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2372A - 테이블용 수납 박스 구조 - Google Patents

테이블용 수납 박스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2372A
KR20140012372A KR1020120079053A KR20120079053A KR20140012372A KR 20140012372 A KR20140012372 A KR 20140012372A KR 1020120079053 A KR1020120079053 A KR 1020120079053A KR 20120079053 A KR20120079053 A KR 20120079053A KR 20140012372 A KR20140012372 A KR 20140012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cover
storage box
locker
wal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9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비스
Priority to KR1020120079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2372A/ko
Publication of KR20140012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23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16Holders for glasses, ashtrays, lamps, candles or the like forming part of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6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characterised by means for holding, fastening or concealing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Tables or desks having means for applying 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블용 수납 박스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테이블용 수납 박스 구조의 구성은 테이블의 상판(4)을 지지하는 프레임(10)에 지지되어 상기 상판(4)의 하부 위치에 배치되는 수납 박스(110)와; 상기 수납 박스(110)의 상부측 개구부를 닫은 상태로 유지하면서 동시에 상기 수납 박스(110)의 상기 개구부측에서 한쪽 방향과 다른 쪽 방향으로 회동 개폐 작동되는 커버(120)와; 상기 테이블의 상기 프레임(10)과 상기 커버(120)의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120)에 의해 상기 수납 박스(110)의 상부측 개구부를 닫은 상태로 유지하는 커버 록킹 지지체(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테이블용 수납 박스 구조{Table container box structure}
본 발명은 테이블용 수납 박스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테이블에 전선이나 멀티탭과 같은 여러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기능을 가지면서 테이블에 사람이 마주보고 앉게 되는 경우에는 한쪽 위치에 앉은 사람과 다른 쪽 위치에 앉은 사람이 원하는 때에는 언제든지 편리하게 커버를 열어줄 수 있으므로, 사용성 등에서 우수하며, 수납 박스의 커버를 닫은 상태에서는 커버가 임의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 이탈 방지 구조를 구현한 새로운 테이블용 수납 박스 구조에 관한 것이다.
사무실과 같이 여러 사람이 함께 업무를 보는 장소에는 테이블이 설치되어, 여러 사람이 함께 앉아서 업무를 보거나 회의를 하는 등의 작업을 하게 된다. 이때, 사무용 테이블은 컴퓨터, 전화기와 같은 사무기기 등을 상부에 올려놓고 여러 필요한 사무를 볼 수 있도록 제작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제작되는 사무용 테이블은 사무를 보는 단순한 기능만을 생각하고, 상판에 올려지는 컴퓨터와 같은 사무기기에 연결되고 남은 전기배선의 정리 및 처리를 위한 것은 제작시에 고려하지 않게 되므로 테이블 외부로 노출된 전기배선의 가지런한 정리를 이루지 못하여 사용 및 취급이 불편하고, 외부로 노출된 전기배선이 사용자의 취급 부주의로 훼손되어 전기 누전 및 화재발생 등의 원인이 될 수도 있으며, 외부로 노출된 전선의 불량한 정돈 상태로 인한 외관적으로 지저분해 보이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테이블의 상판 부분에 후방에서 측면판에 고정설치되는 전선처리용 덕트프레임에 전선배선과 보관 및 정리를 위한 여러 형태의 수납부를 마련하여 테이블에서 사용되는 전선의 정리 및 보관과 관리, 여러 전기 전자 기기의 플러그를 꼽아서 사용하는 멀티캡의 보관과 관리 등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수행하여 테이블의 효율적인 사용이 이루어지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상기와 같은 전선이나 멀티탭의 수납에 더하여 필요시 수납 박스를 개폐하는 커버를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개방하고 닫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성에서도 우수한 기능을 