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8560B1 -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8560B1
KR101658560B1 KR1020100061051A KR20100061051A KR101658560B1 KR 101658560 B1 KR101658560 B1 KR 101658560B1 KR 1020100061051 A KR1020100061051 A KR 1020100061051A KR 20100061051 A KR20100061051 A KR 20100061051A KR 101658560 B1 KR101658560 B1 KR 101658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user
electronic device
dmr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1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0672A (ko
Inventor
조범석
심성수
박환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1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560B1/ko
Priority to EP11000157.5A priority patent/EP2400724B1/en
Priority to US13/022,510 priority patent/US8638766B2/en
Publication of KR20120000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35Tracking the activity of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60Digital content management, e.g. content distribution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호 통신 가능한 복수의 전자 기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에 진입하거나 상기 네트워크 환경으로부터 진출하는 이동 단말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와 관련하여 콘텐츠 재생을 제어할 수 있는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상호 통신 가능한 복수의 전자 기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에 진입하거나 상기 네트워크 환경으로부터 진출하는 이동 단말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와 관련하여 콘텐츠 재생을 제어할 수 있는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발전과, 네트워크 간의 융합으로 인하여, 전자 기기 상호간에 다양한 방식의 통신이 가능해지고, 그 활용 범위가 매우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전자 기기와 통신 가능한 전자 기기에서 좀 더 사용자 친화적인 사용자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의 제공이 필요해지고, 사용자가 다양한 콘텐츠를 복수의 전자 기기에서 동시에 즐길 수 있도록(예를 들어, 3-screen play, 5-screen play) 전자 기기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호 통신 가능한 복수의 전자 기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에 진입하거나 상기 네트워크 환경으로부터 진출하는 이동 단말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와 관련하여 콘텐츠 재생을 제어할 수 있는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전자 기기는, 로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통신부; 상기 제1 이동 단말기가 상기 로컬 네트워크로 진입한 경우, 상기 제1 이동 단말기 또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의 제1 사용자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콘텐츠를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 포함된 다른 전자 기기에서 재생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자동으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은, 로컬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이동 단말기가 상기 로컬 네트워크로 진입한 경우, 상기 제1 이동 단말기 또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의 제1 사용자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콘텐츠를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 포함된 다른 전자 기기에서 재생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자동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의하면, 상호 통신 가능한 복수의 전자 기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에 이동 단말기가 진입함에 따라, 특정 콘텐츠를 상기 네트워크 환경에 포함된 특정 전자 기기에서 자동으로 재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진입한 이동 단말기가 상기 네트워크 환경으로부터 진출하는 경우, 상기 특정 콘텐츠의 재생을 자동으로 정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 환경의 개략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DLNA 네트워크의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4는 DLNA에 따른 기능 컴포넌트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 환경이 DLNA 네트워크(200)를 구성하는 개요를 나타낸다.
도 6은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10, 11, 12, 13, 101, 102, 103)의 DLNA 기능을 정리한 도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제1 이동 단말기(100)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8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제1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9a 및 9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들이다.
도 10은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4는, 도 11의 상기 S110 단계의 실시예로서, 상기 미리 설정된 콘텐츠를 선택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5는, 상기 DMR(230)이 방송 수신 기능이 있는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방법이 구현될 수 있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 환경의 개략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 환경은, 복수의 전자 기기(10, 11, 12, 13, 101, 102, 103), 네트워크(300) 및 상기 네트워크(300) 상에 존재하는 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10, 11, 12, 13, 101, 102, 10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UPnP(Universal Plug and Play),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와 같은 로컬 네트워크(local network, 200)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10, 11, 12, 13, 101, 102, 10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에 의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10, 11, 12, 13, 101, 102, 103)가 상호 통신하는 방식은 제한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기술적 사상은, 현존하는 전자 기기 간의 모든 무선 통신 방식과 앞으로 등장할 모든 통신 방식에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10, 11, 12, 13, 101, 102, 103)는, UPnP(Universal Plug and Play),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Fi 등의 통신 방식에 의해 상호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10, 11, 12, 13, 101, 102, 103)는, DLNA 네트워크(200)를 형성하면서, AP(access point, 20)를 통해 WiFi 통신 방식으로 상호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10, 11, 12, 13, 101, 102, 103)는, 상기 네트워크(200)를 통하거나,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서 상호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10, 11, 12, 13, 101, 102, 103)는, 각각 상기 네트워크(300)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10, 11, 12, 13, 101, 102, 103)는, 상기 네트워크(300) 상에 존재하는 상기 서버(400)로부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300)의 예를 들면,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internet), 무선 인터넷, 방송망 등이 있다.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10, 11, 12, 13, 101, 102, 103)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10, 11, 12, 13, 101, 102, 103)의 예를 들면,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ID(Mobile Internet Devic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10, 11, 12, 13, 101, 102, 103)를 제1 전자 기기(10), 제2 전자 기기(11), 제3 전자 기기(12), 제4 전자 기기(13), 제1 이동 단말기(100), 제2 이동 단말기(101) 및 제3 이동 단말기(102)로 호칭하기로 한다.
또한 본 문서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전자 기기(10)는 데스크톱 컴퓨터(desktop computer), 상기 제2 전자 기기(11)는 DTV(Digital TV), 상기 제3 전자 기기(12)는 노트북 컴퓨터, 상기 제4 전자 기기(100)는 MID로 가정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이동 단말기(100, 101, 102)는 휴대폰(mobile phone)으로 가정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10, 11, 12, 13, 101, 102, 103) 간의 상호 호환 및 콘텐츠 공유를 위한 일 예로서, DLNA에 따른 네트워크(200)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DLNA 네트워크의 개념도를 도시한다.
