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9795B1 - 차량충돌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충돌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9795B1
KR101929795B1 KR1020170052185A KR20170052185A KR101929795B1 KR 101929795 B1 KR101929795 B1 KR 101929795B1 KR 1020170052185 A KR1020170052185 A KR 1020170052185A KR 20170052185 A KR20170052185 A KR 20170052185A KR 101929795 B1 KR101929795 B1 KR 101929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ducing member
ground
deceleration
deceleration in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2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9181A (ko
Inventor
박창우
Original Assignee
박창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우 filed Critical 박창우
Priority to KR1020170052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9795B1/ko
Priority to PCT/KR2018/004618 priority patent/WO2018199560A1/ko
Publication of KR20180119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9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9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6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fixed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입구 또는 분기점 등의 도로에 설치되는 분리대의 단부에 구비되어 운전자가 분리대를 미쳐 발견하지 못하여 충돌하게 될 때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충돌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중앙분리대의 단부에 구비되는 완충수단과, 이 완충수단에 구비되어 지면을 향하도록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감속유도부재로 이루어져, 차량의 충돌 시 차량이 감속유도부재 상면을 타고 올라가면서 동력이 차단되면서 완충수단에 충돌하여 정지시키고, 차량하부와 감속유도부재와의 마찰력에 의해 속력을 감소시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충돌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충돌 완충장치{APPARATUS FOR COLLISION RELAXATION OF VEHICLES}
본 발명은 터널입구 또는 분기점 등의 도로에 설치되는 분리대의 단부에 구비되어 운전자가 분리대를 미쳐 발견하지 못하여 충돌하게 될 때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충돌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중앙분리대의 단부에 구비되는 완충수단과, 이 완충수단에 구비되어 지면을 향하도록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감속유도부재로 이루어져, 차량의 충돌 시 차량이 감속유도부재 상면을 타고 올라가면서 동력이 차단되면서 완충수단에 충돌하여 정지시키고, 차량하부와 감속유도부재와의 마찰력에 의해 속력을 감소시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충돌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를 포함하는 대부분의 도로에는 교차로 집입로나 터널, 교각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구조물에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 재산상의 피해는 물론 인명의 피해까지 초래되는 경우가 많은 실정이었다.
종래에는 각종의 구조물 전면에 차량의 충돌시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하여 폐폐타이어를 적층시켜 설치하거나, 자바라식의 충격흡수시설을 설치하여 사용하여 왔다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401522호 『도로터널입구용 차량충돌완화장치 설치구조』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터널 바깥쪽에서 입구를 향해 완만한 곡선형으로 형성되고, 전,후면에는 각각 복수의 돌기부와 평팽리브가 형성되며, 바닥면에는 상하로 관통된 복수의 슬라이드장공이 평행하게 형성된 차량이탈방지빔과, 차량이탈방지빔의 전면에 형성되는 우레탄층과, 지면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차량이탈방지빔에 형성된 슬라이드장공에 미끄럼결합하여 차량이탈방지빔을 좌우 사선방향으로 안내하고, 차량이탈방지빔을 상하방향으로 구속하는 플랜지를 갖는 가이드포스트와, 차량이탈방지빔의 후면에 형성된 평행리브와 가이드포스트 사이에 개재되고, 전,후면에 리브결합부와 포스트끼움홈을 갖는 완충블록으로 구성된 설치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271364호 『교차로 진입도로의 차량 충돌 완충장치』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차량의 진입 방향을 기준으로 일렬로 2개의 중앙부 버팀기둥과 2개의 후속 버팀기둥이 각각 기초콘크리트상에 횡방향으로 수직하게 설치되고, 각각의 중앙부 버팀기둥과 후속 버팀기둥의 상하부에 각각 가이드홀이 형성된 베어링 밴드가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홀에 각각 삽입된 상,하부 가이드바의 전단에 연결된 전방 타이어 체결대와, 전방 타이어 체결대의 후방으로 다수개의 측방 타이어 체결대가 좌우 대칭으로 펼쳐지도록 수직하게 설치되며, 전방 및 측방 타이어 체결대가 회동 가능하도록 베어링이 설치되되, 각각의 베어링 상하단의 측방으로 베어링 연결대가 직렬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삼각형을 이루는 완충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0592186호 