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6198A - 무선캡션대화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캡션대화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6198A
KR20140006198A KR1020120069194A KR20120069194A KR20140006198A KR 20140006198 A KR20140006198 A KR 20140006198A KR 1020120069194 A KR1020120069194 A KR 1020120069194A KR 20120069194 A KR20120069194 A KR 20120069194A KR 20140006198 A KR20140006198 A KR 20140006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caption
wireless
convers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9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0754B1 (ko
Inventor
차원재
엄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라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라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라넷
Priority to KR1020120069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0754B1/ko
Publication of KR20140006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8Text analysis or generation of parameters for speech synthesis out of text, e.g. grapheme to phoneme translation, prosody generation or stress or intonation determin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1Transcoding devices; Rate adaptation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9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using speech synthe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using speech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각장애인 또는 청각언어장애인(이하 "장애인"이라 함)이 타인과 대면하여 일상적인 생활환경에서 수화와 같은 특수 대화방법을 알지 못하는 상대방(이하 "상대방"이라 함)과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장애인과 대화하는 상대방이 장애인에게 한 음성(말)을 문자로 변환하여 실시간으로 장애인이 휴대하고 있는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에 자막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언어장애를 지닌 장애인인 경우에는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에 장애인이 직접 입력한 문자들이 음성으로 변환되어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의 스피커로 출력되어 상대방이 수화를 하지 않더라도 대화가 가능하도록 한 장애인을 위한 무선캡션대화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선캡션대화 서비스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WIRELESS CAPTIONED CONVERSATION SERVICE}
본 발명은 청각장애인 또는 청각언어장애인(이하 "장애인"이라 함)이 타인과 대면하여 일상적인 생활환경에서 수화와 같은 특수 대화방법을 알지 못하는 상대방(이하 "상대방"이라 함)과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장애인과 대화하는 상대방이 장애인에게 한 음성(말)을 문자로 변환하여 실시간으로 장애인이 휴대하고 있는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에 자막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언어장애를 지닌 장애인인 경우에는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에 장애인이 직접 입력한 문자들이 음성으로 변환되어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의 스피커로 출력되어 상대방이 수화를 하지 않더라도 대화가 가능하도록 한 장애인을 위한 무선캡션대화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제공되고 있는 자막 제공 시스템은 텔레비전이나 대규모 회의석상 또는 미국 등의 선진국에서 장애인에게 제공되는 자막 통화(Telecommunications Relay Service; TRS) 등에 사용되고 있다.
텔레비전이나 대규모 회의석상에서 제공되는 자막 시스템은 장애인이 상대방과의 일상적인 대화를 위해 사용되는 시스템이 아니며, 자막 통화 역시 먼 거리에 있는 상대방과 전화 통화를 하기 위한 보조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으므로 장애인이 일상적인 생활에서 상대방과 대화하기 위하여 수화나 필기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수화에 대한 지식이 없는 상대방이 알아들을 수 없기 때문에 일반적인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이용하기 어려우며, 필기는 상대방도 동일하게 필기를 사용하여 의사소통을 해야 하는 불편함뿐만 아니라 장애인이 상대방과 더불어 살아가는 환경으로 나아가는 것에 대하여 장애물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10-2010-0050959 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장애인이 상대방 또는 같은 입장의 장애인과 직접 대면하여 일상적인 대화를 할 때 장애인이 휴대하고 있는 음성 및 데이터 통화기능을 갖춘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의 화면에 상대방의 말이 변환된 자막, 또는 상대방의 말과 동시에 자막을 표시하거나, 장애인이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입력한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다시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의 스피커를 이용하여 출력하여 장애인 자신과 상대방의 원활한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무선캡션대화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수신한 상대방의 음성을 문자화된 캡션데이터로 전환시키는 릴레이 센터; 상대방과 대화를 하기 위하여 음성호를 연결하고, 상기 릴레이센터로부터 캡션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바탕으로 변환된 음성을 출력하는 무선캡션대화장치; 및 상기 무선캡션대화장치와 설정된 경로를 통하여 수신한 