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9360A - 유기 el 용 기판 및 유기 el 소자 - Google Patents

유기 el 용 기판 및 유기 el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9360A
KR20140009360A KR1020137024421A KR20137024421A KR20140009360A KR 20140009360 A KR20140009360 A KR 20140009360A KR 1020137024421 A KR1020137024421 A KR 1020137024421A KR 20137024421 A KR20137024421 A KR 20137024421A KR 20140009360 A KR20140009360 A KR 20140009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group
organic
substrate
repea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4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모야 호소다
미츠오 마에다
사토시 오카모토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09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93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Abstract

본 발명은, 내후성이 우수한 유기 EL 용 기판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액정 폴리에스테르층의 이측에, 백색 안료 함유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유기 EL 용 기판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액정 폴리에스테르층은, 하기 식 (1) 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와, 하기 식 (2) 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와, 하기 식 (3) 으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를 갖고, 2,6-나프틸렌기를 함유하는 반복 단위의 함유량이, 전체 반복 단위의 합계량에 대해 40 몰% 이상인 액정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되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O-Ar1-CO- (1), -CO-Ar2-CO- (2), -O-Ar3-O- (3) (Ar1 은 2,6-나프틸렌기, 1,4-페닐렌기 또는 4,4'-비페닐리렌기를 나타낸다. Ar2 및 Ar3 은 각각 독립적으로 2,6-나프틸렌기, 1,4-페닐렌기, 1,3-페닐렌기 또는 4,4'-비페닐리렌기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유기 EL 용 기판 및 유기 EL 소자{ORGANIC ELECTROLUMINESCENT SUBSTRAT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본 발명은, 액정 폴리에스테르층을 갖는 유기 EL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용 기판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이 유기 EL 용 기판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유기 EL 소자에 관한 것이다.
유기 EL 소자는, 통상적으로, 기판 상에 1 쌍의 전극이 배치되고, 이 1 쌍의 전극 사이에 유기 EL 층이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고 있으며, 도 1 에 그 예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기판 (1) 상에 음극 (4A), 유기 EL 층 (5) 및 양극 (4B) 이 이 순서로 배치되고, 추가로 그 위에 봉지층 (6) 이 배치되고, 기판 (1) 과 봉지층 (6) 사이의 주연부가 봉지재 (3) 에 의해 봉지되어 있다. 또, 유기 EL 층 (5) 은 발광층 (5b) 과, 그 음극 (4A) 측에 배치된 전자 수송층 (5a) 과, 그 양극 (4B) 측에 배치된 정공 수송층 (5c) 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판 (1) 으로는, 통상적으로 유리판이 사용되지만, 플렉시블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유기 EL 소자의 연속 생산이 곤란하고, 또 충격에 약하며, 무겁다는 결점이 있다. 그래서, 기판 (1) 으로서 수지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지만, 일반적인 수지 필름은, 수증기 배리어성이나 치수 안정성이 낮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판 (1) 으로서 액정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고,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상기 액정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구성하는 액정 폴리에스테르로서, 4,4'-디하이드록시비페닐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와 프탈산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와 p-하이드록시벤조산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를 갖는 것이나, 6-하이드록시-2-나프토산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와 p-하이드록시벤조산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를 갖는 것이나, 에틸렌글리콜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와 테레프탈산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와 p-하이드록시벤조산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를 갖는 것이나, 6-하이드록시-2-나프토산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와 p-아미노페놀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와 테레프탈산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를 갖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32464호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바와 같은 액정 폴리에스테르층을 갖는 종래의 유기 EL 용 기판은, 내후성이 반드시 충분한 것은 아니어서, 예를 들어 반사광에 의해 이측 (裏側) 으로부터 장기간에 걸쳐 광 조사를 받으면 휘어져 벗겨지거나 찢어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정 폴리에스테르층을 갖고, 내후성이 우수한 유기 EL 용 기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액정 폴리에스테르층의 이측에, 백색 안료 함유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유기 EL 용 기판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유기 EL 용 기판과, 상기 유기 EL 용 기판 상에 배치된 1 쌍의 전극과, 상기 1 쌍의 전극 사이에 배치된 유기 EL 층을 갖는 유기 EL 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기 EL 용 기판은, 내후성이 우수하다.
도 1 은 유기 EL 소자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유기 EL 기판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유기 EL 용 기판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정 폴리에스테르층 (23) 의 이측 (裏側) (발광면과는 반대의 면측) 에 백색 안료 함유층 (26) 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액정 폴리에스테르층 (23) 을 구성하는 액정 폴리에스테르는, 용융 상태에서 액정성을 나타내는 액정 폴리에스테르로, 450 ℃ 이하의 온도에서 용융시키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액정 폴리에스테르는, 액정 폴리에스테르아미드여도 되고, 액정 폴리에스테르에테르여도 되고, 액정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여도 되고, 액정 폴리에스테르이미드여도 된다. 액정 폴리에스테르는, 원료 모노머로서 방향족 화합물만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전방향족 액정 폴리에스테르인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 폴리에스테르의 전형적인 예로는, 방향족 하이드록시카르복실산과 방향족 디카르복실산과 방향족 디올, 방향족 하이드록시아민 및 방향족 디아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화합물을 중합 (중축합) 시켜 이루어지는 것, 복수 종의 방향족 하이드록시카르복실산을 중합시켜 이루어지는 것, 방향족 디카르복실산과 방향족 디올, 방향족 하이드록시아민 및 방향족 디아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화합물을 중합시켜 이루어지는 것,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와 방향족 하이드록시카르복실산을 중합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방향족 하이드록시카르복실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방향족 디올, 방향족 하이드록시아민 및 방향족 디아민은, 각각 독립적으로 그 일부 또는 전부 대신에 그 중합 가능한 유도체가 사용되어도 된다.
