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5926A - 그래핀 적층 배리어 필름 - Google Patents

그래핀 적층 배리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5926A
KR20140015926A KR1020120082210A KR20120082210A KR20140015926A KR 20140015926 A KR20140015926 A KR 20140015926A KR 1020120082210 A KR1020120082210 A KR 1020120082210A KR 20120082210 A KR20120082210 A KR 20120082210A KR 20140015926 A KR20140015926 A KR 20140015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phene
graphene layer
hydrophilic
hydrophobic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2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0067B1 (ko
Inventor
정재철
장성훈
김강수
이성호
김봉균
Original Assignee
율촌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율촌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율촌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2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0067B1/ko
Publication of KR20140015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5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0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one layer of ceramic material, e.g. porcelain, ceramic tile
    • B32B9/00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one layer of ceramic material, e.g. porcelain, ceramic tile comprising carbon, e.g. graphite, composite 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82Grap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4/00Structure or properties of graphene
    • C01B2204/20Graphene characterized by its properties
    • C01B2204/26Mechanical proper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재 등으로 사용되어 외부의 가스나 수증기 등을 차단하는 배리어 필름(barrier film)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친수성 그래핀층과 소수성 그래핀층이 적층된 그래핀 적층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그래핀 적층 배리어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친수성 그래핀층과 소수성 그래핀층을 포함하여, 우수한 배리어성을 가지면서 강도 및 치수 안정성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그래핀 적층 배리어 필름{GRAPHENE LAMINATION BARRIER FILM}
본 발명은 포장재 등으로 사용되어 외부의 가스나 수증기 등을 차단하는 배리어 필름(barrier film)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친수성 그래핀층과 소수성 그래핀층을 포함하여, 우수한 배리어성을 가지면서 강도 및 치수 안정성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그래핀 적층 배리어 필름에 관한 것이다.
식품(과자류, 면류 등)이나 의약품 등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재로는 배리어(barrier)성을 가지는 배리어 필름이 주로 사용된다.  배리어 필름은 외부로부터 산소 등의 가스나 수증기 등의 유입을 차단하여 식품이나 의약품 등을 장기간 보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배리어 필름은 수지 필름, 예를 들어 폴리염화비닐(PVC) 등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PVC 필름은 소각 시에 유해 가스를 발생하고 높은 습도 분위기에서는 배리어성이 약한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이에, 배리어 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을 기재 필름으로 하되, 상기 기재 필름(PET 필름 등) 상에 증착층을 형성한 구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때, 증착층은 주로 알루미늄(Al) 등의 금속을 증착하여 형성하거나, 산화규소(SiO2) 등의 무기 화합물을 증착하여 형성하고 있다.  증착층은 산소나 수증기 등에 대한 차단성이 우수하여 배리어성에 유리하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07267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08999호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62739호 등에는 위와 관련한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이 금속(Al 등)이나 무기 화합물(SiO2 등)을 증착함에 있어서는 고가의 진공 증착장비를 필요로 하고, 제조 효율도 낮다.  또한, 증착층은 딱딱하고 유연하지 않아, 필름의 굴곡 시 핀 홀(pin hole)이나 크랙(crack)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반복적인 굴곡, 즉 접고 폄을 반복하는 경우에는 심한 크랙 발생으로 인하여 배리어성을 보이기 어렵다.  