발휘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테이블에 전선이나 멀티탭과 같은 여러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기능을 가지면서 테이블에 사람이 마주보고 앉게 되는 경우에는 한쪽 위치에 앉은 사람과 다른 쪽 위치에 앉은 사람이 원하는 때에는 언제든지 편리하게 커버를 열어줄 수 있으므로, 사용성 등에서 우수한 새로운 테이블용 수납 박스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납 박스의 커버를 닫은 상태에서 테이블 착석자가 편리한 위치에 커버를 열어 줄 수 있는 한편, 커버가 수납 박스를 닫은 상태가 되면 임의로 커버가 열려버리는 경우를 방지하는 수납 박스의 커버 이탈 방지 구조를 구현하며, 이러한 커버의 이탈 방지 구조는 비교적 심플하게 구현한 새로운 개념의 테이블용 수납 박스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테이블의 상판(4)을 지지하는 프레임(10)에 지지되어 상기 상판(4)의 하부 위치에 배치되는 수납 박스(110)와; 상기 수납 박스(110)의 상부측 개구부를 닫은 상태로 유지하면서 동시에 상기 수납 박스(110)의 상기 개구부측에서 한쪽 방향과 다른 쪽 방향으로 회동 개폐 작동되는 커버(120)와; 상기 테이블의 상기 프레임(10)과 상기 커버(120)의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120)에 의해 상기 수납 박스(110)의 상부측 개구부를 닫은 상태로 유지하는 커버 록킹 지지체(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용 수납 박스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 커버 록킹 지지체(130)는, 상기 커버(120)의 저면에 구비되며 상기 커버(120)의 한쪽 방향과 다른 쪽 방향의 저면과 마주하는 위치에는 록킹 걸림편(134c)이 각각 하나씩 구비되어 상기 커버(120)가 상기 수납 박스(110)의 너비 방향 전후 위치로 이동될 때에 함께 이동하는 록킹 걸림부재(134)와; 상기 커버(120)의 한쪽 방향 저면과 다른 쪽 방향 저면과 마주하는 전후방 록킹 그루부(137)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록킹 그루부(137)의 서로 마주하는 제1벽면(137a)과 제2벽면(137b) 중에서 상기 록킹 걸림부재(134)의 상기 록킹 걸림편(134c)의 단부와 마주하는 제1벽면(137a)에는 록킹 돌기(138)가 구비되어 상기 테이블의 상기 프레임(10)에 지지되어 설치된 록커(136)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록킹 걸림부재(134)는 상기 록커(136)의 상기 제2벽면(137b)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하향 연장된 로워 연장편(134b)과, 상기 로워 연장편(134b)에 구비되어 상기 록커(136)의 상기 제1벽면(137a)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록킹 걸림편(134c)을 포함하며, 상기 록커(136)의 상기 록킹 돌기(138)는 상기 제2벽면(137b)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록킹 돌기(138)의 돌출 높이(h)는 상기 커버(120)의 이동에 의해 상기 록킹 걸림부재(134)의 상기 로워 연장편(134b)이 상기 록커(136)의 상기 록킹 그루부(137)의 상기 제2벽면(137b) 방향에 접촉되도록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록킹 걸림편(134c)이 걸림 영역을 벗어날 수 있는 높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120)는 상기 록커(136)의 상기 록킹 그루부(137)와 마주하는 위치에 오목홈(122)이 구비되고, 상기 록킹 걸림부재(134)를 구성하는 상기 록킹 걸림편(134c)의 일부에는 상기 록커(136)의 상기 록킹 그루부(137)에 수용되어 상기 록킹 돌기(138) 아래에서 걸려질 수 있도록 하는 절취부(134d)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 걸림부재(134)는 상기 록커(136)에 형성된 상기 록킹 그루부(137)의 바닥면과 마주하는 완충부재(135)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120)의 저면에는 상기 록킹 걸림부재(134)의 외측 위치에 배치되도록 록킹 서포트 브라켓(142)이 구비되고, 상기 록킹 서포트 브라켓(142)에는 상기 테이블의 상기 프레임(10)에 자력으로 밀착되어 상기 커버(120)의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 자석(14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테이블의 상판은 프레임의 가운데를 기준으로 너비 방향 전후 위치에 하나씩 대칭으로 배치된 상판 그룹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전후 위치 상판은 서로 마주하는 단부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테이블의 상판 가운데 부분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수납 박스 설치용 스페이스가 확보된 구조를 취할 수 있는데, 상기 테이블의 전후 위치 대칭되는 상판을 기준으로 가운데 위치에 수납 박스를 구비하고, 상기 수납 박스를 커버에 의해 닫은 상태에서 커버의 한쪽 단부 방향(전단부 방향)을 기준으로 커버를 위로 열어줄 수도 있고, 커버의 다른 쪽 단부 방향(후단부 방향)을 기준으로 커버를 위로 