방향족 하이드록시카르복실산 및 방향족 디카르복실산과 같은 카르복실기를 갖는 화합물의 중합 가능한 유도체의 예로는, 카르복실기를 알콕시카르보닐기 또는 아릴옥시카르보닐기로 변환하여 이루어지는 것, 카르복실기를 할로포르밀기로 변환하여 이루어지는 것, 및 카르복실기를 아실옥시카르보닐기로 변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방향족 하이드록시카르복실산, 방향족 디올 및 방향족 하이드록시아민과 같은 하이드록실기를 갖는 화합물의 중합 가능한 유도체의 예로는, 하이드록실기를 아실화하여 아실옥실기로 변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방향족 하이드록시아민 및 방향족 디아민과 같은 아미노기를 갖는 화합물의 중합 가능한 유도체의 예로는, 아미노기를 아실화하여 아실아미노기로 변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액정 폴리에스테르로는, 수증기 배리어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하기 식 (1) 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 (이하, 반복 단위 (1) 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와, 하기 식 (2) 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 (이하, 반복 단위 (2) 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와, 하기 식 (3) 으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 (이하, 반복 단위 (3) 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O-Ar1-CO- (1)
-CO-Ar2-CO- (2)
-O-Ar3-O- (3)
(Ar1 은 2,6-나프틸렌기, 1,4-페닐렌기 또는 4,4'-비페닐리렌기를 나타낸다. Ar2 및 Ar3 은 각각 독립적으로 2,6-나프틸렌기, 1,4-페닐렌기, 1,3-페닐렌기 또는 4,4'-비페닐리렌기를 나타낸다. Ar1, Ar2 또는 Ar3 으로 나타내는 상기 기에 있는 수소 원자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 탄소수 1 ∼ 10 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 20 의 아릴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할로겐 원자로는,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및 요오드 원자를 들 수 있다. 상기 알킬기의 예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s-부틸기, t-부틸기, n-헥실기, 2-에틸헥실기, n-옥틸기 및 n-데실기를 들 수 있고, 그 탄소수는, 통상적으로 1 ∼ 10 이다. 상기 아릴기의 예로는, 페닐기, o-톨릴기, m-톨릴기, p-톨릴기, 1-나프틸기 및 2-나프틸기를 들 수 있고, 그 탄소수는, 통상적으로 6 ∼ 20 이다. 상기 수소 원자가 이들 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는 경우, 그 수는, Ar1, Ar2 또는 Ar3 으로 나타내는 상기 기마다 각각 독립적으로 통상적으로 2 개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 개 이하이다.
반복 단위 (1) 은, 소정의 방향족 하이드록시카르복실산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이다. 반복 단위 (1) 로는, Ar1 이 2,6-나프틸렌기인 것, 즉 6-하이드록시-2-나프토산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가 바람직하다.
반복 단위 (2) 는, 소정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이다. 반복 단위 (2) 로는, Ar2 가 2,6-나프틸렌기인 것, 즉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 및 Ar2 가 1,4-페닐렌기인 것, 즉 테레프탈산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가 바람직하다.
반복 단위 (3) 은, 소정의 방향족 디올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이다. 반복 단위 (3) 으로는, Ar3 이 1,4-페닐렌기인 것, 즉 하이드로퀴논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 및 Ar3 이 4,4'-비페닐리렌기인 것, 즉 4,4'-디하이드록시비페닐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가 바람직하다.
액정 폴리에스테르 중에서 2,6-나프틸렌기를 함유하는 반복 단위의 함유량, 즉, Ar1 이 2,6-나프틸렌기인 반복 단위 (1), Ar2 가 2,6-나프틸렌기인 반복 단위 (2), 및 Ar3 이 2,6-나프틸렌기인 반복 단위 (3) 의 합계 함유량은, 전체 반복 단위의 합계량 (액정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각 반복 단위의 질량을 각 반복 단위의 식량으로 나눔으로써, 각 반복 단위의 물질량 상당양 (몰) 을 구하고, 그것들을 합계한 값) 에 대해 40 몰% 이상이다. 이로써, 액정 폴리에스테르층의 수증기 배리어성을 높일 수 있다. 이 2,6-나프틸렌기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0 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몰% 이상이다.
또, 액정 폴리에스테르 중에서 반복 단위 (1) 의 함유량은, 전체 반복 단위의 합계량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30 ∼ 80 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70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 65 몰% 이고, 반복 단위 (2) 의 함유량은, 전체 반복 단위의 합계량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0 ∼ 35 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30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17.5 ∼ 27.5 몰% 이고, 반복 단위 (3) 의 함유량은, 전체 반복 단위의 합계량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0 ∼ 35 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30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17.5 ∼ 27.5 몰% 이다. 이와 같은 소정의 반복 단위 조성을 갖는 액정 폴리에스테르는, 내열성과 성형성의 밸런스가 우수하다. 또한, 반복 단위 (2) 의 함유량과 반복 단위 (3) 의 함유량은 실질적으로 동등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액정 폴리에스테르는, 필요에 따라 반복 단위 (1) ∼ (3) 이외의 반복 단위를 갖고 있어도 되지만, 그 함유량은 전체 반복 단위의 합계량에 대해 통상적으로 10 몰% 이하, 바람직하게는 5 몰% 이하이다.
