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5628B1 - 지주와 수평 바 사이의 좌우상하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휀스 - Google Patents

지주와 수평 바 사이의 좌우상하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5628B1
KR101745628B1 KR1020160145669A KR20160145669A KR101745628B1 KR 101745628 B1 KR101745628 B1 KR 101745628B1 KR 1020160145669 A KR1020160145669 A KR 1020160145669A KR 20160145669 A KR20160145669 A KR 20160145669A KR 101745628 B1 KR101745628 B1 KR 101745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bar
horizontal
fence
bar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5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원
Original Assignee
(주)셈텍
주식회사 성원안전산업
(주)성원엠엔디
(주)도담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셈텍, 주식회사 성원안전산업, (주)성원엠엔디, (주)도담산업 filed Critical (주)셈텍
Priority to KR1020160145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56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52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19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 E04F2011/1821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and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2011/1868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H2017/145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주와 수평 바 사이의 좌우상하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휀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호 마주보는 면에서 수직방향으로 한 쌍의 상하 고정날개로 이루어진 복수의 수평 바 결합용 브라켓이 정해진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되게 고정 설치되어 있는 복수 지주를 지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하고, 서로 인접한 지주들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 바 결합용 브라켓에 양단부가 각각 끼워진 복수의 수평 바를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상기 수평 바 결합용 브라켓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한 형태를 갖는 휀스에 있어서, 상기 지주들의 수평 바 결합용 브라켓과 수평 바의 양단부 사이에 수평 바가 상하좌우 측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하 및 좌우 측에서 가해지거나 전달되어 오는 충격력 및 진동을 완충시켜 흡수하는 좌우상하 흔들림 방지 및 완충수단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휀스의 수평 바가 좌우상하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가해지는 강한 충격이나 진동 등을 원활히 흡수 및 완충시킬 수 있어, 수평 바가 흔들림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공해를 방지할 수 있어 휀스 주변의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또한 외부에서 가해지는 강한 충격이나 진동 등에도 수평 바를 포함한 결합용 볼트 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 내지 최소화할 수 있어 휀스의 보수 및 교체에 따른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지주와 수평 바 사이의 좌우상하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휀스{Fence with landowners and shock absorption between the left and right upper and lower horizontal bars}
본 발명은 지주와 수평 바 사이의 좌우상하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휀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는 지주들 사이에 정해진 높이 간격을 두고 수평 바들을 고정 설치할 때, 지주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과 수평 바의 양단부 사이에 좌우상하 충격흡수 기능을 구비시켜 휀스의 수평 바가 좌우상하로 흔들리거나 강한 충격이나 진동 등에도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휀스의 교체 및 보수에 따른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호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휀스 주변의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지주와 수평 바 사이의 좌우상하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휀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휀스(Fence)라 함은 난간 또는 가드펜스(Gurad Fence)로써 차도와 인도 사이에 일정한 높이로 설치되는 시설물을 말하는데, 특히 보행자를 안전하게 보호함과 아울러 최근에는 장식용으로도 겸용하여 사용된다.
종래 기술이 적용된 휀스 내지 조립식 경계 휀스의 형태와 특징들을 살펴보면 크게 세가지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는 경계 휀스의 지주와 수평 바의 연결을 용접방식으로 결합하는 방법이고, 둘째는 별도의 연결구나 연결수단을 제작하여 그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결합하는 방식이 있며, 마지막 셋째는 경계 휀스 내지 경계 난간의 전체 결합구조를 나사 체결식 방법으로 제작하여 결합하는 방식으로 나누어진다.
상기한 종래의 휀스는 통상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가 지주를 지면에 세워지는 형태로 고정 설치하고, 이들 지주 사이에는 난간대인 수평 바를 수직방향으로 정해진 높이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한 형태를 갖는다.
