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2877A - 액체용기 토출구에 삽입된 쿨렁거림 방지용 관 - Google Patents

액체용기 토출구에 삽입된 쿨렁거림 방지용 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2877A
KR20140012877A KR1020120080580A KR20120080580A KR20140012877A KR 20140012877 A KR20140012877 A KR 20140012877A KR 1020120080580 A KR1020120080580 A KR 1020120080580A KR 20120080580 A KR20120080580 A KR 20120080580A KR 20140012877 A KR20140012877 A KR 20140012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quid
space
discharge port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0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1890B1 (ko
Inventor
임명순
Original Assignee
임명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명순 filed Critical 임명순
Priority to KR1020120080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1890B1/ko
Publication of KR20140012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2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내의 공간에 있는 액체를 용기 밖으로 토출시킬 때에 쿨렁거림을 방지하는 토출구에 삽입된 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쿨렁거림을 방지하는 토출구에 삽입된 관(200)은, 용기의 마개 공간부터 용기의 액체 보관 공간의 일부까지 마개 내의 내벽에 밀착되는 관(200)을 삽입하여 용기의 액체 보관 공간에서 삽입된 관의 끝 부분(5와 6의 원통 단면)에 오리피스를 제공하고, 용기의 액체 보관 공간과 용기의 마개 공간과의 경계 입구(3과 4의 원통 단면)부근에 삽입된 관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오리피스를 제공한다.
용기의 액체 보관 공간의 액체를 토출 시킬 때에, 용기 밖의 공기가 삽입된 관으로 통하여 용기의 마개 공간과 용기내의 액체 보관 공간으로 유입되는 경로에서 용기의 액체 보관 공간과 용기의 마개 공간과의 경계 입구(3과 4의 원통 단면)부근에 삽입된 관에 2개 이상의 오리피스(201,202)중에서 지표면으로 보면 높은 쪽에 있는 오리피스에서 유입되거나, 삽입된 관의 끝에 있는 오리피스(203)에서 용기 내의 액체 보관 공간 안으로 유입되고, 용기 내의 액체 보관 공간의 액체는 삽입된 관 끝에 있는 오리피스(203)부근에서 유입되거나, 용기의 액체 보관 공간과 용기의 마개 공간과의 경계 입구(3과 4의 원통 단면)부근에 삽입된 관에 2개 이상의 오리피스(201,202)중에서 지표면으로 보면 낮은 쪽에 있는 오리피스에서 유입되어 두 방향의 오피리스에서 유입되는 액체가 합쳐져서 용기의 마개 공간을 지나 용기 밖의 공간으로 자연스럽게 토출되어 쿨렁거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다.
액체 용기, 쿨렁거림, 공기, 오리피스, 토출구

Description

액체용기 토출구에 삽입된 쿨렁거림 방지용 관{omitted}
본 발명은 토출구에서 액체를 토출 시 쿨렁거림 방지용 관에 관한 것으로서, 액체을 보관하는 용기를 포함하여, 토출부 중심선으로 보면, 토출부 중심선 대칭형 용기 및 토출부 중심선 비대칭형 용기 등의 쿨렁거림 방지용 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액체 용기용 쿨렁거림 방지용 관에 관한 것으로, 용기 공간에 있는 액체 내용물을 토출 시 쿨렁거리지 않고 토출되어 편리하게 사용하는 액체 용기용 쿨렁거림 방지용 관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용기를 구분하면, 용기내의 액체 저장 공간, 용기내의 마개 공간, 용기 밖의 공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1은 토출구 중심선으로 보면 대칭인 용기이며, 도2는 토출구 중심선으로 보면 비대칭형 용기이다. 모두 용기내의 액체 저장 공간이 있어 액체를 저장하고, 용기내의 마개 공간(1,2,3,4)이 있어 용기 내의 액체가 토출하기 위해 유출되는 통로가 되고, 용기 밖의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가 된다.
용기 내의 마개 공간은 용기 내의 액체가 토출하기 위해 유출되는 통로와 용기 밖의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가 한곳에서 일어나게 되어 용기 내의 액체가 용기 밖으로 원활하게 토출되기 위해서는 용기 내의 마개 공간에서 액체의 토출과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게 되어야 한다.
