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8608A - 입자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표적 세포 분리 방법 - Google Patents

입자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표적 세포 분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8608A
KR20140008608A KR1020120074692A KR20120074692A KR20140008608A KR 20140008608 A KR20140008608 A KR 20140008608A KR 1020120074692 A KR1020120074692 A KR 1020120074692A KR 20120074692 A KR20120074692 A KR 20120074692A KR 20140008608 A KR20140008608 A KR 20140008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s
particle
particles
particle complex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4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헌주
오진미
이수석
이정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4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8608A/ko
Priority to US13/774,887 priority patent/US20140011192A1/en
Publication of KR20140008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86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86Measuring fluorescence of biological material, e.g. DNA, RNA,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1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the carrier being characterised by its particulate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12N15/115Aptamers, i.e. nucleic acids binding a target molecule specifically and with high affinity without hybridising therewith ; Nucleic acids binding to non-nucleic acids, e.g. aptam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54Immunoglobulins
    • G01N33/6857Antibody frag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310/00Structure or type of the nucleic acid
    • C12N2310/10Type of nucleic acid
    • C12N2310/16Aptam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표적 세포의 분리를 위한 입자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표적 세포 분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구체예에 따른 입자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표적 세포 분리 방법에 따르면, 표적 세포의 분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입자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표적 세포 분리 방법{Particle complex and method for separating target cell}
표적 세포의 분리를 위한 입자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표적 세포 분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포는 인체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단위로 각 기관에 따라 그 형태가 달라지게 된다. 조직의 경우 조직검사로 질병을 대부분 진단하지만 최근 세포검사의 정확성이 향상되면서 간편하고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게 되었다. 많은 환자들이 불필요한 조직검사를 피하면서 보다 정확한 진단 결과를 얻게 되어 세포 검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조직처럼 고형의 경우는 현미경 관찰을 통해 위치를 파악하여 세포를 분리할 수 있지만 액체(특히, 혈액) 내의 세포의 경우 다양한 세포의 복합체이기 때문에 원하는 표적 세포만을 분리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혈액과 같이 다양하고 다른 성질을 가진 세포들이 혼합되어 있는 시료 내에서 표적 세포만을 분리하거나 원하지 않는 세포를 제거하는 것은 세포의 계수를 하거나 세포의 형태, 특성을 파악하거나 면역분석(immunoassay)을 통해 세포의 표면 혹은 내부 단백질의 특이성을 보거나 단일 세포분석(single cell analysis) 및 유전자 분석(gene analysis)를 위해서 필수적인 요소이다.
특히, 최근에는 혈액 내 암세포의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악성 종양과 관련한 사망은 대부분 최초로 종양이 발생한 지점으로부터 떨어진 조직 및 기관으로의 전이(metastasis)에 의한다. 따라서, 전이를 조기에 발견하는 것은 암 환자의 생존 확률에 대한 중요한 결정 요소이며, 종양의 조기 발견 및 종양의 성장을 모니터링하는 것은 암 환자의 성공적인 치료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여겨진다. 암의 진단은 대체로 조직 병리학(histopathology)에 의한 진단 기법을 이용한다. 조직 병리학 진단 기법은 생검체로부터 얻어지는 조직 시료를 사용하여 종양을 진단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조직 병리학에 의한 접근 방법은 종양 세포를 직접적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생검체 시료를 얻기 위하여 선택한 조직의 위치에서 종양이 존재하는 여부가 부정확할 수 있으며, 생검체로부터 얻어지는 특정 지점에 관한 데이터만 제공하므로, 다른 지점으로 종양이 전이되었는지 여부를 아는데 한계가 있다는 점에서 종양을 진단하거나 모니터링하는데 있어서 그 적용 가능성이 제한될 수 있다.
