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3922A - 소화 용기 및 소화 용기를 실용적 방식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소화 용기 및 소화 용기를 실용적 방식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3922A
KR20140023922A KR1020137026618A KR20137026618A KR20140023922A KR 20140023922 A KR20140023922 A KR 20140023922A KR 1020137026618 A KR1020137026618 A KR 1020137026618A KR 20137026618 A KR20137026618 A KR 20137026618A KR 20140023922 A KR20140023922 A KR 20140023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extinguishing
compartment
operating state
f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6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실바 슈미트
Original Assignee
실바 슈미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실바 슈미트 filed Critical 실바 슈미트
Publication of KR20140023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39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8/00Hand tool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fire-fighting, e.g. tool boxes
    • A62C8/005Receptacles or other utensils for water carrying; Bombs filled with extinguish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9/00Hand fire-extinguishers in which the extinguishing substance is expelled by an explosion; Exploding containers thrown into the fi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28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with delivery of fire extinguishing material by air or aircraft
    • A62C3/025Fire extinguishing bombs; Projectiles and launch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소화제를 위한 폐쇄가능한 충전 개구(2)를 갖는 소화 용기(1)에 관한 것이다. 상기 소화 용기는 비충전된 수납 상태(3)에서의 변형성 및 상기 소화 용기에 소화제가 채워진 작동 상태(4)에서의 치수 안정성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변형성은 증가하는 충전 정도에 따라 그리고 폭발제를 수용하기 위한 구획실(6)에 의해 감소한다. 상기 구획실은 적어도 작동 상태(4)에서 용기 내부(5)에 배치되고 상기 소화 용기(1)의 외면(8) 상에 또는 외측에 폐쇄가능한 개구(7)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단계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소화 용기(1)를 수납 상태(3)에서 작동 상태(4)로 변형시키고, 그리고 구획실(6)에 폭발제를 배치하고 상기 폭발제용 점화기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화재 진압을 위해 소화 용기를 사용가능하게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화 용기 및 소화 용기를 실용적 방식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EXTINGUISHING CONTAINER AND METHOD FOR PROVIDING SAID EXTINGUISHING CONTAINER IN A SERVICEABLE MANNER}
종래 기술에 따르면, 공중에서 야외화재를 진압하기 위하여, 한편으로는 특수 소화제 탱크를 갖춘 소방 항공기 사용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러한 소방 항공기가 어디에서나 사용가능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예를 들어 후방 플랩을 통해 또는 항공기 동체 아래에 부착된 운반 프레임으로부터 수송 화물을 투하할 수 있도록만 구성된 항공기도 사용된다.
WO97/06858호는 소화제와 장약이 제공된 폭발 자루가 화재의 발생원 위에 투하되도록 로프에 의해 헬리콥터에 현수되고, 원하는 고도에서 소화제를 방출하기 위하여 고도-트리거 장약 뇌관을 통해 폭발하도록 이루어지는, 공중에서 화재를 진압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절차의 단점은 물 또는 첨가제가 제공된 물과 같은 액체 소화제의 경우, 채워진 자루가 실질적으로 로프에 매달린 채 화재 장소로 헬리콥터에 의해서 운송될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반대로, 액체 소화제가 채워진 자루를 항공기의 화물 영역에 적재하는 것은 어려운데, 그 이유는 채워진 자루는 매우 무겁고 상기 자루의 유연성으로 인해 상기 화물 영역 내의 어려운 작업을 통해 적소에 고정하기가 힘들기 때문이다. 화재 진압은 시간이 관건인 과정이므로, 시간이 많이 걸리는 수송 화물 고정 대책은 불리하다. 더 특별한 단점은 한편으로는 항공기 이동 및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자루를 움직일 때 미끄럼 이동을 통해 상기 소화제가 제어 불가능하게 요동(slosh)하기 시작할 수 있으므로, 채워진 자루가 효과적인 화재 진압을 위해 필요한 높은 빈도로 투하될 수 없다는 점이다.
