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0140A - 생물학적 시료 내에서 표적 세포를 분리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생물학적 시료 내에서 표적 세포를 분리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0140A
KR20120060140A KR1020110111416A KR20110111416A KR20120060140A KR 20120060140 A KR20120060140 A KR 20120060140A KR 1020110111416 A KR1020110111416 A KR 1020110111416A KR 20110111416 A KR20110111416 A KR 20110111416A KR 20120060140 A KR20120060140 A KR 20120060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cells
particles
target cell
biological s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1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1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0140A/ko
Priority to US13/302,678 priority patent/US20120142089A1/en
Priority to EP11191563.3A priority patent/EP2460874B1/en
Publication of KR20120060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0140A/ko
Priority to US13/949,320 priority patent/US962447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1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biological cells, e.g. blood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4Investigating sediment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01N15/042Investigating sediment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by centrifuging and investigating centrifug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28Measuring fluorescence of fluorescent products of reactions or of fluorochrome labelled reactive substances, e.g. measuring quenching effects, using measuring "optro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28Measuring fluorescence of fluorescent products of reactions or of fluorochrome labelled reactive substances, e.g. measuring quenching effects, using measuring "optrodes"
    • G01N2021/6439Measuring fluorescence of fluorescent products of reactions or of fluorochrome labelled reactive substances, e.g. measuring quenching effects, using measuring "optrodes" with indicators, stains, dyes, tags, labels, mar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n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생물학적 시료 내에서 표적 세포를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구체예에 따른 생물학적 시료 내에서 표적 세포를 분리하는 방법에 따르면, 밀도가 유사한 세포를 2 이상 포함하는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표적 세포를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생물학적 시료 내에서 표적 세포를 분리하는 방법{Method for separating target cell in biological sample}
생물학적 시료 내에서 표적 세포를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악성 종양과 관련한 사망은 대부분 최초로 종양이 발생한 지점으로부터 떨어진 조직 및 기관으로의 전이(metastasis)에 의한다. 따라서 전이를 조기에 발견하는 것은 암 환자의 생존 확률에 대한 중요한 결정 요소이며, 종양의 조기 발견 및 종양의 성장을 모니터링하는 것은 암 환자의 성공적인 치료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여겨진다. 암의 진단은 대체로 조직 병리학(histopathology)에 의한 진단 기법을 이용한다. 조직 병리학 진단 기법은 생검체로부터 얻어지는 조직 시료를 사용하여 종양을 진단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조직 병리학에 의한 접근 방법은 종양 세포를 직접적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생검체 시료를 얻기 위하여 선택한 조직의 위치에서 종양이 존재하는 여부가 부정확할 수 있으며, 생검체로부터 얻어지는 특정 지점에 관한 데이터만 제공하므로, 다른 지점으로 종양이 전이되었는지 여부를 아는데 한계가 있다는 점에서 종양을 진단하거나 모니터링하는데 있어서 그 적용 가능성이 제한될 수 있다.
혈중 종양 세포(circulating tumor cells, CTCs)는 최초로 종양이 검출되기 이전에 환자에게서 발견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CTC는 암의 조기 진단 및 예측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암은 대체로 혈액을 통해 전이된다는 점에서 혈중 종양 세포는 암의 전이 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표지가 될 수 있다. 또한, 수술을 통해 암 세포를 제거한 후에도 혈중 종양 세포가 발견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 암이 재발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혈중 종양 세포는 혈액 내에서 그 양이 매우 적고 세포 자체가 연약하여 이를 감지하고 그 수를 파악하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환자의 체내에 존재하는 혈중 종양 세포, 암 세포 또는 암 줄기 세포를 검출할 수 있는 높은 민감성을 나타내는 진단 방법이 여전히 필요하다.
관련 기술은 밀도 구배 내에서 적혈구, 백혈구, 혈중 암세포 및 혈청을 분리하여 수동으로 원하는 층을 분리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백혈구와 혈중 암세포를 따로 분리되지 않고 혼합물 상태로 존재하게 되어, 백혈구와 혈중 암세포의 분리 효율이 원리적으로 제한된다는 단점이 있다.
