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8038A - 모바일 장치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장치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8038A
KR20140018038A KR1020120085340A KR20120085340A KR20140018038A KR 20140018038 A KR20140018038 A KR 20140018038A KR 1020120085340 A KR1020120085340 A KR 1020120085340A KR 20120085340 A KR20120085340 A KR 20120085340A KR 20140018038 A KR20140018038 A KR 20140018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band
output means
mobile device
data signal
audio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5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0029B1 (ko
Inventor
김준태
한정은
김미향
이병희
김태언
이선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5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0029B1/ko
Priority to JP2013158667A priority patent/JP2014033444A/ja
Priority to EP13178902.6A priority patent/EP2693721B1/en
Priority to PCT/KR2013/006966 priority patent/WO2014021670A1/en
Priority to AU2013211541A priority patent/AU2013211541B2/en
Priority to TW102127553A priority patent/TW201412141A/zh
Priority to US13/959,238 priority patent/US9241215B2/en
Priority to CN201310336763.9A priority patent/CN103581791B/zh
Publication of KR20140018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8038A/ko
Priority to US14/984,777 priority patent/US9525942B2/en
Priority to US15/383,222 priority patent/US1005136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0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0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4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rrecting frequency respon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5/00Tone control or bandwidth control in amplifiers
    • H03G5/16Automatic control
    • H03G5/165Equalizers; Volume or gain control in limited frequency b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04M1/035Improving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by means of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housing, e.g. ribs, walls, resonating chambers or cav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04M11/062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using different frequency bands for speech and oth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는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는 상기 모바일 장치의 오디오 데이터 신호 입력부와; 입력받은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의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과; 입력받은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의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출력하는 밸런스드 아마추어와;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재생 주파수 대역과 상기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바일 장치 및 제어방법{MOBIL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모바일 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포함하여 효과적으로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여 재생하는 기술에 해당한다.
모바일 장치의 기술이 발전하면서 상기 모바일 장치에 사용되는 오디오 출력 수단(Receiver, 수화기)에 대한 기술도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그리고 모바일 장치에 대한 통신 기술도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 신호에 대한 재생 주파수 대역도 넓어지고 있다.
그런데 상기 모바일 장치에 부착되는 오디오 출력 수단의 경우 상기 모바일 장치의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의 오디오 출력 수단이 부착되고 있다. 하지만 소형의 오디오 출력 수단이 부착되는 경우 상기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는 전화 통화의 수화음 정도에 대응하는 재생 주파수 대역에 국한된 음향을 들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최근 상기 모바일 장치의 오디오 데이터 신호에 대한 재생 주파수 대역이 넓어지면서 넓어진 재생 주파수 대역을 모두 커버할 수 있는 오디오 출력 수단이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포함하여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모바일 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를 통하여 오디오 출력 수단에 대한 각각의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여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는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는 상기 모바일 장치의 오디오 데이터 신호 입력부와; 입력받은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의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과; 입력받은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의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출력하는 밸런스드 아마추어와;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재생 주파수 대역과 상기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받은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의 제1 재생 주파수 대역과 입력받은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의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사용하여 조정하는 단계; 조정된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의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으로 출력시키고 조정된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의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밸런스드 아마추어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사용함으로써 오디오 데이터 신호가 재생되는 재생 주파수 대역이 넓어지게 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를 통하여 오디오 출력 수단에 대한 각각의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여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재생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모바일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내부 블럭도이다.
도 4는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의 재생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재생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오디오 신호 처리부가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는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오디오 신호 처리부가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는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오디오 출력 수단의 주파수 스펙트럼과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주파수 스펙트럼이 합쳐진 주파수 스펙트럼이 나타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내부 블럭도이다.
도 10은 크로스오버 주파수가 나타나 있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내부 블럭도이다.
도 12는 와이드 밴드 재생시의 주파수 스펙트럼이 나타나 있는 도면이다.
도 13는 내로우 밴드 재생 주파수 대역에서 다이나믹 리시버와 밸런스드 아마추어가 동시에 사용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밴드 패스 필터가 오디오 출력 수단에 사용된 주파수 응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이 실행되는 과정이 나타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모바일 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모바일 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모바일 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모바일 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모바일 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모바일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100)는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및 커넥터(165)를 이용하여 외부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연결될 수 있다. “외부장치”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PC(도시되지 아니함) 및 서버(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100)는 제어부(110),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전원공급부(180), 및 표시부(190)를 포함한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및 동영상재생 모듈(1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입/출력 모듈(160)은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7), 커넥터(165), 및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CPU(111), 모바일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12) 및 모바일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모바일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13)을 포함할 수 있다. CPU(111)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CPU(111), 롬(112) 및 램(113)은 내부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 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전원공급부(180), 및 표시부(19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하기에서 설명될 오디오 데이터 신호 입력부(300), 오디오 신호 처리부(310), 크로스오버 주파수 변경부(900), 오디오 출력 수단 사용 판단부(1100), 및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 입력부(111)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 입력부(300), 오디오 신호 처리부(310), 크로스오버 주파수 변경부(900), 오디오 출력 수단 사용 판단부(1100), 및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 입력부(111)가 별도로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110)는 이들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을 통해 모바일 장치(100)가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한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모바일 장치(100)에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PC 또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랜 모듈(131)만 포함하거나, 근거리통신 모듈(132)만 포함하거나 또는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통신 모듈(132)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무선 AP(access point)(도시되지 아니함)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802.11x)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통신 모듈(13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모바일 장치(100)와 화상형성장치(도시되지 아니함) 사이에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통신 모듈(14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방송통신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해 방송국에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예, TV방송 신호, 라디오방송 신호 또는 데이터방송 신호) 및 방송부가 정보(예, EPS(Electric Program Guide) 또는 ESG(Electric Service Guide))를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재생 모듈(14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3, wma, ogg 또는 wa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동영상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eg, mpg, mp4, avi, mov, 또는 mk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을 제외하고 오디오재생 