열어줄 수도 있는 것이어서, 상기 테이블에 두 사람이 서로 마주보고 앉은 상태에서 업무 등을 수행할 때에 한쪽 사람이 원하면 커버를 위로 열어줄 수도 있고 다른 쪽 사람이 원하는 경우에도 다른 쪽 방향에 앉은 사람이 얼마든지 커버를 위로 열어줄 수 있으므로, 사용성 등에서 매우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로 수납 박스의 상측 개구부를 닫은 상태에서 커버의 저면에 구비된 록킹 걸림부재의 록킹 걸림편이 록커의 록킹 그루브에 수용된 상태에서 록킹 돌기의 아래에 걸려지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커버가 개방되기를 원하지 않는데 임의로 열려버리는 경우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커버로 수납 박스를 닫은 상태에서 마음대로 커버가 열려버리는 경우를 방지하는 커버 이탈 방지 구조를 구비한 것에도 의미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테이블용 수납 박스 구조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버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록킹 걸림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록킹 서포트 브라켓 부분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록커의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주요부의 커버와 록킹 걸림부재 및 록킹 서포트 브라켓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주요부를 테이블의 프레임에 결합되는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을 채용하는 테이블의 프레임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커버 부분을 프레임에 결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커버를 개방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6과 도 17은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커버를 개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을 채용한 테이블의 외관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측단면도
도 20 및 도 21은 도 18에 도시된 커버 부분을 개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테이블용 수납 박스 구조는 테이블의 상판(4)을 지지하는 프레임(10)에 지지되어 상판(4)의 하부 위치에 배치되는 수납 박스(110)와, 이 수납 박스(110)의 상부측 개구부를 닫은 상태로 유지하면서 동시에 수납 박스(110)의 개구부측에서 한쪽 방향과 다른 쪽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동 개폐되는 커버(120)와, 상기 테이블의 프레임(10)과 커버(120)의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커버(120)에 의해 수납 박스(110)의 상부측 개구부를 닫은 상태로 유지하는 커버 록킹 지지체(130)를 구비한다.
상기 테이블은 단면 사각의 바아가 종횡으로 연결된 대략 사각틀 형태의 프레임(10)의 네 코너부에 레그(50)가 구비되고, 프레임(10) 위에는 상판(4)이 구비된 구조를 취한다. 상판(4)을 아래에서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10)은 내부에 중공부가 있는 단면 사각형의 세로 프레임 바아와 가로 프레임 바아가 복수개로 연결된 사각 지지틀 구조(세로 방향이 가로 방향에 비하여 보다 큰 사각 지지틀 구조)를 취하고 있으며, 복수개의 가로 프레임 바아 중에서 안쪽의 두 개의 가로 프레임 바아는 세로 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두 개의 안쪽의 나란한 가로 프레임 바아에는 내부에 중공부가 있는 중간 세로 프레임 바아의 양단부가 연결되어 있어서, 후술할 수납 박스(110)를 아래에 설치하기 위한 이격 스페이스가 확보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때, 테이블의 상판(4)은 프레임(10)의 가운데를 기준으로 너비 방향 전후 위치에 하나씩 대칭으로 배치된 상판 그룹으로 이루어지며, 전후 위치 상판(4)은 서로 마주하는 단부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테이블의 상판(4) 가운데 부분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수납 박스(110) 설치용 스페이스가 확보된 구조를 취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수납 박스(110)는 상단부가 테이블의 프레임(10)에 볼트 등의 고정수단을 매개로 고정되어 테이블의 가운데 하부에 물품(전선이나 멀티탭 등)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테이블의 프레임(10)은 가로 세로 방향으로 단면 사각의 바아가 연결되어 구성되는데, 수납 박스(110)는 전후단에 각각 전방 벽부(상기 프레임(10)의 세로 방향과 나란하게 배열됨)와 후방 벽부(상기 프레임(10)의 세로 방향과 나란하면서 전방 벽부와 마주하도록 배열됨)가 구비되어 상부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면서 동시에 적어도 두 개의 전방 벽부와 후방 벽부에는 개구부의 