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8060B1 - 공구함 - Google Patents
공구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38060B1 KR101838060B1 KR1020170117853A KR20170117853A KR101838060B1 KR 101838060 B1 KR101838060 B1 KR 101838060B1 KR 1020170117853 A KR1020170117853 A KR 1020170117853A KR 20170117853 A KR20170117853 A KR 20170117853A KR 101838060 B1 KR101838060 B1 KR 1018380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work bench
- work
- hinge
- worktab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 B25H3/02—Boxes
- B25H3/021—Boxes comprising a number of connected storage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14—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the bench top
- B25H1/18—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the bench top in incl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shop Equipment, Work Benches, Supports, Or Storage Means (AREA)
Abstract
작업자의 사용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는 공구함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직육면체 형태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소정 넓이를 가지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 후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 지지되며, 전면에 좌우 및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걸이공이 형성된 거치패널; 상기 거치패널과 직교하도록 상기 본체 상단에 장착되어 소정 넓이의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작업대; 상기 본체전면에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서랍형 수납부; 및 상기 본체 전면에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도어형 수납부;를 포함하되, 상기 작업대는, 상기 본체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하판작업대; 및 상기 하판작업대 상면에 안착 배치되되, 일측 모서리가 힌지를 통해 상기 하판작업대의 일측 모서리에 체결되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하판작업대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상판작업대;를 포함하는 공구함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구류를 수납, 거치하는 한편, 소정의 작업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공구함에 관한 것이다.
각종 공구나 부속류 등을 수납, 거치시키기 위한 작업수단으로 공구함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근래 들어 일부 공구함은 단순한 수납, 보관 등의 용도를 넘어서 소정의 작업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작업자의 사용 편의를 증대시키고 있다. 예컨대, 공구함 상단의 공간을 소정의 작업 공간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공구함은 그 사용 용도나 목적 등에 따라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다양한 수단이 부가되어 개선되고 있다. 일 예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97402호(발명의 명칭: 이동식 공구함)는 공구함에 이동성을 부여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있으며, 다른 예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9028호(고안의 명칭: 사다리가 구비된 다용도 공구함)는 공구함과 동시에 사다리로 이용 가능한 다용도 공구함을 제안하고 있는 바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작업자의 사용 편의성을 보다 개선할 수 있는 공구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직육면체 형태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소정 넓이를 가지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 후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 지지되며, 전면에 좌우 및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걸이공이 형성된 거치패널; 상기 거치패널과 직교하도록 상기 본체 상단에 장착되어 소정 넓이의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작업대; 상기 본체전면에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서랍형 수납부; 및 상기 본체 전면에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도어형 수납부;를 포함하되, 상기 작업대는, 상기 본체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하판작업대; 및 상기 하판작업대 상면에 안착 배치되되, 일측 모서리가 힌지를 통해 상기 하판작업대의 일측 모서리에 체결되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하판작업대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상판작업대;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작업대는, 하면이 상기 하판작업대 상면에 접촉되어 상기 하판작업대에 안착 지지되며, 상면이 소정의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겹침 배치 상태; 상기 하판작업대와 예각을 이루도록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동되어 전단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지지패널과의 사이에 체결된 지지구에 의해 지지되는 경사 배치 상태; 하면이 상기 하판작업대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상기 겹침 배치 상태에서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180도 회동되어, 하부에 체결된 하부다리를 통해 지지되는 펼침 상태; 및 상기 하판작업대와 직교되도록 상기 겹침 배치 상태에서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270도 회동되어, 상기 하판작업대의 상면이 소정의 작업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직교 배치 상태;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공구함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공구함은 상판작업대 및 하판작업대로 구성되는 작업대를 구비하고, 상판작업대가 회동되어 겹침 상태, 경사 배치 상태, 펼침 상태, 직교 배치 상태 등 다양한 배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수행하고자 하는 작업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상판작업대의 배치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자의 사용 편의성이 크게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공구함은 상판작업대와 하판작업대가 상이한 재질(고무, 금속)로 이루어져 이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판작업대가 직교 배치된 상태에서 상판작업대가 본체 전면을 차폐함으로써, 상판작업대를 통한 잠금 기능 또한 함께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구함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작업대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작업대의 작동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작업대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작업대의 작동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구함(100)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공구함(100)은 본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프레임 및 패널 구조로 이뤄져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110)는 공구함(10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후술할 거치패널(120), 작업대(130) 등이 장착 지지될 수 있는 기본 골격을 제공하게 된다.