내열성이나 용융 장력이 높은 액정 폴리에스테르의 전형적인 예는, 전체 반복 단위의 합계량에 대해, Ar1 이 2,6-나프틸렌기인 반복 단위 (1), 즉 6-하이드록시-2-나프토산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를 바람직하게는 40 ∼ 74.8 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64.5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58 몰% 갖고, Ar2 가 2,6-나프틸렌기인 반복 단위 (2), 즉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를 바람직하게는 12.5 ∼ 30 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17.5 ∼ 30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25 몰% 갖고, Ar2 가 1,4-페닐렌기인 반복 단위 (2), 즉 테레프탈산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를, 바람직하게는 0.2 ∼ 15 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12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10 몰% 갖고, Ar3 이 1,4-페닐렌기인 반복 단위 (3), 즉 하이드로퀴논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를 바람직하게는 12.5 ∼ 30 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17.5 ∼ 30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25 몰% 갖고, 또한 Ar2 가 2,6-나프틸렌기인 반복 단위 (2) 의 함유량이, Ar2 가 2,6-나프틸렌기인 반복 단위 (2) 및 Ar2 가 1,4-페닐렌기인 반복 단위 (2) 의 합계 함유량 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5 몰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6 몰배 이상인 것이다.
액정 폴리에스테르는, 반복 단위 (1) 을 부여하는 모노머, 즉 소정의 방향족 하이드록시카르복실산과, 반복 단위 (2) 를 부여하는 모노머, 즉 소정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과 반복 단위 (3) 을 부여하는 모노머, 즉 소정의 방향족 디올을 2,6-나프틸렌기를 갖는 모노머의 합계량, 즉 6-하이드록시-2-나프토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및 2,6-나프탈렌디올의 합계량이, 전체 모노머의 합계량에 대해 40 몰% 이상이 되도록 하여 중합 (중축합) 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그 때, 방향족 하이드록시카르복실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방향족 디올 각각의 일부 또는 전부 대신에 그 중합 가능한 유도체를 사용해도 된다. 방향족 하이드록시카르복실산 및 방향족 디카르복실산과 같은 카르복실기를 갖는 화합물의 중합 가능한 유도체의 예로는, 카르복실기를 알콕시카르보닐기나 아릴옥시카르보닐기로 변환하여 이루어지는 것, 카르복실기를 할로포르밀기로 변환하여 이루어지는 것, 카르복실기를 아실옥시카르보닐기로 변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방향족 하이드록시카르복실산 및 방향족 디올과 같은 하이드록실기를 갖는 화합물의 중합 가능한 유도체의 예로는, 하이드록실기를 아실화하여 아실옥실기로 변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또, 액정 폴리에스테르는, 모노머를 용융 중합시키고, 얻어진 중합물 (프레폴리머) 을 고상 중합시킴으로써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내열성이나 용융 장력이 높은 액정 폴리에스테르를 조작성 양호하게 제조할 수 있다. 용융 중합은, 촉매의 존재 하에 실시해도 되고, 이 촉매의 예로는 아세트산마그네슘, 아세트산제1주석, 테트라부틸티타네이트, 아세트산납, 아세트산나트륨, 아세트산칼륨, 삼산화안티몬 등의 금속 화합물이나, N,N-디메틸아미노피리딘, N-메틸이미다졸 등의 함질소 복소 고리형 화합물을 들 수 있고, 함질소 복소 고리형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액정 폴리에스테르는, 그 유동 개시 온도가 바람직하게는 28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9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95 ℃ 이상이고, 또 통상적으로 380 ℃ 이하, 바람직하게는 350 ℃ 이하이다. 유동 개시 온도가 높을수록 내열성이나 용융 장력이 향상되기 쉽지만, 지나치게 높으면 용융시키기 위해 고온을 필요로 하고, 성형시에 열 열화되기 쉬워진다.
또한, 유동 개시 온도는, 플로우 온도 또는 유동 온도라고도 불리며, 내경 1 ㎜, 길이 10 ㎜ 의 노즐을 갖는 모세관 레오미터를 사용하여, 9.8 ㎫ (100 ㎏/㎠) 의 하중 하에서, 4 ℃/분의 승온 속도로 액정 폴리에스테르의 가열 용융체를 노즐로부터 밀어낼 때, 용융 점도가 4800 ㎩ㆍs (48,000 포이즈) 를 나타내는 온도로, 액정 폴리에스테르의 분자량의 기준이 되는 것이다 (코이데 나오유키 편찬, 「액정 폴리머-합성ㆍ성형ㆍ응용-」, 주식회사 CMC, 1987년 6월 5일, p.95 참조).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액정 폴리에스테르는, 수증기 배리어성이 우수하고, 두께 50 ㎛ 의 필름으로 했을 때의 온도 40 ℃ 및 상대 습도 90 % 에서 측정되는 수증기 투과도가, 통상적으로 0.1 g/㎡ㆍ24 h 이하, 바람직하게는 0.05 g/㎡ㆍ24 h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g/㎡ㆍ24 h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5 g/㎡ㆍ24 h 이하가 된다.
액정 폴리에스테르에는 필요에 따라 다른 성분을 배합하여 조성물로 해도 된다. 다른 성분의 예로는, 충전재, 액정 폴리에스테르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 및 첨가제를 들 수 있다. 조성물 전체에서 차지하는 액정 폴리에스테르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상이다.