모듈(142)과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모듈(140)의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00)에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정지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카메라(151) 또는 제2 카메라(152)는 촬영에 필요한 광량을 제공하는 보조 광원(예, 플래시(도시되지 아니함))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51)는 상기 모바일 장치(100) 전면에 배치되고, 제2 카메라(152)는 상기 모바일 장치(1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달리 취한 방식으로, 제1 카메라(151)와 제2 카메라(152)는 인접하게 배치되어 3차원 정지이미지 또는 3차원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GPS 모듈(155)은 지구 궤도상에 있는 복수의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전파를 수신하고,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모바일 장치(100)까지 전파도달시간(Time of Arrival)을 이용하여 모바일 장치(1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GPS 모듈(155)로부터 산출되는 모바일 장치(100)의 위치는 위도, 경도, 높이, 3차원 방향(orientation) 중 적어도 하나로 표현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60)은 복수의 버튼(161), 마이크로폰(162), 스피커(163), 오디오 출력 수단(164), 커넥터(165), 키패드(166), 및 진동모터(167)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161)은 상기 모바일 장치(100)의 하우징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잠금 버튼, 볼륨버튼, 메뉴 버튼, 홈 버튼, 및 돌아가기 버튼(back butt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음성(voice) 또는 사운드(sound)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마이크로폰(162)은 음성통화서비스를 위해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스피커(163)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또는 카메라 모듈(150)의 다양한 신호(예, 무선신호, 방송신호, 디지털 오디오 파일, 디지털 동영상 파일 또는 사진 촬영 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모바일 장치(100)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모바일 장치(100)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사운드(예, 전화 통화에 대응되는 버튼 조작음, 또는 통화 연결음)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상기 모바일 장치(100)의 하우징의 적절한 위치 또는 위치들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수단(164, Receiver, 수화기)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통신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재생시켜 모바일 장치(100)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출력 수단(164)은 상기 모바일 장치(100)의 하우징의 적절한 위치 또는 위치들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165)는 모바일 장치(100)와 외부장치(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모바일 장치(100)의 저장부(175)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전원이 입력되거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를 충전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모바일 장치(10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모바일 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표시부(190)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모바일 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는 모바일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
진동모터(167)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드에 있는 모바일 장치(100)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음성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진동모터(167)가 동작한다. 상기 모바일 장치(100)의 하우징 내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모터(167)는 표시부(190) 상을 터치하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 및 표시부(190) 상에서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응답하여 동작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0)은 모바일 장치(100)의 상태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모듈(170)은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100)에 대한 접근여부를 검출하는 근접센서, 모바일 장치(100) 주변의 빛의 양을 검출하는 조도센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모바일 장치(100)의 동작(예, 모바일 장치(100)의 회전, 모바일 장치(100)에 가해지는 가속도 또는 진동)을 검출하는 모션센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센서모듈(170)의 센서는 모바일 장치(100)의 성능에 따라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표시부(190)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모바일 장치(100) 또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175), 제어부(110)내 롬(112), 램(113) 또는 모바일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도시되지 아니함)(예,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한다. 저장부는 비휘발성메모리, 휘발성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모바일 장치(100)의 하우징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는 모바일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공급부(180)는 커넥터(165)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모바일 장치(100)로 공급할 수 있다.
표시부(19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제공되는 모바일 장치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90)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터치스크린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유저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사용자의 신체(예,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터치가능한 입력 수단(예, 스타일러스 펜)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터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은 적어도 하나의 터치 중에서, 하나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입력받을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입력되는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터치는 터치스크린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의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예, 터치스크린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 검출가능한 간격이 일정 간격 이하)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에서 검출가능한 간격은 모바일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은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또는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에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예, X와 Y좌표)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표시부(19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터치에 응답하여 표시부(190)에 표시된 단축 아이콘이 선택되게 하거나 또는 단축 아이콘을 실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16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출력 수단(164)은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재생시켜 모바일 장치(100) 외부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수화음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디오 출력 수단(164)은 복수개일 수 있어, 제1 오디오 출력 수단(200), 제2 오디오 출력 수단(202), 제3 오디오 출력 수단 등이 상기 모바일 장치(100)에 포함될 수 있다. 다만 도 2에는 두 개의 오디오 출력 수단(164)이 제1 오디오 출력 수단(200), 제2 오디오 출력 수단(202)으로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오디오 출력 수단은 다이나믹 리시버(Dynamic Receiver), 밸런스드 아마추어(Balanced Armature) 등의 다양한 리시버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시버는 다양한 종류의 기존의 리시버가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종류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하면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이나믹 리시버는 진동판에 부착된 코일에 전류를 흘려 영구자석을 이용하여 상기 진동판을 진동시켜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재생하는 리시버를 의미한다. 상기 다이나믹 리시버는 영구자석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 내에서 상하로 움직이는 중앙 코일에 연결된 진동판이 사용되어, 상기 진동판의 떨림에 의해서 전기 신호가 음향 신호로 변환되는 트랜스듀서(Transducer)의 일종이다. 상기 다이나믹 리시버는 저역, 중역의 재생 주파수 대역을 효과적으로 재생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밸런스드 아마추어는 코일이 감긴 아마추어에 전기 신호가 들어오게 되어 영구자석 사이에서 움직이면서 연동된 진통판이 진동됨으로써 수화음이 재생되는 트랜스듀서의 일종이다.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는 고역의 재생 주파수 대역을 효과적으로 재생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저음역 대역을 재생시키는 다이나믹 리시버와 고음역 대역을 재생시키는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동시에 재생시켜 저음역 대역 및 고음역 대역 모두의 재생 주파수 대역에서 재생시켜 모든 재생 주파수 대역에서 효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수화음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내부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는 오디오 데이터 신호 입력부(300), 오디오 신호 처리부(310),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200), 밸런스드 아마추어(2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은 다이나믹 리시버, 밸런스드 아마추어 등의 다양한 리시버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200)과 상기 오디오 출력 수단의 종류 중의 하나인 밸런스드 아마추어(202)를 통해 오디오 데이터 신호가 출력되어 복수개의 오디오 출력 수단에 의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202)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200) 근처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200)은 복수개일 수 있어, 제1 오디오 출력 수단, 제2 오디오 출력 수단, 제3 오디오 출력 수단, 제N 오디오 출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나, 하기에서는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리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 입력부(300)와 오디오 신호 처리부(310)는 제어부(110) 내에 포함될 수 있고, 별도로 형성되어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을 수도 있다.
오디오 데이터 신호 입력부(300)는 상기 모바일 장치(100)에 포함되고, 제어부(110)에 의해 제어되며,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는다.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 입력부는 이동통신 데이터 수신부(3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 데이터 수신부(312)는 이동통신망의 음성통화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는 음성주파수 대역을 기반으로 생성된다.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란 상기 모바일 장치(100)의 오디오 출력 수단에서 재생되어 모바일 장치(100) 외부로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음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 신호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는 상기 모바일 장치(100)의 통신 모듈(120 내지 130)을 이용한 상기 이동통신 데이터 수신부(302)를 통하여 수신된 외부 모바일 장치의 타 사용자의 음성 내지 음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 신호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 모바일 장치의 타 사용자의 음성 내지 음향 신호가 상기 외부 모바일 장치 내부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되고, 상기 변환된 전기 신호가 상기 통신 모듈을 이용한 상기 이동통신 데이터 수신부(302)를 통하여 모바일 장치(100)로 수신된다. 이렇게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100)로 수신된 전기 신호는 상기 모바일 장치의 외부로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오디오 데이터 신호가 될 수 있다.