『도로 터널입구용 차량충돌 완화장치』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도로 터널입구에 설치된 콘크리트 버팀대의 전방측에 위치되어, 지면과 콘크리트 버팀대에 앵커볼트로 고정되는 수평면과 수직면을 갖는 판체인 받침틀과, 상기 받침틀의 수평면 전방츠겡 위치된 판체로 전방내측에 충격흡수대가 고정되고, 후방측부에는 장공이 다수개 형성된 전방접이틀과, 전방측은 상기 전방접이틀의 후방 내측에 위치되어 체결볼트에 의해 장공 상에서 결합되고, 후방측은 장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후방측으로 연장된 판체인 후방접이틀과, 전방측과 후방측에 다수개의 장공이 형성되고, 전방측 장공이 후방접이틀의 장공과 체결볼트로 결합되는 판체인 연결접이틀과, 후방측이 내측으로 만곡된 아치부를 갖는 판체로 전방측면에 장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연결접이틀의 후방측 장공과 체결볼트로 결합되는 아치형접이틀과, 상기 받침틀의 수직면에 고정되어 내측에 아치형접이틀의 아치부가 안착되는 아치형접힘부를 구비한 완화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차량이 충돌할 때 충돌시의 충격을 완하하는 안전장치에 불가하고, 근본적으로 차량의 진입속도를 감소시켜 그 충격을 최소화함으로서 차량 파손을 최소화 하고 운전자의 안전을 보호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특히 이러한 종래기술들은 설치비용이 높으며, 충돌 후 유지보수의 비용 또한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도로에 설치되는 분리대 단부에 구비되는 완충수단과, 이 완충수단에 결합되어 지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복수개의 감속유도부재를 통해, 차량 진입 시, 차량이 상기 감속유도부재를 올라타도록 함으로서 지면과 이격시켜 차량의 동력전달을 끊고, 차량 하부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차량의 진입속도를 저하시킬 수 있는 차량충돌 완충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속유도부재를 복수개로 구비하되, 이들 사이에 차량의 타이어가 끼일 수 있는 이격부를 형성하고, 이 이격부의 폭이 완충수단 방향으로 점차 감소하게 구비되어 차량의 타이어 또는 휠이 끼일 수 있도록 하여 속도를 저감시키는 차량충돌 완충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감속유도부재의 상면을 곡면형으로 형성하여 차량의 바퀴가 올라타지 못하도록 하는 차량충돌 완충장치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충돌 완충장치는
분리대 단부에 구비되는 완충수단;
일단은 상기 완충수단에 구비되고 타단은 지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완충수단 전방에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며, 서로 이격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감속유도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차량 진입 시, 차량이 상기 감속유도부재를 타고 올라가, 차량 하부와, 이에 밀착되는 감속유도부재와의 마찰력에 의해 차량의 진입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충돌 완충장치는
도로에 설치되는 분리대 단부에 구비되는 완충수단과, 상기 완충수단의 전방에 구비되되 지면을 향하도록 하향 경사지게 구비된 복수개의 감속유도부재를 통하여, 차량이 진입하면, 감속유도부재를 타고 올라가 타이어가 지면과 이격되어 동력전달을 끊음으로서 차량의 진입속도를 저하시킬 수 있으며,
특히 이 감속유도부재 사이에 이격부가 형성되어 차량의 타이어 및 휠이 이 이격부에 인입됨으로서, 감속유도부재가 차량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마찰력을 발생시켜 차량의 속도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이 이격부가 완충수단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타이어 및 휠이 이격부에 끼일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속도를 완벽하게 줄일 수 있으며,
상기 감속유도부재의 상면이 곡면형으로 구성되어, 타이어가 올라타게 되더라도 어느 한 쪽으로 미끄러져 차량의 하부가 감속유도부재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 차량 파손을 최소화 시키고, 탑승자의 부상을 낮출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 및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충돌 완충장치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충돌 완충장치의 제1 실시예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충돌 완충장치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충돌 완충장치의 제2 실시예의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충돌 완충장치(A)는 교차로, 터널 등의 도로에 설치되는 분리대 단부에 구비되어 운전자가 미쳐 보지 못하고 차량을 충돌시키는 경우, 충돌시의 충격을 완화시켜 차량의 파손을 최소화하고,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서, 완충수단(10)과 상기 완충수단(10)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감속유도부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다양한 실시예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 도 1 및 도 2는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3 및 도 4는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먼저 제1 실시예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도로에 설치되는 분리대의 단부에는 완충수단(10)이 구비되며, 이 완충수단(10)의 전면, 즉 차량 진입방향의 충돌면(13)에는 복수개의 감속유도부재(20)가 지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게 된다.
