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5248A -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가이드레일 - Google Patents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가이드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5248A
KR20140025248A KR1020120091977A KR20120091977A KR20140025248A KR 20140025248 A KR20140025248 A KR 20140025248A KR 1020120091977 A KR1020120091977 A KR 1020120091977A KR 20120091977 A KR20120091977 A KR 20120091977A KR 20140025248 A KR20140025248 A KR 20140025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upport
shock absorbing
shock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1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9990B1 (ko
Inventor
함장원
Original Assignee
함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장원 filed Critical 함장원
Priority to KR1020120091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9990B1/ko
Publication of KR20140025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5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6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cables, netting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가이드레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가이드레일는, 도로변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세워지는 각각의 지지대; 상기 각 지지대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설치되는 여러 개의 와이어; 상기 와이어들 중에서 하나의 와이어 양 단부와 연결되도록 양쪽의 각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에 차량이 충돌하거나 사람 또는 자전거가 충돌하여 충격이 발생할 때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제1 충격흡수장치; 및 상기 제1 충격흡수장치가 설치된 상기 와이어와 이웃하는 다른 와이어의 양 단부와 연결되도록 양쪽의 각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에 차량이 충돌하거나 사람 또는 자전거가 충돌하여 충격이 발생할 때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제2 충격흡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로변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역할을 하는 여러개의 와이어를 각 지지대 사이에 설치하고, 각 와이의 단부에는 제1 충격흡수장치 및 제2 충격흡수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쇽업소버로 이루어진 제1 충격흡수장치와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제2 충격흡수장치가 와이어들에 가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가이드레일{GUIDE RAIL FOR ROAD HAVING SHOCK ABSORBING FUNTION}
본 발명은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가이드레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변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의 지지대 사이에 여러개의 와이어를 설치하고, 각 와이어의 단부에는 충격 발생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제1 충격흡수장치 및 제2 충격흡수장치를 각각 설치함으로써 가이드레일에 가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가이드레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이드레일은 차량이나 자전거가 많이 왕래하는 차도와 인도 및 자전거 전용도로 등 각종 도로의 경계에는 가이드 레일을 설치하여 차량이 도로 경계를 넘어가지 못하도록 함과 아울러 차량과 자전거 및 운전자, 그리고 건물이나 기타 구조물, 보행자 등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종래 가이드레일은 차량의 충돌에 대비한 것으로 도로 경계를 따라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주와, 이들 지주 사이에 횡으로 설치되는 레일구조로 구성되는 것으로, 주로 차량이 충돌하였을 때 차량이 도로 경계를 넘어가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가이드레일은 도로의 특성에 따라 결정되는 차량의 주행속도와 무관하게 일률적으로 도로 경계를 따라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주와 이 지주들 사이에 설치되는 레일로 구성되거나 콘크리트벽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주택가 도로와 주차구역 등과 같이 차량의 주행속도가 저속인 구역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은 저속 차량이 충돌하였을 때 차량을 보호하지 못하였고, 차량이 도로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연석을 타고 넘을 때 차량의 도로 이탈을 충분히 방지하지 못했으며, 가이드 레일이 견고하게 구성되어 설치됨으로써 그 충돌 반력에 의해 차량의 파손은 물론, 2차적인 인명피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0133738호(공개일 : 2011.12.