다른 관련 기술은 유체 역학 원리를 기초로 하는 세포 변연화(cell margination) 및 멀티 오리피스 분리(multi orifice separation)를 개시하고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실제 혈관 속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작은 입자들은 현관의 안쪽으로 모이고, 큰 입자들은 밖으로 이동하는 현상으로 적혈구와 같이 작은 세포를 상대적으로 줄여, 그 밖의 세포를 풍부하게 하는 기술이며, 후자는 유체가 흘러가는 채널의 모양이 확관 영역을 갖음으로써 레이놀즈 넘버에 따라서 큰 입자는 바깥으로 작은 입자는 가운데로 모이면서 흐르는 원리를 이용하는 원리이다. 그러나, 이들은 원리적으로 실제 혈액 중에서 원하는 표적 세포를 선택적으로 분리하기가 어려우며, 유체 흐름 속도가 느려서 수 ml 양을 처리하는데 한계가 있거나, 레이놀즈 넘버를 맞추기 위해서는 수백 배로 희석시키는 단계가 필수적으로 필요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수백 ml의 샘플을 처리해야 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하더라도, 생물학적 시료 중에 포함된 표적 세포를 효율적으로 분리하는 방법이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일 양상은 생물학적 시료 내에서 표적 세포를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양상은 표적 세포의 표면 마커에 특이적인 리간드가 하나 이상 결합되어 있는 입자; 및 상기 표적 세포를 포함하는 생물학적 시료를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입자에 결합되어 있는 리간드 및 상기 표적 세포의 표면 마커가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입자-표적 세포 복합체(complex)를 형성시키는 단계; 및 밀도 구배 원심 분리(density gradient centrifugation)를 통해 상기 입자-표적 세포 복합체와 밀도 차이를 갖는 하나 이상의 다른 세포를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물학적 시료 내에서 표적 세포를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생물학적 시료 내에서 표적 세포를 분리하는 방법을 각각의 단계별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방법은, 표적 세포의 표면 마커에 특이적인 리간드가 하나 이상 결합되어 있는 입자; 및 상기 표적 세포를 포함하는 생물학적 시료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상기 표적 세포 및 상기 표적 세포와 0.005 내지 0.05 g/cm3의 밀도 차이를 갖는 세포를 한 종류 이상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입자는 그 표면에 표적 세포의 표면 마커에 특이적인 리간드가 하나 이상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표면 마커는 단백질, 당, 지질, 핵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표면 마커는 상기 암 또는 종양 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어 세포막에 전시되는 단백질, 즉 항원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EpCAM, c-Met, cytokeratines, CD45, Her2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 마커에 특이적인 리간드는 상기 항원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항체일 수 있다.
상기 리간드는 상기 입자의 표면에 결합되어 존재하며, 예를 들어 항체인 경우에는 항원 결합 부위가 외부로 드러날 수 있도록 항체의 불변 영역이 상기 입자의 표면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간드가 결합된 상기 입자는 상기 리간드가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표적 세포의 표면 마커에만 특이적으로 결합하므로, 분리되어야 할 표적 세포에만 상기 입자가 결합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표적 세포는 혈중 종양 세포(circulating tumor cell), 암 줄기 세포(cancer stem cell) 또는 암 세포(cancer cell)일 수 있다. 상기 표적 세포는 예를 들어, 방광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담관암종, 대장암, 자궁내막암, 식도암, 위암, 두경부암, 신장암, 간암, 폐암, 비인두암, 난소암, 췌장암, 담낭암, 전립선암, 갑상선암, 골육종, 횡문근육종, 활막육종, 카포시육종, 평활근육종,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 섬유육종, 성인 T세포 백혈병, 림프종, 다발 골수종, 신경교아세포종/성상세포종, 흑색종, 중피종 및 윌름스 종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암 또는 종양 세포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입자는 상기 입자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표적 세포의 표면 마커에 특이적인 리간드를 매개로 하여, 표적 세포와 결합을 함으로써, 표적 세포의 밀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자는 생물학적 시료 내의 표적 세포와 표적 세포 외의 다른 세포 사이의 밀도 차이를 유발할 수 있을 정도의 밀도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적 세포로 암세포가 존재하는 혈액을 생물학적 시료로 사용하는 경우라면, 백혈구의 밀도와 적혈구의 밀도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사항이므로, 표적 세포를 밀도 구배에 의해 분리하기 위해서, 표적 세포 및 상기 입자의 결합된 복합체의 밀도는 백혈구의 밀도인 1.07 g/cm3 이상 적혈구의 밀도인 1.1 g/cm3 이하의 밀도가 되도록 상기 입자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상기 입자는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 입자,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입자, 라텍스 입자, ABS(아크릴로 니트릴, 부타디엔 및 스티렌의 테르트-폴리머)입자, 시클릭 올레핀 공중합체 입자, 멜아민 입자 및 