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7872A - 광확산성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확산 시트 - Google Patents

광확산성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확산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7872A
KR20140007872A KR1020137022626A KR20137022626A KR20140007872A KR 20140007872 A KR20140007872 A KR 20140007872A KR 1020137022626 A KR1020137022626 A KR 1020137022626A KR 20137022626 A KR20137022626 A KR 20137022626A KR 20140007872 A KR20140007872 A KR 20140007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roup
diffusion
resin composition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2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츠히로 오카다
코이치 시게노
유키코 카네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Publication of KR20140007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78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1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 C08K5/3415Five-membered rings
    • C08K5/3417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2Refractors for light sources using microoptical elements for redirecting or diffusing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dispersed p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6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fabrication or manufacturing metho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1Diffusing sheet or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4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4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14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polymeric 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 C08L2205/18Sphe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22Mixtures comprising a continuous polymer matrix in which are dispersed crosslinked particles of another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확산 시트에 이용했을 때에, 높은 연색성 및 휘도를 실현할 수 있는 광확산성 수지조성물, 이를 이용한 광확산 시트 및 광원 유닛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바인더 수지(A)를 바람직하게는 1~80질량%, 광확산제(B)를 바람직하게는 15~95질량%, 및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트리메틴시아닌 화합물(C)을 바람직하게는 0.0001~5질량% 포함하는 광확산성 수지조성물 및 상기 광확산성 수지조성물을 광확산층에 이용한 광확산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광원 유닛은 상기 광확산 시트와 광원, 바람직하게는 백색 LED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광확산성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확산 시트{LIGHT-DIFFUSING RESIN COMPOSITION AND LIGHT-DIFFUSING SHEET USING SAME}
본 발명은 특정 구조를 가지는 트리메틴시아닌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확산성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확산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광확산성 수지조성물 및 광확산 시트는 액정, PDP, 유기 EL 등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센서, 퍼스널 컴퓨터, 워드 프로세서, 오디오, 비디오, 네비게이션, 전화기, 휴대 단말기 및 산업용 계측기 등의 표시용, 형광등, LED, EL조명 등의 조명용 등에 유용하다.
TV, 퍼스널 컴퓨터, 휴대전화, 게임기 등에 이용되고 있는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그 배면에 백라이트 유닛을 배치하고 있어, 이 백라이트 유닛의 빛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시키고 있다. 백라이트 유닛에서의 빛은 화상·영상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해 휘도가 높으며 균일한 발광인 것이 요망되고 있고, 광확산판 또는 시트를 이용함으로써 균일광을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백라이트의 광원으로는 종래의 냉음극 형광 램프(CCFL)보다도 저소비 전력· 장수명·소형인 백색 발광 다이오드(백색 LED)가 주류가 되고 있다. 또 조명 용도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수명이나 소비 전력이 우수한 백색 LED가 활발히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백색 LED광은 연색성(演色性)이 낮기 때문에 광확산판 또는 시트에 각종 파장 흡수 재료를 함유시켜서 조정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파장 흡수 재료는 불필요한 빛을 흡수함으로써 연색성을 향상시키지만, 동시에 휘도를 저하시킨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해 불필요한 빛을 흡수하고 원하는 빛을 방사하는 염료(형광 색소)를 이용하는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3 참조).
한편 광원·조명의 연색성을 평가하는 방법은 JIS Z 8726(광원의 연색성 평가 방법)에서 규정되어 있으며, 15색의 시험색을 조명했을 때 기준이 되는 조명광으로 조명한 색과 어느 정도 달라 보이는지를 색차로 나타내고, 연색 평가수를 계산하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평균 연색 평가수(Ra)로서 나타내는 것은 시험 No.1~8까지의 평균 연색 평가색에 있어서 기준광과 시료광의 차이를 평균값으로 나타낸 것으로 100에 가까울수록 연색성이 높다.
미국 공개특허공보 2006/109682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9-043611호 미국 공개특허공보 2008/174874호
그러나 특허문헌 1~3에 기재되어 있는 염료(형광 색소)는 연색성, 색도 및 휘도에서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확산 시트에 이용했을 때에 높은 연색성, 색도 및 휘도를 실현할 수 있는 광확산성 수지조성물, 이를 이용한 광확산 시트 및 광원 유닛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 등은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염료(형광 색소)로서 특정 구조를 가지는 트리메틴시아닌 화합물을 함유시킨 광확산성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확산 시트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지견했다.
본 발명은 상기 지견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바인더 수지(A), 광확산제(B) 및 하기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트리메틴시아닌 화합물(C)을 함유하는 광확산성 수지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Figure pct00001
(식 중, R1~R17은 각각 독립하여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니트로기, 시아노기, 알데히드기, 카르복실기, 수산기, -NRR’,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20의 알킬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6~20의 아릴기, 또는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7~20의 아릴알킬기를 나타내고, R 및 R'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20의 알킬기, 또는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6~20의 아릴기를 나타낸다. 상기 알킬기 및 아릴알킬기 중의 메틸렌기 및 상기 아릴기와 인돌레닌환 또는 트리메틴쇄의 결합부는 -O-, -S-, -SO2-, -CO-, -OCO- 또는 -COO-로 중단되어 있어도 되고, 상기 알킬기 및 아릴알킬기 중의 탄화수소쇄는 이중 결합 또는 삼중 결합을 가져도 되고, R13과 R14, R15와 R16, 그리고 R1~R4 및 R5~R8의 인접하는 기끼리는 서로 연결하여 환을 형성해도 된다.
단, R1~R8 중 적어도 하나는 니트로기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를 나타낸다.
Anm -는 m가의 음이온을 나타내고, m은 1 또는 2의 정수를 나타내고, p는 전하를 중성으로 유지하는 계수를 나타낸다.)
또 본 발명은 투명한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의 적어도 하나의 면에 형성된 광확산층을 가지고, 상기 광확산층은 상기 광확산성 수지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광확산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광확산 시트와 광원(특히 LED광원)을 구비한 광원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확산 시트에 이용했을 때에 높은 연색성, 색도 및 휘도를 실현할 수 있는 광확산성 수지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광확산성 수지조성물을 이용한 광확산 시트는 연색성 및 휘도가 높기 때문에 광원 유닛에 적합하다.
