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6276A - 첩부제 및 첩부 제제 - Google Patents

첩부제 및 첩부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6276A
KR20140016276A KR1020137022797A KR20137022797A KR20140016276A KR 20140016276 A KR20140016276 A KR 20140016276A KR 1020137022797 A KR1020137022797 A KR 1020137022797A KR 20137022797 A KR20137022797 A KR 20137022797A KR 20140016276 A KR20140016276 A KR 20140016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patch
fluid component
organic fluid
sensitiv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2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5249B1 (ko
Inventor
마사토 니시무라
요시히로 이와오
가츠히로 오카다
겐스케 마츠오카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16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2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7053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olyisobutylene, polystyre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carbazole
    • A61K31/404Indoles, e.g. pindolol
    • A61K31/405Indole-alkanecarboxylic acids; Derivatives thereof, e.g. tryptophan, indometha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6Phosphorus compounds
    • A61K31/662Phosphorus acids or esters thereof having P—C bonds, e.g. foscarnet, trichlorfon
    • A61K31/663Compounds having two or more phosphorus acid groups or esters thereof, e.g. clodronic acid, pamidro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4Esters of carboxylic acids, e.g. fatty acid monoglycerides, medium-chain triglycerides, parabens or PEG fatty acid es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10T428/2857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metal or compound thereof or natural rubb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소수성의 점착제층이 극성이 높은 유기 유체 성분을 함유하더라도 블루밍(blooming)하지 않고, 접착력이 높은 점착제층을 갖춘 첩부제 및 첩부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지지체의 적어도 한 면에 점착제층을 갖추는 첩부제로서, 점착제층이 점도 평균 분자량 1,700,000∼6,500,000의 합성 고무, 고극성 유기 유체 성분, 점착 부여제(tackifier) 및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을 포함한다. 또한, 첩부 제제에 있어서는 상기 점착제층이 약물을 더 함유한다.

Description

첩부제 및 첩부 제제{PATCH AND PATCH PREPARATION}
본 발명은 지지체의 적어도 한 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첩부제 및 첩부 제제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서 또는 약물을 피부면을 통해 생체 내에 투여하기 위해서 등의 목적으로 여러 가지 첩부제 및 첩부 제제가 개발되어 있다.
첩부 제제의 점착제층의 점착제로서 이용되는 합성 고무는 작용기를 갖지 않기 때문에 점착제층 중의 약물의 안정성이라는 점에서 바람직하고, 또한, 약물의 방출성이 좋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합성 고무는 작용기를 갖지 않기 때문에 소수성이며, 점착제층에 고극성의 유기 유체 성분을 함유시키는 경우에는, 유기 유체 성분과의 상용성이 낮기 때문에 문제가 생긴다. 즉, 합성 고무와 유기 유체 성분과의 상용성이 낮으면, 점착제 표면에 유기 유체 성분이 블루밍(blooming)하여 접착력의 저하를 야기하여, 첩부 제제를 첩부 대상에 첩부하더라도 곧바로 박리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점착제에 합성 고무를 사용한 점착제층에, 점착제층에 소프트한 느낌을 주거나 첩부 제제를 피부로부터 박리할 때의 피부 접착력에 기인하는 통증이나 자극을 경감하기 위해 유기 유체 성분을 함유시키는 경우, 유기 유체 성분으로 극성이 낮은 유기 유체 성분밖에 사용할 수 없고, 그 때문에 약물도 극성이 낮은 것으로 한정되어 버린다.
점착제층에 점착제와 상용성이 낮은 성분을 함유시키는 경우에 있어서의 문제의 해소를 과제로서 취급한 문헌으로서는 예컨대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특허문헌 1은 점착제, 난수용성 약물, 난수용성 약물을 용해하는 3종의 유기 유체 성분 및 가교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포함하는 첩부 제제를 개시한다. 여기서, 가교 폴리비닐피롤리돈은 고무계 점착제에 대하여 상용성이 낮은 고극성의 유기 유체 성분을 점착제층 내에 유지하기 위해서 가한다. 그리고, 점착제층이 가교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에서는, 점착제층으로부터 유기 유체 성분이 블루밍하여, 접착력은 측정되지 않았다고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는 폴리부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흡유성 무기 분체를 포함하는 함수계 점착제 조성물을 개시한다. 이 문헌에는 친수성의 함수계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소수성의 폴리부텐이 블리딩하는 것을 흡유성 무기 분체에 의해 해결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합성 고무와 같은 소수성의 점착제를 사용한 점착제층으로부터 고극성의 유기 유체 성분이 블리딩하는 것이나 그 해결 방법에 관해서는 일절 언급되어 있지 않다.