DE10247158A1호는 소화제가 채워진 자루가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자루 내부에 장약이 작은 자루를 통해 삽입되는 소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여기서도 단점은 소화제가 채워진 후의 직물 자루의 처리이다. 일체형으로 제조된 플라스틱 소화 용기도 여기에서 언급되어 있다. 일체형으로 제조된 플라스틱 용기를 이용하는 것은 용기당 소화제의 필요 용적으로 인해, 뿐만 아니라 용기의 필요 개수 때문에, 상기 용기가 공간 절약 방식으로 보관될 수 없는 단점을 야기한다. 또한, 채워지지 않은 용기의 용적이 채워진 용기의 용적만큼 커서, 수송 용적당 소화 용기의 수를 대폭적으로 감소시키기 때문에, 화물의 낙하에 필요하게 설계되지 않은 순수한 화물기로 다른 지리학적인 지역에서 강성 소화 용기를 공수하는 것은 비용이 매우 많이 소요된다. 제조하는데 훨씬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수송 목적에 최적화된 외부 용기와 특수 수밀 내부 용기의 DE10247258A1호에 개시된 조합은 수납에 요구되는 공간 문제 및 흔히 소화제 충전 현장으로의 시간이 관건인 운송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
또한, DE19915840A1호는 화재의 발생원 위에 투하하기 위한 폭발제를 갖는 소화제 용기를 개시하고 있고, 상기 소화제 용기는 원뿔 형상이고 상기 폭발제는 원뿔의 끝에 수용된다. 이러한 소화 용기로 효율적인 소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폭발제를 지닌 원뿔의 끝이 상방향으로 향하는 것을 보증하는 조향 낙하산으로 상기 용기를 투하할 필요가 있다. 조향 낙하산은 난류를 특징으로 하는 화재 위에서의 공기 이동의 결과로 종종 원하는 효과를 달성하지 못한다는 점, 및 상기 조향 낙하산의 사용은 증가된 재료와 물류 비용과 관련된 점을 차치하더라도, DE19915840A1호는 이들이 강성이나 유연성인지의 여부에 대한 어떠한 상세 사항도 개시하고 있지 않다. 상기 선택된 원뿔 형상은 보관, 운송, 및 투하할 때 상기 용기의 처리가 개시된 발명의 중점 사항이 아니라는 것을 나타낸다. 오로지 여기에 개시된 것은 소화제에서 폭발의 양호한 분산 효과를 위한 용기의 바람직한 원뿔 형태이고, 베이스에서 구체적인 파쇄 지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용기의 특성에 대해 어떠한 것도 개시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전술한 단점을 제거하고, 한편으로는 공간 절약 방식으로 수납되고 수송 용적 단위당 많은 수로 소화제 충전 현장으로 이동되고, 또한 현장에서 소화제가 충전된 후에 장약이 제공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충전된 상태에서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항공기의 화물 영역에 적재되고 항공기 화물 영역에서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고정 대책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간단한 운반 프레임으로 나르는데 적절하고 이에 따라 높은 빈도로 투하될 수 있는 소화 용기를 제공하여, 소화 효율성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이는 청구범위 제1항에 따른 소화 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추가적인 이점의 실시예는 종속 청구범위에 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 용기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벽에 비해 안정되어 상기 용기의 치수 안정성에 기여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성의 베이스 플레이트 대신에, 유연성 베이스를 사용할 수도 있고, 상기 유연성 베이스의 에지는 강성 프레임에 의해 단지 둘러싸인다. 적어도 상기 용기의 벽은 접혀질 수 있고 평면이다. 따라서, 비충전 상태에서, 상기 소화 용기는 베이스를 제외하고 접혀져서 수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용기의 베이스를 유연하게 하여 상기 베이스를 프레임화하지 않고 처리할 수도 있다. 상기 용기의 상측에 충전 개구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충전 개구는 개구를 폐쇄하기 위하여 충전 커버를 위한 외부 나사를 갖는 연결부로서 설계될 수도 있다. 액체 소화제가 채워지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소화 용기는 유연성을 점점 잃게 되어 작동 상태에서 최종적인 치수 안정 형태로 된다.
