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8986A - Elevator control device - Google Patents

Elevator control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8986A
KR20140018986A KR1020137032347A KR20137032347A KR20140018986A KR 20140018986 A KR20140018986 A KR 20140018986A KR 1020137032347 A KR1020137032347 A KR 1020137032347A KR 20137032347 A KR20137032347 A KR 20137032347A KR 20140018986 A KR20140018986 A KR 20140018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regenerative
elevator
ca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23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마사노리 야스에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18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898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0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driving gear, e.g. acting on power electronics, on inverter or rectifier controlled motor
    • B66B1/302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driving gear, e.g. acting on power electronics, on inverter or rectifier controlled motor for energy sa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칸(2)과 균형추(5)가 두레박 방식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엘리베이터 칸(2)을 승강시키는 모터(11)를 가지고 있고, 교류 전원(20)을 회생 기능 내장 컨버터(32)로 정류하여 인버터(36)에 의하여 모터(11)를 구동함과 아울러, 모터(11)에서 생성된 회생 전력을 인버터(36), 회생 기능 내장 컨버터(32)를 통하여 교류 전원(20)으로 변환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정전시에 컨버터(32)를 교류 전원(20)으로부터 스위치(22)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개방 후, 엘리베이터 칸(2)의 주행에 의하여 생성되는 회생 전력에 의하여, 컨버터(32)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양수 펌프(200)를 구동하는 제어부(50)를 구비한 것이다.The car 2 and the counterweight 5 are formed in a roll type, and have a motor 11 for elevating the car 2, and rectifying the AC power supply 20 with the regenerative function built-in converter 32. The elevator 36 drives the motor 11 and converts the regenerative power generated by the motor 11 into the AC power source 20 through the inverter 36 and the converter 32 with built-in regenerative function. The control device WHEREIN: The converter 32 is electrically opened by the switch 22 from the AC power supply 20 by the switch 22 at the time of a power outage, and the converter 32 is based on the regenerative electric power produced | generated by the running of the cage | basket | car 2. And a control unit 50 for driving the pump pump 200 electrically connected thereto.

Figure P1020137032347
Figure P1020137032347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ELEVATOR CONTROL DEVICE}Elevator control device {ELEVATOR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device of an elevator.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는 하기 특허문헌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생용 컨버터를 이용한 제어 장치가 알려져 있다. As a conventional elevator control apparatus, as shown in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1, the control apparatus using the regenerative converter is known.

이 제어 장치는 역행(力行)용 컨버터 및 회생용 컨버터를 가지는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의 인버터, 비상용 발전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의 직류측에 회생 전력 소비 회로를 마련하여, 비상용 발전기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운전시, 회생용 컨버터를 블록하고 회생 전력 소비 회로를 작동 상태로 하여 회생 전력을 소비시키도록 하고 있다. The control device is an elevator control device having a variable voltage variable frequency inverter and an emergency generator having a retro converter and a regenerative converter. A regenerative power consumption circuit is provided on the direct current side of the inverter to provide an emergency generator. In operation of the elevator by the regenerative converter, the regenerative converter is blocked and the regenerative power consumption circuit is operated to consume the regenerative power.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하면, 정상 전원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운전시는 회생 전력은 전원측으로 반환되므로 전력 소비량이 작아진다. 비상용 전원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운전시는 회생 전력을 직류측에서 소비하도록 하였으므로, 비상용 발전기에 있어서 처리하기에 번거로운 회생 전력이 흘러 드는 일이 없고, 전압 노치도 발생하지 않는바, 비상용 발전기의 용량을 작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rol device, the regenerative power is returned to the power supply side during operation of the elevator by the normal power supply, so the power consumption is reduced. Since the regenerative power is consumed by the DC side during operation of the elevator by the emergency power supply, the regenerative power that is not cumbersome to process in the emergency generator does not flow and the voltage notch does not occur. can do.

[특허문헌 1] 일본 특개소 59-149781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59-149781

그렇지만, 상기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에서는, 모터에서 생성된 회생 전력을 회생 컨버터를 이용하여 전원으로 반환하는데 머물고 있었다. 이것에 대하여 발명자는 정전시에, 엘리베이터로부터 생성되는 회생 전력이 전력 공급원으로서의 기능을 가지지 않았던 점을 감안하여, 정전시에 엘리베이터를 임시로 발전 설비로서 기능시켜서 상기 회생 전력을 이용하여 전력 공급원으로서 이용하고, 엘리베이터 이외의 전기기기를 구동하는 것을 알아낸 것이다. However, in the control device of the elevator, the regenerative power generated by the motor remains to be returned to the power source using the regenerative converter. On the other hand,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regenerative power generated from the elevator at the time of power failure did not have a function as a power supply source, the inventor temporarily functions the elevator as a power generation facility at the time of power failure and uses the regenerative power as a power supply source. It was found out to drive electrical equipment other than the elevato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정전시에 상기 회생 전력을 이용하여 전력 공급원으로서 기능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vator control apparatus having a function as a power supply source by using the regenerative power during power failure.

제1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과 균형추가 두레박 방식(pully system)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승강시키는 모터를 가지고 있고, 교류 전원을 정류 수단에 의하여 정류하여 인버터에 의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함과 아울러, 상기 모터에서 생성된 회생 전력을 상기 인버터, 회생 수단을 통하여 상기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정전시에 상기 회생 수단, 상기 정류 수단을 상기 교류 전원으로부터 개폐 수단으로 전기적으로 개방한 후,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에 의하여 생성되는 회생 전력으로 상기 회생 수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기기기를 구동하는 것이다. The control device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first invention is formed in a car and a balanced system, and has a motor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car. An elevator control apparatus which drives the motor and converts regenerative power generated by the motor into the alternating current power through the inverter and the regenerative means, wherein the regenerative means and the rectifying means convert the regenerative means and the rectifying means at the time of power failure. After electrically opening from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to drive the electrical equipmen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generative means with regenerative power generated by the running of the car.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에 의하면, 정전시에 개폐 수단이 회생 수단, 정류 수단을 교류 전원으로부터 전기적으로 개방한 후,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에 의하여 생성되는 회생 전력으로 회생 수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기기기를 구동한다. 따라서, 정전시에 엘리베이터가 전력 공급원으로서 기능하여 전기기기를 구동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ontrol device of such an elevator, the electrical device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generative means by regenerative power generated by the driving of the car after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electrically opens the regenerative means and the rectifying means from the AC power supply in case of power failure. To drive. Therefore, the elevator can function as a power supply source at the time of power failure and can drive the electric machine.