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흡수 가이드레일에 의해 다소 해소될 수 있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충격흡수 가이드레일은, 충돌을 방지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이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전달되는 충격력을 탄성력으로 흡수하는 충격흡수포스트(20)와; 상기 충격흡수포스트(20)의 후방에 설치되어 탄성력으로 충격흡수력을 보강하기 위한 보조충격흡수판(30)을 포함한 구조를 갖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충격흡수포스트가 판 스프링으로 구성됨으로써 가이드레일이 충격흡수를 효과적으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차량 충돌시 충격흡수포스트와 보조충격흡수판이 강한 탄성력으로 반력을 발생시켜 차량에 1차적인 충격을 가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차량의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력을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0133738호(공개일 : 2011.12.14)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변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로서, 자전거나 오토바이 또는 차량이 차로를 벗어났을 때 충격을 흡수함은 물론, 반력을 발생시키지 않음으로써 2차적인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도로변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세워지는 각각의 지지대; 상기 각 지지대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설치되는 여러 개의 와이어; 상기 와이어들 중에서 하나의 와이어 일단과 연결되도록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에 차량이 충돌하거나 사람 또는 자전거가 충돌하여 충격이 발생할 때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제1 충격흡수장치; 및 상기 제1 충격흡수장치가 설치된 상기 와이어와 이웃하는 다른 와이어의 일단과 연결되도록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에 차량이 충돌하거나 사람 또는 자전거가 충돌하여 충격이 발생할 때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제2 충격흡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가이드레일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양측의 지지대 사이에는, 가이드레일이 직선도로 또는 곡선도로에 설치될 때, 상기 와이어들의 처짐을 방지하고 지지하기 위한 보조 지지대가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각 와이어들은 연결 와이어에 의해 서로 그물망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충격흡수장치는, 피스톤 로드를 구비하여 제1 하우징에 의해 상기 일측의 지지대에 마련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의 이동을 억제하면서 상기 피스톤 로드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쇽업소버; 및 상기 피스톤 로드와 상기 와이어를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가 당겨질 때, 상기 피스톤 로드를 상기 와이어의 당겨지는 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하면서 이동을 억제하기 위한 제1 이동억제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억제장치는, 일단은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피스톤 로드와 연결되도록 상기 지지대를 수평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일면에는 상기 와이어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다수개의 제1 걸림돌기들이 연이어 형성된 제1 작동로드; 상기 제1 하우징과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는 제1 고정부재; 일단이 상기 지지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1 걸림돌기에 선택적으로 걸리기 위한 제1 걸림부가 형성된 제1 걸림부재; 및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1 걸림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작동로드가 상기 와이어의 당김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이동을 허용하되, 상기 재1 걸림부가 상기 제1 걸림돌기를 가압하면서 이동을 억제하도록 하고, 이동된 상기 제1 작동로드가 원위치로 복귀하지 않도록 상기 제1 걸림부재를 탄력 지지하기 위한 제1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충격흡수장치는, 연결로드를 구비하여 제2 하우징에 의해 상기 일측의 지지대에 마련되고, 상기 연결로드를 탄력 지지하여 상기 연결로드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탄성체; 및 상기 연결로드와 상기 와이어를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가 당겨질 때, 상기 연결로드를 상기 와이어의 당겨지는 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하면서 이동을 억제하기 위한 제2 이동억제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이동억제장치는, 일단은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로드와 연결되도록 상기 지지대를 수평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일면에는 상기 와이어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다수개의 제2 걸림돌기들이 연이어 형성된 제2 작동로드; 상기 제2 하우징과 반대되는 방향의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는 제2 고정부재; 일단이 상기 지지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2 걸림돌기에 걸리기 위한 제2 걸림부가 형성된 제2 걸림부재; 상기 제2 고정부재와 상기 제2 걸림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작동로드가 상기 와이어의 당김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이동을 허용하되, 상기 제2 걸림부가 상기 제2 걸림돌기를 가압하면서 이동을 억제하도록 하고, 이동된 상기 제2 작동로드가 원위치로 복귀하지 않도록 상기 제2 걸림부재를 탄력 지지하기 위한 제2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는, 일단이 상기 제2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는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로드에 결합되는 인장스프링 또는, 상기 연결로드의 단부와 상기 케이스의 입구 사이에 배치되는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충격흡수장치와 제2 충격흡수장치는, 서로 이웃하는 각 