상기한 종래 휀스들 중 지주와 수평 바의 결합 시, 전술한 바와 같이 금속재의 경우 용접방식, 또는 볼트, 리벳 및 직결 볼트 등으로 직접 결합하는 방법이 가장 단순한 방법이나, 이종(異種) 소재의 결합이나, 설치의 용이성을 위하여 L자 철물, 브라켓 등도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방법들은 지주와 수평 바를 일체로 결합시키는 방법이며, 진동이나 충격이 수평 바에 가해졌을 때, 그 충격은 직접 연결된 지주를 포함하여 휀스 연장 전체에 전달되어, 전체 구조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휀스 1경간씩 별개의 지주를 사용하여 설치하는 독립 경간 형태도 충격의 방향에 따라 힘은 전달됨은 물론 자재가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브라켓 등을 사용할 경우, 설치가 비교적 용이하고, 관절 구조가 가능해 좌우 곡선구간이나 상하 경사구간에 대응할 수 있으나, 브라켓 결합부위의 유격 등으로 진동에 의한 소음, 마모, 부재의 피로절단 현상이 일어날 수 있고, 특히 강한 충격 또는 지진 등으로 인해 강한 진동이 가해질 경우에는 부분적인 브라켓 파손 우려와 함께, 전체 연장에 걸쳐 구조 및 형태에 하자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09538호(2011년 01월 12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97369호(2011년 12월 15일)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60061호(2001년 12월 26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526399호(2005년 10월 28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사람들이 인도 등을 통행하거나 차량들의 도로를 운행하던 중 추락되는 것 등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휀스를 지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지주를 고정 설치하고, 이들 지주 사이에서 정해진 높이 간격을 두고 수평 바들을 고정 설치할 때, 지주에 고정 설치되는 수평 바 결합용 브라켓과 수평 바의 양단부 사이에 좌우상하 흔들림 방지 및 완충수단을 더 구비시켜 주는 방식을 통해, 휀스의 수평 바가 좌우상하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에서 가해지는 강한 충격이나 진동 등을 원활히 흡수 및 완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수평 바가 흔들림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소음공해를 방지할 수 있어 휀스 주변의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또한 외부에서 가해지는 강한 충격이나 진동 등에도 수평 바를 포함한 결합용 볼트 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 내지 최소화할 수 있어 휀스의 보수 및 교체에 따른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지주와 수평 바 사이의 좌우상하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휀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각 또는 원형 파이프 형상을 갖고 상호 마주보는 면에서 수직방향으로 한 쌍의 상하 고정날개로 이루어진 복수의 수평 바 결합용 브라켓이 정해진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되게 고정 설치되어 있는 복수 지주를 지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하고, 사각 형상을 갖고 서로 인접한 지주들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양단부 일부가 상기 수평 바 결합용 브라켓에 각각 끼워지도록 복수의 수평 바를 결합하되, 상기 수평 바의 양단부는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지주에 구비된 수평 바 결합용 브라켓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한 형태를 갖는 휀스에 있어서, 상기 지주들의 수평 바 결합용 브라켓과 수평 바의 양단부 사이에 수평 바가 상하좌우 측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하 및 좌우 측에서 가해지거나 전달되어 오는 충격력 및 진동을 완충시켜 흡수하는 좌우상하 흔들림 방지 및 완충수단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좌우상하 흔들림 방지 및 완충수단은, 상기 수평 바의 양단부 외측에 끼워진 상태에서 일측은 수평방향으로 관통되게 결합되는 볼트에 의해 수평 바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수평 바 결합용 브라켓의 상하 고정날개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관통되게 결합되는 볼트에 의해 수평 바와 상하 완충용 판 스프링 및 좌우 완충용 링 스프링과 함께 상기 수평 바 결합용 브라켓에 고정 설치되는 사각 파이프 형상의 스프링 가이더 겸 바 연결구와; 중앙에 볼트 통과공이 구비된 수평판의 양측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호형 탄성판이 일체로 절곡 형성된 형태를 갖고 상기 수평 바의 상하 외면과 상기 스프링 가이더 겸 바 연결구의 상하 내면 사이에 형성된 틈새에 탄력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수평 바 결합용 브라켓의 상하 고정날개와 스프링 가이더 겸 바 연결구 및 수평 바의 상하면을 포함하여 수평판에 각각 천공된 볼트 통과공 및 좌우 완충용 링 스프링에 형성된 볼 통과홈을 관통되게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볼트에 의해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수평 바의 상하 흔들림을 방지함과 동시에 지주 또는 수평 바의 상하 측으로 가해지거나 전달되어 오는 충격력이나 진동을 흡수 및 완충시켜 주는 한 쌍의 상하 완충용 판 스프링과; 평단면이 "
