 상부 자기 요크(210)에 시일 접합되어 고정되어 있다.
또한,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105)에는, 중앙부에 후술하는 한쌍의 고정 접촉자(111 및 112)를 삽입 관통시키는 관통 구멍(106 및 107)이 정해진 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105)의 상면측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106 및 107)의 주위 및 하면측에 있어서의 각통체(104)에 접촉하는 위치에 메탈라이즈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이 메탈라이즈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는, 평면 상에 복수의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105)을 종횡으로 배열한 상태에서, 관통 구멍(106 및 107)의 주위 및 각통체(104)에 접촉하는 위치에 동박을 형성한다.
접점 기구(10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점 수납 케이스(102)의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105)의 관통 구멍(106 및 107)에 삽입 관통되어 고정된 한쌍의 고정 접촉자(111 및 112)를 구비한다. 이들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각각은,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105)의 관통 구멍(106 및 107)에 삽입 관통되는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를 갖는 지지 도체부(114)와, 이 지지 도체부(114)에 연결되어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105)의 하면측에 배치되며 내방측을 개방한 접점 도체부(115)를 구비한다.
접점 도체부(115)는,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105)의 하면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판부로서의 상판부(116)와 이 상판부(116)의 외측 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결판부로서의 중간 판부(117)와, 이 중간 판부(117)의 하단측으로부터 상판부(116)와 평행하게 내방측 즉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대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점판부로서의 하판부(118)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접점 도체부(115)는, 중간 판부(117) 및 하판부(118)로 형성되는 L자형부에 상판부(116)를 더한 C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지지 도체부(114)와 접점 도체부(115)는, 지지 도체부(114)의 하단면에 돌출 형성된 핀(114a)을 접점 도체부(115)의 상판부(116)에 형성된 관통 구멍(120) 내에 삽입 관통시킨 상태로 예컨대 납땜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지지 도체부(114) 및 접점 도체부(115)의 고정은, 납땜에 한정되지 않고, 핀(114a)을 관통 구멍(120)에 감합시키거나, 핀(114a)에 수나사를 형성하고, 관통 구멍(120)에 암나사를 형성하여 양자를 나사 결합시키거나 하여도 좋다.
또한,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C자형부(115)에 있어서의 중간 판부(117)의 내측면을 덮도록, 평면에서 보아 C자형의 자성체판(119)이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중간 판부(117)의 내측면을 덮도록 자성체판(119)을 배치함으로써, 중간 판부(117)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장을 실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정 접촉자(111, 112)의 접점부(118a)에 가동 접촉자(130)의 접점부(130a)가 접촉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접점부(130a)가 상측으로 이격될 때에 아크가 발생하는 경우에, 중간 판부(117)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자장과 고정 접촉자(111, 112)의 접점부(118a) 및 가동 접촉자(130)의 접점부(130a)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에 의한 자장이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양자장이 서로 반발하고, 이 전자 반발력에 의해 아크를 가동 접촉자(130)를 따라 내측으로 이동시켜 아크의 차단이 곤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자성체판(119)은, 중간 판부(117)의 주위를 덮도록 형성하여도 좋고, 중간 판부(117)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자장을 실드할 수 있으면 좋다.
또한,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접점 도체부(115)에 각각, 아크의 발생을 규제하는 합성 수지재로 만든 절연 커버(121)가 장착되어 있다. 이 절연 커버(121)는, 도 3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점 도체부(115)의 상판부(116) 및 중간 판부(117)의 내주면을 피복하는 것이다. 절연 커버(121)는, 상판부(116) 및 중간 판부(117)의 내주면을 따르는 L자형 판부(122)와, 이 L자형 판부(122)의 전후 단부로부터 각각 상측 및 외측으로 연장되어 접점 도체부(115)의 상판부(116) 및 중간 판부(117)의 측면을 덮는 측판부(123 및 124)와, 이들 측판부(123 및 124)의 상단으로부터 내방측에 형성된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지지 도체부(114)에 형성된 소직경부(114b)에 감합하는 감합부(125)를 구비한다.
따라서, 절연 커버(121)를, 도 3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지지 도체부(114)의 소직경부에 감합부(125)를 대향시킨 상태로 하고, 이어서, 도 3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 커버(121)를 압입함으로써, 감합부(125)를 지지 도체부(114)의 소직경부(114b)에 걸어 맞춘다.
실제로는, 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접촉자(111 및 112)를 부착한 후의 접점 수납 케이스(102)를,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105)을 하측으로 한 상태로, 상측의 개구부로부터 절연 커버(121)를 도 3의 (a)∼(c)와는 상하 반대로 한 상태에서, 고정 접촉자(111 및 112) 사이에 삽입한다.
