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8983A -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을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8983A
KR20140018983A KR20137032071A KR20137032071A KR20140018983A KR 20140018983 A KR20140018983 A KR 20140018983A KR 20137032071 A KR20137032071 A KR 20137032071A KR 20137032071 A KR20137032071 A KR 20137032071A KR 20140018983 A KR20140018983 A KR 20140018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brake
control device
shift lever
transmission control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7032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디트마르 슐러
마틴 바우어
Original Assignee
아우디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디 아게 filed Critical 아우디 아게
Publication of KR20140018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89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4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comprising signals other than signals for actuating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48Signals to a parking brake or parking lock; Control of parking locks or brakes being part of the trans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4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comprising signals other than signals for actuating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48Signals to a parking brake or parking lock; Control of parking locks or brakes being part of the transmission
    • F16H63/483Circuits for controlling engagement of parking locks or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4Locking or disabling mechanisms
    • F16H63/3416Parking lock mechanisms or brakes in the transmission
    • F16H63/3483Parking lock mechanisms or brakes in the transmission with hydraulic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4Locking or disabling mechanisms
    • F16H63/3416Parking lock mechanisms or brakes in the transmission
    • F16H63/3425Parking lock mechanisms or brakes in the transmission characterised by pawls or wheels
    • F16H63/3433Details of latch mechanisms, e.g. for keeping pawls out of eng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크(2)의 작동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경우 주차 브레이크(2)는 복귀 압력에 대항해서 주차 브레이크(2)의 해제를 위해 작동할 수 있는 액추에이터 부재(3) 및 해제된 상태에서 주차 브레이크(2)를 유지하기 위해 작동할 수 있는 홀딩 장치(4)를 포함한다. 이 경우 장치(1)는 변속 레버 제어장치(23)와 상기 제어장치에 연결되는 변속기 제어장치(22)를 포함하고, 변속 레버 제어장치(23)는 홀딩 장치(4)를 작동시키고, 변속기 제어장치(22)는 액추에이터 부재(3)를 작동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을 위한 장치 및 방법{DEVICE FOR OPERATING A PARKING BRAKE OF A MOTOR VEHICLE AND CORRESPONDING METHOD}
본 발명은 복귀 압력에 대항해서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하기 위해 작동될 수 있는 액추에이터 부재 및 해제된 상태에서 주차 브레이크를 유지하기 위해 작동될 수 있는 홀딩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복귀 압력에 대항해서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하기 위해 작동될 수 있는 액추에이터 부재 및 해제된 상태에서 주차 브레이크를 유지하기 위해 작동될 수 있는 홀딩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방식의 장치 및 방법들은 선행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주차 브레이크는 자동차가 정지 상태일 때 자동차의 변속기, 특히 자동 변속기를 록킹하는데 이용되므로, 자동차의 구동 휠은 변속기에 의해 정지된다. 또한, 자동차를 세우기 위해 주차 브레이크를 특정 파라미터에 따라서 자동으로 체결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최근의 자동차에서, 시동키가 시동 스위치에서 제거되면, 주차 브레이크가 자동으로 체결되고, 이로써 자동차의 이동이 저지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독일 공개 공보 DE 196 25 019 A1호에 예를 들어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이 경우 주차 브레이크는 주차 브레이크를 체결하기 위한 수단 및 해제된 상태에서 주차 브레이크를 유지하기 위한 홀딩 자석 형태의 홀딩 장치를 포함하므로, 홀딩 장치는 주차 브레이크의 체결을 저지한다. 홀딩 자석은 변속기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한편, 주차 브레이크를 체결하기 위한 수단은 시동키의 신호, 자동차 속도 및 엔진의 회전 속도에 응답해서 작동한다. 공지된 장치는 변속기 제어장치가 고장인 경우에, 주차 브레이크의 체결이 저지될 수 없는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과제는 간단하게 주차 브레이크의 안전성과 기능을 개선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범위 제 1 항 및 제 10 항의 특징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변속 레버 제어장치와 상기 제어장치에 연결되는 변속기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 경우 변속 레버 제어장치는 홀딩 장치를 작동시키고, 변속기 제어장치는 액추에이터 부재를 작동시킨다. 최근의 자동차에, 기어 단에 관한 운전자 요구를 검출하고 경우에 따라서 운전자 요구를 재현하는 해당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어하기 위해, 운전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변속 레버 또는 기어 레버에 할당된 변속 레버 제어장치들이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변속 레버 제어장치는 홀딩 장치에 연결되는 한편, 변속기 제어장치는 액추에이터 부재에 연결된다. 이로써 변속기 제어장치에 의해 액추에이터 부재가 작동될 수 있고, 따라서 주차 브레이크가 릴리스 또는 해제될 수 있다. 변속 레버 제어장치에 의한 홀딩 장치의 적절한 제어에 의해 주차 브레이크는 변속기 제어장치가 고장인 경우에도 해제된 상태에서 더 유지될 수 있다. 이로써 운전자는 변속기 제어장치의 고장 시 주차 브레이크가 체결되어야 하는지 또는 자동차가 계속해서 이동될 수 있게 해야 하는지를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 이로써 주차 브레이크의 기능은 선행기술과 달리 간단한 기능에 의해 더욱 보장될 수 있고, (보조) 시스템의 고장 시 더 높은 안전성이 제공된다.