제1 오디오 출력 수단(200)과 밸런스드 아마추어(202)는 하기에서 설명될 오디오 신호 처리부(31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전달 받아 재생함으로써 모바일 장치 외부로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200)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의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을 재생시킬 수 있고,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202)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의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재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2 재생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대역일 수 있으나, 겹치는 대역이 존재할 수도 있다. 도 4는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의 재생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의 재생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402)을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400)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도 4a의 모바일 장치(400)에서는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이 재생된다. 그리고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402)에서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412)이 도시되어 있다. 도 4b의 그래프의 X축은 주파수(frequency)이고, Y축은 음압(SPL, Sound Pressure Level)이다. 따라서 상기 도 4b의 그래프는 상기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402)의 주파수에 따른 음압이 나타난 스펙트럼(412)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402)이 재생시킬 수 있는 대역은 도 4b에 도시된 재생 주파수 대역(420)과 같다. 다음으로,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과 밸런스드 아마추어 (200,202)에서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들(210,212)이 도시되어 있다. 도 5b의 그래프의 X축은 주파수이고, Y축은 음압이다. 따라서 상기 도 5b의 그래프는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과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주파수에 따른 음압이 나타난 스펙트럼들(210,212)을 의미한다. 그리고, 도 5b에는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에서 재생되는 제1 재생 주파수 대역(510)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에서 재생되는 제2 재생 주파수 대역(512)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는 제1 오디오 출력 수단(200)의 주파수 스펙트럼(210)과 밸런스드 아마추어(202)의 주파수 스펙트럼(212)이 합쳐져서 주파수 스펙트럼(214)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합쳐진 주파수 스펙트럼(214)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 주파수 대역(500)은 도 4b의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의 재생 주파수 대역(420)보다 넓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오디오 출력 수단들을 사용함으로써 오디오 데이터 신호가 재생되는 재생 주파수 대역이 넓어지게 되는 이점이 있다.
오디오 신호 처리부(310)는 상기 모바일 장치(100)에 포함되고, 제어부(110)에 의해 제어되며,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200)의 상기 제1 재생 주파수 대역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202)의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한다.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는 주파수에 따른 필터링(filtering)을 행할 수 있다. 도 6은 오디오 신호 처리부가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의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는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오디오 신호 처리부가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는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도 6a에서는 제1 오디오 출력 수단(200)의 오디오 데이터 신호의 주파수(frequency)에 따른 음압(SPL)을 나타내는 스펙트럼(610)이 도시되어 있다. 도 6b에서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310)에서 사용되는 로 패스 필터(LPF, Low Pass Filter,620)에 대한 주파수 응답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오디오 신호 처리부(310)는 도 6b에 도시된 로 패스 필터를 사용하여 제1 오디오 출력 수단(200)에서 재생되는 고 음역 대역을 커팅(cutting)하고 저 음역 대역을 보존하는 필터링을 행하여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의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c에는 상기 로 패스 필터(620)에 의해 필터링된 오디오 데이터 신호에 대한 주파수에 따른 음압을 나타내는 스펙트럼(630)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필터링 이전의 도 6a의 재생 주파수 대역(640)과 필터링 후의 도 6c의 재생 주파수 대역(650)을 비교해보면, 고 음역 대역이 커팅되어 있고 저 음역 대역이 보존된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 도 7a에서는 밸런스드 아마추어(202)의 오디오 데이터 신호의 주파수(frequency)에 따른 음압(SPL)을 나타내는 스펙트럼(710)이 도시되어 있다. 도 7b에서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310)에서 사용되는 하이 패스 필터(HPF, High Pass Filter,720)에 대한 주파수 응답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오디오 신호 처리부(310)는 도 7b와 같이 하이 패스 필터를 사용하여 밸런스드 아마추어(202)에서 재생되는 저 음역 대역을 커팅(cutting)하고 고 음역 대역을 보존하는 필터링을 행하여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7c에는 상기 하이 패스 필터(720)에 의해 필터링된 오디오 데이터 신호에 대한 주파수에 따른 음압을 나타내는 스펙트럼(730)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필터링 이전의 도 7a의 재생 주파수 대역(740)과 필터링 후의 도 7c의 재생 주파수 대역(750)을 비교해보면, 저 음역 대역이 커팅되어 있고 고 음역 대역이 보존된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8을 참조하면, 도 8에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에 의하여 재생 주파수 대역이 조정된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을 재생시키는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의 주파수 스펙트럼(630)과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재생시키는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주파수 스펙트럼(730)이 합쳐진 주파수 스펙트럼(800)이 나타나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에 의해 오디오 데이터 신호가 재생되면 도 8과 같이 넓은 재생 주파수 대역에서 딥(dip)이 없이 오디오 데이터 신호가 재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를 통하여 복수의 오디오 출력 수단들에 대한 각각의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여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재생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내부 블럭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는 오디오 데이터 신호 입력부(300), 오디오 신호 처리부(310),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200), 및 밸런스드 아마추어(202) 이외에 크로스오버 주파수 변경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 변경부(900)는 제어부(110) 내에 포함될 수 있고, 별도로 형성되어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을 수도 있다. 여기서 오디오 데이터 신호 입력부(300), 오디오 신호 처리부(310), 오디오 출력 수단(200), 및 밸런스드 아마추어(202)는 도 3 내지 도 8에서 설명된 바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고자 한다.
