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5580A - 차량 인테리어용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인테리어용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5580A
KR20140015580A KR1020137034344A KR20137034344A KR20140015580A KR 20140015580 A KR20140015580 A KR 20140015580A KR 1020137034344 A KR1020137034344 A KR 1020137034344A KR 20137034344 A KR20137034344 A KR 20137034344A KR 20140015580 A KR20140015580 A KR 20140015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ing device
vehicle interior
light guide
guide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4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볼프강 뮐러
Original Assignee
존슨 컨트롤즈 인테리얼즈 게엠베하 앤 컴퍼니 케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컨트롤즈 인테리얼즈 게엠베하 앤 컴퍼니 케이지 filed Critical 존슨 컨트롤즈 인테리얼즈 게엠베하 앤 컴퍼니 케이지
Publication of KR20140015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55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82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 lighting, e.g. switching by tilting the l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25Small compartments, e.g. glov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6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 B60Q3/62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using light guides
    • B60Q3/64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using light guides for a single light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7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B60Q3/74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overall compartment lighting; for overall compartment lighting in combination with specific lighting, e.g. room lamps with reading lamps
    • B60Q3/745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overall compartment lighting; for overall compartment lighting in combination with specific lighting, e.g. room lamps with reading lamps using lighting panels or mats, e.g. electro-luminescent panels, LED ma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인테리어용 조명 장치(1)에 관한 것으로서, 광 입력 표면 일 광 출력 표면(13)을 갖는 광 안내 요소(4)를 포함하며, 광속이 하나 이상의 광 표면에 의해 광 입력 표면으로 도입될 수 있으며, 상기 광 안내 요소(4)가 프레임 요소(2) 내의, 적어도 몇몇 색션들 내의 에지에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광 출력 표면(13)이 광 입력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하는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광원이 프레임 요소(2) 내에 배열되며, 상기 광 안내 요소(4)가 적어도 몇몇 색션들로 구조화된다.

Description

차량 인테리어용 조명 장치 {LIGHTING DEVICE FOR A VEHICLE INTERIOR}
본 발명은 차량 인테리어용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지붕 구역의 종래의 조명 장치들은 조명 수단으로서 백열 전구들을 사용한다. 이런 경우에, 백열 전구로부터의 광속(luminous flux)은 반사기 및 확산 패널에 의해 분배되어서 차량 인테리어의 바람직한 조명이 달성된다.
게다가, 광원으로서 발광 다이오드들을 사용하며 유사하게 반사기 및 확산 패널에 의해 광원으로부터의 광속을 분배하는 조명 장치들이 공지된다. 그와 같은 조명 장치는 예를 들어, WO 2010/112191 A1, EP 1 270 331 A1 및 DE 103 15 251 A1호로부터 공지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인테리어용 개선된 조명 장치를 구체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목적은 평탄한 및/또는 평판형 광 안내 요소를 포함하는 차량 인테리어용 조명 장치에 의해 달성되며, 여기서 광 안내 요소의 내측으로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에 의해 하나 이상의 단부에 광속이 도입될 수 있으며, 광 안내 요소는 프레임 요소 내의 에지에 유지되며, 적어도 몇몇 색션들 내에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 및/또는 하나 이상의 스위칭 요소가 배열된다. 차량 인테리어와 대향되게 위치되는 광 안내 요소의 표면은 광 편향 표면으로서 형성되며, 차량 인테리어를 향하는 광 안내 요소의 표면은 광 출력 표면으로서 형성된다. 광 편향 표면은 바람직하게 구조화되며, 적어도 몇몇 색션들에는 예를 들어 프리즘들, 렌즈들, 규정된 거칠기 및/또는 프린팅이 제공된다.
게다가, 광 출력 표면은 광 입력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한다.
가능한 실시예에서, 광 안내 요소의 표면, 및 특히 광 출력 표면의 표면은 바람직하게, 전체 면적의 90 % 내지 100 % 범위의 규정된 거칠기를 가진다. 거친 표면을 갖춘 표면을 형성한 결과로써, 광의 균일한 분포가 가능하다.
이와는 달리 또는 추가적으로, 광 안내 요소는 유사하게 광 안내 요소 내에 광속의 균일한 분포를 허용하고 차량 인테리어 내측으로 광속의 균일한 방출을 허용하는 내측 산란 수단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특히 균일한 광 분포를 위해서, 조명 장치가 광학 요소들, 특히 프리즘들 및/또는 렌즈들을 포함하거나, 광 출력 표면이 프린트되는 추가의 실시예가 제공된다.