상기 DLNA는, 네트워크로 전자기기 사이의 음악, 동화상, 정지화상 등의 콘텐츠를 상호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표준화 기구이다.
상기 DLNA는 UPnP (Universal Plug and Play)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한다.
상기 DLNA 네트워크(200)는 디지털 미디어 서버(210)(digital media server, DMS),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220)(digital media player, DMP), 디지털 미디어 렌더러(230)(digital media renderer, DMR), 및 디지털 미디어 컨트롤러(240)(digital media controller, DM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LNA 네트워크(200)는 상기 DMS(210), DMP(220), DMR(230), 및 DMC(240)를 각각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DLNA는 각각의 상기 기기들이 상호호환할 수 있도록 규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LNA 네트워크(200)는, DMS(210), DMP(220), DMR(230), 및 DMC(240)간의 상호호환을 위한 규격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DMS(210)는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DMS(210)는 콘텐츠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상기 DMS(210)는 상기 DMC(240)로부터 각종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DMS(210)는 플레이 명령(play command)을 수신한 경우, 재생할 콘텐츠를 찾고(search), 콘텐츠를 상기 DMR(23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DMS(210)는 예를 들어, PC, PVR(Personal Video Recorder), 셋톱 박스(Settop-box)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MP(220)는 콘텐츠나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고,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DMP(220)는 콘텐츠 재생을 위한 상기 DMR(230) 및 다른 전자 기기의 제어를 위한 상기 DMC(24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DMP(220)는, 예를 들어, TV, DTV, 홈시어터(home theat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MR(230)은 상기 DMS(210)로부터 수신되는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상기 DMS(210)로부터 제공받은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상기 DMR(230)은, 예를 들어, 전자액자, 컴퓨터, MI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MC(240)는, 상기 DMS(210), 상기 DMP(220), 상기 DMR(230)을 제어하는 제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DMC(240)는 예를 들어, 컴퓨터, 휴대폰 및 PD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LNA 네트워크(200)는 상기 DMS(210), DMR(230), 및 DMC(240)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DMP(220) 및 DMR(2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DMS(210), DMP(220), DMR(230), 및 DMC(240)는 전자기기를 기능적으로 구분하는 용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폰이 제어기능 뿐만 아니라 재생 기능을 가지는 경우에는 상기 DMP(220)에 해당할 수 있고, 상기 DTV(100)가 콘텐츠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경우에는 상기 DMP(220) 뿐만 아니라 상기 DMS(210)에 해당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10, 11, 12, 13, 101, 102, 103)는, 상기 DMS(210), 상기 DMP(220), 상기 DMR(230), 및 상기 DMC(2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면서, 상기 DLNA 네트워크(200)를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DLNA에 따른 기능 컴포넌트를 도시한다.
상기 DLNA에 따른 기능 컴포넌트는 미디어 포맷(media formats)층, 미디어 전송(media transport) 층, 기기 디스커버리 및 제어 그리고 미디어 관리(device discovery & control And media management) 층, 네트워크 스택(network stack) 층, 네트워크 연결(network connectivity)층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연결층은 네트워크의 물리층, 링크층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연결층은 이더넷(ethernet), 와이파이(Wi-Fi), 및 블루투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IP접속이 가능한 통신 매체를 사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스택층은, IPv4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기기 디스커버리 및 제어 그리고 미디어 관리층은 UPnP 특히, UPnP AV Architecture 및 UPnP Device Architecture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기 디스커버리를 위하여 SSDP(simple service discovery protocol)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를 위하여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를 사용할 수 있다.
미디어 전송층은 스트리밍 재생을 위하여 HTTP 1.0/1.1.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을 사용할 수 있다.
미디어 포맷층은 이미지, 오디오, AV 미디어, XHTML(Extensible Hypertext Markup Language) 문서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10, 11, 12, 13, 101, 102, 103)가 전술한 DLNA 네트워크(200)를 어떠한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는지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10, 11, 12, 13, 101, 102, 103)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DLNA 네트워크(200)를 구성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 환경이 DLNA 네트워크(200)를 구성하는 개요를 나타낸다. 도 6은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10, 11, 12, 13, 101, 102, 103)의 DLNA 기능을 정리한 도표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자 기기(10)는, 상기 DMC(240), 상기 DMS(210), 상기 DMP(220) 및 상기 DMR(230)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2 전자 기기(11)는, 상기 DMR(230)의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3 전자 기기(12)는, 상기 DMS(210)의 기능과 상기 DMR(23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4 전자 기기(13)는, 상기 DMC(240), 상기 DMP(220) 및 상기 DMR(23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1 내지 제3 이동 단말기(100, 101, 102)는, 상기 제1 전자 기기(10)와 마찬가지로, 상기 DMC(240), 상기 DMS(210), 상기 DMP(220) 및 상기 DMR(230)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10, 11, 12, 13, 101, 102, 103)의 예로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제1 이동 단말기(100)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제1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제1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제1 이동 단말기(100)와 제1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제1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제1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115)은 범지구적 위성항법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범지구적 위성 항법 시스템(GNSS)은 지구를 공전하여 무선 항법 수신기들의 소정의 타입들이 지표면 또는 지표면 근처의 그들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기준 신호들을 보내는 무선 항법위성 시스템들을 설명하기 위해 이용되는 용어이다. 상기 범지구적 위성 항법 시스템(GNSS)에는 미국에서 운영하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유럽에서 운영하는 갈릴레오(Galileo), 러시아에서 운영하는 GLONASS(Global Orbiting Navigational Satelite System), 중국에서 운영하는 COMPASS 및 일본에서 운영하는 QZSS(Quasi-Zenith Satellite System)등이 있다.