이때,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금속이나 무기 화합물을 증착하지 않고, 이들을 미분말상으로 고분자 수지에 혼합한 다음, 기재 필름에 코팅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증착층 대비 배리어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강도 및 치수 안정성 등의 기계적 물성이 낮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07267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0899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62739호
이에, 본 발명은 우수한 배리어성과, 강도 및 치수 안정성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배리어 필름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친수성 그래핀층과 소수성 그래핀층이 적층된 그래핀 적층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그래핀 적층 배리어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재 필름, 친수성 그래핀층 및 소수성 그래핀층이 적층된 그래핀 적층 필름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그래핀 적층 배리어 필름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그래핀 적층 배리어 필름은 제1 기재 필름; 상기 제1 기재 필름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그래핀 적층체; 상기 그래핀 적층체의 상부에 형성된 제2 기재 필름; 및 상기 제2 기재 필름의 상부에 형성된 소수성 그래핀층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친수성 그래핀층은 고분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친수성 그래핀 15 ~ 60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수성 그래핀층은 고분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소수성 그래핀 15 ~ 6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친수성 그래핀층과 소수성 그래핀층을 포함하여, 우수한 배리어성을 가지면서, 강도와 치수 안정성 등이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유연성을 확보하여 굴곡 시 핀 홀이나 크랙 발생이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구현예에 따른 그래핀 적층 배리어 필름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구현예에 따른 그래핀 적층 배리어 필름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구현예에 따른 그래핀 적층 배리어 필름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구현예에 따른 그래핀 적층 배리어 필름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구현예에 따른 그래핀 적층 배리어 필름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6구현예에 따른 그래핀 적층 배리어 필름의 단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배리어 필름의 적층 구조를 보인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리어 필름은 하나 이상의 그래핀 적층체(A)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그래핀 적층체(A)는 친수성 그래핀층(10)과 소수성 그래핀층(20)을 포함한다.  그래핀 적층체(A)는, 구체적으로 친수성 그래핀층(10)과 소수성 그래핀층(20)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그래핀 적층체(A)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친수성 그래핀층(10)과 소수성 그래핀층(20)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배리어 필름은 친수성 그래핀층(10)과 소수성 그래핀층(20)이 적층된 그래핀 적층체(A)를 하나의 단위(unit로 하여, 상기 그래핀 적층체(A)를 하나 또는 2개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의 그래핀 적층체(A)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리어 필름은 위와 같은 그래핀 적층체(A)를 예를 들어 2개 내지 10개,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2개 내지 5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를 보인 것으로, 이는 1개의 그래핀 적층체(A)를 포함하는 구조를 보인 것이다.  그리고 도 2는 3개의 그래핀 적층체(A)를 포함하는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이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그래핀 적층체(A)를 포함하는 경우, 친수성 그래핀층(10)과 소수성 그래핀층(20)이 교대로 적층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동일한 층끼리 인접하지 않고, 친수/소수/친수/소수 등으로서 친수성과 소수성의 그래핀층(10)(20)이 교호(交互)로 적층 배열되는 것이 배리어성에서 바람직하다.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배리어 필름은 3층 구조로서 소수성/친수성/소수성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소수성 그래핀층(20), 친수성 그래핀층(10) 및 소수성 그래핀층(20)이 차례로 적층된 3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친수성/소수성/친수성의 적층 구조로서 친수성 그래핀층(10), 소수성 그래핀층(20) 및 친수성 그래핀층(10)이 차례로 적층된 3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친수성 그래핀층(10)과 소수성 그래핀층(20)의 적층 조합에 의해, 우수한 배리어성을 갖는다.  