크로스오버 주파수 변경부(900)는 상기 오디오 신호 처리부에서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의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에 사용되는 제1 필터의 주파수 응답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에 사용되는 제2 필터의 주파수 응답이 교차하는 크로스오버 주파수(Crossover Frequency)를 변경한다. 도 10은 크로스오버 주파수가 나타나 있는 도면이다. 도 10a에는, 상기 오디오 신호 처리부에서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의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에 사용되는 제1 필터의 주파수 응답(1010)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에 사용되는 제2 필터의 주파수 응답(1020)이 나타나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필터의 주파수 응답(1010)과 제2 필터의 주파수 응답(1020)이 교차하는 지점의 주파수가 크로스오버 주파수(1030)이다.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 변경부(900)는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변경시켜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0b에는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가 증가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1032)가 증가되면, 그에 따라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의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에 사용되는 제1 필터의 주파수 응답(1012)은 도 10a에 비하여 적용 범위가 넓어지게 되고, 반대로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에 사용되는 제2 필터의 주파수 응답(1022)은 도 10a에 비하여 적용 범위가 좁아지게 된다. 따라서 크로스오버 주파수가 증가하게 되면, 예를 들면 도 10b의 경우에는 제1 필터인 로 패스 필터의 적용 범위가 넓어지고 반대로 제2 필터인 하이 패스 필터의 적용 범위가 좁아져서, 크로스오버 주파수의 조정 전인 도 10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로 패스 필터의 적용이 커져서 저음역 대역이 강조되어 필터링되므로 제1 오디오 출력 수단 및 밸런스드 아마추어에서 저음역 대역이 강조되어 재생되어 사용자에게 오디오 데이터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반대로, 도 10c에는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가 감소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1034)가 감소되면, 그에 따라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의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에 사용되는 제1 필터의 주파수 응답(1014)은 도 10a에 비하여 적용 범위가 좁아지게 되고, 반대로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에 사용되는 제2 필터의 주파수 응답(1024)은 도 10a에 비하여 적용 범위가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크로스오버 주파수가 감소하게 되면, 예를 들면 도 10c의 경우에는 제1 필터인 로 패스 필터의 적용 범위가 좁아지고 반대로 제2 필터인 하이 패스 필터의 적용 범위가 넓어져서, 크로스오버 주파수의 조정 전인 도 10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하이 패스 필터의 적용이 커져서 고음역 대역이 강조되어 필터링되므로 제1 오디오 출력 수단 및 밸런스드 아마추어에서 고음역 대역이 강조되어 재생되어 사용자에게 오디오 데이터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크로스오버 주파수의 변경을 통하여 강조되는 음역 대역을 변경하여 리시버를 재생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의 변경은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 변경부(900)에서 결정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의 변경을 결정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내부 블럭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는 오디오 데이터 신호 입력부(300), 오디오 신호 처리부(310),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200), 및 밸런스드 아마추어(202) 이외에 오디오 출력 수단 사용 판단부(1100) 및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 입력부(1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출력 수단 사용 판단부(1100)와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 입력부(1110)는 각각 제어부(110) 내에 포함될 수 있고, 별도로 형성되어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을 수도 있다. 여기서 오디오 데이터 신호 입력부(300), 오디오 신호 처리부(310),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200), 및 밸런스드 아마추어(202)는 도 3 내지 도 8에서 설명된 바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고자 한다.
오디오 출력 수단 사용 판단부(1100)는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에 대한 사용 여부를 결정한다. 오디오 출력 수단 사용 판단부(110)는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 각각에 대한 사용 여부를 결정하여 사용하거나 미사용하는 결정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디오 출력 수단 사용 판단부(110)가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을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는 미사용하는 것으로 결정하면,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에서만 오디오 데이터 신호가 재생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오디오 출력 수단에 대한 사용 여부 결정은 상기 오디오 출력 수단 사용 판단부(1100)에서 결정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사용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 입력부(1110)는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의 상기 제1 재생 주파수 대역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는 입력을 받는다.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 입력부(111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의 상기 제1 재생 주파수 대역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는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이때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 입력부(1110)는 모바일 장치(100)의 입력 모듈(160)에 포함된 버튼(161), 키패트(166), 또는 터치스크린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의 상기 제1 재생 주파수 대역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는 입력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는 상기 모바일 장치가 와이드 밴드(wide band) 재생 주파수 대역이 지원되는 와이드 밴드 음성통화서비스가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와이드 밴드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와이드 밴드 판단부는 상기 모바일 장치가 와이드 밴드(wide band) 재생 주파수 대역이 지원되는 와이드 밴드 음성통화서비스가 가능한지를 판단한다. 와이드 밴드 재생 주파수 대역은 내로우 밴드(narrow band) 재생 주파수 대역보다 넓은 오디오 데이터 신호 재생 주파수 대역을 가진다. 상기 와이드 밴드 재생 주파수 대역은 50 내지 7000 Hz 이고, 상기 내로우 밴드 재생 주파수 대역은 300 내지 3400 Hz 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드 밴드 재생 주파수 대역은 상기 모바일 장치에 포함된 통신 모듈(120 내지 132) 또는 GPS 모듈(155)을 이용하여 기지국과의 통신을 통하거나 캐리어를 판단하여 오디오 데이터 신호에 대한 음성 채널 정보가 와이드 밴드 재생 주파수 대역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기 와이드 밴드 판단부를 제어하여 상기 와이드 밴드 판단부로부터 상기 모바일 장치가 와이드 밴드 재생 주파수 대역이 지원되는 와이드 밴드 음성통화서비스가 가능하다는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을 재생시키는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은 저음역 대역을 재생시키는 다이나믹 리시버이고,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재생시키는 밸런스드 아마추어는 고음역 대역을 재생시키는 경우를 살펴보자.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도 11에서 설명된 오디오 출력 수단 사용 판단부(1100)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 및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모두 사용함으로 제어할 수 있다. 왜냐하면 와이드 밴드 재생 주파수 대역에서는 저음역 대역뿐만 아니라 고음역 대역에 대한 재생이 지원되기 때문에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 및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모두 사용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310)를 제어하여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인 다이나믹 리시버에 대해서는 로 패스 필터를 사용하여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고, 밸런스드 아마추어에 대해서는 하이 패스 필터를 사용하여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에 대한 주파수에 따른 음압을 나타내는 스펙트럼(1200)과 밸런스드 아마추어에 대한 주파수에 따른 음압을 나타내는 스펙트럼(1202)이 도 12a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에 사용되는 로 패스 필터에 대한 주파수 응답(1210)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에 사용되는 하이 패스 필터에 대한 주파수 응답(1220)이 도 12b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에 사용되는 로 패스 필터에 대한 주파수 응답(1210)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에 사용되는 하이 패스 필터에 대한 주파수 응답(1220)이 교차하는 지점의 주파수가 크로스오버 주파수(1230)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조정된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에 대한 주파수에 따른 음압을 나타내는 스펙트럼(1240) 조정된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에 대한 주파수에 따른 음압을 나타내는 스펙트럼(1250), 및 상기 제1 재생 주파수 대역과 상기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이 합쳐진 주파수에 따른 음압을 나타내는 스펙트럼(1260)이 도 12c에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모바일 장치가 와이드 밴드 재생 주파수 대역이 지원되는 와이드 밴드 음성통화서비스가 가능한 경우에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310)를 제어하여, 제1 오디오 출력 수단 및 밸런스드 아마추어에 대하여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함으로써,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음역 대역 및 고음역 대역 모두에 대하여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제어부(110)는 상기 와이드 밴드 판단부를 제어하여 상기 와이드 밴드 판단부로부터 상기 모바일 장치가 와이드 밴드 재생 주파수 대역이 지원되는 와이드 밴드 음성통화서비스가 가능하지 않다는 정보를 수신받을 수도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제1 오디오 출력 수단 또는 밸런스드 아마추어 중 어느 하나로 입력받은 오디오 데이터 신호의 전체 재생 주파수 대역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의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오디오 출력 수단 사용 판단부(1100)로부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은 사용하고 밸런스드 아마추어는 미사용한다는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 왜냐하면 와이드 밴드 재생 주파수 대역이 지원되지 않는 지역에서는 내로우 밴드 재생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고 상기 내로우 밴드 재생 주파수 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고음역 대역이 좁게 지원되므로 상기 리시버 사용 판단부(1100)는 고음역 대역에 해당하는 밸런스드 아마추어인 밸런스드 아마츄어를 미사용한다는 정보를 제어부(110)로 송신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제어부(110)는 상기 와이드 밴드 판단부를 제어하여 상기 와이드 밴드 판단부로부터 상기 모바일 장치가 와이드 밴드 재생 주파수 대역이 지원되지 않는 지역에 위치한다는 정보를 수신받은 경우에도, 상기 리시버 사용 판단부(1100)로부터 밸런스드 아마츄어를 사용한다는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모바일 장치가 내로우 밴드 재생 주파수 대역에 존재하는 경우에도 고음역 대역이 일정 영역 지원되기 때문이다. 