상기 치수 안정성은 충전 커버에서의 밸브를 통해 상기 용기 내부의 소화제에 약간의 과잉 압력을 가함으로써 증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획득되고 최적화된 작동 상태에서, 상기 소화 용기는 용기에 포함된 소화제의 제어 불가능한 요동없이 항공기의 화물 영역에 용이하게 적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워진 소화 용기는 일부 상황에서 저킹(jerking) 운동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의 발생원으로의 운송 동안에도 서로 나란히 안정되게 세워지지만, 상기 소화 용기는 화물 영역의 간단한 선반 상에서 및 항공기 동체 아래의 간단한 운반 프레임에서 상부에 서로 적층될 수도 있다. 상기 작동 상태에서 소화 용기의 치수 안정성으로 인해, 바람직하게는 블록 형상이나 직육면체인 상기 견고하게 채워진 소화 용기는 기술적인 도움을 받아 항공기의 내부나 외부의 투하 지점으로 신속하게 밀리거나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원통형 용기가 수송에 적합하며, 원통형 용기는 항공기의 화물 영역에서 그 원통형 베이스로 세워진 상태로 수용될 수 있고, 적재 또는 항공기 내부의 투하 해치로의 이동 과점에서 눕혀져서 측면으로 더 갈 수 있어서 유리하다.
물론, 상기 수납 상태에서 유연하고 상기 작동 상태에서 치수 안정적인 소화 용기는, 종래의 모든 이점이, 더 특히 상기 소화 용기를 액체 소화체로 채운 후에 상기 용기의 중심으로 단지 삽입된 폭발제에 의해 소화제를 방출하기 위해 구상되는 폭발을 트리거링하는 가능성이 확실하게 남아 있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소화 용기 내부의 나머지로부터 분리되는 구획실이 구상되고, 상기 구획실은 소화 용기의 외면에 폐쇄가능한 개구를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일 실시예에서, 일단에서 폐쇄되고 적절한 연결부 또는 적어도 상기 용기의 개구를 통해 상기 용기의 중앙에서 끝나는 튜브를 상기 용기에 나사-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소화 용기의 치수 안정성에 대해 이점인 압력 인가는 장약의 도입 후에만 이루어진다.
소화제 충전을 위해 소화 용기의 이 동일 개구를 사용하고, 그 후, 튜브 도입을 위해 이 개구를 사용하는 것이 더 유리하며, 튜브는 충전 커버에 통합되고 상기 충전 커버를 향해 개방되고 그 하단에서 폐쇄되며, 상기 튜브 길이는 소화 용기 높이의 절반 정도이고, 이에 따라 상기 폐쇄된 단부는 소화제에서 양호한 폭발 분산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소화 용기의 중앙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의 실시예에서, 상기 충전 개구는 일단에서 폐쇄된 파이프에 나사-결합시 폐쇄된다. 장약이 제공될 수 있는 상기 파이프의 개구는 충전 커버 내에 남게 된다. 이는 폭발제의 도입 및 점화기의 적용 전에 소화제로 이미 채워진 소화 용기에 압력을 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에 의하여 작동 신뢰성을 증가시킨다. 상기 충전 커버에 통합되고 압력을 가하기 위한 밸브는 주로 나사산 형태로 된 충전 커버의 외부 에지와 튜브 개구 사이에 위치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상기 충전 커버에서의 튜브 단부가 용기 위로 돌출하는 경우, 상기 밸브는 충전 커버가 아니라 튜브 단부에 횡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튜브의 개구는 상기 개구가 고정 커버로 폐쇄되게 하기 위하여 장약용 고도-트리거 점화기를 배치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점화기를 위해 필요한 트리거 고도가 외부로부터 직접 프로그램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커버에 점화기용 전자부품을 통합할 수도 있다.