도 1a는 본 발명의 광확산 시트를 적용한 직하형(直下型) 방식의 광원 유닛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광확산 시트를 적용한 직하형 방식의 광원 유닛의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또한 도 1b의 광원 유닛은 광원에 대해 광확산 시트의 구성이 도 1a의 광원 유닛과는 반대로 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광확산 시트를 적용한 엣지라이트형 방식의 광원 유닛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광확산 시트를 적용한 광원 유닛의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a는 실시예 7, 비교예 8, 9에서의 광확산 시트의 R성분의 휘도 측정방법을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b는 비교예 7에서의 광확산 시트의 R성분의 휘도 측정방법을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광확산성 수지조성물, 광확산 시트 및 광원 유닛에 대해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광확산성 수지조성물은 바인더 수지(A), 광확산제(B) 및 상기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트리메틴시아닌 화합물(C)을 함유한다. 이하, 각 성분에 대해 순서대로 설명한다.
<바인더 수지(A)>
본 발명에 이용되는 바인더 수지(A)로는 광확산제(B)의 입자끼리 접착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트리메틴시아닌 화합물(C)과 상용성이 좋으며 후술하는 투명한 기재층에 대해서 접착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바인더 수지(A)로는 예를 들면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부티릴셀룰로오스, 아세틸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니트로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1,4-시클로헥산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1,2-디페녹시에탄-4,4'-디카르복실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폴리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트리플루오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2,3-디브로모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폴리페닐메타크릴레이트, 폴리펜타클로로페닐메타크릴레이트, 메타크릴산 메틸-(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옥시에틸렌; ABS수지(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MS수지(메타크릴산 메틸-스티렌 공중합체); AS수지(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노르보르넨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수지들 중에서도 아크릴계 수지 및 MS수지는 투명성이 높으므로 특히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또 본 발명에 이용되는 바인더 수지(A)에는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할 수도 있다. 열경화성 수지로는 상기의 바인더 수지(A)에 요구되는 성능「광확산제(B)의 입자끼리 접착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트리메틴시아닌 화합물(C)과 상용성이 좋으며 후술하는 투명한 기재층에 대해서 접착성이 높은 것」이외에 열경화성을 가지고 있으면 되는데,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4-198707호에 개시되어 있는 아크릴폴리머나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등의 폴리올을 함유하는 폴리머 조성물 등을 들 수 있다. 바인더 수지(A)로서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 광확산성 수지조성물은 가교제를 함유하고 있는 것(바람직하게는 열경화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해 1~50질량부)이 바람직하고, 상기 가교제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바인더 수지(A)에는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할 수도 있다. 광경화성 수지로는 상기의 바인더 수지(A)에 요구되는 성능「광확산제(B)의 입자끼리 접착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트리메틴시아닌 화합물(C)과 상용성이 좋으며 후술하는 투명한 기재층에 대해서 접착성이 높은 것」이외에 광경화성을 가지고 있으면 되는데, 예를 들면 광중합성 불포화 화합물 및/또는 에폭시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광중합성 불포화 화합물 및/또는 에폭시 화합물로는 단관능(메타)아크릴레이트, 다관능(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바인더 수지(A)로서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 광확산성 수지조성물은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하고 있는 것(바람직하게는 광경화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해 0.1~10질량부)이 바람직하고, 상기 광중합 개시제로는 빛의 조사(照射)에 의해 라디칼을 발생시키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빛의 조사 전후에서 가시광에 흡수를 가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알킬페논계, 옥심계의 광라디칼 개시제; 오늄계, 술포늄계의 광산 발생제 등을 들 수 있다.
<광확산제(B)>
본 발명에 이용되는 광확산제(B)로는 실온에서 D선의 굴절률이 바람직하게는 1.0~2.0, 보다 바람직하게는 1.3~1.7이고, 평균 입자경이 바람직하게는 0.1~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인 것이 이용되며, 예를 들면 유리 비즈, 실리카 입자, 수산화 알루미늄 입자, 탄산 칼슘 입자, 탄산 바륨 입자, 산화 티탄 입자 등의 무기 입자; 가교 스티렌 수지 입자, 가교 아크릴 수지 입자, 가교 실리콘 수지 입자 등의 유기 입자; 무기 분말-아크릴 수지 입자 등의 무기-유기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입자들 중에서도 유기 입자가 광확산성 수지조성물 안으로 균일하게 분산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광확산제를 이용하지 않는 층(수지층)이어도 연색성이 우수한 빛을 얻을 수 있지만, 수지층 내에서 파장 변환 발광한 빛은 수지층과 공기의 계면에서 반사해 수지층 내부에 머무르거나, 수지층의 단면(端面)에서 발광하는 현상이 일어나서 결과적으로 전면(前面)에 방사되는 빛이 감소하여 휘도의 저하를 초래한다. 이에 비해 광확산제를 수지층에 배합하면 상술한 현상에 의한 휘도의 저하가 억제된다. 그렇기 때문에 광확산제는 필요한 것이다.
<트리메틴시아닌 화합물(C)>
본 발명에 이용되는 상기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트리메틴시아닌 화합물(C)은 본 발명의 광원 유닛이 발하는 빛의 색순도를 향상시켜서 형광을 발함으로써 휘도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다.