이어서,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합부(125)를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105)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도 4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 커버(121)를 외측에 압입함으로써, 감합부(125)를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지지 도체부(114)의 소직경부(114b)에 걸어 맞추어 고정한다.
이와 같이,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접점 도체부(115)에 절연 커버(121)를 장착함으로써, 이 접점 도체부(115)의 내주면에서는 하판부(118)의 상면측만이 노출되어 접점부(118a)로 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접점 도체부(115) 내에 양단부를 배치하도록 가동 접촉자(130)가 배치되어 있다. 이 가동 접촉자(130)는 후술하는 전자석 유닛(200)의 가동 플런저(215)에 고정된 연결축(131)에 지지되어 있다. 이 가동 접촉자(13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부의 연결축(131)의 근방이 하측으로 돌출하는 오목부(132)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132)에 연결축(131)을 삽입 관통시키는 관통 구멍(133)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축(131)은,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13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축(131)에 하단측으로부터 접촉 스프링(134)을 삽입 관통시키고, 이어서 가동 접촉자(130)의 관통 구멍(133)에 삽입 관통시켜, 접촉 스프링(134)의 상단을 플랜지부(131a)에 접촉시켜 이 접촉 스프링(134)으로 정해진 압박력을 얻도록 가동 접촉자(130)를 예컨대 C링에 의해 위치 결정한다.
이 가동 접촉자(130)는, 석방 상태에서, 양단의 접점부(130a)와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접점 도체부(115)의 하판부(118)의 접점부(118a)가 정해진 간격을 유지하여 이격된 상태가 된다. 또한, 가동 접촉자(130)는, 투입 위치에서, 양단의 접점부가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접점 도체부(115)의 하판부(118)의 접점부(118a)에, 접촉 스프링(134)에 의한 정해진 접촉압으로 접촉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접점 수납 케이스(102)의 각통체(104)의 내주면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판부(140b)와 이 바닥판부(140b)의 상면에 형성된 각통부(140a)로 바닥이 있는 각통형으로 형성된 절연 통체(140)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절연 통체(140)는 예컨대 합성 수지로 만든 바닥판부(140b) 및 각통부(140a)가 일체 성형되어 있다. 이 절연 통체(140)의 가동 접촉자(130)의 측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자석 수납부로서의 자석 수납 통체(141 및 142)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이 자석 수납 통체(141 및 142)에는,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이 삽입 관통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은, 두께 방향으로 서로의 대향 자극면이 동일한 극 예컨대 N극이 되도록 착자(着磁)되어 있다. 또한,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은, 좌우 방향의 양단부가 각각,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접점부(118a)와 가동 접촉자(130)의 접점부의 대향 위치보다 약간 내측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자석 수납 통체(141 및 142)의 좌우 방향 즉 가동 접촉자의 길이 방향 외측에 각각 아크 소호 공간(145 및 14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자석 수납 통체(141 및 142)의 가동 접촉자(130)의 양단으로부터의 측가장자리와 슬라이딩 접촉하여 가동 접촉자(130)의 회동을 규제하는 가동 접촉자 가이드 부재(148 및 149)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절연 통체(140)는, 자석 수납 통체(141 및 142)에 의한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의 위치 결정 기능과, 아크로부터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을 보호하는 보호 기능 및 외부의 강성을 높이는 금속성의 각통체(104)에 대한 아크의 영향을 차단하는 절연 기능을 구비한다.
그리고,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을 절연 통체(140)의 내주면측에 배치함으로써,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을 가동 접촉자(130)에 근접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양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의 N극측으로부터 나오는 자속(φ)이,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접점부(118a)와 가동 접촉자(130)의 접점부(130a)의 대향부를 좌우 방향으로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큰 자속 밀도로 가로지르게 된다.
따라서, 고정 접촉자(111)를 전류 공급원에 접속하고, 고정 접촉자(112)를 부하측에 접속하는 것으로 하면, 투입 상태의 전류의 방향은,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접촉자(111)로부터 가동 접촉자(130)를 통하여 고정 접촉자(112)에 흐르게 된다. 그리고, 투입 상태로부터 가동 접촉자(130)를 고정 접촉자(111 및 112)로부터 상측으로 이격시켜 석방 상태로 하는 경우에,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접점부(118a)와 가동 접촉자(130)의 접점부(130a) 사이에 아크가 발생한다.
이 아크는,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으로부터의 자속(φ)에 의해,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측의 아크 소호 공간(145)측으로 확대된다. 이때, 아크 소호 공간(145 및 146)은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의 두께만큼 넓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긴 아크 길이를 취할 수 있어, 아크를 확실하게 소호시킬 수 있다.
덧붙여서,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을, 도 7의 (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 통체(140)의 외측에 배치하는 경우에는,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접점부(118a)와 가동 접촉자(130)의 접점부(130a)의 대향 위치까지의 거리가 길어져, 본 실시형태와 동일한 영구 자석을 적용한 경우에, 아크를 가로지르는 자속 밀도가 적어진다.