먼저, 본 발명은 공간 절약을 가능하게 하고, 이에 의하여 야외화재의 잠재 발생원을 포함하는 영역에서, 더 특히 산불의 위험이 현저한 영역에서 수조의 부근에서 소화 용기의 비용 효율적인 수납을 가능하게 하고, 동시에 화재 위에 높은 빈도로 투하하는 경우에서뿐만 아니라 단지 운송에 적합한 특수 장비 없이 항공기에 적재할 때 신속하면서 신뢰가능한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안전상의 이유로, 상기 소화 용기는 장약 및 점화기와 별도로 보관될 수 있고, 폭발제와 점화기가 최종적으로 제공되기 전에 현장에서 상기 소화 용기에 액체 소화제가 채워지고 압력이 인가되어, 상기 소화 용기의 치수 안정적인 작동 상태를 보장한다.
또한, 상기 작동 상태에서의 치수 안정성은 하나의 주름 폴드, 바람직하게는 서로에 대하여 균일하게 이격된 많은 주름 폴드를 통해 증가될 수 있다. 동시에, 이러한 실시예의 이점 형태는 상기 소화 용기가 더 제어되며 간단한 방식으로 상기 작동 상태에서 수납 상태로 그리고 그 반대로 전환될 수 있는 이익을 갖는다.
상기 소화 용기의 실시예의 특별한 이점 형태는 상기 작동 상태에서 소화제의 압력을 통해 변형가능한 벽과, 벽 섹션으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한 강성 지지부를 갖는 구획실을 구비하는 것이고, 상기 구획실의 용적은 소화제의 증가하는 압력에 따라 감소한다. 따라서, 상기 소화 용기에 이미 위치되고 폭발제로 채워진 구획실은 소화 용기의 충전 시에 압축되어, 상기 폭발제가 소화 용기의 중앙에서 대략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고, 벽으로서뿐만 아니라 로드, 프레임 등으로 설계될 수 있고 상기 폭발제의 위치까지 바람직하게 연장되는 지지부로 인해 언급할 만한 정도로 부유될 수 없게 된다.
실시예의 특별한 장점 형태는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변형된 벽(10) 및 치수 안정된 베이스(9)를 갖는 수납 상태(3)에서의 소화 용기(1)의 측면도이다. 또한, 충전 개구(2)를 볼 수 있다. 여기에서 미도시된 것은 상기 용기의 내부(5)에서의 구획실(6)이다.
도 2는 치수 안정된 벽 섹션(10), 치수 안정된 베이스(9), 충전 개구(2), 충전 커버(12)와 그 외부 에지(15), 충전 밸브(13), 과잉 압력 밸브(14), 및 상기 용기의 내부(5)에, 고정 커버(11)에 의해 폐쇄되는 개구(7)를 갖고 폭발제를 수용하기 위한 구획실을 갖는 작동 상태(4)에서의 소화 용기(1)의 측면도이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실시예의 형태에서, 상기 구획실(6)의 개구(7)는 충전 개구(2) 내에 위치되고, 이러한 고정 커버(11)에 대응하여 충전 커버(12)에 배치된다. 상기 소화 용기(1)를 소화제로 충전하는 것은 상기 충전 개구(2)의 전체 루멘을 통해 초기에 일어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화 용기(1)가 거의 완전히 채워진 경우에만, 상기 충전 개구(2)가 충전 커버로 폐쇄되고, 이에 의하여 동시에 상기 충전 커버(12)에 통합된 원통형 구획실(6)이 상기 용기의 내부(5)로 이동된다. 또한, 소화제가 대응하게 설계된 과잉 압력 밸브(14)를 통해 방출될 때까지 소화제는 상기 충전 밸브(13)를 통한 압력 하에서 이제부터 상기 용기의 내부(5)에 채워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작동 상태(4)에서 소화 용기(1)의 최적의 치수 안정성이 보장된다.