GNSS의 대표적인 예를 들면, 상기 위치정보 모듈(115)은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일 수 있다. 상기 GPS 모듈은, 일 지점(개체)이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관한 정보와, 상기 거리 정보가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일 시간에 일 지점(개체)에 대한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 또한 사용되고 있다. 상기 GPS 모듈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하고 그를 이용하여 속도 정보를 산출하기도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제1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제1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제1 이동 단말기의 방위, 제1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제1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제1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제1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제1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1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제1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제1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제1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제1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어폰잭(116)을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이어폰잭(116)에 이어폰을 연결하여 출력되는 음향을 들을 수 있다.
알람부(153)는 제1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제1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이나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제1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제1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제1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제1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제1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제1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및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8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8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8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24)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7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24)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9a 및 9b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135)의 서로 연관된 작동 방식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9a 및 9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들이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소프트키'라 불릴 수 있다.
도 9a는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통해 소프트키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와 하부에는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이 각각 표시된다. 입력창(151b)에는 전화 번호 등의 입력을 위한 숫자가 표시된 소프트키(151c)가 출력된다. 소프트키(151c)가 터치되면, 터치된 소프트키에 대응되는 숫자 등이 출력창(151a)에 표시된다. 제1 조작부(131)가 조작되면 출력창(151a)에 표시된 전화번호에 대한 호 연결이 시도된다.
도 9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을 통하여 소프트키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는 것을 나타낸다. 도 9a가 단말기 바디을 세로로 배치시킨 경우(portrait)라면, 도 9b는 단말기 바디을 가로로 배치시킨 경우(landscape)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단말기 바디의 배치 방향에 따라 출력 화면이 변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b는 휴대 단말기에서 텍스트 입력 모드가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출력창(135a)과 입력창(135b)이 표시된다. 입력창(135b)에는 문자, 기호, 숫자들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된 소프트키(135c)들이 복수로 배열될 수 있다. 소프트키(135c)들은 쿼티(QWERTY)키의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를 통하여 소프트키(135c)들이 터치 되면, 터치된 소프트키에 대응되는 문자, 숫자, 기호 등이 출력창(135a)에 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이, 터치 패드(135)를 통한 터치 입력은 디스플레이부(151)을 통한 터치 입력에 비하여 터치시 소프트키(135c)가 손가락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135)가 투명하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위치한 손가락들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터치 입력이 가능하다.
이상의 실시예들에 개시된 입력 방식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는 스크롤(scroll)에 의해 터치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를 스크롤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개체, 예를 들어 아이콘 등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움직이는 경로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편집함에 유용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51)(터치스크린) 및 터치 패드(135)가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함께 터치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단말기의 일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함께 터치되는 경우로는, 사용자가 엄지 및 검지를 이용하여 단말기 바디를 집는(clamping)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일 기능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등이 있을 수 있다.
전술한 근접 센서에 대하여, 도 10을 참조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0은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 등과 같은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 내부 또는 근방에 배치된 상기 근접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근접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근접 센서는 상기 근접 터치되는 포인터와 상기 터치스크린 간의 거리(이하 "근접 깊이"라고 함)에 따라 서로 다른 근접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에 포인터가 접근할 때 근접신호가 출력되는 거리를 검출거리라고 하는데, 간단하게는 상기 검출거리가 서로 다른 근접센서를 복수로 사용함으로써 각 근접센서에서 출력되는 근접신호를 비교하면 상기 근접 깊이를 알 수 있다.
도 10에서는 예컨대 3개의 근접 깊이를 감지할 수 있는 근접 센서가 배치된 터치스크린의 단면이 예시되고 있다. 3개 미만 또는 4개 이상의 근접 깊이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완전히 접촉되는 경우(d0)에는 접촉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1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이상 d2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2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2 거리 이상 d3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3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그리고,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3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근접 터치가 해제된 것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포인터의 터치스크린에 대한 근접거리 및 근접 위치 등에 따라 상기 근접 터치를 다양한 입력 신호로 인식할 수 있고, 상기 다양한 입력 신호에 따른 다양한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개시되는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10, 11, 12, 13, 101, 102, 103)의 일 예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개시되는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10, 11, 12, 13, 101, 102, 103) 각각은, 전술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를 생략하여 구성되거나,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되지 않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문서에서 언급되는 콘텐츠는, 매우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문서에서 언급되는 콘텐츠는, 텍스트, 정지영상, 동영상, 애니메이션, 방송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10, 11, 12, 13, 101, 102, 103) 중 상기 DMC(240)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기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10, 11, 12, 13, 101, 102, 103) 중 상기 제1 전자 기기(10)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제1 전자 기기(1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전자 기기(10)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DLNA 네트워크(200)로 진입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S100].
도 1 및 도 5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DLNA 네트워크(200)의 외부에서 상기 DLNA 네트워크(200)의 내부로 진입하는 개념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DLNA 네트워크(200)에 포함되는 각 전자 기기는, 주기적으로 디스커버리(discovery)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디스커버리 단계). 상기 디스커버리 메시지에 의해 새로운 장치가 탐색될 수 있다.
상기 디스커버리 단계에서, 상기 DLNA 네트워크(200)에 포함되는 각 전자 기기는 장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세(description)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DLNA 네트워크(200)에 최초로 진입한 경우,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 및/또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이하 "제1 사용자"라고 함)를 상기 DLNA 네트워크(200)에 등록하는 과정이 개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 및/또는 상기 제1 사용자는, 상기 DMC(240)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제1 전자 기기(10)에 등록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 기기(10)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 또는 상기 제1 사용자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S110].
