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2893A - 점착 테이프 포장백 - Google Patents

점착 테이프 포장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2893A
KR20140022893A KR1020137030199A KR20137030199A KR20140022893A KR 20140022893 A KR20140022893 A KR 20140022893A KR 1020137030199 A KR1020137030199 A KR 1020137030199A KR 20137030199 A KR20137030199 A KR 20137030199A KR 20140022893 A KR20140022893 A KR 20140022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tape
adhesive
packaging bag
edge
s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0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1726B1 (ko
Inventor
다카후미 미야치카
히로유키 다케토미
Original Assignee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22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2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1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1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72Packaging of dressings
    • A61F13/00076Packaging of adhesive dressings
    • A61F13/0008Packaging of adhesive dressings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the removal of the packaging and release li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72Packaging of dressings
    • A61F13/00076Packaging of adhesive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46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kin-adhering layer
    • A61F13/025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kin-adhering layer having a special distribution arrangement of the adhes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5/00Auxiliary appliances for wound dressings; Dispensing containers for dressings or bandages
    • A61F15/001Packages or dispensers for bandages, cotton balls, drapes, dressings, gauze, gowns, sheets, sponges, swabsticks or tow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5/00Auxiliary appliances for wound dressings; Dispensing containers for dressings or bandages
    • A61F15/001Packages or dispensers for bandages, cotton balls, drapes, dressings, gauze, gowns, sheets, sponges, swabsticks or towels
    • A61F15/002Packages or dispensers for bandages, cotton balls, drapes, dressings, gauze, gowns, sheets, sponges, swabsticks or towels dispensers for web or tape like band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5/00Auxiliary appliances for wound dressings; Dispensing containers for dressings or bandages
    • A61F15/005Bandage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7053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olyisobutylene, polystyre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Packag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Bag Fram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artons (AREA)

Abstract

개봉이 용이하며, 또한, 점착 테이프의 첩부가 용이한 신규 점착 테이프 포장백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점착 테이프 포장백 (10) 은, 지지체 (18) 와, 그 지지체 (18) 의 일방의 면에 형성된 점착제층 (12) 을 갖는 점착 테이프 (14) 를 수용하고, 점착제층 (12) 에 박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박리 시트 (16) 로 구성되어 있다. 또, 박리 시트 (16) 가 점착 테이프 (14) 와 함께 접히고, 이 접힌 박리 시트 (16) 의 내측에 점착 테이프 (14) 가 봉해져 있다. 박리 시트 (16) 를 개방하였을 때, 점착 테이프 (14) 의 점착제층 (12) 의 절반이 확실하게 노출되도록, 그 절반 부분에는, 서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임시 고정부 (50 ∼ 54) 에 의해 임시 고정이 실시되어 있다.

Description

점착 테이프 포장백{ADHESIVE TAPE PACKAGING BAG}
본 발명은, 지지체에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테이프를 포장하는 포장백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여러 가지 형태로 이루어지는 점착 테이프가 알려져 있고, 라벨, 의료용, 화장용, 장식용, 마스킹용, 전자 공업용, 그 외 여러 가지 용도에 사용되고 있다. 의료용에서 사용되는 점착 테이프로는, 파프제, 플라스터제, 반창고, 서지칼 테이프 등의 첩부제의 형태이고, 통상 피부, 점막 등에 첩부된다.
이와 같은 점착 테이프는 통상, 지지체와, 그 지지체의 일방의 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테이프, 및, 점착제층에 박리 가능하게 부착된 박리 시트로 구성된다. 점착 테이프는 제조된 후, 적당한 크기로 재단되어, 위생적이며 또한 물리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포장백에 넣어진 상태에서 유통되고, 판매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사용시에는, 포장백을 찢어, 점착 테이프를 꺼내고, 박리 시트를 벗겨 점착제층을 노출시켜, 첩부 부위에 첩부한다.
사용시에 자주 문제가 되는 것은, 박리 시트가 잘 벗겨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박리 시트는 일반적으로 얇고 유연하기 때문에 취급하기 어려워, 벗기는 데에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다. 이 점을 개선하기 위해,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특허문헌 3 또는 특허문헌 4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박리 시트의 벗기기 용이함 및 점착 테이프의 붙이기 용이함을 추구한 여러 가지 박리 시트 및 점착 테이프가 개발되어 있다.
이들 박리 시트 또는 점착 테이프는 모두, 점착 테이프의 붙이기 용이함의 관점에서 편리성을 추구한 구조이다. 확실히 편리하기는 하지만, 점착 테이프가 박리 시트 및 포장백을 각각 구비하는 양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에는 변함이 없어, 사용 후에는 박리 시트 및 포장백이 쓰레기로서 발생한다.
그래서, 종래에 있어서는, 하기의 특허문헌 5 또는 특허문헌 6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점착 테이프 포장백이 제안되어 있다. 이 포장백은, 점착제층이 외측을 향하도록 점착 테이프를 반으로 접고, 이 반으로 접은 점착 테이프를 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박리 시트로 덮고, 박리 시트의 주위를 시일한 것이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박리 시트가 포장백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종래 필요하였던 포장백을 생략할 수 있다.
또, 포장백을 개봉하기 위해 박리 시트의 표측 부분을 이측 부분으로부터 떼어냈을 때에 점착제층의 절반만이 노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반으로 접힌 점착 테이프의 표측에 위치하는 절반을 박리 시트의 이측 부분에 임시 고정시키는 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개봉하였을 때, 점착 테이프는 반으로 접힌 상태로 박리 시트의 표측 부분에서 유지되고, 점착제층의 표측의 절반은 노출되기 때문에, 첩부 부위에 대한 첩부가 용이해진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7560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75601호 일본 특허 제3689807호 명세서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50-133797호 국제 공개 제2010/071104호 국제 공개 제2010/073993호
상기 서술한 특허문헌 5 또는 특허문헌 6 에 기재된 포장백은 우수한 것이지만, 사용 면이나 제조 면 등에 있어서 추가적인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지체와, 이 지지체의 일방의 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테이프를 수용하는 장방형의 점착 테이프 포장백으로서, 상기 점착제층에 박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박리 시트로 이루어지는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중첩시키고, 그 주변을 시일하여 구성된 점착 테이프 포장백에 있어서, 당해 점착 테이프 포장백의 제 1 변 가장자리를 따른 제 1 시일부와, 제 1 변 가장자리에 인접하는 제 2 변 가장자리를 따라, 제 1 시일부와 교차하는 제 2 시일부와, 제 1 변 가장자리에 인접하는 제 3 변 가장자리를 따라, 제 1 시일부와 교차하는 제 3 시일부가 각각, 대응되는 변 가장자리로부터 이간되어 형성되어 있고, 점착제층이 외측을 향하도록 점착 테이프가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으로 접힌 상태에서, 당해 점착 테이프 포장백에 수용되어 있고, 점착 테이프의 제 1 부분이, 점착 테이프의 제 2 부분보다 커서, 그 제 2 부분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 부분을 갖고 있고, 돌출 부분이, 제 1 시일부에 인접해서 배치됨과 함께, 점착 테이프의 제 2 부분측이 되는 박리 시트 부분에 임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제 1 ∼ 제 3 시일부가 대응되는 변 가장자리로부터 떨어져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시일부와 제 1 변 가장자리 사이의 부분부터 개봉을 개시하면, 제 1 시일부와 제 2 시일부 또는 제 3 시일부가 교차하고 있는 모서리부에 개봉하는 힘이 집중되기 쉬워, 가벼운 힘으로 시일부를 찢어 개봉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특허문헌 5 또는 특허문헌 6 에 기재된 포장백에서는, 제 2 와 제 3 시일부와 대응되는 변 가장자리 사이에 간극은 형성되어 있지 않았는데, 그 경우에는, 개봉시의 힘은 제 1 시일부의 직선 부분에 작용하여 분산되어 버리기 때문에, 개봉에 상당한 힘을 필요로 하게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그러한 문제는 없다.