이때, 친수성 그래핀층(10)은 주로 산소 등의 가스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며, 상기 소수성 그래핀층(20)은 주로 수증기 등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내수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상기 친수성 그래핀층(10)과 소수성 그래핀층(20)은 이들을 구성하는 그래핀(graphene) 자체의 물리적 특성으로 인하여 강도와 치수 안정성 등의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리어 필름은,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라서 기재 필름(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리어 필름은 기재 필름(30), 친수성 그래핀층(10) 및 소수성 그래핀층(20)이 적층된 그래핀 적층 필름(B)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배리어 필름은 기재 필름(30), 친수성 그래핀층(10) 및 소수성 그래핀층(20)이 적층된 그래핀 적층 필름(B)을 하나의 단위로 하여, 상기 그래핀 적층 필름(B)을 하나 또는 2개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래핀 적층 필름(B)을 예를 들어 1개 내지 10개,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1개 내지 5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그래핀 적층 필름(B)을 포함하는 경우, 기재 필름(30), 친수성 그래핀층(10) 및 소수성 그래핀층(20)은 동일한 층끼리 인접하지 않고, 교호(交互)로 적층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그래핀 적층 필름(B)의 적층 순서는 제한되지 않는다.  그래핀 적층 필름(B)은,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에서부터 차례로 기재 필름(30) 상에 친수성 그래핀층(10)과 소수성 그래핀층(2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그래핀 적층 필름(B)은 아래에서부터 차례로 기재 필름(30) 상에 소수성 그래핀층(20)과 친수성 그래핀층(1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그래핀 적층 필름(B)은 기재 필름(30)을 중심으로 하고, 기재 필름(30)의 양측 면에 친수성 그래핀층(10)과 소수성 그래핀층(20)이 각각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에서부터 차례로 친수성 그래핀층(10), 기재 필름(30) 및 소수성 그래핀층(2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기재 필름(30)은 배리어성 및 기계적 물성 등을 보강한다.  또한, 기재 필름(30)은 친수성 그래핀층(10)이나 소수성 그래핀층(20)의 형성 시, 지지체로서 작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친수성 그래핀층(10)과 소수성 그래핀층(20)은 예를 들어 코팅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기재 필름(30)은 친수성 그래핀층(10)과 소수성 그래핀층(20)의 코팅 형성 시 지지체로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리어 필름은 상기 각 층들(10)(20)(30)을 2개 이상 포함하는 조합으로서, 아래의 적층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리어 필름은 제1 기재 필름(31), 상기 제1 기재 필름(31)의 상부에 형성된 그래핀 적층체(A), 상기 그래핀 적층체(A)의 상부에 형성된 제2 기재 필름(32), 및 상기 제2 기재 필름(32)의 상부에 형성된 소수성 그래핀층(20)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기재 필름(31)의 하부에 형성된 친수성 그래핀층(1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의 배리어 필름은, 더욱 향상된 배리어성과 기계적 물성을 갖는다.
이때, 도 5 및 도 6에서, 그래핀 적층체(A)는 전술한 바와 같이 친수성 그래핀층(10)과 소수성 그래핀층(20)의 적층체로서, 이들(10)(20)의 적층 순서는 제한되지 않는다.  도 5에서는 제1 기재 필름(31)의 상부에 친수성 적층체(10)가 먼저 적층된 모습을 예시한 것이고, 도 6에서는 이와는 반대로 제1 기재 필름(31)의 상부에 소수성 적층체(20)가 먼저 적층된 모습을 예시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각 층들(10)(20)(30)(31)(32) 간의 합지 방법은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친수성 그래핀층(10)과 소수성 그래핀층(20)은 접착제나 공압출 등을 통해 적층 합지되어 적층체(A)를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친수성 그래핀층(10)과 소수성 그래핀층(20)은 박막 상의 필름 상으로 별도로 성형된 다음, 접착제를 통해 합지될 수 있다.  이때, 접착제는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아크릴계, 우레탄계 및 에폭시계 접착제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친수성 그래핀층(10)과 소수성 그래핀층(20)은 공압출을 통해 박막 상의 필름 상으로서 성형됨과 동시에 합지될 수 있다.  아울러, 기재 필름(30)(31)(32)과 그래핀층(10)(20) 간의 경우에도 위와 같이 접착제나 공압출 등을 통해 적층 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리어 필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핀 적층체(A),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친수성 그래핀층(1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수성 그래핀층(20)을 포함하되, 다양한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친수성 그래핀층(10)은 적어도 친수성 그래핀(graphene)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소수성 그래핀층(20)은 적어도 소수성 그래핀을 포함한다.