상기 제1 전자 기기(10)의 메모리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 또는 상기 제1 사용자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자 기기(10)의 메모리는, 상기 미리 설정된 콘텐츠 자체를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콘텐츠에 관한 정보는, 상기 미리 설정된 콘텐츠의 식별 정보, 상기 미리 설정된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미리 설정된 콘텐츠는, 상기 DLNA 네트워크(200)에 포함되는 DMS(21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DMS(210)는, 상기 DLNA 네트워크(200)에 이미 포함되어 있는 DMS(210)(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전자 기기(10), 상기 제3 전자 기기(12))이거나, 상기 DLNA 네트워크(200)에 진입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일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콘텐츠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DLNA 네트워크(200)에 이전에 진입한 경우, 상기 제1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설정된 콘텐츠는, 상기 제1 사용자가 미리 지정하지 않더라도 상기 제1 사용자의 특성에 부합하도록 자동 선택될 수 있는데, 이에 관하여는 도 14와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전자 기기(100)는, 상기 미리 설정된 콘텐츠를 상기 DLNA 네트워크(200) 내에서 상기 DMR(230)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기기에서 재생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120].
상기 제1 전자 기기(100)는, 상기 DMS(210)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장치와 상기 DMR(230)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장치로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DMS(210)로 출력되는 상기 제어 신호와 상기 DMR(230)로 출력되는 상기 제어 신호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각 장치에 명령하는 내용과 부합하도록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전자 기기(11)가 상기 DMR(230)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 전자 기기(11)는 상기 제1 전자 기기(100)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미리 설정된 콘텐츠를 자동으로 재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리 설정된 콘텐츠는, 상기 DMS(21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전자 기기(100)는 상기 DMC(240)의 기능과 상기 DMS(210)의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DMR(230)의 기능은 상기 제2 전자 기기(11)에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전자 기기(11)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 또는 상기 제1 사용자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콘텐츠(21)를 상기 제1 전자 기기(10)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51a)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전자 기기(100)는 상기 DMC(240)의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DMR(230)의 기능은 도 12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전자 기기(11)에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DMS(210)의 기능은 상기 진입한 제1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전자 기기(11)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 또는 상기 제1 사용자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콘텐츠(22)를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51a)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DMR(230) 또한 상기 DMS(210)와 마찬가지로 다양할 수 있다.
특히 상기 DLNA 네트워크(200) 내에서 상기 DMR(230)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가 복수인 경우,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 또는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해 설정된 콘텐츠를 자동으로 재생하게 되는 상기 DMR(230)은,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 및/또는 상기 제1 사용자와 관련되어 정해질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DMR(230)은 상기 미리 설정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상기 DMR(230)이 상기 미리 설정된 콘텐츠를 확보하는 방식 또한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DMR(2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미리 설정된 콘텐츠를 상기 DMS(210)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DMR(230)은, 상기 DMS(210)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또는 상기 DMC(240)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로부터 상기 미리 설정된 콘텐츠의 소스(source)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소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콘텐츠를 획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미리 설정된 콘텐츠가 상기 네트워크(300)에 포함된 상기 서버(400)에 존재하는 경우이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DMR(230)이 방송 수신 기능이 있는 경우, 상기 DMS(210)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또는 상기 DMC(240)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로부터, 상기 미리 설정된 콘텐츠와 관련된 방송 채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방송 채널 정보에 대응되는 방송 채널에 접속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콘텐츠를 수신하는 경우이다. 이에 관하여는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제1 전자 기기(10)는, 상기 S120 단계를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DMR(230)의 전원 온/오프(on/off)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전자 기기(10)는, 상기 DMR(230)이 오프되어 있는 경우, 상기 S120 단계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어 신호에 상기 DMR(230)을 온(on)시키기 위한 명령을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자 기기(10)는, 상기 S120 단계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어 신호와는 별개로, 상기 DMR(230)을 온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14는, 도 11의 상기 S110 단계의 실시예로서, 상기 미리 설정된 콘텐츠를 선택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전자 기기(10)는, 상기 제1 사용자의 특징을 분석할 수 있다[S200].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자 기기(10)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성별, 연령, 미성년자 여부, 가족과의 관계(예를 들어, 가족 구성원인지 여부, 가족 구성원과의 친구 여부)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사용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DLNA 네트워크(200)에 등록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 기기(10)는, 복수의 사용자 그룹 중 상기 분석된 특징에 해당하는 사용자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S210].
상기 복수의 사용자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따라 미리 분류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사용자 그룹 및 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위치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사용자 그룹 및 이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1 전자 기기(10)의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의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사용자 그룹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또는 콘텐츠의 종류가 대응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20대 연령"에 해당하는 사용자 그룹에 대해서는, <스포츠> 장르 또는 이에 해당하는 콘텐츠가 대응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가족"에 해당하는 사용자 그룹에 대해서는, <가족 사진> 및/또는 <가족 공지 사항>이 대응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사용자 그룹 각각에 대응되는 콘텐츠 또는 콘텐츠의 종류는, 복수 개의 기준에 따라 선택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남성"에 해당하는 사용자 그룹에 대해 "영화"가 대응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상기 제1 사용자가 미성년자에 해당하는 경우, 미성년자 관람 불가에 해당되는 "영화"는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해 선택될 수 없다.
상기 제1 전자 기기(10)는, 상기 S210 단계에서 선택된 사용자 그룹에 대응되어 있는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S220].
그리고 상기 제1 전자 기기(10)는, 상기 S220 단계에서 확인된 콘텐츠를 상기 DMR(230)에서 재생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120].
