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6229A - 파이프 길이별 선별 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길이별 선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6229A
KR20140006229A KR1020120070251A KR20120070251A KR20140006229A KR 20140006229 A KR20140006229 A KR 20140006229A KR 1020120070251 A KR1020120070251 A KR 1020120070251A KR 20120070251 A KR20120070251 A KR 20120070251A KR 20140006229 A KR20140006229 A KR 20140006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length
pipes
sorting
sor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0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홍
Original Assignee
(주)종합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종합기계 filed Critical (주)종합기계
Priority to KR1020120070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6229A/ko
Publication of KR20140006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2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B07C5/06Sorting according to size measured mecha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07C5/362Separating or distributor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를 길이별로 선별 분류하는 파이프 길이별 선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파이프 길이별 선별 장치는 선별하고자 하는 파이프를 올려 놓는, 일측으로 경사진 파이프 거치대(10); 상기 파이프 거치대의 파이프를 일렬로 순차적으로 전달하는 파이프 이송부(20); 구동모터(7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연결체인(38)에 연결된 파이프 고리(32)가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 이송부에서 전달된 파이프를 개별적으로 하나씩 상승시키는 파이프 상승부(30); 파이프의 일측을 정렬하도록 일측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으며, 길이별로 파이프 출구구멍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파이프를 길이별로 선별하는 파이프 선별부(40); 및 상기 파이프 선별부에 의해 길이별로 선별된 파이프를 길이별로 적치시키는 파이프 적치대(5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파이프 길이별 선별 장치{APPARATUS FOR CLASSIFYING THE PIPE BY ITS LENGTH}
본 발명은 파이프 길이별 선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길이가 서로 상이한 파이프를 길이별로 분류 선별하여 파이프를 보관하기 위한, 파이프 길이별 선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파이프는 일반적으로 유체의 이동로로 사용되는 것으로, 선박에서는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는 이동로, 화물창에 액체화물을 선적하거나, 화물창으로부터 액체화물을 하역하는 이동로, 선박 및 선원을 위험 상황에서 보호하기 위한 소방장치의 이동로 등으로 사용된다. 어떠한 구조물을 형성하는 데에도 이용됨은 물론이다.
조선소나 건설현장 등의 작업 환경에서는 길이 1.5m, 2m, 2.5m, 3m, 4m 등 다양한 규격의 파이프가 거치대의 제작이나, 안전판의 제작, 통행로의 확보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제작된 거치대, 안전판, 통행로 등의 해체시에는 파이프의 길이가 다름으로, 파이프를 길이별로 분류하여 보관하여야 한다. 길이 2m 이상의 파이프들을 분류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양쪽에서 파이프를 개별적으로 들어서 분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수작업에 의한 파이프의 선별 작업은 파이프를 인력으로 들어서 분류함으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강한 노동강도가 필요하며, 그 작업 시간 또한 엄청나 업무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작업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파이프의 길이에 따라 파이프를 선별하여 보관할 수 있는 파이프 선별 장치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조선소 등의 현장으로부터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인력에 의한 파이프 선별 과정을 자동화 기계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이프의 길이에 따라 파이프를 자동으로 분류하여 보관할 수 있는 파이프 길이별 선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중에 의해 구름성이 좋은 파이프의 특성을 이용하여 최소한의 에너지만으로 파이프를 선별할 수 있도록 구성된, 파이프 길이별 선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를 길이별로 선별 분류하는 파이프 길이별 선별 장치는, 선별하고자 하는 파이프를 올려 놓는, 일측으로 경사진 파이프 거치대(10); 상기 파이프 거치대의 파이프를 일렬로 순차적으로 전달하는 파이프 이송부(20); 구동모터(7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연결체인(38)에 연결된 파이프 고리(32)가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 