이때 제어부(110)는 크로스오버 주파수 변경부(900)를 제어하여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감소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감소시키면 상대적으로 고음역 대역에 대한 재생이 풍부해지는데, 내로우 밴드 재생 주파수 대역에서는 고음역 대역에 대한 지원이 좁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감소시켜 고음역 대역에 대한 재생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에는 내로우 밴드 재생 주파수 대역에서 다이나믹 리시버와 밸런스드 아마추어가 동시에 사용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에 대한 주파수에 따른 음압을 나타내는 스펙트럼(1300)과 밸런스드 아마추어에 대한 주파수에 따른 음압을 나타내는 스펙트럼(1302)이 도 13a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에 사용되는 로 패스 필터에 대한 주파수 응답(1310)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에 사용되는 하이 패스 필터에 대한 주파수 응답(1320)이 도 12b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에 사용되는 로 패스 필터에 대한 주파수 응답(1210)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에 사용되는 하이 패스 필터에 대한 주파수 응답(1220)이 교차하는 지점의 주파수가 크로스오버 주파수(1330)로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1330)는 도 12b의 크로스오버 주파수(1230)에 비해서 감소되어 있다. 이는 상기 제어부(110)가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 변경부(900)를 제어하여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감소시켜 고음역 대역에 대한 재생을 향상시킨 결과이다. 그리고 조정된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에 대한 주파수에 따른 음압을 나타내는 스펙트럼(1340), 조정된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에 대한 주파수에 따른 음압을 나타내는 스펙트럼(1350), 및 상기 제1 재생 주파수 대역과 상기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이 합쳐진 주파수에 따른 음압을 나타내는 스펙트럼(1360)이 도 12c에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내로우 밴드 재생 영역에 모바일 장치가 위치하는 경우에도, 다이나믹 리시버뿐만 아니라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모두 재생시키고 고음역 대역이 풍부하게 재생되도록 필터링하여, 하나의 다이나믹 리시버만 재생된 주파수에 따른 음압 스펙트럼(1370)에 비하여, 고음역 대역에서도 풍부한 오디오 데이터 신호의 재생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는 상기 모바일 장치의 주변 환경에 대한 소음을 판단하는 주변 환경 소음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변 환경 소음 판단부는 모바일 장치의 주변 환경에 대한 소음을 판단한다. 상기 주변 환경 소음 판단부는 상기 모바일 장치(100)의 센서 모듈(170) 또는 입출력 모듈(160)에 포함된 마이크(162) 등을 사용하여 주변 환경의 소음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주변 환경 소음 판단부는 상기 소음이 고음역 대역에 속하는지 저음역 대역에 속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주변 환경 소음 판단부로부터 상기 모바일 장치의 주변 환경 소음이 미리 정해진 일정 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제어부(110)가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 변경부(900)을 제어하여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인 다이나믹 리시버와 밸런스드 아마추어가 사용되는 경우를 살펴보자. 이때 상기 소음이 상기 주변 환경 소음 판단부로부터 저음역 대역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10)는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감소시켜 고음역 대역에 대한 재생이 효과적인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상대적으로 풍부하게 재생시킬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소음이 상기 주변 환경 소음 판단부로부터 고음역 대역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10)는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증가시켜 저음역 대역에 대한 재생이 효과적인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인 다이나믹 리시버를 상대적으로 풍부하게 재생시킬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소음이 저음역 대역에 속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오디오 신호 처리부(310)을 제어하여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인 다이나믹 리시버에 사용되는 제1 필터를 밴드 패스 필터(BPF, Band Pass Filter)로 적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최저음역 대역을 커팅하는 주파수 응답(1400)을 가지는 밴드 패스 필터를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인 다이나믹 리시버에 사용하고, 밸런스드 아마추어에 하이 패스 필터를 사용하여, 저음역 대역의 소음이 발생하는 주변에서 효과적으로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재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는 상기 모바일 장치가 위치하는 국가 또는 지역을 판단하는 지역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역 판단부는 상기 모바일 장치가 위치하는 국가를 판단한다. 상기 지역 판단부는 상기 모바일 장치의 통신 모듈(120 내지 132)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가 연결된 기지국, 또는 캐리어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가 위치하는 국가 또는 지역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상기 지역 판단부로부터 상기 모바일 장치(100)가 위치한 국가나 지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 변경부를 제어하여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인 다이나믹 리시버와 밸런스드 아마추어가 사용되는 경우를 살펴보자. 이때 상기 지역 판단부로부터 상기 모바일 장치가 미주 지역에 위치한다는 정보를 상기 제어부(110)가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10)는 미주 지역의 사용자는 고음역 대역의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선호한다는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감소시켜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보다 풍부하게 재생시킬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지역 판단부로부터 상기 모바일 장치가 유럽 지역에 위치한다는 정보를 상기 제어부(110)가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10)는 유럽 지역의 사용자는 저음역 대역의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선호한다는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증가시켜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인 다이나믹 리서버를 보다 풍부하게 재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에 따르면 상기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 입력부로부터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변경시키는 입력을 받아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 입력부는 도 1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의 상기 제1 재생 주파수 대역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는 입력을 받는다. 이때 상기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 입력부로부터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의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에 사용되는 제1 필터의 주파수 응답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에 사용되는 제2 필터의 주파수 응답이 교차하는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변경하는 조정을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 입력부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변경하는 조정을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이 다이나믹 리시버와 밸런스드 아마추어가 사용되는 경우를 살펴보자. 도 15는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이 실행되는 과정이 나타난 도면이다. 도 15a를 참조하면, 상기 모바일 장치에 포함된 터치스크린(190)으로부터 사용자가 부드러운 소리를 원하는 경우 왼쪽(1510)으로, 또렷한 소리를 윈하는 경우 오른쪽(1520)으로 향하는 터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입력 받은 터치를 제어부(110)가 검출하여, 부드러운 소리에 해당하는 왼쪽 터치(1510)가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10)가 크로스오버 주파수(1530)를 도 15b와 같이 증가(1545)시켜 저음역 대역에 해당하는 로 패스 필터의 주파수 응답(1540)을 확장시켜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에 해당하는 다이나믹 리시버를 풍부하게 재생시킬 수 있다. 반대로, 또렷한 소리에 해당하는 오른쪽 터치(1520)가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10)가 크로스오버 주파수(1530)를 도 15b와 같이 감소(1555)시켜 고음역 대역에 해당하는 하이 패스 필터의 주파수 응답(1550)을 확장시켜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풍부하게 재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소리에 대한 입력을 받아 복수의 오디오 출력 수단들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재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통화를 행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는 통화 상대방의 음색에 맞추어 원하는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들을 수 있고, 통화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음색을 조정하여 원하는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들을 수도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모바일 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먼저 모바일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과 밸런스드 아마추어에서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는다(1600 단계).