Figure 112017000529839-pat00001
" 형상을 갖고 "Ω" 형상을 갖는 볼트 통과홈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내측의 일부가 상기 수평 바의 양단부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 바 결합용 브라켓과 스프링 가이더 겸 바 연결구의 상하면 및 상하 완충용 판 스프링에 각각 천공된 볼트 통과공은 물론 "Ω" 형상의 볼트 통과홈을 수직방향으로 관통되게 설치된 볼트를 통해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 가이더 겸 바 연결구의 외측으로 돌출된 만곡형의 두 탄성부는 상기 지주의 내측 외면에 탄력적으로 선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수평 바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지주 또는 수평 바의 좌우 측에서 가해지거나 전달되어 오는 충격력이나 진동을 흡수 및 완충시켜 주는 좌우 완충용 링 스프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수평 바의 전후면과 상기 수평 바 결합용 브라켓의 상하 고정날개에 각각 천공되는 볼트 통과공은 수직 및 수평방향에 대해 각각 장방형으로 천공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주와 수평 바 사이의 좌우상하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휀스에 의하면, 사람들이 인도 등을 통행하거나 차량들의 도로를 운행하던 중 추락되는 것 등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휀스를 지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지주를 고정 설치하고, 이들 지주 사이에서 정해진 높이 간격을 두고 수평 바들을 고정 설치할 때, 지주에 고정 설치되는 수평 바 결합용 브라켓과 수평 바의 양단부 사이에 좌우상하 흔들림 방지 및 완충수단을 더 구비시켜 줌으로써, 휀스의 수평 바가 좌우상하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가해지는 강한 충격이나 진동 등을 원활히 흡수 및 완충시킬 수 있어, 수평 바가 흔들림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공해를 방지할 수 있어 휀스 주변의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또한 외부에서 가해지는 강한 충격이나 진동 등에도 수평 바를 포함한 결합용 볼트 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 내지 최소화할 수 있어 휀스의 보수 및 교체에 따른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휀스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휀스의 일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휀스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4의 (a)(b)는 본 발명이 적용된 휀스에 좌측 또는 우측으로 충격 등이 가해졌을 때 좌우상하 흔들림 방지 및 완충수단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정단면도.
도 5의 (a)(b)는 본 발명이 적용된 휀스에 좌측 또는 우측으로 충격 등이 가해졌을 때 좌우상하 흔들림 방지 및 완충수단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평단면도.
도 6의 (a)~(c)는 본 발명이 적용된 휀스에 상하방향에서 충격 등이 가해졌을 때 좌우상하 흔들림 방지 및 완충수단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휀스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휀스의 일부 확대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휀스의 일부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 도 4의 (a)(b)는 본 발명이 적용된 휀스에 좌측 또는 우측으로 충격 등이 가해졌을 때 좌우상하 흔들림 방지 및 완충수단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정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의 (a)(b)는 본 발명이 적용된 휀스에 좌측 또는 우측으로 충격 등이 가해졌을 때 좌우상하 흔들림 방지 및 완충수단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평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의 (a)~(c)는 본 발명이 적용된 휀스에 상하방향에서 충격 등이 가해졌을 때 좌우상하 흔들림 방지 및 완충수단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각 또는 원형 파이프 형상을 갖고 상호 마주보는 면에서 수직방향으로 한 쌍의 상하 고정날개(21)로 이루어진 복수의 수평 바 결합용 브라켓(2)이 정해진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되게 고정 설치되어 있는 복수 지주(1)를 지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하고, 사각 파이프 형상을 갖고 서로 인접한 지주(1)들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양단부 일부가 상기 수평 바 결합용 브라켓(2)에 각각 끼워지도록 복수의 수평 바(3)를 결합하되, 상기 수평 바(3)의 양단부는 볼트(4)와 너트(5)를 이용하여 지주(1)에 구비된 수평 바 결합용 브라켓(2)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한 형태를 갖는 휀스에 있어서,