이송부에서 전달된 파이프를 개별적으로 하나씩 상승시키는 파이프 상승부(30); 파이프의 일측을 정렬하도록 일측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으며, 길이별로 파이프 출구구멍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파이프를 길이별로 선별하는 파이프 선별부(40); 및 상기 파이프 선별부에 의해 길이별로 선별된 파이프를 길이별로 적치시키는 파이프 적치대(50);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파이프 거치대의 일측에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가이드 수직대(11)가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 수직대의 하부에는 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통로를 통해 파이프가 일렬로 순차적으로 파이프 이송부(20)로 전달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파이프 이송부(20)는, 구동모터(7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편심축(21)에 의해 일단이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상기 파이프 거치대에 올려진 파이프의 이송을 조절하는 차폐판(22)과, 상기 차폐판을 통과한 파이프를 수평방향으로 이송 전달하는 이송대(24)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파이프 고리(32)는 단면이 반원형 고리 형상을 지니되, 수평방향으로 일렬로 다수개 형성되어 파이프의 길이에 상관없이 파이프를 하나씩 안정적으로 상승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파이프 선별부(40)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파이프 상승부의 파이프 고리에 의해 들어올려진 파이프를 파이프 선별대로 이송시키는 파이프 가이드(42)와, 파이프의 일측 끝단을 정렬하도록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으며, 파이프가 길이별로 빠져서 길이별로 선별될 수 있도록 길이별로 순차적으로 형성된 파이프 출구구멍(43)이 형성된 파이프 선별대(44)와, 파이프 길이에 따라 출구구멍으로 빠진 각각의 파이프를 이송시키는 파이프 출구통로(46)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길이별 파이프 선별 장치는 작업자의 인력이 아니라 자동으로 기계의 힘에 의해서 파이프를 길이별로 선별할 수 있음으로 시간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노동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선소나 건설현장에서 어지럽게 널려진 파이프를 길이별로 분류 정렬하여 적치 보관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환경이 개선되고, 이에 따라 작업 의욕이 고취되고 작업 능률이 향상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길이별 선별 장치의 측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길이별 선별 장치의 평면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길이별 선별 장치의 차폐판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파이프 선별 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길이별 선별 장치의 측면 개략도이며, 도 2는 도 1의 평면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파이프 길이별 선별 장치는 파이프 거치대(10), 파이프 이송부(20), 파이프 상승부(30), 파이프 선별부(40), 및 파이프 적치대(50)로 이루어진다.
먼저, 파이프 거치대(10)는 작업 현장에서 수거된 파이프나 선별하고자 하는 파이프(100)를 일렬로 올려놓는 곳이다. 다양한 길이의 파이프(100)가 파이프 거치대에 일시에 올려지게 된다. 파이프 거치대(10)는 일측, 즉 파이프 이송부(20)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 데, 이는 원통의 파이프가 자중에 의해 한쪽 방향으로 굴러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바람직하게는 파이프의 일단을 정렬할 수 있도록 파이프 길이방향의 일측 끝단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파이프 선별부에는 파이프의 일측 끝단이 정렬되도록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파이프 거치대(10)의 일측에는 가이드 수직대(12)가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있다. 가이드 수직대(12)는 파이프가 일시에 파이프 이송부로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가이드 수직대 하부의 통로를 통해 파이프가 일렬로 순차적으로 파이프 이송부(20)로 전달되어, 원하는 수량만큼 파이프 거치대(10)에서 파이프 이송부(20)로 이송되도록 한다. 즉, 가이드 수직대(11)는 파이프가 일시에 넘어져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고, 가이드 수직대 하부의 통로는 파이프가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통로이다.
파이프 이송부(20)는 상기 파이프 거치대(10)의 파이프를 일렬로 정렬하여 순차적으로 파이프 상승부(30)로 전달하는 부분이다. 파이프 이송부(20)는 이송되는 파이프의 량을 조절하는 차폐판(22)과, 수평방향으로 전달하는 이송대(24)로 이루어진다. 차폐판(22)는 일단이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전달되는 파이프의 량을 조절하는 부분이다.
도 3과 관련하여, 차폐판(22)의 동작원리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서 (a)는 차폐판(22)이 상승하여 파이프의 전달을 막는 경우를 도시하며, 도 3의 (b)는 차폐판(22)이 하강하여 파이프의 전달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도시한다.