제2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 내의 부하를 검지하는 부하 검지 수단과, 전기기기의 소비 전력값을 설정하는 소비 전력 설정 수단과, 검지된 부하와 전기기기의 소비 전력값에 기초하여 모터를 구동하는 인버터의 속도 지령을 조정하는 속도 조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trol apparatus of the elevator which concerns on 2nd invention is based on the load detection means which detects the load in a cage, the power consumption setting means which sets the power consumption value of an electric machine, and based on the detected load and the power consumption value of an electric machin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peed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eed command of the inverter for driving the motor.

이것에 의하여, 속도 조정 수단은 검지된 부하와 전기기기의 소비 전력값에 기초하여 모터를 구동하는 인버터의 속도 지령을 조정한다. 따라서, 전기기기의 소비 전력, 엘리베이터 칸 내의 부하에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를 조정하여 엘리베이터로부터 생성될 수 있는 생성 전력을 조정할 수 있다. 전기기기의 소비 전력과 생성 전력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전기기기에 공급하는 전원의 전압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speed adjusting means adjusts the speed command of the inverter that drives the motor based on the detected load and the power consumption value of the electric equipment. Therefore, the generated power that can be generated from the elevator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speed of the car according to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ic machine and the load in the car. Since the power consumption and the generated power of the electric device can be adjusted, the voltage fluctuation of the power supply to the electric device can be suppressed.

제3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는, 전기기기에 공급되는 회생 전력을 검지하는 전력 검지 수단과, 전기기기의 소비 전력값을 설정하는 소비 전력 설정 수단과, 검지된 상기 회생 전력과 상기 전기기기의 소비 전력값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상기 인버터의 속도 지령을 조정하는 속도 조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trol apparatus of the elevator which concerns on 3rd invention is the power detection means which detects the regenerative power supplied to an electrical equipment, the power consumption setting means which sets the power consumption value of an electrical equipment, the detected regenerative power, and the said electrical equipment Preferably, speed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eed command of the inverter for driving the motor based on the power consumption value of.

이것에 의하여, 속도 조정 수단은 검지된 회생 전력과 전기기기의 소비 전력값에 기초하여, 모터를 구동하는 인버터의 속도 지령을 조정하여 엘리베이터로부터 생성될 수 있는 생성 전력을 조정할 수 있다. 전기기기의 소비 전력과 생성 전력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전기기기에 공급하는 전원의 전압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Thereby, the speed adjusting means can adjust the generated power that can be generated from the elevator by adjusting the speed command of the inverter for driving the motor based on the detected regenerative power and the power consumption value of the electric device. Since the power consumption and the generated power of the electric device can be adjusted, the voltage fluctuation of the power supply to the electric device can be suppressed.

제4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는, 정류 수단의 직류측에 전력을 저장 가능하게 마련된 축전 수단을 구비하고, 제어 수단은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에 의하여 생성되는 회생 전력을 상기 축전 수단에 축적한 후, 당해 축전 수단으로부터의 전력에 기초하여 회생 수단을 통하여 전기기기를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apparatus of the elevator which concerns on 4th invention is equipped with the electrical storage means provided so that electric power can be stored in the direct current | flow side of a rectifying means, and a control means accumulates the regenerative electric power produced by the running of a car in the said electrical storage means, It is preferable to drive the electric machine through the regenerative means based on the electric power from the power storage means.

이것에 의하여, 제어 수단은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에 의하여 생성되는 회생 전력을 축전 수단에 축적한 후, 당해 축전 수단으로부터의 전력에 기초하여 회생 수단을 통하여 전기기기를 구동하므로, 엘리베이터 칸의 부하, 주행 상태에 의존하는 일없이 전기기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control means accumulates the regenerative power generated by the running of the car in the power storage means, and then drives the electric machine through the regenerative means based on the power from the power storage means. Power can be supplied to electrical equipment without depending on the state.

제5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는, 회생 전력값과, 상기 회생 전력의 지속 시간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apparatus of the elevator which concerns on 5th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display means which displays a regenerative electric power value and the duration of the said regenerative electric power.

이것에 의하여, 정전시에 엘리베이터를 비상용 전원 장치로서 사용할 때의 전력 공급 능력이 표시되므로, 상기 비상용 전원 장치의 사용 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Thereby, since the power supply capability at the time of using an elevator as an emergency power supply at the time of power failure is displayed, the usability of the said emergency power supply can be improved.

제6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는, 엘리베이터를 복수 가지고 있으며, 상기 엘리베이터 마다의 회생 전력을 전기기기에 공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apparatus of the elevator which concerns on 6th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elevators, and is provided with the control means which supplies the regenerative electric power for every said elevator to an electrical equipment.

이것에 의하여, 복수의 엘리베이터로부터 생성되는 회생 전력에 기초하여 전기기기를 구동할 수 있으므로, 구동할 수 있는 전기기기의 용량을 확대할 수 있다.Thereby, since an electric machine can be driven based on the regenerative electric power produced | generated from the some elevator, the capacity | capacitance of the electric machine which can be driven can be expanded.

