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4093A - 액체용기 토출 공간에 삽입된 쿨렁거림 방지용 용기 부속품 - Google Patents

액체용기 토출 공간에 삽입된 쿨렁거림 방지용 용기 부속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4093A
KR20160014093A KR1020160008733A KR20160008733A KR20160014093A KR 20160014093 A KR20160014093 A KR 20160014093A KR 1020160008733 A KR1020160008733 A KR 1020160008733A KR 20160008733 A KR20160008733 A KR 20160008733A KR 20160014093 A KR20160014093 A KR 20160014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quid
discharge
space
orif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8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명순
Original Assignee
임명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명순 filed Critical 임명순
Priority to KR1020160008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4093A/ko
Publication of KR20160014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40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65D25/42Integral or attached 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내의 공간에 있는 액체를 용기 밖으로 토출시킬 때에 쿨링거림을 방지하고 용기의 토출자세가 다르더라도 토출량이 일정하게 토출되는 토출 공간에 삽입된 용기 부속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토출 공간의 폭 크기로 이루어 진 삽입된 용기 부속품(600)으로, 용기 내의 액체 저장 공간 쪽 부분(10, 20, 30, 50,의 면)인 용기 부속품의 바닥면에 두 개의 오리피스를 제공하는데, 용기 안의 액체를 토출시킬 때에 용기의 토출 자세에 의해 두 개의 오리피스 중에 항시 아래 쪽에 있는 오리피스(10, 20, 30내의 면)와 위 쪽에 있는 오리피스(40,의 면)를 제공한다.
용기 내의 액체 보관 공간에서 용기 밖으로 액체를 토출 시킬 때에, 용기 밖의 공기는 삽입된 용기 부속품(600)의 두 개의 오리피스 중에 용기의 토출 자세에 의해 항시 위 쪽에 있는 오리피스(40,의 면)를 통하여 용기내의 액체 보관 공간으로 유입되고, 용기의 액체 보관 공간의 액체는 삽입된 용기 부속품(600)의 두 개의 오리피스 중에 용기의 토출 자세에 의해 항시 아래 쪽에 있는 오리피스(10, 20, 30내의 면)에서 토출되어 용기 밖의 공간으로 자연스럽게 토출되어 쿨렁거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색인어]
액체 용기, 쿨렁거림, 공기, 오리피스, 토출공간,

Description

액체용기 토출 공간에 삽입된 쿨렁거림 방지용 용기 부속품{omitted}
본 발명은 용기 내의 액체를 용기 밖으로 토출 시 쿨렁거림을 방지하고 용기의 토출자세가 다르더라도 토출량이 일정하게 토출되기 위한 용기 부속품에 관한 것으로서, 액체를 보관하는 모든 용기를 포함하여, 토출 공간 중심선으로 보면, 토출 공간 중심선 대칭형 용기 및 토출 공간 중심선 비대칭형 용기 등의 쿨렁거림을 방지하는 용기 부속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용기내의 액체를 토출시 쿨렁거림을 방지하기 위한 용기 부속품에 관한 것으로, 용기 공간에 있는 액체 내용물을 토출 시 쿨렁거리지 않고 토출되고 용기의 토출자세가 다르더라도 토출량이 일정하게 되어어 편리하게 사용하는 쿨렁거림 방지용 용기 부속품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용기를 구분하면, 용기내의 액체 저장 공간(도 3의 마,바,사,아,의 공간), 용기내의 토출 공간(도 3의 가,나,다,라,의 공간), 용기 밖의 공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 3은 토출 공간 중심선으로 보면 쿨렁거림 방지용 용기 부속품이 삽입된 모양의 비대칭인 용기이며, 토출 공간 중심선으로 보면 대칭형 용기는 표시하지 않았다. 모두 용기내의 액체 저장 공간(도 3의 마,바,사,아,의 공간)이 있어 액체를 저장하고, 용기내의 토출 공간(도 3의 가,나,다,라,의 공간)이 있어 용기 내의 액체가 토출하기 위해 유출되는 통로가 되고, 용기 밖의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가 된다.
용기 내의 토출 공간은 용기 내의 액체가 토출하기 위해 유출되는 통로와 용기 밖의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가 한곳에서 일어나게 되어 용기 내의 액체가 용기 밖으로 원활하게 토출되기 위해서는 용기 내의 토출 공간에서 액체의 토출과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게 되어야 한다.