상기 일반식(I)에서 R1~R17, R 및 R'로 표시되는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20의 알킬기로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s-부틸, t-부틸, 이소부틸, 아밀, 이소아밀, t-아밀, 헥실, 헵틸, 이소헵틸, t-헵틸, n-옥틸, 이소옥틸, t-옥틸, 2-에틸헥실, n-노닐, n-데실, n-도데실, n-트리데실, n-테트라데실, n-펜타데실, n-헥사데실, n-헵타데실, n-옥타데실,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시클로옥틸, 시클로노닐, 시클로데실 등의 직쇄, 분기 및 환형상의 알킬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알킬기 중의 메틸렌기가 -O-로 중단된 기로는 메톡시, 에톡시, 프로필옥시, 이소프로필옥시, 메톡시메틸, 에톡시메틸, 2-메톡시에틸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알킬기 중의 메틸렌기가 -S-로 중단된 기로는 메틸티오, 에틸티오, 부틸티오, 펜틸티오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알킬기 중의 메틸렌기가 -SO2-로 중단된 기로는 메틸술포닐, 에틸술포닐, 부틸술포닐, 펜틸술포닐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알킬기 중의 메틸렌기가 -CO-로 중단된 기로는 아세틸, 1-카르보닐에틸, 아세틸메틸, 1-카르보닐프로필, 2-옥소부틸, 2-아세틸에틸, 1-카르보닐이소프로필, 시클로펜탄카르보닐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알킬기 중의 메틸렌기가 -OCO-로 중단된 기로는 아세톡시기, 프로피오닐옥시기, 부티릴옥시기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알킬기 중의 메틸렌기가 -COO-로 중단된 기로는 메톡시카르보닐기, 에톡시카르보닐기, 이소프로필옥시카르보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I)에서 R1~R17, R 및 R'로 표시되는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6~20의 아릴기로는 페닐기, 나프틸기, 비페닐기 등을 들 수 있고, 아릴기와 인돌레닌환 또는 트리메틴쇄와의 결합부(이하, 아릴기의 결합부라고도 함)가 -O-로 중단된 기로는 페녹시, 1-나프톡시, 2-나프톡시 등을 들 수 있고, 아릴기의 결합부가 -S-로 중단된 기로는 페닐티오, 1-나프틸티오, 2-나프틸티오 등을 들 수 있고, 아릴기의 결합부가 -SO2-로 중단된 기로는 페닐술폰, 1-나프틸술폰, 2-나프틸술폰 등을 들 수 있고, 아릴기의 결합부가 -CO-로 중단된 기로는 벤조일, 1-나프토일, 2-나프토일 등을 들 수 있고, 아릴기의 결합부가 -OCO-로 중단된 기로는 벤조일옥시, 1-나프토일옥시, 2-나프토일옥시 등을 들 수 있고, 아릴기의 결합부가 -COO-로 중단된 기로는 페녹시카르보닐기, 1-나프톡시카르보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I)에서 R1~R17로 표시되는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7~20의 아릴알킬기로는 예를 들면 벤질, 페네틸, 2-페닐프로필, 디페닐메틸, 트리페닐메틸, 4-클로로페닐메틸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알킬기 중의 메틸렌기가 -O-로 중단된 기로는 벤질옥시, 페녹시메틸, 페녹시에틸, 1-나프틸메톡시기, 2-나프틸메톡시기, 1-안트릴메톡시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알킬기 중의 메틸렌기가 -S-로 중단된 기로는 벤질티오, 페닐티오메틸, 페닐티오에틸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알킬기 중의 메틸렌기가 -SO2-로 중단된 기로는 벤질술포닐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알킬기 중의 메틸렌기가 -CO-로 중단된 기로는 벤질카르보닐기, 페네틸카르보닐, 1-나프틸메틸카르보닐기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알킬기 중의 메틸렌기가 -OCO-로 중단된 기로는 페닐아세테이트기, 1-나프틸아세테이트기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알킬기 중의 메틸렌기가 -COO-로 중단된 기로는 벤질옥시카르보닐기, 페니틸옥시카르보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I)에서 R1~R17로 표시되는 할로겐 원자로는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20의 알킬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6~20의 아릴기, 및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7~20의 아릴알킬기의 치환기로는 예를 들면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시클로프로필, 부틸, 제2부틸, 제3부틸, 이소부틸, 아밀, 이소아밀, 제3아밀, 시클로펜틸, 헥실, 2-헥실, 3-헥실, 시클로헥실, 비시클로헥실, 1-메틸시클로헥실, 헵틸, 2-헵틸, 3-헵틸, 이소헵틸, 제3헵틸, n-옥틸, 이소옥틸, 제3옥틸, 2-에틸헥실, 노닐, 이소노닐, 데실 등의 알킬기; 메틸옥시, 에틸옥시, 프로필옥시, 이소프로필옥시, 부틸옥시, 제2부틸옥시, 제3부틸옥시, 이소부틸옥시, 아밀옥시, 이소아밀옥시, 제3아밀옥시, 헥실옥시, 시클로헥실옥시, 헵틸옥시, 이소헵틸옥시, 제3헵틸옥시, n-옥틸옥시, 이소옥틸옥시, 제3옥틸옥시, 2-에틸헥실옥시, 노닐옥시, 데실옥시 등의 알콕시기; 메틸티오, 에틸티오, 프로필티오, 이소프로필티오, 부틸티오, 제2부틸티오, 제3부틸티오, 이소부틸티오, 아밀티오, 이소아밀티오, 제3아밀티오, 헥실티오, 시클로헥실티오, 헵틸티오, 이소헵틸티오, 제3헵틸티오, n-옥틸티오, 이소옥틸티오, 제3옥틸티오, 2-에틸헥실티오 등의 알킬티오기; 비닐, 1-메틸에테닐, 2-메틸에테닐, 2-프로페닐, 1-메틸-3-프로페닐, 3-부테닐, 1-메틸-3-부테닐, 이소부테닐, 3-펜테닐, 4-헥세닐, 시클로헥세닐, 비시클로헥세닐, 헵테닐, 옥테닐, 데세닐, 펜타데세닐, 에이코세닐, 트리코세닐 등의 알케닐기; 벤질, 페네틸, 디페닐메틸, 트리페닐메틸, 스티릴, 신나밀 등의 아릴알킬기; 페닐, 나프틸 등의 아릴기; 페녹시, 나프틸옥시 등의 아릴옥시기; 페닐티오, 나프틸티오 등의 아릴티오기;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등의 할로겐 원자; 아세틸, 2-클로로아세틸, 프로피오닐, 옥타노일, 아크릴로일, 메타크릴로일, 페닐카르보닐(벤조일), 프탈로일(phthaloyl), 4-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 피발로일, 살리실로일(salicyloyl), 옥잘로일, 스테아로일,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t-부톡시카르보닐, n-옥타데실옥시카르보닐, 