다음으로,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사용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의 오디오 데이터 신호의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을 재생시키는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의 제1 재생 주파수 대역과 상기 모바일 장치의 오디오 데이터 신호의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재생시키는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한다(1610 단계).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는 주파수에 따른 필터링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의 제1 재생대역에는 로 패스 필터를 사용하여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고,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제2 재생대역에는 하이 패스 필터를 사용하여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을 재생시키는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은 저음역 대역을 재생시키는 다이나믹 리시버이고, 상기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재생시키는 밸런스드 아마추어는 고음역 대역을 재생시키는 밸런스드 아마추어일 수 있다.
다음으로, 조정된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으로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을 재생시키고 조정된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으로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재생시켜 상기 모바일 장치의 외부로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출력한다(1620 단계). 즉 조정된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으로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을 재생시키고 조정된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으로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재생시켜 음향 신호를 재생함으로써 모바일 장치 외부로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모바일 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먼저 모바일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과 밸런스드 아마추어에서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는다(1700 단계).
다음으로,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의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에 사용되는 제1 필터의 주파수 응답과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에 사용되는 제2 필터의 주파수 응답이 교차하는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변경한다(1710 단계).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는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의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에 사용되는 제1 필터의 주파수 응답과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에 사용되는 제2 필터의 주파수 응답이 교차하는 주파수이다. 따라서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가 변경됨으로써 제1 필터의 주파수 응답과 제2 필터의 주파수 응답이 변화하게 된다.
다음으로,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사용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의 오디오 데이터 신호의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을 재생시키는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의 제1 재생 주파수 대역과 상기 모바일 장치의 오디오 데이터 신호의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재생시키는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한다(1720 단계). 상기 1710 단계에서 변화된 제1 필터을 사용하여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의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고, 변화된 제2 필터을 사용하여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을 재생시키는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은 저음역 대역을 재생시키는 다이나믹 리시버이고, 상기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재생시키는 오디오 출력 수단은 고음역 대역을 재생시키는 밸런스드 아마추어일 수 있다.
다음으로, 조정된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으로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을 재생시키고 조정된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으로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재생시켜 상기 모바일 장치의 외부로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출력한다(1730 단계). 즉 조정된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으로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을 재생시키고 조정된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으로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재생시켜 음향 신호를 재생함으로써 모바일 장치 외부로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모바일 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먼저 모바일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과 밸런스드 아마추어에서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는다(1800 단계).
다음으로,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에 대한 사용 여부를 결정한다(1810 단계). 즉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 각각에 대한 사용 여부를 결정하여 사용하거나 미사용하는 결정을 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을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는 미사용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에서만 오디오 데이터 신호가 재생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을 재생시키는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은 저음역 대역을 재생시키는 다이나믹 리시버이고,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재생시키는 밸런스드 아마추어는 고음역 대역을 재생시키는 밸런스드 아마추어일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함으로 결정된 각각의 오디오 출력 수단에 대해여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사용하여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한다(1820 단계).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는 주파수에 따른 필터링을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조정된 재생 주파수 대역으로 사용함으로 결정된 각각의 오디오 출력 수단을 재생시켜 상기 모바일 장치의 외부로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출력한다(1830 단계). 즉 조정된 재생 주파수 대역으로 사용함으로 결정된 각각의 오디오 출력 수단을 재생시켜 음향 신호를 재생함으로써 모바일 장치 외부로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모바일 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먼저 모바일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과 밸런스드 아마추어에서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는다(1900 단계).
다음으로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의 제1 재생 주파수 대역과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는 입력을 받는다(1910 단계). 이때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의 상기 제1 재생 주파수 대역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는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을 재생시키는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은 저음역 대역을 재생시키는 다이나믹 리시버이고, 상기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재생시키는 밸런스드 아마추어는 고음역 대역을 재생시키는 밸런스드 아마추어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사용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의 오디오 데이터 신호의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을 재생시키는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의 제1 재생 주파수 대역과 상기 모바일 장치의 오디오 데이터 신호의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재생시키는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1910 단계에서 입력받은 각각의 재생 주파수 대역으로 조정한다(1920 단계).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는 주파수에 따른 필터링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의 제1 재생대역에는 로 패스 필터를 사용하여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고,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제2 재생대역에는 하이 패스 필터를 사용하여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조정된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으로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을 재생시키고 조정된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으로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재생시켜 상기 모바일 장치의 외부로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출력한다(1930 단계). 즉 조정된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으로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을 재생시키고 조정된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으로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재생시켜 음향 신호를 재생함으로써 모바일 장치 외부로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모바일 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먼저 모바일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과 밸런스드 아마추어에서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는다(2000 단계).