특히 바람직하게, 변속기 제어장치는 변속 레버 제어장치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변속 레버의 시프트 위치에 따라서 스위치 오프될 수 있고 또는 스위치 오프 된다. 이 경우, 변속 레버 제어장치가 변속 레버의 특정 시프트 위치를 인식함으로써 상응하는 운전자 요구를 검출하면, 변속기 제어장치는 스위치 오프될 수 있고 또는 바람직하게 스위치 오프된다. 특히 변속 레버의 시프트 위치는 파킹 위치 및/또는 중립 위치이고, 상기 위치에서 자동차의 구동 휠에 토크 전달을 위한 기어는 넣어지지 않는다. 운전자가 변속 레버를 중립 기어 시프트 위치로 전환하면, 이 순간에 더 작동되지 않아도 되는 변속 장치는 스위치 오프되고, 이로 인해 에너지- 또는 전류가 확실히 절약된다. 운전자가 변속 레버를 다른 시프트 위치로 이동하면, 변속기 제어장치는 바람직하게 다시 작동된다. 중립 위치에서 운전자는 변속 기 제어장치가 스위치 오프 되더라도 예를 들어 변속 레버 위치를 P에 놓음으로써 주차 브레이크를 체결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변속기 제어장치와 변속 레버 제어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접속부에 의해, 특히 버스-시스템을 통해 서로 및/또는 홀딩 장치 또는 액추에이터 부재에 연결된다. 특히 바람직하게, 변속 레버 제어장치는 슬레이브로서 형성되고, 변속기 제어장치는 마스터로서 형성된다. 따라서, 정상 작동 시 변속기 제어장치는 주차 브레이크의 체결과 홀딩 장치의 릴리스, 즉 주차 브레이크 기능의 해제를 위한 명령을 제공하고, 이 경우 홀딩 장치의 릴리스를 위한 명령은 변속 레버 제어장치에 의해 홀딩 장치가 작동함으로써 실행된다. 변속기 제어장치는 바람직하게 변속기와 관련된 데이터, 예컨대 냉각제 온도, 변속 레버 위치, 실제 주행 레인지, 자동차 실제 속도, 시동키 위치, 유압 압력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속도를 수집한다. 변속기 제어장치의 작동 상태에 따라서 상기 변속기 제어장치는 또한 명령들을 변속 레버 제어장치에 전달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변속 레버 제어장치는 예를 들어 변속 레버가 특정 시프트 위치에 놓이는 것을 저지하므로, 예를 들어 자동차가 가속되거나 또는 주어진 주행 속도를 초과한 동안, 바람직하게 주차 브레이크가 자동으로 체결되는 파킹 위치 P에 놓이는 것은 불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변속 레버 제어장치와 변속기 제어장치는 서로 별도로 자동차의 하나의 에너지원에 또는 각각의 에너지원에 연결될 수 있고/연결된다. 이로 인해 제어장치들 중 하나의 제어장치의 고장 시에도 다른 제어장치에는 계속해서 에너지가 공급되고, 이로써 제어장치의 기능을 실질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 보장된다. 홀딩 장치와 액추에이터 부재의 제어가 이렇게 분리됨으로써, 다른 추가 밸브 또는 부재 없이 주차 브레이크 작동에 대한 안전 요구가 충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라, 액추에이터 부재는 전기 작동식 액추에이터 부재로서 형성되고, 특히 전기 작동식 유압 밸브를 포함한다. 유압 밸브는 바람직하게 유압 액추에이터 전방에 접속되고,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는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한다. 대안으로서, 전자기 작동식 액추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이 고려될 수도 있다. 유압 밸브의 적절한 작동에 의해 유압 액추에이터가 제어되고, 이로써 주차 브레이크는 해제되고 또는 주차 브레이크의 체결이 가능해진다. 특히 유압 밸브의 적절한 스위칭에 의해 압력이 유압 액추에이터에 작용함으로써 주차 브레이크가 해제된다. 이 경우, 액추에이터 부재는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할 뿐만 아니라, 필요 시 해제되어 유지하므로, 홀딩 장치의 작동 없이도 액추에이터 부재에 의한 주차 브레이크의 지속적인 해제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주목된다.