본 발명에 의하면, 정전시에 엘리베이터를 전력 공급원으로 기능시켜서, 엘리베이터에서 생성된 회생 전력을 이용하여 전기기기를 구동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levator control apparatus capable of driving an electric machine by using the regenerative power generated in the elevator by functioning the elevator as a power supply source during a power fail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의 전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은 도 1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임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임차트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whole figure of the control apparatus of the elevator which shows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device of the elevator of FIG. 1.
3 is a time 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device of the elevator of FIG.
4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time 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형태 1. Embodiment 1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 1로써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의 전체도이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whole figure of the control apparatus of the elevator which shows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1에 있어서, 3상의 교류 전원(20)에는 전기적으로 개폐 가능한 개폐 수단으로서의 스위치(22)를 통하여 제1 엘리베이터(1)가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수돗물을 건물의 옥상에 저장하기 위하여 길어 올리는 전기기기로서의 양수 펌프(200)와, 제1 엘리베이터(1)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는 제2 엘리베이터(100)가 스위치(22)를 통하여 교류 전원(20)에 접속되어 있다. 1, the 1st elevator 1 is connected to the three-phase alternating current power supply 20 via the switch 22 as an opening / closing means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electrically. Similarly, a pump pump 200 serving as an electric device for storing tap water on the roof of a building, and a second elevator 100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elevator 1 are connected to an AC power source through the switch 22. 20).

엘리베이터(1)는 엘리베이터 칸(2)에 로프(3)을 통하여 균형추(5)가 두레박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고, 로프(3)를 감아 올려서 엘리베이터 칸(2)을 승강시키는 권상기(7)를 가지고 있다. 권상기(7)에는 브레이크(9)와 모터(11)가 탑재되어 있다. The elevator (1) has a hoisting machine (7) for lifting the cage (2) by lifting the rope (3) in the form of a balance weight (5) through a rope (3) on the cage (2). have. A brake 9 and a motor 11 are mounted on the hoist 7.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에는 엘리베이터 칸(2) 내의 승차 부하를 검지하는 부하 검지 수단으로서의 부하 검출기(13)를 가지고 있으며, 교류 전원(20)을 정류하여 직류 전력을 얻고, 이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기(30)에 의하여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의 전압으로 모터(11)를 가변속 구동하고 있다. 전력 변환기(30)의 직류 모선(34)에는 전력을 축적함과 아울러, 방출하는 축전 수단으로서의 전력 축적기(40)를 가지고 있다. The control device of the elevator has a load detector 13 as a load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riding load in the car 2, rectifies the AC power supply 20 to obtain a DC power, and converts the DC power into AC power. The power converter 30 drives the motor 11 at a variable speed with a variable frequency. The direct current bus 34 of the power converter 30 has a power accumulator 40 as a power storage means that accumulates and emits electric power.

게다가, 제어 장치에는 전력 변환기(30)을 제어하는 지령 신호를 생성함과 아울러, 부하 검출기(13)로부터의 부하 검지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50)를 가지고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device has a control section 50 for generating a command signal for controlling the power converter 30 and receiving a load detection signal from the load detector 13.

제어부(50)는 정전을 검지하는 전력 검지 수단으로서의 전원 감시기(60)로부터의 정전 검지 신호를 수신함과 아울러, 정전시에 엘리베이터(1)를 발전기로서 기능시킬 때에 생성되어야 할 전력을 설정하는 소비 전력 설정기(70)로부터의 전력 지령 신호를 수신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어부(50)는 표시기(80)에 전력값 등을 표시하는 신호를 전송하도록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제어 수단 및 속도 조정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The control part 50 receives the power failure detection signal from the power supply monitor 60 as a power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 power failure, and sets the power to be generated when the elevator 1 functions as a generator during a power failure. It is formed so as to receive the power command signal from the setter 70. The controller 50 is formed to transmit a signal for displaying a power value or the like to the display 80, and has a function as a control means and a speed adjusting means.

전력 변환기(30)에는 교류 전원(20)을 정류함과 아울러,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양수 펌프(2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정류 수단, 및 회생 수단으로서의 회생 기능 내장 컨버터(32)와, 컨버터(32)의 맥동한 출력 전압을 평활하게 하는 콘덴서(33)를 가지고 있다.The power converter 30 includes rectifier means for rectifying the AC power supply 20, converting DC power into AC power, and supplying power to the pump 200, and a converter 32 having a regenerative function as a regenerative means. And a capacitor 33 for smoothing the pulsated output voltage of the converter 32.

게다가, 전력 변환기(30)에는 컨버터(32)의 출력이 되는 직류 모선(34)을 통하여, 모터(11)를 가변속 구동하는 인버터(36)와, 모터(11)에서 생성된 회생 전력을 트랜지스터로 제어하여 저항에 의하여 소비하는 회생 저항 회로(38)를 가지고 있다. In addition, the power converter 30 converts the inverter 36 which drives the motor 11 at variable speed and the regenerative power generated by the motor 11 into a transistor through the DC bus 34 which is the output of the converter 32. It has the regenerative resistor circuit 38 which controls and consumes with a resistor.

전력 축적기(40)에는 납 축전지나 니켈 수소 전지로 이루어지는 전력을 저장하는 전력 저장부(41)와, 전력 저장부(41)의 충방전을 제어함과 아울러, 전력 저장부(41)의 전압을 승압 가능한 DC-DC 컨버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충방전부(43)를 가지고 있다. The power accumulator 40 controls the charge / discharge of the power storage unit 41 and the power storage unit 41 that store electric power formed of lead storage batteries or nickel hydride batteries, and the voltage of the power storage unit 41. And a charge / discharge unit 43 made of a DC-DC converter capable of boosting the voltage.

또한, 제어부(50), 전원 감시부(60), 부하 검출기(13) 등 정전시에 동작시키지 않으면 아니 되는 기기 등은 도시하지 않은 축전지에 의하여 정전시의 전원이 확보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0, the power supply monitoring unit 60, the load detector 13, and the like which have to be operated at the time of power failure have secured the power supply at the time of power failure by a battery not shown.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의 통상 운전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한다. Next, operation | movement in normal operation of the control apparatus of the elevator comprised as mentioned above is demonstrated.