대부분의 용기는 용기 내의 마개 공간에서 액체의 토출과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지 못하는 것은 용기 밖의 공기가, 용기 내의 마개 공간에서 토출할 액체에 의하여 막힘 현상이 생기어 용기 내의 빈 공간까지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지 못하여 용기 밖의 공기압와 용기 내의 빈 공간의 공기압의 차이를 같게 하기 위하여 액체가 토출될 때에 쿨렁거리면서 토출된다.
이에 용기 내의 마개 공간에서 액체 토출과 공기의 유입을 마개 공간 한 곳에서 이루어지지 않고, 용기 내의 마개 공간 외 다른 곳에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거나(공기 흡입구, 공고번호 실1989-0002460), 용기 내의 마개 공간을 액체 토출구과 공기 유입구를 분리하여 용기 밖의 공기를 유입하도록 한 방법(통기공을 갖은 병, 등록번호 20-0235163, 공기유입구와 토출구가 일체로 구획 형성된 액체수납용기의 토출부, 특 1998-072999, 액체수납용기의 공기유입구조, 실1998-059609, 공기흡입수단을 별도로 구비하는 음료배출기, 공개번호 10-2012-0028471, 병 주둥이에 끼움 하여 사용하는 통기구, 실1996-010990, 액체용기의 토출구,등록번호 20-0179945)등이 있다. 이러한 발명이나 고안은 용기의 제작의 어려움과 사용 불편에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액체 용기 공간의 액체 내용물을 쿨렁거리지 않게 토출되 어 편리하게 사용하는 용기용 쿨렁거림 방지용 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용기 내의 마개 공간에서 토출구와 공기 유입구를 형성하게 하기 위하여, 용기 내의 마개 공간 폭 보다 길고 여러 곳에 오리피스를 형성된 용기용 쿨렁거림 방지용 관을 용기 내의 마개 공간에 삽입하여 설치한다.
용기 내의 액체 보관 공간 내의 액체가 용기 내의 마개 공간에서 아무 간섭을 받지 않고 용기 밖으로 토출되는 것이 아니고, 용기 내의 액체 보관 공간 내의 액체가 용기 내의 마개 공간으로 이동할 때에 쿨렁거림 방지용 관의 오리피스에 의하여 간섭을 받는다.
쿨렁거림 방지용 관의 오리피스에 의하여 간섭 받아 용기 내의 마개 공간에서는 액체의 토출과 공기의 유입이 자연스럽게 되어 토출될 액체는 쿨렁거림 없이 토출되고 용기 밖의 공기도 자연스럽게 유입되게 한 액체용 용기용 쿨렁거림 방지용 관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체 용기 공간의 액체 내용물을 쿨렁거리지 않게 배출되어 편리하게 사용하는 액체 용기용 쿨렁거림 방지용 관이므로 모든 용기의 쿨렁거림 방지용 관으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범위를 넓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용기 내의 공간에 있는 액체를 용기 밖으로 토출시킬 때에 쿨렁거림을 방지하는 토출구에 삽입된 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쿨렁거림을 방지하는 토출구에 삽입된 관(200)은, 용기의 마개 공간부터 용기의 액체 보관 공간의 일부까지 마개 내의 내벽에 밀착되는 관(200)을 삽입하여 용기의 액체 보관 공간 일부까지 삽입된 관의 끝 부분(5와 6의 원통 단면)에 오리피스를 제공하고, 용기의 액체 보관 공간과 용기의 마개 공간과의 경계 입구(3과 4의 원통 단면)부근에 삽입된 관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오리피스를 제공한다.
용기의 액체 보관 공간의 액체를 토출 시킬 때에, 용기 밖의 공기가 삽입된 관으로 통하여 용기의 마개 공간과 용기내의 액체 보관 공간으로 유입되는 경로에서 용기의 액체 보관 공간과 용기의 마개 공간과의 경계 입구(3과 4의 원통 단면)부근에 삽입된 관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오리피스(201,202)중에서 지표면으로 보면 높은 쪽에 있는 오리피스에서 유입되거나, 삽입된 관의 끝에 있는 오리피스(203)에서 용기 내의 액체 보관 공간 안으로 유입되고, 용기 내의 액체 보관 공간의 액체는 삽입된 관 끝에 있는 오리피스(203)부근에서 유입되거나, 용기의 액체 보관 공간과 용기의 마개 공간과의 경계 입구(3과 4의 원통 단면)부근에 삽입된 관에 2개 이상의 오리피스(201,202)중에서 지표면으로 보면 낮은 쪽에 있는 오리피스에서 유입되어 두 방향의 오피리스에서 유입되는 액체가 합쳐져서 용기의 마개 공간을 지나 용기 밖의 공간으로 자연스럽게 토출되어 쿨렁거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3는 토출구 중심선으로 대칭인 용기에 쿨렁거림을 방지하는 토출구에 삽입된 관의 용기 단면도로서, 용기에 밀착된 토출구에 삽입된 관을 표시한 단면도이 다. 도3에서 토출구 중심선으로 대칭인 용기를 제시하였지만 토출구 중심선으로 비대칭인 용기도 마찬가지이기에 그림을 생략하였다.
