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0516A - 가구용 체결 장치 - Google Patents

가구용 체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0516A
KR20140020516A KR1020120087087A KR20120087087A KR20140020516A KR 20140020516 A KR20140020516 A KR 20140020516A KR 1020120087087 A KR1020120087087 A KR 1020120087087A KR 20120087087 A KR20120087087 A KR 20120087087A KR 20140020516 A KR20140020516 A KR 20140020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casing
bolt
fixing bolt
furni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7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6619B1 (ko
Inventor
최영진
정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시스
Priority to KR1020120087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6619B1/ko
Publication of KR20140020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0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6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6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02Joints between panels and corner po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12/12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 F16B12/14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using threaded bolts or screws
    • F16B2012/145Corner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케이싱의 직경을 축소함으로써, 외부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고, 가구의 판넬 끝단과 케이싱 사이의 거리가 여유있게 확보되어 판넬 끝단에서의 목제 부품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임 볼트의 나선형 플랜지에 고정 볼트를 경사 방향으로 가압 고정하는 경사 측면을 형성함으로써, 고정 볼트의 케이싱에 대한 결합이 더욱 견고해 질 수 있으며, 케이싱의 결합 단부에 보강용 고정 돌기와 보강용 고정 홈을 형성함으로써, 케이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가구용 체결 장치가 소개된다. 이러한 가구용 체결 장치는 판넬(P)에 나사산(N)을 구비한 스크류부(110)가 결합되고, 상기 스크류부(110)가 결합되지 않는 다른 판넬(P)에는 헤드부(120)가 위치되는 고정 볼트(100)와, 상기 고정 볼트(100)의 헤드부(120)를 수용하고, 상기 스크류부(110)가 결합되지 않는 다른 판넬(P)에 함입되어 고정되는 케이싱(200)과, 상기 고정 볼트(100)가 상기 케이싱(200)에 고정되도록 경상 측면(331)이 형성된 나선형 플랜지(330)를 포함하는 조임 볼트(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구용 체결 장치{APPARATUS FOR COMBINING FURNITURE}
본 발명은 가구용 체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싱의 직경 을 축소하고, 고정 볼트의 케이싱에 대한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으며, 케이싱의 결합 단부에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가구용 체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가구를 구성하는 판넬과 판넬이 직교하여 만나는 가구의 모서리부에서 판넬과 판넬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면서 연결 부분이 가급적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가구용 체결 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가구용 체결 장치에 대한 종래 기술은 공개실용신안 제1988-0019950호 및 등록실용신안 제20-0129201호 등에 소개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가구용 체결 장치의 일례를 살펴보면, 도 1은 종래의 가구용 체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가구용 체결 장치에 적용된 조임 볼트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종래의 가구용 체결 장치에 적용된 조임 볼트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종래의 가구용 체결 장치에 의해 가구의 판넬을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것처럼 종래의 가구용 체결 장치는 고정 볼트 수용공(11)과, 조임 볼트 수용공(12)이 형성된 케이싱(10)과, 상기 고정 볼트 수용공(11)에 헤드(23)와 걸림 돌기(22)가 수용되고, 일측에 나사산(21)이 형성된 고정 볼트(20)와, 상기 조임 볼트 수용공(12)에 수용되고 외주에 나선형 플랜지(31)가 형성된 조임 볼트(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조임 볼트(30)에 형성된 나선형 플랜지(31)는 그 두께(t)가 원주 방향을 따라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조임 볼트(30)의 중심부에서 나선형 플랜지(31)의 외곽 경계부까지의 반경 길이(r)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한 길이로 유지된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가구용 체결 장치에 의해 가구의 판넬을 조립한 상태를 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조임 볼트(30)와 고정 볼트(20)가 케이싱(10)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수용된 상태에서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조임 