조명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칭 요소들이 프레임 요소 상에 배열될 수 있거나 그 내부에 통합될 수 있다.
유리하게, 조명 장치를 위한 필요한 설치 공간이 최소화되는데, 이는 특히 차량 인테리어에 대해서 조명 장치의 배열 및 형성에 있어서 보다 높은 스타일 자유도(stylistic freedom)를 초래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조명 장치는 평탄 및/또는 평판형으로 디자인되며 바람직하게 10 mm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 5 mm 미만의 두께를 가진다.
본 발명의 개량은 광 안내 요소를 완전히 에워싸기 위한 프레임 요소를 제공하며 프레임 요소 내의 광 안내 요소의 하나 이상의 측면 에지 상에 배열되는 광원을 제공한다. 이는 조명 장치의 특히 소형화 및 평탄한 디자인을 허용한다.
바람직하게, 프레임 요소 및 프레임 요소에 의해 수용된 광 안내 요소는 커버링 요소로서 형성된다. 커버링 요소는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며, 이런 목적을 위해 편리하게, 하나 이상의 측면 에지 상에 힌지를 가진다.
조명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조명 장치는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스위칭 요소를 가진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에서, 스위칭 요소는 프레임 요소 상에 배열되거나 그 내부에 통합된다. 이와는 달리, 광 안내 요소 자체는 스위치 감지 요소로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광 안내 요소에 의해서 높은 광속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들이 사용될 때조차도, 차량 승객들을 위해 섬광 없이 균일한 광 분포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런 경우에, 발광 다이오드들로부터의 광속은 인간의 눈에 의해 인지될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에 의해 방출되는 광의 휘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의 10 mm 미만, 특히 5 mm 미만의 두께를 갖는 특히 평탄한 디자인의 결과로써, 차량의 캐리어, 예를 들어 종래의 지붕 라이닝 내의 대응 오목부로의 프레싱이 가능해져서, 캐리어 내의 종래의 절취부(cut-out)가 필요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는 지붕 라이닝의 평탄한 윤곽에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조화될 수 있거나 지붕 라이닝 내에 통합될 수 있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적재실(stowage compatment)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 뒤에 배열될 수 있으며, 그의 설치 깊이는 종래의 조명 장치들에 비해서 상당히 감소된다. 여기서, 광 안내 요소 및 그의 프레임 요소는 적재실을 커버하는 커버링 요소로서 구성될 수 있다.
조명 장치를 스위칭하기 위한 비-접촉 스위치들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차량 인테리어의 유리한 디자인 변형들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광 안내 요소 자체는 스위치 감지 표면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도면들에 의해서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프레임 요소 내에 배열되는 스위치 요소들을 갖춘 차량 인테리어용 조명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2는 차량 인테리어용 조명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3은 폐쇄 위치에 위치되는, 차량 인테리어용 커버링 요소로서 형성되는 조명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4는 개방 위치에 위치되는, 차량 인테리어용 커버링 요소로서 형성되는 조명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서로 대응하는 부품들에는 모든 도면들에서 동일한 명칭들이 제공된다.
도 1에서, 프레임 요소(2) 내에 배열되는 스위칭 요소(3)들은 갖는, 도시 않은 차량 인테리어용 조명 장치(1)의 사시도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조명 장치(1)는 고 광속을 갖는 발광-다이오드들의 사용으로 차량 인테리어의 조명을 허용, 특히 차량 승객들을 위해 섬광을 발생시킴이 없이 균일한 광 분포의 조명을 허용한다. 이런 목적을 위해, 조명 장치(1)는 하나 이상의 광 안내 요소(4) 및 프레임 요소(2)를 포함한다.
광 안내 요소(4)는 평탄 및/또는 평판형이며, 예를 들어 플라스틱 평판 또는 플라스틱 패널로서 형성된다. 여기서, 플라스틱 패널은 투명한 것으로 디자인된다.
광 입력 표면인, 광 안내 요소(4)의 하나 이상의 단부(5)에서 광원으로부터의 광속이 도입된다. 사용된 광원은 특히, 하나 이상의 종래 발광 다이오드(6)이다. 발광 다이오드(6)로부터의 광속은 광 안내 요소(4) 내에 균일하게 전파되며, 광 안내 요소(4) 내의 이러한 균일한 전파는 예시되지 않은, 적합한 표면 조직 또는 거칠기 또는 산란 수단에 의해 보조되거나 개선될 수 있다.