둘레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플랜지부가 구비된 사각 함체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프레임(10)의 중간 가로 프레임 바아 저면에 수납 박스(110)의 상단부에 구비된 플랜지부가 볼트와 같은 접합수단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테이블의 가운데 위치에 수납 박스(110)에 의한 물품 수납 공간을 구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수납 박스(110)는 프레임(10)의 세로 방향과 나란하게 길게 연장되어 배치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상기 수납 박스(110)의 상부측 개구부를 덮는 커버(120)는 한쪽 방향(프레임(10)의 세로 방향과 직교하는 전방측 방향)과 다른 쪽 방향(프레임(10)의 세로 방향과 직교하는 후방측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동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커버(120)는 세로 방향이 가로 방향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이루어진 커버 패널부(124)와, 이 커버 패널부(124)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커버 패널부(124)의 저면으로 직각 방향으로 연장된 프론트 연장편(126)과 리어 연장편(128)을 구비한다. 또한, 프론트 연장편(126)과 리어 연장편(128)에는 커버 패널부(124)의 저면과 나란하면서 동시에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보강 비드편(129)이 구비된다. 보강 비드편(129)은 커버(120)의 뒤틀림 현상 등을 방지하는 강도 보강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120)는 후술할 록커(136)의 록킹 그루부(137)와 마주하는 위치에 오목홈(122)이 구비된다. 커버(120)의 양쪽 단부 인접 위치의 전단 프론트 연장편(126)과 보강 비드편(129) 및 리어 연장편(128)과 보강 비드편(129)에 각각 하나씩 오목홈(122)이 구비되어, 두 개가 한 조를 이룬 오목홈(122)이 커버(120)의 양쪽 단부 인접 위치에 각각 하나씩 구비된 구조이다. 즉, 두 개가 한 조를 이룬 오목홈(122) 그룹이 커버(120)의 가로 방향(너비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양쪽 위치에 한 개씩 총 두 개의 오목홈(122) 그룹으로 형성된 구조이다. 커버(120)의 상면에서 볼 때에 총 네 개의 오목홈(122)이 그룹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120)의 양쪽 단부 위치 저면에는 록킹 걸림부재(134)가 구비된다. 이때, 록킹 걸림부재(134)는 커버(120)의 커버 패널부(124)와 나란한 연결 벽부(134a)와, 이 연결 벽부(134a)의 전단과 후단에 구비됨과 동시에 연결 벽부(134a)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후술할 록커(136)의 록킹 그루부(137)를 이루는 제2벽면(137b)과 마주하는 로워 연장편(134b)과, 이러한 로워 연장편(134b)에 구비되어 록커(136)의 록킹 그루부(137)를 구성하는 제1벽면(137a)(상기 제2벽면(137b)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됨) 방향으로 록킹 걸림편(134c)을 포함한다. 록킹 걸림부재(134)의 연결 벽부(134a)가 커버(120)의 커버 패널부(124) 저면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접합되어, 록킹 걸림부재(134)가 커버(120)에 고정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록킹 걸림편(134c)의 일부에는 록커(136)의 록킹 그루부(137)에 수용되어 후술할 록킹 돌기(138) 아래에서 걸려질 수 있도록 하는 절취부(134d)가 형성되어 있다. 절취부(134d)는 록킹 걸림부재(134)의 상면에서 볼 때에 사각형상으로 절취된 사각홈 구조이다. 또한, 상기 록킹 걸림부재(134)의 주요부인 록킹 걸림편(134c)은 록커(136)의 록킹 그루부(137) 바닥면과 마주하는 면에 완충부재(135)(범폰이라 칭함)가 구비되어 있다. 완충부재(135)는 스폰지와 같은 충격 흡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의 록킹 걸림부재(134)는 커버(120)의 가로 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우 양쪽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두 개의 록킹 걸림부재(134)가 커버(120)의 좌우 양쪽 단부측 저면에 각각 하나씩 구비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커버(120)의 양쪽 단부 저면 위치에는 각 록킹 걸림부재(134)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록킹 서포트 브라켓(142)이 구비된다. 