먼저 이 완충수단(10)은 쿠션, 스폰지, 에어캡 등의 다양한 종류의 완충제가 내삽될 수 있는 완충부(11)를 형성하고 있으며, 도면에는 사각의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설치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차량인 진입하는 경우, 충돌하는 충돌면(13) 역시 평면이 아닌 곡선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다시, 상기 완충수단(10)의 충돌면(13)에는 고정부(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고정부(15)에 감속유도부재(20)의 일단(21)이 고정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상기 감속유도부재(20)의 일단(21)은 상기 고정부(15)에 용접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속유도부재(20)의 일단(21)에 플랜지를 형성하여 앵커볼트 등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도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15)는 상기 충돌면(13)을 기준으로 중간보다 위에 형성되어 상기 감속유도부재(20)가 지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이 또한 설치장소, 감속유도부재(20)의 길이 등에 따라 그 높이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완충수단(10)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감속유도부재(20)가 지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되, 이 감속유도부재(20)들 사이에는 이격부(26)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도면에는 이 감속유도부재(20)가 3개가 구비된 형상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설치 환경에 따라 더 많은 감속유도부재(20)를 구비할 수도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이러한 감속유도부재(20)는 상기와 같이 일단(21)이 상기 완충수단(10)의 고정부(15)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타단(23)은 지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도면에는 상기 감속유도부재(20)의 타단(23)이 지면 위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일부가 지면에 매립되어 견고하게 고정되거나, 단부에 진입안내부(28)가 구비되어 지면으로부터 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이러한 감속유도부재(20)는 파이프로 이루어져 있어 제조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때 상기 감속유도부재(20)의 상면은 곡면부(25)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도 1의 일점쇄선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속유도부재(20)의 형상이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그 상면, 즉 단면형상을 기준으로 상면에는 곡선형의 곡면부(25)가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이는 진입하는 차량의 바퀴가 상기 감속유도부재(20)의 상면을 타고 올라가는 경우, 차량의 전복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곡면형으로 이루어진 감속유도부재(20)의 상면에 의해 바퀴가 어느 한 쪽으로 미끄러질 수 있어, 결과적으로 바퀴가 이격부(26)에 안착되거나, 그 반대방향으로 미끄러져 한쪽 바퀴가 들려 차량이 전복되는 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감속유도부재(20)의 상면에는 요철, 돌기 등으로 형성된 마찰증가부재(27)를 더 구비하여 차량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이 마찰증가부재(27)는 상기 감속유도부재(20)와 일체형으로 성형되거나, 별도의 마찰증가부재(27)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차량이 진입하는 경우, 차량이 감속유도부재(20)를 타고 점차 올라가면서, 바퀴가 지면과 떨어져 차량에 전달되는 전진하는 동력을 끊을 수 있으며, 이 때 이격부(26)를 구비하여 차량의 바퀴가 이격부(26)에 안착되고, 이에 따라 차량의 하부면이 상기 감속유도부재(20)의 상면에 밀착되어 마찰력을 향상시킴으로서 차량의 진입속도를 점차적으로 감소시켜 차량이 완충수단(10)에 부딪히는 경우, 충격을 완화시키고, 진입속도가 낮은 경우에는 상기 완충수단(10)에 부딪히지 않고 차량을 멈출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보다 확실하게 차량의 진입속도를 저하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격부(26)의 폭을 상기 완충수단(10)을 향할수록 점차 감소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상기 감속유도부재(20)의 타단(23)에 형성되는 이격부(26)의 폭을 제1 폭(261)이라 하고, 상기 감속유도부재(20)의 일단(21), 즉 완충수단(10)에 위치한 부분의 폭을 제2 폭(263)이라 할 때, 상기 제1 폭(261)이 제2 폭(263)보다 크게 구성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차량의 타이어가 상기 이격부(26)에 진입하는 경우,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이격부(26)에 의하여 차량의 타이어의 크기에 따라 어느 한 지점에서 타이어의 폭이 이격부(26)의 폭보다 크게 되는 경우, 억지끼임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차량을 완벽하게 제동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차량의 타이어의 종류에 따라 제동하는 지점의 차이가 있을 뿐, 제약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범용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나아가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제2 실시예는 상기 감속유도부재(20)의 일단(21)이 상기 완충수단(10)에 고정되지 않고, 힌지수단(30)에 의해 시소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즉, 상기 감속유도부재(20)에는 힌지축(31)이 형성되고, 상기 지면에는 단부에 힌지결합부(35)를 형성하는 기둥부재(33)가 직립되어, 이 힌지결합부(35)에 힌지축(31)이 결합됨에 따라 상기 감속유도부재(20)가 힌지축(31)을 기준으로 시소운동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감속유도부재(20)의 단면형상, 상기 감속유도부재(20)에 구비되는 마찰증가부재(27)의 구비여부 및 이격부(26)의 형상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이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따라서 차량이 진입하는 경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차량의 속도가 점차 저하되고, 이 때 차량이 힌지축(31)을 통과하면, 차량의 중량에 의해 감속유도부재(20)의 일단(21)이 하강하게 된다.