볼트(30)를 회전시켜 조이면 고정 볼트(20)의 헤드(23)와 걸림 돌기(22) 사이에 위치하는 조임 볼트(30)의 나선형 플랜지(31)의 두께가 점점 두꺼워지면서 나선형 플랜지(31)가 헤드(23)와 걸림 돌기(22)를 가압하여 고정 볼트(20)를 케이싱(10)에 고정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가구용 체결 장치의 경우 케이싱(10)의 직경(D)이 25mm 정도로 컸기 때문에 가구 조립후 케이싱의 외부로 많이 노출되어 미관상 분리한 점이 많았고, 케이싱(10)의 직경(D)이 크다 보니 가구의 판넬(P) 끝단과 케이싱 사이의 거리(d)가 2.5mm 정도밖에 확보될 수 없었기에 판넬(P)의 끝단에서 목제 부품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케이싱(10)을 사출로 제작할 경우 그 내부 구조가 복잡하여 절개되어 분리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하고, 내부에 고정 볼트(20)의 걸림돌기(22)와 헤드(23)를 삽입하고, 조임 볼트(30)를 삽입한 후 절개된 케이싱(10)을 다시 결합하기 위한 고정 구조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고정 구조가 케이싱(10)을 판넬(P)에 함입시키는 과정에서 종종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케이싱의 직경을 축소함으로써, 외부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고, 가구의 판넬 끝단과 케이싱 사이의 거리가 여유있게 확보되어 판넬 끝단에서의 목제 부품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가구용 체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조임 볼트의 나선형 플랜지에 고정 볼트를 경사 방향으로 가압 고정하는 경사 측면을 형성함으로써, 고정 볼트의 케이싱에 대한 결합이 더욱 견고해 질 수 있는 가구용 체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케이싱의 결합 단부에 보강용 고정 돌기와 보강용 고정 홈을 형성함으로써, 케이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가구용 체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체결 장치는 가구를 구성하는 판넬과 판넬이 직교하여 만나는 가구의 모서리부에서 판넬과 판넬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모서리부에 위치하는 판넬 중 어느 하나의 판넬에 나사산을 구비한 스크류부가 결합되고, 상기 스크류부가 결합되지 않는 다른 판넬에는 헤드부가 위치되는 고정 볼트와, 상기 고정 볼트의 헤드부를 수용하고, 상기 스크류부가 결합되지 않는 다른 판넬에 함입되어 고정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상기 고정 볼트와 반대 방향으로 수용되되, 그 축중심이 상기 고정 볼트의 축중심에 대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수용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두께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형상인 나선형 플랜지가 그 외주에 형성되며, 회전하면서 상기 나선형 플랜지에 의해 상기 고정 볼트의 헤드부를 가압하여 상기 고정 볼트가 상기 케이싱에 고정되도록 하는 조임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나선형 플랜지는 상기 고정 볼트의 헤드부를 상기 스크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가압하는 경사 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 볼트의 헤드부는 드라이버 결합 홈이 형성된 헤드와, 이 헤드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스크류부가 판넬에 결합되는 깊이를 규제하는 걸림 돌기와, 상기 헤드와 걸림 돌기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나선형 플랜지의 경사 측면에 의해 가압되도록 상기 헤드부의 둘레에 원주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마찰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임 볼트는 드라이버 결합 홈이 형성된 헤드와, 이 헤드로부터 연장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몸체와, 이 몸체의 외주에 형성되어 조임 방향을 따라 그 두께 및 경사 측면의 면적이 점점 증가하는 형상의 나선형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 볼트와 조임 볼트를 각각 수용하는 고정 볼트 수용공과, 조임 볼트 수용공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은 상기 고정 볼트 수용공과 조임 볼트 수용공이 각각 대칭적으로 분리되어 그 내부가 개방될 수 있도록 중앙부가 절개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절개되는 단부의 단부면에는 상호간에 결합되는 고정 돌기 및 고정 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개되는 단부의 단부면에는 상기 고정 돌기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보강용 고정 돌기가 더 형성되고, 상기 고정 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상기 보강용 고정 돌기와 결합하는 보강용 고정 홈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가구용 체결 장치에 따르면, 케이싱의 직경을 축소함으로써, 외부 노출이 최소화될 수 있고, 가구의 판넬 끝단과 케이싱 사이의 거리가 여유있게 확보되어 판넬 끝단에서의 목제 부품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임 볼트의 나선형 플랜지에 고정 볼트를 경사 방향으로 가압 고정하는 경사 측면을 형성함으로써, 고정 볼트의 케이싱에 대한 결합이 더욱 견고해 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케이싱의 결합 단부에 보강용 고정 돌기와 보강용 고정 홈을 형성함으로써, 케이싱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가구용 체결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가구용 체결 장치에 적용된 조임 볼트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종래의 가구용 체결 장치에 적용된 조임 볼트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종래의 