대부분의 용기는 용기 내의 토출 공간에서 액체의 토출과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지 못하는 것은 용기 밖의 공기가, 용기 내의 토출 공간에서 토출할 액체에 의하여 막힘 현상이 생기어 용기 내의 빈 공간까지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지 못하여 용기 밖의 공기압과 용기 내의 빈공간의 공기압의 차이를 없애기 위하여 액체가 토출될 때에 쿨렁거리면서 토출된다.
이에 용기 내의 토출 공간에서 액체 토출과 공기의 유입을 토출 공간 한 곳에서 이루어지지 않고, 용기 내의 토출 공간 외 다른 곳에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거나(공기흡입구, 공고번호 실1989-0002460), 용기 내의 토출 공간을 액체 토출구과 공기 유입구를 분리하여 용기 밖의 공기를 유입하도록 한 방법(통기공을 갖은 병, 등록번호 20-0235163, 공기유입구와 토출구가 일체로 구획 형성된 액체수납용기의 토출부, 특 1998-072999, 액체수납용기의 공기유입구조, 실1998-059609, 공기흡입수단을 별도로 구비하는 음료배출기, 공개번호 10-2012-0028471, 병 주둥이에 끼움하여 사용하는 통기구, 실1996-010990, 액체용기의 토출구, 등록번호 20-0179945)등이 있다. 이러한 발명이나 고안은 용기의 제작의 어려움과 사용 불편에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액체 용기 공간의 액체 내용물을 쿨렁거리지 않게 토출되고 용기의 토출자세가 다르더라도 토출량이 일정하게 토출되어 편리하게 사용하는 쿨렁거림 방지용 용기 부속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용기 내의 토출 공간에서 액체 토출와 공기 유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용기 내의 토출 공간에 액체 토출의 오리피스와 공기 유입의 오리피스를 형성되게 하여 쿨렁거림 방지용 용기 부속품을 용기 내의 토출 공간에 삽입하여 설치한다.
용기 내의 액체 보관 공간 내의 액체가 용기의 토출 공간에서 아무 간섭을 받지 않고 용기 밖으로 토출되는 것이 아니고, 용기의 액체 보관 공간 내의 액체가 용기의 토출 공간으로 이동할 때에 쿨렁거림 방지용 용기 부속품의 오리피스에 의하여 간섭을 받게 된다.
쿨렁거림 방지용 용기 부속품의 오리피스에 의하여 간섭 받아 용기의 토출공간에서는 액체의 토출과 공기의 유입이 자연스럽게 되어 토출될 액체는 쿨렁거림 없이 토출되고 용기 밖의 공기도 자연스럽게 유입되게 한 액체용 용기용 쿨렁거림 방지용 용기 부속품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체 용기 공간의 액체 내용물을 쿨렁거리지 않게 배출되고 용기의 토출자세가 다르더라도 토출량이 일정하게 토출되어 편리하게 사용하는 쿨렁거림 방지용 용기 부속품이므로 모든 용기의 쿨렁거림 방지용 용기 부속품으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범위를 넓일 수 있다.
도 1 : 열린 공간의 용기에서 오리피스가 있을 때의 액체의 토출 모양의 예시 단면도.
도 2 : 밀페 공간의 용기에서 오리피스가 있을 때의 액체의 토출 모양의 예시 단면도.
도 3 : 비대칭인 용기에 쿨렁거림을 방지하는 토출 공간에 삽입된 용기 부속품의 용기 단면도.
도 4 : 용기에 쿨렁거림을 방지하는 토출 공간에 삽입된 용기 부속품(600)의 용기 단면도 및 부속품의 입면도(700), 부속품의 투시도(800).
도 5 : 용기에 쿨렁거림을 방지하는 토출 공간 폭보다 큰 부속품으로 삽입된 용기 부속품(601)의 용기 단면도 및 부속품의 입면도(701), 부속품의 투시도(801).
도 6 : 용기에 쿨렁거림을 방지하는 토출 공간에 삽입된 용기 부속품(900)의 용기 단면도 및 부속품의 입면도(1000), 부속품의 투시도(1100).