이들의 복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입자의 직경은 분리하고자 하는 표적 세포, 사용하고자 하는 입자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 nm 내지 100 ㎛, 또는 10 nm 내지 10 ㎛의 직경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입자는 어떠한 표적 세포를 어떠한 생물학적 시료에서 분리하는가에 따라 다양한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혈중 암세포를 혈액 내에서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라면, 상기 입자의 밀도는 1.0 g/cm3 이상 2.0 g/cm3 이하, 1.3 g/cm3 이상 1.7 g/cm3 이하, 또는 1.4 g/cm3 이상 1.6 g/cm3 이하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상기 표적 세포가 존재할 수 어떠한 생물학적 시료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생검시료, 조직시료, 분리된 세포를 액체 매질에 현탁시킨 세포 현탁물, 세포 배양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시료는 혈액, 골수액, 타액, 누액, 뇨, 정액, 점막액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혈중 종양 세포를 분리하기 위해, 혈액을 상기 생물학적 시료로써 사용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상기 표적 세포 및 상기 표적 세포와 0.005 내지 0.05 g/cm3의 밀도 차이를 갖는 세포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즉, 일 구체예에 따른 표적 세포 분리 방법은 생물학적 시료 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밀도를 갖는 2 이상의 종류의 세포에서 표적 세포만을 특이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밀도 차이로 개시된 숫자는 일 구체예에 지나지 않으며, 밀도 구배 원심 분리에 의해 분리되는 층을 명확하게 구별할 수 없을 정도의 밀도 차이이면 일 구체예에 따른 분리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당업계에 공지된 밀도 구배 원심 분리에 사용되는 매질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혈중 종양 세포가 포함된 혈액 시료 중에는 백혈구, 적혈구와 같은 혈구 세포가 함께 존재하며, 상기 혈중 종양 세포의 밀도는 상기 혈액 시료 중에 존재하는 백혈구의 밀도와 유사하여 밀도에 의하여 혈중 종양 세포를 분리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방법은 상기 혈중 종양 세포의 전제적인 밀도를 증가시켜 다른 혈구 세포로부터 상기 혈중 종양 세포를 밀도 구배 원심 분리에 의해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촉은 상기 생물학적 시료가 포함된 용액에 상기 표적 세포의 표면 마커에 특이적인 리간드가 하나 이상 결합되어 있는 입자를 첨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접촉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생물학적 시료를 전처리하여 상기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고분자 및 세포를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처리는 상기 시료로부터 상기 세포를 제외한 다른 물질을 감소 또는 제거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전처리는 원심분리, 여과,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와 같은 크로마토그래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생물학적 시료가 혈액인 경우, 전처리 과정을 통해 혈장을 제거하고, 혈액 내에 포함된 단백질 및 세포만을 상기 단계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단백질까지 제거하고 혈액 중에 존재하는 세포만을 상기 단계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세포는 표적 세포 및 생물학적 시료 중에 존재할 수 있는 기타의 세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입자는 표적 세포의 표면 마커에 특이적인 리간드를 결합시키기 위해 표면에 전하를 나타내는 화합물이 코팅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전하를 나타내는 화합물은 카르복실기, 술폰기, 인산기, 아민기, 이민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작용기를 갖는 것인 화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후, 상기 방법은, 상기 입자에 결합되어 있는 리간드 및 상기 표적 세포의 표면 마커가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입자-표적 세포 복합체(complex)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 단계에 의해 상기 리간드가 결합되어 있는 입자는 상기 리간드를 매개로 표적 세포의 주변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상기 입자에 결합되어 있는 리간드는 표적 세포의 표면에 존재하는 표면 마커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pCAM 및/또는 C-Met의 항체를 리간드로 사용하는 경우, 이는 혈중 종양 세포 상의 EpCAM 및/또는 C-Met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게 되므로, 상기 입자는 표적 세포와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복합체의 형성으로 인해, 상기 복합체는 표적 세포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밀도를 갖는 생물학적 시료 내의 다른 세포들에 비해 그 전체적인 밀도가 증가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방법은, 밀도 구배 원심 분리(density gradient centrifugation)를 통해 상기 입자-표적 세포 복합체와 상기의 밀도 차이를 갖는 하나 이상의 다른 세포를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로부터 형성된 복합체를 포함하는 생물학적 시료는 이후,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는 밀도 구배 원심 분리에 의해 밀도값에 따라 분리될 수 있다. 