이 때문에, 투입 상태로부터 석방 상태로 이행할 때에 발생하는 아크에 작용하는 로렌츠력이 작아져, 아크를 충분히 확대시킬 수 없게 된다. 아크의 소호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의 자력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더구나,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을 고정 접촉자(111 및 112)와 가동 접촉자(130)의 접점부의 거리를 짧게 하기 위해서는 절연 통체(140)의 전후 방향의 깊이를 좁게 할 필요가 있어, 아크를 소호하기 위한 충분한 아크 소호 공간을 확보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실시형태에 따르면,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을 절연 통체(140)의 내측에 배치하기 때문에, 전술한 절연 통체(140)의 외측에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을 배치하는 경우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할 수 있다.
전자석 유닛(200)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아 편평한 U자 형상의 자기 요크(201)를 가지고, 이 자기 요크(201)의 바닥판부(202)의 중앙부에 원통형 보조 요크(203)가 고정되어 있다. 이 원통형 보조 요크(203)의 외측에 스풀(204)이 배치되어 있다.
이 스풀(204)은, 원통형 보조 요크(203)를 삽입 관통시키는 중앙 원통부(205)와, 이 중앙 원통부(205)의 하단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하측 플랜지부(206)와, 중앙 원통부(205)의 상단보다 약간 하측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상측 플랜지부(207)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중앙 원통부(205), 하측 플랜지부(206) 및 상측 플랜지부(207)로 구성되는 수납 공간에 여자 코일(208)이 감겨 있다.
그리고, 자기 요크(201)의 개방단이 되는 상단 사이에 상부 자기 요크(210)가 고정되어 있다. 이 상부 자기 요크(210)는, 중앙부에 스풀(204)의 중앙 원통부(205)에 대향하는 관통 구멍(210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풀(204)의 중앙 원통부(205) 내에, 바닥부와 자기 요크(201)의 바닥판부(202) 사이에 복귀 스프링(214)을 배치한 가동 플런저(215)가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가동 플런저(215)에는, 상부 자기 요크(210)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상단부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둘레 플랜지부(21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자기 요크(210)의 상면에, 예컨대 외형이 사각형이고 원형의 중심 개구(221)를 가지고 환형으로 형성된 영구 자석(220)이 가동 플런저(215)의 둘레 플랜지부(216)를 둘러싸도록 고정되어 있다. 이 영구 자석(220)은 상하 방향 즉 두께 방향으로 상단측을 예컨대 N극으로 하고, 하단측을 S극으로 하도록 착자되어 있다.
그리고, 영구 자석(220)의 상단면에, 영구 자석(220)과 동일 외형으로 가동 플런저(215)의 둘레 플랜지부(216)의 외직경보다 작은 내직경의 관통 구멍(224)을 갖는 보조 요크(225)가 고정되어 있다. 이 보조 요크(225)의 하면에 가동 플런저(215)의 둘레 플랜지부(216)가 접촉되어 있다.
또한, 영구 자석(220)의 형상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환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요컨대 내주면이 둘레 플랜지부(216)의 형상에 맞춘 형상이면 외형은 원형, 다각형 등의 임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가동 플런저(215)의 상단면에는 가동 접촉자(130)를 지지하는 연결축(131)이 나사로 조여져 있다.
그리고, 가동 플런저(215)가 비자성체로 만든 바닥을 갖는 통형상으로 형성된 캡(230)으로 덮어지고, 이 캡(230)의 개방단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플랜지부(231)가 상부 자기 요크(210)의 하면에 시일 접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접점 수납 케이스(102) 및 캡(230)이 상부 자기 요크(210)의 관통 구멍(210a)을 통해 연통되는 밀봉 용기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접점 수납 케이스(102) 및 캡(230)으로 형성되는 밀봉 용기 내에 수소 가스, 질소 가스, 수소 및 질소의 혼합 가스, 공기, SF6 등의 가스가 봉입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실시형태의 동작을 설명한다.