도 7 : 용기에 쿨렁거림을 방지하는 토출 공간에 삽입된 용기 부속품(600)의 용기를 예각의 상태의 자세로 액체 토출상태 예시 단면도
도 8 : 용기에 쿨렁거림을 방지하는 토출 공간에 삽입된 용기 부속품(600)의 용기를 둔각의 상태의 자세로 액체 토출상태 예시 단면도
부호의 설명
1, 2 : 용기내의 액체 수면
3, 4 : 예시 용기의 지면에 가까운 오리피스
5, 6 : 예시 용기의 지면에 3,4 오리피스보다 높이 있는 오리피스
가,나,다,라, : 토출 공간
마,바,사,아, : 용기 액체 보관 공간
10,20,30, : 부속품 중의 액체 토출용 오리피스
40 : 부속품 중의 공기 유입용 오리피스
60 : 부속품 중의 액체 토출용 오리피스 절취캡
70 : 부속품 중의 공기 유입용 오리피스 절취캡
30,80,90, : 토출공간 폭보다 큰 부속품 중의 액체 토출용 오리피스
100 : 지표면
200 : 예시한 열린 공간 용기
300 : 예시한 밀폐 공간 용기
400 : 토츌된 액체 담는 그릇
500 : 일반 용기
600, 601 : 삽입된 쿨렁거림 방지용 용기 부속품의 단면도
700, 701 : 삽입된 쿨렁거림 방지용 용기 부속품의 입면도
800, 801 : 삽입된 쿨렁거림 방지용 용기 부속품의 투시도
900 : 절취캡이 있는삽입된 쿨렁거림 방지용 용기 부속품의 단면도
1000 : 절취캡이 있는삽입된 쿨렁거림 방지용 용기 부속품의 입면도
1100 : 절취캡이 있는삽입된 쿨렁거림 방지용 용기 부속품의 투시도
본 발명은, 용기 내의 공간에 있는 액체를 용기 밖으로 토출시킬 때에 쿨렁거림을 방지하고 용기의 토출자세가 다르더라도 토출량이 일정하게 토출되기 위하여 토출 공간에 삽입된 용기 부속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쿨렁거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토출 공간에 삽입된 부속품(600)은, 용기의 토출 공간에 삽입된 용기 부속품(600)은, 용기 내의 액체 저장 공간 쪽 부분(10, 20, 30 ,50,의 면)인 바닥면에 두 개의 오리피스를 제공하는데, 용기 안의 액체를 토출 시킬 때에 용기의 토출 자세에 의해 항시 아래 쪽에 있는 오리피스(10, 20, 30내의 면)를 제공하여 액체의 토출을 원활하게 하고, 용기 안의 액체를 토출 시킬 때에 용기의 토출 자세에 의해 항시 위쪽에 있는 오리피스(40,의 면)를 제공하여 용기 내로 공기 유입을 원활하게 한다.
용기의 액체 보관 공간의 액체를 토출 시킬 때에, 용기 밖의 공기는, 토출 시킬 때에 용기의 토출 자세에 의해 항시 위쪽에 있는 오리피스(40,의 면)으로 통하여 유입되고, 용기 내의 액체는 삽입된 용기 부속품(600) 내의 오리피스 중에 용기의 토출 자세에 의해 항시 아래 쪽에 있는 오리피스(10, 20, 30내의 면)으로 토출된다. 용기의 토출 공간에서 공기 유입과 액체의 토출이 자연스럽게 일어나게 되어 쿨렁거림을 방지하고 용기의 토출자세가 다르더라도 토출량이 일정하게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3은 토출 공간 중심선으로 비대칭인 용기에 쿨렁거림을 방지하는 토출공간에 삽입된 용기 부속품의 용기 단면도로서, 용기에 밀착된 토출 공간에 삽입된 용기 부속품을 표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서 토출 공간의 중심선으로 비대칭인 용기를 제시하였지만, 토출 공간 중심선으로 대칭인 용기도 마찬가지이기에 그림을 생략하였다.