<통상 운전시><At the time of normal driving>

지금, 도 1에 있어서, 스위치(22)가 닫힘 상태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2)에 승객이 거의 정격에 가까운 상태로 승차하여 상승 운전을 개시하면, 모터(11)는 전력을 소비하면서 운전하는 역행이 된다. 이때, 제어부(50)는 엘리베이터(1)의 기동에 의하여 충방전부(43)를 제어하여 전력 축적부(41)로부터 방전을 개시하여, 직류 모선(34)의 전압을 규정 전압으로 제어한다. Now, in FIG. 1, when the switch 22 is in the closed state, when the passengers get on the car 2 in a state near the rated and start the ascending operation, the motor 11 operates while consuming power. It is backing. At this time, the controller 50 controls the charge / discharge unit 43 by starting the elevator 1 to start discharging from the power storage unit 41 to control the voltage of the DC bus line 34 to the specified voltage.

한편, 엘리베이터(1)의 전력이 전력 축적부(41)로부터의 방전 전력으로 부족한 경우는 전력 축적부(41)로부터의 전력과, 컨버터(32)로부터 출력되는 상용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의 양방으로 조달한다. 이와 같이, 회생 전력을 전력 축적기(40)에 축적하고, 전력을 재이용함으로써, 에너지 절약이 실현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electric power of the elevator 1 is insufficient by the discharge power from the electric power accumulating part 41, both the electric power from the electric power accumulating part 41 and the electric power supplied from the commercial power source which are output from the converter 32 are used. Procure. Thus, energy saving is realized by accumulating regenerative power in the power accumulator 40 and reusing the power.

다음으로, 스위치(22)가 닫힘 상태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2)이 무부하로 상승 운전을 개시하면,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 에너지를 전력으로 되돌리는 회생 운전이 되어, 직류 모선(34)의 전압이 이 회생 전력에 의하여 상승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50)는 직류 모선(34)의 전압의 상승이 어느 규정 전압에 이르면, 충방전부(43)를 제어하여 회생 전력을 전력 축적부(41)에 충전한다. 다른 제어 수단으로서, 회생 전력을 감시하면서 충방전부(43)를 제어하여 회생 전력을 전력 축적부(41)에 충전하는 것이 있다. Next, in the closed state of the switch 22, when the cage | basket | car 2 starts an ascending operation with no load, it will be the regenerative operation which returns the speed energy of the cage | basket | car 2 to electric power, and the direct current bus 34 This regenerative power rises the voltage of. For example, the controller 50 controls the charge / discharge unit 43 to charge the regenerative power to the power storage unit 41 when the voltage of the DC bus 34 reaches a predetermined voltage. As another control means, the regenerative power 43 is controlled while the regenerative power is monitored to charge the regenerative power into the electric power storage part 41.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의 정전시 운전 동작을 설명한다. Next, operation | movement operation | movement at the time of blackout of the control apparatus of the elevator comprised as mentioned above is demonstrated.

<정전시><At the time of power failure>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전 등으로 교류 전원(2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할 수 없는 경우에, 양수 펌프(200)나 엘리베이터(100)를 일시적으로 동작시키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정전 중에 집합 주택의 상층에서 수돗물을 사용할 필요가 있어, 양수 펌프(200)를 단시간만 동작시키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As shown in FIG. 1, when the electric power cannot be supplied from the AC power supply 20 due to a power failure or the like, there may be a case where the pump pump 200 or the elevator 100 is temporarily operated. For example, it is necessary to use tap water in the upper floor of the collective house during a power failure, and the pump pump 200 may be operated only for a short time.

또, 휠체어 이용자가 상층에서 피난을 기다리고 있는 경우 등에는 엘리베이터(1)를 일시적으로 운전하여 휠체어 이용자를 피난시킬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비상용 발전기를 임시로 다른 장소로부터 운반해 와서 이용하는 수단도 있지만, 곧바로 전력을 공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대응이 어렵다. 여기서, 엘리베이터(1)의 발전 기능을 이용하여, 양수 펌프(200)에 전력을 이하와 같이 하여 공급한다. 또한, 엘리베이터(1)의 발전 기능을 이용하여 구동하는 전기기기는 양수 펌프(200)과 같이 어느 정도의 전압 변동에 견딜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when the wheelchair user is waiting for evacuation from the upper floor, it is necessary to temporarily drive the elevator 1 to evacuate the wheelchair user. In such a case, there is also a means of temporarily transporting the emergency generator from another place and using it, but it is difficult to cope with the case where the power is to be supplied immediately. Here, electric power is supplied to the pump pump 200 using the power generation function of the elevator 1 as follows.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lectric device driven by using the power generation function of the elevator 1 can withstand a certain voltage fluctuation like the pump pump 200.

먼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용자는 스위치(22)를 개방하여 교류 전원(20)에서 엘리베이터(1) 등을 분리하고(스텝 S101), 양수 펌프(200)를 가동하기 위한 소비 전력값을 소비 전력 설정기(70)에 설정한다(스텝 S103). 제어부(50)는 설정된 소비 전력값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2)의 주행 속도를 설정한다. First, as shown in FIG. 2, a user opens the switch 22, isolate | separates the elevator 1 etc. from the AC power supply 20 (step S101), and consumes the power consumption value for operating the pump pump 200. FIG. It sets to the electric power setter 70 (step S103). The control part 50 sets the traveling speed of the cage | basket | car 2 based on the set power consumption value.