한편, 점착제층에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을 함유시킨 첩부 제제로서는 예컨대 특허문헌 3에, A-B-A형 열가소성의 엘라스토머와,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계 수지와, 유동 파라핀과, 약효 성분과,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을 배합한 고체(膏體)를 전연(展延)하여 이루어지는 첩부 제제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문헌은 고체(점착제층)의 응집력 저하를 억제하는 방법에 관해서 언급되어 있을 뿐이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9-114175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2007-39451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공고 평3-71404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점착제층이 합성 고무와 같은 소수성이 높은 점착제와 함께, 이 소수성이 높은 점착제와는 상용(相溶)되기 어려운 극성이 높은 유기 유체 성분을 포함하고 있더라도, 충분히 높은 접착력을 얻을 수 있는 점착제층을 갖춘 신규의 첩부제 및 첩부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연구를 한 결과, 합성 고무와 같은 소수성이 높은 점착제와 함께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을 점착제층에 함유시키면, 소수성이 높은 점착제와는 상용되기 어려운 극성이 높은 유기 유체 성분을 점착제층 중에 유지할 수 있음을 알아내고, 이러한 지견에 기초하여 더욱 연구를 진행시킴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1] 지지체의 적어도 한 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첩부제로서,
상기 점착제층은, 점도 평균 분자량 1,700,000∼6,500,000의 합성 고무, 고극성 유기 유체 성분, 점착 부여제(tackifier) 및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제.
[2] 고극성 유기 유체 성분이, 유기 개념도에 있어서의 무기성 값과 유기성 값으로부터 하기의 식에 의해 산출되는 각도가 20°∼80°의 범위 내에 있는 유기 유체인 상기 [1]에 기재한 첩부제.
[식 1]
각도[°]=Tan(유기성 값/무기성 값)-1×(180/π)
[3] 점착제층 중의 고극성 유기 유체 성분의 함유량이 점착제층의 총중량에 대하여 20 중량% 이하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한 첩부제.
[4] 고극성 유기 유체 성분보다도 극성이 낮은 저극성 유기 유체 성분을 더 포함하는 상기 [1]∼[3] 중 어느 것에 기재한 첩부제.
[5] 저극성 유기 유체 성분이, 유기 개념도에 있어서의 무기성 값과 유기성 값으로부터 하기의 식에 의해 산출되는 각도가 0°∼19°의 범위 내에 있는 유기 유체인 상기 [4]에 기재한 첩부제.
[식 2]
각도[°]=Tan(유기성 값/무기성 값)-1×(180/π)
[6] 점착제층 중의 고극성 유기 유체 성분과 저극성 유기 유체 성분의 합계 함유량이 점착제층의 총중량에 대하여 50 중량% 이하인 상기 [4] 또는 [5]에 기재한 첩부제.
[7] 점착제층 중의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의 함유량이 점착제층의 총중량에 대하여 25 중량% 미만인 상기 [1]∼[6] 중 어느 것에 기재한 첩부제.
[8] 상기 [1]∼[7] 중 어느 것에 기재한 첩부제의 점착제층에 약물을 더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첩부 제제.
본 발명에 따르면, 합성 고무와 같은 소수성이 높은 점착제와 함께, 상기 합성 고무와 상용되지 않는 고극성의 유기 유체 성분(이하, 「고극성 유기 유체 성분」이라고도 부름)을 점착제층 중에 함유하면서, 점착제층 표면에의 고극성 유기 유체 성분의 블루밍을 방지할 수 있어, 충분히 높은 접착력을 얻을 수 있는 첩부제 및 첩부 제제를 실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그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첩부제는 지지체의 적어도 한 면에 점착제층을 지니고, 이 점착제층이 점도 평균 분자량 1,700,000∼6,500,000의 합성 고무, 고극성 유기 유체 성분, 점착 부여제 및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을 적어도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첩부 제제는 본 발명의 첩부제의 점착제층에 약물을 더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합성 고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1 합성 고무는 점도 평균 분자량이 1,700,000∼6,500,000인 합성 고무(이하, 「제1 합성 고무」라고도 부름)이며, 점도 평균 분자량이 이 범위 내에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 합성 고무의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폴리디메틸실록산, 부틸 고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알킬비닐에테르)(예컨대, 폴리(프로필비닐에테르), 폴리(이소프로필비닐에테르), 폴리(부틸비닐에테르) 등), 폴리(2-메틸프로펜), 폴리(에틸에틸렌), 폴리(1,2-디메틸에틸렌), 에틸에틸렌-1,2-디메틸에틸렌 공중합체, 폴리이소프렌, 폴리부타디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가격, 취급 용이성 등 때문에 폴리(2-메틸프로펜), 폴리(에틸에틸렌), 폴리(1,2-디메틸에틸렌), 에틸에틸렌-1,2-디메틸에틸렌 공중합체 등의 분기 지방족 탄화수소계 폴리머가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2-메틸프로펜)이 바람직하다.
합성 고무는 점도 평균 분자량이 1,700,000 이상이므로, 분자쇄가 길고 복잡하게 얽혀 있어, 유기 유체 성분의 유지성이 우수하다. 이 때문에, 이러한 합성 고무를 포함하는 점착제층은 20 중량%를 넘는 양(즉, 점착제층의 총중량에 대하여 20 중량% 초과, 바람직하게는 25 중량% 이상)의 유기 유체 성분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합성 고무의 점도 평균 분자량이 1,700,000보다 작은 경우, 합성 고무의 유기 유체 성분을 유지할 능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20 중량%를 넘는 유기 유체 성분을 포함하면 점착제층으로부터 유기 유체 성분이 스며나올 우려가 있고, 또한, 유기 유체 성분이 스며나오지 않는 경우라도 점착제층의 접착력이 저하되어, 첩부 제제는 첩부 대상에 첩부하더라도 박리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한편, 합성 고무의 점도 평균 분자량이 6,500,000을 넘는 경우 그와 같은 합성 고무를 포함하는 점착제층은 피부 접착력이나 점착성(tackiness)이 저하되는 경향으로 된다.