차폐판(22) 동작의 기본적인 동력은 구동모터(70)에 의해서 전달받는다. 구동모터(70)에는 인버터 및 감속기가 설치되어 회전속도가 조절된다. 구동모터(70)의 구동력에 의해 편심축(21)이 회전하게 된다. 차폐판(22)은 일측이 고정되어 있음으로 타측은 상승 또는 하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편심축이 회전함에 따라 차폐판의 타측을 상승 또는 하강시킴으로, 차폐판은 파이프의 전달을 막거나 허락하게 된다. 이에 따라, 차폐판의 타측이 하강할 때에는 파이프가 일렬로 순차적으로 통과할 것이고, 차폐판의 타측이 상승할 때에는 파이프가 전달되지 않고 멈추게 된다.
차폐판을 통과하여 전달된 파이프(100)는 이송대(24)를 통해 파이프 상승부(30)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이송대(24)는 차폐판을 통과한 파이프를 수평방향으로 이송 전달하는 부분으로서, 컨베이어 벨트가 설치될 수도 있으나, 이송대가 파이프 상승부쪽으로 기울어져 파이프가 자중에 의해서 움직이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파이프 상승부(30)는 파이프를 개별적으로 하나씩 상승시키는 부분이다. 즉, 파이프 상승부(30)는 구동모터(70)의 구동력에 의해 연결체인(38)에 연결형성된 파이프 고리(32)를 이용하여 파이프를 들어올려 파이프를 선별하는 파이프 선별대(44)에 전달하는 부분이다.
파이프 상승부(30)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반원형의 고리 형상을 지니는 파이프 고리(32)가 연결체인(32)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연결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파이프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낱개로 상승시킬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파이프 고리는 수평방향으로 일렬로 다수개의 형성되는 데, 이는 파이프의 길이에 상관없이 파이프를 하나씩 안정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파이프를 상승시키기 위한 파이프 고리(32)는 수직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됨과 동시에 수평방향으로도 다수개 형성되어 있음으로, 길이가 서로 다른 파이프를 하나씩 낱개로 안정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파이프 고리가 연결체인에 부착된다는 의미는 연결체인에 직접 부착되는 것 이외에도 연결바 등에 의해서 간접 연결 부착되는 것도 포함됨은 물론이다.
파이프가 하나씩 낱개로 상승하는 원리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구동모터(70)의 구동력으로 체인 내지 벨트 등에 의해서 구동 스프라켓(36, 구동축)을 회전 구동시키며, 구동 스프라켓(36)에 연결된 연결체인(38)이 회전되고, 이에 따라 종동 스프라켓(34)도 회전하게 된다. 연결체인(38)은 구동 스프라켓(36)과 종동 스프라켓(34) 사이를 회전함에 따라, 연결 체인(38)에 연결부착된 파이프 고리(32)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파이프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상승시키게 된다.
파이프 상승부(30)에 의해 하나씩 개별적으로 상승된 파이프는 파이프 선별부(40)에 의해서 길이별로 선별 분류된다. 파이프 선별부(40)는 파이프 이송부에서 파이프 선별대로 넘겨주는 파이프 가이드(42)와, 파이프의 일측 끝단을 정렬하기 위한 정렬판(48)과, 파이프를 길이별로 선별하는 파이프 선별대(44)와, 선별된 파이프를 일정한 길이만큼 이송하는 파이프 출구통로(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파이프 가이드(42)는 파이프 상승부에 의해 일정높이 올려진 파이프를 받아서 선별대로 넘겨주는 부분이다. 파이프 고리(32)에 의해 파이프 상승부(30)의 최고 높이까지 올라간 파이프는 파이프 고리(32)가 회전함에 따라 자중에 의해 아래로 떨어지는 데, 이 때 파이프 가이드(42)가 파이프를 받아서 안정적으로 파이프 선별대(44)에 넘겨준다.
파이프 선별대(44)는 파이프를 길이별로 분류 선별하는 부분이며, 파이프의 한쪽 끝단을 정렬하도록 파이프 선별대는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으며 그 끝단에는 정렬판(48)이 형성된다. 정렬판(48)은 일측으로 기울어진 파이프가 옆으로 빠지지 않도록 막는 차단판이며, 파이프의 끝단을 정렬하기 위한 부분이다.