바람직하게 유압 밸브는, 복귀 압력에 대항해서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하기 위해, 제 1 극단 위치에서 주차 브레이크를 유압식으로 작동하는 액추에이터를 압력원에 연결하도록 그리고 제 2 극단 위치에서 액추에이터를 유압식으로 무압력 상태로 스위칭하도록 형성된다. 제 2 극단 위치에서 액추에이터는 복귀 압력으로 인해 출발 위치로 밀려 되돌아가고, 상기 위치에서 주차 브레이크가 체결된다. 바람직하게 유압 밸브는 이를 위해 스위칭 밸브로서 형성된다. 대안으로서,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의 작동 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유압 밸브가 비례 밸브로서 제공되는 것이 고려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라, 복귀 압력의 형성 또는 제공을 위해 액추에이터 또는 유압 작동식 액추에이터에 복귀 스프링, 즉 복귀력을 기계적으로 제공하는, 특히 코일 스프링의 형태의 부재가 할당된다. 물론, 2개 이상의 복귀 스프링이 액추에이터에 할당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복귀 스프링에 대해 평행하게 유압 압력의 리턴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리턴은 액추에이터의 중복 복귀를 위해 제공된다. 특히 바람직하게 해제에 필요한 전류가 측정 또는 검출되어 예상 전류와 비교된다. 비교 결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복귀 메커니즘, 복귀 스프링 및/또는 가압식 유압(복귀) 압력의 고장 또는 적절하지 않은 작동 여부가 추론된다.
바람직하게 홀딩 장치는 액추에이터 또는 해제 상태에서 주차 브레이크의 형상 끼워 맞춤 결합 방식의 지지를 위한 록킹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록킹 메커니즘은, 액추에이터를 형상 끼워 맞춤 결합 방식으로 지지하므로, 액추에이터를 해제된 위치에서 지지하기 위해 높은 조절력 또는 전류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특히 록킹 메커니즘의 전자기 작동에 의해 적은 전류 소비를 갖는 홀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록킹 메커니즘은 전류를 공급받는 한 액추에이터를 해제 위치에서 지지한다. 무전류 상태에서 록킹 메커니즘은 액추에이터를 릴리스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변속기 제어장치가 스위치 오프된 경우에도 특히 바람직하다. 대안 실시예에 따라, 록킹 메커니즘은 무전류 상태에서 액추에이터를 지지하고, 전류 공급 시 릴리스함으로써 주차 브레이크가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고려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홀딩 장치는 변속 레버 제어장치에 의해 작동되고 액추에이터 부재는 변속기 제어장치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바람직하게 변속기 제어장치는 변속 레버 제어장치에 의해 검출된 변속 레버 위치에 따라서 스위치 오프되므로, 전류 또는 에너지가 절약될 수 있다. 다른 장점들은 전술한 설명에 제시된다. 특히 방법에 의해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작동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고로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간단하게 도시한 도면.
도 2는 액추에이터 부재의 작동을 위한 유압 회로의 부분도.