다음으로, 제어부(110)는 상기 모바일 장치가 와이드 밴드(wide band) 재생 주파수 대역이 지원되는 와이드 밴드 음성통화서비스가 가능한지를 판단한다(2002 단계). 이때, 와이드 밴드 재생 주파수 대역은 내로우 밴드(narrow band) 재생 주파수 대역보다 넓은 오디오 데이터 신호 재생 주파수 대역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모바일 장치에 포함된 통신 모듈 또는 GPS 모듈을 이용하여 기지국과의 통신을 통하거나 캐리어를 판단하여 오디오 데이터 신호에 대한 음성 채널 정보가 와이드 밴드 재생 주파수 대역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10)는 상기 모바일 장치가 와이드 밴드 음성통화서비스가 가능하면, 오디오 출력 수단과 밸런스드 아마추어 모두를 통하여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재생시킬 수 있다(2004 단계). 예를 들어,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을 재생시키는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은 저음역 대역을 재생시키는 다이나믹 리시버이고,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재생시키는 밸런스드 아마추어는 고음역 대역을 재생시키는 경우를 살펴보자. 상기의 경우 와이드 밴드 음성통화서비스가 가능하면, 저음역 주파수 대역뿐만 아니라 고음역 주파수 대역에 대한 재생이 모두 지원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오디오 출력 수단과 밸런스드 아마추어 모두를 통하여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재생시킴으로써 저음역 주파수 대역과 고음역 주파수 대역 모두에 대하여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재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제어부(110)는 상기 모바일 장치가 와이드 밴드 음성통화서비스가 불가능하면, 오디오 출력 수단과 밸런스드 아마추어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재생시킬 수 있다(2006 단계). 상기 와이드 밴드 음성통화서비스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저음역 주파수 대역과 고음역 주파수 대역 모두에 대하여 재생이 지원되지는 아니하므로, 상기 오디오 출력 수단과 밸런스드 아마추어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재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모바일 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모바일 장치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상기 송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100 : 모바일 장치
110 : 제어부
200 : 오디오 출력 수단
202 : 밸런스드 아마추어
300 : 오디오 데이터 신호 입력부
310 : 오디오 신호 처리부
900 : 크로스오버 주파수 변경부
1100 : 오디오 출력 수단 사용 판단부
1110 :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 입력부

Claims (20)

  1. 모바일 장치에 있어서,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는 상기 모바일 장치의 오디오 데이터 신호 입력부와;
    입력받은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의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과;
    입력받은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의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출력하는 밸런스드 아마추어와;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재생 주파수 대역과 상기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
    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 입력부는 이동통신망의 음성통화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는 이동통신 데이터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통화서비스를 위해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로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는 음성주파수 대역을 기반으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 근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 처리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의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에 사용되는 제1 필터의 주파수 응답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에 사용되는 제2 필터의 주파수 응답이 교차하는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변경하는 크로스오버 주파수 변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에 대한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오디오 출력 수단 사용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의 상기 제1 재생 주파수 대역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는 입력을 받는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와이드 밴드 음성통화서비스가 가능한지 판단하는 와이드 밴드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와이드 밴드 음성통화서비스가 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통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와이드 밴드 음성통화서비스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을 출력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은 다이나믹 리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11. 모바일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받은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의 제1 재생 주파수 대역과 입력받은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의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사용하여 조정하는 단계;
    조정된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의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으로 출력시키고 조정된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의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밸런스드 아마추어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는 이동통신망의 음성통화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통화서비스를 위해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는 음성주파수 대역을 기반으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 근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의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에 사용되는 제1 필터의 주파수 응답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에 사용되는 제2 필터의 주파수 응답이 교차하는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에 대한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의 상기 제1 재생 주파수 대역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는 입력을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와이드 밴드 음성통화서비스가 가능한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드 밴드 음성통화서비스가 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통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와이드 밴드 음성통화서비스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의 제어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을 출력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은 다이나믹 리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20085340A 2012-08-03 2012-08-03 모바일 장치 및 제어방법 KR101920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340A KR101920029B1 (ko) 2012-08-03 2012-08-03 모바일 장치 및 제어방법
JP2013158667A JP2014033444A (ja) 2012-08-03 2013-07-31 モバイル装置及び制御方法
PCT/KR2013/006966 WO2014021670A1 (en) 2012-08-03 2013-08-01 Mobil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3178902.6A EP2693721B1 (en) 2012-08-03 2013-08-01 Audio output apparatus
AU2013211541A AU2013211541B2 (en) 2012-08-03 2013-08-02 Mobil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TW102127553A TW201412141A (zh) 2012-08-03 2013-08-02 行動裝置及其控制方法
US13/959,238 US9241215B2 (en) 2012-08-03 2013-08-05 Mobil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310336763.9A CN103581791B (zh) 2012-08-03 2013-08-05 移动设备及其控制方法
US14/984,777 US9525942B2 (en) 2012-08-03 2015-12-30 Mobil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5/383,222 US10051368B2 (en) 2012-08-03 2016-12-19 Mobil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340A KR101920029B1 (ko) 2012-08-03 2012-08-03 모바일 장치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8038A true KR20140018038A (ko) 2014-02-12
KR101920029B1 KR101920029B1 (ko) 2018-11-19

Family

ID=48914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5340A KR101920029B1 (ko) 2012-08-03 2012-08-03 모바일 장치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9241215B2 (ko)
EP (1) EP2693721B1 (ko)
JP (1) JP2014033444A (ko)
KR (1) KR101920029B1 (ko)
CN (1) CN103581791B (ko)
AU (1) AU2013211541B2 (ko)
TW (1) TW201412141A (ko)