상대방의 음성을 상기 릴레이센터로 전달하고, 상기 릴레이센터에서 문자로 전환한 캡션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캡션대화장치로 전달하는 무선캡션대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무선캡션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무선캡션대화장치는, 사용자와 대화를 하는 상대방의 음성을 수집하여 전달하거나, 수신된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수집장치와; 상기 음성수집장치에서 수집한 음성을 상기 무선캡션대화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무선캡션대화 서버로부터 수신된 음성을 상기 음성수집장치에 전달하며, 상기 릴레이 센터로부터 수신한 캡션데이터를 자막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성수집장치는 상대방의 음성을 마이크로부터 입력받아 전기 신호화하여 전달하는 음성입력부와; 상기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을 스피커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 및 상기 음성입력부로부터 수집된 음성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기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에 전달하는 근거리 유무선통신모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 및 무선캡션대화 서비스를 위한 제어를 담당하며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무선캡션대화 서버에 전송하거나, 전송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어플리케이션부; 음성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하는 다이얼러부; 음성 통화 기능 및 패킷 서비스의 연결과 같은 기본적인 기능을 제어하거나 동작시키는 OS/버추얼머신부; 상기 음성수집장치의 근거리 유무선 통신모듈부와 연동되어 수집된 음성을 전달받는 근거리 유무선 통신주모듈부와 이동통신 네트워크와의 연동을 담당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통신모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션캡션대화 서버는, 상기 무선캡션단말장치와 연결되어 호를 제어하고 음성을 수신하는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정합부; 상기 릴레이센터와 연결되어 호를 제어하고 음성을 전달하는 릴레이센터정합부; 및 상기 각각의 정합부들을 제어하는 핸들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정합부는, 수집된 상대방의 음성이 수신되면 상기 릴레이센터정합부로 전달하며,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가 수신되면 음성으로 변환(Text to Speech)한 후 상기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로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 캡션 전화 서비스 제공방법은, 현장에 특별한 장비를 설치하는 번거로움 또는 수화 통역자의 도움 없이 장애인에게 일반인과 일상적인 대화를 가능하게 하여 장애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수하게 제작된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 뿐만 아니라 , 장애인이 평소에 휴대하고 다니는 휴대폰(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만으로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장애인과 대화하는 일반인은 수화나 필기를 이용할 필요 없이 장애인이 휴대한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음성수집장치에 입을 대고 말을 하는 것만으로도 장애인과 대화가 가능해 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캡션대화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캡션대화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캡션대화 서비스가 서킷 네트워크와 패킷 네트워크를 동시에 이용하여 제공되는 경우의 네트워크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캡션대화 서비스가 패킷 네트워크만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경우의 네트워크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무션캡션대화 서버 내부의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 정합부의 음성과 문자 경로 연결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장애인이 상대방과 자연스런 대화를 할 수 있는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무선캡션대화장치(100)는 상대방과 대화를 하기 위하여 무선캡션대화 서버(200)에 음성호를 연결하고, 상기 무선캡션대화 서버(200)로부터 상대방의 음성이 문자로 변환된 캡션 데이터를 수신하여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120)의 어플리케이션부(122)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여 상대방의 음성을 자막으로 볼 수 있도록 하는 기능과 장애인 자신이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120)에 입력한 문자를 바탕으로 변환된 음성을 스피커를 이용하여 출력하는 잡업을 수행한다.
상기 무선캡션대화 서버(200)는 무선캡션대화장치(100)와 설정된 경로를 통하여 수신된 음성을 릴레이센터(300)로 전달하고, 상기 릴레이센터(300)는 수신된 상대방의 음성을 문자화한 캡션 데이터로 전환시켜서 무선캡션대화 서버(200)로 보낸다.
상기 무선캡션대화 서버(200)는 무선캡션대화장치(100)의 음성수집장치(110)로부터 수집한 상대방의 음성을 묵음으로 바꾸거나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120)로부터 수신된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한 후 음성경로를 통하여 다시 무선캡션대화장치(100)로 전달하는 한편, 릴레이센터(300)로부터 수신된 캡션 데이터를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120)로 전달하여 상대방과 원활한 무션캡션대화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선캡션대화장치의 블록도이다. 무선캡션대화장치(100)는 상대방의 음성을 수집하는 음성수집장치(110)와 네트워크와의 정합과 사용자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120)로 구성된다.
상기 음성수집장치(110)는 음성입력부(112), 음성출력부(114) 및 근거리 유무선통신 모듈부(116)로 구성된다. 상기 음성입력부(112)는 상대방의 음성을 마이크로부터 입력받아 전기 신호화하여 상기 근거리 유무선통신 모듈부(116)에 전달한다.