특히, 본 단계에서는 등밀도 분리(isopycnic seperation)에 따라 복합체를 분리할 수 있다. 등밀도 분리는 주위 매질의 밀도와 시료 중의 분리 대상 물질의 밀도가 동일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원심 분리 동안 침전하게 되어 등밀도 지점에서 층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등밀도 분리는 시료 입자의 밀도가 구배 밀도의 한계에서만 이루어지며, 구배 길이에 무관하고, 생물학적 시료 내에 포함된 여러 종류의 세포 및 상기 복합체가 등밀도 지점에서 분리된 층을 형성하기 위해 충분한 원심 분리 시간을 주어야 한다는 특징이 있다. 등밀도 분리를 위해서, 적용하는 생물학적 시료에 따라 당업계에 알려진 다양한 매질을 다양한 농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수크로즈, 피콜(Ficoll), 퍼콜(percoll), 니코덴즈(Nycodenz)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복합체는 상기 표적 세포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밀도 값을 가진 생물학적 시료 내의 다른 세포와 밀도 차이를 갖기 때문에, 상기 밀도 구배 원심 분리를 통해 표적 세포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밀도 값을 가진 다른 세포들과 별도의 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형성된 층으로부터 자동 또는 수동으로 상기 복합체만을 추출하여 실험자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표적 세포의 표면 마커에 특이적인 리간드가 하나 이상 결합되어 있는 입자; 및 상기 표적 세포를 포함하는 생물학적 시료를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입자에 결합되어 있는 리간드 및 상기 표적 세포의 표면 마커가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입자-표적 세포 복합체(complex)를 형성시키는 단계; 및 원심 분리에 의해 상기 입자-표적 세포 복합체가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물학적 시료 내에서 표적 세포를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제거하는 단계 이후 여과에 의해 상기 입자-표적 세포 복합체를 분리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접촉시키는 단계 및 입자-표적 세포 복합체를 형성시키는 단계는 상기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방지하기 위해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방법은 입자-표적 세포 복합체를 형성시키는 단계 이후, 원심 분리에 의해 상기 입자-표적 세포 복합체가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심 분리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원심 분리 방법에 따르며, 상기 형성된 입자-표적 세포 복합체만을 따로 분리할 수 있는 원심 분리 방법이라면 어떠한 방법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원심 분리 방법에 의해 입자-표적 세포 복합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대부분 제거될 수 있으며, 입자-표적 세포 복합체를 포함하는 부분은 이후, 필요에 따라 여과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여과는 예를 들어,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입자-표적 세포 복합체는 밀도 및 부피가 복합체를 형성하지 않은 다른 세포들에 비해 크기 때문에, 상기 필터의 포어 직경은 상기 다른 세포들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복합체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포어의 직경은 3 ㎛ 내지 30 ㎛, 5 ㎛ 내지 20 ㎛, 또는, 8 ㎛ 내지 14 ㎛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생물학적 시료 내에서 표적 세포를 분리하는 방법에 따르면, 밀도가 유사한 세포를 2 이상 포함하는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표적 세포를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도 1은 일 구체예에 따른 EpCAM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중 선택된 Human EpCAM/TROP1 Fluorescein MAb에 대한 유세포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일 구체예에 따른 EpCAM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가 결합된 입자와 유방암 세포주의 응집 반응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3은 일 구체예에 따른 밀도 구배 원심 분리에 의한 혈중 암세포의 분리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일 구체예에 따른 원심 분리 및 여과에 의한 혈중 암세포의 분리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EpCAM 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가 결합된 입자의 제작
일 구체예에 따른 생물학적 시료 내에서 표적 세포를 분리하는 방법에서, 유방암 세포주 MCF-7(한국 세포주 은행)을 분리하고자 하는 표적 세포로 사용하였다. 따라서, 상기 세포에 존재하는 EpCAM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선택하기 위해 시판되는 여러 종류의 항체를 유세포 분석법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Human EpCAM/TROP1 Fluorescein MAb (Clone 158206), FAB9601F, R&S system)를 선택하였다(도 1). EpCAM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상기 항체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입자에 결합시켰다.