상기 지주(1)들의 수평 바 결합용 브라켓(2)과 수평 바(3)의 양단부 사이에 수평 바(3)가 상하좌우 측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하 및 좌우 측에서 가해지거나 전달되어 오는 충격력 및 진동을 완충시켜 흡수하는 좌우상하 흔들림 방지 및 완충수단(6)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좌우상하 흔들림 방지 및 완충수단(6)은,
상기 수평 바(3)의 양단부 외측에 끼워진 상태에서 일측은 수평방향으로 관통되게 결합되는 볼트(4)에 의해 수평 바(3)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수평 바 결합용 브라켓(2)의 상하 고정날개(21)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관통되게 결합되는 볼트(4)에 의해 수평 바(3)와 상하 완충용 판 스프링(62) 및 좌우 완충용 링 스프링(63)과 함께 상기 수평 바 결합용 브라켓(2)에 고정 설치되는 길이가 짧은 사각 파이프 형상의 스프링 가이더 겸 바 연결구(61)와;
중앙에 볼트 통과공(623)이 구비된 수평판(621)의 양측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호형 탄성판(622)이 일체로 절곡 형성된 형태를 갖고 상기 수평 바(3)의 상하 외면과 상기 스프링 가이더 겸 바 연결구(61)의 상하 내면 사이에 형성된 틈새에 탄력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수평 바 결합용 브라켓(2)의 상하 고정날개(21)와 스프링 가이더 겸 바 연결구(61) 및 수평 바(3)의 상하면을 포함하여 수평판(621)에 각각 천공된 볼트 통과공(22)(612)(32)(623) 및 좌우 완충용 링 스프링(63)에 형성된 볼트 통과홈(631)을 관통되게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볼트(4)에 의해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수평 바(3)의 상하 흔들림을 방지함과 동시에 지주(1) 또는 수평 바(3)의 상하 측으로 가해지거나 전달되어 오는 충격력이나 진동을 흡수 및 완충시켜 주는 한 쌍의 상하 완충용 판 스프링(62)과;
평단면이 "
Figure 112016107485747-pat00002
" 형상을 갖고 "Ω" 형상을 갖는 볼트 통과홈(631)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내측의 일부가 상기 수평 바(3)의 양단부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 바 결합용 브라켓(2)의 상하 고정날개(21)와 스프링 가이더 겸 바 연결구(61), 수평 바(3)의 상하면 및 상하 완충용 판 스프링(62)의 수평판(621)에 각각 천공된 볼트 통과공(22)(612)(32)(623) 및 좌우 완충용 링 스프링(63)에 형성된 볼트 통과홈(631)을 수직방향으로 관통되게 설치된 볼트(4)를 통해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 가이더 겸 바 연결구(61)의 외측으로 돌출된 만곡형의 두 탄성부(632)는 상기 지주(1)의 내측 외면에 탄력적으로 선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수평 바(3)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지주(1) 또는 수평 바(3)의 좌우 측에서 가해지거나 전달되어 오는 충격력이나 진동을 흡수 및 완충시켜 주는 좌우 완충용 링 스프링(63);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수평 바(3)의 전후면과 상기 수평 바 결합용 브라켓(2)의 상하 고정날개(21)에 각각 천공되는 볼트 통과공(31)(21)은, 수직 및 수평방향에 대해 각각 장방형으로 천공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도 1 내지 도 6의 (a)~(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도 1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수평 바 결합용 브라켓(2)이 구비된 복수 지주(1)들 사이에 복수의 수평 바(3)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형태를 갖는 공지의 휀스 중 상기 지주(1)들의 수평 바 결합용 브라켓(2)과 수평 바(3)의 양단부 사이에 좌우상하 흔들림 방지 및 완충수단(6)을 더 설치하여, 휀스의 수평 바(3)들이 좌우상하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에서 가해지는 강한 충격이나 진동 등을 원활히 흡수 및 완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공지된 휀스의 구성요소 중 지주(1)는 사각 또는 원형 파이프 형상을 갖고 상호 마주보는 면에서 수직방향으로 한 쌍의 상하 고정날개(21)로 이루어진 복수의 수평 바 결합용 브라켓(2)이 정해진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되게 용접 또는 볼트 등을 통해 고정 설치된 형태를 갖고 지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어 휀스의 기둥 역활을 수행한다.