와이어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되, 서로 반대 방향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충격흡수장치가 설치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2 충격흡수장치가 설치된 상기 와이어보다 도로 쪽에 더 가깝도록 상기 각 지지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로변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역할을 하는 여러개의 와이어를 각 지지대 사이에 설치하고, 각 와이어의 단부에는 쇽업소버로 이루어진 제1 충격흡수장치 및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제2 충격흡수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와이어에 가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와이어가 각 충격흡수장치에 구비된 이동억제장치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지 않게 되므로 반력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반력으로 인한 2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와이어가 그물망과 같이 구성되므로 추락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가이드레일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가이드레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충격흡수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2 충격흡수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1,2 충격흡수장치가 보조 지지대에 의해 곡선도로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1,2 충격흡수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지지대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가이드레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충격흡수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2 충격흡수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1,2 충격흡수장치가 보조 지지대에 의해 곡선도로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1,2 충격흡수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지지대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가이드레일은 직선이나 곡선 도로변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세워지는 각각의 지지대(100)와, 각 지지대(100)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설치되는 여러 개의 와이어(200A,200B)들로 이루어진 와이어(200)와, 하나의 와이어(200A)에 설치되도록 일측의 지지대(100)에 설치되고 와이어(200A)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제1 충격흡수장치(300)와, 제1 충격흡수장치(300)가 설치된 와이어(200A)와 이웃하는 와이어(200B)에 설치되도록 타측의 지지대(100)에 설치되고 와이어(200B)에 충격이 가해질 때 인장되거나 압축되면서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제2 충격흡수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지대(100)는 도로변이나 보행통로의 가장자리 지반에 직립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원통형 또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된다. 이러한 지지대(100)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직립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보강 지지대를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지지대(100)에는 와이어(200A,200B)들이나 후술할 제1 작동로드(370) 및 제2 작동로드(470)가 관통되기 위한 설치공이 각각 형성된다.
와이어(200)는 지지대(100)와 지지대(100)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이나 자전거 보행자 등이 경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 역할을 함은 물론, 이탈로 인한 충돌시 차량이나 자전거 또는 보행자가 도로 밖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와이어(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와이어(200A,200B)들로 이루어지고, 각 와이어(200A,200B)들은 상,하 방향으로 등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각각의 와이어(200A,200B)들은 연결 와이어(220)에 의해 서로 그물망과 같이 연결된다. 이는 경로를 이탈하는 차량이나 자전거 또는 보행자를 지지하여 경로 밖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와이어(200)들 중에서 하나의 와이어(200A) 일단에는 제1 충격흡수장치(300)가 설치되고 타단은 대응되는 지지대(100)에 고정된다. 그리고, 이 와이어(200A)와 인접한 다른 와이어(200B) 일단에는 제2 충격흡수장치(400)가 설치되고 타단은 대응되는 지지대(100)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각각의 와이어(200A,200B) 일단에는 제1 충격흡수장치(300)와 제2 충격흡수장치(400)가 각각 설치되고, 각 타단은 지지대(100)에 고정되는 것이다.
제1 충격흡수장치(300)는 하나의 와이어(200A)에 연결 설치되어 와이어(200A)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것으로, 실린더(310)의 내부에서 피스톤로드(320)와 결합된 피스톤의 급격한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피스톤로드(320)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쇽업소버(350)와, 피스톤 로드(320)와 와이어(200A)를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지지대(100)에 설치되고, 와이어(200A)가 당겨질 때, 피스톤 로드(320)를 와이어(200A)의 당겨지는 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하면서 이동을 억제하기 위한 제1 이동억제장치(360)를 포함한다.