그래핀은 탄소 원자가 육각형의 고리 배열로 연결된 벌집 모양을 하고 있으며, 이는 2차원적 층상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그래핀은 단일층의 그래핀 또는 2장 이상, 예를 들어 2장 내지 100장의 단일층 그래핀이 적층된 것이어도 좋다.  또한, 그래핀은 다양한 제조방법으로 수득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카치테이프 방법, 실리콘 카바이드 절연체를 이용한 에피택시(epitaxy) 방법, 환원제를 이용한 화학적 방법, 그리고 금속 촉매를 이용한 화학기상증착법을 통해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그래핀은 예를 들어 탄소 원료를 탄화시켜 그래파이트를 제조한 다음, 이를 접착성 테이프를 이용하여 적층되어 있는 그래핀을 물리적으로 박리시키는 스카치테이프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실리콘 카바이드(SiC) 결정 내에 포함되어 있던 탄소를 표면으로 분리시키면서 그래핀 고유의 벌집 구조를 형성하는 에피텍시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그래파이트를 산화시키고 분쇄하여 산화 그래핀을 제조한 후, 히드라진(hydrazine)과 같은 환원제를 이용하여 산화 그래핀을 그래핀으로 환원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그래핀은 기판(substrate) 상에 그래핀이 성장할 수 있는 금속 촉매층을 형성한 다음, 상기 금속 촉매층 위에 탄소 원자가 함유된 가스를 고온에서 탄화 증착시키는 화학기상증착법으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그래판은 고분자를 출발 원료로 제조하되, 상기 고분자를 금촉 촉매층 상에 코팅하여 고리 배열을 유도한 후 탄화시키는 방법으로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분자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폴리올레핀계, 셀룰로오스계, 리그닌(lignin)계 및 피치(pitch)계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그래핀은 위와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사용하거나 시중에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제조 과정에서 친수성이나 소수성이 부여되거나, 또는 제조 후 별도의 후처리를 통해 친수성이나 소수성이 부여된 것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친수성 그래핀층(10)을 구성하는 그래핀은 친수성을 가지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으며, 이는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그래핀의 제조 과정에서 친수성기가 부여되거나, 제조 후 별도의 후처리를 통해 친수성기가 부여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친수성기는 예를 들어 옥사이드기, 히드록시기 및 카르복실기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친수성 그래핀은 옥사이드기, 히드록시기 및 카르복실기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친수성기를 가지는 그래핀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친수성기는 예를 들어 그래핀의 제조 원료로부터 유래될 수 있으며, 일례로 셀룰로오스 등의 다당류에서는 히드록시기가 유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소수성 그래핀층(10)을 구성하는 그래핀은 소수성을 가지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으며, 이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그래핀의 제조 과정에서 소수성이 부여되거나, 제조 후 별도의 후처리를 소수 처리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래핀은 제조 과정에서 금속 및/또는 금속 산화물과의 가열을 통해 금속계 카바이드(SiC 등)를 포함하여 소수성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그래핀은 실라놀 그룹의 축합 반응에 의해 형성된 Si-Si 소수성막에 의하거나, 환원성 기체 및/또는 반응성 아세테이트 그룹 등에 의한 물리, 화학적인 환원처리에 의해 소수성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서, 상기 친수성 그래핀층(10)과 소수성 그래핀층(20)은 각각 친수성 또는 소수성 그래핀을 적어도 포함하되, 고분자 수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즉, 친수성 및 소수성 그래핀층(10)(20)은 그래핀과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분자 수지의 혼합에 의해 유연성(flexible property)과 결합력이 개선된다.
상기 고분자 수지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배리어성에서 유리한 것이면 좋다.  고분자 수지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아미드계, 나일론계 및 비닐알콜계 등으로부터 선택된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PBN), 폴리올레핀계폴리에틸렌(PE) 및 폴리프로필렌(PP, OPP, CPP), 나일론, 폴리비닐알콜, 에틸렌비닐알콜 및 이들의 유도체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친수성 그래핀층(10)에는 친수성 고분자가 사용될 수 있으며, 소수성 그래핀층(20)에는 소수성 고분자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친수성 그래핀층(10)은 고분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친수성 그래핀 15 ~ 6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친수성 그래핀의 함량이 15중량부 미만인 경우, 친수성 그래핀의 사용에 따른 배리어성(특히, 산소 등의 가스 차단성)과 기계적 물성 등이 미미해질 수 있다.  그리고 친수성 그래핀의 함량이 60중량부를 초과한 경우, 유연성이 떨어지고 그래핀 입자 간의 결합력 및 층간 접착 강도가 낮아질 수 있다.