도 1은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크(2)의 작동을 위한 장치(1)를 간단하게 도시한다. 주차 브레이크(2)는 액추에이터 부재(3)와 홀딩 장치(4)를 포함한다. 액추에이터 부재(3)에 의해 주차 브레이크(2)는 해제될 수 있고 또는 해제되어 유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액추에이터 부재는 유압 액추에이터(5)를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실린더(6)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피스톤(7)을 포함하고, 이 경우 피스톤(7)은 주차 브레이크(2)의 록킹 부재(9)를 포함하거나 또는 형성한다. 피스톤(7)의 한 측면에 가압된 유압 매체가 작용할 수 있고, 다른 측면에는 복귀 스프링(8)이 작용하고, 상기 스프링은 피스톤(7)을 록킹 위치로 밀어내고, 즉 주차 브레이크(2)를 체결하는데 이용된다. 복귀 스프링(8)은 바람직하게 코일 스프링으로서 형성되고, 피스톤(7)의 단부측과 실린더(6)의 단부측 사이에 인장되어 지지된다.
록킹 부재(9)로서 이용되는 피스톤(7)의 단부는 실린더(6)의 한 단부측을 지나가는 한편, 지지 부재(10)로서 이용되는 피스톤(7)의 단부는 실린더(6)의 대향 배치된 단부측을 지나간다. 상기 측면에 홀딩 장치(4)가 할당된다. 홀딩 장치(4)는 전자석(11)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석은 록킹 메커니즘(12)에 작용한다. 록킹 메커니즘(12)은 이 경우 그리핑 암 쌍(13)으로서 형성된다. 피스톤(7)의 지지 부재(10)는 단부측에 원뿔대 형상의 삽입 섹션(14)을 갖고, 상기 섹션에 테이퍼링부(15)가 연결된다. 액추에이터(5)가 작동되면, 피스톤(7)은 홀딩 장치(4)의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 경우 삽입 단부들은 그리핑 암(13) 사이로 들어가고, 원뿔대 형상으로 인해 상기 그리핑 암들은 테이퍼링부(15) 내로 복귀해서 삽입 단부(14)를 형상 끼워 맞춤 결합 방식으로 후방에서 고정할 때까지 서로 멀어지게 가압되므로, 피스톤(7)은 주차 브레이크(2)의 해제 위치에서 지지된다. 전자석(11)이 작동함으로써 그리핑 암들(13)은 서로를 향해 이동되고 또는 선회되므로, 피스톤(7)은 해제된 위치에서 지지된다. 전자석(11)이 무전류 상태로 전환되면, 그리핑 암들(13)은 서로 멀어지게 이동되므로, 피스톤(7)이 릴리스되고, 이어서 복귀 스프링(8)은 피스톤(7)을 록킹 위치로 밀어낸다. 바람직하게 그리핑 암들(13)에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부재가 할당되고, 상기 스프링 부재는 전류가 제공되는 자석의 힘에 대항해서 작용하고, 이로써 그리핑 암들(13)은 무전류로 전환 시 그리핑 암들(13)을 서로 멀어지게 이동 또는 선회시킨다.
액추에이터(5)의 작동을 위해 유압 밸브(16)가 제공되고, 상기 유압 밸브는 스위칭 밸브(17)로서 형성되고, 2개의 스위칭 위치(a, b) 및 3개의 접속부(18, 19, 20)를 포함한다. 접속부(18)는 압력원을 나타내는 압력 라인(21)에 연결되는 한편, 접속부(19)는 유압 탱크(22)에 연결되고, 접속부(20)는 실린더(6) 또는 액추에이터(5)에 연결된다. 스위칭 위치(a)에서 액추에이터(5)는 유압 탱크(22)에 연결되고, 즉 무압력 상태로 스위칭되므로, 그리핑 암들(13)이 피스톤(7)을 릴리스한 경우에, 복귀 스프링(8)은 피스톤(7)을 록킹 위치로 이동시킨다. 스위칭 위치(b)에서 스위칭 밸브(17)는 압력 라인을 액추에이터(5)에 연결하므로, 피스톤(7)은 복귀 스프링(8)의 복귀 압력에 대항해서 이동되고, 이로써 주차 브레이크는 해제된다.