카르바모일 등의 아실기; 아세틸옥시, 벤조일옥시 등의 아실옥시기; 아미노, 에틸아미노, 디메틸아미노, 디에틸아미노, 부틸아미노, 시클로펜틸아미노, 2-에틸헥실아미노, 도데실아미노, 아닐리노, 클로로페닐아미노, 톨루이디노(toluidino), 아니시디노(anisidino), N-메틸-아닐린, 디페닐아미노, 나프틸아미노, 2-피리딜아미노, 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 페녹시카르보닐아미노, 아세틸아미노, 벤조일아미노, 포르밀아미노, 피발로일아미노, 라우로일아미노, 카르바모일아미노, N,N-디메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 N,N-디에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 모르폴리노카르보닐아미노, 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 에톡시카르보닐아미노, 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 n-옥타데실옥시카르보닐아미노, N-메틸-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 페녹시카르보닐아미노, 술파모일(sulfamoyl)아미노, N,N-디메틸아미노술포닐아미노, 메틸술포닐아미노, 부틸술포닐아미노, 페닐술포닐아미노 등의 치환 아미노기; 술폰아미드기, 술포닐기, 카르복실기, 시아노기, 술포기, 수산기, 니트로기, 멜캅토기, 이미드기, 카르바모일기, 술폰아미드기 등을 들 수 있고, 이러한 기들은 또한 상기의 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또 카르복실기 및 술포기는 염을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탄소 원자를 가지는 치환기로 치환되는 경우는 상기 치환기 전체의 탄소 원자수가 규정된 탄소 원자수 범위를 충족시키는 것으로 한다.
상기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트리메틴시아닌 화합물(C)의 양이온(이하, 트리메틴시아닌 양이온이라고도 함)은 하기 식(X), (Y)에 표시되는 것과 같은 공명 구조를 가지는데, 하기 일반식(X) 및 (Y)의 어느쪽의 구조식이라도 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하기 일반식(X)의 구조로 대표하여 표시하고 있다.
또 상기 트리메틴시아닌 양이온에는 R13과 R14 및 R15와 R16으로 표시되는 기가 결합하는 부제(不齊) 탄소 원자를 키랄 중심으로 하는 에난티오머, 디아스테레오머 또는 라세미체 등의 광학 이성체가 존재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들 중 어떠한 광학 이성체를 단리하여 이용해도 되고, 혹은 그들의 혼합물로서 이용해도 된다.
Figure pct00002
(식 중, R1~R17은 상기 일반식(I)과 같은 의미이다.)
상기 트리메틴시아닌 양이온에 있어서 R1~R12가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니트로기, -NRR'(R 및 R'가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6~20(특히 탄소 원자수 6~10)의 아릴기인 것) 또는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특히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는) 탄소 원자수 1~20(특히 탄소 원자수 1~5)의 알킬기(상기 알킬기 중의 메틸렌기는 -O-, -S-, -SO2-, -CO-, -OCO- 또는 -COO-로 중단되어 있어도 됨)인 것이 높은 형광 강도를 가지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R1~R12가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니트로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특히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는) 탄소 원자수 1~5의 알킬기 또는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7~20(특히 탄소 원자수 6~10)의 아릴알킬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R2 또는 R6이 니트로기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인 것은 제조가 용이하므로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트리메틴시아닌 양이온의 구체적인 예로는 하기 양이온 No.1~No.64를 들 수 있는데, 이들 양이온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Figure pct00018
Figure pct00019
Figure pct00020
상기 일반식(I)에서 Anm -로 표시되는 음이온으로는 예를 들면 1가의 것으로서 염소 음이온, 브롬 음이온, 요오드 음이온, 불소 음이온 등의 할로겐 음이온; 과염소산 음이온, 염소산 음이온, 티오시안산 음이온, 6불화인산 음이온, 6불화안티몬 음이온, 4불화붕소 음이온 등의 무기계 음이온; 벤젠술폰산 음이온, 톨루엔술폰산 음이온,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음이온, 디페닐아민-4-술폰산 음이온, 2-아미노-4-메틸-5-클로로벤젠술폰산 음이온, 2-아미노-5-니트로벤젠술폰산 음이온,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8-253705호, 일본국 공표특허공보 2004-503379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5-336150호, 국제공개공보 2006/28006호 등에 기재된 술폰산 음이온 등의 유기 술폰산 음이온; 옥틸인산 음이온, 도데실인산 음이온, 옥타데실인산 음이온, 페닐인산 음이온, 노닐페닐인산 음이온, 2,2'-메틸렌비스(4,6-디제3부틸페닐)포스폰산 음이온 등의 유기 인산계 음이온;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산 음이온, 비스퍼플루오로부탄술포닐이미드 음이온, 퍼플루오로-4-에틸시클로헥산술포네이트 음이온,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붕산 음이온, 트리스(플루오로알킬술포닐)카르보 음이온, 디벤조일 주석산 음이온 등을 들 수 있고, 2가의 것으로는 예를 들면 벤젠디술폰산 음이온, 나프탈렌디술폰산 음이온 등을 들 수 있다. 또 여기상태에 있는 활성 분자를 탈여기시키는(퀀칭(quenching)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퀀처(quencher) 음이온이나 시클로펜타디에닐환에 카르복실기나 포스폰산기, 술폰산기 등의 음이온성기를 가지는 페로센, 루테노센 등의 금속 착체 화합물인 퀀처 음이온도 본 발명의 파장 변환 기능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이용할 수 있다.