제1 합성 고무의 점도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1,700,000∼5,5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000∼5,000,000이다.
여기서 말하는 점도 평균 분자량은, 슈타우딩거 인덱스(J0)를, 20℃에서 우벨로데 점도계의 캐필러리의 플로우 타임으로부터 Schulz-Blaschke식에 의해 산출하고, 이 J0 값을 이용하여 하기 식에 의해 구하는 것이다:
[식 3]
Figure pct00001

제1 합성 고무의 점착제층 중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점착제층의 총중량에 대하여 5∼50 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4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0∼40 중량%이다.
제1 합성 고무의 점착제층 중의 함유량이 5 중량%에 차지 않는 경우, 점착제층의 내부 응집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50 중량%를 넘는 경우, 점착제층이 딱딱하게 되어 점착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원하는 바에 따라, 점착제층은 제1 합성 고무 이외에, 점도 평균 분자량이 40,000∼85,000인 합성 고무(이하, 「제2 합성 고무」라고도 부름)를 더 포함하더라도 좋다. 제2 합성 고무는 제1 합성 고무와 비교하여 유동성이 크며, 그 때문에, 제1 합성 고무와 제2 합성 고무를 병용함으로써, 친화성이 낮으므로 분리되기 쉬운 제1 합성 고무와 점착 부여제의 분리가 억제되어, 점착제층은 적절한 유연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2 합성 고무의 점도 평균 분자량이 40,000에 차지 않는 경우, 점착 부여제와 제2 합성 고무의 친화성이 지나치게 높아지므로, 점착 부여제와 제1 합성 고무와의 친화성이 저하되어 이들이 분리되는 것을 충분히 억제할 수 없을 우려가 있고, 제2 합성 고무의 점도 평균 분자량이 85,000을 넘는 경우, 제2 합성 고무와 제1 합성 고무의 친화성이 지나치게 높아지므로, 점착 부여제와 제1 합성 고무의 친화성이 저하하여 이들이 분리될 우려가 있다.
제2 합성 고무의 구체예(고무의 종류)는 상술한 제1 합성 고무의 구체예로서 예로 든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으며,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제1 합성 고무와 제2 합성 고무는 동종이라도 이종이라도 좋지만, 양자의 상용성이라는 관점에서 동종이 바람직하다.
제2 합성 고무의 점착제층 중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점착제층 총중량에 대하여 5∼50 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4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0∼40 중량%이다. 제2 합성 고무의 점착제층 중의 함유량이 5 중량%에 차지 않는 경우, 제1 합성 고무와 점착 부여제의 분리를 충분히 억제할 수 없을 우려가 있고, 50 중량%를 넘는 경우, 점착제층의 내부 응집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원하는 바에 따라, 점도 평균 분자량이 제1 합성 고무의 그것보다 작고, 제2 합성 고무의 그것보다 큰 제3 합성 고무를 점착제층에 첨가하더라도 좋다. 이러한 제3 합성 고무의 구체예(고무의 종류)도 상술한 제1 합성 고무의 구체예에서 예로 든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으며,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고극성 유기 유체 성분]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고극성 유기 유체 성분(이하, 「제1 유기 유체 성분」이라고도 부름)은 실온(25℃)에서 유체(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하는 경우에는 그 혼합물이 실온(25℃)에서 유체)이며, 제1 합성 고무와 상용되지 않는 유기 물질을 의미한다.
여기서 「제1 합성 고무와 상용되지 않는다」란, 유기 유체 성분 1 중량부와, 제1 합성 고무 9 중량부를, 이들과 상용하는 유기 용매(예컨대 톨루엔 등) 50 중량부의 존재 하에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고, 상기 유기 용매를 건조, 제거하여 얻어진 고형물을 실온(25℃) 하에서 일주일 보존한 경우에, 고극성 유기 유체 성분의 블리드(bleeding)를 눈으로 보아 확인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한편, 상기한 유기 유체 성분과 제1 합성 고무와의 유기 용매 존재 하에서의 혼합은 예컨대 유기 유체 성분, 제1 합성 고무 및 유기 용매를 스파튤라를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30분간 교반함으로써 행한다.
이러한 제1 합성 고무와 상용되지 않는 고극성 유기 유체 성분은 구체적으로는, 유기 개념도에 있어서의 무기성 값과 유기성 값으로부터 하기의 식(식 4)에 의해 산출되는 각도(이하, 이 각도를 「유기 개념도 상의 각도」라고도 부름)가 20°∼80°의 범위 내에 있는 유기 유체(즉, 실온(25℃)에서 유체인 유기 화합물)가 해당된다.
[식 4]
각도[°]=Tan(유기성 값/무기성 값)-1×(180/π)
한편, 유기 개념도란, 화합물의 성질을, 공유 결합성(소수성)을 보이는 유기성 값과 이온 결합성(친수성)을 보이는 무기성 값으로 나눠, 모든 유기 화합물을 유기성 값을 X축, 무기성 값을 Y축에 잡은 직교 좌표 상에 플롯해 나가는 것이다. 이 유기 개념도는 「신판 유기 개념도 기초와 응용」(고다 요시오, 사토 요시로, 혼마 요시오, 신판, 산쿄슛판, 2008년 11월 30일)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유기 축에 가까울수록 소수성이 높고, 무기 축에 가까울수록 친수성이 높은 성질을 보인다.