상기 소수성 그래핀층(20)의 경우에도 고분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소수성 그래핀 15 ~ 6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소수성 그래핀의 함량이 15중량부 미만인 경우, 소수성 그래핀의 사용에 따른 배리어성(특히, 수증기 차단성)과 기계적 물성 등이 미미해질 수 있다.  그리고 소수성 그래핀의 함량이 60중량부를 초과한 경우, 상기와 같이 유연성이 떨어지고 그래핀 입자 간의 결합력 및 층간 접착 강도가 낮아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친수성 그래핀층(10)과 소수성 그래핀층(20)을 형성하기 위한 각 조성물은 그래핀과 고분자 수지 이외에 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용매는 그래핀층(10)(20)의 형성 시, 코팅성 또는 공압출성을 위한 것으로서, 물 또는 알콜류(메탄올, 에탄올 등), 케톤류(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 포름아미드류(디메틸 포름아미드 등), 에테르류(에틸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 및 방향족(톨루렌, 크실렌 등)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때, 분산성이 양호하도록, 친수성 그래핀층(10)의 경우에는 물이나 수용성 유기 용제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소수성 그래핀층(20)의 경우에는 에테르류나 방향족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친수성 그래핀층(10)과 소수성 그래핀층(20)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각각 0.01㎛ ~ 1,0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두께가 너무 얇으면 배리어성이 미미할 수 있고, 너무 두꺼우면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그래핀층(10)(21)은 0.1㎛ ~ 500㎛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재 필름(30)(31)(32)은 유연성의 플라스틱 필름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환경 유해가 없고, 우수한 배리어성과 기계적 물성 등을 가지는 것이면 더욱 좋다.  기재 필름(30)(31)(32)은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아미드계 및 나일론계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PBN),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및 나일론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기재 필름(30)(31)(32)에는 임의 선택적으로 산화규소(SiO2)나 산화티탄(TiO2) 등의 무기물 입자가 더 분산되어 있어도 좋다.  그리고 기재 필름(30)(31)(32)은 예를 들어 0.1㎛ ~ 2mm의 두께, 더욱 구체적으로는 0.5 ~ 1,0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배리어 필름은 포장의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품(과자류, 면류 등)이나 의약품 등을 포장하기 위한 연포장재 및 OLED봉지재(Encapsulation), 그리고 태양전지용 부재 등의 산업용 포장재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배리어 필름의 일면에는 포장 시 열융착(열봉합)을 위한 실란트층(sealant layer)이 형성될 수 있으며, 타면에는 인쇄층이나 별도의 기능성 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친수성 그래핀층(10)과 소수성 그래핀층(20)을 포함하여, 우수한 배리어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층상 구조의 그래핀에 의해 산소 등의 가스나 수증기의 유입이 효과적으로 차단된다.  특히, 친수성 그래핀층(10)은 산소 등의 가스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상기 소수성 그래핀층(20)은 수증기 등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내수성을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우수한 배리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그래핀 자체의 물리적 특성으로 인하여 우수한 강도와 치수 안정성 등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예시한다.
[실시예 1]
폴리비닐알콜(PVA)을 프로필 알콜 수용액에 녹이고, 상기 폴리비닐알콜(PVA) 100중량부에 대하여 친수성 그래핀 분말 30중량부를 첨가, 교반하여 친수성 그래핀 슬러리 혼합물을 얻었다.  이때, 친수성 그래핀은 히드록시기(-OH)가 도입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되, 소수성 그래핀 분말을 사용하여, 폴리비닐알콜(PVA) 100중량부에 대하여 소수성 그래핀 분말 30중량부를 포함하는 소수성 그래핀 슬러리 혼합물을 얻었다.  이때, 소수성 그래핀은 Si-Si 소수성막이 도입된 것을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20㎛ 두께의 PET 필름을 준비하고, 이 PET 필름 상에 먼저 상기에서 얻어진 친수성 그래핀 슬러리 혼합물을 바 코팅(bar coating)한 후, 건조시켜 1.0㎛ 두께의 친수성 그래핀층을 형성하였다.  이후, 상기 친수성 그래핀층 상에 상기에서 얻어진 소수성 그래핀 슬러리 혼합물을 동일한 방법으로 코팅, 건조시켜 1.0㎛ 두께의 소수성 그래핀층을 형성하여, PET 필름(20㎛)/친수성 그래핀층(1.0㎛)/소수성 그래핀층(1.0㎛)의 적층 구조를 가지는 배리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폴리비닐알콜(PVA)을 프로필 알콜 수용액에 녹이고, 상기 폴리비닐알콜(PVA) 100중량부에 대하여 산화규소(SiO2) 입자 30중량부를 첨가, 교반하여 SiO2 슬러리 혼합물을 얻었다.  이때, 산화규소(SiO2)는 평균 입도 80㎚(나노미터) 크기를 가지는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20㎛ 두께의 PET 필름을 준비하고, 이 PET 필름의 양면에 상기 얻어진 SiO2 슬러리 혼합물을 1.0㎛ 두께로 바 코팅(bar coating) 및 건조시켜, SiO2층(1.0㎛)/PET 필름(20㎛)/SiO2층(1.0㎛)의 적층 구조를 가지는 배리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20㎛ 두께의 PET 필름을 준비하고, 이 PET 필름의 한 면에 80㎚(나노미터)의 Al 박막을 진공 증착하여, PET 필름(20㎛)/Al 박막(80㎚)의 적층 구조를 가지는 증착 필름을 본 비교예에 따른 시편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배리어 필름 시편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배리어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  배리어성 >
각 배리어 필름 시편을 커터 바(cutter bar)를 이용하여 15mm x 15mm(가로 x 세로) 크기로 절단한 다음, 가스 투과 측정기를 이용하여, 산소 투과량과 수증기 투과량을 측정하였다.