가구용 체결 장치에 의해 가구의 판넬을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체결 장치에 의해 가구의 판넬을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체결 장치에 적용된 고정 볼트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체결 장치에 적용된 조임 볼트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체결 장치에 적용된 조임 볼트를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체결 장치에 적용된 케이싱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체결 장치에 적용된 케이싱이 절개되어 그 내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체결 장치에 적용된 조임 볼트가 완전히 조여지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체결 장치에 적용된 조임 볼트를 완전히 조여서 고정 볼트를 케이싱에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체결 장치에 의해 가구의 판넬을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체결 장치에 적용된 고정 볼트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체결 장치에 적용된 조임 볼트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체결 장치에 적용된 조임 볼트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체결 장치에 적용된 케이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체결 장치에 적용된 케이싱이 절개되어 그 내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체결 장치에 적용된 조임 볼트가 완전히 조여지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체결 장치에 적용된 조임 볼트를 완전히 조여서 고정 볼트를 케이싱에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체결 장치는 고정 볼트(100)와, 케이싱(200)과, 조임 볼트(30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볼트(100)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나나산(N)이 형성된 스크류부(110)와, 이 스크류부(110)로부터 연장 형성된 헤드부(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부(110)는 가구를 구성하는 판넬(P)과 판넬(P)이 직교하여 만나는 가구의 모서리부에서 판넬(P)과 판넬(P)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모서리부에 위치하는 판넬(P) 중 어느 하나의 판넬(P)에 결합되는 부분이고, 상기 헤드부(120)는 상기 케이싱(200)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조임 볼트(300)와의 마찰 결합에 의해 케이싱(200)에 고정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헤드부(120)는 드라이버 결합 홈이 형성된 헤드(121)와, 이 헤드(121)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스크류부(110)가 판넬(P)에 결합되는 깊이를 규제하는 걸림 돌기(122)와, 상기 헤드(121)와 걸림 돌기(122) 사이에서 상기 헤드부(120)의 둘레에 원주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마찰링(123)을 포함한다.
상기 조임 볼트(300)는 상기 케이싱(200)에 상기 고정 볼트(100)와 반대 방향으로 수용되되, 그 축중심이 상기 고정 볼트(100)의 축중심에 대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수용되고,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드라이버 결합 홈이 형성된 헤드(310)와, 이 헤드(310)로부터 연장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몸체(320)와, 이 몸체(320)의 외주에 형성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그 두께(t)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형상으로서, 조임 방향[도 11에 도시된 화살표(C) 방향]을 따라서는 그 두께(t)가 증가하는 형상인 나선형 플랜지(3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나선형 플랜지(330)는 상기 고정 볼트(100)의 헤드부(120) 중 마찰링(123)을 상기 스크류부(110) 방향으로 경사지게 가압[도 5에 도시된 화살표(A) 방향으로 가압함을 의미함]하는 경사 측면(331)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나선형 플랜지(33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그 두께(t) 및 경사 측면(331)의 면적이 원주 방향을 따라 점점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특히,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조임 볼트(300)의 헤드부(310)의 중심에서 나선형 플랜지(330)의 외곽 경계부까지의 반경 방향 길이(r)는 상기 경사 측면(331)의 면적 변화로 인해 원주 방향을 따라 증가하거나 감소한다.
이처럼 상기 경사 측면(331)의 면적 변화로 인해 상기 조임 볼트(300)는 상기 케이싱(200)의 직경이 종래 기술 대비 20% 축소되고, 그에 따라 상기 고정 볼트(100)의 헤드부(120)의 직경이 축소되지만, 고정 볼트(100)의 헤드부(120) 중 마찰링(123)을 상기 스크류부(110) 방향으로 경사지게 가압함으로써, 종래 기술 보다 더욱 견고하게 고정 볼트(300)를 케이싱(200)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케이싱(200)은 상기 고정 볼트(100)의 헤드부(120)를 수용하고, 상기 스크류부(110)가 결합되지 않는 다른 판넬(P)에 함입되어 고정되는 구성으로서, 그 외주에는 상기 판넬(P)에 함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다수의 걸림 돌기들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케이싱(200)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그 내부에 상기 고정 볼트(100)와 