필요에 따라, 본체(110) 측면에는 제1잠금고리(111)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잠금고리(111)는 후술할 상판작업대(131)의 제2잠금고리(131c)와 대응되며, 제2잠금고리(131c)와의 사이에 소정의 잠금수단(예컨대, 자물쇠)이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할 도 3을 참조하여 부연키로 한다. 제1잠금고리(111)는 본체(110)의 좌우 측면에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본체(110) 하부에는 복수의 캐스터(114)가 장착될 수 있다. 캐스터(114)는 공구함(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공구함(100)은 거치패널(120)을 포함할 수 있다. 거치패널(120)은 소정 넓이를 가지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본체(110) 후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본체(110)에 장착 지지될 수 있다. 거치패널(120)의 전면에는 복수의 걸이공(121)이 형성될 수 있다. 걸이공(121)은 거치패널(120)에 공구류를 장착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복수개가 거치패널(120) 전면에 좌우 및 상하방향으로 분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공구함(100)은 작업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대(130)는 본체(110) 상단에 장착되어 거치패널(120)과 대략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작업대(130)는 본체(110) 상단에서 소정 넓이의 작업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작업대(130)에 대한 보다 상세한 구성은 후술할 도 2를 참조하여 부연키로 한다.
본 실시예의 공구함(100)은 하나 이상의 서랍형 수납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랍형 수납부(140)는 상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110)에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서랍형 수납부(140)에는 소형 공구류나 각종 부속품 등이 수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서랍형 수납부(14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서랍형 수납부(140)는 본체(110)의 전면 일측에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서랍형 수납부(140)는 상하 높이(깊이)가 각각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다양한 공구류, 부속품 등을 크기에 따라 수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4개의 서랍형 수납부(140)가 본체(110)의 전면 좌측에 상하로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공구함(100)은 하나 이상의 도어형 수납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형 수납부(150)는 본체(110) 내부에 마련된 소정의 수납공간과, 수납공간을 개폐하도록 본체(110) 일측에 힌지 구조로 장착되는 개폐도어로 구성될 수 있다. 도어형 수납부(150)에는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공구류나 부속품 등이 수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본체(110)의 전면 좌측에 개폐도어가 마련되어 1개의 도어형 수납부(150)가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단, 필요에 따라 도어형 수납부(150)의 개수는 증감 변동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본 실시예의 공구함(100)은 더스트백(112)을 포함할 수 있다. 더스트백(112)은 본체(110) 측면에 장착되어 작업시 발생되는 부산물이나 쓰레기 등을 버릴 수 있도록 한다. 더스트백(112)은 직물이나 유연한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벨크로(112a)를 통해 본체(110)에 장착되어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쉽게 탈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작업대(130)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작업대(130)는 상판작업대(131) 및 하판작업대(1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판작업대(132)는 본체(110) 상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상판작업대(131)는 하판작업대(132) 상면에 안착되어 힌지(H)를 통해 하판작업대(132)에 체결될 수 있다. 