도 3은 그 내부에 통합된 고정 커버(11)를 갖는 충전 커버(2)의 위에서 본 도면이다. 상기 충전 커버(12)의 외부 에지(15)와 고정 커버(11) 사이에 충전 밸브(13)와 과잉 압력 밸브(14)가 배치된다.
도 4는 소화 용기(1)의 베이스 영역(16)의 위에서 본 도면이고, 이에 의해 방향을 위하여 상기 충전 개구(2)의 위치가 또한 도시되어 있다.
도 5도 2와 같은 도면으로서, 도 5는 이러한 경우에 상기 소화 용기(1)의 실시예의 장점 형태가 도시되어 있고, 상기 구획실(6)이 변형가능한 벽(12) 및 벽으로서 설계된 지지부(13)를 갖고, 직사각형으로 나타낸 폭발제와 퓨즈는 소화제를 통해 증가되는 압력 및 상기 구획실의 용적 감소에 의해 변형된 벽(12)을 통해 상기 구획실(6)의 하부에 고정되는 차이를 갖는다.
도 6a는 균일하게 이격된 원주방향 주름 폴드(fold)(14)를 갖는 실시예의 장점 형태로 펼쳐진 소화 용기(1)의 정면도이다.
도 6b는 균일하게 이격된 원주방향 주름 폴드(14)를 갖는 실시예의 장점 형태로 압축된 소화 용기(1)의 정면도이다.

Claims (14)

  1. 액체 소화제를 위한 폐쇄가능한 충전 개구(2)를 갖는 소화 용기(1)이며,
    비충전된 수납 상태(3)에서의 변형성 및 상기 소화 용기에 소화제가 채워진 작동 상태(4)에서의 치수 안정성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변형성은 폭발제를 수용하기 위한 구획실(6)에 의해서뿐만 아니라 증가하는 충전 정도에 따라 감소하고, 상기 구획실은 적어도 작동 상태(4)에서 상기 용기의 내부(5)에 배치되고 상기 소화 용기(1)의 외면(8) 상에 또는 외측에 폐쇄가능한 개구(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용기(1).
  2.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9)는 상기 소화 용기(1)의 벽 또는 벽들(10)에 비해 보강되고 치수 안정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용기(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상태(4)에서 기본적으로 직사각형 베이스 영역(16)과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특징으로 하거나, 또는 상기 작동 상태(4)에서 기본적으로 원형 베이스 영역(16)과 대략 원통형 형상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용기(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실(6)의 개구(7)는 분리가능한 고정 커버(11)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용기(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개구(2)는 충전 밸브(13)와 과잉 압력 밸브(14)를 갖는 분리가능한 충전 커버(12)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용기(1).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실(6)의 개구(7)는 충전 커버(12)에 또는 그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용기(1).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실(6)은 원통형 형상이고, 그 외경은 상기 충전 개구(2)의 내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용기(1).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실(6)의 길이는 작동 상태(4)에서 상기 용기 높이의 절반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용기(1).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밸브(13)와 과잉 압력 밸브(14)는 상기 충전 커버(12)의 외부 에지(15)와 구획실(6)의 개구(7)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용기(1).
  10.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폭발제용 고도-트리거 점화기는 상기 구획실(6)에,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커버(11)의 부근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용기(1).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 또는 벽들(10)은 적어도 하나의 기형성된 원주방향 주름 폴드(14)를, 바람직하게는 더 많은 이러한 주름 폴드(14)를 갖고, 이 주름 폴드들은 서로에 대하여 균일하게 이격되고 상기 작동 상태(4)에서 치수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상기 작동 상태(4)와 수납 상태(3) 사이에서의 변화를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용기(1).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실(6)은 작동 상태(4)에서 상기 소화제의 압력 하에서 변형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벽(12)과, 바람직하게는 벽 형태의 강성 지지부(13)를 갖고, 상기 구획실(6)의 용적은 소화제의 증가하는 압력에 따라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용기(1).