다시말해, 파이프 선별대(44)는 길이별로 순차적으로 형성된 파이프 출구구멍(43)에 의해서 파이프가 길이별로 선별하는 부분이다. 가장 작은 파이프부터 순차적으로 파이프 출구구멍(44)에 빠지도록 하여 파이프를 선별하게 된다. 파이프는 일측이 정렬되어 있음으로, 파이프 출구 구멍을 파이프의 길이별로 순차적으로 형성하여 파이프 출구구멍에 빠지는 파이프를 달리하여 파이프를 길이별로 선별하게 되는 것이다. 즉, 처음의 파이프 출구구멍에는 가장 작은 길이의 파이프(1.5m 이하)가 빠지고, 다음의 출구구멍에는 그 다음 길이의 파이프(1.5~2m이하)가 빠지고, 그 다음 출구구멍은 그 다음 길이의 파이프(2~2.5m)이 빠지고, 다음으로 3m이하, 4m이하 순으로 파이프의 길이에 따라 순차적으로 파이프 출구구멍에 빠지도록 하여 파이프가 자동으로 선별되도록 한 것이다. 파이프 출구구멍의 길이는 선별하고자 하는 파이프의 길이를 고려하여 당업자에 의해 선택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파이프 선별대(44)는 파이프가 자동으로 굴러서 파이프 출구구멍에 빠질 수 있도록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음은 물론이다.
파이프 선별대(44)에 의해 길이별로 선별된 각각의 파이프는 일정길이만큼 수평방향으로 자중에 의해 이동된다. 즉, 파이프 출구통로(46)는 파이프 길이에 따라 출구구멍으로 빠진 각각의 파이프를 일정길이만큼 이송시키는 부분이다. 길이별로 선별된 파이프를 길이별로 적치하는 파이프 적치대까지 이송시킨후, 파이프 적치대 상부에서 파이프 적치대로 떨어지게 된다.
파이프 적치대(50)는 길이별로 선별된 파이프를 적치시키는 부분이다. 파이프 적치대(50)에 적치된 파이프는 길이별로 선별되어 있음으로, 사용자는 길이별로 필요한 파이프를 선택하여 원하는 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파이프 길이별 선별 장치는 길이가 서로 상이한 여러 종류의 파이프를 길이별로 자동으로 선별하여 이를 길이별로 적치 보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 인력에 의존하던 방식에 비하여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어 생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파이프
10: 파이프 거치대
12: 가이드 수직대
20: 파이프 이송부
21: 편심축
22: 차폐판
24: 이송대
30: 파이프 상승부
32: 파이프 고리
34: 종동 스프라킷
36: 구동 스프라킷
38: 연결체인
40: 파이프 선별부
42: 파이프 가이드
44: 파이프 선별대
46: 파이프 출구통로
48: 정렬판
50: 파이프 적치대
70: 구동모터

Claims (6)

  1. 파이프를 길이별로 선별 분류하는 파이프 길이별 선별 장치에 있어서,
    선별하고자 하는 파이프를 올려 놓는, 일측으로 경사진 파이프 거치대(10);
    상기 파이프 거치대의 파이프를 일렬로 순차적으로 전달하는 파이프 이송부(20);
    구동모터(7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연결체인(38)에 연결된 파이프 고리(32)가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 이송부에서 전달된 파이프를 개별적으로 하나씩 상승시키는 파이프 상승부(30);
    파이프의 일측을 정렬하도록 일측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으며, 길이별로 파이프 출구구멍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파이프를 길이별로 선별하는 파이프 선별부(40); 및
    상기 파이프 선별부에 의해 길이별로 선별된 파이프를 길이별로 적치시키는 파이프 적치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길이별 선별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거치대의 일측에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가이드 수직대(11)가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 수직대의 하부에는 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통로를 통해 파이프가 일렬로 순차적으로 파이프 이송부(20)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길이별 선별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이송부(20)는, 구동모터(7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편심축(21)에 의해 일단이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상기 파이프 거치대에 올려진 파이프의 이송을 조절하는 차폐판(22)과,
    상기 차폐판을 통과한 파이프를 수평방향으로 이송 전달하는 이송대(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길이별 선별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고리(32)는 단면이 반원형 고리 형상을 지니되, 수평방향으로 일렬로 다수개 형성되어 파이프의 길이에 상관없이 파이프를 하나씩 안정적으로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길이별 선별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선별부(40)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파이프 상승부의 파이프 고리에 의해 들어올려진 파이프를 파이프 선별대로 이송시키는 파이프 가이드(42)와,
    파이프의 일측 끝단을 정렬하도록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으며, 파이프가 길이별로 빠져서 길이별로 선별될 수 있도록 길이별로 순차적으로 형성된 파이프 출구구멍(43)이 형성된 파이프 선별대(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길이별 선별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선별부(40)는
    파이프 길이에 따라 출구구멍으로 빠진 각각의 파이프를 이송시키는 파이프 출구통로(46)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길이별 선별 장치.