유기 개념도 상의 각도가 20°∼80°의 범위 내에 있는 유기 유체로서는 예컨대,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의 글리콜류;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4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5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60 등),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 에스테르류(폴리솔베이트 80(Tween80), 폴리솔베이트 60(Tween60), 폴리솔베이트 40(Tween40), 폴리솔베이트 20(Tween20) 등),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플루로닉 F-68, PEP-101, 폴록사머 188 등)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라우릴황산나트륨 등의 음이온 계면활성제; 젖산, 글리콜산, 말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등의 히드록시산; 초산, 카프르산, 카프릴산, 라우린산, 올레인산 등의 지방산; 올레인산, 카프릴산, 라우린산 등의 중쇄 지방산의 글리세린에스테르(모노글리세리드, 디글리세리드, 트리글리세리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 젖산에틸, 젖산세틸, 시트르산트리에틸, 프탈산디부틸, 초산벤질 등의 에스테르; 메탄올, 에탄올, 직쇄 또는 분기쇄의 프로판올, 직쇄 또는 분기쇄의 부탄올, 직쇄 또는 분기쇄의 펜탄올, 직쇄 또는 분기쇄의 헥산올, 직쇄 또는 분기쇄의 헵탄올, 직쇄 또는 분기쇄의 옥탄올, 직쇄 또는 분기쇄의 노난올, 직쇄 또는 분기쇄의 데칸올, 직쇄 또는 분기쇄의 운데칸올, 직쇄 또는 분기쇄의 도데칸올, 직쇄 또는 분기쇄의 테트라데칸올 등의 포화 알코올이나, 직쇄 또는 분기쇄의 프로페놀, 직쇄 또는 분기쇄의 부테놀, 직쇄 또는 분기쇄의 펜테놀, 직쇄 또는 분기쇄의 헥세놀, 직쇄 또는 분기쇄의 헵테놀, 직쇄 또는 분기쇄의 옥테놀, 직쇄 또는 분기쇄의 노네놀, 직쇄 또는 분기쇄의 데세놀, 직쇄 또는 분기쇄의 운데세놀, 직쇄 또는 분기쇄의 도데세놀 등의 불포화 알코올 등의 탄소수가 1∼14인 1가 알코올; N-메틸피롤리돈, N-도데실피롤리돈과 같은 피롤리돈류; 디메틸술폭시드, 데실메틸술폭시드와 같은 술폭시드류; 1,3-부탄디올; 에톡시화스테아릴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제1 유기 유체 성분은 특히 첩부 제제에 있어서의 약물의 피부 투과 촉진 효과의 관점에서, 유기 개념도 상의 각도가 25∼6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유기 유체 성분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점착제층 중의 함유량은 점착제층의 총중량에 대하여 1∼20 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17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2∼15 중량%이다.
[저극성 유기 유체 성분]
점착제층에는 제1 유기 유체 성분보다도 극성이 낮은 저극성 유기 유체 성분(이하, 「제2 유기 유체 성분」이라고도 부름)을 함유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2 유기 유체 성분은 유기 개념도 상의 각도가 0°∼19°의 범위 내에 있는 유기 유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올리브유, 피마자유, 라놀린 등의 유지류; 스쿠알란, 유동 파라핀과 같은 탄화수소류; 고급 지방산 알킬에스테르(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팔미틴산옥틸 등의 탄소수 8∼18(바람직하게는 12∼16)의 지방산과 탄소수가 1∼22인 1가 알코올과의 에스테르 등); 고급 알코올(직쇄 알코올(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올레일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경화 유채씨유 알코올 등), 분지쇄 알코올(라놀린알코올,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헥실도데칸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옥틸도데칸올 등) 등의 탄소수 16∼22의 알코올 등)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저극성 유기 유체 성분(제2 유기 유체 성분)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제2 유기 유체 성분의 점착제층 중의 함유량은 점착제층의 총중량에 대하여 0∼19 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5∼18.7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2.5∼18.75 중량%이다.
제1 유기 유체 성분과 제2 유기 유체 성분 양쪽을 포함하는 경우, 이들의 점착제층 중의 합계 함유량은, 지나치게 많으면 점착제층의 형상을 유지하기가 곤란하게 되기 때문에, 점착제층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점착제층의 총중량에 대하여 50 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한편, 유지할 수 있는 유기 유체 성분의 양이 많을수록 첩부 제제에 있어서의 약물의 피부 투과성과 약물 용해성이 향상되므로 제1 유기 유체 성분과 제2 유기 유체 성분의 합계 함유량은 점착제층의 총중량에 대하여 20 중량% 초과가 바람직하고, 25 중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은 의약 제제 분야에서 종래부터 분말 및 과립의 충전능 및 타정(打錠) 특성의 향상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첨가제이다.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은 예컨대 노이실린이라는 상품명 하에서, 후지가가쿠고교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또한,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은 알루미늄, 마그네슘 및 규소 원자가 산소 원자를 통해 3차원적으로 중합한 비정질의 복합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복합 산화물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반식 Al2O3/aMgO/bSiO2·nH2O(식에서, a=0.3∼3, b=0.3∼5이다)로 나타내어지는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이다. 이러한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은 그 다공성 구조에 의해 고극성의 제1 유기 유체 성분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점착제층에 있어서의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의 함유량은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점착제층의 총중량에 대하여 1 중량% 이상, 25 중량% 미만이 바람직하다. 25 중량% 이상이면 점착제층이 지나치게 단단하게 되어, 접착력이 현저히 저하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1 중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제1 합성 고무와 상용되지 않는 고극성 유기 유체 성분(제1 유기 유체 성분)을 점착제층 중에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량의 함유량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2.5∼22.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22.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7.5∼22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0∼22 중량%이다.