상기의 퀀처 음이온으로는 예를 들면 하기 일반식(1) 또는 (2)로 표시되는 것, 하기 식(3), (4), (5), (6), (7), (8), (9), (10), (11) 또는 (12)로 표시되는 것을 들 수 있고,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60-234892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5-43814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5-305770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6-239028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9-309886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9-323478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10-45767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11-208118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0-168237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2-201373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2-206061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5-297407호, 일본국 공고특허공보 평7-96334호, 국제공개 제98/29257호 팜플렛 등에 기재된 것과 같은 음이온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21
(식 중, M은 Fe, Co, Ni, Ti, Cu, Zn, Zr, Cr, Mo, Os, Mn, Ru, Sn, Pd, Rh, Pt 또는 Ir을 나타내고, R18 및 R19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 탄소 원자수 1~8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6~30의 아릴기 또는 -SO2-G기를 나타내고, G는 알킬기,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아릴기, 디알킬아미노기, 디아릴아미노기, 피페리디노기 또는 모폴리노기를 나타내고,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0~4의 정수를 나타낸다. 또 R20, R21, R22 및 R23은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기, 알킬페닐기, 알콕시페닐기 또는 할로겐화 페닐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22

Figure pct00023
상기 일반식(I) 중 Anm -로 표시되는 음이온으로는 생산성, 용해성 및 내구성 면에서 할로겐 음이온, 6불화인산 음이온, 4불화붕소 음이온, 과염소산 음이온, 및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산 음이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트리메틴시아닌 화합물(C)은 상기 트리메틴시아닌 양이온과 Anm -로 표시되는 음이온의 염이며, 종래 주지의 방법에 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 상기 예시된 트리메틴시아닌 양이온과 Anm -로 표시되는 음이온은 전하를 중성으로 유지하는 형태로 임의로 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확산성 수지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트리메틴시아닌 화합물(C)은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광확산성 수지조성물에 있어서 바인더 수지(A)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8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70질량%이다. 바인더 수지(A)의 함유량이 1질량% 미만이면 확산 입자끼리나 기판과의 접착력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으며, 80질량%를 초과하면 광확산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또 광확산제(B)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5~9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9~79질량%이다. 광확산제(B)의 함유량이 15질량% 미만이면 충분한 광확산성을 얻어지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고, 95질량%를 초과하면 전(全)광선 투과율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또 상기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트리메틴시아닌 화합물(C)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001~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1질량%이다. 상기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트리메틴시아닌 화합물(C)의 함유량이 0.0001질량% 미만이면 적색에 대한 파장 변환 효과가 작아지는 경우가 있고, 5질량%를 초과하면 휘도의 저하가 커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광확산성 수지조성물에는 상기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트리메틴시아닌 화합물(C) 이외의 색소(기타 색소)를 본 발명의 효과를 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색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시아닌계 색소, 피리딘계 색소, 옥사진계 색소, 쿠마린계 색소, 쿠마린 색소계 염료, 나프탈이미드계 색소, 피로메텐계 색소, 페릴렌계 색소, 피렌계 색소, 안트라센계 색소, 스티릴계 색소, 로다민계 색소, 아조계 색소, 퀴논계 색소, 스쿠아릴리움계 색소, 디케토피롤로피롤계 색소, 이리듐 착체계 색소, 유로퓸계 색소, 포르피린계 색소, 아자 포르피린계 색소, 나프토락탐계 색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확산성 수지조성물에는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물, 알코올계, 디올계, 케톤계, 에스테르계, 에테르계, 지방족 또는 지환식 탄화수소계, 방향족 탄화수소계, 시아노기를 가지는 탄화 수소, 할로겐화 방향족 탄화수소계의 용매 등을 들 수 있고, 이러한 용매들 중에서는 케톤계 및 방향족 탄화수소계의 용매가 도공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용매의 사용량으로는 상기 (A)~(C)의 합계량이 10~99질량%가 되도록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확산성 수지조성물은 상술한 광중합 개시제, 가교제, 기타 색소 외, 필요에 따라 열중합 개시제, 광안정제, 적외선 흡수제, 자외선 흡수제, 항산화제, 계면 활성제, 대전 방지제, 난연제, 활제, 중금속 불활성제, 투명화제, 조핵제, 결정화제, 상용화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각종 첨가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합계로 20질량% 이하로 한다.
본 발명의 광확산성 수지조성물의 제조 방법(배합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혼합 및 혼련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용매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각 성분을 헨셀(Henschel) 믹서, 텀블러, 리본 블렌더 등 공지의 혼합기를 이용하여 혼합한 후 용융 혼련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용매를 사용하는 경우는 필요에 따라 바인더 수지(A)를 가열한 후 각 성분을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시키는 방법(단, 광확산제(B)는 용해하지 않음)이나,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각 성분을 용융 혼련한 혼합물을 용매에 용해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용매 사용의 유무와 관계없이 각 성분의 배합 순서에 대해서도 특별히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광확산성 수지조성물은 입사한 빛을 적절한 휘도 및 색순도의 확산광으로서 방사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하에서 설명하는 광확산 시트 외에 광확산판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광확산판은 바인더 수지(A)가 열가소성 수지인 경우, 용융 상태의 조성물을 사출 성형, 블로우 성형, 압출 성형, 압축 성형 등 공지 수법으로 성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 바인더 수지(A)가 열경화성 수지인 경우, 조성물을 금형 내에서 경화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혹은 바인더 수지(A)가 광경화성 수지 및/또는 열경화성 수지인 경우 이러한 수지들과 광중합 개시제 및/또는 가교제를 혼합한 후, 광조사 및/또는 가열 처리로 경화시킴으로써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확산성 수지조성물을 광확산판에 이용하는 경우, 도공성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용매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광확산 시트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광확산성 수지조성물에서의 설명이 적절하게 채용된다.