혈중 종양 세포(circulating tumor cells, CTCs)는 최초로 종양이 검출되기 이전에 환자에게서 발견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CTC는 암의 조기 진단 및 예측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암은 대체로 혈액을 통해 전이된다는 점에서 혈중 종양 세포는 암의 전이 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표지가 될 수 있다. 또한, 수술을 통해 암 세포를 제거한 후에도 혈중 종양 세포가 발견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 암이 재발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혈중 종양 세포는 혈액 내에서 그 양이 매우 적고 세포 자체가 연약하여 이를 감지하고 그 수를 파악하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환자의 체내에 존재하는 혈중 종양 세포, 암 세포 또는 암 줄기 세포를 검출할 수 있는 높은 민감성을 나타내는 진단 방법이 여전히 필요며, 생물학적 시료 중에 포함된 종양 세포를 효율적으로 분리하는 방법 및 이와 관련된 장치가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혈중 종양 세포의 분리 기술은 혈중 종양 세포의 분석, 의학 연구, 제약 연구 및 질병 진단에 있어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그 응용 분야가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 구체예는 절단 가능한 링커, 표적 세포의 표면 마커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고분자를 포함하는 입자 복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구체예는 상기 입자 복합체를 이용하여 표적 세포를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상은 절단 가능한 링커가 입자의 표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절단 가능한 링커에 표적 세포의 표면 마커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고분자가 연결된 입자 복합체를 제공한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입자 복합체는 상기 표적 세포를 분리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표적 세포(target cell)"는 생물학적 시료 중에서 분리하고자 하는 세포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표적 세포는 세포 표면에 표면 마커를 갖는 세포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표적 세포는 혈중 종양 세포(circulating tumor cell), 암 줄기 세포, 면역 세포, 태아 줄기 세포, 태아 세포, 암 세포, 종양 세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용어, "표면 마커(surface marker)"는 상기 표적 세포의 표면에 존재하며, 표적 세포와 주변의 다른 세포를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든 물질로서, 단백질, 당, 지질, 핵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표면 마커는 표적 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어 세포막에 전시되는 단백질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에스트로겐 수용체(estrogen receptor), 프로게스테론 수용체(progesteron receptor), 시냅토피신(synaptophysin), 뮤신 1(mucin 1, MUC1), Bcl-2, MIB1/Ki67, 사이클린 D1(cyclin D1), 사이클린 E(cyclin E), p27, 토포이소머라아제 IIa(topoisomerase IIa), 사이클로옥시게나아제 2(cyclooxygenase 2), ERK1/ERK2, 포스포-S6 리보솜 단백질(phosphor-S6 ribosomal protein), CK5, CK8, CK17, 비멘틴(vimentin), EpCAM(epithelial cell adhesion molecule), c-Met, 시토케라틴(cytokeratines), Her2, EGFR, p53, p63, E-케드헤린(E-cadherin), 프라질 히스티딘 트리아드(fragile histidine triad), 프로테인 티로신 포스파타아제(protein tyrosine phosphatase), β-카테닌(β-catenin), p16, c-kit, 엔도테린-1(endothelin-1), 엔도테린 수용체-α(endothelin receptor-α), 엔도테린 수용체-β(endothelin receptor-β), 키모카인(CXC 모티프) 수용체 4(chemokine(CXC motif) receptor 4), 유방암 저항성 단백질(breast cancer resistance protein), ABCA3, MGMT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 "특이적 결합(specifically binding)"은 당업자에게 통상적으로 공지되어 있는 의미와 동일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항원 및 항체, 또는 앱타머 및 단백질이 특이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결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는 항체 또는 앱타머(aptamer)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입자 복합체는 절단 가능한 링커가 입자의 표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절단 가능한 링커가 절단됨으로써, 상기 입자 복합체와 특이적으로 결합한 표적 세포는 표적 세포를 포함하는 부분과 입자를 포함하는 부분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입자를 포함하는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표적 세포의 표면 관찰, 면역분석, 인 시투 혼성화 등의 후속 실험이 가능하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절단 가능한 링커는 빛에 의해 절단 가능한 화합물(photocleavable compound)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화합물은 2-니트로벤질 및 (카우마린-4-일)메틸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입자는 표면에 흡착 방지제가 코팅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흡착 방지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등의 친수성 폴리머, BSA, 카제인(carsein) 및 혈청 단백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입자 복합체는 상기 절단 가능한 링커 및 상기 고분자를 연결하는 protein G, protein L, protein A, protein LA, protein AG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백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백질은 