즉, 상판작업대(131)는 일측 모서리가 힌지(H)를 통해 하판작업대(132)의 일측 모서리에 체결되어, 힌지(H)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판작업대(131)는 하판작업대(132) 상면에 안착 지지된 초기 상태에서, 대략 270도 범위로 회동 가능하도록 하판작업대(132)에 힌지(H)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판작업대(131)는 아래와 같은 상태로 적절히 변형 배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먼저 전술한 도 1을 참조하면, 상판작업대(131)는 하면이 하판작업대(132) 상면에 접촉되어 하판작업대(132)에 안착 지지된 겹침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작업대(130)는 일반적인 작업대와 유사한 배치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상판작업대(131)의 상면을 작업공간으로 사용하며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작업대(130)의 작동도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상판작업대(131)는 힌지(H)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동되어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상판작업대(131)는 하판작업대(132)와 예각을 이루도록 회동되어 전단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판작업대(131)의 배치는 경우에 따라 작업자가 보다 편안한 자세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작업자가 도면을 작도하거나 작업매뉴얼 등을 검토시 이와 같은 경사 배치가 보다 편안한 자세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경우, 상판작업대(131)는 후단에 지지구(133)가 체결되어 경사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지지구(133)는 상판작업대(131) 후단과 거치패널(120) 사이에 설치되어 상판작업대(131)가 경사 상태로 거치패널(120)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구(133)는 일단의 걸림편(133a)과 타단의 걸림고리(133b)를 구비할 수 있으며, 걸림편(133a)과 걸림고리(133b) 사이에는 와이어(133c)가 연결될 수 있다. 걸림편(133a)은 거치패널(120)의 걸이공(121)으로 삽입되어 걸이공(121)에 걸림 고정될 수 있으며, 걸림편(133a)은 상판작업대(131) 후단 측면에 형성된 걸림바(131d)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지지구(133)는 상판작업대(131) 후단의 좌우측에 한 쌍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되도록 걸림바(131d)는 상판작업대(131) 후단에 좌우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상판작업대(131)는 힌지(H)를 중심으로 180도 회동된 펼침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상판작업대(131)는 전술한 겹침 상태로부터 180도 회동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판작업대(131)는 하면이 하판작업대(132) 상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판작업대(131) 및 하판작업대(132)가 하나의 평면을 이루며 작업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전술한 겹침 상태에 비해 2배의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경우, 상판작업대(131)에는 하부다리(160)가 설치되어 지지될 수 있다. 하부다리(160)는 상판작업대(131)의 좌우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초기의 겹침 상태에서 180도 회동된 상판작업대(131)의 하부에 체결되어 상판작업대(131)를 지지하게 된다. 이때, 하부다리(160)는 상단이 상판작업대(131)에 형성된 장착홈(131a)에 체결되어 상판작업대(131)와 체결 및 위치 정렬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홈(131a)은 상판작업대(131) 상면에 좌우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으며, 하부다리(160) 상단에 대응되는 형상의 테두리(본 실시예의 경우, 사각형 테두리)를 가지고 상판작업대(131) 상면에 소정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장착홈(131a)은 상판작업대(131)가 겹침 상태로 사용되는 경우, 작은 부속류 등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 측면에는 하부다리(160)의 보관을 위한 하부다리 보관함(113)이 구비될 수 있다. 하부다리 보관함(113) 본체(110) 측면에 상하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소정의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패널 구조로 이뤄질 수 있다.
도 3의 (c)를 참조하면, 상판작업대(131)는 힌지(H)를 중심으로 270도 회동되어 하판작업대(132)와 대략 직교하도록 배치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판작업대(131)는 본체(110) 전면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하판작업대(132)의 상면이 작업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와 같은 경우, 상판작업대(131)의 상면과 하판작업대(132)의 상면은 상이한 재질로 이뤄질 수 있다. 예컨대, 상판작업대(131) 상면은 전부 또는 일부가 고무패드(131b)로 이뤄질 수 있으며, 하판작업대(132) 상면은 금속(스틸)으로 이뤄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작업자는 수행하는 작업 특성에 따라 도 1과 같은 배치 상태로 고무패드(131b) 재질의 상판작업대(131)를 작업공간으로 사용하거나, 도 3의 (c)와 같이 금속 재질의 하판작업대(132)를 작업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부품의 조립 작업 등에 있어서는 도 1과 같은 배치로 상판작업대(131)를 사용하는 한편, 컷팅 작업 등 단단한 작업대가 요구되는 작업에 있어서는 도 3의 (c)와 같은 배치로 하판작업대(132)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상판작업대(131)의 고무패드(131b)는 상판작업대(131) 상면이 본체(110) 전면을 향해 배치된 상태에서 상판작업대(131)의 충돌로 인한 본체(110)의 손상을 소정 정도 방지하는 기능도 가질 수 있다. 또한, 고무패드(131b)가 상판작업대(131) 전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전술한 장착홈(131a)까지 고무패드(131b)로 형성되는 경우, 도 3의 (b)와 같은 펼침 상태에서 고무패드(131b)의 마찰로 인해 하부다리(160)와 장착홈(131a) 간의 결합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