예시되지 않은 디자인 변형들에서 하나 이상의 종래의 발광 다이오드(6)로부터의 광속은 광 안내 요소(4)의 여러 단부들 또는 모든 단부(5)들에서 각각 도입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6)들은 한 단부(5)에 배열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 또는 발광 다이오드(6)들은 전자 반도체 구성요소이며, 따라서 특히 오랜 수명을 갖춘 실질적으로 무보수(maintenance-free) 조명 수단이다.
차량 인테리어의 방향으로 광 안내 요소(4)로부터 광속을 방사하기 위해서, 차량 인테리어와 대향하는 광 안내 요소(4)의 표면(7)이 광 편향 표면으로서 형성되며, 차량 인테리어를 향하는 표면이 광 출력 표면(13)으로서 형성된다. 광 편향 표면(7)은 바람직하게 구조화되며, 예를 들어 프리즘들, 렌즈들, 규정된 거칠기 및/또는 프린팅, 예를 들어 광 및/또는 백색 도트-형 패턴으로 제공된다. 도 2A 내지 도 2C는 광 편향 표면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광 안내 요소(4)의 표면(7)을 구조화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이러한 표면 구조화는 차량 인테리어 내측으로 광속의 특히 균일하고 무섬광 방출을 허용한다.
광 출력 표면(13)은 실질적으로 평탄하고 부드럽게 되도록 디자인된다. 광 안내 요소(4)는 에지의 프레임 요소(2)에, 적어도 몇몇 색션들에 유지된다.
바람직한 디자인 변형에서, 프레임 요소(2)는 에지에서 광 안내 요소(4)를 완전히 둘러싸도록 배열된다. 이런 경우에, 프레임 요소(2)는 바람직하게 불투명한 플라스틱으로부터 제작된다. 프레임 요소(2)는 조명 장치(1)에 추가의 안정성을 부여하며 조명 장치(1)의 단부(5)들에서 광속의 바람직하지 않은 측면 탈출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예시하지는 않았지만, 발광 다이오드(6)들의 배열을 위한 유지 수단은 프레임 요소(2) 내로 도입되며, 발광 다이오드(6)들은 광 안내 요소(4)의 단부(5)들 중의 하나에 이들의 주 방출 방향이 조준된다. 따라서 광 출력 표면(13)은 실질적으로 광 입력 표면에 수직하게 연장한다.
추가의 바람직한 디자인 변형에서, 프레임 요소(2)는 하나 이상의 스위칭 요소(3)가 배열되는 작동 색션(8)으로 확장될 수 있다. 스위칭 요소(3)들은 종래의 스위칭 요소들, 예를 들어 푸시버튼들로 형성되며 조명 장치(1)의 작동을 허용한다.
프레임 요소(2) 및 작동 색션(8)은 바람직하게 단일 피스로 형성되고 통합된 구조 유닛을 형성한다.
예시되지 않은 디자인 변형에서, 접촉 없이 작용하는 스위칭 요소(3)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광 안내 요소(4)를 스위칭하기 위한 비-접촉 스위칭 요소(3)들의 사용의 결과로써 차량 인테리어의 유리한 디자인 변형들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광 안내 요소(4) 자체는 스위치 감지 표면으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에서, 차량 인테리어용 조명 장치(1)의 측면도가 개략적으로 예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1)는 유리하게, 10 mm 미만의 두께(D)를 가지며, 상기 두께(D)는 바람직하게 5 mm 미만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1)의 이러한 특히 평탄한 디자인의 결과로써, 차량의 캐리어 내의 대응 오목부, 예를 들어 종래의 지붕 라이닝으로의 프레싱이 충분하여 캐리어 내의 종래의 절취부는 필요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조명 장치(1)를 위한 필요 설치 공간은 최소화되는데, 이는 특히 차량 인테리어에 대해서 조명 장치(1)의 배열 및 형성에서 보다 높은 스타일 상의 자유도를 초래함을 의미한다.
결과로써, 조명 장치(1)는 종래의 지붕 라이닝의 평탄한 윤곽들, 특히 쉘로우 앵글(shallow angle)로 배열되는 차량 전방 패널에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조화될 수 있거나, 후자에 통합될 수 있다.