현재, 고정 접촉자(111)가 예컨대 대전류를 공급하는 전력 공급원에 접속되고, 고정 접촉자(112)가 부하에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상태에서, 전자석 유닛(200)에 있어서의 여자 코일(208)이 비여자 상태에 있으며, 전자석 유닛(200)에서 가동 플런저(215)를 하강시키는 여자력을 발생시키지 않는 석방 상태에 있는 것으로 한다. 이 석방 상태에서는, 가동 플런저(215)가 복귀 스프링(214)에 의해, 상부 자기 요크(210)로부터 멀어지는 상측 방향으로 압박된다. 이와 동시에, 영구 자석(220)의 자력에 의한 흡인력이 보조 요크(225)에 작용되어, 가동 플런저(215)의 둘레 플랜지부(216)가 흡인된다. 이 때문에, 가동 플런저(215)의 둘레 플랜지부(216)의 상면이 보조 요크(225)의 하면에 접촉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가동 플런저(215)에 연결축(131)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접점 기구(101)의 가동 접촉자(130)의 접점부(130a)가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접점부(118a)로부터 상측으로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고정 접촉자(111 및 112) 사이의 전류로가 차단 상태에 있으며, 접점 기구(101)가 개극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석방 상태에서는, 가동 플런저(215)에 복귀 스프링(214)에 의한 압박력과 환형 영구 자석(220)에 의한 흡인력의 쌍방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가동 플런저(215)가 외부로부터의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 부주의하게 하강하는 일이 없어, 오동작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 석방 상태로부터, 전자석 유닛(200)의 여자 코일(208)을 여자하면, 이 전자석 유닛(200)에서 여자력을 발생시켜, 가동 플런저(215)를 복귀 스프링(214)의 압박력 및 환형 영구 자석(220)의 흡인력에 대항하여 하강시킨다. 이 가동 플런저(215)의 하강이, 둘레 플랜지부(216)의 하면이 상부 자기 요크(210)의 상면에 접촉함으로써 정지된다.
이와 같이, 가동 플런저(215)가 하강함으로써, 가동 플런저(215)에 연결축(131)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가동 접촉자(130)도 하강하고, 그 접점부(130a)가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접점부(118a)에 접촉 스프링(134)의 접촉압으로 접촉한다.
이 때문에, 외부 전력 공급원의 대전류가 고정 접촉자(111), 가동 접촉자(130), 및 고정 접촉자(112)를 통하여 부하에 공급되는 폐극 상태가 된다.
이때, 고정 접촉자(111 및 112)와 가동 접촉자(130) 사이에 가동 접촉자(130)를 개극시키는 방향의 전자 반발력이 발생한다.
그러나, 고정 접촉자(111 및 112)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판부(116), 중간 판부(117) 및 하판부(118)에 의해 접점 도체부(11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판부(116) 및 하판부(118)와 이에 대향하는 가동 접촉자(130)에서 반대 방향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 때문에,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하판부(118)가 형성하는 자계와 가동 접촉자(130)에 흐르는 전류의 관계로부터 플레밍 왼손의 법칙에 따라 가동 접촉자(130)를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접점부(118a)에 압박하는 로렌츠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로렌츠력에 의해,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접점부(118a)와 가동 접촉자(130)의 접점부(130a) 사이에 발생하는 개극 방향의 전자 반발력에 대항하는 것이 가능해져, 가동 접촉자(130)의 접점부(130a)가 개극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가동 접촉자(130)를 지지하는 접촉 스프링(134)의 압박력을 작게 할 수 있어, 이 접촉 스프링(134)을 소형화할 수 있으며, 접점 장치(100)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이 접점 기구(101)의 폐극 상태로부터, 부하로의 전류 공급을 차단하는 경우에는, 전자석 유닛(200)의 여자 코일(208)의 여자를 정지한다.
이에 의해, 전자석 유닛(200)에서 가동 플런저(215)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여자력이 없어짐으로써, 가동 플런저(215)가 복귀 스프링(214)의 압박력에 의해 상승하고, 둘레 플랜지부(216)가 보조 요크(225)에 근접함에 따라 환형 영구 자석(220)의 흡인력이 증가한다.
이 가동 플런저(215)가 상승함으로써, 연결축(131)을 통해 연결된 가동 접촉자(130)가 상승한다. 이에 따라 접촉 스프링(134)으로 접촉압을 부여하고 있는 동안에는 가동 접촉자(130)가 고정 접촉자(111 및 112)에 접촉하고 있다. 그 후, 접촉 스프링(134)의 접촉압이 없어진 시점에서 가동 접촉자(130)가 고정 접촉자(111 및 112)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는 개극 개시 상태가 된다.