점착 부여제로서는 예컨대 폴리부텐류, 로진계 수지, 테르펜계 수지, 석유계 수지[예컨대, 석유계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석유계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석유계 지방족·방향족 공중합 탄화수소 수지, 석유계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방향족 탄화수소 수지를 수소 첨가한 것) 등], 쿠마론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석유계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방향족 탄화수소 수지를 수소 첨가한 것)가 바람직하다. 점착 부여제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 이용하더라도 좋다. 점착 부여제의 점착제층 중의 함유량은 점착제층의 총중량에 대하여 5∼50 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4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0∼40 중량%이다. 점착 부여제의 비율이 5 중량% 미만이면 점착성이 부족한 경우가 있고, 50 중량%를 넘으면 점착제층이 파괴 경향을 보이는 등의 바람직하지 못한 경우가 있다.
[약물]
본 발명의 첩부 제제에 배합되는 약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게 그 피부를 통해서 투여할 수 있는, 즉 경피 흡수 가능한 약물이 바람직하다. 그와 같은 약물로서 구체적으로는, 전신성 마취약, 최면·진정약, 항간질약, 해열진통소염약, 진운약(鎭暈藥), 정신신경용약, 중추신경약, 항치매약, 국소마취약, 골격근이완약, 자율신경용약, 진경약, 항파킨슨약, 항히스타민약, 강심약, 부정맥용약, 이뇨약, 혈압강하약, 혈관수축약, 관혈관확장약, 말초혈관확장약, 동맥경화용약, 순환기용약, 호흡촉진약, 진해거담약, 호르몬약, 화농성질환용 외용약, 진통·진양·수렴·소염용약, 기생성피부질환용약, 지혈용약, 통풍치료용약, 당뇨병용약, 항악성종양용약, 항생 물질, 화학요법약, 마약, 금연 보조약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약물은 프리 염기인 약물뿐만 아니라, 그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도 포함한다. 그와 같은 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포름산염, 초산염, 젖산염, 아디프산염, 시트르산염, 타르타르산염, 메탄술폰산염, 푸마르산염, 말레산염 등을 들 수 있고, 무기산의 부가염으로서는 염산염, 황산염, 질산염, 인산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약물은 용매화물이라도 좋고, 수화물 및 비수화물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첩부 제제에 있어서, 약물은 유기 개념도 상의 각도가 20°∼80°의 범위 내에 있는 약물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기 개념도 상의 각도가 22°∼79°인 약물이다. 이러한 약물은 고극성 유기 유체 성분(제1 유기 유체 성분)과 상용하므로, 점착제층 중에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약물의 점착제층 중의 함유량은 그 경피 흡수용 약물의 효과를 만족하고, 점착제층의 접착 특성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점착제층의 총중량에 대하여 0.1∼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40 중량%이다. 0.1 중량%보다 적으면 치료 효과가 충분하지 않을 우려가 있고, 50 중량%보다 많으면 점착제층 중의 점착제의 비율이 적어져 점착제층이 충분한 접착력을 보이지 않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지지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실질적으로 점착제층의 구성 성분(특히 유기 유체 성분)에 대하여 불투과성인 것, 특히 첩부 제제에 있어서는, 점착제층 중의 약물이 지지체 안을 지나 배면으로부터 빠져나가 함유량의 저하를 야기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와 같은 지지체로서는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사란(등록상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에틸렌-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서린(등록상표) 등의 단독 필름, 금속박 또는 이들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의 필름을 적층한 라미네이트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지지체의 두께는 2∼100 ㎛가 바람직하고, 2∼50 ㎛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첩부제 및 첩부 제제는 사용할 때까지 점착제층의 점착면을 보호하기 위해서 상기 점착면에 박리 라이너를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 라이너로서는, 박리 처리가 이루어져, 충분히 가벼운 박리력을 확보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폴리에스테르(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등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플라스틱 필름; 상질지(上質紙), 글라신지 등의 종이; 상질지 또는 글라신지 등과 폴리올레핀 필름을 적층한 라미네이트 필름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의 점착제층과 접촉하는 면에 실리콘 수지, 불소 수지 등을 도포함으로써 박리 처리가 실시된 것이 이용된다. 배리어성, 가격의 점에서, 기재가 폴리에스테르(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리 라이너의 두께는 통상 10∼200 ㎛, 바람직하게는 25∼100 ㎛이다.