표면이 아민으로 처리된(amine modified) 직경 2~3 ㎛의 폴리스티렌 비드(Sigma-aldrich) 또는 멜아민(Melamine) 비드(postnova)를 PBS 완충액으로 3회 세척한 다음, 1-에틸-3(3-디메틸 아미노프로필) 카보디이미드/N-히드록시숙신이미드(EDC/NHS)로 활성화 되어 있는 카르복실기를 가지고 있는 폴리말레산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5시간 동안 천천히 흔들어 주면서 상기 비드에 결합시켰다. 이후, PBS 완충액으로 3회 세척하고 protein G(Fluka)를 결합 시킨 후, NaOAc 버퍼 pH 6에서 항-EpCAM(Human EpCAM/TROP1 Fluorescein MAb (Clone 158206), Mouse IgG2B 625 ug/ml과 1.5시간 동안 반응시켜 EpCAM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항체가 결합된 폴리스티렌 또는 멜아민 입자를 얻었다. 또는 표면이 카를복실기로 처리된 입자를 이용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항체가 결합된 입자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2: EpCAM 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가 결합된 입자와 암세포의 응집 반응 시험
먼저, 상기 실시예 1에서 EpCAM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가 결합된 폴리스티렌 입자 20 ㎕를 시험관에 첨가하고, 유방암 세포주 MCF-7 세포 100개가 첨가된 혈액 3 ml에 첨가한 다음, 천천히 흔들어 주면서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상기 혈액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임상 시험 심사 위원회 규정을 준수해서 얻은 환자의 정상 혈액이다. 이후, 상기 항체에 결합되어 있는 형광(플루오로세인)을 나타내는 입자를 형광 현미경(Olympus IX81)을 통해 관찰하였다. 또한, 대조 실험으로는, 상기 항체가 결합되어 있지 않은 폴리스티렌 비드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항체가 결합되어 있지 않은 폴리스티렌 비드는 상기 유방암 세포에 결합하지 않았으며(도 2의 (A)), 비특이적인 결합도 나타나지 않는데 비해(도 2의 (B)), EpCAM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가 결합된 폴리스티렌 비드는 유방암 세포의 표면에 결합하는 것을 형광이 나타나는 정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도 2의 (C) 및 (D)).
실시예 3: 밀도 구배 원심 분리에 의한 혈중의 암세포의 분리 실험
백혈구와 혈중 암세포는 물리적인 성질이 유사하여 밀도 구배를 이용하는 원심 분리를 수행하게 되면 동일한 층에 분리가 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EpCAM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가 결합된 폴리스티렌 입자를 혈중 암세포와 결합시켜, 백혈구와 밀도 차를 유발함으로써, 혈액 내에서 암세포만을 분리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임상 시험 심사 위원회 규정을 준수해서 얻은 환자의 정상 혈액 4 ㎖를 시험관에 넣고, 상기 유방암 세포주 MCF-7 세포 100개를 스파이크(spiking)한 다음,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EpCAM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가 결합된 폴리스티렌 입자 20 ul(4.5 x 108개)를 첨가한 후, 1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이후, 15 ㎖ 튜브에 100 % 의 피콜(Ficoll) 3 ml을 주입하고, 상기 반응물을 로딩한 다음, 400 x g의 조건에서 20분 동안 원심 분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EpCAM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가 결합된 폴리스티렌 입자가 결합된 혈중 암세포는 피콜의 밀도 구배 하에서 림프구의 층보다 윗부분에 층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사용된 폴리스티렌 입자의 밀도는 1.05 g/cm3로, 이는 림프구(약 1.07 g/cm3)보다 작고, 상기 첨가한 암세포의 양이 소량이기 때문에, 폴리스티렌 입자의 밀도에 의존하여 림프구의 층보다 윗부분에 층을 형성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이, 일 구체예에 따른 표적 세포 분리 방법에 따르면, 생물학적 시료 내에 표적 세포가 소량 존재하더라도 효과적으로 표적 세포를 분리해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원심 분리 및 여과에 의한 혈중의 암세포의 분리 실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EpCAM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가 결합된 폴리스티렌 입자를 혈중 암세포와 결합시켜, 원심 분리 및 여과를 통해 플라스마, 백혈구 및 적혈구로부터 혈중 암세포만을 분리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임상 시험 심사 위원회 규정을 준수해서 얻은 환자의 정상 혈액 4 ㎖를 시험관에 넣고, 상기 유방암 세포주 MCF-7 세포 100개를 스파이크(spiking)한 다음,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EpCAM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가 결합된 멜아민 입자 100 ㎕(1.0 x 108개)를 첨가한 후, 1시간 동안 결합하였다. 