이 개극 개시 상태로 하면,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접점부(118a)와 가동 접촉자(130)의 접점부(130a) 사이에 아크가 발생하고, 이 아크에 의해 전류의 통전 상태가 계속된다. 이때,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접점 도체부(115)의 상판부(116) 및 중간 판부(117)를 덮는 절연 커버(121)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아크를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접점부(118a)와 가동 접촉자(130)의 접점부(130a) 사이에만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아크가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접점 도체부(115) 상을 움직이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아크의 발생 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어, 소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구나,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양측면도 절연 커버(121)로 덮여 있기 때문에, 아크의 선단이 단락하는 것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접점 도체부(115)의 상판부(116) 및 중간 판부(117)의 가동 접촉자(130)와 대향하는 면이 절연 커버(121)로 덮여 있기 때문에, 필요한 절연 거리를 확보하면서 상판부(116) 및 중간 판부(117)와 가동 접촉자(130)를 접근시킬 수 있어, 접점 기구(101)의 높이 즉, 가동 접촉자(130)의 가동 방향의 높이를 단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절연 커버(121)는, 감합부(125)를,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소직경부(114b)에 걸어 맞추는 것만으로, 고정 접촉자(111 및 112)에 장착할 수 있어, 고정 접촉자(111 및 112)에의 장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고정 접촉자(111, 112)의 중간 판부(117)의 내측면에는 자성체판(119)에 의해 덮여 있기 때문에, 이 중간 판부(117)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장이 자성체판(119)에 의해 실드된다. 이 때문에, 고정 접촉자(111, 112)의 접점부(118a) 및 가동 접촉자(130)의 접점부(130a)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에 의한 자장과 중간 판부(117)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장이 간섭하는 일이 없어, 중간 판부(117)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장에 아크가 영향을 끼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의 대향 자극면이 N극이며, 그 외측이 S극이기 때문에, 이 N극으로부터 나온 자속이, 평면에서 보아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의 N극으로부터 나온 자속은, 고정 접촉자(111)의 접점부(118a)와 가동 접촉자(130)의 접점부(130a)의 대향부의 아크 발생부를 가동 접촉자(130)의 길이 방향으로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가로질러 S극에 도달하여 자계가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고정 접촉자(112)의 접점부(118a)와 가동 접촉자(130)의 접점부(130a)의 아크 발생부를 가동 접촉자(130)의 길이 방향으로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가로질러 S극에 도달하여 자계가 형성된다.
따라서,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의 자속이 함께 고정 접촉자(111)의 접점부(118a) 및 가동 접촉자(130)의 접점부(130a) 사이와, 고정 접촉자(112)의 접점부(118a) 및 가동 접촉자(130)의 접점부(130a) 사이를 가동 접촉자(130)의 길이 방향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가로지르게 된다.
이 때문에, 고정 접촉자(111)의 접점부(118a)와 가동 접촉자(130)의 접점부(130a) 사이에서는,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류(I)가 고정 접촉자(111)측으로부터 가동 접촉자(130)측으로 흐르며, 자속(Φ)의 방향이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방향이 된다. 이 때문에, 플레밍의 왼손의 법칙에 따라, 도 6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접촉자(13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고정 접촉자(111)의 접점부(118a)와 가동 접촉자(130)의 개폐 방향과 직교하여 아크 소호 공간(145)측을 향하는 큰 로렌츠력(F)이 작용한다.
이 로렌츠력(F)에 의해, 고정 접촉자(111)의 접점부(118a)와 가동 접촉자(130)의 접점부(130a) 사이에 발생한 아크가, 고정 접촉자(111)의 접점부(118a)의 측면으로부터 아크 소호 공간(145) 내를 통과하여 가동 접촉자(130)의 상면측에 도달하도록 크게 확대되어 소호된다.
또한, 아크 소호 공간(145)에서는, 그 하방측 및 상방측에서, 고정 접촉자(111)의 접점부(118a) 및 가동 접촉자(130)의 접점부(130a) 사이의 자속의 방향에 대하여 하방측 및 상방측으로 자속이 기울어지게 된다. 이 때문에, 기울러진 자속에 의해 아크 소호 공간(145)으로 확대된 아크가 아크 소호 공간(145)의 코너의 방향으로 더 확대되게 되어, 아크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어, 양호한 차단 성능을 얻을 수 있다.
한편, 고정 접촉자(112)의 접점부(118a)와 가동 접촉자(130) 사이에서는,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류(I)가 가동 접촉자(130)측으로부터 고정 접촉자(112)측으로 흐르며, 자속(Φ)의 방향이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우측 방향이 된다. 이 때문에, 플레밍의 왼손의 법칙에 따라, 도 6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접촉자(13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고정 접촉자(112)의 접점부(118a)와 가동 접촉자(130)의 개폐 방향과 직교하여 아크 소호 공간(145)측을 향하는 큰 로렌츠력(F)이 작용한다.
이 로렌츠력(F)에 의해, 고정 접촉자(112)의 접점부(118a)와 가동 접촉자(130) 사이에 발생한 아크가, 가동 접촉자(130)의 상면측으로부터 아크 소호 공간(145) 내를 통과하여 고정 접촉자(112)의 측면측에 도달하도록 크게 확대되어 소호된다.