  13. 공중에서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소화 용기를 바로 사용할 수 있게 제공하는 방법이며,
    i)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소화 용기(1)를 수납 상태(3)에서 작동 상태(4)로 변형시키는 단계; 및
    ii) 구획실(6)에 폭발제를 배치하고 상기 폭발제용 점화기를 적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i) 단계와 ii) 단계 사이에서 또는 상기 ii) 단계 후에, i-a) 또는 iii) 상기 소화 용기(1)의 치수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소화 용기(1)에 압력을 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37026618A 2011-03-14 2011-11-21 소화 용기 및 소화 용기를 실용적 방식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201400239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1003933.1 2011-03-14
DE202011003933U DE202011003933U1 (de) 2011-03-14 2011-03-14 Löschbehälter
PCT/DE2011/002003 WO2012122957A2 (de) 2011-03-14 2011-11-21 Löschbehälter und verfahren zu dessen einsatzfähiger bereitstell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922A true KR20140023922A (ko) 2014-02-27

Family

ID=45020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6618A KR20140023922A (ko) 2011-03-14 2011-11-21 소화 용기 및 소화 용기를 실용적 방식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140000915A1 (ko)
EP (1) EP2686075A2 (ko)
JP (1) JP2014512209A (ko)
KR (1) KR20140023922A (ko)
CN (1) CN103687651A (ko)
AU (1) AU2011362382A1 (ko)
BR (1) BR112013023493A2 (ko)
CA (1) CA2829995A1 (ko)
DE (2) DE202011003933U1 (ko)
IL (1) IL228355A0 (ko)
MX (1) MX2013010515A (ko)
RU (1) RU2013145609A (ko)
WO (1) WO201212295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9663B1 (ko) * 2016-03-23 2018-02-28 대한민국(관리청: 특허청장, 승계청: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산불 진화용 공중투하 소화탄
CN113559437A (zh) * 2021-06-25 2021-10-29 湖南防灾科技有限公司 可收缩的轻质自吸式航空灭火装置及使用方法
CN218155785U (zh) * 2022-09-15 2022-12-27 周军现 一种气动灭火弹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65036A (en) * 1921-03-02 1925-12-08 Tank Henry Fire-extinguishing grenade
US3833064A (en) * 1972-08-01 1974-09-03 J Ranney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JPS532479Y2 (ko) * 1973-03-30 1978-01-23
US4428507A (en) * 1981-05-19 1984-01-31 Sneider Vincent R Collapsible container with accordion pleated sidewalls, air vent and swivel valve outlet
US4589496A (en) * 1984-04-30 1986-05-20 Rozniecki Edward J Fire suppressant valve using a floating poppet
CN2074652U (zh) * 1990-09-29 1991-04-10 华东工学院 手抛式液体灭火器
ES2026393A6 (es) * 1990-10-30 1992-04-16 Garcia Calvo Benigno Dispositivo de extincion y prevencion de incendios.