도 15는, 상기 DMR(230)이 방송 수신 기능이 있는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방법이 구현될 수 있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1의 상기 S220 단계에서 상기 DMR(230)은 방송 수신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 기기(10)는, 상기 DMR(230)이 방송 수신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의 선호 채널에 관한 정보를 상기 DMR(23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DMR(230)은 상기 제1 사용자의 선호 채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선호 채널에 접속하여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의 선호 채널에 관한 정보는, 상기 DMS(21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전자 기기(10)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선호 채널에 관한 정보를 상기 DMR(230)로 전송하도록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DMS(210)로 출력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단, 후술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도 11의 상기 S100 단계 및 상기 S110 단계를 전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도 11의 상기 S120 단계가 구현되는 일 실시예로서 이해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10, 11, 12, 13, 101, 102, 103) 중 상기 DMC(240)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기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10, 11, 12, 13, 101, 102, 103) 중 상기 제1 전자 기기(10)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제1 전자 기기(1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전자 기기(10)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콘텐츠가 확인된 경우[S110], 상기 DLNA 네트워크(200) 내에 다른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예를 들어, 상기 제2 이동 단말기(101), 상기 제3 이동 단말기(102))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300].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를 상기 제2 이동 단말기(101)로 가정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전자 기기(10)는, 전자 기기 간에 송수신되는 상기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DLNA 네트워크(200) 내에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 이외에 상기 제2 이동 단말기(101)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DLNA 네트워크(200) 내에는 복수의 서로 다른 DMR(230)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전자 기기(11), 상기 제3 전자 기기(12) 및 상기 제4 전자 기기(13)가 상기 DLNA 네트워크(200) 내에서 상기 DMR(230)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서로 다른 DMR(230)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DMR(230)은, 사용자 또는 이에 대응되는 이동 단말기에 관계없이 우선 순위가 정해져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DMR(230) 중 적어도 하나는 특정 사용자 또는 이에 대응되는 이동 단말기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 기기(10)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101)가 상기 DLNA 네트워크(200) 내에 함께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DMR(230) 중 우선 순위가 높은 제1 DMR에 대한 상기 제1 사용자의 우선 순위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100)의 제2 사용자의 우선 순위를 확인할 수 있다[S310].
상기 제1 전자 기기(10)는, 상기 S310 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1 DMR에 대한 우선 순위가 상기 제2 사용자의 상기 제1 DMR에 대한 우선 순위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S320], 상기 제1 사용자의 우선 순위가 상기 제2 사용자의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S110 단계에서 확인된 콘텐츠를 상기 제1 DMR에서 재생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사용자보다 먼저 상기 DLNA 네트워크(200)에 진입하여 상기 제1 DMR을 통해 콘텐츠를 제공받고 있던 상기 제2 사용자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진입으로 인하여 상기 제1 DMR에 대한 점유권이 상기 제1 사용자에게로 이전됨으로써, 상기 제1 DMR 이외에 다른 DMR을 통해 원래 제공되던 콘텐츠를 다시 또는 이어서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 기기(10)는, 이와 관련된 각종 제어 신호를 필요한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전자 기기(10)는, 상기 S320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제1 사용자의 우선 순위가 상기 제2 사용자의 우선 순위보다 낮은 경우, 상기 DLNA 네트워크(200) 내에 상기 제1 DMR 이외의 다른 DMR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S340], 상기 S340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다른 DMR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S110 단계에서 확인된 콘텐츠를 상기 다른 DMR에서 재생하도록 할 수 있다[S350].
그러나, 상기 S340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다른 DMR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콘텐츠가 재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에게 이에 관한 알림 정보는 제공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상기 DLNA 네트워크(200) 내에 2개의 DMR(제1 DMR(11), 제2 DMR(13))이 존재한다고 가정하자.
상기 제1 DMR(11)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가 모두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1 사용자의 우선 순위보다 상기 제2 사용자의 우선 순위가 높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DMR(13)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사용자만 설정되어 있다.
도 17은, 상기 제2 사용자(상기 제2 이동 단말기(101)의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보다 먼저 상기 DLNA 네트워크(200)에 진입해 있었고, 상기 제1 사용자가 그 후에 상기 DLNA 네트워크(200)에 진입한 경우이다.
상기 DMC(240)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제1 전자 기기(10)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의 진입을 감지하고,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 및/또는 상기 제1 사용자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콘텐츠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콘텐츠를 상기 제1 DMR(11)에서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해서 상기 제1 DMR(11)이 상기 제2 DMR(13)보다 우선 순위가 높게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그런데, 상기 제1 전자 기기(10)는, 상기 제2 사용자가 이미 상기 제1 DMR(11)을 점유하고 있으므로, 상기 제1 사용자가 대응되어 있는 다른 DMR인 상기 제2 DMR(13)에서 상기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해서 상기 제2 DMR(13)이 상기 제1 DMR(11)보다 우선 순위가 높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전자 기기(10)는, 상기 제2 DMR(13)를 점유하고 있는 사용자가 아무도 없으므로, 상기 콘텐츠를 상기 제2 DMR(13)에서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결국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전자 기기(10)는, 상기 DLNA 네트워크(200)에 상기 제1 사용자와는 다른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다른 사용자 또는 상기 다른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에 대해 상기 미리 설정된 DMR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2 사용자보다 우선 순위가 높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콘텐츠를 상기 미리 설정된 DMR에서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DLNA 네트워크(200)에 복수의 DMR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전자 기기(10)는, 상기 복수의 DMR 중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 또는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해 미리 설정된 DMR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자 기기(10)는, 상기 DLNA 네트워크(200)에 상기 제1 사용자와는 다른 제2 사용자의 제2 이동 단말기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제2 사용자 또는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대해 상기 미리 설정된 DMR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2 사용자보다 우선 순위가 낮게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미리 설정된 DMR 이외의 다른 DMR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 후술하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도 11의 상기 S100 단계 및 상기 S110 단계를 전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유사하게, 도 11의 상기 S120 단계가 구현되는 다른 실시예로서 이해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10, 11, 12, 13, 101, 102, 103) 중 상기 DMC(240)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기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10, 11, 12, 13, 101, 102, 103) 중 상기 제1 전자 기기(10)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제1 전자 기기(1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전자 기기(10)는, 상기 S110 단계에서 확인된 콘텐츠(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 및/또는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해 미리 대응되어 있음)에 대한 재생 이력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재생 이력 정보의 저장 위치는, 상기 DLNA 네트워크(200) 내에서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생 이력 정보는, 상기 DLNA 네트워크(200)의 외부에 존재할 수도 있다.