이때, 주행 속도는 대체로 상기 소비 전력값을 엘리베이터 칸(2)과 균형추(3)의 질량차로 나눔으로써 구해진다. 이 소비 전력은 설정된 소비 전력에, 승강을 위한 기계 손실과, 모터(11)나 전력 변환기(30)의 전기 손실을 가미한 것을 이용한다. 또한, 통상은 엘리베이터 칸(2)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무승차 상태를 상정하고 있으나, 엘리베이터 칸(2) 내에 화물 등이 실려 있는 경우에는 부하 검출기(13)로 검출한 엘리베이터 칸(2) 내 부하를 보정하여 엘리베이터 칸(2)측과 균형추(5)측의 질량차를 구할 필요가 있다. At this time, the traveling speed is generally obtained by dividing the power consumption value by the mass difference between the car 2 and the balance weight 3. This power consumption utilizes the set power consumption in which the mechanical loss for lifting and lowering and the electrical loss of the motor 11 or the power converter 30 are added. In addition, although it is assumed that the passenger-car 2 does not exist in the passenger car 2 normally, when the cargo etc. are loaded in the car 2, the inside of the car 2 detected by the load detector 13 was carried out.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mass difference between the car 2 side and the balance weight 5 side by correcting the load.

다음으로, 제어부(50)는 모터(11)를 발전기로서 기동한다(스텝 S105). 설정된 속도에 기초하여 회생 운전 방향으로 엘리베이터 칸(2)을 주행하면, 도 3(a)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가 서서히 상승하여 모터(11)는 발전기로서 작용하고, 도 3(b)와 같이 회생 전력 PR을 생성한다. 제어부(50)는 전원 감시부(60)로 검출한 전력을 표시기(80)에 표시한다(스텝 S107). 이용자는 전원 감시부(60)로 검출한 전력이 설정된 값에 이르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109). 이것은 도 3(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정된 전력에 이르지 않는 점선 부분에 대하여는 양수 펌프(200)를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설정 전력에 이르는 것을 확인한다. 그리고, 회생 전력이 설정 전력값에 이르면, 제어부(50)는 전력 변환기(30)의 컨버터(32)를 동작하고, 양수 펌프(200)에 전력을 공급하여 가동하며(스텝 S111), 이윽고, 엘리베이터 칸(2)이 종단층에 가까워지면, 엘리베이터 칸(2)을 감속한다. 이에 동반하여, 모터(11)로부터의 발전 전력이 저하한 것을 전원 감시부(60)가 검지한다(스텝 S113). 제어부(50)는 이 검지를 수신하여 양수 펌프(200)의 가동을 종료한다.Next, the control part 50 starts the motor 11 as a generator (step S105). When the car 2 is driven in the regenerative operation direction based on the set speed, the speed of the car 2 gradually rises as shown in Fig. 3 (a), and the motor 11 acts as a generator, and Fig. 3 (b). To generate the regenerative power PR. The control part 50 displays the power detected by the power supply monitoring part 60 on the display 80 (step S107). The user checks whether the power detected by the power supply monitoring unit 60 has reached the set value (step S109). As shown in Fig. 3 (d), since the pump pump 200 cannot be used for the dotted line portion which does not reach the set power, it is confirmed that the set power is reached. Then, when the regenerative power reaches the set power value, the controller 50 operates the converter 32 of the power converter 30, supplies power to the pump pump 200, and operates it (step S111). When the cage | basket | car 2 approaches a terminal floor, the cage | basket | car 2 is decelerated. Accompanying this, the power supply monitoring unit 60 detects that the generated electric power from the motor 11 has decreased (step S113). The control part 50 receives this detection, and complete | finishes the operation of the pump pump 200.

또한, 스텝 S109에 있어서, 전원 감시부(60)로 검출한 전력이 설정된 값에 이르지 않은 도 3(d)에 나타낸 점선의 전력은 회생 저항 회로(38)의 저항에서 소비되고 있다. In step S109, the power of the dotted line shown in Fig. 3 (d) in which the power detected by the power supply monitoring unit 60 does not reach the set value is consumed by the resistance of the regenerative resistor circuit 38.

또, 서서히 전압이 상승하여도 구동 가능한 전기기기에서는 도 3(d)에 나타낸 점선의 전력도 더하여 구동할 수 있다. Moreover, in the electric device which can be driven even if a voltage rises gradually, the electric power of the dotted line shown in FIG.3 (d) can be added and driven.

상기 실시형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2)과 균형추(5)가 두레박 방식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엘리베이터 칸(2)을 승강시키는 모터(11)를 가지고 있으며, 3상의 교류 전원(20)을 회생 기능 내장 컨버터(32)에 의하여 정류하고, 인버터(36)에 의하여 모터(11)를 구동함과 아울러, 모터(11)로부터 생성된 회생 전력을 인버터(36), 회생 기능 내장 컨버터(32)를 통하여 교류 전원(20)으로 변환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정전시에 컨버터(32)를 교류 전원(20)으로부터 스위치(22)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개방한 후, 엘리베이터 칸(2)의 주행에 의하여 생성되는 회생 전력으로, 컨버터(32)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양수 펌프(200)를 구동하는 제어부(50)를 구비한 것이다. The control apparatus of the elevator of the said embodiment is provided with the cage | basket | car 2 and the counterweight 5 by the roll system, and has the motor 11 which raises and lowers the cage | basket | car 2, The three-phase alternating current power supply 20 ) Is rectified by the regenerative function built-in converter 32, the motor is driven by the inverter 36, and the regenerative power generated from the motor 11 is converted into the inverter 36 and the regenerative function built-in converter ( In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which converts into the alternating current power supply 20 via 32, after the converter 32 is electrically opened by the switch 22 from the alternating current power supply 20 at the time of a power failure, the cage | basket | car 2 is opened. It is provided with the control part 50 which drives the pump pump 200 electrically connected with the converter 32 with the regenerative power produced | generated by the driving | running | working of the.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에 의하면, 정전시에 스위치(22)가 컨버터(32)를 교류 전원(20)으로부터 전기적으로 개방한 후, 엘리베이터 칸(2)의 주행에 의하여 생성되는 회생 전력으로, 컨버터(32)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양수 펌프(200)를 구동한다. 따라서, 정전시에 엘리베이터(1)가 전력 공급원으로서 기능하여 양수 펌프(200)를 구동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ontrol device of the elevator, after the switch 22 electrically opens the converter 32 from the AC power source 20 at the time of power failure, the converter 32 is the regenerative power generated by the running of the car 2. And drives the pump pump 200 electrically connected thereto. Therefore, the elevator 1 can function as a power supply source at the time of power failure, and can drive the pump pump 200.