또한, 장치(1)는 바람직하게 자동 변속기로서 형성된 자동차 변속기의 변속기 제어장치(22)를 포함한다. 또한, 장치(1)는 변속 레버 제어장치(23)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변속 레버(24)에 할당된다. 변속 레버 제어장치(23)는 예를 들어 변속 레버(24)의 위치 또는 시프트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위치는 자동차의 운전자에 의해 사전 설정될 수 있다. 변속 레버 제어장치(23)와 변속기 제어장치(22)는 데이터 접속부(25)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변속기 제어장치(22)는 마스터로서 형성되고, 변속 레버 제어장치(23)는 슬레이브로서 형성되므로, 변속기 제어장치(22) 내의 주요 제어 또는 로직이 실행되고 또는 로컬라이징 된다. 변속기 제어장치(22)는 예를 들어 변속기의 유압 장치를 변속 레버(24)의 변속 레버 위치에 따라 작동시키므로, 소정의 변속비, 특히 속도 및 회전 속도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변속기 제어장치(22)는 자동차의 에너지 저장 장치(26)에 연결된다. 또한, 변속 레버 제어장치(23)는 별도의 라인을 통해 에너지 저장 장치(26)에 연결되므로, 2개의 제어장치는 서로 별도로 에너지원(26)에 연결된다. 에너지원(26)은 바람직하게 재충전 가능한 전기 저장 장치이고, 특히 상기 저장 장치는 특히 바람직하게 자동차의 구동 장치의 전기 기계에 할당되고, 이 경우, 구동 장치는 특히 바람직하게 하이브리드 구동 장치로서 형성된다. 변속기 제어장치(22)와 에너지 저장 장치(26) 사이에 및 변속 레버 제어장치(23)와 에너지 저장 장치(26) 사이에 바람직하게 안전기(27, 28)가 배치되고 또는 중간에 접속되고, 상기 안전기는 제어장치를 너무 높은 전압에 대해 보호한다.
또한, 변속기 제어장치(22)는 해당 전기 라인을 통해 액추에이터 부재(3)에 전기적으로 작용 결합된다. 특히 변속기 제어장치(22)는 유압 밸브(16)의 전기 작동식 액추에이터(29)에 연결된다. 그와 달리 변속 레버 제어장치(23)는 해당 전기 라인을 통해 홀딩 장치(4)의 전자석(11)에 연결된다.
이로써 홀딩 장치(4)는 변속 레버 제어장치(23)에 의해 작동 또는 제어되고, 액추에이터 부재(3)는 변속기 제어장치(22)에 의해 작동 또는 제어된다. 이로 인해 변속기 제어장치(22)의 고장 시에도 해제된 주차 브레이크(2)는 필요 시 한편으로는 해제되어 유지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전자석(11)의 작동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브레이크 시스템의 안전성이 훨씬 높아지는데, 그 이유는 운전자가 변속기 제어장치(22)의 고장 시에도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 변속기 제어장치(22)는 변속 레버 제어장치(23)에 의해 검출된 변속 레버(24)의 변속 레버 위치에 따라서 스위치 오프된다. 변속기 제어장치(22)는 높은 전류 소비를 갖기 때문에, 이로 인해 자동차 또는 장치(1)의 전류 소비가 전체적으로 현저히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주차 브레이크(2)를 변속 레버 제어장치(23)에 의해 작동시키는 것은 운전자가 담당하게 된다. 특히, 변속 레버(24)가 변속기 제어장치(22)의 기어가 넣어지지 않아야 하는 위치 N에, 즉 중립 위치에 있으면, 변속기 제어장치(22)는 스위치 오프 된다. 특히, 구동 장치가 스위치 오프되면, 즉 예를 들어 에너지 저장 장치(26)를 충전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내연기관이 스위치 오프 되면, 변속기 제어장치(22)의 스위치 오프에 의해 감소된 전류 소비는 지금까지 가능했던 것보다 훨씬 더 긴 지속 시간을 제공한다. 이로써 운전자는 엔진의 스위치 오프 시 지금까지보다 더 오래 자동차의 전기 기능을 이용할 수 있고, 작동성이 지금까지보다 오래 유지된다. 운전자가 자동차를 다시 시동하고 및/또는 변속 레버(24)가 적절한 다른 위치로 이동되는 즉시, 변속기 제어장치(22)는 바람직하게 다시 작동된다. 작동 중에 변속 레버 제어장치의 고장 시 스위칭 밸브(17)가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 상태로 유지하고, 변속기 제어장치(22)의 고장 시 홀딩 장치(4)가 주차 브레이크(2)를 해제 상태로 유지한다.