이후, Density gradient Ficoll Paque(Oslo) 3 ㎖가 로딩되어 있는 15 ㎖ 튜브에 상기 반응물을 로딩한 다음, 400 g의 조건에서 10분 동안 원심 분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4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EpCAM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가 결합된 멜아민 입자-혈중 암세포 결합체는 튜브의 가장 아랫 부분에 분리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때 gradient 층을 통과되는 표적 세포가 결합된 입자는 백혈구와 같이 밀도가 낮은 물질은 상층에 분리되고 밀도가 입자와 결합된 세포는 가장 아랫쪽에 위치하여 원하지 않는 세포와 분리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결합체가 포함된 부분만의 상층을 제거하고 결합체가 포함된 부분을 8~14 ㎛ 포어 직경을 갖는 필터를 통해 여과한 다음, 형광현미경(Olympus)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4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EpCAM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결합된 멜아민 입자-혈중 암세포 결합체는 혈액 내 다른 세포들에 비해 밀도 및 크기가 증가하여 여과를 통해 용이하게 분리해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2)

  1. 표적 세포의 표면 마커에 특이적인 리간드가 하나 이상 결합되어 있는 입자; 및 상기 표적 세포를 포함하는 생물학적 시료를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입자에 결합되어 있는 리간드 및 상기 표적 세포의 표면 마커가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입자-표적 세포 복합체(complex)를 형성시키는 단계; 및
    밀도 구배 원심 분리(density gradient centrifugation)를 통해 상기 입자-표적 세포 복합체와 밀도 차이를 갖는 하나 이상의 다른 세포를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물학적 시료 내에서 표적 세포를 분리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상기 표적 세포 및 상기 표적 세포와 0.005 내지 0.05 g/cm3의 밀도 차이를 갖는 세포를 한 종류 이상 포함하는 것인 방법.
  3. 표적 세포의 표면 마커에 특이적인 리간드가 하나 이상 결합되어 있는 입자; 및 상기 표적 세포를 포함하는 생물학적 시료를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입자에 결합되어 있는 리간드 및 상기 표적 세포의 표면 마커가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입자-표적 세포 복합체(complex)를 형성시키는 단계; 및
    원심 분리에 의해 상기 입자-표적 세포 복합체가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물학적 시료 내에서 표적 세포를 분리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하는 단계 이후 여과에 의해 상기 입자-표적 세포 복합체를 분리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 세포는 혈중 종양 세포(circulating tumor cell), 암 줄기 세포(cancer stem cell) 또는 암 세포(cancer cell)인 것인 방법.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 세포는 방광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담관암종, 대장암, 자궁내막암, 식도암, 위암, 두경부암, 신장암, 간암, 폐암, 비인두암, 난소암, 췌장암, 담낭암, 전립선암, 갑상선암, 골육종, 횡문근육종, 활막육종, 카포시육종, 평활근육종,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 섬유육종, 성인 T세포 백혈병, 림프종, 다발 골수종, 신경교아세포종/성상세포종, 흑색종, 중피종 및 윌름스 종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암 또는 종양 세포인 것인 방법.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접촉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생물학적 시료를 전처리하여 상기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고분자 및 세포를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혈액, 골수액, 타액, 누액, 뇨, 정액, 점막액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마커는 EpCAM, c-Met, cytokeratines, CD45, Her2, Caveolin, EGFR, IGFR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인 방법.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는 밀도가 1.0 g/cm3 이상 2.0 g/cm3 이하인 것인 방법.