또한, 아크 소호 공간(145)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 하방측 및 상방측에서, 고정 접촉자(112)의 접점부(118a) 및 가동 접촉자(130)의 접점부(130a) 사이의 자속의 방향에 대하여 하방측 및 상방측으로 자속이 기울게 된다. 이 때문에, 기운 자속에 의해 아크 소호 공간(145)으로 확대된 아크가 아크 소호 공간(145)의 코너의 방향으로 더욱 확대되어, 아크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어, 양호한 차단 성능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전자 접촉기(10)의 투입 상태에서, 부하측으로부터 직류 전원측에 회생 전류가 흐르고 있는 상태에서, 석방 상태로 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도 6의 (b)에서의 전류의 방향이 반대가 되기 때문에, 로렌츠력(F)이 아크 소호 공간(146)측에 작용하여, 아크가 아크 소호 공간(146)측으로 확대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소호 기능이 발휘된다.
이때,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은 절연 통체(140)에 형성된 자석 수납 통체(141 및 142) 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아크가 직접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에 접촉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의 자기 특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차단 성능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절연 통체(140)에 의해, 금속제의 각통체(104)의 내주면을 덮어 절연할 수 있기 때문에, 전류 차단 시의 아크의 단락이 없어, 확실하게 전류 차단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절연 기능,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의 위치 결정 기능,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의 아크로부터의 보호 기능 및 외부의 금속제의 각통체(104)에 아크가 도달하는 것을 차단하는 절연 기능을 하나의 절연 통체(140)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을 수납하는 자석 수납 통체(141 및 142)의 가동 접촉자(130)와 대향하는 위치에 가동 접촉자의 측가장자리에 슬라이밍 접촉하는 가동 접촉자 가이드 부재(148 및 149)가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 접촉자(130)의 회동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동 접촉자(130)의 측가장자리와, 절연 통체(140)의 내주면의 거리를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의 두께만큼, 길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충분한 아크 소호 공간(145 및 146)을 마련할 수 있어, 아크의 소호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을 수납하는 자석 수납 통체(141 및 142)의 가동 접촉자(130)와 대향하는 위치에 가동 접촉자의 측가장자리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가동 접촉자 가이드 부재(148 및 149)가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 접촉자(130)의 회동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실시형태에 따르면, 한쌍의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접점 도체부(115)를 C자 형상으로 하며, 투입 상태에서의 전자 반발력에 대항하는 로렌츠력을 발생시키도록 접점부(118a)에 근접시켜 중간 판부(117) 및 상판부(116)를 배치하고, 또한 한쌍의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접점 도체부(115)와 접촉 스프링(134)을 가동 접촉자(130)의 연장 방향으로 병렬 상태로 배치하기 때문에, 접점 장치(100)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으며, 폭도 축소할 수 있어, 접점 장치(100)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더구나,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접점 도체부(115)에서 투입 시에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접점부(118a)와 가동 접촉자(130)의 접점부(130a) 사이에 생기는 전자 반발력에 대항하는 로렌츠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접촉 스프링(134)의 압박력을 저하시켜 소형화할 수 있고, 이 정도 만큼이라도 접점 장치(100)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가동 접촉자(130)의 접촉 스프링(134)과의 접촉 위치에 천판이 되는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105)과는 반대측 즉 하방측으로 돌출하는 오목부(132)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접촉 스프링(134)의 돌출 높이를 더 낮게 할 수 있다.
덧붙여서, 접점 도체부(115)를 생략하여, 지지 도체부(114)의 하단에 접점부를 형성하고, 이 접점부에 가동 접촉자(130)를 하측으로부터 접촉 분리 가능하게 배치하는 경우에는, 접촉 스프링, 가동 접촉자 및 고정 접촉자가 상하 방향으로 직렬 배치되게 되어, 접점 장치(100)의 높이가 높아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도 8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접점 수납 케이스의 구성을 변경한 것이다.
즉,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0 및 도 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라믹스나 합성 수지재에 의해 각통부(301)와 그 상단을 폐색하는 천면 판부(302)를 일체 성형하여 통(桶)형체(303)를 형성하고, 이 통형체(303)의 개방 단면측에 메탈라이즈 처리하여 금속박을 형성하고, 이 금속박에 금속제의 접속 부재(304)를 시일 접합하여 접점 수납 케이스(102)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통형체(303)의 바닥면측의 내주면에는 예컨대 합성 수지로 형성된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바닥판부(140b)에 대응하는 바닥판부(305)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천면 판부(302)에는, 전술한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105)과 마찬가지로, 고정 접촉자(111 및 112)를 삽입 관통시키는 삽통 구명(306 및 307)이 형성되고, 이들 삽통 구멍(306 및 307)에 고정 접촉자(111 및 112)가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지지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도 1과의 대응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 설명은 이것을 생략한다.