또, 상기 수평 바(3)는 사각 파이프 형상을 갖고 서로 인접한 지주(1)들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양단부 일부가 상기 수평 바 결합용 브라켓(2)에 각각 끼워진 다음 볼트(4)와 이에 체결되는 너트(5)를 통해 지주(1)에 구비된 수평 바 결합용 브라켓(2)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사람이나 차량 등이 추락 또는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주요기술 구성요소인 상기 좌우상하 흔들림 방지 및 완충수단(6)은 도 3 내지 도 6의 (a)~(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 가이더 겸 바 연결구(61)와 한 쌍의 상하 완충용 판 스프링(62) 및 좌우 완충용 링 스프링(63)으로 구성된 형태를 갖고 상기 지주(1)들의 수평 바 결합용 브라켓(2)과 수평 바(3)의 양단부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평 바(3)가 상하좌우 측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지주(1) 또는 수평 바(3)의 상하 및 좌우 측에서 가해지거나 전달되어 오는 충격력 및 진동을 최대한 완충 및 흡수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좌우상하 흔들림 방지 및 완충수단(6)의 구성요소 중 상기 스프링 가이더 겸 바 연결구(61)는 상하 내측 폭은 상기 수평 바(3)의 상하 외면 폭과 거의 같은 폭을 갖고, 전후 내측 높이는 상기 수평 바(3)의 전후 외면 높이보다 약간 높게 형상한 짧은 사각 파이프로써, 전후면과 상하면에는 각각 볼트 통과공(611)(612)이 천공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스프링 가이더 겸 바 연결구(61)는 상기 수평 바(3)의 양단부 외측에 끼워진 상태에서 일측은 스프링 가이더 겸 바 연결구(61)의 전후면과 수평 바(3)의 전후면에 각각 천공된 볼트 통과공(611)(31)을 통해 수평방향으로 관통되게 결합되는 볼트(4)와 상기 볼트(4)에 체결되는 너트(5)에 의해 수평 바(3)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수평 바 결합용 브라켓(2)의 상하 고정날개(21)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수평 바 결합용 브라켓(2)의 상하 고정날개(21)와 스프링 가이더 겸 바 연결구(61) 및 수평 바(3)의 상하면 및 후술하는 상하 완충용 판 스프링(62)의 수평판(621)에 각각 천공된 볼트 통과공(22)(612)(32)(623)을 포함하여 좌우 완충용 링 스프링(63)에 형성된 볼트 통과홈(631)을 수직방향으로 관통되게 결합되는 볼트(4) 및 이 볼트(4)에 체결되는 너트(5)에 의해 상기 수평 바 결합용 브라켓(2)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스프링들의 가이드 기능과 수평 바(3)가 지주(1)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구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수평 바 결합용 브라켓(2)의 상하 고정날개(21)에 천공되는 볼트 통과공(22)은 수평방향에 대해 장방형으로 천공시켜 주어야만, 상기 수평 바 결합용 브라켓(2)의 상하 고정날개(21)와 스프링 가이더 겸 바 연결구(61) 및 수평 바(3)의 상하면 및 후술하는 상하 완충용 판 스프링(62)의 수평판(621)에 각각 천공된 볼트 통과공(22)(612)(32)(623)을 포함하여 좌우 완충용 링 스프링(63)에 형성된 볼트 통과홈(631)을 관통되게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볼트(4)가 상기 수평 바 결합용 브라켓(2)의 상하 고정날개(21)에 장방형으로 천공된 상기 볼트 통과공(22) 내에서 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되며 좌우 완충용 링 스프링(63)을 압축 및 팽창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수평 바(3)는 물론 상기 스프링 가이더 겸 바 연결구(61)가 두 지주(1) 사이를 좌우측으로 원활히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주(1) 또는 수평 바(3)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질 때, 상기 수평 바 결합용 브라켓(2)의 상하 고정날개(21)와 스프링 가이더 겸 바 연결구(61) 및 수평 바(3)의 상하면 및 후술하는 상하 완충용 판 스프링(62)의 수평판(621)에 각각 천공된 볼트 통과공(22)(612)(32)(623)을 포함하여 좌우 완충용 링 스프링(63)에 형성된 볼트 통과홈(631)을 관통되게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볼트(4)가 도 4의 (a) 및 도 5의 (a)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수평 바 결합용 브라켓(2)의 상하 고정날개(21)에 장방형으로 천공된 상기 볼트 통과공(22) 내에서 도 4의 (b) 및 도 5의 (b)와 같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상기 수평 바(3)는 물론 상기 스프링 가이더 겸 바 연결구(61)와 함께 일측 지주(1) 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좌우 완충용 링 스프링(63)을 압축시키며 충격력을 흡수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좌우 완충용 링 스프링(63)이 반발력(복원력)에 의해 팽창될 때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볼트(4)를 포함하여 상기 수평 바(3) 및 상기 스프링 가이더 겸 바 연결구(61)가 타측 지주(1) 측으로 원활히 이동되는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또, 상기 한 쌍의 상하 완충용 판 스프링(62)은 스프링 강판을 이용하여 중앙에 볼트 통과공(623)이 구비된 수평판(621)의 양측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호형 탄성판(622)이 일체로 절곡 형성되어 측단면이 "