커버링 요소(9)로서 형성되는 차량 인테리어용 조명 장치(1)의 측면도는 도 3에 개략적으로 예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커버링 요소(9)는 폐쇄 위치에 위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1)의 특히 평탄한 디자인의 결과로써, 적재실(10)이 조명 장치(1)의 후방에 있는 설치 공간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조명 장치들에 비해서 조명 장치(1)의 상당히 감소된 설치 깊이의 결과로써 가능하다. 여기서, 광 안내 요소(4) 및 그의 프레임 요소(2)는 조명 장치(1) 뒤의 적재실(10)을 덮는 피봇가능한 커버링 요소(9)로서 구성된다. 적재실(10)의 피봇가능한 커버링 요소(9) 내에 조명 장치(1)를 배열하는 결과로써, 이러한 구역은 복수의 기능들(조명 및 커버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소형화 및 공간-절약 디자인을 허용한다.
커버링 요소(9)는 도시 않은 종래의 힌지에 의해서 프레임(8)에 피봇가능하게 고정되며, 여기서 상기 프레임은 적재실(10)의 후방 커버링(12)에 의해서 확장되었다. 폐쇄 위치에서, 커버링 요소(9)는 종래의 분리가능한 덮개 수단(11), 예를 들어 래칭 연결, 로킹 기구 또는 자기 캐취(magnetic catch)에 의해서 진동-방지 및 흔들림 방지 방식으로 유지된다.
차량 인테리어용 커버링 요소(9)로서 형성된 조명 장치(1)의 측면도가 도 4에 개략적으로 예시되며, 여기서 커버링 요소(9)는 개방 위치에 있다. 여기서, 커버링 요소(9)는 도시 않은 종래의 힌지에 의해서 차량 인테리어의 방향으로 피봇되었으며, 이어서 덮개 수단(11)이 해제되어서, 적재실(10)로의 접근이 가능하다.
1 : 조명 장치
2 : 프레임 요소
3 : 스위칭 요소
4 : 광 안내 요소
5 : 단부
6 : 발광 다이오드
7 : 표면
8 : 작동 색션
9 : 커버링 요소
10 : 적재실
11 : 덮개 수단
12 : 적재실의 후방 커버링
13 : 광 출력 표면
D : 두께

Claims (15)

  1. 차량 인테리어용 조명 장치(1)로서,
    광 입력 표면 및 광 출력 표면(13)을 갖는 광 안내 요소(4)를 포함하며, 광속이 하나 이상의 광원에 의해 광 입력 표면으로 도입될 수 있으며,
    상기 광 안내 요소(4)가 프레임 요소(2) 내의, 적어도 몇몇 색션들 내의 에지에 유지되는, 차량 인테리어용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 출력 표면(13)이 광 입력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하는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광원이 프레임 요소(2) 내에 배열되며,
    상기 광 안내 요소(4)가 적어도 몇몇 색션들 내에서 구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테리어용 조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안내 요소(4)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며 상기 광 안내 요소(4)의 표면(7)은 광 편향 표면으로서 형성되고 전체 구역의 90 % 내지 100 %의 규정된 거칠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테리어용 조명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안내 요소(4)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며 상기 광 안내 요소(4)의 표면(7)은 광 편향 표면으로서 형성되고 프린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테리어용 조명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안내 요소(4)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며 상기 광 안내 요소(4)의 표면(7)은 광 편향 표면으로서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광학 요소, 특히 프리즘들 및/또는 렌즈들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테리어용 조명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안내 요소(4)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며 내측 산란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테리어용 조명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안내 요소(4)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며 평탄 및/또는 평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테리어용 조명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요소(2)는 광 안내 요소(4)를 완전히 에워싸며 상기 광원은 프레임 요소(2) 내의 광 안내 요소(4)의 하나 이상의 측면 에지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테리어용 조명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요소(2) 및 프레임 요소에 의해 수용되는 광 안내 요소(4)는 커버링 요소(9)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테리어용 조명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링 요소(9)는 피봇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테리어용 조명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안내 요소(4)는 스위치-감지 요소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테리어용 조명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1)를 작동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스위칭 요소(3)는 프레임 요소(2) 상에 배열되거나 그 내부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테리어용 조명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6)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테리어용 조명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의 두께(D)는 10 mm 미만, 특히 5 mm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테리어용 조명 장치.
  14. 커버링(9)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상부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명 장치(1)를 갖춘 적재실(10).
  15.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명 장치(1)를 갖춘 지붕 라이닝.