상기 근거리 유무선통신 모듈부(116)는 수집된 음성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기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120)에 전달하며, 상기 음성출력부(114)는 상기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120)부터 수신되는 음성을 출력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120)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 및 무선캡션대화 서비스를 위한 제어와 수신된 캡션 데이터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부(122)와 무선캡션대화서비스 서버에 음성 전화를 걸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다이얼러부(124), 단말장치의 음성 통화 기능 및 패킷 서비스의 연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본적인 기능을 제어하거나 동작시키는 OS/버추얼머신부(126)로 구성되고, 상기 음성수집장치(110)의 근거리 유무선 통신 모듈부(116)와 연동되어 수집된 음성을 전달받거나 네트워크 통신 모듈부(130)로부터 수신한 음성을 음성수집장치(110)로 전송하는 근거리 유무선 통신 주모듈부(128)와 이동통신 네트워크와의 연동을 담당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통신 모듈부(13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는 특수하게 이동 단말기 및 차량용 단말기, 스마트 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노트북 컴퓨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캡션대화 서버의 구성도이다. 상기 무선캡션대화 서버(200)는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120)와 연결되어 호를 제어하고 음성을 처리하는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 정합부(204), 수신된 음성을 캡션 데이터로 변환하는 릴레이센터(300)와 연결되어 호를 제어하고 음성을 처리하는 릴레이센터 정합부(206) 및 상기 각 정합부들을 제어하는 핸들러부(202)로 구성된다.
상기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 정합부(204)는 상기 핸들러부(202)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음성수집장치(110)를 통하여 수집된 후 음성경로(V100)를 통하여 상기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120)에 전달된 음성이 무선/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생성된 제1 음성 경로(V101)로부터 수신되면 릴레이센터 정합부(206)로 전달함과 함께, 수집된 음성을 묵음(White noise)으로 만든 후 제1 음성경로(V102)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120)로 전달한다. 만약에 사용자가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120)를 이용하여 입력한 문자가 제1 캡션 데이터 경로(D100)를 통하여 수신될 경우에는 수신된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한 후(Text To Speech) 변환된 음성을 상기의 묵음(White noise) 대신 제1 음성경로(V102)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캡션대화단말장치(120)로 전달한다. 상기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120)로 전달된 묵음 또는 음성은 음성경로(V401)를 통하여 음성수집장치(110)의 음성출력부(114)로 전달된다. 상기 릴레이센터 정합부(206)는 수신된 음성을 제2 음성경로(V103)를 이용하여 릴레이센터(300)에 전달한다.
상기 릴레이센터(300)에서는 수신한 음성을 문자화된 캡션 데이터로 전환하고, 상기 캡션 데이터는 제2 캡션 데이터 경로(D101)와 제1 캡션 데이터 경로(D100)를 통하여 상기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120)에 전달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캡션대화서비스시스템에 의한 무선캡션대화 서비스가 서킷 네트워크와 패킷 네트워크를 동시에 이용하여 제공되는 경우의 네트워크의 구성도이다. 도 3의 전체 구성은 음성수집장치(110)와 근거리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된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120)로 구성된 무선캡션대화장치(100), 무선캡션대화 서버(200), 무선/유선 음성 네트워크(104), 무선/유선 패킷 네트워크(105), 릴레이센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성수집장치(110)는 근거리 유무선 통신 모듈부(116)를 통하여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120)와 연결된다. 사용자가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120)의 어플리케이션부(122)를 이용하여 전화를 걸면 무선/유선 음성 네트워크(104)를 경유하여 무선캡션대화 서버(200)와 제1 음성경로(V101,V102)를 설정하며, 상기 릴레이센터(300)와 제2 음성경로(V103)를 설정한다. 상기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120)는 제1 음성경로(V101, V102)를 설정함과 동시에 무선/유선 패킷 네트워크(105)를 경유하여 무선캡션대화 서버(200)와 제1 캡션 데이터 경로(D100)를 설정하고, 또한 상기 무선캡션대화서버(200)는 릴레이센터(300)와 제2 캡션 데이터 경로(D101)를 설정한다. 상기 릴레이센터(300)는 제1 음성경로(V101, V102)와 제2 음성경로(V103)를 경유하여 수신된 음성을 캡션 데이터로 변경한 후 제2 캡션 데이터 경로(D101)와 제1 캡션 데이터 경로(D100)를 이용하여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120)에 전달한다.
도 4는 본 무선캡션대화 서비스가 패킷 네트워크만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경우의 네트워크의 구성도이다. 도 4의 전체 구성은 음성수집장치(110)와 근거리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된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120)로 구성된 무선캡션대화장치(100), 무선캡션대화 서버(200), 무선/유선 패킷 네트워크(105), 릴레이센터(300)로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성수집장치(110)는 근거리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120)와 연결된다. 사용자가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120)의 어플리케이션부(122)를 이용하여 전화를 걸면 무선/유선 패킷 네트워크(105)를 경유하여 무선캡션대화 서버(200)와 제1 음성경로(V101,V102)를 설정하며, 상기 릴레이센터(300)와 제2 음성경로(V103)를 설정한다.