상기 실시형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2) 내의 부하를 검지하는 부하 검지기(13)와, 검지된 부하와 양수 펌프(200)의 소비 전력값에 기초하여 모터(11)를 구동하는 인버터(36)의 속도 지령을 조정하는 속도 조정 수단으로서의 제어부(5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ike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of the above embodiment, the motor 11 is driven based on the load detector 13 that detects the load in the car 2, and the detected load and the power consumption value of the pump 200. It is preferable to provide the control part 50 as a speed adjusting means which adjusts the speed command of the inverter 36 to make.

이것에 의하여, 제어부(50)는 부하 검지기(13)에 의하여 검지된 부하와 양수 펌프(200)의 소비 전력값에 기초하여, 모터(11)를 구동하는 인버터(36)의 속도 지령을 조정한다. 따라서, 양수 펌프(200)의 소비 전력, 엘리베이터 칸(2) 내의 부하에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를 조정하여 엘리베이터(1)에서 생성될 수 있는 생성 전력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양수 펌프(200)의 소비 전력에 따라 엘리베이터(1)로부터의 생성 전력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양수 펌프(200)에 공급하는 전원의 전압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Thereby, the control part 50 adjusts the speed command of the inverter 36 which drives the motor 11 based on the load detected by the load detector 13, and the power consumption value of the pump pump 200. FIG. . Therefore, the generated power that can be generated in the elevator 1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speed of the car 2 in accordance with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pump 200 and the load in the car 2. Therefore, since the generated electric power from the elevator 1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pump 200, the voltage fluctuation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pump 200 can be suppressed.

상기 실시형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와 같이, 양수 펌프(200)에 공급되는 회생 전력을 검지하는 전원 감시부(60)와, 검지된 회생 전력과 양수 펌프(200)의 소비 전력값에 기초하여 모터(11)를 구동하는 인버터(36)의 속도 지령을 조정하는 제어부(5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ike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of the above embodiment, the motor is based on the power supply monitoring unit 60 that detects the regenerative power supplied to the pump pump 200, and the detected regenerative power and the power consumption values of the pump pump 200. It is preferable to provide the control part 50 which adjusts the speed command of the inverter 36 which drives (11).

이것에 의하여, 제어부(50)는 검지된 회생 전력과 양수 펌프(200)의 소비 전력값에 기초하여, 모터(11)를 구동하는 인버터(36)의 속도 지령을 조정하여 엘리베이터(1)에서 생성될 수 있는 생성 전력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양수 펌프(200)의 소비 전력에 따라 엘리베이터(1)로부터의 생성 전력을 조정할 수 있다. Thereby, the control part 50 adjusts the speed command of the inverter 36 which drives the motor 11 based on the detected regenerative power and the power consumption value of the pump 200, and produces | generates in the elevator 1 It can adjust the generated power that can be. Therefore, the generated power from the elevator 1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pump 200.

실시형태 2. Embodiment 2 Fig.

상기 실시형태 1에서는 정전시에 모터(11)에서 생성된 회생 전력을 이용하여 양수 펌프(200)를 직접 구동하였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터(11)에서 생성된 회생 전력을 일단 전력 축적기(40)에 축적한 후, 전력 축적기(40)의 축적 전력으로 양수 펌프(200)를 구동하는 것이다. In the first embodiment, the pump pump 200 is directly driven by using the regenerative power generated by the motor 11 at the time of power failure, bu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generative power generated by the motor 11 is once stored in the power accumulator 40. ), The pump pump 200 is driven by the accumulated power of the power accumulator 40.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는, 실시형태 1의 구성과 동일하며, 그 동작을 도 4 및 도 5로써 설명한다. 도 4 중, 도 2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동작을 나타내며, 설명을 생략한다. The control apparatus of the elevator which concerns on oth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structure of Embodiment 1, and the operation is demonstrated as FIG. 4 and FIG. In FIG. 4, the same code | symbol as FIG. 2 shows the same operation | movement, and abbreviate | omits description.

상기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스텝 S101~S105를 실행한다. 그리고, 스텝 S105에 있어서 엘리베이터를 기동한 후, 도 5(a)~(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11)에서 생성된 회생 전력을 인버터(36)를 통하여 전력 축적기(40)에 축적한다(스텝 S209). 제어부(50)는 속도 검출기(12)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칸(2)의 주행이 정지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211), 엘리베이터 칸(2)이 정지하였다고 판단하면, 제어부(50)는 도 5(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력 축적기(40)로부터 회생 내장 컨버터(32)를 통하여 양수 펌프(200)를 가동하고(스텝 S213), 이윽고 양수 펌프(200)의 가동을 종료한다. The control device of the elevator executes steps S101 to S105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after starting an elevator in step S105, the regenerative power produced | generated by the motor 11 is accumulate | stored in the power accumulator 40 via the inverter 36 as shown to FIG. 5 (a)-(c). (Step S209). The control unit 50 determines whether the running of the car 2 has stopped by the speed detector 12 (step S211), and if it determines that the car 2 has stopped, the control unit 50 determines from FIG. As shown in d), the pump pump 200 is operated from the power accumulator 40 via the regenerative built-in converter 32 (step S213), and then the operation of the pump pump 200 ends.