그리고, 쇽업소버(3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 하우징(100A)의 외측에 결합된다. 이러한 쇽업소버(350)는 실린더(310)의 내부에서 피스톤 로드(320)의 피스톤이 유체나 공기의 저항에 의해 이동속도가 감속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실린더(310) 내부에는 피스톤을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리턴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쇽업소버(350)는 다양한 구조로 공지되어 있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러한 쇽업소버(350)는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이동억제장치(360)는 쇽업소버(350)와 와이어(200A)의 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쇽업소버(350)와 더불어 와이어(200A)의 움직임에 저항하고, 이미 움직인 와이어(200A)가 원위치로 복귀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제1 이동억제장치(36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와이어(200A)와 연결되고 타단은 피스톤 로드(320)와 연결되도록 지지대(100)를 수평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일면에는 와이어(200A)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다수개의 제1 걸림돌기(372)들이 연이어 형성된 제1 작동로드(370)과, 제1 하우징(100A)과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하도록 지지대(100)에 설치되는 제1 고정부재(374)와, 일단이 지지대(100)에 힌지(375)로 결합되고, 타단에는 제1 걸림돌기(372)에 선택적으로 걸리기 위한 제1 걸림부(376A)가 형성된 제1 걸림부재(376)와, 제1 고정부재(374)와 제1 걸림부재(376) 사이에 설치되고, 제1 작동로드(370)가 와이어(200A)의 당김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이동을 허용하되, 재1 걸림부(376A)가 제1 걸림돌기(372)를 가압하면서 이동을 억제하도록 하고, 이동된 제1 작동로드(370)가 원위치로 복귀하지 않도록 제1 걸림부재(376)를 탄력 지지하기 위한 제1 탄성체(37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쇽업소버(350)이 위치하는 방향의 지지대(100)에는 제1 작동로드(370)를 커버하고 쇽업소버(350)이 설치되기 위한 제1 하우징(100A)이 설치되고, 제1 하우징(100A)과 반대되는 방향에는 제1 고정부재(374)와 제1 걸림부재(376) 등을 커버하기 위한 커버(100B)가 설치된다. 즉, 제1 하우징(100A)는 지지대(100) 일측에 설치되고, 이 제1 하우징(100A)의 일면에는 쇽업소버(350)가 설치되며, 지지대(100)의 타측에는 커버(100B)가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1 이동억제장치(360)는 커버되며, 쇽업소버(350)와 일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일측의 지지대(100)에는 쇽업소버(350)와 제1 이동억제장치(360)가 와이어(200A)의 일단과 연결되어 설치되고, 타측의 지지대(100)에는 와이어(200A)의 타단이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피스톤 로드(320)와 제1 작동로드(370)는 본 실시예에서 각각 구분하여 구성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일체화되거나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2 충격흡수장치(400)는 제1 충격흡수장치(300)가 설치된 와이어(200A)와 이웃하는 다른 와이어(200B)의 양 단부와 연결되도록 하나의 지지대(100)에 설치되고, 와이어(200B)에 차량이 충돌하거나 사람 또는 자전거가 충돌하여 충격이 발생할 때 와이어(200B)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2 충격흡수장치(400)는 연결로드(410)를 구비하여 제2 하우징(100C)에 의해 일측의 지지대(100)에 마련되고, 연결로드(410)를 탄력 지지하여 연결로드(410)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탄성체(450)와, 연결로드(410)와 와이어(200B)를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지지대(100)에 설치되고, 와이어(200B)가 당겨질 때, 연결로드(410)를 와이어(200B)의 당겨지는 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하면서 이동을 억제하기 위한 제2 이동억제장치(460)로 이루어진다.
탄성체(450)는 연결로드(410)를 탄력 지지하여 와이어(200B)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거나 완충하기 위한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제2 하우징(100C)의 일측에 결합되는 케이스(430)의 내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연결로드(410)에 결합되는 인장스프링(420)으로 구성되거나,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연결로드(410)의 단부와 케이스(430)의 입구 사이에 배치되는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압축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케이스(430)에 설치되는 지지판에 압축형 스프링이 설치되고, 연결로드(410)의 단부에 결합되는 가압판이 연결로드(410)가 이동할 대 압축형 스프링이 압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이동억제장치(460)는 와이어(200B)가 당겨질 때 와이어(200B)의 당김방향로만 제2 작동로드(470)의 이동을 허용함과 동시에 제2 작동로드(470)의 이동을 억제하여 와이어(200B)의 당기는 힘에 저항하도록 하고, 와이어(200B)가 원위로 복귀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2 이동억제장치(460)는 일단이 와이어(200B)와 연결되고 타단은 연결로드(410)와 연결되도록 지지대(100)를 수평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일면에는 와이어(200B)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다수개의 제2 걸림돌기(472)들이 연이어 형성된 제2 작동로드(470)와, 제2 하우징(100C)과 반대되는 방향의 지지대(100)에 설치되는 제2 고정부재(474)와, 일단이 지지대(100)에 힌지(475)로 결합되고, 타단에는 제2 걸림돌기(472)에 걸리기 위한 제2 걸림부(476A)가 형성된 제2 걸림부재(476)와, 제2 고정부재(474)와 제2 걸림부재(476) 사이에 설치되고, 제2 작동로드(470)가 와이어(200B)의 당김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이동을 허용하되, 제2 걸림부(476A)가 제2 걸림돌기(472)를 가압하면서 이동을 억제하도록 하고, 이동된 제2 작동로드(410)가 원위치로 복귀하지 않도록 제2 걸림부재(476)를 탄력 지지하기 위한 제2 탄성체(478)로 구성된다.