도 2는 액추에이터 부재(3) 및 홀딩 장치(5)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확대도에 선택적인 조절 라인(30)이 도시되고, 상기 조절 라인은 유압 밸브(16)의 밸브 면에 연결되므로, 유압 밸브(16)는 압력 라인(21) 내의 압력에 의해 스위칭 위치(a)로 이동된다. 스위칭 밸브에 할당된 복귀 스프링에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서 조절 라인(30)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유압 밸브(16)에 하나 이상의 압력 필터(31)가 할당된다. 또한, 압력 라인(21)에 유압식 압력 저장 장치(32)가 제공되므로, 구동 장치 및/또는 유압 매체의 이송을 위한 전기 펌프의 스위치 오프 시에도 주차 브레이크(2)의 해제를 위해 적어도 소정의 시간 범위 동안 충분한 압력이 제공된다.
1 장치
2 주차 브레이크
3 액추에이터 부재
4 홀딩 장치
5 유압 액추에이터
6 실린더
7 피스톤
8 복귀 스프링
9 록킹 부재
10 지지 부재
11 전자석
12 록킹 메커니즘
13 그리핑 암 쌍
14 삽입 단부
15 테이퍼링부
16 유압 밸브
17 스위칭 밸브
18 접속부
19 접속부
20 접속부
21 압력 라인
22 변속기 제어장치
23 변속 레버 제어장치
24 변속 레버
25 데이터 접속부
26 에너지원
27 안전기
28 안전기
29 액추에이터
30 조절 라인
31 압력 필터
32 압력 저장 장치

Claims (10)

  1.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크(2)의 작동을 위한 장치(1)로서, 상기 주차 브레이크(2)는 복귀 압력에 대항해서 상기 주차 브레이크(2)의 해제를 위해 작동할 수 있는 액추에이터 부재(3)와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주차 브레이크(2)를 유지하기 위해 작동할 수 있는 홀딩 장치(4)를 포함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1)는 변속 레버 제어장치(23)와 상기 제어장치에 연결되는 변속기 제어장치(22)를 포함하고, 상기 변속 레버 제어장치(23)는 상기 홀딩 장치(4)를 작동시키고, 상기 변속기 제어장치(22)는 상기 액추에이터 부재(3)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 제어장치(22)는 특히 변속 레버 제어장치(23)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변속 레버(24)의 시프트 위치에 따라서 스위치 오프될 수 있고 또는 스위치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 제어장치(22)와 상기 변속 레버 제어장치(23)는 적어도 하나의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접속부(25)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레버 제어장치(23)는 슬레이브로서 형성되고, 상기 변속기 제어장치(22)는 마스터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레버 제어장치(23)와 상기 변속기 제어장치(22)는 서로 별도로 자동차의 에너지원(26)에 연결될 수 있거나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부재(3)는 전기 작동식 액추에이터 부재(3)로서 형성되고, 특히 전기 작동식 유압 밸브(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밸브(16)는 특히 스위칭 밸브(17)로서 형성되고, 상기 주차 브레이크(2)를 복귀 압력에 대항해서 해제하기 위해, 제 1 극단 위치(b)에서 상기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액추에이터 부재(3)의 액추에이터(5)를 압력원(21, 32)에 연결하고, 제 2 극단 위치(a)에서 상기 액추에이터(5)를 유압식으로 무압력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압력의 형성 또는 제공을 위해 특히 유압 작동식 액추에이터(5)에 복귀 스프링(8)이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장치(4)는 상기 액추에이터(5) 또는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주차 브레이크(2)의 형상 끼워 맞춤 결합 방식의 지지를 위한 특히 전기 작동식 록킹 메커니즘(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복귀 압력에 대항해서 상기 주차 브레이크(2)의 해제를 위해 작동할 수 있는 액추에이터 부재(3)와 해제 상태에서 상기 주차 브레이크(2)의 유지를 위해 작동할 수 있는 홀딩 장치(4)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크(2)의 작동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홀딩 장치(4)는 변속 레버 제어장치(23)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액추에이터 부재(3)는 변속기 제어장치(22)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20137032071A 2011-05-06 2012-04-30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400189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1110100804 DE102011100804A1 (de) 2011-05-06 2011-05-06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r Parksperre eines Kraftfahrzeugs sowie entsprechendes Verfahren
DE102011100804.0 2011-05-06
PCT/EP2012/001848 WO2012152394A1 (de) 2011-05-06 2012-04-30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r parksperre eines kraftfahrzeugs sowie entsprechendes verfahre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6971A Division KR102147906B1 (ko) 2011-05-06 2012-04-30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을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8983A true KR20140018983A (ko) 2014-02-13