도3와 같이 용기의 마개 공간(1,2,3,4의 원통형 공간)부터 용기의 액체 보관 공간의 일부까지 마개 내의 내벽에 밀착되는 관(200)을 삽입하여 용기의 액체 보관 공간 일부까지 삽입된 관의 끝 부분(5와 6의 원통 단면)에 오리피스를 제공하고, 용기의 액체 보관 공간과 용기의 마개 공간과의 경계 입구(3과 4의 원통 단면)부근에 삽입된 관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오리피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4은 나사형 마개로 된 토출구 중심선으로 비대칭인 용기에 쿨렁거림을 방지하는 토출구에 삽입된 관의 용기 단면도로서, 도2에 나사형 마개(300)를 부착되고 용기에 밀착된 토출구에 삽입된 관에 절취캡(400)을 더 설치하여 사용 전에 용기 내의 액체 보관을 철저히 할 수 있는 것으로 용기 내의 액체 종류 중의 식료품인 간장, 식초 등을 보관하는데 유용하도록 한 것이다. 사용 할 때에 절취캡(400)의 절취용 손잡이(402)를 잡아 댕기어 절취홈(403)따라 절취되어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나사형 마개로 된 토출구 중심선으로 대칭인 용기도 마찬가지이기에 생략하였다.
도5는 도 4의 분해 단면도로서 따로이 절취캡을 확대하여 보여 주고 있다.
도6는 원터치식 마개로 된 토출구 중심선으로 비대칭인 용기에 쿨렁거림을 방지하는 토출구에 삽입된 관의 용기 단면도로, 도3의 나사형 마개를 원터치식 마개로 설치한 것을 표시한 것이다. 나사형 마개는 개봉 시에 용기와 분리되지만, 원터치식 마개는 개봉 시에 용기와 부착되어 사용을 편리하게 한 것이다.
토출구에 삽입된 관(200)에 절취캡(400)를 설치하고 원터치용 마개(350)도 설치하여 하나로 되어 있는 것으로 용기의 토출 부위에 억지 끼워 넣어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원터치식 마개로 된 토출구 중심선으로 대칭인 용기도 마찬가지이기에 생략하였다.
도7은 토출구 중심선으로 비대칭인 용기의 토출상태 예시 단면도로서, 토출구 중심선으로 대칭인 용기의 토출상태보다 토출구 중심선으로 비대칭인 용기의 토출상태로 설명하면 이해가 쉽게 되어 비대칭인 용기로 설명한다.
용기(100) 내의 보관된 액체(11)를 토출구(1,2,3,4의 원통 부분)로 토출시킬 때에 용기는 지표면(500)에서 들어 올려 토출구의 방향을 지표면으로 향하게 하고 용기(100)를 토출구보다 높게 하여 용기안의 액체를 토출시키게 한다.
용기안의 액체가 처음으로 용기 밖으로 토출될 때에는 토출구(1,2,3,4의 원통 부분)부위의 있는 액체가 토출되는데 자유수면상태(개수로 상태)로 되어 자연스럽게 토출되는데, 토출구(1,2,3,4의 원통 부분)의 위부분인 토출구(1,3의 부위)에 용기 밖의 공기가 자연스럽게 유입되고 토출구(2,4의 부위)로 액체가 자연스럽게 토출된다.
그렇지만, 용기 내 보관 공간의 액체(11)가 토출구로 토출하려고 할 때에 자유수면상태(개수로 상태)로 되면 자연스럽게 토출될 수 있으나, 토출구(3,4의 부위)뒷면의 단면적 부위에서 용기 내 보관 공간의 액체로 인하여 폐쇄수면(관수로 상태)로 된다.