이때, 탄성체(450)이 위치하는 방향의 지지대(100)에는 제2 작동로드(470)를 커버하고 탄성체(450)이 설치되기 위한 제2 하우징(100C)이 설치되고, 제2 하우징(100C)과 반대되는 방향에는 제2 고정부재(474)와 제2 걸림부재(476) 등을 커버하기 위한 커버(100D)가 설치된다. 즉, 제2 하우징(100C)는 지지대(100) 일측에 설치되고, 이 제2 하우징(100C)의 일면에는 탄성체(450)가 설치되며, 지지대(100)의 타측에는 커버(100D)가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2 이동억제장치(460)는 커버되며, 탄성체(450)와 일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일측의 지지대(100)에는 탄성체(450)와 제2 이동억제장치(460)가 와이어(200B)의 일단과 연결되어 설치되고, 타측의 지지대(100)에는 와이어(200B)의 타단이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연결로드(410)와 제2 작동로드(470)는 본 실시예에서 각각 구분하여 구성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일체화되거나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1 충격흡수장치(300)와 제2 충격흡수장치(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조를 이루도록 각각 배치된다. 즉, 제1 충격흡수장치(300)가 설치된 와이어(200A)와, 제2 충격흡수장치(400)가 설치된 와이어(200B)가 한 조를 이루어 각 지지대(100)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는 쇽업소버(350)로 이루어진 제1 충격흡수장치(300)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고, 탄성체(450)로 이루어진 제2 충격흡수장치(400)는 충격을 흡수하거나 완충하는 역할을 하므로 와이어(200)에 충격이 가해질 때 전달되는 충격을 서로 보완하여 흡수하고 완충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충격흡수장치(300)가 설치된 와이어(200A)는 제2 충격흡수장치(400)가 설치된 와이어(200B)보다 더 도로 쪽에 가깝도록 각 지지대(100)에 설치된다. 이는 도로 쪽에 가깝게 설치된 제1 충격흡수장치(300)가 1차적으로 먼저 충격을 흡수한 후, 제2 충격흡수장치(400)에서 2차적으로 충격을 완충하면서 최종적으로 흡수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제2 충격흡수장치(400)가 제1 충격흡수장치(300)보다 도로 쪽에 더 가깝게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제1,2 충격흡수장치(300,400)와 결합되지 않은 각 와이어(200A,200B)의 끝단은 제1,2 충격흡수장치(300,400)가 설치되지 않은 지지대(10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가이드레일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의 지지대(100) 사이에 여러 개의 와이어(200A,200B)들이 배치되고, 각각의 와이어(200)들은 연결 와이어(220)로 서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그물구조를 이룬다. 그리고, 상부 쪽 와이어(200A)의 일단에는 제1 충격흡수장치(300)가 설치되고, 하부 쪽 와이어(200B)의 타단에는 제2 충격흡수장치(400)가 각각 설치되어, 제1 충격흡수장치(300)와 제2 충격흡수장치(400)가 한 조를 이루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차량이나 자전거 등이 도로에서 이탈되어 와이어(200)에 충돌할 경우에, 와이어(200)들은 연결 와이어(220)에 의해 서로 그물구조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차량이나 자전거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충돌 충격에 의해 와이어(200)들은 도로의 외측으로 늘어나게된다.
이와 같이 와이어(200)들이 도로의 외측으로 늘어날 때, 도로 쪽에 가깝게 설치된 와이어(200A)에 설치된 제1 충격흡수장치(300)의 쇽업소버(350)가 와어어(200A)의 당김에 의해 작동될 때, 피스톤로드(320)가 당김에 저항하면서 움직이도록 제어함으로써 와이어(200A)에 전달되는 충격이 흡수된다.