이때, 록킹 서포트 브라켓(142)은 커버(120)의 커버 패널부(124)와 나란하며 홀더 결합홀(142ah)이 형성된 홀더 서포트편(142a)과, 이 홀더 서포트편(142a)의 전단과 후단에서 상향 연장된 브릿지 서포트편(142b)과, 이러한 두 개의 브릿지 서포트편(142b)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커버(120)의 커버 패널부(124) 저면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접합되는 두 개의 고정 서포트편(142c)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커버(120)의 양쪽 단부측 저면에는 각 록킹 걸림부재(134)의 바깥 위치에 배치되는 두 개의 록킹 서포트 브라켓(142)이 구비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록킹 서포트 브라켓(142)에는 테이블의 프레임(10)에 자력으로 밀착되어 커버(120)의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 자석(144)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대략 사각 블록 형상의 홀더(146)의 양쪽 측벽부에 하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단면적이 줄어드는 걸림후크를 구비하여, 상기 홀더(146)를 록킹 서포트 브라켓(142)의 홀더 서포트편(142a)에 구비된 홀더 결합홀(142ah)에 끼우면 걸림 후크가 홀더 서포트편(142a)의 홀더 결합홀(142ah) 둘레벽에 걸려지면서 록킹 서포트 브라켓(142)에 홀더(146)를 결합하고, 홀더(146)에는 자석(144)을 매입하여 홀더(146)의 저면(즉, 테이블의 상판(4)을 아래에서 지지하는 프레임(10)과 마주하는 면)에 자석(144)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구성하여, 커버(120)로 수납 박스(110)의 상부측 개구부를 닫은 상태에서 록킹 서포트 브라켓(142)에 구비된 자석(144)이 테이블의 상판(4) 지지용 프레임(10) 상면에 자력으로 붙어 있도록 함으로써 커버(120)가 수납 박스(110)의 상부측 개구부에서 위쪽으로 임의로 열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요부인 록킹 지지체는 기본적으로 록킹 걸림부재(134)와 록커(136)를 구비한 구조를 취함으로써, 테이블 수납 박스(110)의 커버(120) 이탈 방지 구조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록커(136)는 커버(120)의 한쪽 방향 저면(전방측 저면)과 다른 쪽 방향 저면(후방측 저면)과 마주하는 전후방 록킹 그루부(137)가 각각 형성되고, 이 록킹 그루부(137)의 서로 마주하는 제1벽면(137a)과 제2벽면(137b) 중에서 록킹 걸림부재(134)의 록킹 걸림편(134c)의 단부와 마주하는 제1벽면(137a)에는 록킹 돌기(138)가 구비된 블록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록커(136)는 상면에서 저면으로 관통된 체결공이 구비되어, 상기 체결공에 볼트와 같은 체결구가 결합되고, 이 체결구는 테이블의 상판(4)을 지지하는 프레임(10)에 조여져 고정됨으로써 록커(136)가 상기 록킹 걸림부재(134)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록킹 걸림부재(134)를 구성하는 록킹 걸림편(134c)의 일부에는 사각 형상으로 절취된 구조의 절취부(134d)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커버(120)를 수납 박스(110)의 상측 개구부를 닫아준 상태가 되면, 상기 록킹 걸림부재(134)의 절취부(134d)는 록커(136)의 제1벽면(137a)을 비켜나면서 동시에 로워 연장편(134b)의 일부가 록커(136)의 록킹 그루부(137)에 수용되어, 커버(120)의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커버(120)의 양쪽 단부에서 록커(136)와 만나는 위치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오목홈(122)이 형성되어 있어서, 커버(120)를 닫을 때에 커버(120)가 록커(136)에 걸리지 않고 오목홈(122) 부분이 록커(136)에 결합되는 형식이 되므로, 커버(120)가 록커(136)에 걸리지 않고 닫힐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커버 록킹 지지체(130)는 커버(120)의 저면에 구비되며 커버(120)의 한쪽 방향과 다른 쪽 방향의 저면과 마주하는 위치에는 록킹 걸림편(134c)이 각각 하나씩 구비되어 커버(120)가 수납 박스(110)의 너비 방향 전후 위치로 이동될 때에 함께 이동하는 록킹 걸림부재(134)를 구비하고, 상기 록커(136)는 커버(120)의 한쪽 방향 저면과 다른 쪽 방향 저면과 마주하는 전후방 록킹 그루부(137)가 각각 형성되고, 록커(136)의 록킹 그루부(137)의 서로 마주하는 제1벽면(137a)과 제2벽면(137b) 중에서 록킹 걸림부재(134)의 록킹 걸림편(134c)의 단부와 마주하는 제1벽면(137a)에는 록킹 돌기(138)가 구비되며, 상기 록킹 걸림부재(134)는 록커(136)의 제2벽면(137b)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하향 연장된 로워 연장편(134b)과, 이 로워 연장편(134b)에 구비되어 록커(136)의 제1벽면(137a) 방향으로 연장된 록킹 걸림편(134c)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록커(136)의 록킹 돌기(138)는 제2벽면(137b)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록킹 돌기(138)의 돌출 높이(h)는 커버(120)의 이동에 의해 록킹 걸림부재(134)의 로워 연장편(134b)이 록커(136)의 록킹 그루부(137)의 제2벽면(137b) 방향에 접촉되도록 이동한 상태에서 록킹 걸림편(134c)이 록킹 돌기(138)의 걸림 영역을 벗어날 수 있는 높이로 구성된다.