도3, 도4와 같이 용기(500)의 토출 공간(도3의 가,나,다.라,의 원통형 공간) 내벽에 밀착되는 용기 부속품(600)을 삽입한다. 용기 내의 액체 보관 공간에서 용기 밖으로 액체를 토출 시킬 때에, 용기 밖의 공기는 삽입된 용기 부속품(600)의 두 개의 오리피스 중에 용기의 토출 자세에 의해 항시 위 쪽에 있는 오리피스(40,의 면)를 통하여 용기내의 액체 보관 공간으로 유입되고, 용기의 액체 보관 공간의 액체는 삽입된 용기 부속품(600)의 두 개의 오리피스 중에 용기의 토출 자세에 의해 항시 아래 쪽에 있는 오리피스(10, 20, 30내의 면)에서 토출되어 용기 밖의 공간으로 자연스럽게 토출되는 오리피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4는 토출 공간 중심선으로 비대칭인 용기에 쿨렁거림을 방지하는 토출 공간에 삽입된 용기 부속품(600)의 용기 단면도 및 부속품의 입면도(700), 부속품의 투시도(800)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3의 용기 단면도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도면이라 할 수 있다. 용기 내의 액체 저장 공간 쪽 부분(10, 20, 30, 50,의 면)인 용기 부속품의 바닥면에 두 개의 오리피스를 제공하는데, 용기 안의 액체를 토출시킬 때에 용기의 토출 자세에 의해 두 개의 오리피스 중에 항시 아래 쪽에 있는 오리피스(10, 20, 30내의 면)는 액체 토출의 오리피스가 되고, 위 쪽에 있는 오리피스(40,의 면)는 공기 유입의 오리피스가 된다.
도5는 토출 공간 중심선으로 비대칭인 용기에 쿨렁거림을 방지하는 토출 공간에 삽입된 용기 부속품(900)의 용기 단면도 및 부속품의 입면도(1000), 부속품의 투시도(1100)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4에 용기에 밀착된 토출 공간에 삽입된 부속품(600)에 절취캡을 더 설치하여 사용 전에 용기 내의 액체 보관을 철저히 할 수 있는 것으로 용기 내의 액체 종류 중의 식료품인 간장, 식초 등을 보관하는 데 유용하도록 한 것으로, 도5에서는 도4의 부속품(600)과 같이, 부속품(900)의 두 개에 오리피스가 있어 두 개의 오리피스에 설치 된 절취캡(60, 70) 및 절취용 손잡이를 제공하여 절취용 손잡이를 잡아 댕기어 절취홈에 따라 절취되도록 한 것이다. 다른 용기도 마찬가지의 원리이기 때문에 생략하였다.
도1은 열린 공간의 용기에서 오리피스가 있을 때의 액체의 토출 모양의 예시 단면도이다. 열린 공간의 용기에서는 예시도와 같이 두 곳에 오리피스(3,4,의 오리피스 및 5,6,의 오리피스)가 있을 때에, 수면(1,2의 면)에서 수심이 깊은 오리피스(3,4의 오리피스)에서 액체가 크게 토출되고, 수면(1,2의 면)에서 상대적으로 수심이 낮은 오리피스(5,6,의 오리피스)에서는 수심이 깊은 오리피스에서 토출되는 액체보다 작게 토출된다.
이는 액체의 토출 속도는
Figure pat00001
( g는 중력 가속도. H는 수심)의 식으로 계산되므로 수심의 차이에 따라 토출 속도의 차이가 나서 도1과 같이 액체의 토출 모양을 나타난다.
도2는 밀폐 공간의 용기에서 오리피스가 있을 때의 액체 토출 모양의 예시 단면도이다. 밀폐 공간의 용기에서는 예시도와 같이 두 곳에 오리피스(3,4,의 오리피스 및 5,6,의 오리피스)가 있을 때에, 수면(1,2의 면)에서 수심이 깊은 오리피스(3,4의 오리피스)에서 액체가 토출되며, 수면(1,2의 면)에서 상대적으로 수심이 낮은 오리피스(5,6,의 오리피스)에서는 액체가 토출되는 것이 아니고, 용기 밖의 공기가 밀폐된 용기로 유입되고 있다.
이는 수심이 깊은 오리피스(3,4의 오리피스)에서 보면, 수면(1,2의 면)위에 있는 공기는 용기가 밀폐되었기 때문에 액체의 토출로 대기압보다 낮아지고, 수면(1,2의 면)에서 수심이 낮은 오리피스(5,6,의 오리피스)에서는 용기 밖의 공기와 자연 연결이 되어 변함없는 대기압이다. 밀폐된 용기 내의 수면 위의 공기는 대기압보다 낮고, 수심이 낮은 오리피스(5,6,의 오리피스)의 공기압은 대기압이므로, 공기의 이동은 공기압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되는데, 공기압의 차이에 의해 수심이 낮은 오리피스(5,6,의 오리피스)에서 공기가 유입될 수 밖에 없다.