본 발명의 첩부제 및 첩부 제제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테이프형, 시트형, 리저버(reservoir)형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첩부제 및 첩부 제제는 예컨대 제1 합성 고무, 고극성 유기 유체 성분(제1 유기 유체 성분), 점착 부여제 및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첩부 제제에 있어서는 추가로 약물)을, 필요에 따라서 배합되는 그 밖의 성분과 함께, 톨루엔 등의 적당한 용제에 용해하고,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을 분산하여, 얻어진 점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의 도포액을 박리 라이너 상에 도포, 건조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이 점착제층 상에 지지체를 적층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첩부제 및 첩부 제제는 예컨대 상기 점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의 도포액을 지지체에 직접 도포, 건조하여, 지지체 상에 점착제층을 형성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첩부제 및 첩부 제제는 사용 직전에 박리 라이너를 박리하여, 노출된 점착면을 피부면 등에 첩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에 기재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한편,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각 성분의 비율은 중량부수로 표기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원료 및 그 약칭은 다음과 같다.
(점착 성분)
제1 합성 고무로서의 점도 평균 분자량 4,000,000의 폴리이소부틸렌 24부, 제2 합성 고무로서의 점도 평균 분자량 55,000의 폴리이소부틸렌 36부 및 점착 부여제로서의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아라카와가가쿠사 제조, 아르콘 P100) 40부를 혼합하여 점착 성분을 얻었다.
(고극성 유기 유체 성분)
PGML: 프로필렌글리콜모노라우레이트, 유기 개념도 상의 각도 28°
Tween80: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와코쥰야쿠고교사 제조), 유기 개념도 상의 각도 56°
Glycerin: 글리세린, 유기 개념도 상의 각도 79°
(저극성 유기 유체 성분)
IPM: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유기 개념도 상의 각도 10°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노이실린: 노이실린 UFL2(후지가가쿠고교사 제조)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이외의 분체)
XPVP: 가교폴리비닐피롤리돈(BASF, Kollidon CL-M)
SiO2: 사일리시아 730(후지실리시아가가쿠사 제조)
HT: 히드로탈사이트(와코쥰야쿠고교사 제조)
[실시예 1∼30 및 비교예 1∼8]
고극성 유기 유체 성분으로서 PGML(유기 개념도 상의 각도 28°)을 사용하여, 표 1에 기재한 배합 비율에 따라서 점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의 톨루엔 용액을 조제하고, 얻어진 용액을 실리콘 박리 처리를 실시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제 라이너(두께 75 ㎛) 상에, 건조 후에 60 ㎛의 두께가 되도록 도포하고, 이것을 열풍 순환식 건조기 속에서 100℃, 3분간 건조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했다. 이 점착제층을 PET제 지지체에 접합시켜, 시트형의 첩부제를 얻었다. 그리고, 얻어진 첩부제를 하기의 접착력 시험에 사용하게 했다.
[접착력 시험]
시험판(스테인리스판)을 360번의 내수 연마지로 표면을 균일하게 연마하고, 세정했다. 그 후, 이하의 순서에 따라서 180° 인장 시험을 실시했다.
(1) 폭 24 mm, 길이 50 mm의 첩부제(샘플)의 길이 방향의 일단을 약 5 mm 박리하여 180° 각으로 되접고, 보조지를 접착하여 길이를 연장했다.
(2) 라이너를 제거한 후, 스테인리스판에 신속하게 샘플을 접착하고, 즉시 중량 2 Kg의 고무 롤러를 300 mm/분의 속도로 샘플 위를 2회 통과시켰다.
(3) 상기한 샘플을 첩부한 시험판을 23±2℃, 상대 습도 50±10%로 30분간 방치했다.
(4) 인장 시험기에 180° 인장용 지그(jig)를 장착하여, 시험판을 지그에 셋트하고, 보조지의 일단은 상부의 걸쇠에 단단히 끼워 넣어, 1분간에 300 mm의 속도로 연속해서 당겨 벗겨내어, 하중을 측정하여 기록했다.
(5) 측정 결과를 기록한 차트로부터 등간격으로 3회 하중을 읽어내어(읽어내는 위치: 20, 40, 60 mm), 평균했다. N=3의 평균치를 산출했다.
(평가)
××: 점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의 톨루엔 용액과 고극성 유기 유체 성분이 분리, 혹은 분체가 응집했기 때문에, 균일한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없었다.
×: 점착제층을 형성한 후, PET제 지지체에 접합시켰지만, 지지체에 투묘되지 않았기 때문에, 접착력을 측정할 수 없었다.