Family

ID=4604610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7032071A KR20140018983A (ko) 2011-05-06 2012-04-30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0167016971A KR102147906B1 (ko) 2011-05-06 2012-04-30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을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6971A KR102147906B1 (ko) 2011-05-06 2012-04-30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21500B2 (ko)
EP (1) EP2705282B1 (ko)
KR (2) KR20140018983A (ko)
CN (1) CN103502699B (ko)
DE (1) DE102011100804A1 (ko)
WO (1) WO20121523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845B1 (ko) 2011-07-21 2013-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차 브레이크의 로킹 장치
DE102013216161A1 (de) * 2013-08-14 2015-02-19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r Reduzierung des Energieverbrauchs einer Parksperre eines Kraftfahrzeugs umfassend ein Automatgetriebe
DE102014002817B4 (de) * 2014-02-26 2024-05-08 Audi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tätigung einer Bremseinrichtung eines ein Automatikgetriebe aufweisenden Antriebsstranges eines Fahrzeugs, insbesondere eines Kraftfahrzeugs
US9371903B2 (en) * 2014-04-30 2016-06-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for shifting a shift-by-wire transmission without engine power
DE102015222624B4 (de) * 2015-11-17 2020-02-06 Audi Ag Verfahren und Überwachungs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s Kraftfahrzeugs
DE102015016711B4 (de) 2015-12-23 2021-09-16 Audi Ag Überlastungsschutz für eine Parksperre
DE102016206561B4 (de) * 2016-04-19 2019-03-21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Parksperreneinrichtung mittels eines Hydraulik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25019A1 (de) 1996-06-22 1998-01-02 Bayerische Motoren Werke Ag Kraftfahrzeug mit automatisch geschaltetem Getriebe
DE19814657C2 (de) 1998-04-01 2000-12-14 Kuester & Co Gmbh Steuer- und/oder Regelvorrichtung für eine elektrische Feststellbremseinrichtung von Fahrzeugen
DE19820920B4 (de) 1998-05-09 2008-07-0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Parksperreneinrichtung für ein automatisches Kraftfahrzeuggetriebe
DE19858543A1 (de) * 1998-12-18 2000-06-21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Steuereinrichtung für ein automatisches Kraftfahrzeug-Getriebe
US6139468A (en) 1999-04-15 2000-10-31 Ford Motor Company Electronically actuated transmission range control system
DE19943519A1 (de) * 1999-09-11 2001-03-29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Parksperrensystems für ein Automatgetriebe
DE19963782B4 (de) 1999-12-30 2008-11-20 Robert Bosch Gmbh Steuerung für ein Fahrzeug mit einer Getriebesteuerung
DE10030085A1 (de) 2000-06-19 2002-03-07 Siemens Ag Elektronische Getriebesteuerung
DE10036601B4 (de) 2000-07-27 2009-01-15 Daimler Ag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s Kraftfahrzeuggetriebes
DE102005008383B4 (de) 2004-03-09 2013-09-05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ein automatisiertes Getriebe
DE102004030007A1 (de) 2004-06-22 2006-03-02 Zf Friedrichshafen Ag Aktuatorvorrichtung zum Betätigen eines Verriegelungsmechanismus
DE102005046278B4 (de) * 2004-09-29 2008-04-03 Bayerische Motoren Werke Ag Kraftfahrzeug mit einer elektronisch ansteuerbaren Parksperre und mit einer elektronisch ansteuerbaren Feststellbremse
DE102006053762A1 (de) 2005-12-03 2007-06-06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Vorrichtung zur Betätigung einer Parksperre