즉, 상기 수납 박스(110)의 상측 개구부를 커버(120)로 닫은 상태이면서 동시에 커버(120)의 가로 방향 중심부(즉, 커버(120)의 전단과 후단 사이의 중심부)가 록커(136)의 가로 방향 중심부(즉, 록커(136) 전단과 후단 사이의 중심부)가 서로 일치하도록 커버(120)가 배치된 상태일 경우, 상기 록커(136)의 록킹 그루부(137)의 제1벽면(137a)과 상기 록킹 걸림부재(134)의 록킹 걸림편(134c) 단부 사이의 이격 거리에 비하여 록커(136)의 로워 연장편(134b)과 록커(136)의 록킹 그루부(137)의 제2벽면(137b) 사이의 이격 거리가 더 크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상기 커버(120)와 이에 장착된 록킹 걸림부재(134) 및 록킹 서포트 브라켓(142)을 록커(136)의 한 쪽 방향(즉, 테이블 프레임(10)의 세로 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전방측 방향이면서 동시에 테이블에 서로 마주보고 앉아서 사무 등을 보는 두 사람을 기준으로 한 사람 쪽 방향)으로 밀어주면, 상기 록킹 걸림부재(134)의 한쪽 방향 록킹 걸림편(134c) 끝단이 록커(136)의 한쪽 록킹 그루부(137)의 제1벽면(137a)에 접촉되면서 한쪽의 로워 연장편(134b)은 한 쪽의 제2벽면(137b)에서 보다 멀리 이격되는 한편, 상기 록킹 걸림부재(134)의 다른 쪽 방향 로워 연장편(134b)은 록커(136)의 다른 쪽 록킹 그루부(137)의 제2벽면(137b)에 접촉되면서 다른 쪽 록킹 걸림편(134c)의 끝단은 록커(136)의 다른 쪽 록킹 그루부(137)의 제1벽면(137a)에서 돌출된 록킹 돌기(138)의 걸림 영역에서 벗어나게 되므로, 이러한 상태에서 커버(120)를 상기 한쪽 단부를 기준으로 상향 회동시켜 수납 박스(110)의 상측 개구부를 열어 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커버(120)와 이에 장착된 록킹 걸림부재(134) 및 록킹 서포트 브라켓(142)을 상기한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인 록커(136)의 다른 쪽 방향(즉, 테이블 프레임(10)의 세로 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후방측 방향이면서 동시에 테이블에 서로 마주보고 앉아서 사무 등을 보는 두 사람을 기준으로 다른 사람 쪽 방향)으로 밀어주면, 상기 록킹 걸림부재(134)의 다른 쪽 방향 록킹 걸림편(134c) 끝단이 록커(136)의 다른 쪽 록킹 그루부(137)의 제1벽면(137a)에 접촉되면서 다른 쪽의 로워 연장편(134b)은 다른 쪽의 제2벽면(137b)에서 보다 멀리 이격되는 한편, 상기 록킹 걸림부재(134)의 상기 한 쪽 방향 로워 연장편(134b)은 록커(136)의 상기 다른 쪽 록킹 그루부(137)의 제2벽면(137b)에 접촉되면서 다른 쪽 록킹 걸림편(134c)의 끝단은 록커(136)의 상기 한 쪽 록킹 그루부(137)의 제1벽면(137a)에서 돌출된 록킹 돌기(138)의 걸림 영역에서 벗어나게 되므로, 이러한 상태에서 커버(120)를 상기 다른 단부를 기준으로 상향 회동시켜 수납 박스(110)의 상측 개구부를 열어 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테이블의 상판(4)은 프레임(10)의 가운데를 기준으로 너비 방향 전후 위치에 하나씩 대칭으로 배치된 상판 그룹으로 이루어지며, 전후 위치 상판(4)은 서로 마주하는 단부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테이블의 상판(4) 가운데 부분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수납 박스(110) 설치용 스페이스가 확보된 구조를 취하고 있고, 이러한 테이블의 전후 위치 대칭되는 상판(4)을 기준으로 가운데 위치에 수납 박스(110)를 구비하고, 상기 수납 박스(110)를 커버(120)에 의해 닫은 상태에서 커버(120)의 한쪽 단부 방향을 기준으로 커버(120)를 위로 열어줄 수도 있고, 커버(120)의 다른 쪽 단부 방향으로 기준으로 커버(120)를 위로 열어줄 수도 있는 것이며, 상기 테이블에 두 사람이 서로 마주보고 앉은 상태에서 업무 등을 수행할 때에 한쪽 사람이 원하면 커버(120)를 위로 열어줄 수도 있고 다른 쪽 사람이 원하는 경우에도 다른 쪽 방향에 앉은 사람이 얼마든지 커버(120)를 위로 열어줄 수 있으므로, 사용성 등에서 매우 우수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120)로 수납 박스(110)의 상측 개구부를 닫은 상태에서 커버(120)의 저면에 구비된 록킹 걸림부재(134)의 록킹 걸림편(134c)이 록커(136)의 록킹 그루부(137)에 수용된 상태에서 록킹 돌기(138)의 아래에 