△: 접착력이 0.2 [N] 미만
△△: 접착력이 0.2 [N] 이상, 0.4 [N] 미만
△△△: 접착력이 0.4 [N] 이상, 0.7 [N] 미만
○: 접착력이 0.7 [N] 이상, 1.0 [N] 미만
○○: 접착력이 1.0 [N] 이상, 1.6 [N] 미만
◎: 접착력이 1.6 [N] 이상, 2.0 [N] 미만
◎◎: 접착력이 2.0 [N] 이상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표 2, 3으로부터, 고극성 유기 유체 성분인 PGML(유기 개념도 상의 각도: 28°)를 함유하는 점착제층에 노이실린을 함유시킴으로써 점착제층의 접착력이 향상되는 것, 및 노이실린 이외의 분체에서는 점착제층에 그것을 함유시키더라도 점착제층의 접착력은 향상되지 않거나 혹은 점착제층의 접착력이 향상되더라도 그 향상 효과는 노이실린에 비해서 뒤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1∼60 및 비교예 9∼16]
고극성 유기 유체 성분으로서 Tween80(유기 개념도 상의 각도: 56°)를 사용하여, 표 4에 기재한 배합 비율에 따라서 점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의 톨루엔 용액을 조제하고, 얻어진 용액을 실리콘 박리 처리를 실시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제 라이너(두께 75 ㎛) 상에, 건조 후에 60 ㎛의 두께가 되도록 도포하고, 이것을 열풍 순환식 건조기 속에서 100℃, 3분간 건조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했다. 이 점착제층을 PET제 지지체에 접합시켜, 시트형의 첩부제를 얻었다. 그리고, 얻어진 첩부제를 상기한 접착력 시험에 사용하게 했다.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표 5, 6으로부터, 고극성 유기 유체 성분인 Tween80을 함유하는 점착제층에 노이실린을 함유시킴으로써 점착제층의 접착력이 향상되는 것, 및 노이실린 이외의 분체에서는 점착제층에 그것을 함유시키더라도 점착제층의 접착력은 향상되지 않거나 혹은 점착제층의 접착력이 향상되더라도 그 향상 효과는 노이실린에 비해서 뒤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61∼90 및 비교예 17∼24]
고극성 유기 유체 성분으로서 Glycerin(유기 개념도 상의 각도 79°)를 사용하여, 표 7에 기재한 배합 비율에 따라서 점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의 톨루엔 용액을 조제했다. 단, Glycerin은 30% 이소프로판올 용액을 조제하여 가했다. 얻어진 용액을 실리콘 박리 처리를 실시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제 라이너(두께 75 ㎛) 상에, 건조 후에 60 ㎛의 두께가 되도록 도포하고, 이것을 열풍 순환식 건조기 속에서 100℃, 3분간 건조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했다. 이 점착제층을 PET제 지지체에 접합시켜, 시트형의 첩부제를 얻었다. 그리고, 얻어진 첩부제를 상기한 접착력 시험에 사용하게 했다.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표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고극성 유기 유체 성분인 Glycerin(유기 개념도 상의 각도 79°)를 함유하는 점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은 톨루엔 용액 속에서 Glycerin이 분리되어 버려, 균일한 점착제층을 제작할 수 없었다. 그러나, 노이실린을 2.5% 이상 포함함으로써 균일한 점착제층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접착력도 높은 결과가 되었다. 또한, 표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노이실린 이외의 분체에서는, 점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의 톨루엔 용액 속에서 분체가 응집되거나 혹은 Glycerin이 분리되었기 때문에, 균일한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없었다.
<첩부 제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첩부제의 점착제층 중의 점착제 중 1 중량부를, 약물로서 인도메타신 또는 이반드론산 1 중량부로 대체한 것 이외에는 같은 식으로 하여 첩부 제제를 제작한다.
이들 첩부 제제는 각 실시예의 첩부제와 같은 특성을 갖는 것이다.
한편, 상기 약물의 유기 개념도에 있어서의 무기성 값과 유기성 값으로부터 산출되는 각도(유기 개념도 상의 각도)는 다음과 같다.
·인도메타신 44°
·이반드론산 77°
본 발명에 따르면, 합성 고무와 같은 소수성이 높은 점착제와 함께, 상기 합성 고무와 상용되지 않는 고극성의 유기 유체 성분을 점착제층 중에 함유하면서, 점착제층 표면에의 고극성 유기 유체 성분의 블루밍을 방지할 수 있어, 충분히 높은 접착력을 얻을 수 있는 첩부제 및 첩부 제제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본에서 출원된 특원 2011-021200를 기초로 하고 있으며, 그 내용은 본 명세서에 전부 포함되는 것이다.

Claims (8)

  1. 지지체의 적어도 한 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첩부제로서,
    상기 점착제층은, 점도 평균 분자량 1,700,000∼6,500,000의 합성 고무, 고극성 유기 유체 성분, 점착 부여제(tackifier) 및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제.
  2. 제1항에 있어서, 고극성 유기 유체 성분이, 유기 개념도에 있어서의 무기성 값과 유기성 값으로부터 하기의 식에 의해 산출되는 각도가 20°∼80°의 범위 내에 있는 유기 유체인 첩부제.
    각도[°]=Tan(유기성 값/무기성 값)-1×(180/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점착제층 중의 고극성 유기 유체 성분의 함유량이 점착제층의 총중량에 대하여 20 중량% 이하인 첩부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극성 유기 유체 성분보다도 극성이 낮은 저극성 유기 유체 성분을 더 포함하는 첩부제.
  5. 제4항에 있어서, 저극성 유기 유체 성분이, 유기 개념도에 있어서의 무기성 값과 유기성 값으로부터 하기의 식에 의해 산출되는 각도가 0°∼19°의 범위 내에 있는 유기 유체인 첩부제.
    각도[°]=Tan(유기성 값/무기성 값)-1×(180/π)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점착제층 중의 고극성 유기 유체 성분과 저극성 유기 유체 성분의 합계 함유량이 점착제층의 총중량에 대하여 50 중량% 이하인 첩부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점착제층 중의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의 함유량이 점착제층의 총중량에 대하여 25 중량% 미만인 첩부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첩부제의 점착제층에 약물을 더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첩부 제제.