상기 재생 이력 정보는, 상기 제1 전자 기기(10)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거나, 상기 DLNA 네트워크(200) 내에서 상기 DMS(210)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재생 이력 정보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의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재생 이력 정보는, 상기 확인된 콘텐츠가 이전에 재생된 이력이 있는지 여부, 이전에 재생된 이력이 있다면 이전 재생의 회수나 이전 재생에서 재생 완료되었었는지 여부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재생 이력 정보는, 상기 이전 재생에서 재생 완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콘텐츠에서 재생이 멈춘 지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 기기(10)는, 상기 확인된 콘텐츠에 관한 상기 재생 이력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확인된 콘텐츠에 대한 이전 재생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400].
상기 제1 전자 기기(10)는, 상기 S400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이전 재생이 있었다면, 상기 이전 재생시 상기 확인된 콘텐츠의 재생이 완료되었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410].
상기 제1 전자 기기(10)는, 상기 S400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이전 재생이 없었거나, 상기 S410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이전 재생에서 상기 확인된 콘텐츠의 재생이 완료된 경우, 상기 확인된 콘텐츠를 처음부터 다시 재생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420].
한편 상기 제1 전자 기기(10)는, 상기 S410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이전 재생시 상기 확인된 콘텐츠의 재생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재생 이력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이전 재생에 이어서 상기 확인된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430].
따라서, 상기 제1 사용자는 자신이 별도로 메뉴를 탐색한다거나 상기 DLNA 네트워크(200) 내에 존재하는 각종 전자 기기를 제어하지 않더라도, 자신이 이전에 제공받았던 콘텐츠를 이어서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 후술하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도 11의 상기 S100 단계, 상기 S110 단계 및 상기 S120 단계를 전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전제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10, 11, 12, 13, 101, 102, 103) 중 상기 DMC(240)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기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10, 11, 12, 13, 101, 102, 103) 중 상기 제1 전자 기기(10)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제1 전자 기기(1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전자 기기(10)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DLNA 네트워크(200)로 진입함에 따라,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 및/또는 상기 제1 사용자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콘텐츠를 상기 DLNA 네트워크(200)에 포함된 특정 DMR에서 재생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전술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를 참조).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DMR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콘텐츠의 재생 중, 콜(call)을 수신할 수 있다[S500]. 상기 콜 수신 사실은,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서 상기 제1 전자 기기(1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는, 자동으로 또는 상기 제1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상기 수신된 콜을 상대방과 연결할 수 있다[S510]. 그리고 상기 콜 연결 사실은,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서 상기 제1 전자 기기(1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 기기(10)는, 상기 DLNA 네트워크(200) 내에 상기 제1 사용자 이외에 다른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예를 들어, 상기 제2 이동 단말기(101), 상기 제3 이동 단말기(102))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520].
상기 제1 전자 기기(10)는, 상기 S520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다른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에 대응된 상기 콘텐츠를 재생 중인 상기 DMR의 음향 출력 볼륨을 감소시키거나 상기 음향 출력을 뮤트(mute)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DMR로 출력할 수 있다[S530].
상기 제1 전자 기기(10)는, 상기 S520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다른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다른 사용자의 시청권 확보를 위해, 아무런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단, 후술하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는, 도 11의 상기 S100 단계, 상기 S110 단계 및 상기 S120 단계를 전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전제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10, 11, 12, 13, 101, 102, 103) 중 상기 DMC(240)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기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10, 11, 12, 13, 101, 102, 103) 중 상기 제1 전자 기기(10)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제1 전자 기기(1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DMR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콘텐츠의 재생 중, 영상 콜(video telephony)을 수신할 수 있다[S600]. 상기 영상 콜 수신 사실은,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서 상기 제1 전자 기기(1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는, 자동으로 또는 상기 제1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상기 수신된 영상 콜을 상대방과 연결할 수 있다[S610]. 그리고 상기 영상 콜 연결 사실은,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서 상기 제1 전자 기기(1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 기기(10)는, 상기 DLNA 네트워크(200) 내에 상기 제1 사용자 이외에 다른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예를 들어, 상기 제2 이동 단말기(101), 상기 제3 이동 단말기(102))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620].
상기 제1 전자 기기(10)는, 상기 S620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다른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에 대응된 상기 콘텐츠를 재생 중인 상기 DMR에서 상기 영상 콜과 관련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DMR로 출력할 수 있다[S630].