또한, 이 포장백의 개봉을 보다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 1 변 가장자리와 제 1 시일부 사이의 간격을 파지부로서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점착 테이프의 임시 고정부의 존재에 의해, 개봉하면, 점착 테이프의 제 1 부분은 제 2 부분측의 박리 시트에 유지되어, 점착제층의 절반만이 노출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시일부와 제 2 시일부의 교차 모서리부에서부터 포장백이 개봉되게 되기 때문에, 특허문헌 5 또는 특허문헌 6 에 기재된 포장백과 같이 제 1 시일부에 평행한 임시 고정부만으로는 유지되지 않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임시 고정부는 제 1 시일부를 따른 것뿐만 아니라, 제 2 시일부 및 제 3 시일부를 따른 부분에서도 실시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 임시 고정을 점상 내지는 불연속으로 실시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즉, 작은 임시 고정부를 복수 지점에, 인접하는 임시 고정부끼리가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첩부 부위에 대한 첩부를 고려한 경우, 임시 고정부를 개재한, 박리 시트에 대한 점착 테이프의 지지체의 부착력은, 박리 시트에 대한 점착제층의 부착력보다 높은 것이 필요하지만, 임시 고정부가 연속하는 띠상의 대면적의 것인 경우, 점착 테이프의 지지체에 대한 부착력이 커지는 경향이 있고, 또, 그 부착력을 조정하는 것도 곤란하다. 이에 반해, 본 발명과 같이 작은 임시 고정부를 복수, 불연속으로 배치한 경우, 부착력을 작게 할 수 있고, 또, 임시 고정부의 수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부착력을 용이하게 컨트롤할 수 있다.
또한, 박리 시트의, 점착 테이프 포장백의 내측이 되는 층을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한 경우, 임시 고정부는, 열가소성 재료의 층과 점착 테이프의 지지체의 열접합에 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것은, 제 1 ∼ 제 3 시일부가 히트 시일부 인 경우, 히트 시일과 열접합을 연속적으로, 혹은 동시에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제조 효율이 현격히 향상된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점착 테이프의 제 1 부분의 점착제층과 박리 시트의 부착력을 억제하는 부착력 억제 수단이, 박리 시트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봉하였을 때에, 간단하게 점착제층이 박리 시트로부터 떨어져 점착제층이 노출되기 때문에, 첩부 부위에 대한 첩부가 용이해지기 때문이다.
박리 시트는, 점착 테이프의 점착층을 사용시까지 보호할 수 있으면, 그 재 질, 구성은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외층으로부터 셀로판 필름, 플라스틱 필름, 알루미늄박, 이어서 내층에 추가로 플라스틱 필름을 적층한 구성이 바람직하고, 또한 부착력 억제 수단이, 박리 시트의, 점착 테이프의 제 1 부분의 점착제층과 부착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에 실시된 실리콘 처리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러 가지 부착력 억제 수단 중에서도 실리콘 처리는 비교적 용이하며 또한 저렴하게 실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부착력 억제 수단으로는 그 밖에, 당해 부분에 엠보스 가공 및/또는 샌드 가공을 실시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포장백은 첩부 부위에 대한 첩부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기 때문에, 점착 테이프는 피부 또는 점막에 사용하는 것인 것이 유효하다.
또, 본 발명의 포장백으로는, 이른바 삼방 (三方) 시일 포장형, 즉 박리 시트의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이 1 장의 박리 시트를 접고, 3 변을 시일한 것인 경우와, 이른바 사방 (四方) 시일 포장형, 즉, 박리 시트의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이 각각 별개 독립적인 박리 시트로 구성되고, 4 변을 시일한 것인 경우가 대표적이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개봉이 용이하고, 또, 확실하게 점착 테이프의 절반의 점착제층을 노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첩부 부위에 대한 첩부가 용이해진다. 또한, 박리 시트의 절반을 벗긴 후, 점착 테이프는 박리 시트의 나머지 부분 상에서 지지되거나 혹은 보강된 상태가 되므로, 점착제끼리가 접착되어 점착 테이프를 사용하지 못하는 상태가 되는 경우도 없고, 이것도 첩부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또, 점착 테이프를 인체에 첩부할 수 있는 첩부제, 즉 플라스터제, 파프제나 반창고, 서지칼 테이프, 붙이는 타입의 케미컬 손난로 등의 경우, 첩부 부위가 혼자서는 첩부하기 어려운 등 등이라 하더라도, 손을 더럽히지 않고 한 손으로 용이하게 첩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 포장백에 의하면, 임시 고정부의 부착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효율이 향상됨과 함께, 안정적인 기능을 확보할 수도 있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 테이프 포장백의 정면도이다.
도 2 의 (a) ∼ (c) 는, 도 1 의 점착 테이프 포장백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Ⅲ-Ⅲ 선을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4 의 (a) 및 (b) 는, 도 1 의 점착 테이프 포장백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의 (a) ∼ (d) 는, 도 1 의 점착 테이프 포장백을 사용하여 점착 테이프를 첩부 부위에 첩부하는 장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의 (a) 및 (b) 는, 각각 임시 고정부의 다른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의 (a) ∼ (c) 는, 사방 시일 포장형의 점착 테이프 포장백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전체 도면을 통해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 테이프 포장백 (10) 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 의 (a) ∼ (c) 는, 도 1 의 점착 테이프 포장백 (10) 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Ⅲ-Ⅲ 선을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시된 점착 테이프 포장백 (10) 은, 편방의 면에 점착제층 (12) 을 갖는 점착 테이프 (14) 와, 이 점착 테이프 (14) 를 반으로 접은 상태에서 봉하는 박리 시트 (16) 로 구성되어 있다. 점착 테이프 (14) 및 박리 시트 (16) 는 모두 장방형이다. 도 1 및 도 2 의 (c) 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점착 테이프 포장백 (10) 은 이른바 삼방 시일 포장형이고, 1 장의 박리 시트 (16) 를 접어, 절곡된 변을 제외한 3 변이 시일된 것이다.