면역글로불린의 중쇄 불변 영역에 결합하는 미생물 유래의 단백질로서, 항체의 정제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백질을 상기 절단 가능한 링커 및 항체와 연결함으로써, 상기 항체의 항체 결합 부위가 표적 세포의 표면 마커를 향하도록 방향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입자는 폴리머 입자, 라텍스 입자, 실리카 입자, 금속 입자, 유리 입자, 자성 입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입자의 성질(예를 들어, 자성, 밀도, 크기 등)에 따라 표적 세포를 다양한 방법에 의해 특이적으로 분리할 수 있으므로,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표적 세포를 고순도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입자는 분리하고자 하는 표적 세포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0 nm 내지 10 ㎛, 100 nm 내지 5 ㎛ 또는 1 ㎛ 내지 3 ㎛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상기 입자 복합체 및 표적 세포를 포함하는 생물학적 시료를 접촉시키는 단계; 표적 세포와 특이적으로 결합한 입자 복합체를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입자 복합체에 포함된 절단 가능한 링커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적 세포 분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표적 세포 분리 방법을 각각의 단계별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방법은, 상기 입자 복합체 및 표적 세포를 포함하는 생물학적 시료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상기 표적 세포가 존재할 수 있는 어떠한 생물학적 시료라도 가능하며, 예를 들어, 생검시료, 조직시료, 분리된 세포를 액체 매질에 현탁시킨 세포 현탁물, 세포 배양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동물의 체액일 수 있으며, 상기 체액은 혈액, 골수액, 림프액, 타액, 누액, 뇨, 점막액, 양수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혈중 종양 세포를 분리하기 위해, 혈액을 상기 생물학적 시료로써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접촉은 상기 생물학적 시료가 포함된 용액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용액은 생물학적 시료 및 상기 입자가 안정하게 반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완충액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용액은 예를 들어, PBS 또는 PBST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접촉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생물학적 시료를 전처리하여 상기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고분자 및 세포를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처리는 상기 시료로부터 상기 세포를 제외한 다른 물질을 감소 또는 제거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전처리는 원심분리, 여과,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와 같은 크로마토그래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생물학적 시료가 혈액인 경우, 전처리 과정을 통해 혈장을 제거하고, 혈액 내에 포함된 단백질 및 세포만을 상기 단계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단백질까지 제거하고 혈액 중에 존재하는 세포만을 상기 단계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세포는 표적 세포 및 생물학적 시료 중에 존재할 수 있는 기타의 세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표적 세포는 혈중 종양 세포(circulating tumor cell), 암 줄기 세포, 면역 세포, 태아 줄기 세포, 태아 세포, 암 세포 및 종양 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접촉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표적 세포와 결합하지 않은 상기 입자를 제거하기 위해 세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척은 세척 용액을 흘려 주는 것, 원심분리,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을 수행하여 상기 표적 세포와 결합한 입자 이외의 물질을 제거 또는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세척 용액은 물, 완충액(예, PBS), 생리 식염수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방법은 표적 세포와 특이적으로 결합한 입자 복합체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입자 복합체의 분리는 상기 입자 복합체를 구성하는 입자의 종류에 따라 다양할 수 있으며, 상기 분리하는 단계는 원심분리,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자성유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방법에 의해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입자 복합체에 포함된 절단 가능한 링커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절단 가능한 링커는 빛에 의해 절단 가능한 화합물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상기 입자 복합체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절단하는 단계는 상기 빛에 의해 절단 가능한 화합물의 종류에 따라 조사되는 빛의 파장이 달라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0 nm 내지 400 nm 또는, 340 nm 내지 370 nm 파장의 빛을 조사하여 상기 절단 가능한 링커를 절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절단하는 단계 이후에 절단된 입자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입자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표적 세포 분리 방법에 따르면, 표적 세포의 분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일 구체예에 따른 표적 세포를 분리하기 위한 입자 복합체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일 구체예에 따른 입자 복합체 및 유방암 세포의 결합 여부를 확인한 형광 현미경 사진이다. 도 2에서 (A)는 상기 입자 복합체가 결합하지 않은 SK-BR3의 DAPI 형광 영상이고, (B)는 상기 입자 복합체가 결합한 SK-BR3의 DAPI 형광 영상이다.