이때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영상 콜과 관련된 영상을 상기 DMR로 전송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를 통한 영상 통화의 경우, 상대방의 화상과 상기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의 화상이 화면에 표시된다. 이때 상기 상대방의 화상과 상기 사용자의 화상이 상기 영상 콜과 관련된 영상에 포함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는 상기 영상 콜과 관련된 영상이 상기 DMR에 표시되는 예들을 도시한다.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DMR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제2 전자 기기(11)의 디스플레이부(151a)는, 재생 중이던 상기 콘텐츠(24)와,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상기 상대방 화상(40) 및 상기 제1 사용자의 화상(41)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전자 기기(11)의 상기 디스플레이부(151a)는, 상기 상대방 화상(40) 및 상기 제1 사용자의 화상(41)만을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전자 기기(10)는, 상기 S620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다른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다른 사용자의 시청권 확보를 위해, 아무런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 후술하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는, 도 11의 상기 S100 단계, 상기 S110 단계 및 상기 S120 단계를 전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전제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10, 11, 12, 13, 101, 102, 103) 중 상기 DMC(240)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기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10, 11, 12, 13, 101, 102, 103) 중 상기 제1 전자 기기(10)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제1 전자 기기(1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DMR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콘텐츠의 재생 중, 콜(call)을 수신할 수 있다[S700]. 상기 콜 수신 사실은,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서 상기 제1 전자 기기(1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는, 자동으로 또는 상기 제1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상기 수신된 콜을 상대방과 연결할 수 있다[S710]. 그리고 상기 콜 연결 사실은,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서 상기 제1 전자 기기(1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 또는 상기 제1 전자 기기(10)는, 상기 수신된 또는 상기 연결된 콜이 영상 콜인지 음성 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720].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 또는 상기 제1 전자 기기(10)는, 상기 수신된 또는 상기 연결된 콜이 음성 콜인 경우,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서 상기 연결된 콜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S740].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 또는 상기 제1 전자 기기(10)는, 상기 수신된 또는 상기 연결된 콜이 영상 콜인 경우, 상기 DLNA 네트워크(200) 내에 상기 제1 사용자 이외에 다른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예를 들어, 상기 제2 이동 단말기(101), 상기 제3 이동 단말기(102))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730].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 또는 제1 전자 기기(10)는, 상기 S730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다른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다른 사용자의 시청권 확보를 위해 상기 S74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740].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 또는 제1 전자 기기(10)는, 상기 S730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다른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에 대응된 상기 콘텐츠를 재생 중인 상기 DMR에서 상기 영상 콜과 관련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DMR로 출력할 수 있다[S750].
도 2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단, 후술하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는, 도 11의 상기 S100 단계, 상기 S110 단계 및 상기 S120 단계를 전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7 실시예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전제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10, 11, 12, 13, 101, 102, 103) 중 상기 DMC(240)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기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10, 11, 12, 13, 101, 102, 103) 중 상기 제1 전자 기기(10)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제1 전자 기기(1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DMR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콘텐츠의 재생 중, 메시지(message)를 수신할 수 있다[S800].
상기 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IM(Instant Message) 및 이메일(E-mai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 수신 사실은,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서 상기 제1 전자 기기(1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 기기(10)는, 상기 DLNA 네트워크(200) 내에 상기 제1 사용자 이외에 다른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예를 들어, 상기 제2 이동 단말기(101), 상기 제3 이동 단말기(102))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810].
상기 제1 전자 기기(10)는, 상기 S810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다른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에 대응된 상기 콘텐츠를 재생 중인 상기 DMR에 상기 메시지 수신을 알리는 알림 정보 또는 상기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DMR로 출력할 수 있다[S820].
예를 들어 도 25를 참조하면, 상기 DMR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제2 전자 기기(11)는, 상기 제1 전자 기기(10) 및/또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메시지 수신 사실을 통보받고, 상기 메시지 수신 사실을 알리는 제1 윈도우(50)를 디스플레이부(151a)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윈도우(50)는, 상기 메시지 수신 사실과, 특정 기능이 대응되어 있는 아이콘들(51, 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는, 콘트롤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51a)에 표시된 커서(60)를 제어하여 상기 아이콘들(51, 52)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1 아이콘(51)은 수신된 메시지를 출력하는 기능이 대응된 아이콘이고, 상기 제2 아이콘(52)은 상기 제1 윈도우(50)를 화면에서 사라지게 하는 기능이 대응된 아이콘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신된 상기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2 윈도우(55)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a)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2 윈도우(55)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시지의 송신자 정보(61), 상기 메시지의 수신 시각(62), 상기 메시지의 내용(6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윈도우(55)는, 각종 아이콘들(64, 65, 66)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아이콘들(64, 65, 66) 중 제3 아이콘(64)은,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하는 기능이 대응된 아이콘이다.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커서(60)를 제어하여 상기 제3 아이콘(64)을 선택한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는, 미리 설정된 바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기기(10)의 메모리 및/또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의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4 아이콘(65)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삭제하는 기능이 대응된 아이콘이고, 제5 아이콘(66)은 상기 제2 윈도우(55)를 화면에서 사라지게 하는 기능이 대응된 아이콘이다.