충전재의 예로는, 밀드 글라스 파이버, ?드 글라스 파이버 등의 유리 섬유, 티탄산칼륨 위스커, 알루미나 위스커, 붕산알루미늄 위스커, 탄화규소 위스커, 질화규소 위스커 등의 금속 또는 비금속계 위스커류, 유리 비드, 중공 유리구(球), 유리 분말, 마이카, 탤크, 클레이, 실리카, 알루미나, 티탄산칼륨, 월라스토나이트, 탄산칼슘 (중질, 경질, 교질 등), 탄산마그네슘, 염기성 탄산마그네슘, 황산소다, 황산칼슘, 황산바륨, 아황산칼슘,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칼슘, 규산칼슘, 규사, 규석, 석영, 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철, 그라파이트, 몰리브덴, 아스베스토스, 실리카알루미나 섬유, 알루미나 섬유, 석고 섬유, 탄소 섬유, 카본 블랙, 화이트 카본, 규조토, 벤토나이트, 세리사이트, 시라스 및 흑연을 들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그들의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 중에서도, 유리 섬유, 마이카, 탤크 및 탄소 섬유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충전재는, 필요에 따라 표면 처리된 것이어도 되고, 이 표면 처리제의 예로는, 실란계 커플링제, 티타네이트계 커플링제, 보란계 커플링제 등의 반응성 커플링제, 및 고급 지방산,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고급 지방산 금속염, 플루오로카본계 계면 활성제 등의 윤활제를 들 수 있다.
충전재의 배합량은, 액정 폴리에스테르 100 질량부에 대해, 통상적으로 0.1 ∼ 20 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5 ∼ 15 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10 질량부이다.
액정 폴리에스테르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의 예로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술폰, 폴리페닐렌술파이드,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에테르케톤 및 폴리에테르이미드 수지를 들 수 있다.
첨가제의 예로는, 불소 수지, 금속 비누류 등의 이형 (離型) 개량제, 핵제, 산화 방지제, 안정제, 가소제, 활제, 착색 방지제, 착색제, 자외선 흡수제, 대전 방지제, 윤활제 및 난연제를 들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액정 폴리에스테르 또는 그 조성물을 필름화함으로써, 본 발명의 유기 EL 용 기판의 액정 폴리에스테르층 (23) 이 되는 액정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을 수 있다. 필름화의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압출 성형법, 프레스 성형법, 용액 유연법 (流延法) 및 사출 성형법을 들 수 있고, 압출 성형법이 바람직하다. 압출 성형법으로는, 예를 들어 T 다이법이나 인플레이션법을 들 수 있고, T 다이법에 있어서 1 축 연신해도 되고, 2 축 연신해도 된다.
1 축 연신 필름의 연신 배율 (드래프트비) 은, 통상적으로 1.1 ∼ 40, 바람직하게는 10 ∼ 40,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35 이다. 2 축 필름의 MD 방향 (압출 방향) 의 연신 배율은, 통상적으로 1.2 ∼ 40 배이고, 2 축 필름의 TD 방향 (압출 방향에 수직인 방향) 의 연신 배율은, 통상적으로 1.2 ∼ 20 배이다. 인플레이션 필름의 MD 방향의 연신 배율 (드로우 다운비=버블 인취 속도/수지 토출 속도) 은, 통상적으로 1.5 ∼ 50, 바람직하게는 5 ∼ 30 이고, 인플레이션 필름의 TD 의 연신 배율 (블로우비=버블 직경/고리형 슬릿 직경) 은, 통상적으로 1.5 ∼ 10, 바람직하게는 2 ∼ 5 이다.
액정 폴리에스테르층 (23) 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 ∼ 50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250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200 ㎛ 이다. 지나치게 얇으면 강도가 불충분해지고, 지나치게 두꺼우면 플렉시블성이 불충분해진다.
액정 폴리에스테르층 (23) 은, 수증기 배리어성이 우수하고, 온도 40 ℃ 및 상대 습도 90 % 에서 측정되는 수증기 투과도가, 통상적으로 0.1 g/㎡ㆍ24 h 이하, 바람직하게는 0.05 g/㎡ㆍ24 h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g/㎡ㆍ24 h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5 g/㎡ㆍ24 h 이하가 된다.
액정 폴리에스테르층 (23) 에는, 그 적어도 일방의 면 상에, 수증기 배리어층 (24) 이 형성되어도 된다. 즉, 액정 폴리에스테르층 (23) 이 되는 액정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그 적어도 일방의 면 상에, 수증기 배리어층 (24) 을 형성하여 적층 필름으로 해도 된다. 또한, 도 2 의 예에서는, 액정 폴리에스테르층 (23) 의 이측에 수증기 배리어층 (24) 이 형성되어 있지만, 액정 폴리에스테르층 (23) 의 표측 (表側) 에 형성되어도 되고, 액정 폴리에스테르층 (23) 의 표측과 이측에 형성되어도 된다.
수증기 배리어층 (24) 을 구성하는 물질로는, 알루미늄, 규소, 티탄, 크롬, 철, 코발트, 니켈, 구리, 아연, 은 및 금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원소의 단체 (單體), 산화물, 질화물 및 산질화물이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 그들의 2 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수증기 배리어층 (24) 의 형성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증착법, 스퍼터링법, 이온 플레이팅법 등의 PVD 법, 플라스마 CVD 법, 열 CVD 법, 레이저 CVD 법 등의 CVD 법, 및 졸-겔법, 도금법, 도포법 등의 웨트법을 들 수 있다. 또, 별도로 조제 내지 입수한 박을 액정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첩합 (貼合) 시켜도 된다.
수증기 배리어층 (24) 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 ∼ 2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100 ㎚ 이다. 지나치게 얇으면 수증기 배리어성이 불충분해지고, 지나치게 두꺼우면 플렉시블성이 불충분해진다.
이렇게 하여 구성되는 액정 폴리에스테르층 (23) 과 수증기 배리어층 (24) 의 적층체는 수증기 배리어성이 우수하고, 온도 40 ℃ 및 상대 습도 90 % 에서 측정되는 수증기 투과도가, 통상적으로 0.005 g/㎡ㆍ24 h 이하, 바람직하게는 0.001 g/㎡ㆍ24 h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5 g/㎡ㆍ24 h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1 g/㎡ㆍ24 h 이하가 된다.