즉, 차량의 진입속도가 아주 빠른 경우, 차량이 감속유도부재(20)로 형성된 경사를 따라 상승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대형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나아가 이 때 상기 감속유도부재(20)의 타단(23)이 들림에 따라 후방 차량에게 위협이 가해질 수 있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감속유도부재(20)의 타단(23)에는 지면과 연결되는 마감부재(29)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 상기 마감부재(29)는 복수개의 주름부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원부(291)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복원부(291)가 탄성력 및 신축성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서, 사고차량을 수습하면 자연스럽게 상기 감속유도부재(20)의 타단(23)이 지면으로 하강함에 따라 작업자가 별도의 유지보수 작업을 할 필요가 없으며,
이러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구비되는 감속유도부재(20)를 파이프로 구성함으로서, 충돌 후, 상기 감속유도부재(20)가 파손되어도, 교체가 용이하며 교체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상기 완충수단(10) 또는 감속유도부재(20) 또는 이들 모두의 표면에는 형광 또는 야광 기능, 또는 자체 발광기능을 구비한 발광수단(미도시)을 더 구비하여 야간에서 운전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차량충돌 완충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차량충돌 완충장치 10 : 완충수단
11 : 완충부 13 : 충돌면
15 : 고정부 20 : 감속유도부재
21 : 일단 23 : 타단
25 : 곡면부 26 : 이격부
261 : 제1 폭 263 : 제2 폭
27 : 마찰증가부재 29 : 마감부재
291 : 복원부 30 : 힌지수단
31 : 힌지축 33 : 기둥부재
35 : 힌지결합부

Claims (4)

  1. 분리대 단부에 구비되는 완충수단;
    일단은 상기 완충수단에 구비되고 타단은 지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완충수단 전방에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며, 서로 이격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감속유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차량 진입 시 차량이 상기 감속유도부재를 타고 올라가, 차량 하부와 이에 밀착되는 감속유도부재와의 마찰력에 의해 차량의 진입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충돌 완충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속유도부재에 구비되는 힌지축과, 상기 지면에 직립 설치되어 상기 힌지축에 힌지결합하는 힌지결합부가 구비된 기둥부재를 포함하는 힌지수단; 이 더 구비되어,
    상기 감속유도부재에 차량이 진입하면, 차량의 중량에 의해 상기 감속유도부재가 힌지축을 기준으로 시소운동을 하여 바퀴가 지면과 떨어져 차량에 전달되는 동력을 끊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감속유도부재의 상면에는 마찰증가부재가 구비되어 차량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고,
    상기 감속유도부재의 상면에는 곡면부가 형성되어 있어 진입하는 차량의 바퀴가 감속유도부재의 상면에 의해 바퀴가 어느 한 쪽으로 미끄러지도록 하며,
    상기 복수개의 감속유도부재들 사이에 형성되고 진입하는 차량의 바퀴가 지면과 떨어져 안착되는 이격부는 지면에서 상기 완충수단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도록 이루어져서 차량 바퀴의 타이어의 폭이 이격부의 폭보다 큰 지점에서 억지끼임이 발생되어 차량의 완벽한 제동이 이루어지고,

    상기 감속유도부재의 타단에는 지면과 연결되는 마감부재가 구비되고, 이 마감부재는 복수개의 주름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탄성력 및 신축성을 갖는 복원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충돌 완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 또는 감속유도부재, 또는 이들 모두의 표면에는 형광 또는 야광 기능, 또는 자체 발광기능을 구비한 발광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충돌 완충장치.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유도부재는 파이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충돌 완충장치.