KR1020137022797A 2011-02-02 2012-02-01 첩부제 및 첩부 제제 KR1018752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21200 2011-02-02
JP2011021200A JP5698018B2 (ja) 2011-02-02 2011-02-02 貼付剤および貼付製剤
PCT/JP2012/052307 WO2012105619A1 (ja) 2011-02-02 2012-02-01 貼付剤および貼付製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276A true KR20140016276A (ko) 2014-02-07
KR101875249B1 KR101875249B1 (ko) 2018-07-05

Family

ID=46602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2797A KR101875249B1 (ko) 2011-02-02 2012-02-01 첩부제 및 첩부 제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351942B2 (ko)
EP (1) EP2671572B1 (ko)
JP (1) JP5698018B2 (ko)
KR (1) KR101875249B1 (ko)
CN (1) CN103347504B (ko)
CA (1) CA2826362C (ko)
ES (1) ES2692297T3 (ko)
WO (1) WO20121056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38757B (zh) * 2011-02-02 2015-05-06 日东电工株式会社 贴剂及贴剂制剂
JP5921154B2 (ja) * 2011-11-09 2016-05-24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ES2841138T3 (es) * 2013-09-11 2021-07-07 Medrx Co Ltd Composición de base novedosa para agente de cinta adhesiva
CN109688992A (zh) * 2016-09-28 2019-04-26 日本瑞翁株式会社 包装结构的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5320A (ja) * 1984-12-28 1986-07-15 Taisho Pharmaceut Co Ltd 貼付剤
JPS61165321A (ja) * 1985-01-16 1986-07-26 Taisho Pharmaceut Co Ltd 貼付剤
US5508038A (en) * 1990-04-16 1996-04-16 Alza Corporation Polyisobutylene adhesives for transdermal devices
TWI412570B (zh) * 2004-04-27 2013-10-21 Showa Denko Kk Adhesive for patch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4745747B2 (ja) * 2004-08-12 2011-08-10 日東電工株式会社 フェンタニル含有貼付製剤
JP4824963B2 (ja) 2004-08-12 2011-11-30 日東電工株式会社 貼付材及び貼付製剤
ES2536478T3 (es) 2004-12-15 2015-05-25 Teikoku Seiyaku Co., Ltd. Parches externos que contienen etofenamato
KR20130069764A (ko) 2005-02-03 2013-06-26 교린 세이야꾸 가부시키 가이샤 경피 흡수형 제제
WO2006093139A1 (ja) * 2005-02-28 2006-09-08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経皮吸収製剤
JP5089933B2 (ja) 2005-07-07 2012-12-05 ニプロパッチ株式会社 含水系粘着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貼付剤
JP4978040B2 (ja) * 2006-03-31 2012-07-18 ニチバン株式会社 局所適用型経皮吸収テープ剤
JP5248040B2 (ja) 2007-05-25 2013-07-31 リードケミカル株式会社 5−メチル−1−フェニル−2−(1h)−ピリドン含有貼付剤
JP5209433B2 (ja) 2007-10-19 2013-06-12 日東電工株式会社 貼付製剤
JP5432613B2 (ja) 2008-07-17 2014-03-05 日東電工株式会社 貼付剤および貼付製剤
CN101416955B (zh) * 2008-11-26 2013-03-27 重庆医药工业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改良的巴布剂的基质及其运用
JP5388194B2 (ja) 2009-06-30 2014-01-15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発泡性ポリスチレン系樹脂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3338757B (zh) 2011-02-02 2015-05-06 日东电工株式会社 贴剂及贴剂制剂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315978A1 (en) 2013-11-28
JP2012158571A (ja) 2012-08-23
KR101875249B1 (ko) 2018-07-05
EP2671572A4 (en) 2014-09-03
ES2692297T3 (es) 2018-12-03
CA2826362A1 (en) 2012-08-09
CN103347504B (zh) 2015-07-15
JP5698018B2 (ja) 2015-04-08
WO2012105619A1 (ja) 2012-08-09
CN103347504A (zh) 2013-10-09
EP2671572B1 (en) 2018-07-25
CA2826362C (en) 2019-07-09
US9351942B2 (en) 2016-05-31
EP2671572A1 (en) 201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6400B1 (ko) 비소프롤롤 함유 접착 제제
JP4824963B2 (ja) 貼付材及び貼付製剤
JP2012140460A (ja) 含水系外用貼付剤用組成物及びこの組成物を用いた貼付剤
EP2777692B1 (en) Composition for enhancing transdermal absorption of drug and patch preparation
EP2570122B1 (en) Composition for Enhancing Transdermal Absorption of A Drug and Patch Preparation
KR20140016276A (ko) 첩부제 및 첩부 제제
JP5875389B2 (ja) 貼付剤および貼付製剤
EP2052718A1 (en) Patch preparation
JP5548727B2 (ja) ビソプロロール含有貼付製剤
JP5227041B2 (ja) 薬物含有貼付製剤
JP6512905B2 (ja) フェンタニル含有貼付剤
WO2022050056A1 (ja) 貼付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190193B1 (ko) 아민 옥시드를 함유하는 첩부 제제
TW202135830A (zh) 貼附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