이 제2 실시형태에 따르면, 절연재로 일체 성형된 통형체(303)로 접점 수납 케이스(102)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기밀성이 있는 접점 수납 케이스(102)를 적은 공정수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 부품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의 대향 자극면을 N극으로 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의 대향 자극면을 S극으로 하도록 하여도, 자속의 아크 횡단 방향 및 로렌츠력의 방향이 반대 방향이 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접점 수납 케이스(102)를 금속제의 각통체(104)와, 이 각통체(104)의 상단을 폐색하는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105)을 납땜하여 형성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세라믹, 합성 수지재 등의 절연재로 통형으로 일체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고정 접촉자(111 및 112)에 접점 도체부(115)를 형성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9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도체부(114)에 접점 도체부(115)에 있어서의 상판부(116)를 생략한 형상이 되는 L자형부(160)를 연결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라도, 고정 접촉자(111 및 112)에 가동 접촉자(130)를 접촉시킨 폐극 상태에서, L자형부(160)의 수직판부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생기는 자속을 고정 접촉자(111 및 112)와 가동 접촉자(130)의 접촉부에 작용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고정 접촉자(111 및 112)와 가동 접촉자(130)의 접촉부에서의 자속 밀도를 높여 전자 반발력에 대항하는 로렌츠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동 접촉자(130)가 중앙부에 오목부(132)를 갖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도 10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132)를 생략하여 평판형으로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플런저(215)에 연결축(131)을 나사 결합시키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가동 플런저(215)와 연결축(131)을 일체로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연결축(131)과 가동 접촉자(130)의 연결이, 연결축(131)의 선단부에 플랜지부(131a)를 형성하고, 접촉 스프링(134) 및 가동 접촉자(130)를 삽입 관통시키고 나서 가동 접촉자(130)의 하단을 C링으로 고정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연결축(131)의 C링 위치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위치 결정 대직경부를 형성하고, 이것에 가동 접촉자(130)를 접촉시키고 나서 접촉 스프링(134)을 배치하여, 이 접촉 스프링(134)의 상단을 C링에 의해 고정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접점 수납 케이스(102) 및 캡(230)으로 밀봉 용기를 구성하고, 이 밀봉 용기 내에 가스를 봉입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차단하는 전류가 낮은 경우에는 가스 봉입을 생략하도록 하여도 좋다.
10…전자 접촉기, 11…외장 절연 용기, 100…접점 장치, 101…접점 기구, 102…접점 수납 케이스, 104…각통체, 105…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 111, 112…고정 접촉자, 114…지지 도체부, 115…접점 도체부, 116…상판부, 117…중간 판부, 118…하판부, 118a…접점부, 121…절연 커버, 122…L자형 판부, 123, 124…측판부, 125…감합부, 130…가동 접촉자, 130a…접점부, 131…연결축, 132…오목부, 134…접촉 스프링, 140…절연 통체, 141, 142…자석 수납 통체, 143, 144…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 145, 146…아크 소호 공간, 160…L자형부, 200…전자석 유닛, 201…자기 요크, 203…원통형 보조 요크, 204…스풀, 208…여자 코일, 210…상부 자기 요크, 214…복귀 스프링, 215…가동 플런저, 216…둘레 플랜지부, 220…영구 자석, 225…보조 요크, 301…각통부, 302…천면 판부, 303…통형체, 304…접속 부재, 305…바닥판부

Claims (5)

  1. 정해진 거리를 유지하여 배치된 한쌍의 고정 접촉자와, 그 한쌍의 고정 접촉자에 대하여 접촉 분리 가능하게 배치된 가동 접촉자를 구비한 접점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고정 접촉자는, 접점 수납 케이스의 천판(天板)에 정해진 간격을 유지하여 지지된 지지 도체부와, 그 지지 도체부의 상기 접점 수납 케이스 내의 단부에 연결된 접점 도체부를 구비하며, 그 접점 도체부는, 적어도 접점부를 상기 천판측에 형성하고 그 천판과 평행한 접점판부와, 그 접점판부의 외측 단부에 상기 접점부에 근접하며 상기 천판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연결판부를 갖고,
    상기 가동 접촉자는, 구동부에 연결된 연결축에, 천판측의 단부에 접촉 스프링을 통해 장착되며, 상기 한쌍의 고정 접촉자의 접점부에 천판측으로부터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 도체부는, 상기 연결판부의 상기 천판측의 단부와 상기 지지 도체부 사이에 상기 접점판부와 평행한 제2 연결판부를 가지며 C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촉자는, 상기 접촉 스프링과의 접촉부에 상기 천판과는 반대측으로 돌출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 도체부는, 상기 접점판부와 상기 연결판부를 포함하는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촉자는, 상기 천판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는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KR20137030019A 2011-05-19 2012-04-03 전자 접촉기 KR201400254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12907 2011-05-19
JP2011112907A JP5778989B2 (ja) 2011-05-19 2011-05-19 電磁接触器
PCT/JP2012/002333 WO2012157176A1 (ja) 2011-05-19 2012-04-03 電磁接触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5458A true KR20140025458A (ko) 2014-03-04