한편, 도 3의 (c)와 같은 배치는 공구함(100)의 미사용시 본체(110) 전면의 서랍형 수납부(140)가 도어형 수납부(150)를 잠금시키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즉, 도 3의 (c)와 같은 경우, 본체(110) 전면은 상판작업대(131)에 의해 완전히 차폐되게 되므로,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체(110)와 상판작업대(131) 사이에 잠금수단을 체결함으로써, 본체(110)에 수납된 공구류 등을 도난 등으로부터 보다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판작업대(131)의 측면에는 전술한 본체(110) 측면의 제1잠금고리(111)에 대응되는 제2잠금고리(131c)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판작업대(131)가 도 3의 (c)와 같이 270도 회동된 상태에서 제1, 2잠금고리(111, 131c) 사이에 잠금수단(자물쇠)가 체결됨으로써, 서랍형 수납부(140) 등으로의 접근을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제2잠금고리(131c)는 필요에 따라 상판작업대(131)의 좌우 측면에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공구함(100)은 상판작업대(131) 및 하판작업대(132)로 구성되는 작업대(130)를 구비하고, 상판작업대(131)가 회동되어 겹침 상태, 경사 배치 상태, 펼침 상태, 직교 배치 상태 등 다양한 배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수행하고자 하는 작업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상판작업대(131)의 배치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자의 사용 편의성이 크게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공구함(100)은 상판작업대(131)와 하판작업대(132)가 상이한 재질(고무, 금속)로 이루어져 이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판작업대(131)가 직교 배치된 상태에서 상판작업대(131)가 본체(110) 전면을 차폐함으로써, 상판작업대(131)를 통한 잠금 기능 또한 함께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공구함 110: 본체
120: 거치패널 130: 작업대
131: 상판작업대 132: 하판작업대
140: 서랍형 수납부 150: 도어형 수납부
120: 거치패널 130: 작업대
131: 상판작업대 132: 하판작업대
140: 서랍형 수납부 150: 도어형 수납부
Claims (3)
- 직육면체 형태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10);
소정 넓이를 가지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110) 후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본체(110)에 장착 지지되며, 전면에 좌우 및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걸이공(121)이 형성된 거치패널(120);
상기 거치패널(120)과 직교하도록 상기 본체(110) 상단에 장착되어 소정 넓이의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작업대(130);
상기 본체(110) 전면에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서랍형 수납부(140); 및
상기 본체(110) 전면에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도어형 수납부(150);를 포함하되,
상기 작업대(130)는,
상기 본체(110)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하판작업대(132); 및
상기 하판작업대(132) 상면에 안착 배치되되, 일측 모서리가 힌지(H)를 통해 상기 하판작업대(132)의 일측 모서리에 체결되어 상기 힌지(H)를 중심으로 상기 하판작업대(132)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상판작업대(131);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작업대(131)는,
하면이 상기 하판작업대(132) 상면에 접촉되어 상기 하판작업대(132)에 안착 지지되며, 상면이 소정의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겹침 배치 상태;
상기 하판작업대(132)와 예각을 이루도록 상기 힌지(H)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동되어 전단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거치패널(120)과의 사이에 체결된 지지구(133)에 의해 지지되는 경사 배치 상태;
하면이 상기 하판작업대(132)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상기 겹침 배치 상태에서 상기 힌지(H)를 중심으로 180도 회동되어, 하부에 체결된 하부다리(160)를 통해 지지되는 펼침 상태; 및
상기 하판작업대(132)와 직교되도록 상기 겹침 배치 상태에서 상기 힌지(H)를 중심으로 270도 회동되어, 상기 하판작업대(132)의 상면이 소정의 작업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직교 배치 상태;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본체(110)는,