CZ281820B6 (cs) * 1993-04-20 1997-02-12 Alfa & Beta S. R. O. Tlakový obal, zejména pro hasicí látky
US5667101A (en) * 1995-05-19 1997-09-16 The Coca-Cola Company Collapsible bottle
AU724899B2 (en) 1995-08-14 2000-10-05 Karp, Egon Method and device for fighting fires from the air
JPH10118209A (ja) * 1996-10-16 1998-05-12 Supiritsuto Kk 空中散布式消火装置
JPH10118210A (ja) * 1996-10-24 1998-05-12 Supiritsuto Kk 投てき消火用具
JPH11268741A (ja) * 1997-11-18 1999-10-05 Inaba Denki Sangyo Co Ltd 容 器
US6012531A (en) * 1998-04-20 2000-01-11 Ryan; James W. Fire extinguishing bomb
DE19915840A1 (de) 1999-04-08 2000-10-12 Anton Neumeir Verfahren und Gerät zum Löschen von Waldbränden aus der Luft
DE10247158A1 (de) 2002-10-09 2004-04-22 Pohler, Carl, Dipl.-Ing. Löschvorrichtung
JP2004129860A (ja) * 2002-10-10 2004-04-30 Miyata Ind Co Ltd 消火器
JP4339610B2 (ja) * 2003-02-25 2009-10-07 株式会社ダイゾー 液状体噴射アダプター
BRPI0406354A (pt) * 2004-10-25 2006-06-13 Ramatis Piscirilli Ramos processos de combate de focos de calor e/ou incêndios de qualquer magnitude, e equipamentos para operacionalização, equipamentos para extinção, e composições de extinção resultantes - projeto salamandras
US7261165B1 (en) * 2006-09-13 2007-08-28 Benjamin Black Appartus for fighting forest fires
US20080087444A1 (en) * 2006-10-12 2008-04-17 Held Jerry M New technique for fire fighting-large scale open fires
EP1946800A1 (en) * 2007-01-19 2008-07-23 Komvoort B.V. Fire protection system
US8783185B2 (en) * 2009-06-11 2014-07-22 Raytheon Company Liquid missile projectile for being launched from a launching device
CN101624101A (zh) * 2009-07-30 2010-01-13 刘传家 一种容器
CN201572464U (zh) * 2009-11-06 2010-09-08 四川威特龙消防设备有限公司 手投式液体灭火弹
GB2475566B (en) * 2009-11-24 2013-09-04 Aquatina Ltd Container and vending machine
CN201719729U (zh) * 2010-07-30 2011-01-26 秦顺明 灭火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86075A2 (de) 2014-01-22
IL228355A0 (en) 2013-12-31
DE202011003933U1 (de) 2011-10-24
BR112013023493A2 (pt) 2016-12-06
CA2829995A1 (en) 2012-09-20
RU2013145609A (ru) 2015-04-20
WO2012122957A3 (de) 2013-11-14
AU2011362382A1 (en) 2013-10-31
US20140000915A1 (en) 2014-01-02
CN103687651A (zh) 2014-03-26
WO2012122957A2 (de) 2012-09-20
MX2013010515A (es) 2013-12-16
JP2014512209A (ja) 2014-05-22
DE112011105034A5 (de) 2013-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0034B2 (en) Aerial delivery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7854242B2 (en) Device for discharging tire sealant from a container
US8973670B2 (en) Fire suppression system
ES2774042T3 (es) Paquete de rescate aéreo desplegable
KR101312007B1 (ko) 비행중 방출하기 위한 혼합물을 저장하기 위한 항공수송이가능한 탱크
US20210114802A1 (en) Expandable-volume liner for a collapsible liquid holding tank
KR20190001611A (ko) 다목적 공중 투하 무인항공기
KR20140023922A (ko) 소화 용기 및 소화 용기를 실용적 방식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
US20140301669A1 (en) Tubular Multipurpose Pressurizable Reusable Collapsible Container and Method of Transporting or Storage
US9004189B2 (en) Protective device having a pressure tank
US20090304308A1 (en) Flexible Fabric Shipping and Dispensing Container
JP2017522218A5 (ko)
EP2813265B1 (en) Fire extinguishing device
GB2404431A (en) Blast and fragmentation suppression device
US20190308044A1 (en) Potassium salt fire suppression solution with vermiculite
JP2008532853A (ja) タンク貯蔵槽内における燃料などの危険物質保護システム
US6158521A (en) Portable fire-fighting container with folding funnel
USH141H (en) Fast dispensing fire extinguisher
GB2300564A (en) Portable fire extinguisher
KR101927966B1 (ko) 화물낭 공중투하장치
JPH05246482A (ja) 環境を危険にさらす物質を運搬し貯蔵する方法ならびに装置
LT6797B (lt) Gaisrų masyvų gesinimo iš orlaivio sistema
HUP0402469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inguishing fire and/or decontaminating the environment from damaging materials
IT1262731B (it) Artifizio antincendio con carica pirotecnica per la distribuzione dell'estinguen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