또한, 이 점착 테이프 포장백 (10) 은, 라벨, 의료용, 화장용, 장식용, 마스킹용, 전자 공업용, 그 외 여러 가지 용도에 사용된다. 특히, 의료용, 화장용 등에서 사용되는 점착 테이프 포장백은, 파프제, 플라스터제, 반창고, 서지칼 테이프, 화장용 팩제, 붙이는 타입의 손난로 등 통상 피부, 점막 등에 첩부되는 첩부제의 포장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착 테이프 (14) 는, 지지체 (18) 와, 그 일방의 면에 적층된 점착제층 (12) 을 구비하고 있다. 점착 테이프 (14) 의 지지체 (18) 의 구성 재료는, 점착제층 (12) 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직포, 부직포,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지는 필름, 금속박 등이 사용된다. 또한 지지체는, 단층 구조여도 되고 적층 구조여도 되고, 예를 들어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직포 또는 부직포를 적층한 구조여도 되고, 플라스틱 필름, 금속박 등과 직포 또는 부직포를 적층한 구조여도 된다.
또, 본 발명에 사용하는 직포 또는 부직포는,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고, 섬유상의 소재를 천 형상으로 가공한 것으로서, 점착 테이프의 지지체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어 코를 경편, 위편 (횡편) 등에 의해 집합시켜 천 형상으로 가공한 편포 (編布) 도 포함된다.
직포 또는 부직포의 바람직한 예로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수지 섬유의 적어도 1 종으로 이루어지는 직포 또는 부직포를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점착제층에 함유되는 성분과의 상호 작용이 적은 폴리에스테르계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직포가 바람직하다.
플라스틱 필름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염화비닐, 가소화 폴리염화비닐, 가소화 아세트산비닐-염화비닐 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리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아세트산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에틸렌-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우레탄, 이오노머 수지를 사용하여 형성된 것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를 의료용, 화장용의 첩부제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지지체에는, 첩부제로서의 충분한 신축성 또는 비신축성을 갖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메리야스뜨기의 직포 (편포) 가 바람직하다.
지지체 (18) 로서의 편포는, 그 겉보기 중량 (단위당 질량) 이 50 ∼ 500 g/㎡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지지체 (18) 는, JIS L 1096 의 방법에 따라 측정한 경우, 세로 방향 (장축 방향) 30 % 모듈러스가 2 ∼ 12 N/5 ㎝, 가로 방향 (단축 방향) 30 % 모듈러스도 2 ∼ 12 N/5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세로 방향이란, 편포를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의 흐름 방향을 가리키고, 가로 방향이란, 세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즉 폭 방향을 가리킨다.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이 2 N/5 ㎝ 보다 낮은 30 % 모듈러스인 경우, 첩부 부분에 주름을 신장시키면서 첩부하는 것이 곤란한 경향이 보이고, 또,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이 12 N/5 ㎝ 보다 높은 30 % 모듈러스인 경우에는, 반대로 첩부시에 점착 테이프가 지나치게 신장되어, 주름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30 % 모듈러스 시험은 실온 (25 ℃) 의 값이다.
상기의 지지체 (18) 를 사용함으로써, 후술하는 임시 고정부의 형성이 용이해지고, 또, 임시 고정부로부터 떼어낸 후의 지지체 (18) 의 형상, 구조에 거의 변화가 없다. 즉, 예를 들어 보풀 생성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 점착 테이프 포장백 (10) 내의 반으로 접기가 용이하며, 또한, 부피가 커지지 않는다. 또한, 첩부시에는 반으로 접었던 부분에, 이른바 "자국" 이 잘 나지 않아, 깔끔하게 붙일 수 있다.
점착제층 (12) 의 구성 재료인 점착 성분으로는, 점착성을 갖고 첩부 부위에 첩착 (貼着) 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점착 기제로서 아크릴계 점착 성분, 고무계 점착 성분, 실리콘계 점착 성분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그 중에서도 점착 물성의 관점에서, 고무계 점착 성분이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구체적인 고무계 점착 성분으로는,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모두 사용할 수 있고, 합성 고무로는, 예를 들어, 스티렌계 블록 코폴리머나 폴리이소부틸렌을 들 수 있다. 또한, 스티렌계 블록 코폴리머로는, 스티렌-부틸렌-스티렌 블록 코폴리머 (S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코폴리머 (SIS),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코폴리머 (SEBS),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코폴리머 (SEPS)를 들 수 있다. 스티렌계 블록 코폴리머의 구체예로는, 크레이튼 D-1112, D-1111, D-1107 (상품명, 크레이튼 폴리머 (주) 제조), JSR5000 또는 JSR5002 (상품명, 니혼 합성 고무 (주) 제조), 퀸탁 3530, 3421 또는 3570C (상품명, 닛폰 제온 (주) 제조), 크레이튼 D-KX401CS 또는 D-1107CU (상품명, 크레이튼 폴리머 (주) 제조) 등의 리니어 트리 블록 코폴리머나, 크레이튼 D-1124 (상품명, 크레이튼 폴리머 (주) 제조), 소르프렌 418 (상품명, 필립 페트롤리엄 (주) 제조) 등의 분기 블록 코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이소부틸렌으로는, 예를 들어 고분자부터 저분자의 것이 사용되고, 예를 들어, 오파놀 B10, B12, B12SF, B15, B15SF, B30SF, B50, B50SF, B80, B100, B120, B150, B200 (상품명, BASF (주) 제조), 비스타넥스 LM-MS, LM-MH, LM-H, MM L-80, MM L-100, MM L-120, MM L-140 (상품명, 엑슨 화학 (주)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또, 아크릴계 고분자로는, 모노머 단위로서 예를 들어 아크릴산-2-에틸헥실,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부틸, 아크릴산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산-2-에틸헥실 등으로 대표되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를 적어도 1 종 함유하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등이 사용되고, 예를 들어, 아크릴산·아크릴산옥틸에스테르 공중합체, 아크릴산-2-에틸헥실·N-비닐-2-피롤리돈·디메타크릴산-1,6-헥산글리콜 공중합체, 아크릴산-2-에틸헥실·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아크릴산-2-에틸헥실·아세트산비닐·아크릴산 공중합체, 아크릴산-2-에틸헥실·메타크릴산-2-에틸헥실·메타크릴산도데실 공중합체, 아크릴산메틸·아크릴산-2-에틸헥실 공중합 수지 에멀션, 아크릴 수지 알칸올아민액에 함유되는 