이때의 액체의 토출 속도는 역시
Figure pat00002
( g는 중력 가속도. H는 수심)의 식으로 계산되나, 수심은 수면(1,2)에서부터 아래쪽 오리피스(3,4의 오리피스)까지의 깊이로 수심을 계산되지 않고, 아래쪽 오리피스(3,4의 오리피스)와 위쪽 오리피스(5,6,의 오리피스)사이의 거리를 수심으로 계산되므로, 토출속도가 크지 못하여 도1과 같이 토출되지 못하고 도2와 같이 액체의 토출 모양을 나타난다.
도7은 토출 공간에 쿨렁거림을 방지하는 용기 부속품을 삽입된 용기에서, 용기를 예각의 상태의 자세로 액체 토출상태 예시 단면도이다.
도8은 토출 공간에 쿨렁거림을 방지하는 용기 부속품을 삽입된 용기에서, 용기를 둔각의 상태의 자세로 액체 토출상태 예시 단면도이다.
도7, 도8은 용기 토출 시 용기의 토출 자세에 따라 토출의 상태를 예시 한 것인데, 토출속도는 수심의 차이에 영향을 크게 받고 토출량은 아래쪽 오리피스 단면적 크기와 토출속도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일반 용기에서는 용기의 토출 자세에 따라 수심이 심하게 변하기 때문에 토출 속도가 변화가 심하게 되어 토출 량을 조절하기가 어렵지만, 도2에서 예시한 것과 같이 밀폐 공간에서의 오리피스에서는 두 오리피스의 간격에 의한 거리, 즉 아래쪽 오리피스와 위쪽 오리피스의 거리에 의해 토출속도가 정하여 지므로, 용기의 토출 자세인 예각 및 둔각의 자세에도 두 오리피스의 간격인 거리가 거의 차이가 없어 용기의 토출 속도는 변함이 없어 토출속도와 토출량이 거의 일정하게 된다.
액체가 토출되는 아래쪽 오리피스는 용기의 토출 자세에서 항상 지표면을 향하게 되며, 아래쪽 오리피스와 위쪽 오리피스의 거리에 의해 토출속도가 일정하게 되더라도, 토출 량은 토출속도×아래쪽 오리피스의 단면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아래쪽 오리피스의 단면적(10,20,30,의 면)을 넓게 하면 토출량을 많게 할 수 있다.
공기가 유입되는 위쪽 오리피스(40,의 면)은 용기 내의 액체 자체의 표면장력 및 점도에 따라 공기 유입의 량이 차이가 있으나 토출되는 아래쪽 오리피스 단면적보다는 위쪽 오리피스는 작은 단면적으로도 충분히 공기가 유입된다.
*공기 유입이나, 액체 토출은 두 개의 오리피스에서 일어나는데, 액체 저장 공간이나 토출 공간에서 자연스럽게 공기 유입이나, 액체 토출에 방해되는 부위가 있게 되면 원활하게 공기 유입이나 액체 토출되지 않게 되므로, 도5와 같이 토출 공간에 삽입된 용기 부속품(601)의 바닥면 쪽으로 토출 공간 폭 크기보다 크게 하여 토출에 방해되는 요소를 제거한다. 이때 바닥면의 아래쪽 오리피스는 반드시 토출 공간과 액체 저장공간의 경계에 일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용기 내의 액체를 완전히 토출되도록 한다.