게다가, 제어부(50)는 양수 펌프(200)의 기동에 의한 소비 전력을 전원 감시부(60)로 감시하면서, 적정한 발전 전력 PO가 되도록 전력 축적기(40)의 충방전부(43)와 컨버터(32)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하여, 이용자가 소비 전력 설정기(70)에 소비 전력을 설정하거나, 표시기(80)로 엘리베이터(1)로부터의 생성 전력을 확인하거나 하지 않아도, 안정적으로 전력을 양수 펌프(200)에 공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0 monitors the power consumption caused by the start of the pump pump 200 by the power supply monitoring unit 60, and the charge / discharge unit 43 and the converter of the power accumulator 40 so as to have an appropriate generation power P O. (32) may be controlled. Thereby, even if the user does not set the power consumption to the power consumption setter 70 or confirms the generated power from the elevator 1 with the indicator 80,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ly power to the pump pump 200. Can be.

또한, 표시기(80)에 엘리베이터 칸(2)이 일 주행시에,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2)이 무부하로 최하층에서 최상층으로 주행함에 있어서, 생성할 수 있는 회생 전력량, 또는 엘리베이터 칸(2)이 주행중에 생성하는 전력과 지속 시간을 표시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age | basket | car 2 travels | works with the indicator 80, for example, when the cage | basket | car 2 runs from the lowest floor to the uppermost floor without load, the amount of regenerative power which can be produced | generated, or the cage | basket | car 2 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the power and duration generated during this run.

또, 전력 축적기(40)에 축적된 전력량으로부터 상기 전력과 지속 시간을 산출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엘리베이터(1)를 비상용 전원 장치로서 사용할 때의 전력 공급 능력을 알 수 있으므로, 사용 용이성이 향상된다. In addition, the power and the duration may be calculated and displayed from the amount of power stored in the power accumulator 40. In this case, since the power supply capability at the time of using the elevator 1 as an emergency power supply device can be known, ease of use is improved.

또, 복수의 엘리베이터(1, 100)를 제휴하여 회생 운전을 하고, 이들의 합계를 발전 전력으로서 이용하여 양수 펌프(200)를 가동할 수도 있다. 이 경우, 1대의 엘리베이터보다 큰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져, 정전시라 하더라도 대전력을 필요로 하는 양수 펌프(200) 등을 일시적으로 가동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elevators 1 and 100 may be cooperated to perform regenerative operation, and the pump pump 200 may be operated using the sum of these as the generated electric power. In this case, it becomes possible to supply electric power larger than one elevator, and the pump pump 200 etc. which require large electric power can be temporarily operated even in the case of power failure.

상기 실시 형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는, 회생 내장 컨버터(32)의 직류측에 전력을 저장 가능하게 마련된 전력 축적기(40)를 구비하고, 제어부(50)는 엘리베이터 칸(2)의 주행에 의하여 생성되는 회생 전력을 전력 축적기(40)에 축적한 후, 전력 축적기(40)로부터의 전력에 기초하여 회생 내장 컨버터(32)를 통하여 양수 펌프(200)를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trol apparatus of the elevator of the said embodiment is equipped with the power accumulator 40 provided in the direct current | flow side of the regenerative built-in converter 32 so that electric power can be stored, and the control part 50 is driven by the cage | basket | car 2 by running. After accumulating the generated regenerative power in the power accumulator 40, it is preferable to drive the pump pump 200 through the regenerative built-in converter 32 based on the power from the power accumulator 40.

이것에 의하여, 제어부(50)는 엘리베이터 칸(2)의 주행에 의하여 생성되는 회생 전력을 전력 축적기(40)에 축적한 후, 전력 축적기(40)로부터의 전력에 기초하여 회생 내장 컨버터(32)를 통하여 양수 펌프(200)를 구동하므로, 엘리베이터 칸(2)의 부하, 주행 상태에 의존하는 일없이 양수 펌프(200)에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control unit 50 accumulates the regenerative power generated by the running of the car 2 in the electric power accumulator 40 and then regenerates the internal regenerative converter based on the electric power from the electric power accumulator 40. Since the pump pump 200 is driven through 32, power can be stably supplied to the pump pump 200 without depending on the load and the traveling state of the car 2.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ontrol device of an elevator.

2 엘리베이터 칸, 5 균형추,
11 모터, 13 부하 검출기,
20 3상 교류 전원, 22 스위치,
32 회생 기능 내장 컨버터, 36 인버터,
50 제어부, 60 전원 감시부,
80 표시기, 200 양수 펌프.
2 car compartments, 5 counterweights,
11 motors, 13 load detectors,
20 three-phase AC power, 22 switches,
Converter with 36 regenerative functions, 36 inverters,
50 control unit, 60 power monitoring unit,
80 indicators, 200 pumping pumps.

Claims (6)