아크릴계 고분자 등의 점착제, Duro-Tak 아크릴 점착제 시리즈 (내셔널 스타치 앤드 케미컬사 제조), GELVA 아크릴 점착제 시리즈 (몬산토사 제조), SK 다인마트리담 (소켄 화학), 유드라지트 시리즈 (히구치 상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무계, 아크릴계, 실리콘계 등의 점착 기제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를 의료용 파프제, 플라스터제, 화장용 팩제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점착제층으로서 수용성 고분자도 사용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수용성 고분자로는, 젤라틴, 한천, 알긴산, 만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또는 그 염,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또는 그 염,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 염 등, 혹은, 이들 중 적어도 1 종을 유기 또는 무기의 가교제에 의해 가교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의 점착 기제 외에, 점착제층 (12) 에는 적절히 점착 부여제, 연화제, 용해제, 물, 증점제, 습윤제, 충전제, 가교제, 중합제, 용해 보조제, 흡수 촉진제, 안정화제, 항산화제, 유화제, 계면 활성제, pH 조정제, 약물, 자외선 흡수제 등이 첨가된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를 의료용, 화장용 첩부제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약물로는, 경피적으로 체내에 흡수되어 약리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경우는 없고, 예를 들어, 항염증제, 진통제, 항히스타민제, 국소 마취제, 혈행 촉진제, 마취제, 정신 안정제, 항고혈압제, 항균제, 혈관 확장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박리 시트 (16) 는, 점착 테이프의 포장백으로서 통상 사용되고 있는 것이면 사용할 수 있다. 또, 박리 시트 (16) 는, 단층 또는 적층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또, 구성하는 재료도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종이, 부직포, 알루미늄, 셀로판, 나일론, 고밀도 또는 저밀도의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아미드,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등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추가로 이들에 인쇄 잉크 혹은 접착제 등을 도포한 것, 또는 증착 혹은 스퍼터링 등의 방법으로 박막을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박막으로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 외에, 산화규소, 산화마그네슘, 산화알루미늄 등의 가스 배리어성과 투명성이 높은 박막이 바람직하다. 이 중에서도,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필름이 바람직하고, 또한 폴리에틸렌, 알루미늄, 폴리에틸렌을 순차 적층한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그리고 또 최외층에 셀로판을 적층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 박리 시트는, 점착 테이프를 봉입할 때에 접기 위하여, 유연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박리 시트의 두께로는, 접을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10 ∼ 500 ㎛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 300 ㎛ 의 범위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조 공정으로 되돌아가면, 먼저 도 2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리 시트 (16) 상에, 점착 테이프 (14) 가 점착제층 (12) 을 아래로 하여, 박리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 때, 점착 테이프 (14) 의, 그 폭 방향과 평행한 중심선과, 박리 시트 (16) 의, 그 폭 방향과 평행한 중심선이, 어긋난 상태가 되도록 양자가 부착된다.
이어서, 박리 시트 (16) 가 점착 테이프 (14) 와 함께 접혀져, 도 2 의 (b) 에 나타내는 상태가 된다. 박리 시트 (16) 의 절곡 위치는, 박리 시트 (16) 의 폭 방향의 중심선 상이어도 되지만, 이 중심선으로부터 약간 어긋난 위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중심선으로부터 약간 어긋나게 하여 박리 시트 (16) 를 접음으로써, 도 3 에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곡 변 가장자리에 대향하는 박리 시트 (16) 의 변 가장자리 (제 1 변 가장자리) (20) 가 어긋나, 이 부분을 잡기 쉽게 한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이 어긋남에 관해서는, 점착 테이프 포장백 (10) 의 취급성을 고려하여 여러 가지 변형 양태를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박리 시트 (16) 의 제 1 부분 (22) 의 변 가장자리 (20) 가 제 2 부분 (24) 의 변 가장자리 (20) 보다 돌출된 형태를 취하고 있지만, 반대로 제 2 부분 (24) 의 변 가장자리 (20) 를 제 1 부분 (22) 보다 돌출시켜도 된다. 혹은, 포장백 (10) 의 모퉁이부에만 어긋남부를 형성해도 되고, 우측 절반에 대해서는 제 1 부분 (22) 이 제 2 부분 (24) 보다 돌출되고, 좌측 절반에 대해서는 제 2 부분 (24) 이 제 1 부분 (22) 보다 돌출된 형태로 해도 된다.
지금, 접힌 박리 시트 (16) 의 절반을 제 1 부분 (22), 나머지 절반을 제 2 부분 (24) 이라고 칭하고, 박리 시트 (16) 와 함께 접힌 점착 테이프 (14) 의 절반을 제 1 부분 (26), 나머지 절반을 제 2 부분 (28) 으로 칭하는 것으로 한다. 박리 시트 (16) 를 접으면, 박리 시트 (16) 의 제 1 부분 (22) 과 제 2 부분 (24) 은, 변 가장자리 (20) 에서의 어긋남 이외에는, 대체로 동형 또한 동치수가 되지만, 점착 테이프 (14) 의 제 1 부분 (26) 은 제 2 부분 (28) 보다 커서, 제 1 부분 (26) 은, 제 2 부분 (28) 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 부분 (30) 을 갖는 상태가 된다 (도 3).
이 상태에서, 박리 시트 (16) 의 제 1 부분 (20) 과 제 2 부분 (22) 의 중첩된 부분 중, 점착 테이프 (14) 를 둘러싸는 3 변을 시일한다 (도 2 의 (c)). 보다 상세하게는, 박리 시트 (16) 의 절곡 변 가장자리 (32) 에 대향하는 변 가장자리 (20) 와, 그 양측의 변 가장자리 (34, 36) (제 2 변 가장자리 (34), 제 3 변 가장자리 (36)) 각각을 따라, 직선상의 시일부 (38, 40, 42) 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 대응되는 변 가장자리 (20, 34, 36) 로부터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다. 특히, 변 가장자리 (20) 를 따른 시일부 (제 1 시일부) (38) 는, 변 가장자리 (34, 36) 를 따른 시일부 (40, 42) (제 2 시일부 (40), 제 3 시일부 (42)) 보다 변 가장자리 (20) 로부터의 거리가 크게 되어 있다. 이로써, 시일부 (38) 로부터 외측 부분은 파지부 (44) 가 되어, 손가락으로 잡기 쉬워, 개봉이 용이해진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박리 시트 (16) 의 제 1 부분 (22) 과 제 2 부분 (24) 의 변 가장자리 (20) 끼리를 약간 어긋나게 함으로써, 이 파지부 (44) 를 구성하는 박리 시트 (16) 의 중첩되는 부분을 분리시키는 것이 용이해져, 한층 개봉하기 쉽게 하고 있다.