도 3은 일 구체예에 따른 입자 복합체가 유방암 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세포 표면을 커버한 비율에 따른 형광 세기의 증가 정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일 구체예에 따른 입자 복합체와 결합한 유방암 세포에 광을 노출시켜 입자가 제거된 정도를 확인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일 구체예에 따른 입자 복합체와 결합한 유방암 세포에 광을 노출시켜 입자가 제거된 결과를 형광 세기를 비교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표적 세포 분리용 입자 복합체의 제작
도 1은 일 구체예에 따른 표적 세포를 분리하기 위한 입자 복합체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입자(70)의 표면에는 표적 세포(10)를 제외한 다른 고분자들의 비특이적인 흡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레에틸렌 글리콜(60)과 같은 윤활제가 코팅되어 있을 수 있으며, 여기에 절단 가능한 링커(5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절단 가능한 링커(50) 말단에 표적 세포(10)의 표면 마커(20)와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항체(30)와 같은 고분자 물질이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일 구체예에 따른 입자 복합체는 표적 세포의 표면 마커와 상기 입자 복합체에 포함되어 있는 고분자 물질이 특이적으로 결합하므로, 시료 중에 존재하는 표적 세포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 물질이 항체인 경우라면, 상기 절단 가능한 링커(50)와 상기 항체(30)의 결합력 및 배향성의 향상을 위하여 Protein G(40)와 같은 매개 단백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표적 세포 분리용 입자 복합체를 제작하기 위해, 멜라민 비드(melamine bead, Fluka)의 표면에 PEG를 코팅시킨 후, 카르복실산이 코팅되어 있는 상기 멜라민 비드에 아민-PEG-티올(amine-PEG-thiol)을 EDC/NHS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4시간 동안 컨쥬게이션(conjugation)시켰다. 이후, 직접 제작한 빛에 의해 절단 가능한 화합물(도 1의 화학식 참조)을 40%의 DMF 하에서 상기 티올기에 결합시켰다. 본 실시예에서 분리하고자 하는 표적 세포로 사용된 세포는 인간 유방암 세포주인 SKBR3(한국 세포주 은행)이므로, 이에 존재하는 암세포의 표면 마커인 EpCAM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Human EpCAM/TROP1 Fluorescein MAb (Clone 158206), FAB9601F, R&S system)를 선택하였다. 이후, 상기 결과물에 5%의 BSA가 포함된 PBS 용액에 넣고, protein G를 0.65 mg/ml가 되도록 첨가하여 2시간 동안 반응시킨 다음, 상기 반응액에 EpCAM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Human EpCAM/TROP1 Fluorescein MAb (Clone 158206), FAB9601F, R&S system)를 0.65 mg/ml의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여 2시간 동안 상온에서 천천히 흔들어 주었다. 그 결과, EpCAM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protein G, 빛에 의해 절단 가능한 화합물이 결합된 유방암 세포 분리용 입자 복합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2: 유방암 세포 분리용 입자 복합체와 유방암 세포의 결합 반응의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작된 유방암 세포 분리용 입자 복합체 0.1, 0.5, 1, 5, 10 ㎕를 각각 DMEM 배지에 부유된 1 x 105 개의 유방암 세포 SK-BR3에 각각 첨가하여 1시간 동안 방치한 다음, R-피코에리스린(R-phycoerythrin, PE)이 표지된 항-HER2 항체(BD bioscience)를 반응(20 ug/ml, 1시간)시킨 후, SK-BR3과 상기 유방암 세포 분리용 입자 복합체의 결합 여부를 형광 현미경(Olympus IX-81)을 사용하여 PE의 형광 세기를 통해 확인하였다(도 2). 도 2에서 (A)는 상기 입자 복합체가 결합하지 않은 SK-BR3의 DAPI 형광 영상이고, (B)는 상기 입자 복합체가 결합한 SK-BR3의 DAPI 형광 영상이다. 그 결과, 암세포에 상기 첨가된 입자 복합체들이 결합하여 상기 입자 복합체가 세포의 표면을 커버하는 정도에 따라 형광 세기가 점점 커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
실시예 3: 유방암 세포 분리용 입자 복합체와 유방암 세포의 결합 및 노광에 따른 입자 제거의 확인 및 형광 세기의 비교
상기 실시예 2에서 수행한 유방암 세포 분리용 입자 복합체 및 SK-BR3 세포주의 현미경 촬영 후 이미지를 분석하여 결합율을 분석한 결과, 유방암 세포 분리용 입자 복합체가 세포 표면의 90% 이상 결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여기에 365 nm의 광을 20 J/cm2로 노광한 후, 확인한 결과 90% 이상의 입자가 제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4). 또한, 상기 입자 복합체가 세포에 결합하였을 때에는 상기 유방암 세포의 형태(morphology)를 확인할 수 없으나, 노광에 의해 상기 입자 복합체가 제거된 후에는 그 형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도 5).
또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입자 복합체와 결합한 유방암 세포의 경우, 상기 입자 복합체와 결합하지 않은 유방암 세포를 대조군으로 하여 비교한 결과, 대조군 대비 60%의 형광 세기가 증가하였으며, 노광에 의해 상기 입자가 제거된 유방암 세포의 경우 대조군과 거의 동일한 형광 세기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 표적 세포