걸려지는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커버(120)가 개방되기를 원하지 않는데 임의로 열려버리는 경우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커버(120)로 수납 박스(110)를 닫은 상태에서 마음대로 커버(120)가 열려버리는 경우를 방지하는 커버(120) 이탈 방지 구조를 구비한 것에도 의미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커버(120)를 닫은 상태에서 테이블의 상판(4) 지지용 프레임(10)에 자력으로 부착되는 자석(144)이 더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커버(120)가 수납 박스(110)를 닫은 상태에서 자석(144)의 힘으로 안정적으로 닫힌 상태를 유지하므로 커버(120)가 외부 진동 등에 의해 흔들리거나 하는 일이 없게 되어서 보다 좋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커버(120)의 저면 위치에는 완충부재(135)가 더 구비되어 있어서, 커버(120)로 수납 박스(110)의 상측 개구부를 닫아주도록 하향 회동시킬 때에 커버(120)가 상판(4) 지지용 프레임(10) 등에 부딪혀서 생기는 소음이나 충격 등을 완충부재(135)에 의해 흡수하여 완충 작용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10. 수납 박스 120. 커버
122. 오목홈 124. 커버 패널부
126. 프론트 연장편 128. 리어 연장편
129. 보강 비드편 130. 커버 록킹 지지체
134. 록킹 걸림부재 135. 완충부재
136. 록커 137. 록킹 그루브
137a. 제1벽면 137b. 제2벽면
138. 록킹 돌기 142. 록킹 서포트 브라켓
142a. 홀더 서포트편 142ah. 홀더 결합홀
142b. 브릿지 서포트편 142c. 고정 서포트편

Claims (6)

  1. 테이블의 상판(4)을 지지하는 프레임(10)에 지지되어 상기 상판(4)의 하부 위치에 배치되는 수납 박스(110)와;
    상기 수납 박스(110)의 상부측 개구부를 닫은 상태로 유지하면서 동시에 상기 수납 박스(110)의 상기 개구부측에서 한쪽 방향과 다른 쪽 방향으로 회동 개폐 작동되는 커버(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용 수납 박스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의 상기 프레임(10)과 상기 커버(120)의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120)에 의해 상기 수납 박스(110)의 상부측 개구부를 닫은 상태로 유지하는 커버 록킹 지지체(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용 수납 박스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록킹 지지체(130)는,
    상기 커버(120)의 저면에 구비되며 상기 커버(120)의 한쪽 방향과 다른 쪽 방향의 저면과 마주하는 위치에는 록킹 걸림편(134c)이 각각 하나씩 구비되어 상기 커버(120)가 상기 수납 박스(110)의 너비 방향 전후 위치로 이동될 때에 함께 이동하는 록킹 걸림부재(134)와;
    상기 커버(120)의 한쪽 방향 저면과 다른 쪽 방향 저면과 마주하는 전후방 록킹 그루부(137)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록킹 그루부(137)의 서로 마주하는 제1벽면(137a)과 제2벽면(137b) 중에서 상기 록킹 걸림부재(134)의 상기 록킹 걸림편(134c)의 단부와 마주하는 제1벽면(137a)에는 록킹 돌기(138)가 구비되어 상기 테이블의 상기 프레임(10)에 지지되어 설치된 록커(136);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록킹 걸림부재(134)는 상기 록커(136)의 상기 제2벽면(137b)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하향 연장된 로워 연장편(134b)과, 상기 로워 연장편(134b)에 구비되어 상기 록커(136)의 상기 제1벽면(137a)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록킹 걸림편(134c)을 포함하며,