상기 제1 전자 기기(10)는, 상기 S810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다른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다른 사용자의 시청권 확보 또는 상기 제1 사용자의 프라이버시(privacy) 확보를 위해, 아무런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4 내지 제7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음을 분명히 밝혀둔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은,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DLNA 네트워크(200)로 진입하는 경우를 위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DLNA 네트워크(200)로부터 진출하는 경우, 상기 DMC(240)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는,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 대해 설정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DMR(230)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 재생을 중지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구성 수단들은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DVD±ROM, DVD-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hard disk),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제1 전자 기기(Desktop Computer)
11: 제2 전자 기기(DTV)
12: 제3 전자 기기(Notebook Computer)
13: 제4 전자 기기(MID)
100: 제1 이동 단말기
101: 제2 이동 단말기
102: 제3 이동 단말기

Claims (18)

  1. 로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통신부;
    제1 이동 단말기가 상기 로컬 네트워크로 진입한 경우, 상기 제1 이동 단말기 또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의 제1 사용자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콘텐츠를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 포함된 다른 전자 기기에서 재생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자동으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콜(call)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듈을 통해 콜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로컬 네트워크 내에 다른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다른 전자 기기의 음향 출력 볼륨을 감소하거나 또는 상기 음향 출력을 뮤트(mute)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다른 전자 기기로 출력하고, 상기 다른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음향 출력 볼륨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네트워크는,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네트워크이고,
    상기 다른 전자 기기는, 상기 DLNA 네트워크에 포함된 DMR(Digital Media Render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콘텐츠는,
    상기 DLNA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DMS(Digital Media Server)에 저장되어 있고,
    상기 DMS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콘텐츠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따라 분류된 복수의 사용자 그룹 중 상기 제1 사용자가 속하는 사용자 그룹에 대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콘텐츠는,
    상기 DMR이 방송 수신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DMR에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선호 방송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프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DLNA 네트워크에 상기 제1 사용자와는 다른 제2 사용자의 제2 이동 단말기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제2 사용자 또는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대해 상기 미리 설정된 DMR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2 사용자보다 우선 순위가 높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DLNA 네트워크는,
    복수의 DMR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DMR 중 상기 제1 이동 단말기 또는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해 미리 설정된 DMR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DLNA 네트워크에 상기 제1 사용자와는 다른 제2 사용자의 제2 이동 단말기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제2 사용자 또는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대해 상기 미리 설정된 DMR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2 사용자보다 우선 순위가 낮게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미리 설정된 DMR 이외의 다른 DMR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 설정된 콘텐츠에 대한 재생 이력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콘텐츠의 이전 재생에서 재생 완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이전 재생에 이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전자 기기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1. 삭제
  12. 삭제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영상 콜(video telephony)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듈을 통해 영상 콜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영상 콜과 관련된 영상을 상기 DMR에서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메시지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듈을 통해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메시지를 상기 DMR로 전송하여 상기 DMR에서 출력하거나 상기 메시지의 수신 사실을 알리기 위한 알림 정보를 상기 DMR로 전송하여 상기 DMR에서 출력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DMR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DLNA 네트워크에 상기 제1 사용자와는 다른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만,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DLNA 네트워크 내에서 DMC(Digital Media Controller)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7. 로컬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이동 단말기가 상기 로컬 네트워크로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동 단말기가 상기 로컬 네트워크로 진입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1 이동 단말기 또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의 제1 사용자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콘텐츠를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 포함된 다른 전자 기기에서 재생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자동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의 통신부를 통해 콜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로컬 네트워크 내에 다른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다른 전자 기기의 음향 출력 볼륨을 감소하거나 또는 상기 음향 출력을 뮤트(mute)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다른 전자 기기로 출력하고, 상기 다른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음향 출력 볼륨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네트워크는,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네트워크이고,
    상기 다른 전자 기기는, 상기 DLNA 네트워크에 포함된 DMR(Digital Media Render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1020100061051A 2010-06-28 2010-06-28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101658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051A KR101658560B1 (ko) 2010-06-28 2010-06-28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EP11000157.5A EP2400724B1 (en) 2010-06-28 2011-01-11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3/022,510 US8638766B2 (en) 2010-06-28 2011-02-07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051A KR101658560B1 (ko) 2010-06-28 2010-06-28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672A KR20120000672A (ko) 2012-01-04
KR101658560B1 true KR101658560B1 (ko) 2016-09-21

Family

ID=44544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1051A KR101658560B1 (ko) 2010-06-28 2010-06-28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638766B2 (ko)
EP (1) EP2400724B1 (ko)
KR (1) KR1016585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4099B1 (ko) * 2012-12-14 2019-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재생 장치, 그 ui 제공 방법, 네트워크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US10334069B2 (en) * 2013-05-10 2019-06-25 Dropbox, Inc. Managing a local cache for an online content-management system
CN109788341A (zh) * 2019-01-02 2019-05-21 新华三技术有限公司 一种媒体播放方法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5307A1 (en) * 2006-01-03 2007-07-05 Apple Computer, Inc. Media data transf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59214B2 (ja) * 2004-03-04 2008-03-1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再生システムの制御方法、情報再生システム、情報提供装置、およ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KR101076037B1 (ko) * 2005-10-06 2011-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Dlna 홈 네트워크의 플레이리스트 구성 장치 및 방법
KR100733962B1 (ko) * 2005-11-07 2007-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네트워크 간 미디어 컨텐츠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28259B1 (ko) * 2008-02-13 2015-06-12 삼성전자 주식회사 Dlna 환경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과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5307A1 (en) * 2006-01-03 2007-07-05 Apple Computer, Inc. Media data transf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638766B2 (en) 2014-01-28
EP2400724A1 (en) 2011-12-28
US20110317675A1 (en) 2011-12-29
EP2400724B1 (en) 2018-03-07
KR20120000672A (ko) 201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5024B2 (en) Mobile terminal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KR101690232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US8990721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313315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for tagging different NFC tags
KR10175787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182901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171826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US8666454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590915B1 (ko) 이동 단말기, 통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실 모드 관리 방법
KR101752417B1 (ko) 이동 단말기 및 디바이스 제어방법
KR10177155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781072B1 (ko)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58560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10198746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EP2560353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643260B1 (ko) 전자 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00041501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제어방법
KR10169059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전자 기기 제어 방법
KR20130030153A (ko)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711867B1 (ko) 이동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US20110314110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73551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99814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134685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20150030084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