조임 볼트(300)를 각각 수용하는 고정 볼트 수용공(210)과, 조임 볼트 수용공(22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200)은 상기 고정 볼트 수용공(210)과 조임 볼트 수용공(220)이 각각 대칭적으로 분리되어 그 내부가 개방될 수 있도록 중앙부가 절개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절개되는 단부의 단부면(200a,200b)에는 상호간에 결합되는 고정 돌기(230) 및 고정 홀(24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개되는 단부의 단부면(200a,200b)에는 상기 고정 돌기(23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보강용 고정 돌기(250)가 더 형성되고, 상기 고정 홀(24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보강용 고정 돌기(250)와 결합하는 보강용 고정 홈(260)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보강용 고정 돌기(250) 및 보강용 고정 홈(260)은 케이싱(200)을 판넬(P)에 함입시킬 때 케이싱(200)이 쉽게 파손되지 않을 수 있도록 케이싱(200)의 강성을 보강해 준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도 5 내지 도 10을 부분적으로 참조하고,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체결 장치의 체결 과정을 살펴본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가구의 판넬(P)과 판넬(P)이 직교하여 만나는 부분에서 우선 고정 볼트(100)의 스크류부(110)를 판넬(P) 중 어느 하나에 결합하고, 케이싱(200)의 내부에 상기 고정 볼트(100)의 헤드부(120)와 조임 볼트(30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수용되도록 한 후 케이싱(200)을 결합하여 다른 판넬(P)의 일면에 형성된 홈에 케이싱(200)이 억지 끼움 방식으로 함입되도록 한다. 그 뒤,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조임 볼트(300)의 헤드(310)를 화살표(C) 방향[이러한 방향이 조임 볼트(300)의 조임 방향임]으로 조이면, 나선형 플랜지(330)도 상기 헤드(310)와 일체로 화살표(C)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고정 볼트(100)의 마찰링(123)과 접촉되는 나선형 플랜지(330)의 두께(t) 및 경사 측면(331)의 면적이 증가하면서 상기 고정 볼트(100)의 마찰링(123)이 상기 경사 측면(331)에 의해 스크류부(110) 방향으로 경사지게 가압되며, 최종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 볼트(100)의 헤드부(120)는 상기 나선형 플랜지(310)의 경사 측면(331)과 케이싱(200) 사이에 맞물려서 회전 및 축 방향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고정된다.
위와 같은 본 발며의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체결 장치를 가구 조립시 적용할 경우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케이싱(200)의 직경(D)이 축소되어 20mm 정도의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가구의 판넬(P) 끝단과 케이싱(200) 사이의 거리(d)가 5mm 정도로 증가 되어 판넬(P)의 끝단에서 목제 부품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경사 측면(331)을 통해 고정 볼트(100)가 케이싱(200)에 더욱 견고히 고정되어 가구의 판넬(P)과 판넬(P) 또한 더욱 견고히 결합될 수 있게 되고, 케이싱(200)의 노출 부분도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체결 장치에 따르면, 케이싱의 직경을 축소함으로써, 외부 노출이 최소화될 수 있고, 가구의 판넬 끝단과 케이싱 사이의 거리가 여유있게 확보되어 판넬 끝단에서의 목제 부품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임 볼트의 나선형 플랜지에 고정 볼트를 경사 방향으로 가압 고정하는 경사 측면을 형성함으로써, 고정 볼트의 케이싱에 대한 결합이 더욱 견고해 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케이싱의 결합 단부에 보강용 고정 돌기와 보강용 고정 홈을 형성함으로써, 케이싱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이 이해될 필요가 있다.
100 : 고정 볼트 110 : 스크류부
120 : 헤드부 200 : 케이싱
210 : 고정 볼트 수용공 220 : 조임 볼트 수용공
230 : 고정 돌기 240 : 고정 홀
250 : 보강용 고정 돌기 260 : 보강용 고정 홈
300 : 조임 볼트 310 : 헤드
320 : 몸체 330 : 나선형 플랜지
331 : 경사 측면

Claims (5)

  1. 가구를 구성하는 판넬(P)과 판넬(P)이 직교하여 만나는 가구의 모서리부에서 판넬과 판넬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모서리부에 위치하는 판넬 중 어느 하나의 판넬(P)에 나사산(N)을 구비한 스크류부(110)가 결합되고, 상기 스크류부(110)가 결합되지 않는 다른 판넬(P)에는 헤드부(120)가 위치되는 고정 볼트(100);
    상기 고정 볼트(100)의 헤드부(120)를 수용하고, 상기 스크류부(110)가 결합되지 않는 다른 판넬(P)에 함입되어 고정되는 케이싱(200); 및
    상기 케이싱(200)에 상기 고정 볼트(100)와 반대 방향으로 수용되되, 그 축중심이 상기 고정 볼트(100)의 축중심에 대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수용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두께(t)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형상인 나선형 플랜지(330)가 그 외주에 형성되며, 회전하면서 상기 나선형 플랜지(330)에 의해 상기 고정 볼트(100)의 헤드부(120)를 가압하여 상기 고정 볼트(100)가 상기 케이싱(200)에 고정되도록 하는 조임 볼트(300);를 포함하며,