               < 물성 평가 결과 >
비 고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배리어 필름의
적층구조
PET(20㎛)/
친-그래핀(1.0㎛)/
소-그래핀(1.0㎛)
SiO2(1.0㎛)/
PET(20㎛)/
SiO2(1.0㎛)
 PET(20㎛)/
Al(80㎚)
산소 투과량
(cc/㎡ㆍday)
1.3 12.4 10.2
수증기 투과량
(g/㎡ㆍday)
0.3 1.6 1.2
상기 [표 1]에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리어 필름은 친수성 및 소수성 그래핀층을 포함하여, 산화규소(SiO2) 무기물을 사용한 비교예 1과 일반적인 증착 필름의 비교예 2와 대비하여 월등히 우수한 배리어성(산소 투과량 및 수증기 투과량)을 가짐을 알 수 있다. 
10 : 친수성 그래핀층 20 : 소수성 그래핀층
30 : 기재 필름 31 : 제1 기재 필름
32 : 제2 기재 필름

Claims (7)

  1. 친수성 그래핀층과 소수성 그래핀층이 적층된 그래핀 적층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핀 적층 배리어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 적층 배리어 필름은, 상기 그래핀 적층체를 2개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핀 적층 배리어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 적층 배리어 필름은,
    제1 기재 필름;
    상기 제1 기재 필름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그래핀 적층체;
    상기 그래핀 적층체의 상부에 형성된 제2 기재 필름; 및
    상기 제2 기재 필름의 상부에 형성된 소수성 그래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핀 적층 배리어 필름.
  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 적층 배리어 필름은, 상기 제1 기재 필름의 하부에 형성된 친수성 그래핀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핀 적층 배리어 필름.
  5. 기재 필름, 친수성 그래핀층 및 소수성 그래핀층이 적층된 그래핀 적층 필름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핀 적층 배리어 필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 적층 필름은, 
    기재 필름 상에 친수성 그래핀층과 소수성 그래핀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거나,
    기재 필름 상에 소수성 그래핀층과 친수성 그래핀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거나,
    기재 필름을 중심으로 하여 양측 면에 친수성 그래핀층과 소수성 그래핀층이 각각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핀 적층 배리어 필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그래핀층은 고분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친수성 그래핀 15 ~ 60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수성 그래핀층은 고분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소수성 그래핀 15 ~ 6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하는 그래핀 적층 배리어 필름.