상기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120)는 제1 음성경로(V101, V102)를 설정함과 동시에 무선/유선 패킷 네트워크(105)를 경유하여 제1 캡션 데이터 경로(D100)를 설정하고 이후에 무선캡션대화 서버(200)는 릴레이센터(300)와 제2 캡션 데이터 경로(D101)를 설정한다. 상기 릴레이센터(300)는 제 1 음성경로(V101,V102)와 제 2 음성경로(V103)를 경유하여 수신된 음성을 캡션 데이터로 변경한 후 제2 캡션 데이터 경로(D101)와 제 1 캡션 데이터 경로(D100)를 이용하여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120)에 전달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션캡션대화 서버 내부의 무선캡션대화 단말장치 정합부(204)의 음성과 문자 경로 연결 구성도이다. 도 5의 전체 구성은 음성수집장치(110), 무선캡션대화 단말장치(120)로 구성된 무선캡션대화장치(100), 무선캡션대화 단말장치 정합부(204), 릴레이센터 정합부(20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경로(V101)로부터 수신된 음성은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 정합부(204)를 경유하여 릴레이센터 정합부(206)에 전달된다. 또한 릴레이센터 정합부(206)로부터 수신된 캡션 데이터는 제1 캡션 데이터 경로(D100)를 경유하여 무선캡션대화 단말장치(120)로 전달된다. 한편, 장애인이 입력한 문자는 제1 캡션 데이터 경로(D100)를 통하여 무선캡션대화 단말장치 정합부(204)에 수신되며, 수신된 문자는 문자를 음성으로 바꾸는 기능(Text to Speech)을 이용하여 음성으로 변환된 후 제1 음성경로(V102)를 통하여 무선캡션대화 단말장치(120)를 경유하여 음성수집장치(110)로 전송된다.
만약,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120)가 문자를 음성으로 바꾸는 기능(Text to Speech)을 이용 한다면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부(122)를 이용하여 입력한 문자는 상기와 같은 경로를 통하여 무선캡션대화 단말장치 정합부(204)의 TTS(Text to Speech) 기능을 이용하지 않고 상기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120) 자체의 기능을 이용하여 해당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한 후 음성경로(V401)를 통하여 음성수집장치(110)로 전송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사용자가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하여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120)의 어플리케이션부(122)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이얼러부(124)를 이용하여 무선캡션대화 서버(200)에 음성전화를 건다. 이때 음성수집장치의 근거리 유무선 통신 모듈부(116)와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의 근거리 유무선 통신 주모듈부(128)간에 음성경로(V100, V401)를 설정한다. 이동통신 네트워크 통신 모듈부(130)의 음성 전화기능을 통하여 제1 음성 경로(V101, V102)가 설정되면 곧바로 이동통신 네트워크 통신 모듈부(130)의 패킷 데이터 기능을 이용하여 제1 캡션 데이터 경로(D100)를 생성한다. 각각의 경로가 설정된 후에 수집된 음성은 음성경로(V100, V101)를 통하여 무선캡션대화 서버(200)에 전달되고, 제1 캡션 데이터 경로(D100)를 통하여 수신된 캡션 데이터는 어플리케이션부(122)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자막으로 표시된다.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는 제1 캡션 데이터 경로(D100)를 통하여 무선캡션대화 서버(200)에 전달된 후 음성으로 변환되고 이 음성은 제1 음성경로(V102)를 통하여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120)에 전달된 후 음성경로(V401)를 통하여 음성출력부(114)로 전달되어 스피커로 출력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무선캡션대화장치 110: 음성수집장치
120: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 200: 무션캡션대화 서버
300: 릴레이센터

Claims (6)

  1. 수신한 상대방의 음성을 문자화된 캡션데이터로 전환시키는 릴레이 센터;
    상대방과 대화를 하기 위하여 음성호를 연결하고, 상기 릴레이센터로부터 캡션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바탕으로 변환된 음성을 출력하는 무선캡션대화장치; 및
    상기 무선캡션대화장치와 설정된 경로를 통하여 수신한 상대방의 음성을 상기 릴레이센터로 전달하고, 상기 릴레이센터에서 문자로 전환한 캡션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캡션대화장치로 전달하는 무선캡션대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무선캡션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캡션대화장치는,
    사용자와 대화를 하는 상대방의 음성을 수집하여 전달하거나, 수신된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수집장치와;
    상기 음성수집장치에서 수집한 음성을 상기 무선캡션대화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무선캡션대화 서버로부터 수신된 음성을 상기 음성수집장치에 전달하며, 상기 릴레이 센터로부터 수신한 캡션데이터를 자막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무선캡션서비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수집장치는 상대방의 음성을 마이크로부터 입력받아 전기 신호화하여 전달하는 음성입력부와;
    상기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을 스피커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 및
    상기 음성입력부로부터 수집된 음성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기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에 전달하는 근거리 유무선통신모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무선캡션서비스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 및 무선캡션대화 서비스를 위한 제어를 담당하며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무선캡션대화 서버에 전송하거나, 전송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어플리케이션부;