액정 폴리에스테르층 (23) 의 이측에는, 백색 안료 함유층 (26) 이 형성된다. 이로써, 내후성이 우수한 유기 EL 용 기판 (2) 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2 의 예에서는, 접착층 (25) 을 개재하여 백색 안료 함유층 (26) 이 형성되어 있지만, 접착층 (25) 을 개재하지 않고, 예를 들어 열 융착에 의해 백색 안료 함유층 (26) 이 형성되어도 된다.
백색 안료 함유층 (26) 에 함유되는 백색 안료로는, 염기성 탄산납 (2PbCO3ㆍPb(OH)2 (연백 (鉛白)) 등), 염기성 황산납 (2PbSO4ㆍPb(OH)2 등), 염기성 규산납 (Pb2SiO4ㆍPb(OH)2 등), 아연화 (亞鉛華) (ZnO (산화아연)), 황화아연, 리토폰 (황화아연과 황산바륨의 혼합물), 삼산화안티몬 및 산화티탄이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 그들의 2 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백색 안료 함유층 (26) 은, 백색 안료를 함유하는 수지 필름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수지 필름, 즉 백색 안료 함유층 (26) 에 함유되는 수지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등의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백색 안료 함유층 중의 백색 안료의 함유량은, 백색 안료 함유층의 전체량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5 ∼ 9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80 질량% 이다. 또, 백색 안료 함유층 (56) 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 ∼ 5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400 ㎛ 이다.
액정 폴리에스테르층 (23) 의 표측에는, 의장성을 부여하기 위해 다른 수지층,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층 (21) 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도 2 의 예에서는, 접착층 (22) 을 개재하여 폴리올레핀층 (21) 이 형성되어 있지만, 접착층 (22) 을 개재하지 않고, 예를 들어 열 융착에 의해 폴리올레핀층 (21) 이 형성되어도 된다.
폴리올레핀층 (21) 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보다 바람직하게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더욱 바람직하게는 직사슬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이다. 폴리올레핀층 (21) 은, 폴리올레핀 필름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의장성을 부여하기 위해 폴리올레핀층 (21) 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폴리올레핀 필름, 즉 폴리올레핀층 (21) 에 원하는 색의 안료나 염료를 함유시키면 된다. 폴리올레핀층 (21) 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 ∼ 2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100 ㎛ 이다.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유기 EL 용 기판은,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위에 1 쌍의 전극 (4A, 4B) 이 배치되고, 이 1 쌍의 전극 (4A, 4B) 사이에 유기 EL 층 (5) 이 배치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기 EL 용 기판 (2) 이, 액정 폴리에스테르층 (23) 의 일방의 면 상에만 수증기 배리어층 (24) 을 갖는 경우, 액정 폴리에스테르층 (23) 의 수증기 배리어층 (24) 이 배치된 면과는 반대측의 면 상에 1 쌍의 전극 (4A, 4B) 및 유기 EL 층 (5) 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 에서는, 유기 EL 용 기판 (2) 상에, 음극 (4A), 유기 EL 층 (5) 및 양극 (4B) 이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지만, 유기 EL 용 기판 (2) 상에, 양극 (4B), 유기 EL 층 (5) 및 음극 (4A) 이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 도 1 에서는, 유기 EL 층 (5) 이 발광층 (5b) 과, 그 음극 (4A) 측에 배치된 전자 수송층 (5a) 과, 그 양극 (4B) 측에 배치된 정공 수송층 (5c) 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발광층 (5b) 및 전자 수송층 (5a) 대신에, 양자의 기능을 구비하는 발광층 겸 전자 수송층을 가져도 되고, 발광층 (5b) 및 정공 수송층 (5c) 대신에 양자의 기능을 구비하는 발광층 겸 정공 수송층을 가져도 된다.
발광층 (5b) 의 재료는 고분자형이어도 되고, 저분자형이어도 된다. 또, 음극 (4A) 및 양극 (4B) 의 재료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루미늄, 구리 등의 금속이어도 되고, 인듐주석옥사이드, 아연주석옥사이드 등의 금속 산화물이어도 되지만, 발광층 (5b) 으로부터 발해지는 광을 투과시키기 위해, 적어도 일방에 투명성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유기 EL 용 기판 (2) 은, 액정 폴리에스테르층을 갖고, 통상적으로 투명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것을 기판으로 하는 유기 EL 소자 (1) 는, 발광층 (5b) 으로부터 유기 EL 용 기판 (2) 과는 반대측의 방향으로 광이 발해지는 톱 이미션 타입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유기 EL 소자 (1) 가 톱 이미션 타입인 경우, 발광층 (5b) 을 기준으로 유기 EL 용 기판 (2) 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전극 (도 1 에서는 양극 (4B)) 에 투명성이 요구되고, 그 위에 배치되는 봉지층 (6) 에도 투명성이 요구된다.
봉지층 (6) 으로는, 수증기 배리어성 면에서는 유리판이 바람직하지만, 플렉시블성 면에서는 수지 필름이 바람직하다. 봉지재 (3) 로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봉지층 (6) 으로서 유리판이나 수지 필름과 같은 판상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자외선 경화형 수지와 같은 봉지재로 1 쌍의 전극 및 유기 EL 층을 덮어도 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유기 EL 소자는, 기판으로서, 내후성이 우수한 본 발명의 유기 EL 용 기판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반사광에 의해 이측으로부터 장기간에 걸쳐 광 조사를 받아도 잘 휘어지지 않아 벗겨지거나 찢어지거나 하기 어렵다.