본 발명의 광확산 시트는 투명한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의 적어도 하나의 면에 형성된 광확산층을 가지며, 상기 광확산층이 본 발명의 광확산성 수지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광확산 시트에 이용되는 투명한 기재층으로는 예를 들면 유리 등의 무기 재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부티랄,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염화비닐, 스티렌-부타디엔코폴리머,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플루오렌 수지, 실리콘 수지 등의 합성 고분자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투명한 기재층은 단일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2종 이상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며, 또 단일층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복수층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투명한 기재층의 두께는 10~1000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30~500㎛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한 기재층의 두께가 10㎛ 미만이면 광확산 시트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 상기 투명한 기재층의 두께가 10000㎛을 초과하면 투명한 기재층을 통과하는 광량이 감소되고 휘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투명한 기재층은 가시광에 대해서 80% 이상의 투과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86% 이상의 투과율을 가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한 기재층의 헤이즈는 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한 기재층의 굴절률은 1.45~1.7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한 기재층에는 각종 표면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상기 표면 처리는 예를 들면 약품 처리, 기계적 처리, 코로나 방전 처리, 화염 처리, 자외선 조사 처리, 고주파 처리, 글로우 방전 처리, 활성 플라즈마 처리, 레이저 처리, 혼산 처리, 오존 산화 처리 등을 포함한다.
상기 확산층은 본 발명의 광확산성 수지조성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명한 기재층의 적어도 하나의 면에 형성된다.
상기 투명한 기재층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상기 광확산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딥 코트법, 에어 나이프 코트법, 커튼 코트법, 롤러 코트법, 와이어 바 코트법, 그라비어 코트법, 스핀 코트법 혹은 압출(extrusion) 코트법 등을 들 수 있다. 이용하는 광확산성 수지조성물의 형태로는 상기 용매를 사용한 것이 도공성 및 생산성이 우수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광확산층의 두께는 0.1~500㎛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100㎛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광확산층의 두께가 0.1㎛ 미만이면 광확산층에 입사한 빛이 충분히 확산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 상기 광확산층의 두께가 100㎛를 초과하면 광확산층을 통과하는 광량이 감소되고 휘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광확산층은 단일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2종 이상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며, 또 단일층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복수층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광원 유닛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광확산성 수지조성물 및 광확산 시트에서의 설명이 적절하게 채용된다.
본 발명의 광원 유닛은 본 발명의 광확산 시트(10)와 광원(3)을 구비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하형 방식의 광원 유닛으로서 도 1a에 도시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도 1a의 광원 유닛에서는, 광원(3)은 광확산 시트(10)의 투명한 기재층(1)쪽에 마련되어 있다. 또 광원(3)은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확산 시트(10)의 광확산층(2)쪽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광원 유닛은 광원(3)에서 발한 빛이 투명한 기재층(1) 및 광확산층(2)을 거쳐서 확산광으로서 방출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면 되고, 광확산층(2)과는 별도의 광학 기능층, 예를 들면 프레넬 렌즈층 등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상기 광원(3)으로는 발광 다이오드(LED), 냉음극관, EL, 크세논 램프, 할로겐 램프 등을 들 수 있는데, 본 발명의 광확산 시트를 이용함으로써 백색의 색순도가 가장 높아지는 점에서 LED(특히 백색 LED)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원 유닛에 있어서 상기 광원(3)으로 LED를 이용하는 경우, LED는 점발광이기 때문에 면발광으로 빛을 추출하는 경우, 그 형태를 도 1a 또는 1b에 도시하는 직하형 방식 대신에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엣지 라이트 방식으로 해도 된다.
도 2의 광원 유닛에서는 광원(3)에서 발생하여 도광판(4)을 통과한 빛이 반사판(5)에 의해 반사됨으로써 광확산 시트(10)의 면 내에 균일하게 공급된다.
상기 도광판(4)으로는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도광판(4)의 두께는 0.1~100mm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5~50mm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반사판(5)으로는 공기층이나 백색 미립자를 함유한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반사판(5)의 두께는 10~10000㎛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50~5000㎛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원 유닛은 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유닛, 주택 및 차재용(車載用) 조명 등에 적합하게 이용된다. 조명 용도로는 도 1a, 도 1b 및 도 2에 도시하는 형태 외에, 도 3에 도시하는 형태도 적합하게 이용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 등에 의해 어떠한 제한을 받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5 및 비교예 1~6]
하기 [표 1]의 배합비에 따라 실시예 1~5 및 비교예 1~6의 광확산성 수지조성물을 조제했다.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광확산성 수지조성물을 PET필름(파낙사(PANAC CO., LTD)제품, 필름 두께 100㎛)으로 이루어지는 투명한 기재층(1) 위에 No.90의 바코터를 이용하여 도공한 후, 100℃에서 10분간 가열 건조하여 광확산성 수지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광확산층(2)을 가지는 실시예 1~5 및 비교예 1~6의 광확산 시트(10)를 제작했다. 또한 배합하는 색소의 양은 광확산제를 첨가하지 않는 경우의 λmax(584nm)에서의 흡광도가 [표 1]의 값이 되도록 조정했다. 얻어진 광확산 시트에 대해서 JIS Z 8726에 기초하여 백색 LED를 광원(3)으로서 확산광의 방사 스펙트럼의 평균 연색 평가수(Ra)를 분광 방사계(SR-LEDW, 탑콘사(TOPCON CORPORATION))로 측정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24
Figure pct00025
[표 2]의 결과로부터 색소로서 상기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트리메틴시아닌 화합물(C)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광확산성 수지조성물을 이용한 광확산 시트는, 비교 색소인 아자포르피린 화합물을 함유하는 비교예의 광확산성 수지조성물을 이용한 광확산 시트에 비해, 보다 소량의 색소 배합량으로 연색성이 향상되고 있는 것이 명확하다.
[실시예 6~9 및 비교예 7~10]
하기 [표 3]의 배합비에 따라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 6~9 및 비교예 8~10의 광확산 시트(10)를 제작하고, 이러한 광확산 시트(10) 및 기타 부재가 도 4a에 도시하는 구성이 되도록 설치하여 백색 LED를 광원(3)으로 한 확산광의 R성분의 xy색도 및 휘도를 측정했다.
이와 별도로 실시예 1에서 광확산층(2) 대신에, 색소를 함유하지 않는 광확산제층(9)을 마련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 7의 광확산 시트를 제작하고, 이 광확산 시트 및 기타 부재가 도 4b에 도시하는 구성이 되도록 설치하여 백색 LED를 광원(3)으로 한 확산광의 R성분의 xy색도 및 휘도를 측정했다.