KR1020120070251A 2012-06-28 2012-06-28 파이프 길이별 선별 장치 KR201400062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251A KR20140006229A (ko) 2012-06-28 2012-06-28 파이프 길이별 선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251A KR20140006229A (ko) 2012-06-28 2012-06-28 파이프 길이별 선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229A true KR20140006229A (ko) 2014-01-16

Family

ID=50141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0251A KR20140006229A (ko) 2012-06-28 2012-06-28 파이프 길이별 선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622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27109A (zh) * 2015-09-24 2015-12-09 宁波正力药品包装有限公司 一种管件的分选装置及基于该分选装置的分选工艺
CN106622995A (zh) * 2016-11-10 2017-05-10 忽少宏 提升式建筑钢管分拣机
CN111204597A (zh) * 2020-03-16 2020-05-29 袁雷 一种脚手架自动堆放装车设备
CN111672670A (zh) * 2020-06-19 2020-09-18 湖北文理学院理工学院 一种机械组合式用于钢管的自动化喷漆装置
CN114042645A (zh) * 2021-11-09 2022-02-15 江苏中康金属材料有限公司 一种不锈钢管尺寸高精度自动检测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27109A (zh) * 2015-09-24 2015-12-09 宁波正力药品包装有限公司 一种管件的分选装置及基于该分选装置的分选工艺
CN106622995A (zh) * 2016-11-10 2017-05-10 忽少宏 提升式建筑钢管分拣机
CN111204597A (zh) * 2020-03-16 2020-05-29 袁雷 一种脚手架自动堆放装车设备
CN111672670A (zh) * 2020-06-19 2020-09-18 湖北文理学院理工学院 一种机械组合式用于钢管的自动化喷漆装置
CN114042645A (zh) * 2021-11-09 2022-02-15 江苏中康金属材料有限公司 一种不锈钢管尺寸高精度自动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6229A (ko) 파이프 길이별 선별 장치
CN206798649U (zh) 一种高效单片分离转移输送装置
CN107902427A (zh) 一种物料吊装和输送装置
CN110127258A (zh) 一种自动存取料库
CN103010699A (zh) 工装板送取循环系统
CN203652796U (zh) 料袋托盘拆垛机
CN111115214B (zh) 一种散捆系统及其输送的方法
KR101569802B1 (ko) 파이프 이송장치
CN107986009A (zh) 一种拆装夹具一体机
CN107499576A (zh) 一种装箱机械手
CN107176405B (zh) 一种建材自动存放装置
CN106915491B (zh) 一种瓷砖泡沫保护板整理和包装装置
CN106315205A (zh) 码垛机
KR20110137890A (ko) 핀튜브 이송 및 적재장치
CN105836437B (zh) 一种带有不合格栈板提升机构的栈板输送模组
CN203793672U (zh) 一种半自动装箱设备
CN107892185A (zh) 板料堆垛机
CN203790474U (zh) 一种高空作业防坠落装置
CN206160838U (zh) 烟花自动装配线
CN210824475U (zh) 一种模块化高速机器人码垛装置
CN209427657U (zh) 工件缓存设备
CN112027617A (zh) 一种自动焊网机纵筋输送装置
CN207792003U (zh) 一种管材自动上料机构
CN204528727U (zh) 一种袋装水泥装船装置
KR100770369B1 (ko) 파이프 적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