실시예
[유동 개시 온도의 측정]
플로우 테스터 ((주) 시마즈 제작소 제조의 「CFT-500 형」) 를 사용하여, 시료 약 2 g 을 내경 1 ㎜, 길이 10 ㎜ 의 다이스를 장착한 모세관형 레오미터에 충전하고, 9.8 ㎫ (100 kgf/㎠) 의 하중 하에서, 승온 속도 4 ℃/분으로 시료를 용융시키면서 압출하여, 용융 점도가 4800 ㎩ㆍs (48000 포이즈) 를 나타내는 온도를 측정하였다.
[수증기 배리어성의 평가]
JIS K 7129 C 법에 준거하여, 가스 투과율ㆍ투습도 측정 장치 (GTR 텍 (주) 의 「GTR-30X」) 에 의해, 온도 40 ℃, 상대 습도 90 % 의 조건에서 수증기 투과도를 측정하였다.
[내후성의 평가]
촉진 내광성 시험기 (스가 시험기 (주) 의 「강에너지 크세논 웨더 미터 SC700-WN」) 를 사용하여, 백 시트에 다음 조건에서 크세논 조사를 실시하고, 백 시트의 외관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파장:275 ㎚ 이상의 연속광 (필터에 의해 단파장측을 차단)
강도:160 W/㎡ (램프 출력)
온도:65 ℃ (조사면과 동일 위치의 플랫 패널 온도계에 의해 측정)
시간:60 시간
제조예 1(1)
교반 장치, 토크 미터, 질소 가스 도입관, 온도계 및 환류 냉각기를 구비한 반응기에, 6-하이드록시-2-나프토산 1034.99 g (5.5 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378.33 g (1.75 몰), 테레프탈산 83.07 g (0.5 몰), 하이드로퀴논 272.52 g (2.475 몰: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및 테레프탈산의 합계량에 대해 0.225 몰 과잉), 무수 아세트산 1226.87 g (12 몰) 및 촉매로서 1-메틸이미다졸 0.17 g 을 넣고, 반응기 내의 가스를 질소 가스로 치환한 후, 질소 가스 기류 하에 교반하면서, 실온에서부터 145 ℃ 까지 15 분에 걸쳐 승온시키고, 145 ℃ 에서 1 시간 환류시켰다. 이어서, 부생 아세트산 및 미반응의 무수 아세트산을 증류 제거하면서, 145 ℃ 에서부터 310 ℃ 까지 3 시간 30 분에 걸쳐 승온시키고, 310 ℃ 에서 3 시간 유지한 후, 내용물을 꺼내 실온까지 냉각시켰다. 얻어진 고형물을 분쇄기로 입경 약 0.1 ∼ 1 ㎜ 로 분쇄 후, 질소 분위기 하, 실온에서부터 250 ℃ 까지 1 시간에 걸쳐 승온시키고, 250 ℃ 에서부터 310 ℃ 까지 10 시간에 걸쳐 승온시키고, 310 ℃ 에서 5 시간 유지함으로써 고상 중합을 실시하였다. 고상 중합 후, 냉각시켜 분말상의 액정 폴리에스테르를 얻었다. 이 액정 폴리에스테르는, 전체 반복 단위의 합계량에 대해, Ar1 이 2,6-나프틸렌기인 반복 단위 (1) 을 55 몰%, Ar2 가 2,6-나프틸렌기인 반복 단위 (2) 를 17.5 몰%, Ar2 가 1,4-페닐렌기인 반복 단위 (2) 를 5 몰% 및 Ar3 이 1,4-페닐렌기인 반복 단위 (3) 을 22.5 % 갖고, 그 유동 개시 온도는 333 ℃ 였다.
제조예 2(1)
제조예 1 과 동일한 반응기에, p-하이드록시벤조산 911 g (6.6 몰), 이소프탈산 91 g (0.55 몰), 테레프탈산 274 g (1.65 몰), 4,4'-디하이드록시비페닐 409 g (2.2 몰), 무수 아세트산 1235 g (12.1 몰) 및 촉매로서 1-메틸이미다졸 0.17 g 을 넣고, 반응기 내의 가스를 질소 가스로 치환한 후, 질소 가스 기류 하에 교반하면서, 실온에서부터 150 ℃ 까지 15 분에 걸쳐 승온시키고, 150 ℃ 에서 1 시간 환류시켰다. 이어서, 1-메틸이미다졸 1.7 g 을 첨가한 후, 부생 아세트산 및 미반응의 무수 아세트산을 증류 제거하면서, 150 ℃ 에서부터 320 ℃ 까지 2 시간 50 분에 걸쳐 승온시키고, 토크의 상승이 관찰된 시점에서 내용물을 꺼내 실온까지 냉각시켰다. 얻어진 고형물을 분쇄기로 입경 약 0.1 ∼ 1 ㎜ 로 분쇄 후, 질소 분위기 하에 실온에서부터 250 ℃ 까지 1 시간에 걸쳐 승온시키고, 250 ℃ 에서부터 285 ℃ 까지 5 시간에 걸쳐 승온시키고, 285 ℃ 에서 3 시간 유지함으로써 고상 중합을 실시하였다. 고상 중합 후, 냉각시켜 분말상의 액정 폴리에스테르를 얻었다. 이 액정 폴리에스테르의 유동 개시 온도는 327 ℃ 였다.
제조예 1(2)
제조예 1(1) 에서 얻어진 액정 폴리에스테르를, 2 축 압출기 ((주) 이케가이의 「PCM-30」) 로 조립 (造粒) 하여 펠릿상으로 한 후, 1 축 압출기 (스크루 직경 50 ㎜) 에 공급하여 용융시키고, T 다이 (립 길이 300 ㎜, 립 클리어런스 1 ㎜, 다이 온도 350 ℃) 로부터 필름상으로 압출하고 냉각시켜, 두께 50 ㎛ 의 액정 폴리에스테르를 얻었다. 이 액정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수증기 투과도는, 0.0030 g/㎡ㆍ24 h 였다.