    상기 나선형 플랜지(330)는 상기 고정 볼트(100)의 헤드부(120)를 상기 스크류부(110) 방향으로 경사지게 가압하는 경사 측면(3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체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볼트(100)의 헤드부(120)는 드라이버 결합 홈이 형성된 헤드(121)와, 이 헤드(121)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스크류부(110)가 판넬(P)에 결합되는 깊이를 규제하는 걸림 돌기(122)와, 상기 헤드(121)와 걸림 돌기(122)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나선형 플랜지(330)의 경사 측면(331)에 의해 가압되도록 상기 헤드부(120)의 둘레에 원주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마찰링(1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체결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임 볼트(300)는 드라이버 결합 홈이 형성된 헤드(310)와, 이 헤드(310)로부터 연장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몸체(320)와, 이 몸체(320)의 외주에 형성되어 조임 방향을 따라 그 두께(t) 및 경사 측면(331)의 면적이 점점 증가하는 형상의 나선형 플랜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체결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200)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 볼트(100)와 조임 볼트(300)를 각각 수용하는 고정 볼트 수용공(210)과, 조임 볼트 수용공(220)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200)은 상기 고정 볼트 수용공(210)과 조임 볼트 수용공(220)이 각각 대칭적으로 분리되어 그 내부가 개방될 수 있도록 중앙부가 절개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절개되는 단부의 단부면(200a,200b)에는 상호간에 결합되는 고정 돌기(230) 및 고정 홀(2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체결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절개되는 단부의 단부면(200a,200b)에는 상기 고정 돌기(23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보강용 고정 돌기(250)가 더 형성되고, 상기 고정 홀(24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기 보강용 고정 돌기(250)와 결합하는 보강용 고정 홈(260)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체결 장치.
KR1020120087087A 2012-08-09 2012-08-09 가구용 체결 장치 KR101476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087A KR101476619B1 (ko) 2012-08-09 2012-08-09 가구용 체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087A KR101476619B1 (ko) 2012-08-09 2012-08-09 가구용 체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516A true KR20140020516A (ko) 2014-02-19
KR101476619B1 KR101476619B1 (ko) 2014-12-26

Family

ID=50267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7087A KR101476619B1 (ko) 2012-08-09 2012-08-09 가구용 체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66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65398A (zh) * 2015-07-10 2015-11-18 宁波前源机械有限公司 植入式杆套对接结构及采用植入式杆套对接结构的橱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6331Y2 (ja) * 1981-10-07 1985-10-2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ス混合器
AT373981B (de) * 1982-06-11 1984-03-12 Blum Gmbh Julius Moebelverbinder
DE3539853A1 (de) * 1985-11-09 1987-05-14 Haefele Kg Beschlag, insbesondere fuer ein moebelstuec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65398A (zh) * 2015-07-10 2015-11-18 宁波前源机械有限公司 植入式杆套对接结构及采用植入式杆套对接结构的橱柜
CN105065398B (zh) * 2015-07-10 2017-05-24 宁波捷丰现代家俱有限公司 植入式杆套对接结构及采用植入式杆套对接结构的橱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6619B1 (ko) 2014-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0132B2 (en) Rotary tool, in particular a drill for such a rotary tool
JP2002122119A (ja) 構造部品連結装置
KR101476619B1 (ko) 가구용 체결 장치
KR200475714Y1 (ko) 가구용 체결 장치
KR20210014312A (ko) 파손방지 가구용 체결 장치
KR101828945B1 (ko) 블라인드 볼트
TW201540390A (zh) 鉚釘
JP7116595B2 (ja) 締付トルク管理具及び締付トルク管理具と締結具との組み合わせ
KR20210091882A (ko) 파손방지 가구용 체결 장치
JP2011182944A (ja) プランジャーロッド及びシリンジ
RU2502589C2 (ru) Ручная машина, прежде всего угловая шлифовальная машина
TWI752227B (zh) 鎖緊扭矩管理具及鎖緊扭矩管理具與緊固件之組合
JP2009228888A (ja) 舌付き座金固定治具
TWI499476B (zh) 主軸鎖定螺帽配重系統
JP3230185U (ja) ロックサポートのロッキングスリーブ
JP6395450B2 (ja) 開口枠形成用枠部材
JP5517053B2 (ja) 固定構造および骨プレートキット
JP4043792B2 (ja)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
US20210372458A1 (en) Bushing assembly
JP5763855B1 (ja) ドア器具取付装置
JP2596858Y2 (ja) 組み合わせパッキン
TW201821679A (zh) U型鋼連接結構
JP2016053244A (ja) ドア用のハンドル座
KR20220101932A (ko) 이동형 또는 고정형 가구 선반에 적용이 가능한 공용 고정 장치
JPH0752298Y2 (ja) ドアーノブ取付装置用の予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