    음성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하는 다이얼러부;
    음성 통화 기능 및 패킷 서비스의 연결과 같은 기본적인 기능을 제어하거나 동작시키는 OS/버추얼머신부;
    상기 음성수집장치의 근거리 유무선 통신모듈부와 연동되어 수집된 음성을 전달받는 근거리 유무선 통신주모듈부와
    이동통신 네트워크와의 연동을 담당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통신모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무선캡션서비스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션캡션대화 서버는,
    상기 무선캡션단말장치와 연결되어 호를 제어하고 음성을 수신하는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정합부;
    상기 릴레이센터와 연결되어 호를 제어하고 음성을 전달하는 릴레이센터정합부; 및
    상기 각각의 정합부들을 제어하는 핸들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캡션대화서비스 시스템
  6. 상기 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정합부는,
    수집된 상대방의 음성이 수신되면 상기 릴레이센터정합부로 전달하며,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가 수신되면 음성으로 변환(Text to Speech)한 후 상기 무선캡션대화단말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무선캡션서비스 시스템.
KR1020120069194A 2012-06-27 2012-06-27 무선캡션대화 서비스 시스템 KR101400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194A KR101400754B1 (ko) 2012-06-27 2012-06-27 무선캡션대화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194A KR101400754B1 (ko) 2012-06-27 2012-06-27 무선캡션대화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198A true KR20140006198A (ko) 2014-01-16
KR101400754B1 KR101400754B1 (ko) 2014-06-27

Family

ID=50141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9194A KR101400754B1 (ko) 2012-06-27 2012-06-27 무선캡션대화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07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4538A (ko) 2019-01-30 2020-08-07 보리 주식회사 언어장애를 개선하는 로봇
US11659078B2 (en) 2020-10-19 2023-05-23 Sorenson Ip Holdings, Llc Presentation of communicatio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730B1 (ko) * 2019-03-26 2019-10-17 주식회사 이큐포올 농인과 청인간의 전화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클라우드 데이터 변환 중계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1204A (ja) * 2000-09-22 2002-04-05 Katsuyuki Adachi 通話仲介システム及び聴覚障害者用電話機
US7881441B2 (en) * 2005-06-29 2011-02-01 Ultratec, Inc. Device independent text captioned telephone service
KR101105682B1 (ko) * 2009-05-01 2012-01-19 양영란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전화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4538A (ko) 2019-01-30 2020-08-07 보리 주식회사 언어장애를 개선하는 로봇
US11659078B2 (en) 2020-10-19 2023-05-23 Sorenson Ip Holdings, Llc Presentation of commun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0754B1 (ko) 2014-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1545B2 (en) Hand-held communication aid for individuals with auditory, speech and visual impairments
US9843678B2 (en) Visual assistance systems and related methods
KR100698942B1 (ko) 텔레비젼 전화 수화 대담 보조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수화 통역 시스템
KR100698932B1 (ko) 텔레비젼 전화 수화 통역 보조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수화 통역 시스템
CN104112449A (zh) 未知的说话者识别系统
CN101123630A (zh) 语音和文字转换的通话方法与系统
US9502037B2 (en) Wireless caption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US20180293230A1 (en) Multifunction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KR101400754B1 (ko) 무선캡션대화 서비스 시스템
KR102299571B1 (ko) 장애인을 위한 동시통역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3221050U (ja) 多機能即時音声翻訳装置
JP2932027B2 (ja) テレビ電話装置
JP3217741U (ja) 多機能即時音声翻訳装置
JP2006139138A (ja) 情報端末及び基地局
JP2000004304A (ja) 異なる手段での会話が可能な通話装置
JP6064209B2 (ja) 通話システム及び通話中継方法
KR101839092B1 (ko)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호출기
JP2019056893A (ja) 会話装置
JP3225514U (ja) 多機能即時音声翻訳装置
KR20030033353A (ko) 도어폰
KR20150115436A (ko) 중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213536914U (zh) 电梯的应急救援系统
CN218585326U (zh) 一种翻译设备
AU2020103854A4 (en) Method and system for assisting communication for deaf persons
KR101847445B1 (ko)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호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