엘리베이터 칸과 균형추가 두레박 방식(pully system)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승강시키는 모터를 가지고 있고,
교류 전원을 정류 수단에 의하여 정류하여 인버터에 의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함과 아울러, 상기 모터에서 생성된 회생 전력을 상기 인버터, 회생 수단을 통하여 상기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정전시에 상기 회생 수단, 상기 정류 수단을 상기 교류 전원으로부터 개폐 수단으로 전기적으로 개방한 후,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에 의하여 생성되는 회생 전력으로 상기 회생 수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기기기를 구동하는 제어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The car and the balance weight are formed in a pulse system, and have a motor for elevating the car,
In an elevator control apparatus for rectifying AC power by rectifying means to drive the motor by an inverter, and converting regenerative power generated by the motor into the AC power through the inverter and regenerative means.
Control to electrically open the regenerative means and the rectifying means from the alternating current power source to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at the time of power failure, and to drive the electrical equipmen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generative means with regenerative power generated by the running of the car. Way
Elevator control device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 내의 부하를 검지하는 부하 검지 수단과,
상기 전기기기의 소비 전력값을 설정하는 소비 전력 설정 수단과,
검지된 상기 부하와 상기 소비 전력값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상기 인버터의 속도 지령을 조정하는 속도 조정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Load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 load in the car;
Power consumption setting means for setting a power consumption value of the electric device;
Speed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a speed command of the inverter for driving the motor based on the detected load and the power consumption value;
Elevator control device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기에 공급되는 회생 전력을 검지하는 전력 검지 수단과,
상기 전기기기의 소비 전력값을 설정하는 소비 전력 설정 수단과,
검지된 상기 회생 전력과 상기 소비 전력값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상기 인버터의 속도 지령을 조정하는 속도 조정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Power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regenerative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 device;
Power consumption setting means for setting a power consumption value of the electric device;
Speed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a speed command of the inverter for driving the motor based on the detected regenerative power and the power consumption value;
Elevator control device comprising a.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류 수단의 직류측에 전력을 저장 가능하게 마련된 축전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에 의하여 생성되는 회생 전력을 상기 축전 수단에 축적한 후, 당해 축전 수단으로부터의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회생 수단을 통하여 상기 전기기기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power storage means provided on the direct current side of the rectifying means so as to store electric power;
The control means accumulates the regenerative power generated by the running of the car in the power storage means, and then drives the electric machine through the regenerative means based on the power from the power storage means.
Elevator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생 전력값과, 상기 회생 전력의 지속 시간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regenerative power value and the duration of the regenerative power;
Elevator control device comprising a.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를 복수 가지고 있으며,
상기 엘리베이터 마다의 회생 전력을 상기 전기기기에 공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Has a plurality of elevators,
And a control means for supplying regenerative electric power for each elevator to the electric machine.
KR1020137032347A 2011-06-13 2011-06-13 Elevator control device KR20140018986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03332 WO2012172589A1 (en) 2011-06-13 2011-06-13 Elevator control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8986A true KR20140018986A (en) 2014-02-13

Family

ID=47356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2347A KR20140018986A (en) 2011-06-13 2011-06-13 Elevator control devic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741686B2 (en)
KR (1) KR20140018986A (en)
CN (1) CN103596868B (en)
DE (1) DE112011105328B4 (en)
WO (1) WO2012172589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25307A1 (en) * 2012-11-02 2014-05-08 Fred Verd Synchronized self-referenced high voltage alternating current power saving regenerator switch system
CN104340787B (en) * 2014-10-13 2016-07-06 苏州美罗升降机械有限公司 A kind of continuation of the journey energy-saving lifter
US10604378B2 (en) 2017-06-14 2020-03-31 Otis Elevator Company Emergency elevator power management
DE102017220489A1 (en) * 2017-11-16 2019-05-16 Thyssenkrupp Ag Elevator installation with a drive, which is coupled by means of an amplifier element with a power supply system
EP3640177A1 (en) * 2018-10-19 2020-04-22 Otis Elevator Company Power supply to ac loads during power source failure in elevator system
WO2021192630A1 (en) * 2020-03-27 2021-09-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Elevato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17478A (en) * 1981-01-12 1982-07-21 Tokyo Shibaura Electric Co Elevator device
JPS59149781A (en) 1983-02-16 1984-08-27 Mitsubishi Electric Corp Controller for elevator
JP3566603B2 (en) * 1999-11-15 2004-09-15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for building equipment during power outage
JP4249364B2 (en) 2000-02-28 2009-04-02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control device
JP2003341947A (en) * 2002-05-27 2003-12-03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control device
US7275622B2 (en) * 2003-05-15 2007-10-02 Reynolds & Reynolds Electronics, Inc. Traction elevator back-up power system with inverter timing
JP4727166B2 (en) * 2004-05-13 2011-07-20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control device
JP2007076827A (en) * 2005-09-14 2007-03-29 Toshiba Elevator Co Ltd Elevator system
JP4964455B2 (en) 2005-11-21 2012-06-27 三菱電機株式会社 Evacuation elevator control device and control device group
JP5089365B2 (en) * 2007-12-17 2012-12-05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power storage control device
JP2009276251A (en) * 2008-05-15 2009-11-26 Tempearl Ind Co Ltd Distribution panel for residence
CN201268533Y (en) * 2008-08-14 2009-07-08 宁波宏大电梯有限公司 Elevator control system with current failure emergency rescue function
JP2010064864A (en) * 2008-09-11 2010-03-25 Toshiba Elevator Co Ltd Elevato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72589A1 (en) 2012-12-20
CN103596868B (en) 2016-03-02
JP5741686B2 (en) 2015-07-01
JPWO2012172589A1 (en) 2015-02-23
DE112011105328T5 (en) 2014-02-20
DE112011105328B4 (en) 2018-03-22
CN103596868A (en) 2014-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40685B2 (en) elevator
KR20140018986A (en) Elevator control device
JP4864440B2 (en) Elevator equipment
JP2010064864A (en) Elevator system
EP3323761B1 (en) Method, elevator control unit and elevator for moving an elevator car to landing floor in case of event related to main electrical power supply of the elevator
EP3228572A1 (en) Uninterrupted rescue operation
JP2002338151A (en) Elevator device
JP4964455B2 (en) Evacuation elevator control device and control device group
JP6576588B1 (en) Elevator power supply system and elevator power supply method
JP2009035408A (en) Elevator
EP2336068A1 (en) Energy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an electric motor
CN104080723A (en) Elevator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EP3450376B1 (en) Automatic rescue and charging system for elevator drive
KR20140009524A (en) Elevator control device
JP2005126171A (en) Elevator operating device to work at power failure
JP6199429B2 (en) Elevator control device and elevator control method
JP2019142673A (en) Inverter system and inverter control method
KR101212956B1 (en) Elevator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JP5839873B2 (en) Control device for hybrid drive elevator
JP2005145687A (en) Elevator controller
JP2013234028A (en) Elevator
CN104418192A (en) Elevator control apparatus
JP2014009041A (en) Elevator control device
CN114314221A (en) Traction elevator system
JP6222857B2 (en) Elevator control device and elevator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618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1021

Effective date: 2016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