각 시일부 (38, 40, 42) 는 직선상이며, 그 교차부에는 대략 직각의 모서리부 (46, 48) 가 형성된다. 이 모서리부 (46, 48) 도 변 가장자리 (20, 34, 36) 각각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이하에서 상세하게 서술하겠지만, 모서리부 (46, 48) 가 변 가장자리 (20, 34, 36) 로부터 이격되어 있음으로써, 이 부분에 힘이 집중되어, 개봉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시일부 (38, 40, 42) 의 형성 방법으로는, 히트 시일법이 바람직하지만, 그 외, 접착제 등을 사용한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또, 이른바 이지 필 기술을 사용하는 것도 유효하다. 이지 필이란, 일본 특허청 홈페이지에서 입수 가능한 기술 분야별 특허맵, 일반 21 「접착」 제335페이지 (www.jpo.go.jp/shiryou/s_sonota/map/ippan21/4/4-3-1.htm)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박리 용이성을 의미하고, 용기·포장에 있어서 히트 시일에 의해 봉함하고, 개방할 때에 벗기기 쉽게 한 것을 말한다. 이지 필은, 구체적으로는, 박리 시트 (16) 의 제 1 부분 (22) 과 제 2 부분 (24) 사이에 있어서의 접착제층 자체가 파괴되어 박리되는 응집 박리 타입이나, 이 접착제층과 제 1 부분 (22) 또는 제 2 부분 (24) 의 접착 강도를 낮게 해 두고, 개봉시에 제 1 부분 (22) 또는 제 2 부분 (24) 이 접착제층으로부터 박리되는 층간 박리 타입, 나아가서는, EVA 등의 접착 용이성 수지를 사용하는 계면 박리 타입 등, 여러 가지 타입이 있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표면에 폴리에틸렌층이 배치되는 시트재가 박리 시트 (16) 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이지 필용 접착제층으로서, 예를 들어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주체로 한 수지층과, 저밀도 폴리에틸렌에 응집 파괴를 일으키는 수지가 첨가된 이지 필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2 층 구조의 것을 사용하면 된다.
박리 시트 (16) 를 접어 서로 중첩시킨 제 1 부분 (22) 과 제 2 부분 (24) 의 3 변에 시일부를 형성함으로써, 그 내부가 외계와 차단되기 때문에, 점착 테이프 (14) 가 보다 위생적이며 또한 물리적으로 보호되어, 점착 테이프 (14) 의 점착제층 (12) 에 함유되는 성분이 외계로 새지 않거나, 휘발되지 않는다는 등의 이점이 있다. 또, 박리 시트 (16) 가 포장백으로서도 기능하게 되므로, 종래 존재한 개별의 포장백을 생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완성한 점착 테이프 포장백 (10) 의 모퉁이부가 뾰족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박리 시트는, 완성된 점착 테이프 포장백 (10) 의 모퉁이부의 일부, 바람직하게는 네 모퉁이 모두가 둥글게 된 형상으로 하는 것이 유효하다. 도 1 및 도 2 의 (c) 의 점착 테이프 포장백 (10) 에서는, 2 개의 모퉁이부가 둥글게 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점착 테이프 포장백 (10) 에 있어서, 박리 시트 (16) 의 제 1 부분 (22) 을 제 2 부분 (24) 으로부터 떼어내어 개봉하면, 반으로 접힌 점착 테이프 (14) 의 점착제층 (12) 은 외측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점착 테이프 (14) 의 제 1 부분 (26) 의 점착제층 (12) 은 외부에 노출되게 된다.
그러나, 점착 테이프 (14) 의 제 1 부분 (26) 이 박리 시트 (16) 의 제 1 부분 (22) 과 함께 이동하여, 점착 테이프 (14) 의 제 2 부분 (28) 의 점착제층 (12) 이 노출된 것에서는, 표리 어느 쪽에서 점착제층 (12) 이 노출될지 알 수 없어 불편하다. 즉, 개봉시에는 점착 테이프 (14) 의 제 1 부분 (26) 을 박리 시트 (16) 의 제 2 부분 (24) 에 1 차적으로 유지시키고, 점착 테이프 (14) 의 제 1 부분 (26) 의 점착제층 (12) 을 노출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서, 점착 테이프 (14) 의 제 1 부분 (26) 에 형성된 돌출 부분 (30) 은, 부호 50, 52, 54 로 나타내는 지점에서, 박리 시트 (16) 의 제 2 부분 (24) 에 임시 고정된다.
임시 고정 수단으로는, 박리 시트 (16) 의 내측이 되는 층이 소정의 온도에서 용융되는 열가소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또한, 점착 테이프 (14) 의 지지체 (18) 가 예를 들어 직포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열접합이 유효하다. 즉, 박리 시트 (16) 의 외면측에서부터 열을 가하면, 박리 시트 (16) 의 열가소성 재료가 용융되어, 점착 테이프 (14) 의 지지체 (18) 의 직포에 침투하고, 머지않아 그곳에서 고화되므로, 점착 테이프 (14) 의 돌출 부분 (30) 이 박리 시트 (16) 의 제 2 부분 (24) 에 대해 임시 고정되게 된다. 또한, 박리 시트 (16) 가 열가소성을 갖지 않는 경우라 하더라도, 지지체 (18) 의 재료에 열가소성 재료를 함유시킴으로써, 열접합을 실시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열접합에 의한 임시 고정부 (50, 52, 54) 를 형성하는 것으로 한 경우, 도 2 의 (c) 의 상태로 박리 시트 (16) 를 접고, 제 1 부분 (20) 과 제 2 부분 (22) 의 중첩된 부분 (38, 40, 42) 을 히트 시일함과 동시에, 혹은 히트 시일과 연속적으로, 열접합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 효율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 임시 고정부를 배치하는 위치인데,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시일부 (38) 를 따른 선 상만이 아니라, 제 2 시일부 (40) 및 제 3 시일부 (42) 를 따른 선 상에도 임시 고정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박리 시트 (16) 의 제 1 부분 (22) 과 제 2 부분 (24) 을 가로 방향으로부터 떼어낸 경우에도, 임시 고정 효과를 담보할 수 있다. 또한, 임시 고정부 (50, 52, 54) 가 배치되는 선은 직선상에 한정되지 않고, 곡선이어도 되고, 또, 다중 선 상에 배치해도 된다. 또한, 제 1 시일부 (38), 제 2 시일부 (40) 및 제 3 시일부 (42) 를 따른 상태이면, 스태거드 배열, 지그재그상, 랜덤 배열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임시 고정부에 의해 부착력이 과도하게 크면, 첩부 부위에 대한 첩부시에 박리 시트 (16) 로부터 점착 테이프 (14) 가 잘 떨어지지 않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박리 시트 (16) 에 대한 점착 테이프 (14) 의 돌출 부분 (30) 의 부착력은, 박리 시트 (16) 에 대한 점착제층 (12) 의 부착력 (점착력) 보다 높아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임시 고정부 (50, 52, 54) 를 개재한, 박리 시트 (16) 에 대한 지지체 (18) 의 부착력, 첩부 부위에 대한 점착 테이프 (14) 의 점착제층 (12) 의 부착력 (점착력), 및, 박리 시트 (16) 에 대한 점착 테이프 (14) 의 점착제층 (12) 의 부착력은, 이하와 같은 관계가 된다.