그리고, 와이어(200A)가 제1 작동로드(370)를 당길 때, 제1 이동억제장치(360)의 제1 걸림부재(376)가 제1 탄성체(378)에 의해 탄력적으로 제1 작동로드(370)를 가압하여 이동을 억제하므로, 와이어(200A)의 당김에 의해 이동하는 제1 작동로드(370)는 와이어(200A)의 당김에 저항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즉, 제1 탄성체(378)가 제1 걸림부재(376)를 제1 걸림돌기(372)에 밀착되도록 가압하기 때문에 발생되는 현상이다.
이때, 제1 걸림부재(376)는 제1 걸림돌기(372)와 서로 경사진 면이 접하기 때문에 제1 걸림돌기(372)들은 제1 탄성체(378)의 탄성을 극복하면서 제1 걸림부재(376)를 들어 올리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와이어(200A)에서 발생한 충격이 제1 작동로드(370)에 전달되어 당겨질 때, 쇽업소버(350)가 당기는 힘에 저항하고, 제1 탄성체(378)가 제1 걸림부재(376)를 제1 걸림돌기(372)에 가압하게 되므로, 와이어(200A)로부터 발생된 충격은 1차적으로 흡수되고 완충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도로 바깥 쪽에 설치된 와이어(200B)에 설치된 제2 충격흡수장치(400)의 탄성체(450)가 와이어(200B)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하게 된다. 즉, 제2 충격흡수장치(400)가 설치된 와이어(200B)에 충격이 전달되어 와이어(200B)가 도로 바깥쪽으로 당겨질 때, 와이어(200B)와 연결된 연결로드(410)가 스프링(420)을 당기게 되므로 스프링(420)이 늘어나면서 당겨지는 충격을 완충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제2 이동억제장치(460)의 제2 걸림부재(476)가 제2 작동로드(470)의 이동을 억제하므로, 와이어(200B)의 당김에 의해 이동하는 제2 작동로드(470)는 서서히 이동하면서 와이어(200B)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이는 제2 탄성체(478)가 제2 걸림부재(476)를 제2 걸림돌기(472)에 밀착되도록 가압하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각 작동로드(370,470)가 와이어(200)들의 당김방향으로 이동한 후에는, 각 제1,2걸림부재(376,476)의 제1,2 걸림부(376A,476)에 형성된 수직면이 각 제1,2 걸림돌기(372)의 수직면에 접하게 되므로, 각 제1,2 작동로드(370,470)는 원위치로 복귀되지 않는다. 따라서, 당겨진 와이어(200)들에는 원위치로 복귀하려는 반력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황이 종료된 후에, 제1,2 걸림부재(376,476)를 제1,2 고정부재(374,474) 쪽으로 강제 회동시키게 되면 제1,2 걸림부(376A,476A)가 제1,2 걸림돌기(372,472)에서 이탈되므로 제1,2 작동로드(370,470)의 후퇴(최초 전진 방향의 반대 방향)가 가능하게 되어 재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재사용은 와이어(200A,200B)들에 발생하였던 외력이 사라진 후 제1,2 작동로드(470)를 원위치로 복귀시켜 다시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가이드레일은 도로를 이탈하는 차량이나 자전거 및 보행자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수단이 와이어(200)로 이루어짐으로써 곡선 도로에 적용할 경우, 곡선 도로에서 도로를 이탈하는 차량이나 자전거 등을 효과적으로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일정 구간의 도로변에 지지대(100)를 각각 설치하고, 그 사이에는 보조 지지대(150)를 각각 설치한 후, 와이어(200A)가 각 보조 지지대(150)를 관통하도록 하여 각 보조 지지대(150)가 와이어(200A)를 지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와이어(200A)의 일단에는 제1 충격흡수장치(300)이 연결되도록 지지대(100)에 설치함으로써, 일정 구간의 도로변에 제1 충격흡수장치(300)가 구비된 와이어(200A)가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일정 구간의 곡선 도로변에 제1 충격흡수장치(300)와 연결된 와이어(200)가 보조 지지대(150)에 의해 설치됨으로써, 곡선 도로에서 차량의 이탈시 또는 자전거의 이탈시에 이탈하는 차량이나 자전거를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탈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고 완충함으로써 이탈 충격으로 인한 인명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레일은 와이어(200)로 구성되고, 각 와이어(200)의 단부에 충격흡숩장치(300,400)이 설치되며, 와이어(200)의 지지하고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 지지대(150)를 설치함으로써, 곡선 도로에서의 차량의 도로 이탈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지지대 200 : 와이어
220 : 연결 와이어 300 : 제1 충격흡수장치
310 : 실린더 320 : 피스톤 로드
350 : 쇽업소버 360 : 제1 이동억제장치
370 : 제1 작동로드 372 : 제1 걸림돌기
374 : 제1 고정부재
375,475 : 힌지 376 : 제1 걸림부재
376A : 제1 걸림부 378 : 제1 탄성체
400 : 제2 충격흡수장치 410 : 연결로드
420 : 스프링 430 : 케이스
450 : 탄성체 460 : 제2 이동억제장치
470 : 제2 작동로드 472 : 제2 걸림돌기
474 : 제2 고정부재 476 : 제2 걸림부재
476A : 제2 걸림부 478 : 제2 탄성체

Claims (10)

  1. 도로변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세워지는 각각의 지지대;
    상기 각 지지대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설치되는 여러 개의 와이어;
    상기 와이어들 중에서 하나의 와이어 일단과 연결되도록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에 차량이 충돌하거나 사람 또는 자전거가 충돌하여 충격이 발생할 때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제1 충격흡수장치; 및