제조예 2(2)
제조예 2(1) 에서 얻어진 액정 폴리에스테르를, 2 축 압출기 ((주) 이케가이의 「PCM-30」) 로 조립하여 펠릿상으로 한 후, 1 축 압출기 (스크루 직경 50 ㎜) 에 공급하여 용융시키고, T 다이 (립 길이 300 ㎜, 립 클리어런스 1 ㎜, 다이 온도 350 ℃) 로부터 필름상으로 압출하고 냉각시켜, 두께 50 ㎛ 의 액정 폴리에스테르를 얻었다. 이 액정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수증기 투과도는, 0.080 g/㎡ㆍ24 h 였다.
제조예 1(3)
제조예 1(2) 에서 얻어진 액정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편면에, 가스 배리어층으로서 두께 20 ㎚ 의 알루미늄 산화물 박막을 형성하여 적층 필름을 얻었다. 이 적층 필름의 수증기 투과도는, 0.0001 g/㎡ㆍ24 h 미만 (검출 하한값 미만) 이었다.
제조예 2(3)
제조예 2(2) 에서 얻어진 액정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편면에, 가스 배리어층으로서 두께 20 ㎚ 의 알루미늄 산화물 박막을 형성하여 적층 필름을 얻었다. 이 적층 필름의 수증기 투과도는, 0.0020 g/㎡ㆍ24 h 였다.
실시예 1
두께 250 ㎛ 의 백색 PET 필름 (토오레 (주) 의 「루미라 E20」:산화티탄 함유) 의 편면에 우레탄계 접착제 (미츠이 타케다 케미컬 (주):주제 (主劑) 「타케락 A511」/경화제 「A50」=10/1 (질량비)) 를 도포하고, 제조예 1(2) 에서 얻어진 액정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첩합시켜 적층 필름을 얻었다. 이어서, 이 적층 필름의 액정 폴리에스테르 필름면에 우레탄계 접착제 (상동) 를 도포하고, 두께 50 ㎛ 의 LLDPE 필름을 첩합시켜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백 시트에 대하여, 백색 PET 필름측으로부터 크세논 조사함으로써 내후성을 평가한 결과, 휨 등의 형상 변화나 찢어짐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2
두께 250 ㎛ 의 백색 PET 필름 (토오레 (주) 의 「루미라 E20」:산화티탄 함유) 의 편면에 우레탄계 접착제 (미츠이 타케다 케미컬 (주):주제 「타케락 A511」/경화제 「A50」=10/1 (질량비)) 를 도포하고, 제조예 2(2) 에서 얻어진 액정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첩합시켜 적층 필름을 얻었다. 이어서, 이 적층 필름의 액정 폴리에스테르 필름면에 우레탄계 접착제 (상동) 를 도포하고, 두께 50 ㎛ 의 LLDPE 필름을 첩합시켜 백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 필름에 대하여, 백색 PET 필름측으로부터 크세논 조사함으로써 내후성을 평가한 결과, 휨 등의 형상 변화나 찢어짐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3
두께 250 ㎛ 의 백색 PET 필름 (토오레 (주) 의 「루미라 E20」:산화티탄 함유) 의 편면에 우레탄계 접착제 (미츠이 타케다 케미컬 (주):주제 「타케락 A511」/경화제 「A50」=10/1 (질량비)) 를 도포하고, 제조예 1(2) 에서 얻어진 액정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첩합시켜 적층 필름을 얻었다. 이어서, 이 적층 필름의 액정 폴리에스테르 필름면에 우레탄계 접착제 (미츠이 타케다 케미컬 (주):주제 「타케락 A511」/경화제 「A50」=10/1 (질량비)) 를 도포하고, 제조예 1(2) 에서 얻어진 액정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첩합시켰다. 추가로, 이 적층 필름의 액정 폴리에스테르 필름면에 우레탄계 접착제 (상동) 를 도포하고, 두께 50 ㎛ 의 LLDPE 필름을 첩합시켜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 필름에 대하여, 백색 PET 필름측으로부터 크세논 조사함으로써 내후성을 평가한 결과, 휨 등의 형상 변화나 찢어짐은 관찰되지 않았다.
1 : 유기 EL 소자,
2 : 기판,
3 : 봉지재,
4A : 음극,
4B : 양극,
5 : 유기 EL 층,
5a : 전자 수송층,
5b : 발광층,
5c : 정공 수송층,
6 : 봉지층,
21 : 폴리올레핀층,
22 : 접착층,
23 : 액정 폴리에스테르층,
24 : 수증기 배리어층,
25 : 접착층,
26 : 백색 안료 함유층.

Claims (12)

  1. 액정 폴리에스테르층의 이측 (裏側) 에, 백색 안료 함유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유기 EL 용 기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폴리에스테르층이, 하기 식 (1) 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와, 하기 식 (2) 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와, 하기 식 (3) 으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를 갖고, 2,6-나프틸렌기를 함유하는 반복 단위의 함유량이, 전체 반복 단위의 합계량에 대해 40 몰% 이상인 액정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되는 층인, 유기 EL 용 기판.