KR1020137034344A 2011-05-24 2012-05-24 차량 인테리어용 조명 장치 KR201400155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103022 2011-05-24
DE102011103022.4 2011-05-24
PCT/EP2012/059713 WO2012160139A1 (de) 2011-05-24 2012-05-24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innenrau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5580A true KR20140015580A (ko) 2014-02-06

Family

ID=46298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4344A KR20140015580A (ko) 2011-05-24 2012-05-24 차량 인테리어용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286029A1 (ko)
EP (1) EP2714469A1 (ko)
JP (1) JP5690971B2 (ko)
KR (1) KR20140015580A (ko)
CN (1) CN103619651A (ko)
WO (1) WO20121601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49998B2 (ja) * 2013-06-25 2016-02-0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表示装置
EP3181998A1 (fr) * 2015-12-14 2017-06-21 ETA SA Manufacture Horlogère Suisse Guide de lumiere pour l'eclairage d'un dispositif d'affichage
JP6438905B2 (ja) * 2016-04-04 2018-12-19 矢崎総業株式会社 車内照明装置
USD797032S1 (en) * 2016-04-26 2017-09-12 Darrin Dagrossa Compressible traction device
DE102017205789B4 (de) * 2017-04-05 2022-04-2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Innenraumleuchte für ein Kraf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538A (ja) * 1991-07-03 1993-01-19 Oji Paper Co Ltd 電気掃除機集塵袋用ろ紙
JP2549118Y2 (ja) * 1991-07-17 1997-09-30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平板型照明装置
DE10036812A1 (de) * 2000-07-28 2002-02-07 Hella Kg Hueck & Co Beleuchtungseinrichtung
FI110636B (fi) 2001-06-29 2003-02-28 Teknoware Oy Järjestely valaisimen yhteydessä ja valaisin
GB0224643D0 (en) 2002-10-23 2002-12-04 Delphi Tech Inc A lighting component
JP2006027304A (ja) * 2004-07-12 2006-02-02 Toyota Boshoku Corp 照明装置および車両天井構造
JP4264654B2 (ja) * 2004-10-25 2009-05-20 株式会社今仙電機製作所 車両用コンソール装置
JP4634906B2 (ja) * 2005-10-18 2011-02-16 株式会社フジクラ 車両用照明装置
JP4432911B2 (ja) * 2006-02-03 2010-03-17 豊田合成株式会社 装飾体及び該装飾体を蓋部とした収容箱
DE202006003757U1 (de) * 2006-03-09 2006-07-20 Fer Fahrzeugelektrik Gmbh Fahrzeuginnenraumleuchte
JP2008174132A (ja) * 2007-01-19 2008-07-31 Ichikoh Ind Ltd 車両用室内照明装置
US20080191626A1 (en) * 2007-02-08 2008-08-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ighting system
JP5051119B2 (ja) * 2008-12-25 2012-10-17 豊田合成株式会社 照明装置
DE102009055733A1 (de) 2009-04-03 2010-10-14 Johnson Controls Interiors Gmbh & Co. Kg Beleuchtungsein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517792A (ja) 2014-07-24
JP5690971B2 (ja) 2015-03-25
CN103619651A (zh) 2014-03-05
US20140286029A1 (en) 2014-09-25
WO2012160139A1 (de) 2012-11-29
EP2714469A1 (de) 2014-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90860B2 (ja) 照明装置
US20070177397A1 (en) Lighting apparatus for vehicle
JP2011076858A (ja) 車輌用灯具
US9248776B2 (en) Vehicular light unit with multiple light sources
KR20140015580A (ko) 차량 인테리어용 조명 장치
WO2014112288A1 (ja) 車両用ランプ構造
WO2014112287A1 (ja) 車両用ランプ構造
JP2009067098A (ja) 照明装置
JP2012129146A (ja) 照明装置
US8485704B2 (en) Lamp unit and vehicle lamp
JP2016154105A (ja) 照明装置、および照明装置の設置構造
WO2012164696A1 (ja) 照明装置
JP2009078794A (ja) 車両用室内照明装置
JP5278209B2 (ja) 車両用灯具
WO2021193556A1 (ja) 車両用灯具
JP4760808B2 (ja) 車両用室内照明装置及び車両用室内照明構造
JP4561719B2 (ja) ライセンスプレート照明装置
KR101176509B1 (ko) 간접조명 방식의 자동차 엘이디 실내등
JP7069835B2 (ja) 車両用灯具
JP2016187986A (ja) 照明装置付車両用内装材
JP2018199389A (ja) 乗物用照明装置
JP2013244894A (ja) 車両用内装材
JP6733208B2 (ja) 車両用灯具のレンズ部材、車両用灯具
CN218228816U (zh) 组合式灯具和机动车辆
JP4770731B2 (ja) 車室用間接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