  1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는 폴리스티렌 입자,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입자, 라텍스 입자, ABS(아크릴로 니트릴, 부타디엔 및 스티렌의 테르트-폴리머)입자, 시클릭 올레핀 공중합체 입자, 멜아민(Melamine) 입자, 자성입자(magnetic) 및 이들의 복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1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는 10 nm 내지 10 ㎛의 직경을 갖는 것인 방법.
KR1020110111416A 2010-12-01 2011-10-28 생물학적 시료 내에서 표적 세포를 분리하는 방법 KR2012006014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416A KR20120060140A (ko) 2010-12-01 2011-10-28 생물학적 시료 내에서 표적 세포를 분리하는 방법
US13/302,678 US20120142089A1 (en) 2010-12-01 2011-11-22 Method of separating target cell in biological sample
EP11191563.3A EP2460874B1 (en) 2010-12-01 2011-12-01 Method of separating target cell in biological sample
US13/949,320 US9624474B2 (en) 2010-12-01 2013-07-24 Method of separating target cell in biological samp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333 2010-12-01
KR1020110111416A KR20120060140A (ko) 2010-12-01 2011-10-28 생물학적 시료 내에서 표적 세포를 분리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140A true KR20120060140A (ko) 2012-06-11

Family

ID=46611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1416A KR20120060140A (ko) 2010-12-01 2011-10-28 생물학적 시료 내에서 표적 세포를 분리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014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8011A1 (ko) * 2014-08-22 2016-02-25 삼성전자 주식회사 표적물질 분리장치 및 표적물질 분리방법
KR20200125836A (ko) * 2019-04-25 2020-11-05 프리시젼바이오 주식회사 진단 장치의 구동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8011A1 (ko) * 2014-08-22 2016-02-25 삼성전자 주식회사 표적물질 분리장치 및 표적물질 분리방법
KR20160023488A (ko) * 2014-08-22 201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적물질 분리장치 및 표적물질 분리방법
US10203332B2 (en) 2014-08-22 2019-0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and method of separating target matter
KR20200125836A (ko) * 2019-04-25 2020-11-05 프리시젼바이오 주식회사 진단 장치의 구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60874B1 (en) Method of separating target cell in biological sample
US10203332B2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separating target matter
KR101878749B1 (ko) 표적 세포의 분리 방법 및 키트
CN102892900B (zh) 用于分离靶细胞的方法
JP5819307B2 (ja) 発癌性融合タンパク質を検出するための近接媒介性アッセイ
JP5722298B2 (ja) 希少循環細胞における多様なシグナル伝達物質検出のための抗体に基づくアレイ
CN105723221B (zh) 分离方法、检测方法、信号测定方法、疾病的判定方法、疾病治疗药的药效评价方法、试剂盒以及液态组合物
CN102639565B (zh) Il1rap在急性和慢性髓细胞样白血病细胞上的表达
KR20030080002A (ko) 순환 암 세포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방법및 시약
CN103399144A (zh) 用抗体阵列选择乳腺癌治疗药物
JP6936984B2 (ja) 希少細胞を用いて癌患者の予後を予測する方法
AU2010289448A1 (en) Method for categorizing circulating tumor cells
JP2008529541A (ja) 腫瘍細胞の分離用容器
CN101663584A (zh) 未分离的循环癌细胞的Her-2/neu蛋白的检测和治疗
CN109351370A (zh) 微流控芯片和细胞筛选方法
Saftics et al. Single extracellular VEsicle nanoscopy
JP2017116511A (ja) 生物試料検出方法
US9624474B2 (en) Method of separating target cell in biological sample
CN108271413A (zh) 分离方法、检测方法、信号测定方法、疾病的判定方法、药效评价方法、试剂盒、液态组合物以及检体稀释液
Asao et al. Extracellular vesicles and particles as mediators of long-range communication in cancer: connecting biological function to clinical applications
KR20120060140A (ko) 생물학적 시료 내에서 표적 세포를 분리하는 방법
KR20140008608A (ko) 입자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표적 세포 분리 방법
KR101933618B1 (ko) 표적 물질 검출 및 분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적 물질 검출 및 분리 방법
JP2017129425A (ja) 抗癌剤の評価方法
KR102298910B1 (ko) 역류 원심분리를 이용한 ctc 분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