20: 표면 마커
30: 표면 마커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40: Protein G
50: 절단 가능한 링커
60: PEG
70: 입자

Claims (20)

  1. 절단 가능한 링커가 입자의 표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절단 가능한 링커에 표적 세포의 표면 마커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고분자가 연결된 입자 복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는 항체 또는 앱타머인 것인 입자 복합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가능한 링커는 빛에 의해 절단 가능한 화합물(photocleavable compound)인 것인 입자 복합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2-니트로벤질 및 (카우마린-4-일)메틸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인 것인 입자 복합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는 표면에 흡착 방지제가 코팅된 것인 입자 복합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방지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BSA, 카제인(carsein) 및 혈청 단백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입자 복합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 복합체는 상기 절단 가능한 링커 및 상기 고분자를 연결하는 protein G, protein L, protein A, protein LA, protein AG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백질을 더 포함하는 것인 입자 복합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는 폴리머 입자, 라텍스 입자, 실리카 입자, 금속 입자, 유리 입자, 자성 입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입자 복합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 세포는 혈중 종양 세포(circulating tumor cell), 암 줄기 세포, 면역 세포, 태아 줄기 세포, 태아 세포, 암 세포 및 종양 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입자 복합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마커는 단백질, 당, 지질, 핵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입자 복합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는 10 nm 내지 10 ㎛의 직경을 갖는 것인 입자 복합체.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입자 복합체 및 표적 세포를 포함하는 생물학적 시료를 접촉시키는 단계;
    표적 세포와 특이적으로 결합한 입자 복합체를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입자 복합체에 포함된 절단 가능한 링커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적 세포 분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 세포는 혈중 종양 세포(circulating tumor cell), 암 줄기 세포, 면역 세포, 태아 줄기 세포, 태아 세포, 암 세포 및 종양 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동물의 체액인 것인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체액은 혈액, 골수액, 림프액, 타액, 누액, 뇨, 점막액, 양수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가능한 링커는 빛에 의해 절단 가능한 화합물인 것인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하는 단계는 10 nm 내지 400 nm 파장의 빛을 조사하여 상기 절단 가능한 링커를 절단하는 것인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접촉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생물학적 시료를 전처리하여 상기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고분자 및 세포를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하는 단계는 원심분리,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자성유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방법에 의해 수행되는 것인 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절단하는 단계 이후에 절단된 입자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KR1020120074692A 2012-07-09 2012-07-09 입자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표적 세포 분리 방법 KR2014000860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692A KR20140008608A (ko) 2012-07-09 2012-07-09 입자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표적 세포 분리 방법
US13/774,887 US20140011192A1 (en) 2012-07-09 2013-02-22 Particle complex and method of isolating target ce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692A KR20140008608A (ko) 2012-07-09 2012-07-09 입자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표적 세포 분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608A true KR20140008608A (ko) 2014-01-22