KR1020170052185A 2017-04-24 2017-04-24 차량충돌 완충장치 KR101929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185A KR101929795B1 (ko) 2017-04-24 2017-04-24 차량충돌 완충장치
PCT/KR2018/004618 WO2018199560A1 (ko) 2017-04-24 2018-04-20 차량충돌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185A KR101929795B1 (ko) 2017-04-24 2017-04-24 차량충돌 완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181A KR20180119181A (ko) 2018-11-02
KR101929795B1 true KR101929795B1 (ko) 2018-12-17

Family

ID=63920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185A KR101929795B1 (ko) 2017-04-24 2017-04-24 차량충돌 완충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29795B1 (ko)
WO (1) WO20181995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17053B (zh) * 2022-07-08 2023-09-01 湖北塞弗精工科技有限公司 一种被动式矿用轮式车辆制动器
CN115509318B (zh) * 2022-10-20 2023-07-21 江苏电子信息职业学院 一种可移动人工智能计算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80744A (ja) * 2012-10-15 2014-05-08 Hanai Co Ltd 車両強制停止装置
JP2016125333A (ja) * 2015-01-07 2016-07-11 株式会社ハナイ 車両強制停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6970B1 (ko) * 1999-11-29 2003-03-26 이종태 도로용 충격흡수장치
KR101053878B1 (ko) * 2009-03-13 2011-08-03 장기숙 도로용 충격흡수장치
JP3176349U (ja) * 2012-04-06 2012-06-14 株式会社花井製作所 車両強制停止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80744A (ja) * 2012-10-15 2014-05-08 Hanai Co Ltd 車両強制停止装置
JP2016125333A (ja) * 2015-01-07 2016-07-11 株式会社ハナイ 車両強制停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181A (ko) 2018-11-02
WO2018199560A1 (ko) 2018-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2533B1 (ko) 확산형 충격흡수장치
KR100869344B1 (ko) 도로용 충격흡수장치
KR20140103274A (ko) 차량 캐치 시스템 및 방법
KR101929795B1 (ko) 차량충돌 완충장치
KR20150111765A (ko) 방호울타리 단부처리용 차량충돌완충장치
KR20080109207A (ko) 충격흡수기능이 구비된 가드레일장치
KR101847463B1 (ko) 차량충돌 완충장치
KR101466046B1 (ko) 차량 방호울타리 완충장치
KR100847736B1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KR101630852B1 (ko) 탄성 지주를 이용한 방호 울타리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630851B1 (ko) 완충형 핸드레일을 갖는 방호 울타리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644909B1 (ko) 방호울타리 단부처리용 차량충돌완충장치
KR101134563B1 (ko) 가드레일 장치
KR101411424B1 (ko) 브레이크패드를 구비한 방호울타리 단부처리용 차량충돌완충장치
KR101507481B1 (ko) 충격흡수용 도로 방호대
KR101294724B1 (ko) 차량 방호 울타리
KR101267446B1 (ko) 가드레일 전방부의 차량 충돌시 충격흡수장치
JP4349753B2 (ja) 防護柵端部緩衝装置
KR101613275B1 (ko) 가드 레일의 회전식 충격 완충 장치
KR102185578B1 (ko) 가드레일에 대한 충격흡수 및 승월방지를 위한 가드레일 보강구조
KR20070099909A (ko) 도로 분리 경계용 충격흡수장치
KR200387087Y1 (ko) 가이드레일용 충격흡수대
KR200287801Y1 (ko) 가이드레일의 충격흡수 및 간격부재
KR20200028740A (ko) 차량충돌 완충장치
KR20190073193A (ko) 충격흡수 고정수단이 구비된 차량 방호울타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