    -O-Ar1-CO- (1)
    -CO-Ar2-CO- (2)
    -O-Ar3-O- (3)
    (Ar1 은 2,6-나프틸렌기, 1,4-페닐렌기 또는 4,4'-비페닐리렌기를 나타낸다. Ar2 및 Ar3 은 각각 독립적으로 2,6-나프틸렌기, 1,4-페닐렌기, 1,3-페닐렌기 또는 4,4'-비페닐리렌기를 나타낸다. Ar1, Ar2 또는 Ar3 으로 나타내는 상기 기에 있는 수소 원자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 알킬기 또는 아릴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폴리에스테르층의 온도 40 ℃ 및 상대 습도 90 % 에서 측정되는 수증기 투과도가, 0.1 g/㎡ㆍ24 h 이하인, 유기 EL 용 기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폴리에스테르층의 두께가, 5 ∼ 500 ㎛ 인, 유기 EL 용 기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안료 함유층이, 염기성 탄산납, 염기성 황산납, 염기성 규산납, 아연화, 황화아연, 리토폰, 삼산화안티몬 및 산화티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백색 안료를 함유하는 층인, 유기 EL 용 기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안료 함유층이, 폴리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층인, 유기 EL 용 기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폴리에스테르층의 적어도 일방의 면 상에, 수증기 배리어층이 형성되어 있는, 유기 EL 용 기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 배리어층이, 알루미늄, 규소, 티탄, 크롬, 철, 코발트, 니켈, 구리, 아연, 은 및 금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원소의 단체, 상기 원소의 산화물, 상기 원소의 질화물 그리고 상기 원소의 산질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물질로 구성되는 층인, 유기 EL 용 기판.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 배리어층의 두께가, 5 ∼ 250 ㎚ 인, 유기 EL 용 기판.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폴리에스테르층의 표측 (表側) 에, 폴리올레핀층이 형성되어 있는, 유기 EL 용 기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층의 두께가, 5 ∼ 200 ㎚ 인, 유기 EL 용 기판.
  12. 제 1 항에 기재된 유기 EL 용 기판과, 상기 유기 EL 용 기판 상에 배치된 1 쌍의 전극과, 상기 1 쌍의 전극 사이에 배치된 유기 EL 층을 갖는, 유기 EL 소자.
KR1020137024421A 2011-02-16 2012-02-14 유기 el 용 기판 및 유기 el 소자 KR201400093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30912A JP2012169208A (ja) 2011-02-16 2011-02-16 有機el用基板及び有機el素子
JPJP-P-2011-030912 2011-02-16
PCT/JP2012/053387 WO2012111662A1 (ja) 2011-02-16 2012-02-14 有機el用基板及び有機el素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9360A true KR20140009360A (ko) 2014-01-22

Family

ID=46672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4421A KR20140009360A (ko) 2011-02-16 2012-02-14 유기 el 용 기판 및 유기 el 소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2169208A (ko)
KR (1) KR20140009360A (ko)
TW (1) TW201304226A (ko)
WO (1) WO201211166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8778A (ko) 2018-12-04 2020-06-16 (주) 존인피니티 전기자동차용 고용량 세라믹히터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5282A (ja) * 2000-05-08 2001-11-13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金属缶外面ラミネート用白色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239127B2 (ja) * 2005-04-18 2013-07-17 住友化学株式会社 表示素子用基板
JP2008053470A (ja) * 2006-08-24 2008-03-06 Toyo Aluminium Kk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裏面保護シートとそれを備え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09043967A (ja) * 2007-08-09 2009-02-26 Toppan Printing Co Ltd 太陽電池用裏面保護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08311680A (ja) * 2008-09-04 2008-12-25 Toray Ind Inc 太陽電池裏面封止用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
JP2010135782A (ja) * 2008-11-10 2010-06-17 Sumitomo Chemical Co Ltd 太陽電池
JP5376230B2 (ja) * 2009-06-30 2013-12-25 平岡織染株式会社 背面映写可能な産業資材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1040654A (ja) * 2009-08-17 2011-02-24 Sumitomo Chemical Co Ltd 太陽電池用バックシート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20130097205A (ko) * 2010-09-17 2013-09-02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적층 필름, 전극이 형성된 적층 필름 및 유기 el 소자
JP2012089597A (ja) * 2010-10-18 2012-05-10 Sumitomo Chemical Co Ltd 太陽電池用バックシート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8778A (ko) 2018-12-04 2020-06-16 (주) 존인피니티 전기자동차용 고용량 세라믹히터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169208A (ja) 2012-09-06
WO2012111662A1 (ja) 2012-08-23
TW201304226A (zh)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95681B (zh) A wholly aromatic thermotropic liquid crystal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 molded body, and an LED reflector
JP4701737B2 (ja) 芳香族液晶ポリエステル及びその用途
WO2011021543A1 (ja) 太陽電池用バックシート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5821454B2 (ja) 積層フィルム、電極付き積層フィルム及び有機el素子
WO2012053441A1 (ja) 太陽電池用バックシート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4639756B2 (ja) 芳香族液晶ポリエステルおよびそのフィルムならびにそれらの用途
WO2011071002A1 (ja) ラベル
KR102215676B1 (ko) 액정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KR20140009360A (ko) 유기 el 용 기판 및 유기 el 소자
JP2011157533A (ja) 液晶ポリエステル組成物及びそのフィルム
WO2012111661A1 (ja) タブ用キャリアテープ及びタブテープ
JP2012082857A (ja) 断熱体用外装フィルム及び断熱体
JP2012031396A (ja) 粘着テープおよび電気・電子機器デバイス
WO2012111660A1 (ja) 太陽電池用基板及び太陽電池素子
WO2012111641A1 (ja) Led用基板
WO2012105468A1 (ja) 積層シート及びその用途
JP2012167224A (ja) 中空樹脂筐体用樹脂組成物および中空樹脂筐体
JP2012081611A (ja) 離型フィルム
JP2012082254A (ja) 電池用外装フィルム及び電池
JP2013204027A (ja) 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