측면에 제1잠금고리(111)가 구비되고,
상기 상판작업대(131)는,
상면이 고무패드(131b)로 형성되며, 상기 펼침 상태에서 상기 하부다리(160) 상단과 체결되는 장착홈(131a)이 상면에 형성되고, 측면에 상기 제1잠금고리(111)와 대응되는 제2잠금고리(131c)가 구비되되,
상기 제1, 2잠금고리(111, 131c)는,
상기 직교 배치 상태에서 소정의 잠금수단이 체결되어 상기 상판작업대(131)의 회동을 구속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판작업대(132)는,
상면이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공구함.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는,
상기 하부다리(160)를 수납 보관할 수 있도록 측면에 상하로 연장 형성된 하부다리 보관함(113); 및
유연한 수지 재질 또는 직물 재질로 형성되어 벨크로(112a)를 통해 상기 본체(110) 측면에 부착되는 더스트백(112);을 포함하는, 공구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7853A KR101838060B1 (ko) | 2017-09-14 | 2017-09-14 | 공구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7853A KR101838060B1 (ko) | 2017-09-14 | 2017-09-14 | 공구함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24984A Division KR101852938B1 (ko) | 2018-03-02 | 2018-03-02 | 다양한 배치형태를 갖는 공구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38060B1 true KR101838060B1 (ko) | 2018-03-13 |
Family
ID=61660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17853A KR101838060B1 (ko) | 2017-09-14 | 2017-09-14 | 공구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38060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818466A (zh) * | 2018-07-13 | 2018-11-16 | 陈芯言 | 一种汽车零配件制造用机械保养装置 |
CN113370160A (zh) * | 2021-04-19 | 2021-09-10 | 兴意金工科技(浙江)有限公司 | 一种可灵活组配器具的车间工作站 |
KR20230164524A (ko) | 2022-05-25 | 2023-12-04 | 전용재 | 다기능 공구함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9245Y1 (ko) | 2002-09-12 | 2003-01-03 | 박승부 | 다용도 공구보관함 |
-
2017
- 2017-09-14 KR KR1020170117853A patent/KR10183806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9245Y1 (ko) | 2002-09-12 | 2003-01-03 | 박승부 | 다용도 공구보관함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818466A (zh) * | 2018-07-13 | 2018-11-16 | 陈芯言 | 一种汽车零配件制造用机械保养装置 |
CN113370160A (zh) * | 2021-04-19 | 2021-09-10 | 兴意金工科技(浙江)有限公司 | 一种可灵活组配器具的车间工作站 |
CN113370160B (zh) * | 2021-04-19 | 2023-03-10 | 兴意金工科技(浙江)有限公司 | 一种可灵活组配器具的车间工作站 |
KR20230164524A (ko) | 2022-05-25 | 2023-12-04 | 전용재 | 다기능 공구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38060B1 (ko) | 공구함 | |
US5437367A (en) | Carrying case for electronic components | |
US6039416A (en) | Wall mounted pivoting work bench | |
US5445266A (en) | Carrying case and variable-angle support stand for portable computer | |
US9943955B2 (en) | Portable workstation | |
US5588727A (en) | Desktop organizer for an office workstation | |
JPH02174807A (ja) | 折り畳み式化粧パネル付テーブル | |
US6705235B1 (en) | Attachable platform for an open container and method of use | |
US3220790A (en) | Convertible cabinet structure | |
KR101852938B1 (ko) | 다양한 배치형태를 갖는 공구함 | |
US3923356A (en) | Portable work or display table | |
EP0286750A1 (en) | Multi-functional foldable tool/box/carriage/lounge assembly | |
KR100876664B1 (ko) | 조립식 책상 | |
KR200483550Y1 (ko) | 다림판책상 | |
JP3498648B2 (ja) | 配線カバー | |
US5312002A (en) | Utility tray | |
JP3606792B2 (ja) | イーゼル用テーブル | |
JP7412956B2 (ja) | 天板付き家具 | |
GB2262085A (en) | Tool box | |
KR102661430B1 (ko) | 폴딩박스에 대한 사용성 확장유닛 | |
JP2021065358A (ja) | 天板付き家具 | |
JP6751334B2 (ja) | ワゴン装置 | |
JP6685881B2 (ja) | 物品収納什器 | |
JP6804751B2 (ja) | 収容体、サーバーラック | |
US4126363A (en) | Folding sewing machine cabinet with storage compart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