Figure 112016107485747-pat00003
" 형상을 갖는 것으로, 상기 수평 바(3)의 상하 외면과 상기 스프링 가이더 겸 바 연결구(61)의 상하 내면 사이에 각각 형성된 틈새에 도 6의 (a)와 같이 탄력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수평 바 결합용 브라켓(2)의 상하 고정날개(21)와 스프링 가이더 겸 바 연결구(61) 및 수평 바(3)의 상하면 및 후술하는 상하 완충용 판 스프링(62)의 수평판(621)에 각각 천공된 볼트 통과공(22)(612)(32)(623)을 포함하여 좌우 완충용 링 스프링(63)에 형성된 볼트 통과홈(631)을 관통되게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볼트(4)와 상기 볼트(4)에 체결되는 너트(5)에 의해 고정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상하 완충용 판 스프링(62)들은 상기 지주(1) 또는 수평 바(3)들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력 또는 진동에 의해 상기 수평 바(3)들이 상하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지주(1) 또는 수평 바(3)의 상하 측으로 가해지거나 전달되어 오는 충격력이나 진동을 흡수 및 완충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스프링 가이더 겸 바 연결구(61)를 수평방향 볼트(4)를 통해 상호 결합시켜 주기 위해 상기 수평 바(3)의 전후면에 천공시켜 주는 볼트 통과공(31)은 수직방향에 대해 장방형으로 천공시켜 주어야만, 도 6의 (a)와 같은 상태에 있던 상기 수평 바(3)가 상기 스프링 가이더 겸 바 연결구(61) 내에서 도 6의 (b) 또는 도 6의 (c)와 같이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반복 이동하며 상하 완충용 판 스프링(62)들을 압축 및 팽창시키 동작을 반복하며 충격력 및 진동을 흡수 및 완충시켜 줄 수 있다.
즉, 상기 수평 바(3)들의 상하방향에서 충격력 또는 진동이 가해졌을 때, 도 6의 (a)와 같은 상태에 있던 상기 수평 바(3)가 상기 스프링 가이더 겸 바 연결구(61)의 전후면과 수평 바(3)의 전후면에 각각 천공된 볼트 통과공(611)(31)을 통해 수평방향으로 관통되게 결합되어 있는 볼트(4)를 중심으로 상기 스프링 가이더 겸 바 연결구(61) 내에서 수평 바(3)만 도 6의 (b)(c)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원활히 승강 및 하강 이동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 이와 같이 승하강 이동을 반복하며 상하 완충용 판 스프링(62)들을 압축 및 팽창시키는 동작을 반복하며 상하방향에서 가해지는 충격력 또는 진동을 상하 완충용 판 스프링(62)들을 통해 원활히 흡수 및 완충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좌우 완충용 링 스프링(63)은 스프링 강판을 이용하여 평단면이 "
Figure 112016107485747-pat00004
" 형상을 갖는 하트 봉 형태로 성형한 것으로 내측에서 수직방향으로는 평단면이 대략 "Ω" 형상을 갖는 볼트 통과홈(631)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만곡형의 두 탄성부(632)가 일체로 절곡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상기 좌우 완충용 링 스프링(63)은 도 5의 (a)와 같이 평단면이 "Ω" 형상을 갖는 볼트 통과홈(631)이 형성된 내측의 일부가 상기 수평 바(3)의 양단부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 바 결합용 브라켓(2)의 상하 고정날개(21)와 스프링 가이더 겸 바 연결구(61), 수평 바(3)의 상하면 및 상하 완충용 판 스프링(62)의 수평판(621)에 각각 천공된 볼트 통과공(22)(612)(32)(623) 및 좌우 완충용 링 스프링(63)에 형성된 볼트 통과홈(631)을 수직방향으로 관통되게 설치된 볼트(4)를 통해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 가이더 겸 바 연결구(61)의 외측으로 돌출된 만곡형의 두 탄성부(632) 중 수직방향 외면이 상기 지주(1)의 내측 외면에 탄력적으로 선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스프링 가이더 겸 바 연결구(61) 및 수평 바(3)의 내부와 상기 지주(1)의 내측 외면 사이에서 도 5의 (a)와 같이 설치된 상기 좌우 완충용 링 스프링(63)은 외부에서 상기 지주(1) 또는 수평 바(3)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충격력 또는 진동 등이 가해졌을 때 도 5의 (b)와 같이 압축되었다가 5의 (a)와 같이 다시 팽창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여 수평 바(3)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소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휀스가 설치되어 있는 주변을 쾌적한 환경으로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지주(1) 또는 수평 바(3)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가해지는 충격력 및 진동 등을 완충 및 흡수시켜 주게 됨으로써 수평 바(3)를 포함한 볼트(4) 등이 파손 및 절단되는 사고를 사전에 방지 내지 최소화할 수 있어 휀스 자체의 보수 및 교체에 따른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한 실시 예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 지주