Family

ID=49878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4692A KR20140008608A (ko) 2012-07-09 2012-07-09 입자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표적 세포 분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011192A1 (ko)
KR (1) KR201400086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2105A (ko) * 2020-07-22 2022-02-03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현장 사용을 위한 휴대용 전혈 전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처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11935A1 (en) * 2015-01-05 2016-07-14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Simple release strategy for surface captured cells and compounds
WO2017035419A1 (en) * 2015-08-25 2017-03-02 Nvigen, Inc. Composites for separating rare cells
US10317943B2 (en) * 2016-05-05 2019-06-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lacement of adhesive in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102595A1 (en) * 2002-05-31 2003-12-11 Genetype Pty Ltd Maternal antibodies as fetal cell markers to identify and enrich fetal cells from maternal blood
US20100143245A1 (en) * 2007-03-22 2010-06-10 Sloan-Kettering Institute For Cancer Research Uses of monoclonal antibody 8h9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2105A (ko) * 2020-07-22 2022-02-03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현장 사용을 위한 휴대용 전혈 전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11192A1 (en) 2014-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408500A1 (en) Devices and methods of cell capture and analysis
Kang et al. High-purity capture and release of circulating exosomes using an exosome-specific dual-patterned immunofiltration (ExoDIF) device
KR101878749B1 (ko) 표적 세포의 분리 방법 및 키트
US20200072822A1 (en) Exosome analysis method, exosome analysis chip, and exosome analysis device
CN102892900B (zh) 用于分离靶细胞的方法
US10350599B2 (en) Non-invasive monitoring cancer using integrated microfluidic profiling of circulating microvesicles
KR101764597B1 (ko) 생물학적 샘플에서 희귀 사건 분석을 위한 고감도 다중매개변수 방법
US11389797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irculating tumor cell capture
US10434511B2 (en) Non-invasive monitoring cancer using integrated microfluidic profiling of circulating microvesicles
JP2004534210A (ja) 希少細胞検出アッセイにおける内部機能対照として用いる標識細胞
JPH09510779A (ja) 特定化あるいは混合した細胞母集団または混合細胞母集団を含む溶液内の特定標的細胞を検出する方法および装置
WO2017126634A1 (ja) 希少細胞を用いて癌患者の予後を予測する方法
US20120142089A1 (en) Method of separating target cell in biological sample
KR20140008608A (ko) 입자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표적 세포 분리 방법
KR101969847B1 (ko) 동일 검체에서 여러 항원을 검출하기 위한 순차적 다중 면역염색법
JP6707505B2 (ja) 腫瘍細胞を検出するためのステロイド受容体アッセイ
JP2017079635A (ja) 腫瘍細胞を捕捉するためのキャリアー
JP2017129425A (ja) 抗癌剤の評価方法
JP2011013051A (ja) 生体試料標本の作製方法
JP2002543426A (ja) 細胞の単一パラメータ及び複数パラメーター表現型解析のための生成物と方法
KR20140062677A (ko) 광분해성 링커에 결합된 형광 염료를 이용한 세포 분리 또는 세포 계수 방법
KR20120060140A (ko) 생물학적 시료 내에서 표적 세포를 분리하는 방법
Amrhein Development of Dual Imaging Single Vesicle Technology for Exosome Characterizations and Early Cancer Detection
WO2023196586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screening extracellular vesicles
WO2023212256A1 (en) Affinity capture of extracellular matrix bod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