도5와 같이, 단위 시간에 토출 량을 많게 하기 위해서는, 아래쪽 오리피스의 단면적을 넓게 하여야 하는데, 아래쪽 오리피스의 단면적을 넓게 할 수 없을 때에 토출 공간에 삽입된 용기 부속품(601)바닥면 쪽으로 토출 공간 폭 크기보다 크게 하여 단면적을 넓게 한다. 이때 바닥면의 아래쪽 오리피스(30, 80, 90,의 공간)는 반드시 토출 공간과 액체 저장 공간의 경계에 오리피스 일부(10, 20, 30,의 공간에서 30, 부분이 토출 공간과 액체 저장 공간의 경계에 있어야 함)가 형성되도록 하여 용기 내의 액체를 완전히 토출되도록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쿨렁거림을 방지하고 용기의 토출자세가 다르더라도 토출량이 일정하게 토출되는 토출 공간에 삽입된 용기 부속품에 나사형 마개나 삽입하는 원터치형 마개를 결합하거나, 마개의 재질에 따라 탄력성을 이용한 힌지를 사용하도록 제공하는 것은 당연하다. 마개에 대한 설명은 일반적이라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은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Claims (3)

  1. 쿨렁거림을 방지하고 용기의 토출자세가 다르더라도 토출량이 일정하게 토출되는 토출 공간에 삽입된 용기 부속품(600)으로서,
    용기의 토출 공간의 내벽(가,나,다,라의 원통 부분)에 밀착된 용기 부속품(600); 및
    상기 용기 부속품의 바닥면에 구비되며, 용기 안의 액체를 토출시킬 때에 항시 아래쪽에 있는 토출용 오리피스(10, 20, 30내의 면)와 용기 안의 액체를 토출시킬 때에 항시 위쪽에 있는 공기 유입용 오리피스(40의 면);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용 오리피스(10,20,30내의 면)와 상기 유입용 오리피스(40의 면)는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렁거림을 방지하는 토출 공간에 삽입된 용기 부속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용 오리피스와 상기 유입용 오리피스를 구분하는 중심선이 상기 용기 부속품의 깊이 방향으로 판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쿨렁거림을 방지하는 토출 공간에 삽입된 용기 부속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용 오리피스 또는 상기 유입용 오리피스에 설치된 절취캡(900);
    상기 절취캡에 연결되는 절취용 손잡이(60, 70); 및
    상기 절취캡이 제거되면 상기 토출용 오리피스 또는 상기 유입용 오리피스에 드러나는 절취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렁거림을 방지하는 토출 공간에 삽입된 용기 부속품.
KR1020160008733A 2016-01-25 2016-01-25 액체용기 토출 공간에 삽입된 쿨렁거림 방지용 용기 부속품 KR201600140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733A KR20160014093A (ko) 2016-01-25 2016-01-25 액체용기 토출 공간에 삽입된 쿨렁거림 방지용 용기 부속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733A KR20160014093A (ko) 2016-01-25 2016-01-25 액체용기 토출 공간에 삽입된 쿨렁거림 방지용 용기 부속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4972A Division KR20150144675A (ko) 2014-06-17 2014-06-17 액체용기 토출 공간에 삽입된 쿨렁거림 방지용 용기 부속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4093A true KR20160014093A (ko) 2016-02-05

Family

ID=55353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8733A KR20160014093A (ko) 2016-01-25 2016-01-25 액체용기 토출 공간에 삽입된 쿨렁거림 방지용 용기 부속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409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38036B (zh) 液体容器
CN108290662A (zh) 重力流式过滤器组件
US7549299B2 (en) Water reservoir for a refrigerator
KR20160014093A (ko) 액체용기 토출 공간에 삽입된 쿨렁거림 방지용 용기 부속품
KR20150144675A (ko) 액체용기 토출 공간에 삽입된 쿨렁거림 방지용 용기 부속품
ES2902177T3 (es) Botella de vertido controlado
KR20160000819U (ko) 액체용기 토출 공간에 삽입된 쿨렁거림 방지용 용기 부속품
JPH072500B2 (ja) 液体容器
JP6639241B2 (ja) 飲料容器の蓋体
KR200419676Y1 (ko) 액상 식품용 용기 뚜껑
US1676711A (en) Can
KR101361890B1 (ko) 액체용기 토출구에 삽입된 쿨렁거림 방지용 관
JP5191703B2 (ja) 容器の注出キャップ
JP2019006475A (ja) 液体注出用の部材及び容器
KR200383387Y1 (ko) 격벽에 의한 배출로를 갖는 음료용 팩
JP2012012070A (ja) 容器の注出キャップ
JP2004026230A (ja) 液体排出補助具及び容器
JP2000118552A (ja) 液体注ぎ容器
KR200397038Y1 (ko) 공기유입통로를 갖는 음료용기
US20180164014A1 (en) Ice-making apparatus with anti-contamination structure
JP6436746B2 (ja) 泡吐出可能な容器
KR200280924Y1 (ko) 공기유입구가 있는 용기
KR20020026069A (ko)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
JP3113185U (ja) 容器
JP7249626B2 (ja) 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