2 : 수평 바 결합용 브라켓
21 : 상하 고정날개 22 : 볼트 통과공
3 : 수평 바 31, 32 : 볼트 통과공
4 : 볼트
5 : 너트
6 : 좌우상하 흔들림 방지 및 완충수단
61 : 스프링 가이더 겸 바 연결구 611, 612 : 볼트 통과공
62 : 상하 완충용 판 스프링 621 : 수평판
622 : 호형 탄성판 623 : 볼트 통과공
63 : 좌우 완충용 링 스프링
631 : 볼트 통과홈 633 : 탄성부

Claims (5)

  1. 상호 마주보는 면에서 수직방향으로 한 쌍의 상하 고정날개로 이루어진 복수의 수평 바 결합용 브라켓이 정해진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되게 고정 설치되어 있는 복수 지주를 지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하고, 서로 인접한 지주들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 바 결합용 브라켓에 양단부가 각각 끼워진 복수의 수평 바를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상기 수평 바 결합용 브라켓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한 형태를 갖는 휀스에 있어서,
    상기 지주들의 수평 바 결합용 브라켓과 수평 바의 양단부 사이에 수평 바가 상하좌우 측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하 및 좌우 측에서 가해지거나 전달되어 오는 충격력 및 진동을 완충시켜 흡수하는 좌우상하 흔들림 방지 및 완충수단을 더 설치하되,
    상기 좌우상하 흔들림 방지 및 완충수단은,
    상기 수평 바의 양단부 외측에 끼워진 상태에서 일측은 수평 바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수평 바 결합용 브라켓의 상하 고정날개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수평 바와 상하 완충용 판 스프링 및 좌우 완충용 링 스프링과 함께 상기 수평 바 결합용 브라켓에 고정 설치되는 스프링 가이더 겸 바 연결구와;
    상기 수평 바의 상하 외면과 상기 스프링 가이더 겸 바 연결구의 상하 내면 사이에 형성된 틈새에 탄력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수평 바 결합용 브라켓의 상하 고정날개와 스프링 가이더 겸 바 연결구 및 수평 바의 상하면을 포함하여 수평판에 각각 천공된 볼트 통과공 및 좌우 완충용 링 스프링의 볼 통과홈을 관통되게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볼트에 의해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수평 바의 상하 흔들림을 방지함과 동시에 지주 또는 수평 바의 상하 측으로 가해지거나 전달되어 오는 충격력이나 진동을 흡수 및 완충시켜 주는 한 쌍의 상하 완충용 판 스프링과;
    볼트 통과홈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내측의 일부가 상기 수평 바의 양단부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 바 결합용 브라켓과 스프링 가이더 겸 바 연결구의 상하면 및 상하 완충용 판 스프링에 각각 천공된 볼트 통과공은 물론 상기 볼트 통과홈을 수직방향으로 관통되게 설치된 볼트를 통해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 가이더 겸 바 연결구의 외측으로 돌출된 두 탄성부는 지주의 내측 외면에 탄력적으로 선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수평 바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지주 또는 수평 바의 좌우 측에서 가해지거나 전달되어 오는 충격력이나 진동을 흡수 및 완충시켜 주는 좌우 완충용 링 스프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와 수평 바 사이의 좌우상하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휀스.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 바의 전후면에 천공되는 볼트 통과공은 수직방향에 대해 장방형으로 천공하고, 상기 수평 바 결합용 브라켓의 상하 고정날개에 천공되는 볼트 통과공은 수평방향에 대해 장방형으로 천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와 수평 바 사이의 좌우상하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휀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하 완충용 판 스프링은,
    볼트 통과공이 중앙에 천공된 수평판의 양측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호형 탄성판을 일체로 절곡 형성하여 측단면이 "
    Figure 112017000529839-pat00005
    " 형상을 갖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와 수평 바 사이의 좌우상하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휀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우 완충용 링 스프링은,
    내측에서 수직방향으로 평단면이 "Ω" 형상을 갖는 볼트 통과홈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만곡형의 두 탄성부이 일체로 절곡 형성되어 전체적인 평단면이 "
    Figure 112017000529839-pat00006
    " 형상을 갖게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와 수평 바 사이의 좌우상하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휀스.