    상기 록커(136)의 상기 록킹 돌기(138)는 상기 제2벽면(137b)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록킹 돌기(138)의 돌출 높이(h)는 상기 커버(120)의 이동에 의해 상기 록킹 걸림부재(134)의 상기 로워 연장편(134b)이 상기 록커(136)의 상기 록킹 그루부(137)의 상기 제2벽면(137b) 방향에 접촉되도록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록킹 걸림편(134c)이 걸림 영역을 벗어날 수 있는 높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용 수납 박스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20)는 상기 록커(136)의 상기 록킹 그루부(137)와 마주하는 위치에 오목홈(122)이 구비되고, 상기 록킹 걸림부재(134)를 구성하는 상기 록킹 걸림편(134c)의 일부에는 상기 록커(136)의 상기 록킹 그루부(137)에 수용되어 상기 록킹 돌기(138) 아래에서 걸려질 수 있도록 하는 절취부(134d)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용 수납 박스 구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걸림부재(134)는 상기 록커(136)에 형성된 상기 록킹 그루부(137)의 바닥면과 마주하는 완충부재(135)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용 수납 박스 구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20)의 저면에는 상기 록킹 걸림부재(134)의 외측 위치에 배치되도록 록킹 서포트 브라켓(142)이 구비되고, 상기 록킹 서포트 브라켓(142)에는 상기 테이블의 상기 프레임(10)에 자력으로 밀착되어 상기 커버(120)의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 자석(14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용 수납 박스 구조.
KR1020120079053A 2012-07-20 2012-07-20 테이블용 수납 박스 구조 KR201400123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053A KR20140012372A (ko) 2012-07-20 2012-07-20 테이블용 수납 박스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053A KR20140012372A (ko) 2012-07-20 2012-07-20 테이블용 수납 박스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2372A true KR20140012372A (ko) 2014-02-03

Family

ID=50263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9053A KR20140012372A (ko) 2012-07-20 2012-07-20 테이블용 수납 박스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23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3406B1 (ko) 2018-12-24 2019-06-26 (주)캠퍼스라인 테이블용 덕트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연결형 테이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3406B1 (ko) 2018-12-24 2019-06-26 (주)캠퍼스라인 테이블용 덕트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연결형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38716B2 (ja) 天板昇降式デスク
KR101838060B1 (ko) 공구함
KR20140012372A (ko) 테이블용 수납 박스 구조
KR20140012373A (ko) 수납 박스과 조립식 레그 및 익스텐션 구조를 통합한 기능성 테이블
JP2014045825A (ja) 収納家具
KR101205243B1 (ko) 서랍장착구조
JP5879137B2 (ja) デスク装置
JP3211178U (ja) 物品装着具
JP5801071B2 (ja) 収納空間構造
JP6327599B2 (ja) テーブルシステム
JP4325582B2 (ja) 収納キャビネット
JP2007075275A (ja) 物品収納用容筐及びそれを備える机
JP2018166960A (ja) 物品載置棚装置
JP2000116446A (ja) 昇降式吊り戸棚
JP3234253U (ja) 防災用品の収納庫
JP2007135746A (ja) 家具
JP7288836B2 (ja) 多段用引出しおよび多段引出しキャビネット
JP5232758B2 (ja) キャビネット
JP6466064B2 (ja) 家具類の転倒防止構造
JP6955793B1 (ja) 収納容器と収納具
KR101852938B1 (ko) 다양한 배치형태를 갖는 공구함
JP3175842U (ja) 収納ケース
JP7258547B2 (ja) 収納什器
JP2022073740A (ja) 収容什器
JP3799264B2 (ja) 机等における配線カバ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