휘도의 산출은 광확산제의 종류마다 색소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7 및 비교예 10을 100이라고 했을 때의 상대값으로 했다. 즉 비교예 7의 휘도에 대해 실시예 6 및 비교예 8~9의 휘도, 그리고 비교예 10의 휘도에 대해 실시예 7~9의 휘도를 상대값으로 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26
[표 3]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광확산 시트는 상기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트리메틴시아닌 화합물(C)이 불필요한 파장역의 빛을 흡수하고 원하는(R성분) 파장 역에 형광을 발함으로써 R성분의 색도 및 휘도가 향상되고 있는 것이 명확하다.
또 실시예 6과 비교예 7의 대비 및 실시예 7~9와 비교예 10의 대비로부터 상기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트리메틴시아닌 화합물(C)은 광확산제와 같은 층에 존재함으로 인해 더욱 높은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명백하다.
[실시예 11~13]
하기 [표 4]의 배합비에 따라 기타 색소를 첨가한 실시예 10~12의 광확산성 수지조성물을 제작하고, 이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 10~12의 광확산 시트(10)를 제작하고, 실시예 6과 마찬가지 수법으로 백색 LED를 광원(3)으로 한 확산광의 R성분의 xy색도 및 휘도를 측정했다. R성분의 휘도에 대해서는 상기 비교예 10에서의 R성분의 휘도를 100으로 하여 상대값을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27
상기 실시예 10은 기타 색소를 이용하지 않은 실시예 7보다 R성분 휘도가 더욱 향상되어 있고, 실시예 11 및 12는 기타 색소를 이용하지 않은 실시예 8보다 R성분의 휘도가 마찬가지로 향상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확산성 수지조성물을 이용한 광확산 시트는 연색성 및 색도를 향상시키고, 또한 휘도의 저하도 억제 가능하기 때문에 광원 유닛에 적합하다.
1 투명한 기재층
2 광확산층
3 광원
4 도광판
5 반사판
6 적색 컬러 필터
7 분광 방사 휘도계
8 바인더 수지 및 형광제층
9 색소를 포함하지 않는 광확산층
10 광확산 시트

Claims (5)

  1. 바인더 수지(A), 광확산제(B) 및 하기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트리메틴시아닌 화합물(C)을 포함하는 광확산성 수지조성물.
    Figure pct00028

    (식 중, R1~R17은 각각 독립하여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니트로기, 시아노기,알데히드기, 카르복실기, 수산기, -NRR’,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20의 알킬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6~20의 아릴기, 또는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7~20의 아릴알킬기를 나타내고, R 및 R'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20의 알킬기, 또는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6~20의 아릴기를 나타낸다. 상기 알킬기 및 아릴알킬기 중의 메틸렌기, 그리고 상기 아릴기와 인돌레닌환 또는 트리메틴쇄의 결합부는 -O-, -S-, -SO2-, -CO-, -OCO- 또는 -COO-로 개재되어 있어도 되고, 상기 알킬기 및 아릴알킬기 중의 탄화수소쇄는 이중 결합 또는 삼중 결합을 가져도 되고, R13과 R14, R15와 R16, 그리고 R1~R4 및 R5~R8의 인접하는 기끼리는 서로 연결하여 환을 형성해도 된다.
    단, R1~R8 중 적어도 하나는 니트로기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를 나타낸다.
    Anm -는 m가의 음이온을 나타내고, m은 1 또는 2의 정수를 나타내고, p는 전하를 중성으로 유지하는 계수를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수지(A)를 1~80질량%, 상기 광확산제(B)를 15~95질량%, 및 상기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트리메틴시아닌 화합물(C)을 0.0001~5질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성 수지조성물.
  3. 투명한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의 적어도 하나의 면에 형성된 광확산층을 가지고, 상기 광확산층은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광확산성 수지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 시트.
  4. 제3항에 기재된 광확산 시트와, 광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유닛.
  5. 제4항에 기재된 광원이 백색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유닛.
KR1020137022626A 2011-03-16 2012-01-17 광확산성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확산 시트 KR201400078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57527 2011-03-16
JPJP-P-2011-057527 2011-03-16
JP2011253153A JP2012208465A (ja) 2011-03-16 2011-11-18 光拡散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光拡散シート
JPJP-P-2011-253153 2011-11-18
PCT/JP2012/050812 WO2012124365A1 (ja) 2011-03-16 2012-01-17 光拡散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光拡散シー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7872A true KR20140007872A (ko) 2014-01-20

Family

ID=46830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2626A KR20140007872A (ko) 2011-03-16 2012-01-17 광확산성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확산 시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40003060A1 (ko)
EP (1) EP2687562A4 (ko)
JP (1) JP2012208465A (ko)
KR (1) KR20140007872A (ko)
CN (1) CN103391974A (ko)
TW (1) TW201239035A (ko)
WO (1) WO20121243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18915B (zh) * 2013-09-13 2018-09-25 株式会社村田制作所 二次电池用负极、二次电池、电池组、电动车辆、电力存储系统、电动工具以及电子设备
JP6563383B2 (ja) * 2014-04-14 2019-08-21 国立大学法人東京工業大学 透明スクリーン用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備えた透明スクリーン
CN105985719A (zh) * 2015-02-09 2016-10-05 文豪 Led灯防水性防爆灯管涂料及其制备方法
KR102352742B1 (ko) * 2015-03-25 2022-0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5278014B (zh) * 2015-10-28 2018-06-26 东莞市纳利光学材料有限公司 一种溶剂型uv光学扩散膜及其制备方法
CN105585946A (zh) * 2015-12-18 2016-05-18 李小鹏 一种水性微珠光扩散涂料及其制备方法
EP3434473A1 (en) * 2017-07-27 2019-01-30 Zanini Auto Grup, S.A. Emblem for vehicles
FR3087776B1 (fr) * 2018-10-26 2021-07-30 Arkema France Composition de polymere comprenant des particules et un colorant, son procede de preparation et son utilisation
CN112574544B (zh) * 2019-09-27 2022-04-1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聚碳酸酯组合物、聚碳酸酯材料以及壳体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34892A (ja) 1984-05-08 1985-11-21 Tdk Corp 光記録媒体
JPH0796334B2 (ja) 1987-02-27 1995-10-18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的情報記録媒体