WO (1) WO20140216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60290B2 (en) 2000-11-01 2020-12-08 Flexiworld Technologies, Inc. Mobile information apparatuses that include a digital camera, a touch sensitive screen interface, support for voice activated commands,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chip or chipset supporting IEEE 802.11
US10915296B2 (en) 2000-11-01 2021-02-09 Flexiworld Technologies, Inc. Information apparatus that includes a touch sensitive screen interface for managing or replying to e-mails
US20020051200A1 (en) 2000-11-01 2002-05-02 Chang William Ho Controller for device-to-device pervasive digital output
US11204729B2 (en) 2000-11-01 2021-12-21 Flexiworld Technologies, Inc. Internet based digital content services for pervasively providing protected digital content to smart devices based on having subscribed to the digital content service
AU2002239325A1 (en) 2000-11-20 2002-05-27 Flexiworld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bile and pervasive output
US20020097417A1 (en) 2001-01-19 2002-07-25 Chang William Ho System for universal data output
JP5590111B2 (ja) * 2012-12-26 2014-09-17 オンキヨー株式会社 周波数特性決定装置
CN105101039B (zh) * 2015-08-31 2018-12-18 广州酷狗计算机科技有限公司 立体声还原方法及装置
US9949057B2 (en) 2015-09-08 2018-04-17 Apple Inc. Stereo and filter control for multi-speaker device
EP3193514B1 (en) * 2016-01-13 2019-07-24 VLSI Solution Oy A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 cross-over frequency of a loudspeaker
FR3054766B1 (fr) * 2016-07-29 2019-07-12 Custom Art - Piotr Granicki Ensemble a haut-parleur a armature equilibree ameliore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0401A (ja) * 1993-06-03 1994-12-22 Nec Corp ディジタルフィルタ
US5893068A (en) * 1993-06-03 1999-04-06 Nec Corporation Method of expanding a frequency range of a digital audio signal without increasing a sampling rate
US6809635B1 (en) * 2001-03-30 2004-10-26 Nokia Corporation Mobile terminal using a vibration motor as a loudspeaker and method of use thereof
JP2002300698A (ja) * 2001-04-02 2002-10-11 Star Micronics Co Ltd レシーバおよび携帯用通信機器
JP3646939B1 (ja) * 2002-09-19 2005-05-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オーディオ復号装置およびオーディオ復号方法
JP2005006053A (ja) * 2003-06-12 2005-01-06 Tadashi Masuda 低音用スピーカー装置及び該低音用スピーカー装置を備えたマルチウェイスピーカー装置
EP1499157A1 (en) * 2003-07-18 2005-01-19 Siemens Aktiengesellschaft Speaker driving circuit and mobile terminal
US7382890B2 (en) * 2003-07-31 2008-06-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ound reproduction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apparatus
JP2005184040A (ja) * 2003-12-15 2005-07-07 Sony Corp 音声信号処理装置及び音声信号再生システム
JP4368210B2 (ja) * 2004-01-28 2009-11-18 ソニー株式会社 送受信システム、送信装置およびスピーカ搭載機器
TW200803580A (en) 2006-03-27 2008-01-01 Knowles Electronics Llc Electroacoustic transducer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80076489A1 (en) * 2006-08-07 2008-03-27 Plantronics, Inc. Physically and electrically-separated, data-synchronized data sinks for wireless systems
DK1895811T3 (en) * 2006-08-28 2016-08-29 Sonion Nederland Bv Several speakers with a common acoustic tube
JP4396683B2 (ja) * 2006-10-02 2010-01-1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音声符号化装置、音声符号化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813272B1 (ko) * 2006-12-20 2008-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테레오 스피커를 이용한 저음 보강 장치 및 방법
KR101377135B1 (ko) * 2007-01-02 2014-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신호의 저주파 및 중주파 성분 보강 방법 및 그장치
US8135163B2 (en) * 2007-08-30 2012-03-13 Klipsch Group, Inc. Balanced armature with acoustic low pass filter
EP2101512B1 (en) * 2008-03-12 2012-07-18 AKG Acoustics GmbH In-ear earphone with multiple transducers
ES2796552T3 (es) 2008-07-11 2020-11-27 Fraunhofer Ges Forschung Sintetizador de señales de audio y codificador de señales de audio
JP2012507182A (ja) * 2008-10-28 2012-03-2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オーディオスピーカ装置
JP5499469B2 (ja) * 2008-12-16 2014-05-21 ソニー株式会社 音声出力装置、映像音声再生装置及び音声出力方法
JP5126145B2 (ja) 2009-03-30 2013-01-2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帯域拡張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電話端末
EP2422529A1 (en) * 2009-04-21 2012-02-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riving of multi-channel speakers
JP5671929B2 (ja) 2010-10-12 2015-02-18 ソニー株式会社 イヤホン、音響変換装置
GB201021912D0 (en) * 2010-12-23 2011-02-02 Soundchip Sa Noise Reducing Earphone
US9167337B2 (en) * 2011-01-28 2015-10-20 Haebora Co., Ltd. Ear microphone and voltage control device for ear microphone
KR101802239B1 (ko) * 2011-06-14 2017-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피커 장치
US9247342B2 (en) * 2013-05-14 2016-01-26 James J. Croft, III Loudspeaker enclosure system with signal processor for enhanced perception of low frequency outpu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21670A1 (en) 2014-02-06
EP2693721B1 (en) 2020-09-30
TW201412141A (zh) 2014-03-16
AU2013211541B2 (en) 2017-07-06
CN103581791B (zh) 2019-02-19
US9241215B2 (en) 2016-01-19
US10051368B2 (en) 2018-08-14
US9525942B2 (en) 2016-12-20
US20160112798A1 (en) 2016-04-21
US20170099543A1 (en) 2017-04-06
KR101920029B1 (ko) 2018-11-19
AU2013211541A1 (en) 2014-02-27
EP2693721A2 (en) 2014-02-05
US20140038664A1 (en) 2014-02-06
JP2014033444A (ja) 2014-02-20
CN103581791A (zh) 2014-02-12
EP2693721A3 (en) 2017-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1368B2 (en) Mobil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11881B1 (ko) 원격 장치 상에서의 적응성 미디어 콘텐츠 스크러빙
US9182901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7087094B2 (ja) オーディオデータを再生する方法及び装置
KR101171826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EP3941037A1 (en) Editing template generating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9121047B (zh) 双屏终端立体声实现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353297B (zh) 音量调节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955285B1 (ko) 데이터 송수신 구간 설정 방법 및 장치
CN109360582B (zh) 音频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4040319B (zh) 一种终端设备外放音质优化方法、装置、设备和介质
KR101791061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오디오 재생 방법
KR101658560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102079696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합성 서버 장치
CN113380249B (zh) 语音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140111864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람 방법 및 장치
KR102079691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합성 단말기
CN113380248B (zh) 语音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100052749A (ko) 음향효과 설정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20150007569A (ko) 동적 위젯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107554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합성 방법
KR20120124174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오디오 재생 방법
CN117692845A (zh) 声场校准方法、电子设备及系统
CN117597945A (zh) 音频播放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140089869A (ko) 스크린을 통해 표시되는 컨텐츠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