첩부 부위에 대한 점착제층 (12) 의 부착력
> 임시 고정부 (50, 52, 54) 를 개재한, 박리 시트 (16) 에 대한 지지체 (18) 의 부착력
> 박리 시트 (16) 에 대한 점착제층 (12) 의 부착력
또한, 임시 고정부를 연속된 띠상으로 한 경우에는, 박리 시트 (16) 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재료의, 점착 테이프 (14) 의 지지체 (18) 의 직포에 대한 함침량이 지나치게 많아지는 것을 생각할 수 있어, 상기 관계를 얻는 것이 곤란해지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도 1 ∼ 3 에 있어서 부호 50, 52, 54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임시 고정부를 불연속으로 형성하고, 임시 고정부의 수나 그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임시 고정부의 부착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로써, 점착 테이프 포장백 (10) 의 제조 효율이 보다 한층 향상되는 것이 되고, 또, 그 작용 효과에 있어서도 일정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임시 고정부 (50, 52, 54) 는, 열접합에 의해 형성되는 것만이 아니고, 양면 테이프, 점착제, 접착제, 의사 (疑似) 접착, 박리 시트 (16) 또는 지지체 (18) 의 재질, 성상 등에 따라서는 용착, 강압 (强押), 엠보싱, 핫멜트 접착제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의사 접착이란, 일본 특허청 홈페이지에서 입수 가능한 기술 분야별 특허맵, 일반 21 「접착」 제336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평소에는 점접착성을 갖지 않지만, 특수 가압 조건 등에서 접합되는 것을 말하고, 점착제에 첨가물을 첨가하여 생성된 의사 접착제가 사용된다.
또한, 박리 시트 (16) 는, 점착 테이프 (14) 의 제 1 부분 (26) 의 점착제층 (12) 과 박리 시트 (16) 의 부착력을 억제하는 부착력 억제 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부착력 억제 수단으로는, 박리 시트 (16) 의, 점착 테이프 (14) 와 접하는 부분에 박리 처리를 실시한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특히, 이 부착력 억제 수단은, 점착 테이프 포장백 (10) 의 개봉시에 점착 테이프 (14) 의 제 1 부분 (26) 이 박리 시트 (16) 로부터 용이하게 박리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점착 테이프 (14) 의 제 1 부분 (26) 이 접하는 박리 시트 (16) 의 부분에만 박리 처리를 실시해도 되고,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면, 그 부분의 더욱 일부분만을 박리 처리해도 된다.
박리 처리로는, 박리제를 사용하는 방법 외에, 엠보스 가공, 샌드 가공 등의 물리적으로 박리를 실시하기 쉽게 하는 방법도 포함된다. 박리제로는, 실리콘계 박리제, 알킬 펜던트계 박리제, 축합 왁스계 박리제 등 모두 사용할 수 있고, 이 중에서도 실리콘계 박리제를 사용한 이른바 실리콘 처리가 바람직하다. 실리콘 처리는, 비교적 용이하며 또한 저렴하게 실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실리콘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점착 테이프 포장백 (10) 의 사용시에 박리 시트 (16) 를 개방하였을 때에, 상기의 임시 고정부 (50, 52, 54) 와 협동하여, 간단하게 점착제층 (12) 이 박리 시트 (16) 로부터 떨어져 점착제층 (12) 이 노출되게 되어, 첩부 부위에 대한 첩부가 더욱 용이해진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 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대한 점착 테이프 포장백 (10) 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의 (a) 는, 본 실시형태에 대한 점착 테이프 포장백 (10) 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사용자는 박리 시트 (16) 의 파지부 (44) 를 잡고 (손가락은 도시 생략), 화살표 A 의 방향으로 박리 시트 (16) 의 제 1 부분 (22) 과 제 2 부분 (24) 을 떼어내기 시작한다. 이 때, 박리 시트 (16) 의 제 1 부분 (22) 의 변 가장자리 (20) 와 제 2 부분 (24) 의 변 가장자리 (20) 가 약간 어긋나 있기 때문에, 손가락을 걸기 쉬워, 제 1 부분 (22) 과 제 2 부분 (24) 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점착 테이프 포장백 (10) 은 단 (端) 에서부터 개봉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도 4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백 (10) 의 모퉁이부에서부터 개방하기 시작하면, 힘은, 가로의 시일부 (40) 와 세로의 시일부 (38) 의 모서리부 (46) 에 집중되어, 시일부 (38, 40) 의 파단이 용이하게 개시되게 된다. 시일부 (38, 40) 에 있어서 파단이 한 번 시작되면, 더욱 큰 힘을 가하지 않아도, 이 파단 개시점을 기점으로 하여 다른 부분에 파단이 전파되어 나가, 시일부 (38, 40, 42) 전체가 파단되어, 점착 테이프 포장백 (10) 은 도 4 의 (b) 의 상태가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임시 고정부 (50, 52, 54) 의 존재에 의해, 점착 테이프 (14) 의 제 1 부분 (26) 은 박리 시트 (16) 의 제 2 부분 (24) 측에 1 차적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점착 테이프 (14) 의 제 1 부분 (26) 의 점착제층 (12) 이 노출되게 된다.
여기서, 세로의 시일부 (40) 와 변 가장자리 (34)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파지부 (44) 에 가한 힘은 가로의 시일부 (38) 의 직선 부분에 작용하게 되어, 힘이 분산되어, 개봉이 곤란해지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구성에서는, 이 점이 개선되어 있는 것이다.
또, 가로의 시일부 (40) 와 세로의 시일부 (38) 의 모서리부 (46) 에서부터 파단이 개시된 경우, 임시 고정을 실시하고 있는 지점에 가로 방향 (변 가장자리 (20) 에 평행한 방향) 으로부터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 때, 가로 방향의 임시 고정부 (50) 만이면, 가로 방향의 힘에 끝까지 저항하지 못하게 될 우려가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세로 방향의 임시 고정부 (52)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로 방향의 힘이 작용해도, 점착 테이프 (14) 의 제 1 부분 (26) 을 유지할 수 있다.
도 4 와는 달리, 반대측의 모퉁이부에서부터 개봉되는 경우도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 테이프 포장백 (10) 은 좌우 대칭이기 때문에, 상기와 마찬가지로 가벼운 힘으로 개봉을 실시할 수 있어, 점착 테이프 (14) 의 제 1 부분 (26) 의 점착제층 (12) 이 노출되게 된다. 또, 파지부 (44) 의 중앙을 잡고 개봉하는 경우에는, 손가락으로 잡는 지점이 넓고, 그만큼 큰 힘을 가로의 시일부 (28) 에 작용시킬 수 있기 때문에, 모퉁이부에서부터의 개봉은 열등하지만, 이 경우에도 또한 어려움 없이 개봉을 실시할 수 있다.