KR1020120082210A 2012-07-27 2012-07-27 그래핀 적층 배리어 필름 KR101390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210A KR101390067B1 (ko) 2012-07-27 2012-07-27 그래핀 적층 배리어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210A KR101390067B1 (ko) 2012-07-27 2012-07-27 그래핀 적층 배리어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5926A true KR20140015926A (ko) 2014-02-07
KR101390067B1 KR101390067B1 (ko) 2014-05-07

Family

ID=50265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2210A KR101390067B1 (ko) 2012-07-27 2012-07-27 그래핀 적층 배리어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006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5236A (ko) 2014-03-07 2015-09-1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체 차단 특성이 향상된 그래핀 옥사이드 나노복합막 및 그 제조방법
WO2015183039A1 (ko) * 2014-05-30 2015-12-03 한국식품연구원 기체차단성을 갖는 레토르트 식품 포장용 적층 필름
KR20160011059A (ko) 2014-07-21 2016-01-2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담즙산 또는 담즙산염으로 코팅된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N109177400A (zh) * 2018-06-19 2019-01-11 宁波鸿雁包装材料有限公司 一种高抗拉薄膜及生产方法
CN112701389A (zh) * 2019-10-23 2021-04-23 韩国铝业株式会社 包含石墨烯的二次电池袋用膜
KR20210048409A (ko) * 2019-10-23 2021-05-03 주식회사 한국알미늄 그래핀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파우치용 필름
CN114747068A (zh) * 2019-11-22 2022-07-12 株式会社Lg新能源 用于柔性二次电池的封装及包括该封装的柔性二次电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782B1 (ko) 2021-09-24 2021-12-20 박시효 보존성이 향상된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73566B2 (ja) * 2006-04-26 2012-02-08 旭化成株式会社 無機化合物膜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5236A (ko) 2014-03-07 2015-09-1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체 차단 특성이 향상된 그래핀 옥사이드 나노복합막 및 그 제조방법
WO2015183039A1 (ko) * 2014-05-30 2015-12-03 한국식품연구원 기체차단성을 갖는 레토르트 식품 포장용 적층 필름
KR20160011059A (ko) 2014-07-21 2016-01-2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담즙산 또는 담즙산염으로 코팅된 그래핀 옥사이드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N109177400A (zh) * 2018-06-19 2019-01-11 宁波鸿雁包装材料有限公司 一种高抗拉薄膜及生产方法
CN112701389A (zh) * 2019-10-23 2021-04-23 韩国铝业株式会社 包含石墨烯的二次电池袋用膜
KR20210048409A (ko) * 2019-10-23 2021-05-03 주식회사 한국알미늄 그래핀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파우치용 필름
CN114747068A (zh) * 2019-11-22 2022-07-12 株式会社Lg新能源 用于柔性二次电池的封装及包括该封装的柔性二次电池
CN114747068B (zh) * 2019-11-22 2024-05-10 株式会社Lg新能源 用于柔性二次电池的封装及包括该封装的柔性二次电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0067B1 (ko) 201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0067B1 (ko) 그래핀 적층 배리어 필름
KR101450963B1 (ko) 적층 배리어 필름
CN107969124B (zh) 具有超高阻隔性能的柔性多层包装膜
EP2082619B1 (en) Nanoparticulate encapsulation barrier stack
Layek et al. Layer-structured graphene oxide/polyvinyl alcohol nanocomposites: dramatic enhancement of hydrogen gas barrier properties
KR101437142B1 (ko) 그라핀 층을 함유하는 배리어 필름과 이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기판 및 그 제조방법
JP5668294B2 (ja) ガスバリア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049784B2 (en) Nanocomposite films with conducting and insulating surfaces
JP5553330B2 (ja) 電子デバイス用防湿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5424854B2 (ja) 吸湿層を有するガスバリア性積層体
JP4836166B2 (ja) 粘着粘土膜及びその使用方法
JP3855004B2 (ja) 粘土膜及びその製造方法
CN104125882A (zh) 耐冲击性和耐燃性优异的真空耐热材料的密封件
JP7022262B2 (ja) 高温耐水性が改善された酸素遮断多重コーティングフィルム
KR101169206B1 (ko) 나노카본 및 고분자를 함유한 다층 구조의 코팅층 및 그를 갖는 코팅 기판
KR101670030B1 (ko) 용액혼합법으로 제조된 그래핀 옥사이드를 이용한 가스차단막 및 이의 제조방법
JP3967734B2 (ja) ガスバリア性フィルム
WO2017116106A1 (ko)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는 다층구조의 수분 및 기체 고차단성 유연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761016B1 (ko) 가스 배리어성이 우수한 나노복합수성코팅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코팅필름
JP6187719B1 (ja) 真空断熱材用外包材、真空断熱材、および真空断熱材付き物品
TW202235264A (zh) 多層構造體及其製造方法,以及使用其之保護薄片及電子裝置
JP2006265517A (ja) ガス遮蔽材及びガス遮蔽方法
TWI389324B (zh) Solar modules
JP2010135654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裏面保護シート
JP6536105B2 (ja) 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ガスバリア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