    상기 제1 충격흡수장치가 설치된 상기 와이어와 이웃하는 다른 와이어의 일단과 연결되도록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에 차량이 충돌하거나 사람 또는 자전거가 충돌하여 충격이 발생할 때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제2 충격흡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가이드레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의 지지대 사이에는,
    가이드레일이 직선도로 또는 곡선도로에 설치될 때, 상기 와이어들의 처짐을 방지하고 지지하기 위한 보조 지지대가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가이드레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와이어들은 연결 와이어에 의해 서로 그물망 구조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가이드레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충격흡수장치는,
    피스톤 로드를 구비하여 제1 하우징에 의해 상기 일측의 지지대에 마련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의 이동을 억제하면서 상기 피스톤 로드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쇽업소버; 및
    상기 피스톤 로드와 상기 와이어를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가 당겨질 때, 상기 피스톤 로드를 상기 와이어의 당겨지는 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하면서 이동을 억제하기 위한 제1 이동억제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가이드레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억제장치는,
    일단은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피스톤 로드와 연결되도록 상기 지지대를 수평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일면에는 상기 와이어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다수개의 제1 걸림돌기들이 연이어 형성된 제1 작동로드;
    상기 제1 하우징과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는 제1 고정부재;
    일단이 상기 지지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1 걸림돌기에 선택적으로 걸리기 위한 제1 걸림부가 형성된 제1 걸림부재; 및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1 걸림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작동로드가 상기 와이어의 당김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이동을 허용하되, 상기 재1 걸림부가 상기 제1 걸림돌기를 가압하면서 이동을 억제하도록 하고, 이동된 상기 제1 작동로드가 원위치로 복귀하지 않도록 상기 제1 걸림부재를 탄력 지지하기 위한 제1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가이드레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충격흡수장치는,
    연결로드를 구비하여 제2 하우징에 의해 상기 일측의 지지대에 마련되고, 상기 연결로드를 탄력 지지하여 상기 연결로드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탄성체; 및
    상기 연결로드와 상기 와이어를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가 당겨질 때, 상기 연결로드를 상기 와이어의 당겨지는 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하면서 이동을 억제하기 위한 제2 이동억제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가이드레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억제장치는,
    일단은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로드와 연결되도록 상기 지지대를 수평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일면에는 상기 와이어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다수개의 제2 걸림돌기들이 연이어 형성된 제2 작동로드;
    상기 제2 하우징과 반대되는 방향의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는 제2 고정부재;
    일단이 상기 지지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2 걸림돌기에 걸리기 위한 제2 걸림부가 형성된 제2 걸림부재;
    상기 제2 고정부재와 상기 제2 걸림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작동로드가 상기 와이어의 당김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이동을 허용하되, 상기 제2 걸림부가 상기 제2 걸림돌기를 가압하면서 이동을 억제하도록 하고, 이동된 상기 제2 작동로드가 원위치로 복귀하지 않도록 상기 제2 걸림부재를 탄력 지지하기 위한 제2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가이드레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일단이 상기 제2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는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로드에 결합되는 인장스프링 또는,
    상기 연결로드의 단부와 상기 케이스의 입구 사이에 배치되는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가이드레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충격흡수장치와 제2 충격흡수장치는,
    서로 이웃하는 각 와이어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되, 서로 반대 방향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가이드레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충격흡수장치가 설치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2 충격흡수장치가 설치된 상기 와이어보다 도로 쪽에 더 가깝도록 상기 각 지지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가이드레일.