도 5 의 (a) ∼ (d) 는,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가 특히 의료용, 화장용 등의 첩부제로서 사용되는 경우의 양태를 나타내지만, 이외의 용도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방법에 의해 첩부할 수 있다. 즉, 점착 테이프 (14) 의 제 1 부분 (26) 의 점착제층 (12) 이 노출된 점착 테이프 포장백을 첩부 부위에 첩부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당해 점착 테이프 포장백을 한 손에 들고, 도 5 의 (a) 및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첩부 부위 내지 첩부 부위의 근방에 댄다. 다음으로, 박리 시트 (16) 의 제 1 부분 (20) 을 들고, 도 5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리 시트 (16) 를 그 길이 방향 또한 점착 테이프 (14)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피부를 따르도록 잡아당긴다. 박리 시트 (16) 가 잡아당겨짐에 따라, 점착 테이프 (14) 의 제 2 부분 (28) 이 박리 시트 (16) 로부터 벗겨짐과 동시에 첩부 부위에 첩부된다. 특히 박리 시트 (16) 를 잡아당기면서 첩부하기 때문에, 점착 테이프 (14) 에 주름이 생기지 않고, 이것을 첩부할 수 있다. 도 5 의 (d) 는 점착 테이프 (14) 의 전체를 첩부 부위에 다 첩부한 모습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점착 테이프 포장백 (10) 에서는, 점착제층 (12) 으로부터 벗겨진 박리 시트 (16) 의 제 1 부분 (20) 에 점착 테이프 (14) 를 얹은 손의 엄지를 붙일 수 있기 때문에, 손에 확실히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점착 테이프 (14) 를 첩부 부위에 댈 때에 낙하시킬 위험이 작고, 또, 첩부할 때에 점착 테이프 (14) 가 흔들리거나 중력에 의해 의도하지 않는 방향으로 처지거나 할 우려가 작기 때문에, 안심하고 첩부 부위를 겨냥하여 첩부할 수 있다. 첩부 부위가 혼자서는 첩부하기 어려운 등 등이라 하더라도, 한 손으로 용이하게 첩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사용 동작에 있어서는 점착제층이 첩부 부위 이외의 피부에 접촉될 우려가 작다. 종래형의 점착 테이프의 사용에서 자주 체험하는 손가락 등에 대한 점착제층이 달라붙음이 없어, 위생적이고, 게다가, 박리 시트 (16) 의 제 1 부분 (22) 을 벗긴 후, 점착 테이프 (14) 는 박리 시트 (16) 의 제 2 부분 (24) 상에서 지지되거나 혹은 보강된 상태가 되므로, 점착제끼리가 접착되어 첩부제를 사용할 수 없는 상태가 되는 경우도 없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임시 고정부 (50, 52, 54) 의 형상은,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도 6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삼각형이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원형 등, 여러 가지 생각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점착 테이프 포장백은 삼방 시일 포장형이지만, 절곡 변 가장자리를 따라 시일을 실시한 사방 시일 포장형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형의 박리 시트 (16a, 16b) 를 2 장 준비하고, 이것을 중첩시켜 4 변에 시일부 (38, 40, 42, 60) 를 형성한 점착 테이프 포장백 (10) 으로 해도 된다. 이 사방 시일 포장형의 경우, 점착 테이프 (14) 는 미리 접은 상태에서 박리 시트 (16b) 상에 재치 (載置) 할 필요가 있고, 또, 첩부를 실시할 때에는, 박리 시트 (16a) 를 박리 시트 (16b) 로부터 제거할 필요가 있지만, 그 밖의 기능 및 사용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은 없다.
10 : 점착 테이프 포장백
12 : 점착제층
14 : 점착 테이프
16, 16a, 16b : 박리 시트
18 : 지지체
20 : 제 1 변 가장자리
22 : 박리 시트의 제 1 부분
24 : 박리 시트의 제 2 부분
26 : 점착 테이프의 제 1 부분
28 : 점착 테이프의 제 2 부분
30 : 돌출 부분
32 : 제 4 변 가장자리
34 : 제 2 변 가장자리
36 : 제 3 변 가장자리
38 : 제 1 시일부
40 : 제 2 시일부
42 : 제 3 시일부
44 : 파지부
46, 48 : 모서리부
50, 52, 54 : 임시 고정부
60 : 제 4 시일부

Claims (11)

  1.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일방의 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테이프를 수용하는 장방형의 점착 테이프 포장백으로서, 상기 점착제층에 박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박리 시트로 이루어지는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중첩시키고, 그 주변을 시일하여 구성된 점착 테이프 포장백에 있어서,
    당해 점착 테이프 포장백의 제 1 변 가장자리를 따른 제 1 시일부와, 상기 제 1 변 가장자리에 인접하는 제 2 변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 1 시일부와 교차하는 제 2 시일부와, 상기 제 1 변 가장자리에 인접하는 제 3 변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 1 시일부와 교차하는 제 3 시일부가 각각, 대응되는 변 가장자리로부터 이간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점착제층이 외측을 향하도록 상기 점착 테이프가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으로 접힌 상태에서, 당해 점착 테이프 포장백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 점착 테이프의 상기 제 1 부분이, 상기 점착 테이프의 상기 제 2 부분보다 커서, 그 제 2 부분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 부분을 갖고 있고,
    상기 돌출 부분이, 상기 제 1 시일부에 인접해서 배치됨과 함께, 상기 점착 테이프의 상기 제 2 부분측이 되는 상기 박리 시트 부분과의 사이에서 복수의 임시 고정부에 의해 임시 고정되어 있고,
    복수의 상기 임시 고정부는, 상기 제 1 시일부, 상기 제 2 시일부 및 상기 제 3 시일부를 각각 따라, 이웃하는 상기 임시 고정부끼리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포장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일부, 상기 제 2 시일부 및 상기 제 3 시일부가 히트 시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포장백.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변 가장자리와 상기 제 1 시일부 사이의 간격이 파지부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포장백.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시트의, 당해 점착 테이프 포장백의 내측이 되는 층이 열가소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임시 고정부가, 상기 열가소성 재료의 층과 상기 점착 테이프의 상기 지지체의 열접합에 의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포장백.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고정부를 개재한, 상기 박리 시트에 대한 상기 점착 테이프의 상기 지지체의 부착력이, 상기 박리 시트에 대한 상기 점착제층의 부착력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포장백.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테이프의 상기 제 1 부분의 상기 점착제층과 상기 박리 시트의 부착력을 억제하는 부착력 억제 수단이, 상기 박리 시트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포장백.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력 억제 수단이, 상기 박리 시트의, 상기 점착 테이프의 상기 제 1 부분의 상기 점착제층과 부착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에 실시된 실리콘 처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포장백.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력 억제 수단이, 상기 박리 시트의, 상기 점착 테이프의 상기 제 1 부분의 상기 점착제층과 부착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에 실시된 엠보스 가공면 및/또는 샌드 가공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포장백.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테이프가 피부 또는 점막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포장백.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시트의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2 부분이, 1 장의 박리 시트를 접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포장백.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시트의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2 부분이 각각 별개 독립적인 박리 시트로 구성되어 있고, 당해 점착 테이프 포장백의 상기 제 1 변 가장자리에 대향하는 제 4 변 가장자리를 따라 시일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포장백.