US5268478A (en) 1990-11-30 1993-12-07 Teijin Limited Sulfur compound-coordinate bonded organic coloring matter, compositions of same, and photorecording media containing same
JPH05305770A (ja) 1992-04-28 1993-11-19 Ricoh Co Ltd 光情報記録媒体
JPH06239028A (ja) 1993-02-17 1994-08-30 Canon Inc 光記録媒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541235A (en) 1995-03-06 1996-07-3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Organic soluble cationic dyes with fluorinated alkylsulfonyl counterions
JPH09323478A (ja) 1996-06-06 1997-12-16 Tdk Corp 光記録媒体
JP3485227B2 (ja) 1996-03-21 2004-01-13 住友精化株式会社 置換ベンゼンジチオール金属錯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922596B2 (ja) 1996-07-31 2007-05-30 住友精化株式会社 置換ベンゼンジチオール金属錯体およびその製法
EP0887202B1 (en) 1996-12-27 2004-05-06 TDK Corporation Optical recording medium
JPH11208118A (ja) 1997-11-20 1999-08-03 Taiyo Yuden Co Ltd 光情報記録媒体
JP2000168237A (ja) 1998-12-07 2000-06-20 Tdk Corp 光記録媒体
US7067188B1 (en) * 1999-01-21 2006-06-27 Arkema Polymeric articles having a textured surface and frosted appearance
JP2002206061A (ja) 2000-07-05 2002-07-26 Hayashibara Biochem Lab Inc スチリル色素
HUP0301632A2 (en) 2000-07-13 2003-08-28 Rhodia Chimie Sa Composition and compound based on metal and acid salt(s) having a sulphonyl group borne by a perhalogenated carbon and their use as lewis acid
JP4743994B2 (ja) 2000-10-27 2011-08-10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耐光性改善剤
JP4124953B2 (ja) * 2000-11-13 2008-07-23 株式会社Adeka 光学フィルター
JP4082151B2 (ja) * 2001-09-28 2008-04-30 松下電工株式会社 面発光体
JP2004198707A (ja) 2002-12-18 2004-07-15 Keiwa Inc 光学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05336150A (ja) 2003-11-10 2005-12-08 Nippon Kayaku Co Ltd ジイモニウム化合物及びその用途
JP4482701B2 (ja) 2004-04-13 2010-06-16 株式会社東芝 追記型情報記録媒体
US7521006B2 (en) 2004-09-06 2009-04-21 Nippon Kayaku Kabushiki Kaisha Diimmonium compound and use thereof
KR100735148B1 (ko) 2004-11-22 2007-07-03 (주)케이디티 백라이트 장치용 광 여기 확산시트, 이를 이용한액정표시용 백라이트 장치
JP4901188B2 (ja) * 2005-11-14 2012-03-21 株式会社Adeka シアニン化合物及び該シアニン化合物を用いた光学フィルター
US7320823B2 (en) * 2006-02-14 2008-01-22 Kimoto Co., Ltd. Light diffusing body and a transmission type screen
SK51202007A3 (sk) 2006-10-24 2008-08-05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rostriedok živice rozptyľujúcej svetlo
JP2009043611A (ja) 2007-08-09 2009-02-26 Citizen Electronics Co Ltd 照明装置の光源ユニット
JP5379130B2 (ja) * 2008-05-21 2013-12-25 住友精化株式会社 表面に多数のくぼみを有する樹脂粒子
US8363100B2 (en) * 2008-11-19 2013-01-2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Three dimensional display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three dimensional images
JP2011065893A (ja) * 2009-09-17 2011-03-31 Adeka Corp 波長変換フィルタ、それを備えた色変換発光デバイス及び光電変換デバイス
JP2011119131A (ja) * 2009-12-03 2011-06-16 Seiko Instruments Inc 照明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87562A1 (en) 2014-01-22
CN103391974A (zh) 2013-11-13
TW201239035A (en) 2012-10-01
US20140003060A1 (en) 2014-01-02
EP2687562A4 (en) 2015-04-08
JP2012208465A (ja) 2012-10-25
WO2012124365A1 (ja) 201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7872A (ko) 광확산성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확산 시트
KR101778378B1 (ko) 금속 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색변환 필름
JP5579624B2 (ja) 光学フィルタ
KR101778740B1 (ko) 쉬프 베이스형 화합물 및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색소 재료
KR10232496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75231B1 (ko) 함질소 고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색변환 필름
KR102148058B1 (ko) 함질소 고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색변환 필름
JP7024488B2 (ja) 非対称スクアリリウム化合物、着色組成物、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ター及びディスプレイ
JP2011102841A (ja) 波長変換材料、波長変換層、波長変換フィルタ、波長変換フィルタを備えた波長変換発光デバイス及び光電変換デバイス
JP2013109105A (ja) 光拡散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光拡散シート
KR102148070B1 (ko) 함질소 고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색변환 필름
JP2011065893A (ja) 波長変換フィルタ、それを備えた色変換発光デバイス及び光電変換デバイス
KR102276612B1 (ko) 함질소 고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색변환 필름
KR102443865B1 (ko)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색변환 조성물 및 색변환 필름,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색변환필름의 제조방법
KR102068387B1 (ko) 함질소 고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색변환 필름
KR20200018917A (ko) 색변환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76607B1 (ko)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색변환 필름,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37488A (ko) 함질소 고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색변환 필름
JP2013109104A (ja) 光拡散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光拡散シート
JP2021054891A (ja) スクアリリウム系化合物、着色組成物、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ター及びディスプレイ
JP2020037653A (ja) スクアリリウム系化合物、着色組成物、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ター及びディスプレイ
KR20180047381A (ko)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색변환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