폐쇄수면(관수로 상태)으로 되면 용기 내 보관 공간의 공기압과 용기 밖의 공기압의 차이가 처음에는 같았으나, 토출구(1,2,3,4의 원통 부분)부위의 있는 액체가 토출된 후에 토출구(3,4의 부위)뒷면의 단면적(3,4의 단면적, 오리피스) 중심부위에서 토출될 액체의 표면장력과 단면적 중심부위의 액체의 토출속도(v=√2gH : g는 중력 가속도. H는 수심)와 토출부위의 단면적 크기에 의하여 작용되어 용기 내 보관 공간의 액체가 토출되면 토출된 액체 만큼 용기 내 보관 공간의 공기압이 용기 밖의 공기압보다 낮아져 토출구(3부위)에 용기 밖의 공기가 유입되어 용기 내 보관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13)되어 용기 내 보관 공간의 공기압과 용기 밖의 공기압과 같아지게 된다.
폐쇄수면(관수로 상태)상태인 토출구(3,4의 부위)뒷면의 단면적(3,4의 단면적, 오리피스)에서 액체가 반복적으로 토출되고 공기가 반복적으로 유입이 되어 액체의 토출 시 쿨렁거리게 된다. 기존의 용기들은 액체 토출 시 위와 같은 원리로 반드시 쿨렁거리게 된다. 토출구 중심선으로 대칭인 용기도 마찬가지이기에 도면 및 설명을 생략하였다.
도8은 토출구 중심선으로 비대칭인 용기에 쿨렁거림을 방지하는 토출구에 삽입된 관의 용기에서의 토출상태 예시 단면도로, 토출구 중심선으로 대칭인 용기의 토출상태보다 토출구 중심선으로 비대칭인 용기의 토출상태로 설명하면 이해가 쉽게 되어 비대칭인 용기로 설명한다.
용기(100) 내의 보관된 액체(11)를 토출구(1,2,3,4의 원통 부분)로 토출시킬 때에 용기는 지표면(500)에서 들어 올려 토출구의 방향을 지표면으로 향하게 하고 용기(100)를 토출구보다 높게 하여 용기안의 액체를 토출시키게 한다.
용기안의 액체가 처음으로 용기 밖으로 토출될 때에는 토출구(1,2,3,4의 원통 부분)부위의 있는 액체와 용기의 액체 보관 공간의 일부까지 삽입된 관(200)의 끝부분(3,4,5,6의 원통부분)까지의 액체가 토출되는데 자유수면상태(개수로 상태)로 되어 자연스럽게 토출되는데, 삽입된 관(1,2,3,4,5,6의 원통 부분)의 윗부분인 삽입된 관(1,3 및 3,5의 부위)에 용기 밖의 공기가 자연스럽게 유입(13)되고, 삽입된 관(2,4 및 4,6의 부위)로 액체가 자연스럽게 토출된다.
그렇지만, 용기 내 보관 공간의 액체(11)가 토출구로 토출하려고 할 때에 자유수면상태(개수로 상태)로 되면 자연스럽게 토출될 수 있으나, 삽입된 관(5,6의 부위)뒷면의 단면적 부위에서 용기 내 보관 공간의 액체로 인하여 폐쇄수면(관수로 상태)로 된다.
폐쇄수면(관수로 상태)으로 되면 용기 내 보관 공간의 공기압과 용기 밖의 공기압의 차이가 처음에는 같았으나, 삽입된 관(1,2,3,4,5,6의 원통 부분)부위의 있는 액체가 토출된 후에 삽입된 관(5,6의 부위)뒷면의 단면적(5,6의 단면적, 오리피스) 중심부위와 용기의 액체 보관 공간과 용기의 마개 공간과의 경계 입구(3과 4의 원통 단면)부근에 삽입된 관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오리피스를 설치한 곳에서 액체의 표면장력과 각기 오리피스의 단면적 중심부위의 액체의 토출속도(v=√2gH : g는 중력 가속도. H는 수심)와 토출부위의 단면적 크기에 의하여 작용되어 용기 내 보관 공간의 액체가 토출되면 토출된 액체만큼 용기 내 보관 공간의 공기압이 용기 밖의 공기압보다 낮아져 토출구에 구성된 여러 개의 오리피스(201∼202 및 203)로 용기 밖의 공기가 쿨렁거림 없이 유입되어 용기 내 보관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13) 되어 용기 내 보관 공간의 공기압과 용기 밖의 공기압과 같아지게 된다. 또한, 용기 내 보관 공간의 액체(11)는 삽입된 관의 여러 개의 오리피스(201∼202 및 203)로 분산적으로 토출되어 쿨렁거림 없이 토출된다. 삽입된 관의 끝부분에 있는 오리피스(203)에서 액체가 토출될 때에는 쿨렁거림이 있으나 흐르는 액체는 내려오는 동안 삽입된 관에 생성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오리피스(201∼202)에서 토출되는 액체에 의하여 쿨렁거림이 막아지고, 각기 오리피스에서 토출되는 액체들이 합하여 최종적으로 쿨렁거림 없이 흐르게 된다.