KR1020137030199A 2011-04-22 2012-03-21 점착 테이프 포장백 KR1017217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96574 2011-04-22
JP2011096574 2011-04-22
PCT/JP2012/057205 WO2012144287A1 (ja) 2011-04-22 2012-03-21 粘着テープ包装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2893A true KR20140022893A (ko) 2014-02-25
KR101721726B1 KR101721726B1 (ko) 2017-03-30

Family

ID=47041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0199A KR101721726B1 (ko) 2011-04-22 2012-03-21 점착 테이프 포장백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9492338B2 (ko)
EP (1) EP2700387B1 (ko)
JP (1) JP5571244B2 (ko)
KR (1) KR101721726B1 (ko)
CN (1) CN103491909B (ko)
AU (1) AU2012246314B2 (ko)
BR (1) BR112013027140B8 (ko)
CA (1) CA2833856C (ko)
ES (1) ES2565389T3 (ko)
HK (1) HK1188921A1 (ko)
HU (1) HUE027450T2 (ko)
MX (1) MX349648B (ko)
MY (1) MY165336A (ko)
PL (1) PL2700387T3 (ko)
RU (1) RU2580480C2 (ko)
TW (1) TWI599524B (ko)
WO (1) WO20121442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120031A1 (it) * 2012-01-13 2013-07-14 Altergon Sa Struttura di confezionamento per film biomedicali
CN106125993B (zh) * 2016-08-25 2019-05-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屏的制作方法以及导电可剥胶
WO2018118832A1 (en) 2016-12-23 2018-06-28 Carbon, Inc. Adhesive sheet for securing 3d object to carrier platform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230046409A1 (en) * 2021-08-11 2023-02-16 Best Bandage, LLC Bi-Directional Packaging Adhesiv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33797U (ko) 1974-04-18 1975-11-04
US6140549A (en) * 1999-01-13 2000-10-31 Pompei, Jr.; John Anthony Bandage handy strips
JP2003325575A (ja) * 1999-11-12 2003-11-18 Akira Yamato パッド付き傷保護用粘着シート
JP3689807B2 (ja) 2001-03-16 2005-08-31 久光製薬株式会社 剥離シート
JP2007075601A (ja) 2005-08-17 2007-03-29 Hisamitsu Pharmaceut Co Inc 簡易剥離可能な剥離シートを備えた貼付剤
JP2007075602A (ja) 2005-08-17 2007-03-29 Hisamitsu Pharmaceut Co Inc 簡易剥離可能な剥離シートを備えた貼付剤
WO2010071104A1 (ja) 2008-12-16 2010-06-24 久光製薬株式会社 粘着テープ包装袋
WO2010073993A1 (ja) 2008-12-25 2010-07-01 久光製薬株式会社 粘着テープ包装袋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31719B2 (ko) 1974-04-09 1978-09-04
US4265234A (en) 1979-11-14 1981-05-05 The Kendall Company Dressing composite
US4917928A (en) 1988-12-02 1990-04-1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olded adhesive film dressing
JP2981143B2 (ja) 1994-05-17 1999-11-22 日東電工株式会社 再剥離性粘着剤、粘着テープもしくはシート、及びこれらを用いたファスニングシステム
JP2000517202A (ja) 1996-01-12 2000-12-26 スミス アンド ネフュー ピーエルシー 創傷用ドレッシング
JP4475605B2 (ja) 1999-10-09 2010-06-09 阿蘇製薬株式会社 救急用絆創膏
FR2848535B1 (fr) * 2002-12-17 2005-07-15 D Lab Conditionnement a usage unique pour produit liquide, pateux ou pulverulent
US20070173752A1 (en) 2003-11-28 2007-07-26 Troels Schonfeldt Integrated package
DE102004016591A1 (de) 2004-03-31 2005-10-27 Schering Ag Medizinische Pflaster mit verringertem Kleberrückstand
SE529813C2 (sv) * 2006-04-11 2007-11-27 Moelnlycke Health Care Ab Medicinteknisk artikel eller komponent för att fästa en medicinsk artikel eller del därav till hud försedd med löstagbart skyddsskikt
JP5371806B2 (ja) * 2009-01-30 2013-12-18 久光製薬株式会社 粘着テープ包装袋
JP5276608B2 (ja) * 2009-09-18 2013-08-28 久光製薬株式会社 粘着テープ包装袋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33797U (ko) 1974-04-18 1975-11-04
US6140549A (en) * 1999-01-13 2000-10-31 Pompei, Jr.; John Anthony Bandage handy strips
JP2003325575A (ja) * 1999-11-12 2003-11-18 Akira Yamato パッド付き傷保護用粘着シート
JP3689807B2 (ja) 2001-03-16 2005-08-31 久光製薬株式会社 剥離シート
JP2007075601A (ja) 2005-08-17 2007-03-29 Hisamitsu Pharmaceut Co Inc 簡易剥離可能な剥離シートを備えた貼付剤
JP2007075602A (ja) 2005-08-17 2007-03-29 Hisamitsu Pharmaceut Co Inc 簡易剥離可能な剥離シートを備えた貼付剤
WO2010071104A1 (ja) 2008-12-16 2010-06-24 久光製薬株式会社 粘着テープ包装袋
WO2010073993A1 (ja) 2008-12-25 2010-07-01 久光製薬株式会社 粘着テープ包装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00387A1 (en) 2014-02-26
MY165336A (en) 2018-03-21
MX349648B (es) 2017-08-04
TWI599524B (zh) 2017-09-21
NZ616950A (en) 2014-12-24
JPWO2012144287A1 (ja) 2014-07-28
BR112013027140B8 (pt) 2022-08-30
ES2565389T3 (es) 2016-04-04
TW201309564A (zh) 2013-03-01
JP5571244B2 (ja) 2014-08-13
AU2012246314B2 (en) 2016-05-12
AU2012246314A1 (en) 2013-11-14
CN103491909A (zh) 2014-01-01
MX2013012342A (es) 2013-11-01
US20140231292A1 (en) 2014-08-21
CN103491909B (zh) 2015-07-22
RU2580480C2 (ru) 2016-04-10
KR101721726B1 (ko) 2017-03-30
BR112013027140A2 (pt) 2017-03-14
WO2012144287A1 (ja) 2012-10-26
BR112013027140B1 (pt) 2020-12-15
EP2700387A4 (en) 2014-09-17
CA2833856C (en) 2018-01-02
US9492338B2 (en) 2016-11-15
HUE027450T2 (en) 2016-09-28
RU2013152019A (ru) 2015-05-27
PL2700387T3 (pl) 2016-09-30
HK1188921A1 (en) 2014-05-23
CA2833856A1 (en) 2012-10-26
EP2700387B1 (en) 2016-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91774B2 (ja) 粘着テープ包装袋
JP5675368B2 (ja) 粘着テープ包装袋
JP5276608B2 (ja) 粘着テープ包装袋
KR20140022893A (ko) 점착 테이프 포장백
JP5371806B2 (ja) 粘着テープ包装袋
JP3180806U (ja) 粘着テープ包装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