KR1020120091977A 2012-08-22 2012-08-22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가이드레일 KR101389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977A KR101389990B1 (ko) 2012-08-22 2012-08-22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가이드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977A KR101389990B1 (ko) 2012-08-22 2012-08-22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가이드레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5248A true KR20140025248A (ko) 2014-03-04
KR101389990B1 KR101389990B1 (ko) 2014-04-30

Family

ID=50640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1977A KR101389990B1 (ko) 2012-08-22 2012-08-22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가이드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99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06530A (zh) * 2020-01-13 2020-05-29 牟瑞锋 一种用于高速公路小半径曲线路段的防护栏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791Y1 (ko) * 2002-05-17 2002-09-09 금호엔지니어링 (주) 완충장치가 구비된 낙석방지용 울타리
KR200287731Y1 (ko) * 2002-06-03 2002-09-09 주식회사 원일산업 세대용 자동 온도조절 밸브
KR100610755B1 (ko) * 2004-06-08 2006-08-10 김동석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충격에너지흡수장치
KR200450477Y1 (ko) * 2010-01-13 2010-10-06 주식회사 비엠테크 낙석 방지책용 완충형 와이어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06530A (zh) * 2020-01-13 2020-05-29 牟瑞锋 一种用于高速公路小半径曲线路段的防护栏
CN111206530B (zh) * 2020-01-13 2021-06-01 牟瑞锋 一种用于高速公路小半径曲线路段的防护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9990B1 (ko) 201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6643B1 (ko) 충격흡수 가드레일
KR101448745B1 (ko)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KR102074717B1 (ko) 작업차량 부착형 충격흡수장치
KR101056065B1 (ko) 이중 방호벽
KR101182975B1 (ko) 가드레일구조체
KR20150098393A (ko)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KR101389990B1 (ko)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가이드레일
KR101745628B1 (ko) 지주와 수평 바 사이의 좌우상하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휀스
KR100584083B1 (ko) 도로의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KR100847736B1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KR101466046B1 (ko) 차량 방호울타리 완충장치
KR101307683B1 (ko) 충격 흡수 가능한 차량용 방호책
KR101250343B1 (ko) 차량 방호책
KR101273410B1 (ko) 차량용 충격흡수완화장치
KR101267446B1 (ko) 가드레일 전방부의 차량 충돌시 충격흡수장치
JP6345959B2 (ja) 衝撃吸収柵
KR101172470B1 (ko) 차량 방호책
KR100727116B1 (ko) 장착 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헤드램프
KR100955790B1 (ko) 방호 울타리 및 그 시공방법
KR101182345B1 (ko) 충격흡수형 강재 난간레일
KR100590313B1 (ko) 도로용 차량 충돌방지대
KR101869058B1 (ko) 상하 비대칭 구조를 갖는 레일을 통한 다단의 충격 흡수 가능한 가드레일
KR101585733B1 (ko) 방호울타리용 지주 및 이를 구비하는 방호울타리
KR200262208Y1 (ko) 도로 가이드레일 구조체
CN210797261U (zh) 列车轨道的防护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