DE102006022963A1 (de) 2006-05-12 2007-11-15 Getrag Getriebe- Und Zahnradfabrik Hermann Hagenmeyer Gmbh & Cie Kg Getriebesperre
US7934590B2 (en) 2006-06-07 2011-05-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ark-by-wire subsystem for a control system for an electrically variable hybrid transmission
JP2008128444A (ja) * 2006-11-24 2008-06-05 Aisin Aw Co Ltd 自動変速機のパーキング装置
US7862471B2 (en) * 2007-09-11 2011-01-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Valve control system
DE102008029891B4 (de) 2008-06-24 2010-10-07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 mit Shift-By-Wire-System
JP5051097B2 (ja) 2008-10-28 2012-10-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
CN201325442Y (zh) * 2008-12-19 2009-10-14 广西柳工机械股份有限公司 装载机停车制动装置
JP4672066B2 (ja) * 2009-03-18 2011-04-20 三菱電機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DE102009018975A1 (de) * 2009-04-25 2010-10-2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ahrzeug mit einem Automatikgetriebe mit Parksperreinrichtung
CN201507638U (zh) * 2009-09-15 2010-06-16 上海华普汽车有限公司 混合动力变速箱停车锁止机构的操纵装置
JP2011064320A (ja) 2009-09-18 2011-03-31 Aisin Aw Co Ltd 車輌用パーキング装置
CN101947953A (zh) * 2010-09-21 2011-01-19 上海中科深江电动车辆有限公司 一种电动车液压自动换挡及驻车控制系统
DE102010055859A1 (de) * 2010-12-22 2012-06-28 Audi Ag Vorrichtung zum Betätigen einer Parksper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906B1 (ko) 2020-08-25
EP2705282B1 (de) 2015-11-04
DE102011100804A1 (de) 2012-11-08
US20150041280A1 (en) 2015-02-12
CN103502699A (zh) 2014-01-08
EP2705282A1 (de) 2014-03-12
KR20160079916A (ko) 2016-07-06
CN103502699B (zh) 2016-03-02
WO2012152394A1 (de) 2012-11-15
US9121500B2 (en) 2015-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7906B1 (ko)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8931612B2 (en) Device for operating a parking lock
EP1967434B1 (en) Vehicle park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6060268B2 (ja) 車両用電子制御エアブレーキシステム、そのようなシステムを備える車両及びそのようなシステムを制御する方法
CN108116384B (zh) 运行机动车的电马达式驻车制动器的方法和设备、机动车
CA3064710C (en) Automatic parking control method and automatic parking control device for vehicles
US10549756B2 (en) Automatic brake hold release directly to vehicle creep
JP2003054393A (ja) 駐車ブレーキの作動装置
JP7072087B2 (ja) 電動ブレーキ装置
CN111108029B (zh) 用于气动备用制动回路的具有测试模式的电子气动制动系统
CN108068785B (zh) 用于运行机动车的制动器的方法和设备、制动器
CN103492308B (zh) 发动机式叉车及其装卸互锁解除方法
JP2012066814A (ja) 制御装置故障後の自動的な再較正を有する駐車ブレーキ
CN101934790B (zh) 车辆的起动/停止控制的起动中止
KR20160100372A (ko) 자동차
JP2014515799A (ja) 自動車及び自動車の制御方法
EP3431831B1 (en) Parking lock actuation system and automatic gearbox for a vehicle
JP2017020601A (ja) クラッチ制御装置及びクラッチ制御装置の制御方法
US10082183B2 (en) Clutch control hydraulic circuit for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same
CN106458022B (zh) 制动系统
US10864898B2 (en) Brake system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brake system
CN101934791A (zh) 车辆的起动/停止控制的停止中止
KR101713706B1 (ko) Sbw를 이용한 isg 시스템
JP2000335387A (ja) 車両のブレーキシステム
JPH047300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372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624

Effective date: 2017062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201006231;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201006231;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828

Effective date: 20180517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301010909; JUDGMENT (SUPREME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607

Effective date: 2018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