KR1020160145669A 2016-11-03 2016-11-03 지주와 수평 바 사이의 좌우상하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휀스 KR101745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669A KR101745628B1 (ko) 2016-11-03 2016-11-03 지주와 수평 바 사이의 좌우상하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669A KR101745628B1 (ko) 2016-11-03 2016-11-03 지주와 수평 바 사이의 좌우상하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휀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5628B1 true KR101745628B1 (ko) 2017-06-09

Family

ID=59220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5669A KR101745628B1 (ko) 2016-11-03 2016-11-03 지주와 수평 바 사이의 좌우상하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562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3217B1 (ko) 2018-01-24 2018-07-30 주식회사 나비드 침대프레임 결합수단
KR102066048B1 (ko) * 2019-07-26 2020-01-14 주식회사 리더스산업 수직 및 수평하중 보강형 난간 및 그 시공방법
KR102175172B1 (ko) * 2020-03-09 2020-11-06 김성호 내진 성능을 가진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WO2023192258A1 (en) * 2022-03-28 2023-10-05 Mccue Corporation Guard rail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698B1 (ko) 2009-08-20 2010-02-12 (주)오라클우드 펜스용 힌지
KR101174619B1 (ko) 2012-07-12 2012-08-16 주식회사 도영엔지니어링 충격에너지의 분배 및 흡수가 가능한 낙석방지 울타리
KR101588681B1 (ko) * 2014-10-17 2016-01-27 주식회사 성원안전산업 펜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698B1 (ko) 2009-08-20 2010-02-12 (주)오라클우드 펜스용 힌지
KR101174619B1 (ko) 2012-07-12 2012-08-16 주식회사 도영엔지니어링 충격에너지의 분배 및 흡수가 가능한 낙석방지 울타리
KR101588681B1 (ko) * 2014-10-17 2016-01-27 주식회사 성원안전산업 펜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3217B1 (ko) 2018-01-24 2018-07-30 주식회사 나비드 침대프레임 결합수단
KR102066048B1 (ko) * 2019-07-26 2020-01-14 주식회사 리더스산업 수직 및 수평하중 보강형 난간 및 그 시공방법
KR102175172B1 (ko) * 2020-03-09 2020-11-06 김성호 내진 성능을 가진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WO2023192258A1 (en) * 2022-03-28 2023-10-05 Mccue Corporation Guard rail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5628B1 (ko) 지주와 수평 바 사이의 좌우상하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휀스
KR100991868B1 (ko) 가드레일
KR101936643B1 (ko) 충격흡수 가드레일
KR102080795B1 (ko) 압축식 충격흡수형 와이어 결속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낙석방지시설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776875B1 (ko) 내진 터널 방음벽
CN101016729A (zh) 吸隔声屏障
KR101699464B1 (ko) 방진완충기능을 구비한 캔틸레버 시스템
KR101935522B1 (ko) 진동 완충형 구조물
KR100590118B1 (ko) 교량 상단의 차량충돌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KR101499459B1 (ko) 조립식 안전 볼라드
KR101630851B1 (ko) 완충형 핸드레일을 갖는 방호 울타리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036122B1 (ko) 제설차량의 제설삽용 완충장치
KR100908328B1 (ko) 도로용 안전펜스
KR200447352Y1 (ko) 낙석방지책
KR101929795B1 (ko) 차량충돌 완충장치
KR102066048B1 (ko) 수직 및 수평하중 보강형 난간 및 그 시공방법
KR101912711B1 (ko) 내진 방음벽 및 그 시공방법
CN216108077U (zh) 一种桥梁防护墙防撞装置
KR101182345B1 (ko) 충격흡수형 강재 난간레일
CN217579722U (zh) 一种桥梁阻尼器
JP4401283B2 (ja) 衝撃吸収柵
CN201679109U (zh) 一种缓冲防震装置
CN115162223B (zh) 一种具有缓冲功能的防尘隔音板及其制备方法
CN220521173U (zh) 一种道路桥梁用缓冲护栏
KR100556234B1 (ko) 터널 내부에 설치되는 차량 충격흡수 완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