용기안의 액체가 어느 정도 용기 밖으로 토출되면 자유수면상태(개수로 상태)로 되는데, 삽입된 관의 뒷부분에 있는 오리피스(203)은 공기 유입 통로로 되고 그 외의 오리피스(201∼202)는 액체 토출 통로가 되어 원활하게 토출하게 된다. 토출구 중심선으로 대칭인 용기도 마찬가지이기에 도면 및 설명을 생략하였다.
도7과 도8를 비교하여 보면, 자유수면상태(개수로 상태)로 흐를 수 있는 공간이 도7에서는 일반 용기의 토출구는 1,2,3,4의 원통구간 부피이고, 도7에서는 본 발명의 삽입된 관이 있는 토출구는 1,2,3,4,5,6의 원통구간 부피이다. 삽입된 관이 있는 토출구는 자유수면상태(개수로 상태)로 흐를 수 있는 공간이 일반 용기의 토출구보다 3,4,5,6의 원통구간 부피만큼 많아 개수로 상태가 길게 되어 쿨렁거림을 완화 하게 된다.
또한,수심에 의하여 액체의 토출 속도 및 공기 유입 속도를 나타나는데, 일반용기의 예시도인 도7에서의 수심은 용기 안의 액체의 수평면(7,8)에서 토출구의 윗 부분(3)에 수직이고, 본 발명의 삽입된 관의 예시도인 도8에서의 수심은 용기 안의 액체의 수평면(7,8)에서 토출구의 윗 부분(3) 및 삽입된 관의 윗부분(5)에 수직이다. 따라서 삽입된 관은 수심이 두 곳으로 나누어지는데, 한 곳은 일반 용기와 수심이 같아 토출속도 및 공기 유입 속도가 같지만, 다른 한 곳이 수심이 낮아 공기 유입 속도를 높게 되어 쿨렁거림을 막아 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쿨렁거림을 방지하는 토출구에 삽입된 관에 나사형 마개나 삽입하는 원터치형 마개를 결합하거나, 마개의 재질에 따라 탄력성을 이용한 힌지를 사용하도록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은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 : 토출구 중심선으로 보면 대칭인 용기 단면도
도 2 : 토출구 중심선으로 보면 비대칭인 용기 단면도
도 3 : 대칭인 용기에 쿨렁거림을 방지하는 토출구에 삽입된 관의 용기 단면도
도 4 : 나사형 마개로 된 비대칭인 용기에 쿨렁거림을 방지하는 토출구에 삽입된 관의 용기 단면도
도 5 : 도 3의 분해 단면도
도 6 : 원터치식 마개로 된 비대칭인 용기에 쿨렁거림을 방지하는 토출구에 삽입된 관의 용기 단면도
도 7 : 비대칭인 용기의 토출상태 예시 단면도
도 8 : 비대칭인 용기에 쿨렁거림을 방지하는 토출구에 삽입된 관의 용기에서의 토출상태 예시 단면도
부호의 설명
1, 2 : 용기의 마개 공간의 원통 및 삽입된 관의 상부 부분
3, 4 : 용기의 마개 공간의 원통 하부 부분 및 삽입된 관의 일부분
5, 6 : 쿨렁거림을 방지하는 토출구에 삽입된 관의 원통 하부 부분
7, 8 : 토출시 용기 안의 액체 수면 표시
10 : 토출시 용기 안의 공기 공간
11 : 토출시 용기안의 액체 공간
12 : 토출된 액체
13 : 토출시 용기 안으로 유입되는 공기
100 : 용기(대칭 용기 및 비대칭 용기 포함) 101 : 손잡이
200 : 쿨렁거림을 방지하는 토출구에 삽입된 관
201, 202 : 삽입된 관에 설치된 오리피스
203 : 삽입된 관의 하부에 있는 오리피스
300 : 나사형 마개
350 : 원터치식 마개
400 : 속마개 (절취캡)
401 : 속마개 바닥면
402 : 절취용 손잡이
403 : 절취홈

Claims (2)

  1. 쿨렁거림을 방지하는 토출구에 삽입된 관(200)으로서,
    용기의 마개 공간부터 용기의 액체 보관 공간의 일부까지 용기의 마개 공간 내벽(1,2,3,4의 원통 부분)에 밀착된 관(200);
    및 용기의 액체 보관 공간의 일부까지 삽입된 관(200)의 끝 부분(5와 6의 원통 밑 부분)에 오리피스(203);
    삽입된 관(200)의 용기의 액체 보관 공간과 용기의 마개 공간과의 경계 입구(3과 4의 원통 단면)에서 적어도 2개 이상의 오리피스(201,2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렁거림을 방지하는 토출구에 삽입된 관
  2. 제1항에 있어서,
    쿨렁거림을 방지하는 토출구에 삽입된 관(200)의 상층 부위인 용기의 마개 공간 쪽에 설치된 절취캡(400);