Family

ID=47176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7030019A KR20140025458A (ko) 2011-05-19 2012-04-03 전자 접촉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17611B2 (ko)
EP (1) EP2711958A4 (ko)
JP (1) JP5778989B2 (ko)
KR (1) KR20140025458A (ko)
CN (1) CN103548110B (ko)
WO (1) WO20121571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59523B2 (en) * 2010-07-16 2015-06-1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ontact apparatus
JP5134657B2 (ja) * 2010-07-27 2013-01-30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接点機構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接触器
JP5793048B2 (ja) * 2011-10-07 2015-10-14 富士電機株式会社 電磁接触器
JP5856426B2 (ja) * 2011-10-07 2016-02-09 富士電機株式会社 接点装置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接触器
JP2013178475A (ja) * 2012-02-03 2013-09-09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ー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WO2014030337A1 (ja) * 2012-08-23 2014-02-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接点装置
BR112016002050B1 (pt) * 2013-09-13 2021-08-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Dispositivo de comutação
KR101545893B1 (ko) 2014-01-28 2015-08-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릴레이
JP6091711B2 (ja) * 2014-06-06 2017-03-08 三菱電機株式会社 開閉装置
JP6269363B2 (ja) * 2014-07-16 2018-01-31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電磁接触器
KR101943365B1 (ko) 2015-10-14 2019-01-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직류 릴레이
JP6274229B2 (ja) * 2016-01-27 2018-02-07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接点装置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接触器
CN105895452B (zh) * 2016-05-27 2017-11-10 浙江英洛华新能源科技有限公司 密封型高压直流继电器
WO2019021673A1 (ja) * 2017-07-26 2019-01-31 三菱電機株式会社 開閉器
JP2019036434A (ja) 2017-08-10 2019-03-07 オムロン株式会社 接続ユニット
JP7066996B2 (ja) 2017-08-10 2022-05-16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6897461B2 (ja) 2017-09-27 2021-06-30 オムロン株式会社 接続ユニット
US10950402B2 (en) * 2017-10-17 2021-03-16 Solarbos, Inc. Electrical contactor
JP6822436B2 (ja) 2018-03-30 2021-01-27 オムロン株式会社 リレー
DE102018120987A1 (de) * 2018-08-28 2020-03-05 Tdk Electronics Ag Schaltvorrichtung
CN113035648A (zh) * 2019-12-25 2021-06-25 华为数字技术(苏州)有限公司 触头装置及电磁开关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65270A (en) * 1967-07-06 1969-09-02 Pollak Corp Joseph Heavy duty relay with wiping contacts
JPS62140328A (ja) * 1985-12-16 1987-06-23 富士電機株式会社 接触子装置の製造方法
JP2532347Y2 (ja) 1991-09-13 1997-04-16 松下電工株式会社 電磁接触器の接点装置
JP3321963B2 (ja) * 1994-02-22 2002-09-09 株式会社デンソー プランジャ型電磁継電器
US5892194A (en) * 1996-03-26 1999-04-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Sealed contact device with contact gap adjustment capability
JP4321256B2 (ja) * 2003-12-22 2009-08-26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4375012B2 (ja) * 2003-12-22 2009-12-02 オムロン株式会社 固定接点端子の支持構造
JP2007305468A (ja) * 2006-05-12 2007-11-22 Omron Corp 電磁継電器
JP5684649B2 (ja) * 2011-05-19 2015-03-18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電磁接触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78989B2 (ja) 2015-09-16
CN103548110A (zh) 2014-01-29
WO2012157176A1 (ja) 2012-11-22
US20140062627A1 (en) 2014-03-06
CN103548110B (zh) 2016-03-02
US9117611B2 (en) 2015-08-25
EP2711958A1 (en) 2014-03-26
EP2711958A4 (en) 2014-11-05
JP2012243584A (ja) 2012-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5458A (ko) 전자 접촉기
KR102075185B1 (ko) 전자 접촉기
JP5727862B2 (ja) 電磁接触器
JP5684649B2 (ja) 電磁接触器
KR101890848B1 (ko) 접점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전자 접촉기
EP2711965B1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KR20140019825A (ko) 전자 접촉기
KR20140022055A (ko) 전자 접촉기
KR20140027990A (ko) 전자 접촉기
KR20150016487A (ko) 전자 접촉기
KR20140145144A (ko) 접점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전자 개폐기
US9589739B2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WO2014076865A1 (ja) 電磁開閉器
WO2012157175A1 (ja) 電磁接触器の消弧室組立方法
KR102074539B1 (ko) 전자 접촉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