    절취용 손잡이(402);
    및 절취홈(4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렁거림을 방지하는 토출구에 삽입된 관
KR1020120080580A 2012-07-23 2012-07-23 액체용기 토출구에 삽입된 쿨렁거림 방지용 관 KR101361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580A KR101361890B1 (ko) 2012-07-23 2012-07-23 액체용기 토출구에 삽입된 쿨렁거림 방지용 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580A KR101361890B1 (ko) 2012-07-23 2012-07-23 액체용기 토출구에 삽입된 쿨렁거림 방지용 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2877A true KR20140012877A (ko) 2014-02-04
KR101361890B1 KR101361890B1 (ko) 2014-02-12

Family

ID=50263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0580A KR101361890B1 (ko) 2012-07-23 2012-07-23 액체용기 토출구에 삽입된 쿨렁거림 방지용 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1890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9351A (ja) * 2005-10-05 2007-04-19 Otsuka Shokuhin Kk 注出具、これを備えた注出具収納体、容器、及び注出具の取付方法
KR20090125397A (ko) * 2008-06-02 2009-12-07 서승우 액체용기의 마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1890B1 (ko) 201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6777B2 (en) Bottle cap
CN101238036B (zh) 液体容器
US9486754B2 (en) Wine and liquor aerator fitment
EP1451076B1 (en) Vented fluid closure and container
JP2021100868A (ja) キャップ及び容器
WO2014044885A1 (es) Dispositivo para verter liquido contenido en un envase
ES2317559T3 (es) Cierre giratorio que puede volver a cerrarse.
KR101361890B1 (ko) 액체용기 토출구에 삽입된 쿨렁거림 방지용 관
US20020074366A1 (en) Vented fluid container closure
JP5134482B2 (ja) 脈動防止具付きペットボトル
KR100846267B1 (ko) 액체용기의 꿀럭거림방지 주입구캡
KR20150144675A (ko) 액체용기 토출 공간에 삽입된 쿨렁거림 방지용 용기 부속품
US1676711A (en) Can
JP2012012070A (ja) 容器の注出キャップ
KR20160014093A (ko) 액체용기 토출 공간에 삽입된 쿨렁거림 방지용 용기 부속품
KR850000341A (ko) 제어된 속도로 액체를 방출시키기 위한 용기
JP2011255925A (ja) ヒンジキャップ
KR20160000819U (ko) 액체용기 토출 공간에 삽입된 쿨렁거림 방지용 용기 부속품
JPH02501298A (ja) 液体用容器
JP5470119B2 (ja) 注出キャップ
JP2010006448A (ja) 注出キャップ
JP5605625B2 (ja) スクイズ容器
KR20020026069A (ko)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
JP2003026297A (ja) 注ぎ口部材及び容器
KR200280924Y1 (ko) 공기유입구가 있는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